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127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127A
KR20190053127A KR1020180137422A KR20180137422A KR20190053127A KR 20190053127 A KR20190053127 A KR 20190053127A KR 1020180137422 A KR1020180137422 A KR 1020180137422A KR 20180137422 A KR20180137422 A KR 20180137422A KR 20190053127 A KR20190053127 A KR 20190053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ing size
value
indicator
size
bun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539B1 (ko
Inventor
고성원
김형태
강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53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2Fixed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39Frequency-contiguous, i.e. with no allocation of frequencies for one user or terminal between the frequencies allocated to an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되,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번들링 크기(bundling size)를 설정하기 위한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한다.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상기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를 수신하되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지시자의 값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현재에는 폭발적인 트래픽의 증가로 인하여 자원의 부족 현상이 야기되고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요구 조건은 크게 폭발적인 데이터 트래픽의 수용, 사용자 당 전송률의 획기적인 증가, 대폭 증가된 연결 디바이스 개수의 수용, 매우 낮은 단대단 지연(End-to-End Latency), 고에너지 효율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대규모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이중(In-band Full Duplex), 비직교 다중접속(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초광대역(Super wideband) 지원, 단말 네트워킹(Device Networking) 등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예: PDSCH)에 대한 번들링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번들링 크기(bundling size)를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따라 동적(dynamic)으로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번들링 크기(bundling size)를 설정하기 위한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상기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지시자의 값에 따라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번들링 크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값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번들링 크기 집합(bundling size set)들을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시자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복수의 번들링 크기 집합들 중 하나의 후보 값을 포함하는 특정 번들링 크기 집합이 상기 번들링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집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특정 번들링 크기 집합에 포함된 후보 값으로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시자의 값이 ‘1’ 인 경우, 상기 복수의 번들링 크기 집합들 중 두 개의 후보 값을 포함하는 번들링 크기 집합들이 상기 번들링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집합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번들링 크기는 주파수 축으로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들의 개수와 임계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두 개의 후보 값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들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두 개의 후보 값 중 큰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들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두 개의 후보 값 중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임계값은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에 대한 대역폭(Bandwidth)의 자원 블록 개수(Resource Block)를 2로 나눈 값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로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번들링 크기(bundling size)를 설정하기 위한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고; 및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상기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상기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지시자의 값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되,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번들링 크기(bundling size)를 설정하기 위한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상기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를 수신하되,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지시자의 값에 따라 설정되는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정보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며 번들링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은 양의 제어 정보를 통해서 번들링 크기를 유동적으로 설정 또는 지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케줄된 대역폭(bandwidth)가 큰 경우, 동일한 프리코더가 적용되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 계수를 증가시켜 채널 추정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New RAT)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uplink frame)과 하향링크 프레임(downlink frame)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및 뉴머롤로지(numerology) 별 자원 그리드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slot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RF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RF 모듈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gNB(generation NB)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또한, 5G NR(new radio)은 usage scenario에 따라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V2X(vehicle-to-everything)을 정의한다.
그리고, 5G NR 규격(standard)는 NR 시스템과 LTE 시스템 사이의 공존(co-existence)에 따라 standalone(SA)와 non-standalone(NSA)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5G NR은 다양한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을 지원하며, 하향링크에서 CP-OFDM을, 상향링크에서 CP-OFDM 및 DFT-s-OFDM(SC-OFDM)을 지원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NR(New RAT)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정의
eLTE eNB: eLTE eNB는 EPC 및 NGC에 대한 연결을 지원하는 eNB의 진화(evolution)이다.
gNB: NGC와의 연결뿐만 아니라 NR을 지원하는 노드.
새로운 RAN: NR 또는 E-UTRA를 지원하거나 NGC와 상호 작용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종단 간 범위와 함께 특정 요구 사항을 요구하는 특정 시장 시나리오에 대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operator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네트워크 기능은 잘 정의된 외부 인터페이스와 잘 정의된 기능적 동작을 가진 네트워크 인프라 내에서의 논리적 노드.
NG-C: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2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NG-U: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3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비 독립형(Non-standalone) NR: gNB가 LTE eNB를 EP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거나 또는 eLTE eNB를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는 배치 구성.
비 독립형 E-UTRA: eLTE eNB가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gNB를 요구하는 배치 구성.
사용자 평면 게이트웨이: NG-U 인터페이스의 종단점.
시스템 일반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G-RAN은 NG-RA 사용자 평면(새로운 AS sublayer/PDCP/RLC/MAC/PHY) 및 UE(User Equipment)에 대한 제어 평면(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gNB들로 구성된다.
상기 g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gNB는 또한,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NGC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gNB는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 (User Plane Function)로 연결된다.
NR(New Rat) 뉴머롤로지(Numerology) 및 프레임(frame) 구조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들이 지원될 수 있다. 여기에서, 뉴머롤로지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CP(Cyclic Prefix) 오버헤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 서브캐리어 간격을 정수 N(또는,
Figure pat00001
)으로 스케일링(scaling) 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매우 높은 반송파 주파수에서 매우 낮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가정될지라도, 이용되는 뉴머롤로지는 주파수 대역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 구조들이 지원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뉴머롤로지 및 프레임 구조를 살펴본다.
*NR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다수의 OFDM 뉴머롤로지들은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와 관련하여, 시간 영역의 다양한 필드의 크기는
Figure pat00003
의 시간 단위의 배수로 표현된다. 여기에서,
Figure pat00004
이고,
Figure pat00005
이다. 하향링크(downlink) 및 상향링크(uplink) 전송은
Figure pat00006
의 구간을 가지는 무선 프레임(radio frame)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무선 프레임은 각각
Figure pat00007
의 구간을 가지는 10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향링크에 대한 한 세트의 프레임들 및 하향링크에 대한 한 세트의 프레임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말(User Equipment, UE)로 부터의 상향링크 프레임 번호 i의 전송은 해당 단말에서의 해당 하향링크 프레임의 시작보다
Figure pat00008
이전에 시작해야 한다.
뉴머롤로지
Figure pat00009
에 대하여, 슬롯(slot)들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Figure pat00010
의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지고, 무선 프레임 내에서
Figure pat00011
의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슬롯은
Figure pat00012
의 연속하는 OFDM 심볼들로 구성되고,
Figure pat00013
는, 이용되는 뉴머롤로지 및 슬롯 설정(slot configuration)에 따라 결정된다. 서브프레임에서 슬롯
Figure pat00014
의 시작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OFDM 심볼
Figure pat00015
의 시작과 시간적으로 정렬된다.
모든 단말이 동시에 송신 및 수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는 하향링크 슬롯(downlink slot) 또는 상향링크 슬롯(uplink slot)의 모든 OFDM 심볼들이 이용될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2는 뉴머롤로지
Figure pat00016
에서의 일반(normal) CP에 대한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를 나타내고, 표 3은 뉴머롤로지
Figure pat00017
에서의 확장(extended) CP에 대한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8
NR 물리 자원(NR Physical Resource)
NR 시스템에서의 물리 자원(physical resource)과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캐리어 파트(carrier part)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상기 물리 자원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안테나 포트와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이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의 다른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의 광범위 특성(large-scale property)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경우, 2 개의 안테나 포트는 QC/QCL(quasi co-located 혹은 quasi co-location)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광범위 특성은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주파수 쉬프트(Frequency shift), 평균 수신 파워(Average received power), 수신 타이밍(Received Tim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자원 그리드가 주파수 영역 상으로
Figure pat00020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 x 2u OFDM 심볼들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R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신호(transmitted signal)는
Figure pat00021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원 그리드들 및
Figure pat00022
의 OFDM 심볼들에 의해 설명된다. 여기에서,
Figure pat00023
이다. 상기
Figure pat00024
는 최대 전송 대역폭을 나타내고, 이는, 뉴머롤로지들뿐만 아니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에도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4와 같이, 뉴머롤로지
Figure pat00025
및 안테나 포트 p 별로 하나의 자원 그리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안테나 포트 및 뉴머롤로지 별 자원 그리드의 예들을 나타낸다.
뉴머롤로지
Figure pat00026
및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자원 그리드의 각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로 지칭되며, 인덱스 쌍
Figure pat00027
에 의해 고유적으로 식별된다. 여기에서,
Figure pat00028
는 주파수 영역 상의 인덱스이고,
Figure pat00029
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심볼의 위치를 지칭한다. 슬롯에서 자원 요소를 지칭할 때에는, 인덱스 쌍
Figure pat00030
이 이용된다. 여기에서,
Figure pat00031
이다.
뉴머롤로지
Figure pat00032
및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자원 요소
Figure pat00033
는 복소 값(complex value)
Figure pat00034
에 해당한다. 혼동(confusion)될 위험이 없는 경우 혹은 특정 안테나 포트 또는 뉴머롤로지가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덱스들 p 및
Figure pat00035
는 드롭(drop)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복소 값은
Figure pat00036
또는
Figure pat00037
이 될 수 있다.
또한,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은 주파수 영역 상의
Figure pat00038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로 정의된다. 주파수 영역 상에서, 물리 자원 블록들은 0부터
Figure pat00039
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이 때, 주파수 영역 상의 물리 자원 블록 번호(physical resource block number)
Figure pat00040
와 자원 요소들
Figure pat00041
간의 관계는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pat00042
또한, 캐리어 파트(carrier part)와 관련하여, 단말은 자원 그리드의 서브셋(subset)만을 이용하여 수신 또는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수신 또는 전송하도록 설정된 자원 블록의 집합(set)은 주파수 영역 상에서 0부터
Figure pat00043
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빔 관리(Beam management)
NR에서 빔 관리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빔 관리(Beam management): DL 및 UL 송수신에 사용될 수 있는 TRP(들) 및/또는 UE 빔들의 세트(set)를 획득하고 유지하기 위한 L1/L2 절차들의 세트로서, 적어도 다음 사항들을 포함한다:
- 빔 결정: TRP (들) 또는 UE가 자신의 송신 / 수신 빔을 선택하는 동작.
- 빔 측정: TRP (들) 또는 UE가 수신된 빔 형성 신호의 특성을 측정하는 동작.
- 빔 보고: UE가 빔 측정에 기반하여 빔 형성된 신호의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
- 빔 스위핑 (Beam sweeping):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시간 간격 동안 송신 및 / 또는 수신된 빔을 이용하여 공간 영역을 커버하는 동작.
또한, TRP 및 UE에서의 Tx / Rx 빔 대응(correspondence)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TRP에서의 Tx / Rx 빔 대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면 유지된다.
- TRP는 TRP의 하나 이상의 송신 빔에 대한 UE의 하향링크 측정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수신을 위한 TRP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 TRP는 TRP의 하나 이상의 Rx 빔들에 대한 TRP의 상향링크 측정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TRP Tx 빔을 결정할 수 있다.
- UE에서의 Tx / Rx 빔 대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면 유지된다.
- UE는 UE의 하나 이상의 Rx 빔에 대한 UE의 하향링크 측정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UE Tx 빔을 결정할 수 있다.
- UE는 하나 이상의 Tx 빔에 대한 상향링크 측정에 기초한 TRP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수신을 위한 UE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 TRP로 UE 빔 대응 관련 정보의 능력 지시가 지원된다.
다음과 같은 DL L1 / L2 빔 관리 절차가 하나 또는 다수의 TRP들 내에서 지원된다.
P-1: TRP Tx 빔 / UE Rx 빔 (들)의 선택을 지원하기 위해 상이한 TRP Tx 빔에 대한 UE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 TRP에서의 빔포밍의 경우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빔 세트에서 인트라(intra)/인터(inter)-TRP Tx 빔 스윕(sweep)을 포함한다. UE에서의 빔포밍을 위해, 그것은 통상적으로 상이한 빔들의 세트로부터의 UE Rx 빔 sweep를 포함한다.
P-2: 상이한 TRP Tx 빔에 대한 UE 측정이 인터/인트라-TRP Tx 빔(들)을 변경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P-3: UE가 빔 포밍을 사용하는 경우에 동일한 TRP Tx 빔에 대한 UE 측정이 UE Rx 빔을 변경시키는데 사용된다.
적어도 네트워크에 의해 트리거된 비주기적 보고(apreiodic reporting)는 P-1, P-2 및 P-3 관련 동작에서 지원된다.
빔 관리 (적어도 CSI-RS)를 위한 RS에 기초한 UE 측정은 K (빔의 총 개수) 빔으로 구성되며, UE는 선택된 N개의 Tx 빔들의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여기서, N은 반드시 고정된 수는 아니다. 이동성 목적을 위한 RS에 기반한 절차는 배제되지 않는다. 보고 정보는 적어도 N <K 인 경우 N 개의 빔 (들)에 대한 측정량 및 N 개의 DL 송신 빔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UE가 K'> 1 논-제로-파워 (NZP) CSI- RS 자원들에 대해, UE는 N'의 CRI (CSI-RS 자원 지시자)를 보고 할 수 있다.
UE는 빔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higher layer parameter)들로 설정될 수 있다.
- N=1 보고 설정(setting), M≥1 자원 설정
- 보고 설정과 자원 설정 간의 링크들은 합의된 CSI 측정 설정에서 설정된다.
- CSI-RS 기반 P-1 및 P-2는 자원 및 보고 설정으로 지원된다.
- P-3은 보고 설정의 유무에 관계없이 지원될 수 있다.
- 적어도 이하 사항들을 포함하는 보고 설정(reporting setting)
- 선택된 빔을 나타내는 정보
- L1 측정 보고(L1 measurement reporting)
- 시간 영역 동작(예: 비주기적(aperiodic) 동작, 주기적(periodic) 동작, 반-지속적(semi-persistent) 동작)
- 여러 주파수 세분성(frequency granularity)이 지원되는 경우의 주파수 세분성
- 적어도 이하 사항들을 포함하는 리소스 설정(resource setting)
- 시간 영역 동작(예: 비주기적 동작, 주기적 동작, 반-지속적 동작)
- RS 유형: 적어도 NZP CSI-RS
-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세트. 각 CSI-RS 자원 세트는 K≥1 CSI-RS 자원들을 포함(K개의 CSI-RS 자원들의 일부 파라미터들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 번호, 시간 영역 동작, 밀도 및 주기)
또한, NR은 L> 1 인 L 그룹을 고려하여 다음 빔 보고를 지원한다.
- 최소한의 그룹을 나타내는 정보
- N1 빔에 대한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L1 RSRP 및 CSI 보고 지원 (CSI-RS가 CSI 획득을 위한 경우))
- 적용 가능한 경우, Nl개의 DL 송신 빔을 나타내는 정보
상술한 바와 같은 그룹 기반의 빔 보고는 UE 단위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 기반의 빔 보고는 UE 단위로 턴-오프(turn-off) 될 수 있다(예를 들어, L = 1 또는 Nl = 1인 경우).
NR은 UE가 빔 실패로부터 복구하는 메커니즘을 트리거할 수 있음을 지원한다.
빔 실패(beam failure) 이벤트는 연관된 제어 채널의 빔 쌍 링크(beam pair link)의 품질이 충분히 낮을 때 발생한다(예를 들어 임계 값과의 비교, 연관된 타이머의 타임 아웃). 빔 실패(또는 장애)로부터 복구하는 메커니즘은 빔 장애가 발생할 때 트리거된다.
네트워크는 복구 목적으로 UL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갖는 UE에 명시적으로 구성한다. 자원들의 구성은 기지국이 전체 또는 일부 방향으로부터(예를 들어, random access region) 청취(listening)하는 곳에서 지원된다.
빔 장애를 보고하는 UL 송신/자원은 PRACH (PRACH 자원에 직교하는 자원)와 동일한 시간 인스턴스(instance)에 또는 PRACH와 다른 시간 인스턴스(UE에 대해 구성 가능)에 위치할 수 있다. DL 신호의 송신은 UE가 새로운 잠재적인 빔들을 식별하기 위해 빔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지원된다.
NR은 빔 관련 지시(beam-related indication)에 관계 없이 빔 관리를 지원한다. 빔 관련 지시가 제공되는 경우, CSI-RS 기반 측정을 위해 사용된 UE 측 빔 형성 / 수신 절차에 관한 정보는 QCL을 통해 UE에 지시될 수 있다. NR에서 지원할 QCL 파라미터로는 LTE시스템에서 사용하던 delay, Doppler, average gain등에 대한 파라미터 뿐만 아니라 수신단에서의 빔포밍을 위한 공간 파라미터가 추가될 예정이며, 단말 수신 빔포밍 관점에서 angle of arrival 관련 파라미터 및/또는 기지국 수신 빔포밍 관점에서 angle of departure 관련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NR은 제어 채널 및 해당 데이터 채널 전송에서 동일하거나 다른 빔을 사용하는 것을 지원한다.
빔 쌍 링크 블로킹(beam pair link blocking)에 대한 견고성(robustness)를 지원하는 NR-PDCCH 전송을 위해, UE는 동시에 M개의 빔 쌍 링크상에서 NR-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M≥1 및 M의 최대값은 적어도 UE 능력에 의존할 수 있다.
UE는 상이한 NR-PDCCH OFDM 심볼들에서 상이한 빔 쌍 링크(들)상의 NR-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빔 쌍 링크들 상에서 NR-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UE Rx 빔 설정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CE에 의해 구성되거나 및 / 또는 탐색 공간 설계에서 고려된다.
적어도, NR은 DL RS 안테나 포트(들)과 DL 제어 채널의 복조를 위한 DL RS 안테나 포트(들) 사이의 공간 QCL 가정의 지시를 지원한다. NR-PDCCH(즉, NR-PDCCH를 모니터링하는 구성 방법)에 대한 빔 지시를 위한 후보 시그널링 방법은 MAC CE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DCI 시그널링, 스펙 transparent 및/또는 암시적 방법, 및 이들 시그널링 방법의 조합이다.
유니 캐스트 DL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위해, NR은 DL RS 안테나 포트와 DL 데이터 채널의 DMRS 안테나 포트 사이의 공간 QCL 가정의 지시를 지원한다.
RS 안테나 포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DCI (다운 링크 허가)를 통해 표시된다. 또한, 이 정보는 DMRS 안테나 포트와 QCL 되어 있는 RS 안테나 포트를 나타낸다. DL 데이터 채널에 대한 DMRS 안테나 포트의 상이한 세트는 RS 안테나 포트의 다른 세트와 QCL로서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내용들에 대해 먼저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5G, New Rat(NR) 등 차세대 통신에서는,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radio access technology(RAT)에 비해 향상된 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massive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신뢰성(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 및/또는 단말(UE)를 고려한 통신 시스템의 디자인 또는 구조가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enhanced mobile broadband(eMBB) communication, massive MTC(m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radio access technology(RAT)의 도입이 현재 논의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해당 technology를 ‘new RAT(NR)’로 통칭하기로 한다.
Self-contained 슬롯 구조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의 latency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5세대 New RAT(NR)에서는 도 5와 같은 self-contained slot structure를 고려하고 있다.
즉,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slot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에서, 빗금 친 영역(510)은 하향링크 제어(downlink control) 영역을 나타내고, 검정색 부분(520)은 상향링크 제어(uplink control) 영역을 나타낸다.
아무런 표시가 없는 부분(530)은 downlink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uplink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특징은 한 개의 slot 내에서 DL 전송과 UL 전송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하나의 slot 내에서 DL data를 보내고, UL Ack/Nack도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slot을 ‘self-contained slot’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이러한 slot 구조를 통해서, 기지국은 데이터 전송 에러 발생시에 단말로 데이터 재전송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게 되며, 이로 인해 최종 데이터 전달의 latency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self-contained slot 구조에서, 기지국과 단말은 송신 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하는 과정 또는 수신모드에서 송신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위한 시간 간격(time gap)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해당 slot 구조에서, DL에서 UL로 전환되는 시점의 일부 OFDM symbol이 보호 구간(guard period, GP)로 설정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송수신과 관련하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hared channel)(예: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적용되는 PRB 번들링의 크기(Physical Resource Block bundling size)를 설정 및/또는 지시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PRB 번들링이란, 데이터 전송 시 인접한 다수개의 자원 블록(즉, 물리 자원 블록, PRB)에 걸쳐 동일한 PMI를 적용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는, 단말이 PMI 보고 및/또는 RI 보고를 수행하기 위하여, 주파수 영역 상의 다수의 자원 블록들을 프리코딩(precoding)을 위한 하나의 그래뉼러리티(granularity)로 가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PRB 번들링은 DMRS 번들링(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bundling)을 의미하거나,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리코딩 자원 블록 그룹(Precoding Resource block Group, PRG)의 크기(예: P’ 또는 P’BWP,i)에 따라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 또는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를 분할할 수 있다. 각각의 PRG들은 연속적인 PRB들(consecutive PRBs, contiguous PRBs)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PRB 번들링 크기(PRB bundling size)는 PRG의 크기 또는 PRG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PRB 번들링 크기를 나타내는 값(즉, 숫자)는 해당 PRB 번들링을 위한 PRB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PRB 번들링의 크기의 설정은, PRB에서 이용되는 프리코더들의 유연성(flexibility) 및 채널 추정의 품질 간의 트레이드 오프(trade-off)를 고려하여 결정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PRB 번들링의 크기가 매우 크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모든 PRB들에서 동일한 프리코더를 이용해야 하는 점에 따라 유연성 측면의 단점이 유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PRB 번들링의 크기가 매우 작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채널 추정에 있어 복잡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RB 번들링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측면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하여, NR 시스템에서 PRB 번들링 크기의 값은 미리 설정된 값들(예: 1, 2, 4, 8, 16 등) 중에서 특정 값으로 선택되는 방식(이하, 제1 방식) 및/또는 주파수 영역 상에서 해당 단말에 대해 연속적으로 스케줄링된(즉, 할당된) 대역폭(또는 PRB들)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는 방식(이하, 제2 방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방식 및 제2 방식은 서로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두 가지 방식들을 혼합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B 번들링 크기 집합이 {2, 4, 단말 할당 대역(예: 광대역(wideband))}로 설정되는 경우, PRB 번들링 크기는 상술한 제1 방식에 따라 2 또는 4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선택(또는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이 경우, PRB 번들링 크기는 상술한 제2 방식에 따라 단말 할당 대역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이때, PRB 번들링 크기 집합이 {2, 4, 단말 할당 대역(예: 광대역(wideband))}와 같은 후보 값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PRB 번들링 크기는 아래와 같이 DCI 필드의 1 비트 정보를 통해서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DCI 필드의 1 비트가 ‘1’의 값을 지시하는 경우, PRB 번들링 크기는 RRC에 의해서 구성된 하나 또는 두 개의 후보 값 중 하나를 PRB 번들링 크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RRC에 의해서 두 개의 후보 값이 설정되는 경우, PRB 번들링 크기는 스케쥴된 대역폭, 자원 블록 그룹, 서브밴드 크기, PDCCH 자원 요소 그룹 번들링 크기, 대역폭 부분, DMRS 패턴 등에 의해서 암시적으로 하나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DCI 필드의 0비트가 ‘0’을 값을 지시하는 경우, PRB 번들링 크기는 RRC에 의해서 구성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UE가 RBG(Resource Block Group)=2로 설정되는 경우, UE는 PRG의 값이 ‘4’라고 기대하지 않는다.
광범위 대역폭에서 RBG 크기의 집합은 적어도 2, [3,] 4, [6,] 8, 16의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RBG 크기는 데이터를 위한 심볼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RGB 크기는, 네트워크 채널 대역폭, 설정된 대역폭 부분을 위한 대역폭, 네트워크 또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상향링크/하향링크의 자원 할당은 아래 표 4와 같이 설정될 수 있으며, RRC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다.
Config 1 Config 2
X0 - X1 RBs RGB size 1 RBG size 2
X1+1 - X1 RBs RBG size 3 RBG size 4
... ... ...
RRC는 Config 1 또는 Config 2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하나의 config는 RRC가 다른 config로 구성할 때까지 기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상향링크/하향링크를 위한 구성은 별도이지만, 동일한 테이블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속 기간(duration)과 관계 없이 동일한 RGB 크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NR 시스템에서는 PRB 번들링 크기를 1 비트(1 bit) 값을 통해 지시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이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CI 필드의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0’인 경우, RRC에 의해서 설정된 한 개의 값이 번들링 크기고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DCI 필드에서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는 지시자의 값이 ‘1’인 경우, RRC에 의해서 두 개의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개의 값 중 번들링 크기를 암시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방법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는 지시자의 값이 ‘1’인 경우, 번들링 크기를 동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암시적 결정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된 것일 뿐,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제1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PRB 번들링 크기 집합에 대한 내용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PRB 번들링의 설정 및/또는 지시를 위하여, 이하 제1 실시 예 내지 제4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방식(예: 일반적인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방식)과 제5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방식(예: 브로드캐스트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방식)이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실시 예 1>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는 지시자의 값이 ‘1’인 경우, 번들링 크기는 단말에게 PDSCH 전송을 위해서 할당된 자원 블록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DSCH 전송을 위해서 할당된 자원 블록의 개수가 기준 개수(예를 들면, 특정 임계 값)보다 큰 경우, RRC에 의해서 구성된 번들링 크기의 후보 값 집합에 포함된 후보 값들 중 큰 값을 번들링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할당된 자원 블록의 개수 대신 PDSCH 전송을 위해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 블록 중 연속적으로 인접한 자원 개수의 최대 값 또는 최소 값을 기준 RB 값(또는 임계 값)과 비교하여 번들링 크기를 암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 블록이 (1,2,3), (6,7), (10)인 경우, 연속적으로 인접한 자원 개수의 최대 값은 3이고, 최소 값은 1이 된다.
이 경우, 단말은 최대 값 또는 최소 값을 임계 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RRC에 의해 설정된 번들링 크기의 후보 값들 중 하나를 번들링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할당된 자원 블록의 개수”, “할당된 자원 블록 중 연속적으로 인접한 자원 블록 개수의 최대 값 또는 최소 값” 및 “기준 개수(임계 값)”은 네트워크가 상위 계층 RRC 시그널링을 통해 별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할당된 자원 블록의 개수, 할당된 자원 블록 중 연속적으로 인접한 자원 블록 개수의 최대 값, 및 최소 값 중 어느 값을 임계 값과 비교하여 번들링 크기를 결정할 지 여부는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실시 예 1-1>
상기 실시 예 1에서 번들링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개수(임계 값)은 각각의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active bandwidth part)의 대역폭, 활성화 대역폭 부분 크기 또는 대역폭 부분 크기, N_(BWP,i)^size)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리어 BWP 1에서 50 RB를 활용하는 경우, 할당된 자원이 10 RB 이상이면, RRC에 의해서 구성된 번들링 크기의 후보 값 집합 {2, 4}, {2, 스케쥴된 대역폭(Scheduled BW)}, {4, 스케줄된 대역폭} 중 큰 값을 번들링 크기로 설정(또는 결정)한다.
이때,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할당된 RB 개수와 무관하게 단말과 기지국은 스케줄링된 대역폭의 값을 2 또는 4보다 더 큰 값으로 가정하여 번들링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BWP 2에서 100 RB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BWP 1과는 다르게 임계 값을 변경하여 할당된 자원이 20 RB 이상일 경우에 번들링 크기의 후보 값 집합에서 더 큰 값을 번들링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번들링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RB 개수인 임계 값은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각각의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active bandwidth part)의 대역폭, 활성화 대역폭 부분 크기 또는 대역폭 부분 크기,
Figure pat00044
)를 2로 나눈 값일 수 있다.
Figure pat00045
이때, 수학식 2에서 임계 값은 각각의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active bandwidth part)의 대역폭, 활성화 대역폭 부분 크기 또는 대역폭 부분 크기,
Figure pat00046
)를 2로 나눈 값의 올림 값, 내림 값 또는 반 올림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할당된 RB의 개수에 따라 번들링 크기를 결정하는 경우, 할당된 RB 개수가 작으면 작은 번들링 크기를 통해 프리코더 사이클링(precoder cycling)을 수행하여 다이버시티(diversity)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준이 되는 RB의 개수인 임계 값은 시스템 대역폭, 컴포넌트 캐리어의 대역폭, 또는 단말 특정(UE-Specific) 대역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임계 값은 단말에게 구성된(configured) BWP 중 활성화 BWP(active BWP)가 연속적으로 인접하게 또는 비 연속적으로 다수 존재하는 경우, 다수의 활성화된 BWP에 있어서 하나의 DCI 설정으로 PDSCH를 전송하면 각 활성화 BWP BW의 총 개수, 최소 값 또는 최대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화 BWP 1에서 10 RB를 사용하고, 활성화 BWP 2에서 20 RB를 이용하는 경우, BW의 총 개수인 30 RB, 최소 값인 10 RB 또는 최대 값인 20 RB에 기초하여 임계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 1-2>
실시 예 1-1과는 다르게 임계 값은 RBG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GB 크기가 {1,2,4}인 경우, 할당된 자원이 10 RB 이상이면 번들링 크기의 후보 값 집합 2, 4}, {2, 스케쥴된 대역폭(Scheduled BW)}, {4, 스케줄된 대역폭} 중 큰 값을 번들링 크기로 설정(또는 결정)한다.
하지만, RGB 크기가 {8, 16}인 경우에는 임계 값을 변경하여 할당된 자원이 20 RB 이상이면 번들링 크기의 후보 값 집합 2, 4}, {2, 스케쥴된 대역폭(Scheduled BW)}, {4, 스케줄된 대역폭} 중 큰 값을 번들링 크기로 설정(또는 결정)될 수 있다.
제안 1-1 및 1-2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하면 할당된 RB 개수가 적을 경우, 작은 번들링 크기를 통해 프리코더 사이클링을 수행하여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안 1 내지 1-2에는 PRB의 번들링 크기를 유동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DCI 필드의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는 지시자의 값에 따라 번들링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번들링 크기의 후보 값들을 포함하는 후보 값 집합들은 기지국으로부터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CI의 값이 ‘0’인 경우, 단말은 동일한 DCI에 의해서 스케줄링 된 PDSCH를 수신할 때 상기 후보 값의 집합 들 중 하나의 후보 값을 포함하는 후보 값 집합을 선택하고, 선택된 후보 값 집합에 포함된 값을 번들링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DCI의 값이 ‘1’인 경우, 단말은 동일한 DCI에 의해서 스케줄링 된 PDSCH를 수신할 때 상기 후보 값의 집합 들 중 하나 이상의 후보 값을 포함하는 후보 값 집합을 선택한다.
선택된 후보 값 집합에 한 개 이상의 값이 포함된 경우, 단말은 두 개의 값 중 하나의 값을 선택하여 번들링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값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단말에게 암시적(implicit)하게 단말에게 지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연속된 PRB의 개수가 앞에서 살펴본 임계 값보다 크면 후보 값 집합에 포함된 값들 중 큰 값을 번들링 크기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은 작은 값을 번들링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후보 값 집합이 {2, wideband} 또는 {4, wideband}인 경우, 연속적으로 인접한 PRB의 개수가 임계 값보다 큰 경우, wideband 값을 번들링 크기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2 또는 4를 번들링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제안 2>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는 지시자의 값이 ‘1’인 경우, 번들링 크기는 단말에게 설정된 자원 할당 타입에 따라 암시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TE에서 하향링크 자원의 할당은 타입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하향링크 자원의 설정을 위한 자원 할당 타입은 0, 1, 2로 정의될 수 있다.
자원 할당 타입 0은 BWP에 따라 RBG 단위로 자원이 할당되고, 자원 할당 타입 1은 BWP에 따른 연속된 RBG로 구성된 서브셋 내에서 하향링크 전송이 발생하는 RB들을 비트맵으로 단말에게 알려줌으로써 자원이 할당된다. 자원 할당 타입 2는 자원할당이 시작되는 RB 번호와 길이를 알려줌으로써 연속된 RB 자원이 할당되는데, 자원 할당 타입 2의 경우 다시 지역화된(localized) 전송과 분산된(distributed) 전송으로 나뉠 수 있다.
자원 할당 타입 2의 지역화된 전송의 경우, 연속적인 RB자원이 단말에게 그대로 할당되고, 분산된 전송의 경우, BWP에 따른 갭 크기(gap size)에 따라 각 RB는 주파수 영역에 골고루 분산되어 단말에게 할당된다.
NR 하향링크에서는 LTE에서의 자원 할당 타입 0 및 2의 지역화된 자원 할당이 지원될 수 있으며, 타입 2의 분산된 자원 할당도 지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 할당 타입에 기초하여 번들링 크기는 암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안 2-1>
제안 2에서 설명한 자원 할당 타입 0에서 RRC에 의해서 구성된 번들링 크기의 후보 값 집합이 {2,4} 및 {2, scheduled BW}인 경우, RBG 크기가 {1, 2}이면 번들링 크기는 작은 값으로 설정되고, RGB 크기가 {4,8,16} 이면 번들링 크기는 큰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후보 값 집합이 {4, 스케줄된 BW}인 경우, RBG의 크기가 {1,2,4}이면 번들링 크기는 작은 값으로 설정되고, RBG 크기가 {8, 16}이면 번들링 크기는 큰 값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연속적으로 할당된 RBG의 크기가 큰 경우, 인접한 주파수 영역에서 많은 수의 DMRS 심볼을 이용하여 높은 채널 추정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제안 2-1은 자원 할당 타입이 ‘0’인 경우, 번들링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원 할당 타입에 무관하게 번들링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활성화 BWP가 MAC 시그널링을 통해서 유동적으로 변하게 될 수 있는바, 단말의 RGB(활성화 BWP의 크기로 결정됨)는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번들링 크기도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제안 2-2>
자원 할당 타입이 타입 2이고, 분산된 전송이 DCI로 설정되면, RRC에 의해서 구성된 후보 값 집합 {2,4}, {2, 스케줄된 BW}, {4, 스케줄된 BW} 중 각 집합에서 작은 값을 번들링 크기로 설정한다.
자원 할당 타입 2의 분산된 전송은 BWP에 따라 주파수 영역에서 균일하게 분포된 비 연속적인 RB 자원이 할당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할당된 RB 별로 코히런트(coherent) 주파수를 벗어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번들링 크기를 크게 설정하는 것은 무의미할 수 있다.
자원 할당 타입 2에서 분산된 전송으로 설정되면 단말은 DCI에서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는 지시자(필드 값)을 무시하고 후보 값 집합에서 가장 작은 값을 번들링 크기로 가정하거나, 번들링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PRB 번들링을 오프하여 각 RB 별로 서로 다른 프리코더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제안 2-3>
자원 할당 타입이 타입 2이고, 지역화된 전송이 DCI로 설정되면, RRC에 의해서 구성된 후보 값 집합 {2,4}, {2, 스케줄된 BW}, {4, 스케줄된 BW} 중 각 집합에서 큰 값을 번들링 크기로 설정한다.
이 경우, 연속적으로 할당된 RB들로부터 인접한 주파수 영역에서 많은 수의 DMRS 심벌을 활용하여 제안 2-1에서와 같이 높은 채널 추정 성능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자원 할당 타입 2의 지역화된 전송의 경우, 제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번들링 크기를 설정하고, 그 이외의 자원 할당 타입에서는 제안 2에서 설명한 자원 할당 타입에 따른 번들링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제안 3>
제안 1 및 제안 2와는 다르게 DCI의 번들링 크기와 관련된 지시자가 ‘1’의 값을 갖는 경우, 단말에게 DCI로 설정된 다중 안테나 정보 중 계층(layer)의 수에 따라서 번들링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CI에 의해서 설정된 계층의 수가 2개 이하인 경우, RRC에 의해서 구성된 후보 값 집합들인 {2,4}, {2, 스케줄된 BW}, {4, 스케줄된 BW} 중 각 집합에서 큰 값이 번들링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DCI에 의해서 설정된 계층의 수가 3개 이상인 경우, 후보 값 집합들 중 각 집합에서 작은 값이 번들링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SNR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계층의 수가 많아진다는 것은 독립적인 송수신 경로의 개수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전제 송수신 경로의 수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송수신 경로가 증가하는 경우, 지연 확산(Delay spread)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송수신 채널의 주파수 선택성(selectivity)이 커질 수 있다.
채널의 주파수 선택성이 큰 경우, 작은 번들링 크기를 통해서 주파수 선택 이득(frequency selective gain)을 획득할 수 있다.
<제안 4>
DCI의 번들링 크기와 관련된 지시자가 ‘1’의 값을 갖는 경우, MU(Multi User)-MIMO로 스케줄링된 단말은 RRC에 의해서 구성된 후보 값 집합들 {2,4}, {2, 스케줄된 BW}, {4, 스케줄된 BW} 중 각 집합에서 작은 값을 번들링 크기로 설정한다.
임의의 단말에게 할당된 RB 중 SU로 할당된 RB와 MU-MIMO로 할당된 RB가 공존하는 경우, 큰 번들링 크기는 각 RB에 효율적인 프리코더를 적용함에 있어 방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케줄된 BW가 10 RB이고, MU-MIMO로 할당된 RB가 1 RB, SU로 할당된 RB가 9 RB인 경우, 번들링 크기가 스케줄된 BW인 10 RB로 설정되고, MU-MIMO로 할당된 1 RB를 위해 스케줄된 BW에서 전부 제로 Zero-Forcing 프리코더가 사용된다면, SU로 할당된 9 RB에 필요없는 빔포밍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2 또는 4와 같은 작은 번들링 크기가 설정된다면, 불필요하게 빔포밍이 수행되는 RB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MU-MIMO로 co-schedule되는 다른 단말의 DMRS 포트 정보 또는 CDM 방식을 이용하여 다중화되는 DMRS CDM 그룹 정보를 DCI로 수신한다.
단말은 수신한 DCI를 통해서 단말이 MU-MIMO로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인식(또는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안 4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서 번들링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MU-MIMO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DMRS 심볼의 특정 포트 또는 CDM 그룹의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MU-MIMO의 적용 여부뿐만 아니라 MU 페어링된 다른 단말의 총 계층 수 또는 자신에게 할당된 계층 수와 다른 단말에게 할당된 총 계층 수의 비에 따라 번들링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DMRS 심볼에서 레이크 매칭이 지시된 포트 수 또는 CDM 그룹 수가 일정한 값(임계 값) 이상(또는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번들링 크기를 결정하거나, 자신에게 할당된 DMRS 포트 수 또는 RE 수와 레이트 매칭이 지시된 포트 수 또는 RE 수의 비가 일정 값 이상(또는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번들링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방법들 중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통해서 DCI의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는 지시자의 값이 ‘1’일 때 번들링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안 1 내지 3의 방식에서 특정한 경우에 제안 4의 방식을 통해서 번들링 크기를 결정하되, 제안 4의 방법은 제안 1 내지 제안 3의 방법에 우선시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후보 값 집합이 3개의 값을 포함하는 경우, 제안 1 내지 3에서의 임계 값을 두 개로 설정하여 번들링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안 4는 MU-MIMO로 스케줄된 단말은 3개의 후보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번들링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제안 1 내지 4에서 RBG 크기에 따라 기준 RB인 임계 값을 결정하거나, RBG 크기에 따라 PRG가 결정되는 방법에서 RBG 대신 (CSI 계산에서 사용되는)서브밴드 크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서브 밴드 크기에 따라 기준 RB인 임계 값이 결정되거나 PRG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RGB의 후보 값과 서브 밴드의 후보 값은 서로 다르므로 RBG 값들은 서브 밴드 값들로 적절히 대체될 수 있다.
RGB 값과 서브 밴드 값은 모두 활성화 BWP의 BW로 결정되므로 RBG 값을 서브 밴드 값으로 대체할 때 RBG 값에 해당하는 BWP의 BW를 계산하고, 해당 BW에 의해서 결정되는 서브 밴드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제안 5>
스케줄링 DCI를 통해서 자원 할당 타입 1의 분산된 전송이 설정되는 경우, 연속적인 VRB(Virtual Resource Block)는 RB pair 단위로 인터리빙(interleaving)되어 PRB 도메인에 분산 배치된다.
이후, RB pair 내에서도 각 RB는 활성화 BWP의 BW 크기 별로 규정되는 갭 크기(gap size) 간격으로 배치된다.
VRB이 분산 배치되는 경우, VRB가 분산되는 패턴 또는 인터리빙 방식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인터리빙의 단위에 따라 번들링 크기를 암시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첫 번째로, RB 단위로 VRB가 인터리빙되는 경우, RRC에 의해서 구성된 후보 값 집합에서 작은 값이 번들링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보 값 집합이 {2,4}, {2, 스케줄된 BW}인 경우, 번들링 크기는 ‘2’로 결정되고, {4, 스케줄된 BW}인 경우, 번들링 크기는 ‘4’로 결정될 수 있다.
임의의 단말을 위해 할당된 RB 개수가 많아지면 할당된 VRB는 인터리빙을 거치더라도 PRB 도메인에서 인접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최소 2 또는 4의 번들링 크기는 인접한 RB에서 번들링 크기가 ‘1’인 경우보다 많은 수의 DMRS 심벌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채널 추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만약, 후보 값 집합이 {4,scheduled BW}인 경우, 작은 값인 ‘4’를 번들링 크기로 선택하는 것이 비 효율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네트워크는 DCI의 번들링 크기를 나타내는 지시자(또는 필드)를 ‘0’으로 설정하여 번들링 크기를 ‘2’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분산된 자원 할당 타입 1(distributed RA type 1)에서 RB 단위로 VRB를 인터리빙 하는 경우에 번들링 크기는 항상 2로 설정될 수 있다.
두 번째로, RBG 단위로 VRB가 인터리빙되는 경우,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소한 RBG 단위의 PRG 크기가 고려되어야 하므로 PRG 크기는 구성된 RBG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RBG 단위로 인터리빙이 수행되더라도 특정 단말에게 할당된 RBG의 개수가 많은 경우, 할당된 RBG 간에 인접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활성화 BWP BW의 크기에 따라 또는 인터리빙 방식에 따라 실질적으로 단말에게 할당되는 RBG 개수에 임계 값을 설정하여 할당되는 RBG 개수가 임계 값을 초과하면 PRG 크기는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47
이때, 수학식 3에서 N은 ‘2’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할당되는 RBG 개수가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PRG 크기는 구성된 RBG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안 2-1과 같이 PRG 크기는 RGB 크기에 기초하여 암시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스케줄링 DCI를 통해서 분산된 자원 할당 타입 1이 설정되고 RB 단위로 VRB를 PRB로 인터리빙 하는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임의의 단말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RB 개수가 증가하면 해당 RB들이 인터리버(interleaver)를 통해 인터리빙되더라도 실제 PRB 도메인에서 인접할 확률이 커진다.
이 경우, 활성화 BWP BW의 크기에 따라 또는 인터리빙 방식에 따라 할당되는 RB의 개수에 임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만약, 할당되는 RB의 개수가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DCI의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또는 1bit 필드)가 “1”이면 RRC에 의해서 구성된 후보 값 집합에서 작은 값을 번들링 크기로 결정한다.
하지만, 할당된 RB의 개수가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예외적으로 번들링 크기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PRG=1이 후보 값에 포함되는 경우, 번들링 크기가 “1”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또는 1bit 필드)의 값과 상관 없이 번들링을 오프하여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즉, PRG= 1 RB).
<제안 6>
제안 1내지 제안 6에서 DCI의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또는, 1bit 필드)를 위해 RRC에 의해 구성된 후보 값 집합들 {2, 스케줄된 BW}, {4, 스케줄된 BW}에서 스케줄된 BW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RB의 개수가 2 또는 4보다 작은 경우, 단말과 기지국은 2 또는 4 보다 스케줄링된 BW가 더 작다고 가정하여 제안 1 내지 제안 5의 방식을 이용하여 번들링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6을 참고하면, 해당 단말은 상술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해당 단말은 제안 1 내지 제안 6에서 설명된 방법을 지원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할 수 있다(S6010).
이때, DCI는 제안 1 내지 6에서 설명한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또는 1 bi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를 수신할 수 있다(S6020).
이 때,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번들링 크기(bundling size)는 특정 수의 물리 자원 블록 또는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 영역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수의 물리 자원 블록을 나타내는 값은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위해 미리 설정된 후보 값 집합(candidate value set)에 포함될 수 있다.
후보 값 집합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으며, 각각의 후보 값 집합은 제안 1 내지 6에서 설명한 후보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번들링 크기는 지시자 또는 1bit 필드의 값에 따라 제안 1 내지 6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서 암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시자 또는 1bit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RRC에 의해서 구성된 값에 의해서 번들링 크기는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지시자 또는 1bit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연속적인 PRB의 개수와 임계 값을 비교결과에 따라 번들링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속적인 PRB의 계수가 임계 값보다 큰 경우, 후보 값 집합에 포함된 값 중 큰 값이 번들링 크기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나머지 값이 번들링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임계 값은 앞의 제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에 대한 대역폭(Bandwidth)의 자원 블록 개수(Resource Block)를 2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단말은 아래의 도 8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RF 유닛 및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RF 유닛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하고,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DCI는 제안 1 내지 6에서 설명한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또는 1 bi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번들링 크기(bundling size)는 특정 수의 물리 자원 블록 또는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 영역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수의 물리 자원 블록을 나타내는 값은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위해 미리 설정된 후보 값 집합(candidate value set)에 포함될 수 있다.
후보 값 집합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으며, 각각의 후보 값 집합은 제안 1 내지 6에서 설명한 후보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번들링 크기는 지시자 또는 1bit 필드의 값에 따라 제안 1 내지 6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서 암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시자 또는 1bit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RRC에 의해서 구성된 값에 의해서 번들링 크기는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지시자 또는 1bit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연속적인 PRB의 개수와 임계 값을 비교결과에 따라 번들링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속적인 PRB의 계수가 임계 값보다 큰 경우, 후보 값 집합에 포함된 값 중 큰 값이 번들링 크기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나머지 값이 번들링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임계 값은 앞의 제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에 대한 대역폭(Bandwidth)의 자원 블록 개수(Resource Block)를 2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7을 참고하면, 해당 기지국은 상술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해당 기지국은 제안 1 내지 제안 6에서 설명된 방법을 지원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기지국은 단말로 단말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010).
이때, DCI는 제안 1 내지 6에서 설명한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또는 1 bi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기지국은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를 전송할 수 있다(S7020).
이때, DCI는 제안 1 내지 6에서 설명한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또는 1 bi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번들링 크기(bundling size)는 특정 수의 물리 자원 블록 또는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 영역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수의 물리 자원 블록을 나타내는 값은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위해 미리 설정된 후보 값 집합(candidate value set)에 포함될 수 있다.
후보 값 집합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으며, 각각의 후보 값 집합은 제안 1 내지 6에서 설명한 후보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번들링 크기는 지시자 또는 1bit 필드의 값에 따라 제안 1 내지 6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서 암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시자 또는 1bit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RRC에 의해서 구성된 값에 의해서 번들링 크기는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지시자 또는 1bit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연속적인 PRB의 개수와 임계 값을 비교결과에 따라 번들링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속적인 PRB의 계수가 임계 값보다 큰 경우, 후보 값 집합에 포함된 값 중 큰 값이 번들링 크기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나머지 값이 번들링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임계 값은 앞의 제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에 대한 대역폭(Bandwidth)의 자원 블록 개수(Resource Block)를 2로 나눈 값일 수 있다.
기지국은 아래의 도 8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RF 유닛 및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RF 유닛이 단말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DCI는 제안 1 내지 6에서 설명한 번들링 크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또는 1 bi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번들링 크기(bundling size)는 특정 수의 물리 자원 블록 또는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 영역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수의 물리 자원 블록을 나타내는 값은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위해 미리 설정된 후보 값 집합(candidate value set)에 포함될 수 있다.
후보 값 집합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으며, 각각의 후보 값 집합은 제안 1 내지 6에서 설명한 후보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번들링 크기는 지시자 또는 1bit 필드의 값에 따라 제안 1 내지 6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서 암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시자 또는 1bit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RRC에 의해서 구성된 값에 의해서 번들링 크기는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지시자 또는 1bit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연속적인 PRB의 개수와 임계 값을 비교결과에 따라 번들링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속적인 PRB의 계수가 임계 값보다 큰 경우, 후보 값 집합에 포함된 값 중 큰 값이 번들링 크기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나머지 값이 번들링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임계 값은 앞의 제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에 대한 대역폭(Bandwidth)의 자원 블록 개수(Resource Block)를 2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 일반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또는 네트워크)(810)와 단말(820)을 포함한다.
기지국(810)는 프로세서(processor, 811), 메모리(memory, 812) 및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 81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811)는 앞서 도 1 내지 도 7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유/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8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812)는 프로세서(8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8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 모듈(813)은 프로세서(811)와 연결되어, 유/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상기 통신 모듈(813)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부(radio frequency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820)은 프로세서(821), 메모리(822) 및 통신 모듈(또는 RF부)(82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821)는 앞서 도 1 내지 도 7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8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822)는 프로세서(82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82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 모듈(823)는 프로세서(82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메모리(812, 822)는 프로세서(811, 82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811, 82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810) 및/또는 단말(820)은 한 개의 안테나(single antenna) 또는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특히, 도 9에서는 앞서 도 8의 단말을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프로세서(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910), RF 모듈(RF module)(또는 RF 유닛)(935), 파워 관리 모듈(power management module)(905), 안테나(antenna)(940), 배터리(battery)(955), 디스플레이(display)(915), 키패드(keypad)(920), 메모리(memory)(930), 심카드(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925)(이 구성은 선택적임), 스피커(speaker)(945) 및 마이크로폰(microphone)(9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또한 단일의 안테나 또는 다중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앞서 도 1 내지 도 7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프로세서(9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930)는 프로세서(91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9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930)는 프로세서(9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91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키패드(920)의 버튼을 누르거나(혹은 터치하거나) 또는 마이크로폰(950)를 이용한 음성 구동(voice activation)에 의해 전화 번호 등과 같은 명령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910)는 이러한 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거는 등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구동 상의 데이터(operational data)는 심카드(925) 또는 메모리(93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10)는 사용자가 인지하고 또한 편의를 위해 명령 정보 또는 구동 정보를 디스플레이(915)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RF 모듈(935)는 프로세서(910)에 연결되어, RF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910)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를 구성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명령 정보를 RF 모듈(935)에 전달한다. RF 모듈(935)은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하여 수신기(receiver) 및 전송기(transmitter)로 구성된다. 안테나(940)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 RF 모듈(935)은 프로세서(910)에 의해 처리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기저 대역으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처리된 신호는 스피커(945)를 통해 출력되는 가청 또는 가독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RF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는 RF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전송 경로에서, 도 8 및 도 9에서 기술된 프로세서는 전송될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송신기(1010)에 제공한다.
송신기(1010) 내에서, 아날로그 출력 신호는 디지털-대-아날로그 변환(ADC)에 의해 야기되는 이미지들을 제거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LPF)(1011)에 의해 필터링되고, 상향 변환기(Mixer, 1012)에 의해 기저대역으로부터 RF로 상향 변환되고, 가변이득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VGA)(1013)에 의해 증폭되며, 증폭된 신호는 필터(1014)에 의해 필터링되고,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PA)(1015)에 의해 추가로 증폭되며, 듀플렉서(들)(1050)/안테나 스위치(들)(1060)을 통해 라우팅되고, 안테나(1070)을 통해 전송된다.
또한, 수신 경로에서, 안테나(1070)은 외부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들을 제공하며, 이 신호들은 안테나 스위치(들)(1060)/듀플렉서들 (1050)을 통해 라우팅되고, 수신기(1020)으로 제공된다.
수신기(1020)내에서, 수신된 신호들은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1023)에 의해 증폭되며, 대역통과 필터(1024)에 의해 필터링되고, 하향 변환기(Mixer,1025)에 의해 RF로부터 기저대역으로 하향 변환된다.
상기 하향 변환된 신호는 저역 통과 필터(LPF,1026)에 의해 필터링되며, VGA(1027)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이는 도 8 및 도 9에서 기술된 프로세서에 제공된다.
또한, 로컬 오실레이터 (local oscillator, LO) 발생기(1040)는 전송 및 수신 LO 신호들을 발생 및 상향 변환기(1012) 및 하향 변환기(1025)에 각각 제공한다.
또한,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PLL)(1030)은 적절한 주파수들에서 전송 및 수신 LO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들을 LO 발생기(1040)에 제공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회로들은 도 10에 도시된 구성과 다르게 배열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RF 모듈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는 RF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다.
TDD 시스템에서의 RF 모듈의 송신기(1110) 및 수신기(1120)은 FDD 시스템에서의 RF 모듈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하, TDD 시스템의 RF 모듈은 FDD 시스템의 RF 모듈과 차이가 나는 구조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하고,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18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송신기의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PA)(1115)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밴드 선택 스위치(Band Select Switch,1150), 밴드 통과 필터(BPF,1160) 및 안테나 스위치(들)(1170)을 통해 라우팅되고, 안테나(1180)을 통해 전송된다.
또한, 수신 경로에서, 안테나(1180)은 외부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들을 제공하며, 이 신호들은 안테나 스위치(들)(1170), 밴드 통과 필터(1160) 및 밴드 선택 스위치(1150)을 통해 라우팅되고, 수신기(1120)으로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3GPP LTE/LTE-A 시스템, 5G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810: 기지국 820: 단말
811: 프로세서 821: 프로세서
812: 메모리 822: 메모리
813: RF 유닛 823: RF 유닛

Claims (1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번들링 크기(bundling size)를 설정하기 위한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고; 및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상기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지시자의 값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번들링 크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값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번들링 크기 집합(bundling size set)들을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복수의 번들링 크기 집합들 중 하나의 후보 값을 포함하는 특정 번들링 크기 집합이 상기 번들링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집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특정 번들링 크기 집합에 포함된 후보 값으로 결정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의 값이 ‘1’ 인 경우,
    상기 복수의 번들링 크기 집합들 중 두 개의 후보 값을 포함하는 번들링 크기 집합들이 상기 번들링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집합으로 구성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링 크기는 주파수 축으로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들의 개수와 임계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두 개의 후보 값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들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두 개의 후보 값 중 큰 값으로 설정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들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두 개의 후보 값 중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에 대한 대역폭(Bandwidth)의 자원 블록 개수(Resource Block)를 2로 나눈 값인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번들링 크기(bundling size)를 설정하기 위한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고; 및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상기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상기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지시자의 값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되,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번들링 크기(bundling size)를 설정하기 위한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상기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를 수신하되,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지시자의 값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번들링 크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값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번들링 크기 집합(bundling size set)들을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복수의 번들링 크기 집합들 중 하나의 후보 값을 포함하는 특정 번들링 크기 집합이 상기 번들링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집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특정 번들링 크기 집합에 포함된 후보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의 값이 ‘1’ 인 경우,
    상기 복수의 번들링 크기 집합들 중 두 개의 후보 값을 포함하는 번들링 크기 집합들이 상기 번들링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집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두 개의 후보 값 중 주파수 축으로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따라 하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링 크기는 주파수 축으로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들의 개수와 임계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두 개의 후보 값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들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두 개의 후보 값 중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물리 자원 블록들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번들링 크기는 상기 두 개의 후보 값 중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에 대한 대역폭(Bandwidth)의 자원 블록 개수(Resource Block)를 2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80137422A 2017-11-09 2018-11-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44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84106P 2017-11-09 2017-11-09
US62/584,106 2017-11-09
US201762585532P 2017-11-13 2017-11-13
US62/585,532 2017-11-13
US201762587505P 2017-11-17 2017-11-17
US62/587,505 2017-11-17
US201762590393P 2017-11-24 2017-11-24
US62/590,393 2017-11-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079A Division KR102135335B1 (ko) 2017-11-09 2019-11-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127A true KR20190053127A (ko) 2019-05-17
KR102044539B1 KR102044539B1 (ko) 2019-11-13

Family

ID=664384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422A KR102044539B1 (ko) 2017-11-09 2018-11-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190142079A KR102135335B1 (ko) 2017-11-09 2019-11-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079A KR102135335B1 (ko) 2017-11-09 2019-11-0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10433178B2 (ko)
EP (1) EP3512149B1 (ko)
JP (1) JP6993415B2 (ko)
KR (2) KR102044539B1 (ko)
CN (1) CN110603779B (ko)
AU (1) AU2018364268B2 (ko)
BR (1) BR112019014134B1 (ko)
CA (1) CA3080314C (ko)
CL (1) CL2019001444A1 (ko)
MX (1) MX2019006126A (ko)
PH (1) PH12019501297A1 (ko)
RU (1) RU2745386C1 (ko)
WO (1) WO20190938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1744B (zh) * 2017-02-16 2022-05-24 高通股份有限公司 确定在平滑预编码下的dmrs平均延迟和延迟扩展的方法
CN110113143B (zh) * 2017-04-28 2020-1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参数配置方法和装置
WO2019093823A1 (ko) * 2017-11-09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9818711B (zh) * 2017-11-21 2021-01-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bundling大小确定方法、用户终端和网络侧设备
US11050598B2 (en) * 2017-11-28 2021-06-29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information signaling in a 5G network
US11101950B2 (en) 2018-01-12 2021-08-24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bundling in slot aggregation and slot format considerations for new radio
US11096043B2 (en) 2018-02-16 2021-08-17 Apple Inc.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mat for ultra-reliabl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US10912071B2 (en) * 2018-02-16 2021-02-02 Apple Inc. Reliability mechanisms for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transmissions in new radio (NR) systems
US11778623B2 (en) * 2018-02-16 2023-10-03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resource block bundle size selection
US10659983B2 (en) * 2018-03-09 2020-05-19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Beam failure detection and recovery
US11510192B2 (en) 2019-05-02 2022-11-22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channel resource grouping and spatial relation configuration
US11533155B2 (en) * 2019-06-07 2022-12-20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bundling
CN112566251A (zh) * 2019-09-26 2021-03-26 苹果公司 用于多trp传输的下行链路控制
US11863373B2 (en) * 2019-10-03 2024-01-02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CN112804757B (zh) * 2020-12-30 2023-05-02 联想未来通信科技(重庆)有限公司 一种频域资源分配类型的切换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5915451A (zh) * 2021-09-27 2023-04-04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捆绑尺寸的确定方法及通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619A (ko) * 2009-11-06 2012-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원블록 번들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291940T4 (en) * 2008-02-06 2018-08-13 Ericsson Telefon Ab L M PROCEDURES AND DEVICES RELATING TO DOWNLINK ALLOCATIONS
EP2378698B1 (en) * 2010-04-14 2017-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bundling resource block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31828B2 (en) * 2011-10-11 2016-05-03 Lg Electronics Inc. Bundling scheduling method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2635082A1 (en) * 2012-02-29 2013-09-04 Panasonic Corporation Dynamic subframe bundling
WO2014035137A1 (ko) * 2012-08-30 201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955385B2 (en) * 2015-07-31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Bundle size determination for narrowband communication
WO2018097582A1 (en) * 2016-11-22 2018-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estimation and data deco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77862B2 (en) * 2017-10-26 2022-03-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configured grant
WO2019093823A1 (ko) 2017-11-09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619A (ko) * 2009-11-06 2012-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원블록 번들링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746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14134A2 (pt) 2020-06-16
CN110603779A (zh) 2019-12-20
US10609566B2 (en) 2020-03-31
CA3080314A1 (en) 2019-05-16
EP3512149B1 (en) 2021-07-14
EP3512149A1 (en) 2019-07-17
US20190373480A1 (en) 2019-12-05
BR112019014134B1 (pt) 2024-02-27
CL2019001444A1 (es) 2019-08-16
KR102135335B1 (ko) 2020-07-17
CN110603779B (zh) 2021-11-23
PH12019501297A1 (en) 2019-12-02
US20190174323A1 (en) 2019-06-06
AU2018364268A1 (en) 2019-06-13
WO2019093823A1 (ko) 2019-05-16
RU2745386C1 (ru) 2021-03-24
AU2018364268B2 (en) 2021-03-25
US10433178B2 (en) 2019-10-01
US20200187012A1 (en) 2020-06-11
KR20190129021A (ko) 2019-11-19
JP6993415B2 (ja) 2022-01-13
EP3512149A4 (en) 2020-05-27
JP2020505807A (ja) 2020-02-20
US11115827B2 (en) 2021-09-07
MX2019006126A (es) 2019-08-29
KR102044539B1 (ko) 2019-11-13
CA3080314C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53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4433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5887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KR10198539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7684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1041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부분에 할당되는 자원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2368969A (zh) 设备对设备(d2d)信道测量技术
CN116056223A (zh) 用于支持无线通信系统中的多个服务的方法和设备
KR2019001646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089267A1 (en) Antenna selection for user equipment (ue) power saving during pdcch monitoring
CN113196685A (zh) 多层波束成形通信中测量报告反馈的系数确定
KR20220090514A (ko) 구성된 승인 채널 점유 시간 공유 절차
CN116686345A (zh) 用于热缓解和功率节省的技术
CN116491184A (zh) 用于对探测参考信号资源进行映射的技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