KR20190052758A -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758A
KR20190052758A KR1020170148444A KR20170148444A KR20190052758A KR 20190052758 A KR20190052758 A KR 20190052758A KR 1020170148444 A KR1020170148444 A KR 1020170148444A KR 20170148444 A KR20170148444 A KR 20170148444A KR 20190052758 A KR20190052758 A KR 2019005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steel
solar panel
perlin
column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샤론
Original Assignee
메가솔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가솔라(주) filed Critical 메가솔라(주)
Priority to KR1020170148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2758A/ko
Publication of KR2019005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진 바닥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의 기둥의 길이와 태양광 패널의 설치 각도를 현장에서 조절하도록 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기둥을 삽입하기 위한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태양광 패널의 설치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C형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Supporting structure of solar panel}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진 바닥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의 기둥의 길이와 태양광 패널의 설치 각도를 현장에서 조절하도록 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온실가스 배출 또는 환경 파괴 요인을 발생시키지 않는 무공해 에너지원으로써 최근 태양광산업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이와 관련된 기술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장치는 그 기본적인 구성으로 전력을 생산하도록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광 패널과 이 태양광 패널을 지면에 대하여 다수개 배열 고정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한편, 태양광 발전장치의 태양광 패널은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소정의 각도와 태양광 패널의 지지기둥의 길이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 다수개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태양광 패널의 설치 각도가 다를 수 있다.
나아가, 종래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지지기둥이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자체에 결합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지지기둥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수의 태양광 패널의 설치 각도를 일정하게 맞출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지지기둥의 위치가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펄린 상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기둥의 위치를 상기 펄린 상에서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지지기둥의 길이에 의하여 설치각도가 결정되므로, 예컨대 특정방향인 남북 방향으로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지만, 추가적으로 동서 방향으로 각도를 변경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태양광 패널의 경사각도를 현장에서 3차원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한국등록특허 제10-1623043호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지지기둥의 길이를 현장의 상황에 맞게 길이를 결정하고 현장에서 지지기둥을 재단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지지기둥의 설치 위치를 펄린 상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태양광 패널의 설치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지면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기둥을 삽입하기 위한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은, 상면의 중앙이 개방되고 소정 높이의 테두리면을 형성하는 지지기둥 삽입부, 삽입된 지지기둥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기둥 삽입부 상에 타공된 복수의 고정홀, 상기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이 바닥에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지지기둥 삽입부의 테두리면의 넓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지지기둥 삽입부의 하부에 수직결합되는 하면지지부, 및 일면은 상기 지지기둥 삽입부에 수직결합되고, 타면은 상기 하면지지부에 수직결합되는 삼각형 형상의 하중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면지지부는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며, 콘크리트 베이스부재 상에 설치되는 상기 하면지지부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장공은 타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펄린을 끼울 수 있도록 양측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고 일측면은 연장 형성되어 결속부재가 결합되는 홀을 형성하는 제1 펄린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펄린 연결부는 백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제1 펄린 연결부와 상기 지지기둥을 연결하기 위한 제2 펄린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펄린 연결부는, 지지기둥을 삽입하기 위하여 하면의 중앙이 개방되고 소정 높이의 테두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펄린 연결부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면의 양측면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양측면의 일단 사이로 상기 제1 펄린 연결부의 연장 형성된 일측면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태양광 패널의 설치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C형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형강 연결부는, C형강이 끼움되도록 C형상으로 굴곡 되고, 상기 C형상의 일단은 외면에 대하여 L형으로 굴곡된 제1 C형강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C형강 고정부는 펄린 고정부에 결합되되, 상기 C형강 연결부가 상기 펄린 고정부에 대하여 회전가능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린 고정부는, 펄린을 관통하도록 양면이 개방된 구조의 펄린 이동판 및 상기 제1 C형강 고정부와 결합하기 위한 돌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린 고정부에는 펄린에 결합되기 위한 결속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이 상기 펄린 이동판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형강 연결부는 상기 C형상의 타단에 내부를 향하여 굴곡된 기역형상의 제2 C형강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현장의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태양광 발전장치를 현장에서 직접 설치 및 재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에서 지반의 높낮이에 따라 지지기둥의 길이를 직접 결정하여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의 방향을 틀 수 있기 때문에, 지지기둥에 연결된 태양광 패널의 설치방향을 현장에서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태양광 패널 상에 설치되는 지지기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기둥을 설치할 지면 상에 나무가 심어져 있으면, 나무의 위치를 벗어나게 지지기둥을 설치함으로써 자연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C형강의 지지 프레임 상에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지면의 경사각도 등 현장에서의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현장에서 태양광 발전장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펄린 연결부와 제2 펄린 연결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펄린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펄린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C형강 연결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C형강 연결부의 사시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C형강 연결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태양광 패널의 설치각도를 조정한 사용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태양광 패널"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장치에서 태양열을 집열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지지기둥"은 태양광 패널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의미하고, "펄린"은 지지기둥을 잇는 프레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복수의 펄린 사이에 태양광 패널이 마련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C형강"은 C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태양광 패널이 복수의 펄린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C형강은 펄린 상에 고정되며, 태양광 패널은 C 형강 내부에 끼워짐으로써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콘크리트 베이스부재"는 지면에 마련되어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지면상에서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치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길이를 지면의 위치마다 각각 다르게 재단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면은 환경상황에 따라 굴곡이나 경사가 있으므로,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소정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설치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기둥 a, b, c의 길이가 각각 달라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 구조물은, 지지기둥(100)의 길이를 현장의 상황에 맞게 길이를 결정하고 현장에서 지지기둥(100)을 재단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지지기둥(100)이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자체에 일체결합된 상태로 제작되어 나오기 때문에 현장에서 지지기둥(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서 지지기둥(100)을 설치환경에 맞게 재단한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설치환경에 맞춤식으로 지지기둥(100)을 재단하고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모듈은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200), 제1 펄린 연결부(400), 제2 펄린 연결부(500) 및 C형강 연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200)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기둥(100)이 삽입되는 프레임을 제공하며 콘크리트 베이스부재(1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200)은 상면의 중앙이 개방되고 소정 높이의 테두리면을 형성하는 지지기둥 삽입부(210), 삽입된 지지기둥(10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기둥 삽입부(210) 상에 타공된 복수의 고정홀(220), 상기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200)이 바닥에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지지기둥 삽입부(210)의 테두리면의 넓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지지기둥 삽입부(210)의 하부에 수직 결합되는 하면지지부(240), 및 일면은 상기 지지기둥 삽입부(210)에 수직 결합되고, 타면은 상기 하면지지부에 수직 결합되는 삼각형 형상의 하중지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지지기둥(100)의 길이를 결정하여 절단하면, 절단된 지지기둥(100)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200)에 삽입하고 고정홀(220)에는 직결피스(260)로 고정함으로써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기둥 삽입부(210)의 테두리 면적은 지지기둥(100)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는데, 예컨대, 종래의 지지기둥의 면적은 100×100
Figure pat00001
이었던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기둥 삽입부(210)의 면적은 104×104
Figure pat00002
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굴곡지거나 경사진 지면의 위치마다 지지기둥(100)의 길이를 현장에서 다르게 절단함으로써 태양광 패널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각형 형상의 하중지지부(240)는 지지기둥(100)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지지기둥 삽입부(210)의 테두리면을 따라 여러 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면지지부(240)는 복수의 장공(250)이 형성되며, 콘크리트 베이스부재(120) 상에 설치되는 상기 하면지지부(240)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장공(250)은 타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면지지부(240)에 타원형의 장공(250)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결속부재보다 장공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결속부재가 결합된 경우에도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200)을 측면으로 살짝 돌릴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태양광 패널의 설치각도를 경우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펄린 연결부와 제2 펄린 연결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전체도이고, 도 3b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펄린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펄린 연결부(400)는 펄린(110) 상에서 측면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펄린(110)을 끼울 수 있도록 양측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고 일측면은 연장 형성되어 결속부재가 결합되는 홀을 형성하는 제1 펄린 연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펄린 연결부(400)는 백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펄린 연결부(400)가 백관(아연도금강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펄린(110)의 어느 위치에 직결피스로 뚫더라도 부식이 잘 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펄린(110)에 끼워진 제1 펄린 연결부(400)를 펄린(110)상에서 이동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지기둥(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는 위치에 나무 등이 있을 때, 나무를 훼손하지 않고 나무가 위치한 곳을 비켜서 지지기둥(100)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자연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펄린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측면도이고, 도 5b는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5a를 참조하면, 제2 펄린 연결부(500)는 볼트 또는 너트 등의 결속부재에 의해서 제1 펄린 연결부(4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펄린 연결부(500)는 제1 펄린 연결부(400)와 지지기둥(10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펄린 연결부(500)는 지지기둥(100)을 삽입하기 위하여 하면의 중앙이 개방되고 소정 높이의 테두리면(51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펄린 연결부(400)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면(510)의 양측면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양측면의 일단 사이로 상기 제1 펄린 연결부(400)의 연장 형성된 일측면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지지기둥(100)의 상단이 제2 펄린 연결부(500)의 중앙에 끼워진 상태에서 직결피스가 상기 제2 펄린 연결부(500)의 테두리면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지지기둥(100)과 제2 펄린 연결부(50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C형강 연결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C형강 연결부의 사시도이고, 도 6c는 측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태양광 패널(700)은 C형강(610)을 뼈대로 하여 지지 구조물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태양광 패널(700)의 설치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펄린(110)과 C형강(610)을 연결하는 C형강 연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형강 연결부(600)는, C형강이 끼움되도록 C형상으로 굴곡 되고, 상기 C형상의 일단은 외면에 대하여 L형으로 굴곡된 제1 C형강 고정부(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C형강 고정부(620)는 펄린 고정부(630)에 결합되되, 상기 C형강 연결부(600)가 상기 펄린 고정부(630)에 대하여 회전가능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형강 연결부(600)의 C형상으로 굴곡된 부분에 C형강(610)을 끼운 후, 펄린(110)에 고정된 펄린 고정부(630)에 대하여 제1 C형강 고정부(620)를 회전시키면, 펄린(110)에 대한 태양광 패널(700)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린 고정부(630)는, 펄린(110)을 관통하도록 양면이 개방된 구조의 펄린 이동판(631) 및 상기 제1 C형강 고정부(620)와 결합하기 위한 돌출면(6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펄린 고정부(630)는 펄린 이동판(631) 및 돌출면(632)으로 구성되는데, C형강 연결부(600)의 제1 C형강 고정부(620)가 돌출면에 결합되고, 펄린 이동판(631)의 개방된 구조에 펄린(110)이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면(632)과 제1 C형강 고정부(620)는 볼트 또는 너트 등의 결속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제1 C형강 고정부(620)가 펄린 고정부(630)의 돌출면(63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C형강을 펄린에 결합시키기 위한 펄린 고정부(630)가 펄린에 용접되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린 고정부(630)는 펄린(110)에 끼운 상태이기 때문에 펄린(1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펄린 고정부(630)에 연결된 C형강(610)의 위치를 조정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형강 연결부(600)의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태양광 패널의 설치각도를 조정한 사용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형강 연결부(600)에 C형강(610)이 삽입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형강 연결부(600)를 회전함으로써, C형강(610)의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형강 연결부(600)를 이용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북 방향으로 각도가 형성된 태양광 패널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서 방향으로도 각도를 기울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린 고정부(630)에는 펄린(110)에 결합되기 위한 결속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이 상기 펄린 이동판(631)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직결피스 등의 결속부재를 상기 펄린 이동판(631)에 형성된 홀에 삽입함으로써 펄린 고정부(630)를 펄린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형강 연결부(600)는 상기 C형상의 타단에 내부를 향하여 굴곡된 기역형상의 제2 C형강 고정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C형강 고정부(640)는 C형강을 C형강 연결부(600)에 끼웠을 때 C형강이 윗방향으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판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직결피스(260)가 C형강(610)과 C형강 연결부(600)를 관통하여 결속됨으로써 C형강(610) 및 C형강 연결부(60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은 콘크리트 베이스부재(1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콘크리트 베이스부재(120)는 태양광 패널 지지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구성으로 현장에서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베이스부재(120)는 CIP(Cast in Place Pile) 공법으로 타설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땅속 방향으로 긴 홈을 파고 그 홈 내부에 회오리 모양으로 된 철근과 상기 회오리 모양의 철근 사이에 삽입된 철근을 넣은 다음, 시멘트 페이스트나 몰탈(Mortar)을 주입하여 콘크리트 말뚝을 형성함으로써 타설될 수 있다.
상기 방식에 의하여 지면의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 베이스부재(120)는 연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특히, 지면에 뚫은 홈 내부에 고르지 못한 구멍 사이사이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채워지므로, 콘크리트 베이스 부재를 인발하기 위한 인발력은 커지게 되어 연직방향으로 이탈되기 쉽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지지기둥
110 : 펄린
120 : 콘크리트 베이스부재
200 :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
210 : 지지기둥 삽입부
220 : 고정홀
230 : 하면지지부
240 : 하중지지부
250 : 장공
260 : 직결피스
400 : 제1 펄린 연결부
500 : 제2 펄린 연결부
600 : C형강 연결부
610 : C형강
620 : 제1 C형강 고정부
630 : 펄린 고정부
631 : 펄린 이동판
632 : 돌출면
640 : 제2 C형강 고정부
700 : 태양광 패널

Claims (7)

  1.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기둥을 삽입하기 위한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은,
    상면의 중앙이 개방되고 소정 높이의 테두리면을 형성하는 지지기둥 삽입부;
    삽입된 지지기둥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기둥 삽입부 상에 타공된 복수의 고정홀;
    상기 기둥연결 베이스 프레임이 바닥에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지지기둥 삽입부의 테두리면의 넓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지지기둥 삽입부의 하부에 수직결합되는 하면지지부; 및
    일면은 상기 지지기둥 삽입부에 수직결합되고, 타면은 상기 하면지지부에 수직결합되는 삼각형 형상의 하중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지지부에는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며,
    콘크리트 베이스부재 상에 설치되는 상기 하면지지부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장공은 타원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펄린을 끼울 수 있도록 양측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고 일측면은 연장 형성되어 결속부재가 결합되는 홀을 형성하는 제1 펄린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펄린 연결부는 백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린 연결부와 상기 지지기둥을 연결하기 위한 제2 펄린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펄린 연결부는,
    상기 지지기둥을 삽입하기 위하여 하면의 중앙이 개방되고 소정 높이의 테두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펄린 연결부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면의 양측면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양측면의 일단 사이로 상기 제1 펄린 연결부의 연장 형성된 일측면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5.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설치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C형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C형강 연결부는,
    상기 C형강이 끼움되도록 C형상으로 굴곡 되고, 상기 C형상의 일단은 외면에 대하여 L형으로 굴곡된 제1 C형강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C형강 고정부는 펄린 고정부에 결합되되, 상기 C형강 연결부가 상기 펄린 고정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펄린 고정부는,
    펄린을 관통하도록 양면이 개방된 구조의 펄린 이동판 및
    상기 제1 C형강 고정부와 결합하기 위한 돌출면을 포함하고,
    상기 펄린에 결합되기 위한 결속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이 상기 펄린 이동판에 마련된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형강 연결부는, C형상의 타단에 내부를 향하여 굴곡된 기역형상의 제2 C형강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1020170148444A 2017-11-09 2017-11-09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20190052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44A KR20190052758A (ko) 2017-11-09 2017-11-09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44A KR20190052758A (ko) 2017-11-09 2017-11-09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758A true KR20190052758A (ko) 2019-05-17

Family

ID=6667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444A KR20190052758A (ko) 2017-11-09 2017-11-09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27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043B1 (ko) 2014-07-24 2016-05-23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043B1 (ko) 2014-07-24 2016-05-23 주식회사대영금속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1747B2 (en) Solar panel racking system
AU2009206175B2 (en) Mounting device for solar modules having a large aspect ratio
US8448390B1 (en) Catenary cable solar panel suspension system
US1014511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e, non-invasive and non-permanent surface attachment systems
US9593867B2 (en) Large scale ground mounting system for photovoltaics
US20110240101A1 (en) Structure installation stand and solar cell system
CN104969013A (zh) 预组装太阳能板安装系统
CN104040879A (zh) 建立用于安装光伏模块的自对准安装系统的系统和方法
JP3171824U (ja) 太陽光パネル用架台
KR20200055875A (ko) 태양광 패널 조립체의 높이조절장치
JP5365937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装置
KR101842153B1 (ko) 가변형 태양광 패널 기초 구조체
KR102074793B1 (ko) 태양광발전모듈용 지지구조물
KR101781064B1 (ko) 비탈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주 조인트 어셈블리
KR200467819Y1 (ko) 태양전지모듈 지지용 구조물 시스템
US20110266234A1 (en) Mounting system for solar modules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lar system
JP5622709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フレームの支持架台構造
KR102007978B1 (ko) 태양광패널의 지지장치
JP2019161986A (ja) 支持構造、支持架台、及び太陽光発電設備
JP2016021847A (ja) 太陽光発電パネル設置用パイプ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KR20190052758A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US9587859B1 (en) Strap mount for solar panels
JP2013243201A (ja) ソーラーパネルユニット、ソーラーパネル装置、およびソーラーパネルの設置方法
JP2017155434A (ja) 薄板状の屋根部材の設置構造における架台の排水構造
KR102312097B1 (ko) 태양광패널 조립식 기초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