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069A - 빔 스위핑을 지원하는 페이징 통지의 스케줄링 - Google Patents

빔 스위핑을 지원하는 페이징 통지의 스케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069A
KR20190052069A KR1020197010411A KR20197010411A KR20190052069A KR 20190052069 A KR20190052069 A KR 20190052069A KR 1020197010411 A KR1020197010411 A KR 1020197010411A KR 20197010411 A KR20197010411 A KR 20197010411A KR 20190052069 A KR20190052069 A KR 20190052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bitmap
transmitted
frame
t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091B1 (ko
Inventor
나단 에드워드 테니
리차드 스터링-갤라쉐어
빈 리우
윤송 양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2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04W68/025Indirect p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페이징 통지를 위한 실시예 방법은, UE로 페이지가 발신될 페이징 프레임을 판정하고 비트맵 내의 엔트리의 인덱스를 판정하기 위해 UE의 아이덴티티를 해싱하는 단계와, 비트맵 내의 인덱스에서의 엔트리를 UE가 속한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페이지 메시지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복수의 빔형성된 빔 각각에서 비트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빔은 스위핑 패턴으로 송신되어 빔을 송신하는 컴포넌트의 커버리지 영역의 매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이 송신되고 빔 각각은 페이징 프레임 동안 적어도 한 번 송신된다.

Description

빔 스위핑을 지원하는 페이징 통지의 스케줄링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이 출원은 "Scheduling of Paging Notifications Supporting Beam Sweeping"이라는 표제로 2016년 12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정규 출원 제15/376,37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되, 이는 이어서 "Scheduling of Paging Notifications Supporting Beam Sweeping"이라는 표제로 2016년 9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 출원 제62/395,171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는데, 이 특허 출원 양자 모두는 그 전체로서 복제된 것처럼 참조에 의해 본 문서에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되고, 특정 실시예에서, 빔 스위핑(beam sweeping)을 지원하는 페이징 통지의 스케줄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된다.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는 네트워크와의 어떤 데이터 통신도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저전력 유휴(idle)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유휴 UE와 통신하기를 원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UE에 페이지(page)를 발신할 수 있다. 페이지는 전형적으로 UE 및 네트워크 양자 모두에 알려진 주기적 간격으로 발생하는 페이징 시기(paging occasion)에만 송신된다. 페이징 시기가 발생하는 경우, UE는 네트워크가 페이지를 발신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잠시 깨어난다(wake). 페이지가 발신되지 않았다면, UE는 유휴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페이지가 발신되었다면, UE는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메시지에 대해 리스닝할(listen for) 수 있고, 페이지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 예를 들면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명령어를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페이징 통지(paging notification)를 위한 방법은, UE로 페이지(page)가 발신될 페이징 프레임(paging frame)을 판정하고 비트맵(bitmap) 내의 엔트리(entry)의 인덱스(index)를 판정하기 위해 UE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해싱하는(hashing) 단계와, 비트맵 내의 인덱스에서의 엔트리를 UE가 속한 페이징 그룹(paging group)과 연관된 페이지 메시지(page message)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paging cycle)에서 송신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복수의 빔형성된(beamformed) 빔 각각에서 비트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빔은 스위핑 패턴(sweeping patterm)으로 송신되어 빔을 송신하는 컴포넌트(component)의 커버리지 영역(coverage area)의 매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이 송신되고 빔 각각은 페이징 프레임 동안 적어도 한 번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비트맵 내의 엔트리의 수는 페이징 프레임 내의 페이징 그룹의 수와 동일한 방법.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빔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이 송신되고, 비트맵은 각각의 페이징 TTI에서 송신되는 방법.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송신되는 페이징 TTI의 수는 페이징 구성(paging configuration)의 일부인 방법.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해싱은 비트맵이 송신될 복수의 페이징 TTI 중의 페이징 TTI를 또한 판정하는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페이징 모니터링(paging monitoring)을 위한 방법은, UE로 페이지가 발신될 페이징 프레임을 판정하고 UE로 발신될 비트맵 내의 표시자(indicator)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UE의 식별을 해싱하는 단계(표시자의 값은 UE가 속한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페이지 메시지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되는지를 나타냄)와, UE가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할 수 있는 페이징 프레임 내에서의 빔형성된 빔(beamformed beam)을 식별하는 단계와, 비트맵을 수신하기 위해 페이징 프레임 동안 빔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표시자의 값이 페이지 메시지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됨을 나타내는 경우, UE가 페이징되고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 및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비트맵 내의 엔트리의 수는 페이징 프레임 내의 페이징 그룹의 수와 동일한 방법.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UE가 수신하도록 지정된 페이징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의 수는 가변적인 방법.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UE가 적어도 임계 신뢰도(threshold reliability)로써 비트맵을 수신하기 위해 충분한 페이징 TTI를 리스닝하는(listen to) 방법.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해싱은 비트맵이 수신될 복수의 페이징 TTI 중의 페이징 TTI를 또한 판정하는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송신/수신 포인트(transmit/receive point)는, 프로세서(processor)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래밍(programming)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를 포함한다. 프로그래밍은, UE로 페이지가 발신될 페이징 프레임을 판정하고 비트맵 내의 엔트리의 인덱스를 판정하기 위해 UE의 아이덴티티를 해싱하고, UE가 속한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페이지 메시지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비트맵 내의 인덱스에서의 엔트리를 설정하며, 복수의 빔형성된 빔 각각에서 비트맵을 송신(빔은 스위핑 패턴으로 송신되어 빔을 송신하는 컴포넌트의 커버리지 영역의 매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이 송신되고 빔 각각은 페이징 프레임 동안 적어도 한 번 송신됨)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비트맵 내의 엔트리의 수는 페이징 프레임 내의 페이징 그룹의 수와 동일한 송신/수신 포인트.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프로그래밍은 빔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을 송신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되, 비트맵은 각각의 페이징 TTI에서 송신되는 송신/수신 포인트.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송신되는 페이징 TTI의 수는 페이징 구성의 일부인 송신/수신 포인트.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프로그래밍은 비트맵이 수신될 복수의 페이징 TTI 중의 페이징 TTI를 판정하기 위해 UE의 아이덴티티를 해싱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송신/수신 포인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UE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프로그래밍은, UE로 페이지가 발신될 페이징 프레임을 판정하고 UE로 발신될 비트맵 내의 표시자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UE의 아이덴티티를 해싱(표시자의 값은 UE가 속한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페이지 메시지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되는지를 나타냄)하고, UE가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할 수 있는 페이징 프레임 내에서의 빔형성된 빔을 식별하며, 비트맵을 수신하기 위해 페이징 프레임 동안 빔을 모니터링하고, 표시자의 값이 페이지 메시지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됨을 나타내는 경우, UE가 페이징되고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 및 디코딩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비트맵 내의 엔트리의 수는 페이징 프레임 내의 페이징 그룹의 수와 동일한 UE.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UE가 수신하도록 지정된 페이징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의 수는 가변적인 UE.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프로그래밍은 적어도 임계 신뢰도로써 비트맵을 수신하기 위해 UE가 충분한 페이징 TTI를 리스닝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UE.
선택적으로, 전술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서, 프로그래밍은 비트맵이 수신될 복수의 페이징 TTI 중의 페이징 TTI를 판정하기 위해 UE의 아이덴티티를 해싱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UE.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이점은 페이징이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의 장래의 버전에서 주요 기능이 될 것이라는 사실로부터 도출된다. 저주파수(전방향성(omnidirectional)) 경우와, 고주파수 및 기타 빔형성된 경우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단일 세트의 RRC 절차가 지정될 수 있어서, 장래의 페이징 절차는 전방향성의 경우에도 빔형성에 적응가능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UE 및 네트워크는 언제 UE가 페이징을 모니터링하고 있을 것인지에 대한 공통의 인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페이징 알고리즘은 지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그러한 상황에서 구현될 수 있는 페이징 거동(paging behavior)을 제공한다.
본 발명 및 그것의 이점의 더욱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지는 다음의 설명이 이제 참조되는데,
도 1은 페이징 절차를 예시하는 타임라인(timeline)이고,
도 2는 시간에 걸친 다수의 빔형성된 송신의 스위핑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시간에 걸친 다수의 빔형성된 송신의 스위핑 동안의 페이징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DRX 사이클 및 스위프 시간(sweep time)이 서로 소(relatively prime)인 시나리오에서 시간에 걸친 다수의 빔형성된 송신의 스위핑 동안의 페이징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빔형성 및 빔 스위핑 시나리오에서의 페이징 비트맵의 실시예 사용을 예시하고,
도 6은 빔형성 및 빔 스위핑 시나리오에서의 UE 수신의 실시예 타임라인을 예시하며,
도 7은 빔형성 및 빔 스위핑 시나리오에서의 TRP 송신의 실시예 타임라인을 예시하고,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특징을 조합하는 실시예 절차를 예시하며,
도 9는 페이징 통지를 위한 실시예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0은 페이징 모니터링을 위한 실시예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1은 본 문서에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예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를 예시하고,
도 12는 전기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를 통해 시그널링(signaling)을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적응된 송수신기(transceiver)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 제조 및 사용이 아래에서 상세하게 논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특정 맥락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 많은 적용가능한 발명 개념을 제공함이 인식되어야 한다. 논의된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을 만들고 사용하기 위한 특정 방식을 예시할 뿐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페이징 시기는 페이징 프레임 레벨 및 페이징 서브프레임 레벨 양자 모두에서 다중화되는데(multiplexed), 프레임은 10 밀리초(ms)를 차지하고 서브프레임은 1 ms를 차지한다. UE는 자신의 식별자(identifier)(예를 들면 국제 모바일 가입자 아이덴티티(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를 해시 함수(hash function)로의 입력으로서 사용하여 어느 페이징 프레임, 그리고 페이징 프레임 내의 어느 서브프레임을, 페이징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지를 판정한다. 해시 함수는 진법 기반(modulus based)이며 다음의 식에 의해 주어지는데,
SFN mod T= (T div N)*(UE_ID mod N)
여기서 SFN은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이고, T는 UE의 DRX(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이며, nB는 4T, 2T, T, T/2, T/4, T/8, T/16, T/32이고, N은 min(T,nB)이며, Ns은 max(1,nB/T)이고, UE_ID는 IMSI mod 1024이다.
페이징 시기를 가리키는 인덱스 i_s는 다음의 식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i_s = floor(UE_ID/N) mod Ns
인덱스 i_s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통해서 페이징 시기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정한다.
네트워크가 UE로 페이지를 발신하기를 원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UE에 의해 사용되는 동일한 해시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언제 페이징할지를 판정한다. 따라서, UE 및 네트워크 양자 모두는 그 UE에 대해 페이징 시기가 언제 발생할 것인지를 알며, UE는 할당된 페이징 시기에서만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내의 페이지에 대해 리스닝할 수 있다.
상이한 UE가 동일한 페이징 시기로 해싱될 수 있어서, 오경보(false alarm)가 발생할 수 있다. 즉, UE는 다른 UE를 위해 의도된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해시 함수는 오경보의 수를 줄이기 위해 UE를 상이한 페이징 시기로 분배하나, 그 수를 0으로 줄이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UE가 자신에게 할당된 페이징 시기에서 PDCCH 상에 스케줄링된 페이지를 보는 경우, UE는 그 페이지가 실제로 자신에게 할당된 것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상의 대응하는 페이지 메시지를 체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동일한 페이징 시기로 해싱되는 UE는 페이징 그룹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의 페이징 서브프레임은 PDCCH 상에서의 페이징 정보의 하나의 비트를 포함한다. 그 비트는 페이징 시기에 할당된 그룹 내의 하나 이상의 UE가 현재 페이징되고 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를 나타낸다. 어느 개별 UE가 페이징되고 있는지 및 왜 그러한지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가 PDSCH에서 송신될 수 있다. 하나의 페이징 프레임은 PDCCH 상에서의 정보의 Ns개의 비트(최대 4 비트로서, 네트워크 구성에 따른 값임)를 포함한다.
도 1은 페이징 절차를 예시하는 타임라인(100)이다. 이 예에서, UE(110)는 자신의 식별자(ID)를 해싱하고, 페이징 프레임(140)이 자신의 페이징 프레임이며 서브프레임 4가 자신의 페이징 서브프레임이라고 판정하였다. 페이징 프레임(120 및 130)이 발생하는 경우, UE(110)는 그 페이징 프레임들 중 어느 것도 자신의 페이징 프레임이 아님을 인지하고, UE(110)는 그 페이징 프레임들 전체에 걸쳐 DRX 오프-기간(off-period) 내에 남아 있다. 페이징 프레임(140)이 발생하는 경우, UE(110)는 그 페이징 프레임이 자신의 페이징 프레임임을 인지한다. UE(110)는 UE의 페이징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4가 발생할 때까지 DRX 오프-기간 내에 남아 있다. 서브프레임 4가 발생하는 경우, UE(110)는 기동하고(wake up), 페이지를 수신하며, 페이지에 따라 작동하도록 요구되는 경우에 그렇게 한다. 페이징 프레임(140) 내의 다음 페이징 서브프레임에서, UE(110)는 DRX 오프-기간으로 복귀한다. 페이징 프레임(150)이 발생하는 경우, UE(110)는 그 페이징 프레임이 자신의 페이징 프레임이 아님을 다시 인지하고, UE(110)는 DRX 오프-기간 내에 남아 있다.
몇몇 시스템은, 페이징을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송신을 위해 빔 스위핑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전방향성으로 송신하는 경우에 송신/수신 포인트(Transmit/Receive Point: TRP)가 필요한 범위를 달성할 수 없으면, TRP는 하나 이상의 특정 방향으로 송신을 정향하기(direct) 위해 빔형성(beamforming)에 의존할 수 있다. 그러나, TRP는 전형적으로 한 번에 모든 방향으로 빔형성할 수가 없어서, TRP는 시간에 걸쳐 다수의 방향을 통하여 다수의 빔형성된 송신을 스위핑할 수 있다.
도 2는 시간에 걸친 다수의 빔형성된 송신의 그러한 스위핑을 예시한다. 이 예에서, 16개의 빔의 패턴은 2π의 완전한 회전(full revolution)을 커버한다. 다른 경우에, 빔의 수 및 빔의 폭은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제1 시간에서, TRP(210)는 제1 방향으로 제1 빔인 B1을 송신한다. 제2 시간에서, TRP(210)는 제1 방향으로부터의 정의된 오프셋을 갖는 제2 방향으로 제2 빔인 B2를 송신한다. 그러한 송신은 계속되는바 TRP(210)는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 도처에 빔을 발신한다. 따라서, TRP(210)는 시간에 걸쳐 전방향성으로 효과적으로 송신하나, 임의의 한 순간에서, TRP(210)는 도시된 16개의 방향 중 오직 하나로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TRP(210)는 TRP(210)의 커버리지 영역의 매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이 송신되도록 복수의 빔형성된 빔을 스위핑 패턴으로 송신한다. TRP(210)는 기지국(base station),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eNB),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일 수 있다.
페이지 메시지를 전달하기(carry) 위해서, 빔은 적어도 페이징 시기의 길이 동안 하나의 방향에 "체류할"(dwell)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시간 길이는 "체류 시간" D 라고 지칭될 수 있다. 그래서 개별적으로 송신되는 개수 N의 빔에 대하여, 전체 회전을 통해 스위핑하는 시간은 DN 이다. 그러나, TRP가 k개의 빔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경우에, 스위프 시간은 DN/k 이다. D는 페이징 시기의 길이 pm 정수배(integer multiple)인바, D=mp 라고 가정될 수 있다.
LTE에서, p는 1개 서브프레임이지만, 유연한 신 무선(New Radio: NR) 구조에 있어서, p는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p는 페이징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빔은 전체 TRP 커버리지 영역을 거쳐 스위핑하는데, 각각의 빔 방향에 m개의 페이징 TTI를 쓴다. mN/k개의 페이징 TTI에서, 빔은 방향 하나하나를 다 커버한다.
기존의 페이징 구조가 빔 스위핑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TRP는 UE가 위치된 방향을 알지 못할 수 있고 그래서 전방향성으로 또는 거의 전방향성으로 페이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즉, TRP는, 페이지가 그 페이지가 의도된 UE로 발신될 때까지, 빔 하나하나에서 페이지를 발신하면서, 전체 회전의 상당 부분을 거쳐 스위핑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페이징은 그러한 시나리오에서 지연될 수 있다. 또한, UE는 언제 TRP가 UE의 방향으로 페이징하고 있을 것인지를 알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그렇지 않다면 필요할 것보다 더 오래 깨어 있고, UE의 방향으로 송신될 자신의 페이징을 전달하는 빔을 기다릴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시나리오에서는 UE의 배터리 사용량에 악영향이 미칠 수 있다.
도 3은 기존의 페이징 구조가 빔 스위핑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 일어날 수 있는 다른 문제점을 예시한다. 이 경우에, UE는 페이지를 전혀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예로서, TRP(310)는 한 번에 하나의 페이징 프레임에 대하여, 한 번에 하나의 빔을 스위핑한다. 16개 프레임(LTE 뉴머롤로지(numerology)로는 160 ms)마다, TRP(310)는 TRP의 커버리지 영역의 전체 풋프린트(footprint)를 커버한다. UE(320)는 빔 B7의 방향에 위치된다. UE(320)는 256개 프레임의 페이징 DRX 사이클(2.56 초)을 갖고, UE(320)는 페이징 프레임 105 및 페이징 서브프레임 4로 해싱된다고 가정될 수 있다. 빔 B7에서의 UE(320)는 SFN = 6 mod 16인 경우에만 페이지를 볼 것이다. 프레임 105는 그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므로, UE(320)는 빔 B7에서 전혀 페이징되지 않을 것이다. UE(320)는 대신에 빔 B10에서 페이징되지만, UE(320)는 빔 B10의 방향에 위치되지 않으므로, UE는 페이지 메시지로는 도달불가한 것이다. 대체로 문제는 스위프 시간(16개 프레임)이 DRX 사이클 길이(256개 프레임)를 균등하게 나누어서, DRX 사이클 내의 소정의 프레임은 항상 동일한 빔 방향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후자의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은 DRX 사이클 및 스위프 시간을 서로 소이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RX 사이클은 233개의 프레임 또는 256에 상당히 가까운 어떤 다른 임의적으로 선택된 소수(prime number)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그러한 시나리오에서의 페이징을 예시한다. 233=9 mod 16이니, 페이징 사이클은 각각의 스위프 시간에서 9만큼 "천이한다"(shift). DRX 사이클 t에서, 빔 X는 SFN = (X-1)+9(t-1) mod 16을 갖는 프레임에서 페이지를 전달한다. 따라서, SFN=105 mod 256을 갖는 프레임에 대해 페이지를 빔 B7이 언제 전달하는지의 판정이 행해질 필요가 있을 수 있다. 105=9 mod 16이므로, 그러한 이벤트는 9=6+9(t-1) mod 16, 또는 동등하게 4=3t mod 16이도록 사이클 t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인 형식은
(DRX cycle)=(X-1)+(DRX cycle)(t-1) mod N 이다.
따라서, 그러한 이벤트는 t=12인 경우에 우선 발생한다. 다시 말해, UE(410)를 페이징하는 데에 12*233=2796개의 프레임 또는 대략 28초가 걸린다. 그러한 긴 페이징 시간은 용납불가하여서, 이 전략은 바람직하지 않다.
페이징 전에, TRP는 UE가 위치된 방향을 알지 못한다. UE는 빔 패턴을, 동기화 빔에 기반한 그것의 타이밍(timing) 관계를 포함하여, 시스템 정보로부터 안다. 그래서 UE는 자신의 가장 유리한 빔이 활성인 경우에만 리스닝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UE의 가장 유리한 빔은, 임의의 다른 빔보다 UE에 더 가까운 방향에 있고 임의의 다른 빔보다 더 높은 신호 품질(가령, 수신된 에너지(received energy), 신호 대 잡음 비(signal to noise ratio),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등)의 척도를 갖는 UE에 의해 수신된 빔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UE로 하여금 빔 내의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에너지 및 방향을 갖고서 송신된 임의의 빔은 그 UE를 위한 용인가능한 빔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용인가능한 빔은 UE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 품질(가령, 수신된 에너지, 신호 대 잡음 비, RSRP, RSRQ 등)에 대한 임계치를 초과하는 빔이지만, UE를 위한 가장 유리한 빔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네트워크 및 UE 양자 모두는 페이징 사이클 및 다른 파라미터(언제 UE가 페이징될 것인지를 제어함)를 안다. 그러나, 네트워크는 어느 빔 또는 빔들을 특정한 UE가 모니터링할 수 있는지 또는 모니터링할 것인지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느 빔이 UE를 향해 정향되든, 임의의 페이징 프레임에서, 리스닝하는 UE에 페이징 시기가 발신되도록 페이징 방안을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방안이 구현된다면, UE는 UE가 청취할 수 있는 임의의 빔을 리스닝하고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 네트워크는 UE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지 못하므로, 네트워크는 모든 빔 상에서 모든 페이징 정보를 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방안은 네트워크가 대량의 중복적인(redundant)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수반할 것이다. 나아가,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의 시간 다중화(time multiplexing) 방안은 그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
실시예에서, LTE로부터의 페이징 프레임 개념이 유지되는데, 시스템 타임라인은 일관된 길이의 페이징 프레임으로 분할되고 프레임 길이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가능하다(configurable). 또한, UE는 LTE에서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페이징 프레임으로 해싱된다.
그러나, 실시예에서, 페이징 서브프레임의 사용 대신에, 페이징되고 있는 UE를 나타내기 위해 페이징 비트맵이 제공된다. 페이징 비트맵 내에서 인덱스 i를 갖는 변수는 페이징 그룹 i 내의 UE가 현재 페이징되고 있는 경우에 "1"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UE는, 가령 UE_ID mod (페이징 그룹의 수)에 기반하여, LTE에서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페이징 그룹으로 해싱될 수 있다.
실시예는, 하나의 페이징 프레임 동안, 페이징 비트맵이, 스위프 패턴 전체에 걸쳐, 빔 하나하나에서 적어도 한 번 발신되는 것을 보장한다. 페이징 프레임은 적어도 스위프 시간만큼 길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페이징 비트맵은 단일 페이징 TTI에서 송신되어서, 상이한 페이징 그룹은 LTE 및 범용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에서의 경우와 같이 시간에 있어서 다중화되기보다, 주파수 차원에서 다중화된다. UE는 신뢰성 있게 비트맵을 수신하기 위해 페이징 프레임에서 충분한 페이징 TTI를 리스닝한다. 무선 프레임(radio frame) 하나하나가 페이징 프레임일 필요는 없다는 점에 유의할 수 있다. 페이징 프레임은 대신에 간헐적(intermittent)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페이징 비트맵의 구축은 페이징 그룹의 수에 기반할 수 있다. 페이징 그룹은, UMTS 또는 LTE에서와 같이, 페이징을 위해 무선 리소스의 특정 세트로 해싱되는 모든 UE로서 정의될 수 있다. LTE에서, 용어 "무선 리소스의 세트"는 페이징 프레임 및 페이징 시기를 지칭한다. 본 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용어 "무선 리소스의 세트"는 페이징 프레임 및 페이징 비트맵에서의 인덱스를 지칭한다. 페이징 비트맵 내에 Ns개의 엔트리가 있을 수 있는데, Ns는, LTE에서와 같이, 페이징 프레임 내의 페이징 그룹의 수이다. 개시된 페이징 비트맵을 위한 Ns의 범위는 LTE에서와는 상이할 수 있는데, 거기에서는 어떤 서브프레임이 페이징을 위해 이용가능한 것으로서 보류되어야(reserved) 하기 때문에 그 범위는 4로 제한된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0/4/5/9는 LTE에서의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ulticast-Broadcast Single-Frequency Network: MBSFN) 서브프레임 또는 거의 빈 서브프레임(Almost Blank SubFrame: ABSF)으로서 구성될 수 없다. 실시예는 그러한 어떤 제한도 갖지 않고, 페이징 비트맵은 매우 큰 치수로 될 수 있다.
페이징 비트맵에서의 UE의 인덱스는 UE_ID mod (Ns) 또는 유사한 간단한 해시 함수로 계산될 수 있다. LTE에서 페이징을 위해 사용되는 해시 함수처럼, 이 함수는 안전한 "트랩도어"(trapdoor) 함수일 필요는 없다. 목적은 페이징 그룹에 걸쳐서 부하(load)를 분산하는 것이지, UE의 아이덴티티를 숨기는 것이 아니다. 통계적으로 평평한 분포(flat distribution)를 갖는 어떤 함수든 충분할 것이다.
페이징 비트맵 송신의 스케줄링에서, 빔 스위핑의 위의 예에서 행해진 것과 유사한 몇 가지 가정이 행해질 수 있다. 즉, TRP는 N개의 빔 방향을 커버하는 패턴을 갖고, TRP는 각 방향에서의 체류 시간 D와 함께 한 번에 k개의 빔을 송신한다고 가정될 수 있는데, Nk의 배수이고, D는 페이징 TTI p의 배수이며, 스위프 시간 = DN/k이다. 또한, 페이징 프레임의 길이 F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F≥스위프 시간이라고 가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위프 사이클 동안, 네트워크는 빔 하나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TTI를 구성하고, 페이징 비트맵은 각각의 페이징 TTI에서 발신된다. 따라서, 어느 빔을 UE가 리스닝하는지에 관계없이, UE는 페이징 비트맵을 수신한다. 대응하는 페이지 메시지가 역시 각각의 빔 상에서 발신될 수 있고, 페이징 비트맵과 동일한 페이징 TTI에서 또는 상이한 페이징 TTI에서 발신될 수 있다. UE는 UE가 표시자의 값에 대해 조사할 페이징 비트맵 내에서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자신의 ID를 이전에 해싱하였다. 표시자가 특정한 값으로 설정된 경우, UE는 UE가 속한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페이지 메시지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됨을 알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 UE는 UE가 페이징되고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 및 디코딩한다. LTE에서와 같이, 오경보가 가능하나, 페이지 메시지 내용은 페이징 그룹 내의 어느 UE가 페이징되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더 많은 페이징 그룹은 오경보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빔형성 및 빔 스위핑 시나리오에서의 페이징 비트맵의 실시예 사용을 예시한다. 도면에서의 명료함을 위해, 단지 4개의 빔이 도시되나, 이전의 예에서와 같이 16개의 빔이 존재할 수 있거나 어떤 다른 수의 빔이 존재할 수 있다. 페이징 비트맵(510)은 인덱스 0 내지 7 및 대응하는 값 00000100을 갖는 8개의 엔트리를 갖는다. 즉, 페이징 비트맵(510) 내의 위치 5에서 "1"의 값이 있고, 페이징 비트맵(510) 내의 모든 다른 위치에서 "0"의 값이 있다. 스위프 사이클(520)은 음영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4개의 빔인 B1 내지 B4를 한 번에 하나씩 지나간다. 각각의 빔에서 페이징 TTI가 구성된다. UE A는 빔 B1의 방향에 위치되고, UE B는 빔 B3의 방향에 위치된다. 이 예에서, UE A는 자신의 ID를 해싱하고 이로써 그것이 페이징 비트맵(510) 내의 위치 5를 조사할 것임을 판정했다는 것 및 UE B는 자신의 ID를 해싱하고 이로써 그것이 페이징 비트맵(510) 내의 위치 2를 조사할 것임을 판정했다는 것이 가정될 수 있다. 페이징 TTI 1에서, B1은 UE A의 방향으로 페이징 비트맵(510)을 발신한다. UE A는 수신된 페이징 비트맵(510) 내의 위치 5를 조회하고, 수신된 페이징 비트맵(510) 내의 위치 5에서 "1"의 값을 본다. 이로써 UE(A)는 UE A가 속한 페이징 그룹이 페이징되고 있음을 판정하고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한다. 페이징 TTI 3에서, B3은 페이징 비트맵(510)을 UE B의 방향으로 발신한다. UE B는 위치 2를 조회하고, 그 위치에서 "0"의 값을 보며, UE B가 페이징되고 있지 않음을 판정하고, 어떤 액션도 취하지 않는다.
UE B가 B2에 충분히 가까운 경우에, UE B는 B3 대신에 B2에서 페이징 비트맵(510)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수 있다. 즉, B3는 가장 유리한 빔일 수 있으나, B2는 용인가능한 빔일 수 있다. 링크 버짓(link budget)은 B2에 대해 더 나쁠 수 있으나, B2는 B3보다 더 일찍 UE B에 도착하며 따라서 UE B로부터의 더 신속한 응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UE는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기 전에 몇 개의 단계를 취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UE는,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내에서, 네트워크로부터 페이징 구성을 수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UE는 또한 자신의 페이징 프레임을 위해 해시 함수를 계산하고, 실시예에서는, 자기 자신의 ID에 기반하여, 페이징 비트맵에서의 자신의 적용가능한 위치를 계산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UE는 또한 등록할(register)/접속할(attach) 필요가 있을 수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는 UE가 페이징될 수 있는 영역을 안다.
UE가 빔형성을 사용하고 있는 TRP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내에 캠프(camp)하는 경우, UE는 가장 유리한 다운링크 빔을 (가령, 동기화 프로세스 동안) 식별할 수 있다. UE는 또한 (가령, 시스템 정보로부터) 빔 패턴을 판정할 수 있어서, UE는 가장 유리한 다운링크 빔(또는 용인가능한 다운링크 빔)이 어느 시간에 활성일 것인지를 안다. 실시예에서, UE는 또한 가장 유리한 다운링크 빔(또는 용인가능한 다운링크 빔)을 위한 활성 기간(active period) 내에서의 페이징 TTI의 구성을 판정할 수 있다. 추가로, UE는 페이징 DRX 사이클을 적용할 수 있다. 즉, UE는 UE의 페이징 프레임까지 DRX 오프-기간 내에 머무를 수 있다.
페이징 프레임 지속기간(duration)이 적어도 스위프 패턴만큼 길다는 가정 때문에, UE의 페이징 프레임은 UE의 가장 유리한 다운링크 빔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활성 기간를 포함할 것임이 알려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수 있다.
UE의 페이징 프레임 동안, UE는 가장 유리한 다운링크 빔이 송신될 때까지 DRX 오프-기간 내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용인가능한 다운링크 빔이 가장 유리한 빔보다 더 일찍 스케줄링된 경우, UE는 우선 용인가능한 빔으로부터 수신하려고 할 수 있다.
UE를 위한 가장 유리한 다운링크 빔이 활성인 동안에, UE는 하나 이상의 페이징 TTI를 수신하는데, 실시예에서, TRP는 빔 하나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TTI를 발신하기 때문이다. 실시예에서, 송신되는 TTI의 수는 페이징 구성의 일부인 반면, UE가 수신하도록 지정된 TTI의 수는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악한 무선 조건에서의 UE는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SINR)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페이징 TTI를 누적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4개 빔 예를 사용하여, 빔형성 및 빔 스위핑 시나리오에서의 UE 수신의 실시예 타임라인(600)을 예시한다. 이 예에서, 1 페이징 프레임 = 1 스위프 사이클이고 빔 체류 시간당 2개의 페이징 TTI가 있다. UE(610)는 자신의 ID를 해싱하고 페이징 프레임 Y(620)가 자신의 페이징 프레임임을, 그리고 빔 3(630)이 페이징 프레임에서 자신의 빔임을 판정하였다. UE(610)는 또한, 페이징 비트맵(640)의 위치 7에서의 "1"의 엔트리는 페이징되고 있는 그룹 내에 UE(610)가 있음을 나타낸다는 것을 판정하였다. UE(610)는 페이징 프레임 Y-1(650)이 자신의 페이징 프레임이 아님을 알고, 그래서 페이징 프레임 Y-1(650) 전체에 걸쳐 DRX 오프-기간 내에 남아 있다. UE(610)는 또한 빔 1(660) 및 빔 2(670)가 자신의 빔이 아님을 알고, 그래서 빔 3(630)이 송신될 때까지 페이징 프레임 Y(620) 내에서 DRX 오프-기간 내에 남아 있다. 빔 3(630)이 송신되는 경우, UE(610)는 기동하고 페이징 비트맵(640)을 수신한다. UE(610)는 수신된 페이징 비트맵(640)의 위치(7)에서 "1"의 엔트리가 존재함을 판정하고, 따라서 페이징되고 있는 그룹 내에 UE(610)가 있음을 판정한다. 이후 UE(610)는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서와 동일한 페이징 프레임 및 페이징 TTI 가정을 갖는, 빔 형성 및 빔 스위핑 시나리오에서의 TRP 송신의 실시예 타임라인(700)을 예시한다. TRP(710)는 3개의 UE(도시되지 않음)를 위한 페이지를 생성한다. TRP(710)는 페이징 프레임 Y-1(730)에서의 모든 빔에서 제1 페이징 비트맵(720)을 송신한다. 제1 페이징 비트맵(720)은 그것의 인덱스 4가 "1"로 설정되어, 페이징 프레임 Y-1(730)로 해싱되었고 인덱스 4의 값을 조사하는 UE가 페이징 프레임 Y-1(730)에서 페이지를 수신할 것임을 나타낸다. TRP(710)는 또한 페이징 프레임 Y(750)에서의 모든 빔에서 제2 페이징 비트맵(740)을 송신한다. 제2 페이징 비트맵(740)은 그것의 인덱스 3 및 그것의 인덱스 7이 "1"로 설정되어, 페이징 프레임 Y(750)으로 해싱되었고 인덱스 3 또는 인덱스 7의 값을 조사하는 UE가 페이징 프레임 Y(750)에서 페이지를 수신할 것임을 나타낸다. 제1 UE는 페이징 프레임 Y-1(730) 및 페이징 비트맵 인덱스 4로 해싱되고 페이징 프레임 Y-1(730)에서 페이지를 수신한다. 제2 UE는 페이징 프레임 Y(750) 및 페이징 비트맵 인덱스 3으로 해싱되고 페이징 프레임 Y(750)에서 페이지를 수신한다. 도 6의 UE(610)와 동등한 제3 UE는 페이징 프레임 Y(750) 및 페이징 비트맵 인덱스 7로 해싱되고 또한 페이징 프레임 Y(750)에서 페이지를 수신한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을 조합하는 실시예 절차를 예시한다. 즉, 도 6의 UE 측 및 도 7의 네트워크 측이 양자 모두 도시되는데, 도 6의 UE(610)는 물론 도 7과 관련하여 언급되었으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두 UE가 모두 나타난다. 제1 UE(810)는 도 6의 UE(610)와 동등하고 그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거동한다. 제2 UE(820)는 페이징 프레임 Y(840), 최적의 빔 2(850) 및 페이징 비트맵 위치 3으로 해싱된다. 따라서, UE(820)가 페이징 프레임 Y(840)의 빔 2(850)에서 페이징 비트맵(860)을 수신하는 경우, UE(820)는 페이징 비트맵(860)에서의 위치 3이 "1"로 설정됨을 보고 UE(820)가 페이징되고 있는 그룹 내에 있음을 안다. 제3 UE(830)는 페이징 프레임 Y-1(870), 최적의 빔 2(880) 및 페이징 비트맵 위치 4로 해싱된다. 따라서, UE(830)가 페이징 프레임 Y-1(870)의 빔 2(880)에서 페이징 비트맵(890)을 수신하는 경우, UE(830)는 페이징 비트맵(890)에서의 위치 4가 "1"로 설정됨을 보고 UE(830)가 페이징되고 있는 그룹 내에 있음을 안다.
실시예에서, 페이징 TTI를 나타내기 위해 해싱의 제3 레벨이 구현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가 빔마다 하나보다 많은 페이징 TTI(가령,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빔당 2개의 페이징 TTI)를 할당하는 경우, UE는 해시 함수를 계산하고 이로써 TTI 중 오직 하나를 모니터링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동일한 해시 함수를 계산하여서, 네트워크 및 각각의 UE는 페이징 프레임을, 비트맵 위치를,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 페이징 TTI 인덱스를 갖는다. 이 실시예는 수신기 듀티 사이클(receiver duty cycle)을 페이징 DRX 사이클당 하나의 페이징 TTI로 감소시킨다. 이 실시예는 또한 페이징 부하를 분산하는데, 더 적은 UE가 각 페이징 그룹 내에 있고 더 적은 오경보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UE가 상이한 페이징 TTI로부터의 에너지를 조합하는 능력은 손실될 수 있다. 향상된 머신 유형 통신(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s: eMTC)/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과 같은 커버리지 확장 유형 시나리오에 있어서, 다수의 TTI에 걸쳐서 조합 이득(combining gain)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정상적인 커버리지 내의 UE에 대하여, 페이징 부하를 분산하는 것의 이점이 더 중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해싱의 이 제3 레벨의 사용은 구성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시나리오에 대해서보다 대규모 사물 인터넷(massive Internet of Things: mIoT) 시나리오에 대해 상이하게 해싱 거동(hashing behavior)을 설정할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통신을 위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의 상이한 부분이 사용되는 RAN 슬라이싱(slicing)의 경우에, 해싱의 이 제3 레벨의 구현은 슬라이스마다 상이한 페이징 구성의 사용을 수반할 수 있다. 하나의 RAN이 다수의 사용 사례를 서빙하는(serve) 경우에, 어느 설정이 더 적절한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질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비스 및/또는 UE 유형을 기반으로 별개의 페이징 채널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빔형성된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통지의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UE 아이덴티티(identity)를 페이징 그룹(즉, 페이징 프레임 및 페이징 비트맵 위치)으로 해싱하는 단계와, 각각의 페이징 프레임에 대해 어느 페이징 그룹이 그 프레임 내에서 페이징되는지를 식별하는 비트맵을 구축하는 단계와, 모든 빔이 페이징 프레임 동안 적어도 한 번 송신되도록 빔 스위핑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각각의 빔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TTI 상에서 비트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UE의 관점에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빔형성된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모니터링의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UE의 아이덴티티를 페이징 그룹으로 해싱하는 단계와, 선호되는 다운링크 빔(선호되는 다운링크 빔은 UE의 최적의 다운링크 빔일 공산이 있으나 최소의 용인가능성 임계(minimum acceptability threshold)보다 더 나은 것으로써 수신된 임의의 빔일 수 있음)을 식별하는 단계와, 비트맵을 수신하기 위해, UE의 페이징 프레임 동안에, 선호되는 빔 내에서의 하나 이상의 페이징 TTI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비트맵 내에서의 UE의 엔트리에 기반하여, UE가 페이징되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관점들 중 어느 쪽에서든, 해싱의 선택적인 제3 레벨은 UE의 아이덴티티를 페이징 TTI 인덱스로 해싱하는 것에 기반하여 복수의 페이징 TTI 내의 페이징 TTI를 식별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도 9는 페이징 통지를 위한 실시예 방법(900)의 흐름도이다. 블록(910)에서, UE의 아이덴티티는 페이지가 UE로 발신될 페이징 프레임을 판정하고 비트맵 내의 엔트리의 인덱스를 판정하기 위해 해싱된다. 블록(920)에서, 비트맵 내의 인덱스에서의 엔트리는 UE가 속한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페이지 메시지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된다. 블록(930)에서, 비트맵은 복수의 빔형성된 빔 각각에서 송신된다. 빔은 스위핑 패턴으로 송신되어 빔을 송신하는 컴포넌트의 커버리지 영역의 매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이 송신되고 빔 각각은 페이징 프레임 동안에 적어도 한 번 송신된다.
도 10은 페이징 모니터링을 위한 실시예 방법(1000)의 흐름도이다. 블록(1010)에서, UE의 아이덴티티는 페이지가 UE로 발신될 페이징 프레임을 판정하고 UE로 발신될 비트맵 내의 표시자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해싱된다. 표시자의 값은 UE가 속한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페이지 메시지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되는지를 나타낸다. 블록(1020)에서, UE가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징 프레임 내의 빔형성된 빔이 식별된다. 블록(1030)에서, 비트맵을 수신하기 위해 페이징 프레임 동안 빔이 모니터링된다. 블록(1040)에서, 표시자의 값이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페이지 메시지가 송신됨을 나타내는 경우, UE가 페이징되고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페이지 메시지는 수신되고 디코딩된다.
도 11은 호스트 디바이스(host device) 내에 설치될 수 있는, 본 문서에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예 처리 시스템(1100)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시스템(1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프로세서(1104), 메모리(1106) 및 인터페이스(1110 내지 111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4)는 계산 및/또는 다른 처리 관련 작업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모음(collection)일 수 있고, 메모리(1106)는 프로세서(1104)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래밍 및/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적응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모음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모리(1106)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110, 1112, 1114)는 처리 시스템(1100)으로 하여금 다른 디바이스/컴포넌트 및/또는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모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110, 1112, 1114) 중 하나 이상은 데이터, 제어 또는 관리 메시지를 프로세서(1104)로부터 호스트 디바이스 및/또는 원격 디바이스 상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통신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터페이스(1110, 1112, 1114) 중 하나 이상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가령,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등)로 하여금 처리 시스템(1100)과 상호작용/통신할 수 있게 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처리 시스템(1100)은 도면에 묘사되지 않은 추가적인 컴포넌트, 예를 들면 장기간 스토리지(long term storage)(가령, 비휘발성 메모리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처리 시스템(1100)은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액세스하고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의 일부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포함된다. 하나의 예에서, 처리 시스템(1100)은 무선 또는 유선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예를 들면 기지국, 중계국(relay station), 스케줄러(scheduler), 제어기(controller), 게이트웨이(gateway), 라우터(router),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또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 내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처리 시스템(1100)은 무선 또는 유선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는 사용자 측 디바이스, 예를 들면 이동국(mobile station),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통신 디바이스(wearable communications device)(가령, 스마트워치(smartwatch) 등), 또는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도록 적응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 내에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1110, 1112, 1114) 중 하나 이상은 처리 시스템(1100)을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적응된 송수신기에 연결한다. 도 12는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적응된 송수신기(1200)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송수신기(1200)는 호스트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1200)는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 커플러(coupler)(1204), 송신기(1206), 수신기(1208), 신호 프로세서(1210) 및 디바이스 측 인터페이스(121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는 무선 또는 유선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도록 적응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1204)는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를 통한 양방향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응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1206)는 기저대역 신호를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를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반송파 신호로 변환하도록 적응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모음(가령, 상향 변환기(up-converter),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208)는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를 통해 수신된 반송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도록 적응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모음(가령, 하향 변환기(down-converter),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2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디바이스 측 인터페이스(들)(1212)를 통한 통신에 적합한 데이터 신호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환하도록 적응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측 인터페이스(들)(1212)는 신호 프로세서(1210) 및 호스트 디바이스 내의 컴포넌트(가령, 처리 시스템(1100),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포트 등) 간의 데이터 신호를 통신하도록 적응된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200)는 임의의 유형의 통신 매체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200)는 무선 매체를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수신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1200)는 셀룰러 프로토콜(가령,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등),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프로토콜(가령, 와이파이(Wi-Fi) 등),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무선 프로토콜(가령, 블루투스(Bluetooth),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과 같은 무선 전기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도록 적응된 무선 송수신기일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방사(radiating)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측 인터페이스(1202)는 단일 안테나, 여러 별개의 안테나, 또는 다층(multi-layer) 통신, 가령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MO), 다중 입력 단일 출력(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ISO),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등을 위해 구성된 다중 안테나 어레이(multi-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200)는 유선 매체, 가령 꼬임쌍 케이블(twisted-pair cable),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광섬유(optical fiber) 등을 통해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수신한다. 구체적인 처리 시스템 및/또는 송수신기는 도시된 컴포넌트 전부 또는 컴포넌트의 서브세트만을 활용할 수 있고, 집적의 레벨은 디바이스마다 달라질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공되는 실시예 방법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대응하는 유닛 또는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신호는 송신 유닛 또는 송신 모듈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신호는 수신 유닛 또는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신호는 처리 유닛 또는 처리 모듈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다른 단계는 해싱 유닛/모듈, 설정 유닛/모듈, 식별 유닛/모듈, 모니터링 유닛/모듈 및/또는 디코딩 유닛/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유닛/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예컨대, 유닛/모듈 중 하나 이상은 집적 회로, 예를 들면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이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뿐만 아니라,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조합은 설명을 참조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부기된 청구항은 임의의 그러한 수정 또는 실시예를 망라한다고 의도된다.

Claims (20)

  1. 페이징 통지(paging notification)를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 페이지(page)가 발신될 페이징 프레임(paging frame)을 판정하고 비트맵(bitmap) 내의 엔트리(entry)의 인덱스(index)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UE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해싱하는 단계와,
    상기 비트맵 내의 상기 인덱스에서의 상기 엔트리를 상기 UE가 속한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페이지 메시지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복수의 빔형성된(beamformed) 빔 각각에서 상기 비트맵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빔은 스위핑 패턴(sweeping pattern)으로 송신되어 상기 빔을 송신하는 컴포넌트의 커버리지 영역(coverage area)의 매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이 송신되고 상기 빔 각각은 상기 페이징 프레임 동안 적어도 한 번 송신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내의 엔트리의 수는 상기 페이징 프레임 내의 페이징 그룹의 수와 동일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이 송신되고, 상기 비트맵은 각각의 페이징 TTI에서 송신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송신되는 페이징 TTI의 수는 페이징 구성의 일부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싱은 상기 비트맵이 송신될 복수의 페이징 TTI 중의 페이징 TTI를 또한 판정하는,
    방법.
  6. 페이지 모니터링(paging monitoring)을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로 페이지가 발신될 페이징 프레임을 판정하고 상기 UE로 발신될 비트맵 내의 표시자(indicator)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UE의 아이덴티티를 해싱하는 단계 - 상기 표시자의 값은 상기 UE가 속한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페이지 메시지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되는지를 나타냄 - 와,
    상기 UE가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할 수 있는 상기 페이징 프레임 내에서의 빔형성된 빔(beamformed beam)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비트맵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페이징 프레임 동안 상기 빔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자의 상기 값이 상기 페이지 메시지가 상기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UE가 페이징되고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 및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내의 엔트리의 수는 상기 페이징 프레임 내의 페이징 그룹의 수와 동일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수신하도록 지정된 페이징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의 수는 가변적인,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적어도 임계 신뢰도(threshold reliability)로써 상기 비트맵을 수신하기 위해 충분한 페이징 TTI를 리스닝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싱은 상기 비트맵이 수신될 복수의 페이징 TTI 중의 페이징 TTI를 또한 판정하는,
    방법.
  11. 송신/수신 포인트로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래밍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 페이지가 발신될 페이징 프레임을 판정하고 비트맵 내의 엔트리의 인덱스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UE의 아이덴티티를 해싱하고,
    상기 비트맵 내의 상기 인덱스에서의 상기 엔트리를 상기 UE가 속한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페이지 메시지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며,
    복수의 빔형성된 빔 각각에서 상기 비트맵을 송신 - 상기 빔은 스위핑 패턴으로 송신되어 상기 빔을 송신하는 컴포넌트의 커버리지 영역의 매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이 송신되고 상기 빔 각각은 상기 페이징 프레임 동안 적어도 한 번 송신됨 -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송신/수신 포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내의 엔트리의 수는 상기 페이징 프레임 내의 페이징 그룹의 수와 동일한,
    송신/수신 포인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빔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을 송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트맵은 각각의 페이징 TTI에서 송신되는,
    송신/수신 포인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송신되는 페이징 TTI의 수는 페이징 구성의 일부인,
    송신/수신 포인트.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비트맵이 송신될 복수의 페이징 TTI 중의 페이징 TTI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UE의 상기 아이덴티티를 해싱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송신/수신 포인트.
  16.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래밍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UE로 페이지가 발신될 페이징 프레임을 판정하고 상기 UE로 발신될 비트맵 내의 표시자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UE의 아이덴티티를 해싱 - 상기 표시자의 값은 상기 UE가 속한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페이지 메시지가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되는지를 나타냄 - 하고,
    상기 UE가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할 수 있는 상기 페이징 프레임 내에서의 빔형성된 빔을 식별하며,
    상기 비트맵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페이징 프레임 동안 상기 빔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표시자의 상기 값이 상기 페이지 메시지가 상기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송신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UE가 페이징되고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 및 디코딩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UE.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 내의 엔트리의 수는 상기 페이징 프레임 내의 페이징 그룹의 수와 동일한,
    UE.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수신하도록 지정된 페이징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의 수는 가변적인,
    UE.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적어도 임계 신뢰도로써 상기 비트맵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UE가 충분한 페이징 TTI를 리스닝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UE.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상기 비트맵이 수신될 복수의 페이징 TTI 중의 페이징 TTI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UE의 상기 아이덴티티를 해싱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UE.
KR1020197010411A 2016-09-15 2017-09-12 빔 스위핑을 지원하는 페이징 통지의 스케줄링 KR102205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95171P 2016-09-15 2016-09-15
US62/395,171 2016-09-15
US15/376,379 2016-12-12
US15/376,379 US10057881B2 (en) 2016-09-15 2016-12-12 Scheduling of paging notifications supporting beam sweeping
PCT/CN2017/101407 WO2018050053A1 (en) 2016-09-15 2017-09-12 Scheduling of paging notifications supporting beam sweep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069A true KR20190052069A (ko) 2019-05-15
KR102205091B1 KR102205091B1 (ko) 2021-01-19

Family

ID=6156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411A KR102205091B1 (ko) 2016-09-15 2017-09-12 빔 스위핑을 지원하는 페이징 통지의 스케줄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057881B2 (ko)
EP (1) EP3504913B1 (ko)
JP (1) JP6833019B2 (ko)
KR (1) KR102205091B1 (ko)
CN (1) CN109716836B (ko)
WO (1) WO2018050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1294B1 (en) * 2015-11-13 2023-03-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and device utilizing same
US10736082B2 (en) * 2016-10-31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a common control in a beamforming system
US10028249B2 (en) * 2016-12-15 2018-07-1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co-operative traffic management using combined paging cycle for user equipments
WO2018143585A1 (ko) * 2017-02-02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12972B2 (en) * 2017-02-15 2021-05-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laying paging and relay user equipment, and paging reception method and remote user equipment
KR102367840B1 (ko) * 2017-03-24 2022-02-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568016A (zh) 2017-03-24 2023-01-0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执行寻呼的方法和设备
CN109561499B (zh) * 2017-09-26 2021-09-07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寻呼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1885712B (zh) * 2017-10-05 2024-03-0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US10993180B2 (en) * 2017-11-28 2021-04-27 Qualcomm Incorporated Wake up signaling technique
WO2019139432A1 (ko) * 2018-01-14 2019-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단말
CN110099447B (zh) * 2018-01-31 2024-04-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EP3627902A4 (en) * 2018-03-20 2020-08-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ASSENGER PROCES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10756874B2 (en) 2018-05-15 2020-08-25 Google Llc Beam search pilots for paging channel communications
CN110635875B (zh) * 2018-06-21 2023-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KR20240045366A (ko) 2018-06-21 2024-04-05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분산된 페이징 시기들의 제공
US11224088B2 (en) * 2018-07-02 2022-01-11 Qualcomm Incorporated Beam sweeping during an on-period of a DRX cycle
KR20200057235A (ko) 2018-11-16 202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0611953B (zh) * 2019-08-16 2022-03-01 展讯半导体(南京)有限公司 下行波束指示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12584466B (zh) * 2019-09-27 2022-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接收方法及装置
CN112714393B (zh) * 2019-10-09 2022-06-10 中移物联网有限公司 一种自适应锁定站点相对位置的方法以及无线接入点
US20240098691A1 (en) * 2020-09-24 2024-03-2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aging processing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543197B (zh) * 2021-07-27 2022-05-03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基于物联网的呼吸疾病危重病人实时监测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031A (ko) * 2013-05-21 201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페이징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8835B2 (ja) * 1996-12-06 2002-07-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
US7826858B2 (en) 2006-07-12 2010-11-02 Intel Corporation Protected paging indication mechanism within wireless networks
US8849315B2 (en) 2006-12-19 2014-09-30 Conexa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trieving buffered data from an access point
US8077677B2 (en) * 2007-01-31 2011-12-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group handling
KR101455982B1 (ko) * 2007-09-13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US9019896B2 (en) 2012-04-23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overhead paging
EP2870802A1 (en) * 2012-07-09 2015-05-1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illimeter wave access architecture with cluster of access points
US9258798B2 (en) * 2012-11-05 2016-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aging in communication systems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US9749986B2 (en) * 2014-08-28 2017-08-29 Apple Inc. Paging mechanisms for link-budget-limited user devices
US11382081B2 (en) * 2015-10-16 202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70339675A1 (en) * 2016-05-18 2017-11-23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of Operating a Cellular Network including High Frequency Burst Transmission
WO2017222309A1 (en) * 2016-06-21 2017-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aging in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592148B (zh) * 2016-07-06 2020-10-23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处理波束成型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031A (ko) * 2013-05-21 201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페이징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64697* *
3GPP R2-16475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4913B1 (en) 2024-05-22
KR102205091B1 (ko) 2021-01-19
WO2018050053A1 (en) 2018-03-22
EP3504913A4 (en) 2019-07-03
US10057881B2 (en) 2018-08-21
US10448360B2 (en) 2019-10-15
CN109716836A (zh) 2019-05-03
CN109716836B (zh) 2020-11-03
JP2019532572A (ja) 2019-11-07
EP3504913A1 (en) 2019-07-03
US20180077680A1 (en) 2018-03-15
JP6833019B2 (ja) 2021-02-24
US20180324758A1 (en)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091B1 (ko) 빔 스위핑을 지원하는 페이징 통지의 스케줄링
US11876744B2 (en) Secondary cell activation method, access network device,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system
US10194482B2 (en) Enhanced node B and methods for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updates to user equipment with extended paging cycles
US2020016214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1395331B2 (en) Random access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2521279B1 (en)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20190356368A1 (en) Adaptive numerology for beamforming training
EP30103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sour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5312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121776A1 (ja) ユーザ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21179248A1 (en) Dynamic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resource allocation
US9749987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US202203946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E-specific Notifications with Beamforming
US11910427B2 (en) Triggering CSI resource signals and CSI reports in 5G NR
WO20200295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US1186426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voiding collisions in a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MSIM) user equipment
CN116868625A (zh) 用于多中继通信的中继器选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