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846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846B1
KR102076846B1 KR1020190047473A KR20190047473A KR102076846B1 KR 102076846 B1 KR102076846 B1 KR 102076846B1 KR 1020190047473 A KR1020190047473 A KR 1020190047473A KR 20190047473 A KR20190047473 A KR 20190047473A KR 102076846 B1 KR102076846 B1 KR 102076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i
resource
resource block
specific
ofdm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726A (ko
Inventor
박종현
강지원
김기준
박해욱
윤석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4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6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자원 블록의 수신과 관련된 제 1 공간(spatial) 준-공동 위치(Quasi-Co location, QCL) 관련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 블록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원 블록과 상기 CSI-RS가 동일한 심볼에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와 상기 CSI-RS의 수신을 위해 설정된 제 2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는 동일하게 설정되며; 상기 제 2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CSI-RS를 수신하기 위한 빔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빔을 통해 상기 CSI-RS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명세서는 Rx chain이 적게 구현된 단말이 다수의 CSI-RS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현재에는 폭발적인 트래픽의 증가로 인하여 자원의 부족 현상이 야기되고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요구 조건은 크게 폭발적인 데이터 트래픽의 수용, 사용자 당 전송률의 획기적인 증가, 대폭 증가된 연결 디바이스 개수의 수용, 매우 낮은 단대단 지연(End-to-End Latency), 고에너지 효율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대규모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이중(In-band Full Duplex), 비직교 다중접속(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초광대역(Super wideband) 지원, 단말 네트워킹(Device Networking) 등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CSI-RS와 특정 자원 블록 간에 동일한 심볼에서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CSI-RS와 특정 자원 블록 간에 FDM되는 경우, 발생하는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SI-RS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자원 블록의 수신과 관련된 제 1 공간(spatial) 준-공동 위치(Quasi-Co location, QCL) 관련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 블록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원 블록과 상기 CSI-RS가 동일한 심볼에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와 상기 CSI-RS의 수신을 위해 설정된 제 2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는 동일하게 설정되며; 상기 제 2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CSI-RS를 수신하기 위한 빔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빔을 통해 상기 CSI-RS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자원 블록과 상기 CSI-RS는 상기 동일한 심볼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CSI-RS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BM)를 위해 설정된 CSI-RS 자원(resource)에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CSI-RS는 특정 포트 수 이하의 CSI-R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특정 포트 수의 값은 radio resource control(RRC) 시그널링(signaling)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자원 블록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또는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자원 블록이 상기 CORESET인 경우, 상기 제 1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는 상기 자원 블록의 특정 자원에 대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자원 블록의 특정 자원은 상기 CORESET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과 관련된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자원 블록과 상기 CSI-RS를 동일한 심볼에 설정하는 단계; 상기 CSI-RS에 대한 공간(spatial) 준-공동 위치(Quasi-Co location, QCL) 관련 파라미터를 상기 자원 블록에 대한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 블록 및 상기 CSI-RS를 상기 설정된 동일한 심볼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에 따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모듈;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자원 블록의 수신과 관련된 제 1 공간(spatial) 준-공동 위치(Quasi-Co location, QCL) 관련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 블록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자원 블록과 상기 CSI-RS가 동일한 심볼에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와 상기 CSI-RS의 수신을 위해 설정된 제 2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는 동일하게 설정되며; 상기 제 2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CSI-RS를 수신하기 위한 빔을 설정하며; 및 상기 설정된 빔을 통해 상기 CSI-RS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모듈;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자원 블록과 상기 CSI-RS를 동일한 심볼에 설정하며; 상기 CSI-RS에 대한 공간(spatial) 준-공동 위치(Quasi-Co location, QCL) 관련 파라미터를 상기 자원 블록에 대한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와 동일하게 설정하며; 및 상기 자원 블록 및 상기 CSI-RS를 상기 설정된 동일한 심볼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에 따라 단말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Rx chain이 적게 구현된 단말이 다수의 CSI-RS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CSI-RS와 특정 자원 블록 간의 FDM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랜스시버 유닛 모델을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XRU 및 물리적 안테나 관점에서 하이브리드 빔포밍 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랜시버 유닛 별 서비스 영역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CSI-RS의 수신과 관련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CSI-RS의 전송과 관련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CSI-RS의 수신과 관련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또 다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RF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RF 모듈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gNB(generation NB)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NR(New RAT)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정의
eLTE eNB: eLTE eNB는 EPC 및 NGC에 대한 연결을 지원하는 eNB의 진화(evolution)이다.
gNB: NGC와의 연결뿐만 아니라 NR을 지원하는 노드.
새로운 RAN: NR 또는 E-UTRA를 지원하거나 NGC와 상호 작용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종단 간 범위와 함께 특정 요구 사항을 요구하는 특정 시장 시나리오에 대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operator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네트워크 기능은 잘 정의된 외부 인터페이스와 잘 정의된 기능적 동작을 가진 네트워크 인프라 내에서의 논리적 노드.
NG-C: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2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NG-U: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3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비 독립형(Non-standalone) NR: gNB가 LTE eNB를 EP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거나 또는 eLTE eNB를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는 배치 구성.
비 독립형 E-UTRA: eLTE eNB가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gNB를 요구하는 배치 구성.
사용자 평면 게이트웨이: NG-U 인터페이스의 종단점.
시스템 일반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G-RAN은 NG-RA 사용자 평면(새로운 AS sublayer/PDCP/RLC/MAC/PHY) 및 UE(User Equipment)에 대한 제어 평면(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gNB들로 구성된다.
상기 g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gNB는 또한,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NGC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gNB는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 (User Plane Function)로 연결된다.
NR(New Rat) 뉴머롤로지(Numerology) 및 프레임(frame) 구조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들이 지원될 수 있다. 여기에서, 뉴머롤로지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CP(Cyclic Prefix) 오버헤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 서브캐리어 간격을 정수 N(또는,
Figure 112019041928806-pat00001
)으로 스케일링(scaling) 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매우 높은 반송파 주파수에서 매우 낮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가정될지라도, 이용되는 뉴머롤로지는 주파수 대역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 구조들이 지원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뉴머롤로지 및 프레임 구조를 살펴본다.
*NR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다수의 OFDM 뉴머롤로지들은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9041928806-pat00002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와 관련하여, 시간 영역의 다양한 필드의 크기는
Figure 112019041928806-pat00003
의 시간 단위의 배수로 표현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19041928806-pat00004
이고,
Figure 112019041928806-pat00005
이다. 하향링크(downlink) 및 상향링크(uplink) 전송은
Figure 112019041928806-pat00006
의 구간을 가지는 무선 프레임(radio frame)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무선 프레임은 각각
Figure 112019041928806-pat00007
의 구간을 가지는 10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향링크에 대한 한 세트의 프레임들 및 하향링크에 대한 한 세트의 프레임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말(User Equipment, UE)로 부터의 상향링크 프레임 번호 i의 전송은 해당 단말에서의 해당 하향링크 프레임의 시작보다
Figure 112019041928806-pat00008
이전에 시작해야 한다.
뉴머롤로지
Figure 112019041928806-pat00009
에 대하여, 슬롯(slot)들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Figure 112019041928806-pat00010
의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지고, 무선 프레임 내에서
Figure 112019041928806-pat00011
의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슬롯은
Figure 112019041928806-pat00012
의 연속하는 OFDM 심볼들로 구성되고,
Figure 112019041928806-pat00013
는, 이용되는 뉴머롤로지 및 슬롯 설정(slot configuration)에 따라 결정된다. 서브프레임에서 슬롯
Figure 112019041928806-pat00014
의 시작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OFDM 심볼
Figure 112019041928806-pat00015
의 시작과 시간적으로 정렬된다.
모든 단말이 동시에 송신 및 수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는 하향링크 슬롯(downlink slot) 또는 상향링크 슬롯(uplink slot)의 모든 OFDM 심볼들이 이용될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2는 뉴머롤로지
Figure 112019041928806-pat00016
에서의 일반(normal) CP에 대한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를 나타내고, 표 3은 뉴머롤로지
Figure 112019041928806-pat00017
에서의 확장(extended) CP에 대한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9041928806-pat00018
Figure 112019041928806-pat00019
NR 물리 자원(NR Physical Resource)
NR 시스템에서의 물리 자원(physical resource)과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캐리어 파트(carrier part)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상기 물리 자원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안테나 포트와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이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의 다른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의 광범위 특성(large-scale property)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경우, 2 개의 안테나 포트는 QC/QCL(quasi co-located 혹은 quasi co-location)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광범위 특성은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주파수 쉬프트(Frequency shift), 평균 수신 파워(Average received power), 수신 타이밍(Received Tim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자원 그리드가 주파수 영역 상으로
Figure 112019041928806-pat00020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 x 2u OFDM 심볼들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R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신호(transmitted signal)는
Figure 112019041928806-pat00021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원 그리드들 및
Figure 112019041928806-pat00022
의 OFDM 심볼들에 의해 설명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19041928806-pat00023
이다. 상기
Figure 112019041928806-pat00024
는 최대 전송 대역폭을 나타내고, 이는, 뉴머롤로지들뿐만 아니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에도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3과 같이, 뉴머롤로지
Figure 112019041928806-pat00025
및 안테나 포트 p 별로 하나의 자원 그리드가 설정될 수 있다.
뉴머롤로지
Figure 112019041928806-pat00026
및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자원 그리드의 각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로 지칭되며, 인덱스 쌍
Figure 112019041928806-pat00027
에 의해 고유적으로 식별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19041928806-pat00028
는 주파수 영역 상의 인덱스이고,
Figure 112019041928806-pat00029
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심볼의 위치를 지칭한다. 슬롯에서 자원 요소를 지칭할 때에는, 인덱스 쌍
Figure 112019041928806-pat00030
이 이용된다. 여기에서,
Figure 112019041928806-pat00031
이다.
뉴머롤로지
Figure 112019041928806-pat00032
및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자원 요소
Figure 112019041928806-pat00033
는 복소 값(complex value)
Figure 112019041928806-pat00034
에 해당한다. 혼동(confusion)될 위험이 없는 경우 혹은 특정 안테나 포트 또는 뉴머롤로지가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덱스들 p 및
Figure 112019041928806-pat00035
는 드롭(drop)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복소 값은
Figure 112019041928806-pat00036
또는
Figure 112019041928806-pat00037
이 될 수 있다.
또한,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은 주파수 영역 상의
Figure 112019041928806-pat00038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로 정의된다. 주파수 영역 상에서, 물리 자원 블록들은 0부터
Figure 112019041928806-pat00039
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이 때, 주파수 영역 상의 물리 자원 블록 번호(physical resource block number)
Figure 112019041928806-pat00040
와 자원 요소들
Figure 112019041928806-pat00041
간의 관계는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9041928806-pat00042
또한, 캐리어 파트(carrier part)와 관련하여, 단말은 자원 그리드의 서브셋(subset)만을 이용하여 수신 또는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수신 또는 전송하도록 설정된 자원 블록의 집합(set)은 주파수 영역 상에서 0부터
Figure 112019041928806-pat00043
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자기 완비(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기 완비(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레이턴시(latency)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5세대(5G: 5 generation) new RAT에서는 도 4와 같은 자기 완비(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를 고려하고 있다.
도 4에서 빗금친 영역(심볼 인덱스 0)은 하향링크(DL) 제어 영역을 나타내고, 검정색 부분(심볼 인덱스 13)은 상향링크(UL) 제어 영역을 나타낸다. 음영 표시가 없는 영역은 D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특징은 한 개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DL 전송과 UL 전송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서브프레임 내에서 DL 데이터가 전송되고, UL ACK/NACK도 수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전송 에러 발생시에 데이터 재전송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게 되며, 이로 인해 최종 데이터 전달의 latency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기지국과 UE가 송신 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 과정 또는 수신모드에서 송신모드로 전환 과정을 위한 시간 갭(time gap)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DL에서 UL로 전환되는 시점의 일부 OFDM 심볼이 가드 구간(GP: guard period)으로 설정되게 된다.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mmW)에서는 파장이 짧아져서 동일 면적에 다수개의 안테나 요소(antenna element)의 설치가 가능하다. 즉, 30GHz 대역에서 파장은 1cm로써 4 X 4 (4 by 4) cm의 패널(panel)에 0.5 람다(lambda)(즉, 파장) 간격으로 2-차원 배열 형태로 총 64(8x8)의 antenna element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mmW에서는 다수개의 antenna element를 사용하여 빔포밍(BF: beamforming) 이득을 높여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거나, 수율(throughput)을 높이려고 한다.
이 경우에 antenna element 별로 전송 파워 및 위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트랜시버 유닛(TXRU: Transceiver Unit)을 가지면 주파수 자원 별로 독립적인 빔포밍이 가능하다. 그러나 100여개의 antenna element 모두에 TXRU를 설치하기에는 가격측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TXRU에 다수개의 antenna element를 매핑하고 아날로그 위상 시프터(analog phase shifter)로 빔(beam)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analog BF 방식은 전 대역에 있어서 하나의 beam 방향만을 만들 수 있어 주파수 선택적 BF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디지털(Digital) BF와 analog BF의 중간 형태로 Q개의 antenna element보다 적은 개수인 B개의 TXRU를 갖는 하이브리드 빔포밍(hybrid BF)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B개의 TXRU와 Q개의 antenna element의 연결 방식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beam의 방향은 B개 이하로 제한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TXRU와 antenna element의 연결 방식의 대표적인 일례들을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랜스시버 유닛 모델을 예시한다.
TXRU 가상화(virtualization) 모델은 TXRU의 출력 신호와 antenna elements의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낸다. antenna element와 TXRU와의 상관 관계에 따라 도 5(a)와 같이 TXRU 가상화(virtualization) 모델 옵션-1: 서브-배열 분할 모델(sub-array partition model)과 도 5(b)와 같이 TXRU 가상화 모델 옵션-2: 전역 연결(full-connection) 모델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서브-배열 분할 모델(sub-array partition model)의 경우, antenna element는 다중의 안테나 요소 그룹으로 분할되고, 각 TXRU는 그룹 중 하나와 연결된다. 이 경우에 antenna element는 하나의 TXRU에만 연결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전역 연결(full-connection) 모델의 경우, 다중의 TXRU의 신호가 결합되어 단일의 안테나 요소(또는 안테나 요소의 배열)에 전달된다. 즉, TXRU가 모든 안테나 element에 연결된 방식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안테나 element는 모든 TXRU에 연결된다.
도 5에서 q는 하나의 열(column) 내 M개의 같은 편파(co-polarized)를 가지는 안테나 요소들의 송신 신호 벡터이다. w는 광대역 TXRU 가상화 가중치 벡터(wideband TXRU virtualization weight vector)이며, W는 아날로그 위상 시프터(analog phase shifter)에 의해 곱해지는 위상 벡터를 나타낸다. 즉 W에 의해 analog beamforming의 방향이 결정된다. x는 M_TXRU 개의 TXRU들의 신호 벡터이다.
여기서, 안테나 포트와 TXRU들과의 매핑은 일대일(1-to-1) 또는 일대다(1-to-many)일 수 있다.
도 5에서 TXRU와 안테나 요소 간의 매핑(TXRU-to-element mapping)은 하나의 예시를 보여주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드웨어 관점에서 이 밖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TXRU와 안테나 요소 간의 매핑에도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New RAT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안테나가 사용되는 경우, 디지털 빔포밍과 아날로그 빔포밍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빔포밍 기법이 대두되고 있다. 이때, 아날로그 빔포밍(또는 RF(radio frequency) 빔포밍)은 RF 단에서 프리코딩(또는 컴바이닝)을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하이브리드 빔포밍에서 베이스밴드(Baseband) 단과 RF 단은 각각 프리코딩(또는 컴바이닝)을 수행하며, 이로 인해 RF 체인 수와 D(digital)/A(analog)(또는 A/D) 컨버터 수를 줄이면서도 디지털 빔포밍에 근접한 성능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편의상 하이브리드 빔포밍 구조는 N개 트랜시버 유닛(TXRU)과 M개의 물리적 안테나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러면 송신단에서 전송할 L개 데이터 계층에 대한 디지털 빔포밍은 N by L 행렬로 표현될 수 있고, 이후 변환된 N개의 디지털 신호는 TXRU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다음 M by N 행렬로 표현되는 아날로그 빔포밍이 적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XRU 및 물리적 안테나 관점에서 하이브리드 빔포밍 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디지털 빔의 개수는 L개 이며, 아날로그 빔의 개수는 N개인 경우를 예시한다.
New RAT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아날로그 빔포밍을 심볼 단위로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특정 지역에 위치한 단말에게 보다 효율적인 빔포밍을 지원하는 방향이 고려되고 있다. 나아가, 도 6에서 특정 N개의 TXRU와 M개의 RF 안테나를 하나의 안테나 패널(panel)로 정의할 때, New RAT 시스템에서는 서로 독립적인 하이브리드 빔포밍의 적용이 가능한 복수의 안테나 패널들을 도입하는 방안까지 고려되고 있다.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피드백
3GPP LTE/LTE-A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기기(UE)가 채널 상태 정보(CSI)를 기지국(BS 또는 eNB)으로 보고하도록 정의되었다.
CSI는 UE와 안테나 포트 사이에 형성되는 무선 채널(혹은 링크라고도 함)의 품질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통칭한다. 예를 들어, 랭크 지시자(RI: Rank Indicator),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여기서, RI는 채널의 랭크(rank) 정보를 나타내며, 이는 UE가 동일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 수신하는 스트림의 개수를 의미한다. 이 값은 채널의 긴 주기(long term) 페이딩(fading)에 의해 종속되어 결정되므로, PMI, CQI보다 일반적으로 더 긴 주기를 가지고 UE에서 BS로 피드백된다. PMI는 채널 공간 특성을 반영한 값으로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 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등의 메트릭(metric)을 기준으로 UE가 선호하는 프리코딩 인덱스를 나타낸다. CQI는 채널의 세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일반적으로 BS가 PMI를 이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신 SINR을 의미한다.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다수개의 CSI 프로세스(process)를 UE에게 설정해 주고, 각 프로세스에 대한 CSI를 보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CSI 프로세스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품질 측정을 위한 CSI-RS와 간섭 측정을 위한 CSI-간섭 측정(CSI-IM: CSI-Interference Measurement) 자원으로 구성된다.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 가상화(virtualization)
mmW에서 analog beamforming에 의해 한 시점에 하나의 analog beam 방향으로만 PDSCH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방향에 있는 일부 소수의 UE에게만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서 안테나 포트 별로 analog beam 방향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여러 analog beam 방향에 있는 다수의 UE들에게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랜시버 유닛 별 서비스 영역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256 antenna element를 4등분하여 4개의 sub-array를 형성하고, 앞서 도 5와 같이 sub-array에 TXRU를 연결한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 sub-array가 2-차원(dimension) 배열 형태로 총 64(8x8)의 antenna element이 구성되면, 특정 analog beamforming에 의해 15도의 수평각 영역과 15도의 수직각 영역에 해당하는 지역을 커버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서비스해야 되는 지역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한번에 하나씩 서비스 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CSI-RS 안테나 포트(antenna port)와 TXRU는 일대일(1-to-1) 매핑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antenna port와 TXRU는 이하의 설명에서 같은 의미를 갖는다.
도 7(a)와 같이 모든 TXRU(안테나 포트, sub-array)(즉, TXRU 0, 1, 2, 3)가 동일 analog beamforming 방향(즉, 영역 1(region 1))을 가지면, 더 높은 분해능(resolution)을 갖는 digital beam을 형성하여 해당 지역의 수율(throughput)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해당 지역으로 전송 데이터의 랭크(rank)를 증가시켜 해당 지역의 throughput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도 7(b) 및 도 7(c)와 같이 각 TXRU(안테나 포트, sub-array)(즉, 포트(port) 0, 1, 2, 3)가 다른 analog beamforming 방향(즉, region 1 또는 region 2)을 가지면, 더 넓은 영역에 분포된 UE들에게 해당 서브프레임(SF: subframe)에서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 진다.
도 7(b) 및 도 7(c)의 예시와 같이 4개의 안테나 포트 중에서 2개는 영역 1에 있는 UE1에게 PDSCH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나머지 2개는 영역 2에 있는 UE2에게 PDSCH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 7(b)에서는 UE1에게 전송되는 PDSCH1과 UE2에게 전송되는 PDSCH2가 공간 분할 다중화(SDM: Spatial Division Multiplexing)된 예시를 나타낸다. 이와 달리 도 7(c)에서와 같이 UE1에게 전송되는 PDSCH1과 UE2에게 전송되는 PDSCH2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모든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한 영역을 서비스 하는 방식과 안테나 포트들을 나누어 여러 영역을 동시에 서비스 하는 방식 중에서 셀 수율(cell throughput)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UE에게 서비스하는 랭크(rank) 그리고 변조 및 코딩 기법(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따라서 선호되는 방식이 바뀔 수 있다. 또한 각 UE에게 전송할 데이터의 양에 따라서 선호되는 방식이 바뀔 수 있다.
기지국은 모든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한 영역을 서비스 할 때 얻을 수 있는 cell throughput 또는 스케줄링 매트릭(scheduling metric)을 계산하고, 안테나 포트를 나누어서 두 영역을 서비스 할 때 얻을 수 있는 cell throughput 또는 scheduling metric을 계산한다. 기지국은 각 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cell throughput 또는 scheduling metric을 비교하여 최종 전송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서브프레임 단위로(SF-by-SF)으로 PDSCH 전송에 참여하는 안테나 포트의 개수가 변동될 수 있다. 기지국이 안테나 포트의 개수에 따른 PDSCH의 전송 MCS를 계산하고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반영하기 위하여, 이에 적합한 UE로부터의 CSI 피드백이 요구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부분적으로(partially) 드롭(drop)되는 RS(Reference Signal)에 기반한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 규칙(reporting rule)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후술할 내용들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은 아래와 같다.
NR(New Radio) 시스템에서 CSI-RS는 LTE 시스템 대비 일부 대역에서만 flexible하게 설정되도록 하고 있다.
아날로그 빔들을 통해 다수의 CSI-RS들을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다수의 빔들을 통해 전송되는 CSI-RS를 수신할 수 있는 RX chain을 그에 맞도록 구현해야 한다.
하지만, 하나의 Rx chain을 가지는 단말의 경우, 해당 단말은 서로 다른 빔 방향으로 전송되는 다수의 CSI-RS들을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설명된다.
먼저, CSI-RS를 전송할 수 있는 심볼(symbol)이 다른 RS(Reference Signal) 또는 채널(channel)과 (주파수 영역에서) 먹스(MUX)(또는 multiplexing)되어 설정될 수 있는지와 관련하여 다양한 옵션들이 아래와 같이 고려될 수 있다.
즉, CSI-RS OFDM 심볼의 위치와 관련하여 다양한 옵션들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른 RS(Reference Signal) 또는 채널(channel)은 예를 들어, SS(Synchronization Signal) block(SSB),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의' 또는 '설정' 또는 '지시' 또는 '구성'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행' 또는 '적용'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인지' 또는 '가정'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CSI-RS OFDM 심볼 위치(CSI-RS OFDM symbol location)와 관련된 다양한 옵션들
먼저, 옵션 1은 아래 두 가지 옵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옵션 1-1(Option 1-1)은 단말(예:UE) 관점에서, CSI-RS는 SS block(SSB) OFDM 심볼(들)에 다중화되지 않는다.
옵션 1-2(Option 1-2)는 UE 관점에서, CSI-RS는 SS block(SSB) 심볼(들)에 다중화될 수 있다.
다음, 옵션 2는 아래 두 가지 옵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옵션 2-1(Option 2-1)은 UE 관점에서, CSI-RS는 일반 슬롯(normal slot)들에 대한 PDCCH OFDM 심볼(들)로 다중화되지 않는다.
옵션 2-2(Option 2-2)는 UE 관점에서, CSI-RS는 일반 슬롯(normal slot)들에 대한 PDCCH OFDM 심볼(들)로 다중화될 수 있다.
참고로, UE 측에서의 PDCCH 디코딩(decoding) 동작은 상기 옵션 2-2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다.
다음, 옵션 3은 아래 두 가지 옵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옵션 3-1(Option 3-1)은 UE 관점에서, CSI-RS는 적어도 7개/14개 OFDM 심볼들을 갖는 슬롯에 대한 모든 잠재적(potential) DMRS OFDM 심볼(들)에 다중화되지 않는다.
옵션 3-2(Option 3-2)는 UE 관점에서, 스케줄된 PDSCH를 갖는 슬롯에서, 추가적인(additional) DMRS가 OFDM 심볼(들)에 존재하지 않을 때, CSI-RS는 잠재적인 additional DMRS OFDM 심볼(들)로 전송될 수 있다.
참고로, 옵션 3-2에서, CSI-RS는 잠재적인 front-loaded DMRS OFDM 심볼(들)에서 다중화되지 않는다.
옵션 3-3(Option 3-3)은 UE 관점에서, CSI-RS는 모든 잠재적인 DMRS OFDM 심볼(들)에서 다중화될 수 있다.
만일 특정 동일 time instance(예를 들어, 하나의 OFDM symbol)에 특정 RS와 상기 다른 RS 또는 channel(SS block, control channel, DMRS 등)간에 (주파수 영역에서) MUX되어 설정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앞서 살핀 Option 1-2, 2-2, 3-2 및 3-3의 경우), CSI-RS를 기반으로 한 특정 CSI reporting 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특정 RS는 일례로, 적어도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위해 사용되는 CSI-RS일 수 있다.
상기 특정 CSI reporting은 일례로, 서브밴드 CSI 보고(sub-band CSI reporting)일 수 있다.
그러면, 앞서 언급한 특정 CSI reporting 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 및 해결방법에 대해 광대역 CSI 보고와 서브밴드 CSI 보고를 나눠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광대역 CSI 보고(wideband CSI reporting) 관련
만일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CSI-RS에 대한 설정(configuration)을 받고, 상기 설정 받은 CSI-RS를 측정(measure)하여 특정 Wideband CSI reporting을 수행하도록 정의된 경우, 상기 단말은 (주파수 영역으로) 상기 특정 MUX가 발생하는 시점에 대한 CSI-RS 측정(measurement)가 상기 wideband (예를 들어, 전 대역)에 대하여 일부 적어도 하나의 협대역(예를 들어, sub-band(s))에 대하여 CSI-RS의 RE(s)가 펑쳐링(puncturing)되거나 또는 전송되지 않거나(dropped)함을 가정할 수 있다(이하에서, 펑쳐링되거나 또는 drop된 CSI-RS RE(s)를 편의상 "누락된 CSI-RS RE(s)"로 호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살핀 것처럼, 상기 일부 적어도 하나의 협대역에 대해 CSI measurement가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다음 2가지 동작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광대역 CSI reporting을 수행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 상기 "누락된 CSI-RS RE(s)" 위치들을 제외하고, 누락되지 않은 나머지 CSI-RS RE(s)에 대해서 CSI를 측정(measurement)하여 (그리고 (특정 weighted) averaging하는 등 대표 값을 산출하여) 대표 wideband CSI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CSI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상기 대표 wideband CSI는 예를 들어, CRI(CSI-RS Resource Indicator), RI(Rank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및/또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일 수 있다.
- 특정 주파수 단위(frequency granularity)(예를 들어, subband 별)로 상기 "누락된 CSI-RS RE(s)"가 특정 미리 정의된(pre-defined) 또는 미리 설정 가능한 임계값(pre-configurable threshold) 수준 이상으로 해당 frequency granularity 내에 누락된 경우, 해당 frequency granularity (e.g., subband)(들)은 제외하고, 나머지 (온전한) 대역들에 대한 CSI-RS RE(s)에 대해서 CSI를 measurement하여 (그리고 (특정 weighted) averaging하는 등 대표값 산출하여) 대표 wideband CSI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CSI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미리 정의된(pre-defined) 또는 미리 설정 가능한 임계값(pre-configurable threshold) 수준 이상으로 해당 frequency granularity 내에 누락된 경우의 일례로, (port 별로) X개 RE(s) 이상이 누락된 경우일 수 있으며, X는 1 또는 1보다 클 수 있다.
- 기지국은 드롭(drop) 또는 펑쳐링(puncturing)에 해당되는 RE/RB(Resource Block)/SB(Sub-Band) 등의 정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특정 MUX가 발생하는 시점에 기지국이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 MR(Measurement Restriction) 온(ON)으로 지시하여 해당 RE/RB/SB에 대해서만 WB(WideBand)/SB CSI measurement와 CSI reporting을 수행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은 CSI-RS가 MUX되지 않거나 또는 특정 threshold 또는 특정 개수 이상의 port가 존재하는 RB에 대하여 상기 MR ON을 적용할 수 있다.
서브밴드 CSI 보고(Subband CSI reporting) 관련
광대역 CSI 보고 관련에서 살핀 것처럼, 만일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CSI-RS에 대한 설정을 받고, 상기 설정 받은 CSI-RS를 측정(measure)하여 특정 Subband CSI reporting을 수행하도록 정의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MUX가 발생하는 시점에 대한 CSI-RS measurement가 각 subband에 대하여 CSI-RS의 RE(s)가 펑쳐링되거나 또는 전송되지 않거나(dropped)함을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subband에 대한 CSI measurement가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다음 동작 옵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CSI reporting을 수행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1) 각 subband에 대하여, 상기 "누락된 CSI-RS RE(s)" 위치들이 존재하는 subband의 경우 (특정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설정 가능한 임계값 수준 이상으로 해당 subband (또는 SB 내의 RB 또는 RB group) 단위 내에 누락된 경우(예를 들어, (port 별로) X개 RE(s) 이상 누락된 경우, X는 1 또는 1보다 큰 값),
- 상기 "누락된 CSI-RS RE(s)" 위치들을 제외하고, 나머지 누락되지 않은 CSI-RS RE(s)에 대해서 측정(measurement)하여 (그리고 (특정 weighted) averaging하는 등 대표값 산출하여) 해당 subband CSI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CSI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여기서, subband CSI는 일례로, CRI(CSI-RS Resource Indicator), RI(Rank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및/또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일 수 있다.
- 해당 subband에 대해서는 특정 "out-of-range(OOR)" 지시나 "invalid CSI" 등으로, 해당 subband는 스케줄링 대상에서 제외해달라는 요청 및/또는 정상적인 CSI가 도출되기 어렵다는 의미의 특수 (special case) 지시자를 포함하는 보고 결과값이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될 수 있다.
- 또는, 앞서 살핀 'wideband CSI reporting 관련'에서 제안한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산출된 'wideband CSI' 값을 적용하여 해당 subband에 대한 CSI reporting을 수행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부정확한 subband CSI가 도출되어 기지국으로 보고되기 보다는 wideband CSI 값으로 대체하여 CSI를 보고함으로써, 평균적인 CSI를 가지고 스케줄링 대상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 또는, 인접 subband(s) 또는 이전 time instance에 대한 (동일) 해당 RS로부터의 추정치와 함께 일종의 extrapolation (예를 들어, 시간 영역 및/또는 주파수 영역)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의 허용 자체가 단말로 설정될 수도 있다.
(2) 또는, 각 subband 별로 subband CSI를 산출하여 보고함과 동시에, 전체 wideband에 대한 대표 CSI도 추가 보고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wideband CSI 산출 및 CSI 보고 관련해서는 앞서 언급한 'wideband CSI reporting 관련'에서 제안한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따르도록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표 wideband CSI와 대비한 subband 차등(delta) CSI(예를 들어, delta PMI, delta CQI, ?) 형태로 각 subband CSI 보고 값이 결정(또는 보고)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subband CSI reporting 관련'과 관련된 단말의 동작은, 보다 큰 frequency granularity (예를 들어, 'middle band', 'partial band' 등)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frequency granularity를 여러 단계로 분할할 때 특정 단계별로 차등적인 threshold 등에 의한 상이한 동작이 정의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MUX되어 전송되는 CSI-RS(e.g., aperiodic인 경우 등)가 상기 특정 "누락된 CSI-RS RE(s)" 위치들에 나타나는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subband 구성(또는 partial band 구성), indexing이 적용되도록 하는 특정 명시적(explicit) 또는 암시적(implicit) 설정(configuration)들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SS block(SSB)와 CSI-RS의 MUX가 발생한 경우, 해당 SS block이 예를 들어, 24 RBs에 걸쳐서 나타나는 경우, 해당 RB들이 모두 상기 누락된 CSI-RS RE(s)로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살핀 제안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는 경우, 단말의 subband reporting에 대한 동작에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성능 열화가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24 RB들을 subband indexing에서 제외하고, 해당 24 RB들을 제외한 상태에서의 새로운 subbnad 구성/re-indexing이 적용됨으로써, 상기 누락된 CSI-RS RE(s)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적절한 (subband) reporting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24 RB들이 전체 대역에서의 (상대적인) 중앙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단말에게 설정되는 partial band 구성이 기존 동작과 상이하게(또는 독립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24 RBs의 윗부분(e.g., 더 낮은 주파수 index)에 특정 partial band(s)가 존재(또는 설정)하고, 상기 24 RBs의 아랫부분(e.g., 더 높은 주파수 index)에 특정 또 다른 partial band(s)가 존재(또는 설정)하는 형태로 명시적(explicit) 또는 암시적(implicit) 지시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특정 규칙(rule)이 없는 경우, partial band들은 전체 (시스템) 대역에서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와 같이 24 RB들에 해당하는 대역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partial band(s)에 대하여 상기 "누락된 CSI-RS RE(s)"를 불가피하게 발생시킬 수 있어, 시스템 성능의 열화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wideband CSI reporting은 생략되도록(기지국이 설정하지 않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특정 24 RB들로 인해 CSI-RS를 스킵(skip)하는 영역이 큰 경우, 상기 스킵하는 영역까지를 포함하는 특정 wideband CSI reporting이 의미를 가지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24 RBs의 윗 부분과 아랫 부분에 대해서 각각의 특정 'partial band' 단위의 reporting (예를 들어, 'partial-band reporting (wideband reporting을 대신하여)')을 (대신하여)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ubband CSI reporting은 각 partial band 내에서 추가적으로 multiple subbands가 구성(또는 indexing)되어 해당 subband에 대한 특정 suband CSI reporting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드롭(drop) 또는 펑처링(puncturing)과 관련된 SB에 대한 정보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보고(reporting)하지 않아도, 기지국이 사전에 알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은 상기 드롭 또는 펑처링과 관련된 SB에 대한 reporting을 하지 않도록 사전에 약속하거나 또는 추가적인 signaling을 해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드롭 또는 펑처링과 관련된 SB에 대한 CSI를 기지국으로 reporting하지 않음으로써, overhead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동작 설명들은 기본적으로 one-shot measurement인 경우(e.g., measurement restriction(MR)-ON인 경우, 및/또는 aperiodic CSI-RS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동작들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one-shot measurement는 aperiodic (NZP) CSI-RS resource에 대한 CSI-RS measurement를 의미할 수 있다.
만일 MR-OFF로 설정되어 multiple time instances에 걸친 CSI measurements가 averaging될 수 있는 경우, 위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disable될 수 있다.
이는, 특정 CSI-RS 기반 측정(CSI-RS based measurement) 별로 'MR-OFF' 등과 같이 time-domain averaging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이전 시점의 값을 그대로 받아오거나(weighted averaging 및/또는 moving averaging 등)하여 CSI를 기지국으로 보고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특정 CSI-RS 기반 측정(CSI-RS based measurement) 별은 예를 들어, 설정된 CSI-RS 자원(configured CSI-RS resource) 별로, 미리 자원 설정(pre resource setting) 별로, CSI process 별로, measurement setting(link) 별로, 및/또는 reporting setting 별로 수행될 수 있다.
'MR-ON' 등과 같이 특정 시점(또는 제한된 시간 구간의 세트(set of restricted time interval))에 대해서만 CSI measurement/reporting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경우, 위 제안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CSI reporting을 수행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또는, 특정 신호(및/또는 채널)들 간 MUX가 발생한 경우 (해당 symbol(s)에 대하여) 수신되는 CSI-RS를 통해서는 subband reporting이 수행되지는 않도록 특정 restriction이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상기 특정 신호(및/또는 채널)들 간 MUX가 발생한 경우 (해당 symbol(s)에 대하여) 수신되는 CSI-RS를 통해서 특정 subband reporting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기대하지 않는다'와 같은 형태의 동작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기지국이 이를 보장해 주어야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상기 특정 신호(및/또는 채널)들 간 MUX가 발생한 경우 (해당 symbol(s)에 대하여) 수신되는 CSI-RS를 통해서는 특정 wideband reporting 형태의 동작만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는 형태의 특정 restriction이 정의될 수 있다.
앞서 살핀 제안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좀 더 구체화된 CSI-RS 보고에 대한 추가 동작 등에 대해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후술하는 설명은 CSI-RS OFDM 심볼 위치(symbol location)와 관련된 단말의 CSI-RS 보고에 대한 추가 동작에 대한 것이다.
다음 2개의 옵션들 중에서 하향-선택(down-select)할 수 있다.
옵션 1-1(Option 1-1)은 UE 관점에서, CSI-RS는 SS block OFDM symbol(s)에서 다중화되지 않는다.
UE가 RMSI(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등 broadcast 정보를 통해 특정 TRP(Transmission Reception Point)의 모든 SS block 위치를 파악한 후, 각 잠재적인 SS block 위치와 하나라도 겹치는 CSI-RS에 대한 설정이 제공되는 것에 대해 UE는 기대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상기 CSI-RS에 대한 설정이 제공되는 경우, 단말은 해당 CSI-RS 설정은 잘못된 것으로서 무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은 이를 기지국으로 알리고 CSI-RS에 대한 재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옵션 1-2(Option 1-2)는 UE 관점에서, CSI-RS는 SS block symbol(s)에서 다중화될 수 있다.
위에서 제안한 옵션들(옵션 1-1, 옵션 1-2) 중 적어도 하나를 따르도록 하며, 이 때 적용 대상이 되는 SS block들을 일부 "SS block들의 세트(set of SS blocks)"에 대해 상기 MUX 시 위의 옵션에 대한 동작을 적용하라는 형태로, 기지국이 추가 "SS block의 제한된 세트들(restricted sets of SS block)"에 관한 정보를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면, 해당 단말은 상기 제공된 SS block에 대해서만 상기 MUX 시 "누락된 CSI-RS RE(s)"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에 반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간 분리(spatial separation)" 등을 통한 추가 자원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Rx chain을 (예를 들어, 2개에서 1개로) 줄일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다음 2개의 옵션들 중에서 하향-선택(down-select)할 수 있다.
옵션 2-1(Option 2-1)은 UE 관점에서, CSI-RS는 일반 슬롯(normal slot)들에 대한 PDCCH OFDM symbol(s)상에서 다중화되지 않는다.
이는, 단말이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CORESET(control resource set) 등 PDCCH 영역에 대해서만 MUX되지 않은 조건으로 상기 단말에게 CSI-RS 관련 설정(configuration)이 제공될 수 있다.
옵션 2-2(Option 2-2)는 UE 관점에서, CSI-RS는 normal 슬롯들에 대한 PDCCH OFDM symbol(s)상에서 다중화될 수 있다.
참고로, 단말의 PDCCH 디코딩 행동(behavior)는 옵션 2-2(Option 2-2)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다.
단말이 위 제안 옵션들(option 2-1, option 2-2) 중 적어도 하나를 따르도록 한다.
이 때, 적용 대상이 되는 CORESET(s) 및/또는 PDCCH symbol(s)의 일부 "CORESET(s) 및/또는 PDCCH symbol(s)의 세트"에 대해 앞서 살핀 MUX 시의 동작을 적용할 것을 지시하는 형태로, 기지국은 "CORESET(s) 및/또는 PDCCH symbols의 제한된 세트들"에 관한 정보를 단말로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대해서만 상기 MUX 시 "누락된 CSI-RS RE(s)"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간 분리(spatial separation)" 등을 통한 추가 자원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 2개의 옵션들 중에서 하향-선택(down-select)할 수 있다.
옵션 3-1(Option 3-1)은 UE 관점에서, CSI-RS는 적어도 7개 또는 14개 OFDM symbol들을 가지는 슬롯의 모든 잠재적인 DMRS OFDM symbol들에서 다중화되지 않는다.
단말이 스케줄링 받는(또는 받을) DMRS symbols에 대해서만 MUX되지 않는 조건으로, 해당 단말에게 CSI-RS 관련 설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옵션 3-2(Option 3-2)는 UE 관점에서, 스케쥴된 PDSCH를 가지는 슬롯에서 CSI-RS가 additional DMRS의 OFDM 심볼들에서 존재하지 않을 때, 잠재적인 additional DMRS OFDM symbol(s)은 전송될 수 있다.
참고로, 옵션 3-2(Option 3-2)에서, CSI-RS는 잠재적인 front-loaded DMRS OFDM symbol(s)에서 다중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동작은 특정 타입의 CSI-RS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동작은 비주기적(aperiodic), 반-지속적(semi-persistent) 및/또는 주기적(periodic) CSI-RS로 국한될 수 있다.
옵션 3-3(Option 3-3)은 UE 관점에서, CSI-RS는 모든 잠재적인 DMRS OFDM symbol(s)에서 다중화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단말에게 할당되는 DMRS들은 위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한다.
또는, 특정 단말들에게 할당되는 DMRS 설정 관련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특정 다른 단말들을 위한 DMRS 위치에 대해서도 이 설정에 입각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적용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특정 타입의 CSI-RS에 대해서만 적용되도록 국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타입의 CSI-RS는 예를 들어, CSI acquisition을 위한 CSI-RS,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위한 CSI-RS, 및/또는 RRM(Radio Resource Management)를 위한 CSI-RS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periodic, semi-persistent, 및/또는 periodic CSI-RS 중 일부에 대해서만 상기 동작들이 제한적으로 적용되도록 위 조건 항목 각각에 대하여 상이한(또는 독립적인) 동작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MUX가 발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CSI-RS는 BM 용 CSI-RS resource(들)로만 제한될 수 있다.
이는, BM 용 CSI-RS들은 통상적으로 subband reporting과 연관되지 않고, wideband BM-related reporting으로만 한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CSI-RS resource들을 설정받는 경우, BM을 위한 CSI-RS resources은 위와 같이 특정 SS block, CORESET, 및/또는 DMRS와 (주파수 도메인에서) MUX가 가능한 형태로 설정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CSI acquisition을 위한 CSI-RS resources (MIMO feedback)은 특정 SS block, CORESET 및/또는 DMRS와 (주파수 도메인에서) MUX되어 설정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상기 MUX되어 설정되는 것을 기대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기지국은 상기와 같은 설정을 제공하지 않는다.
앞의 설명은 일례들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타입의 CSI-RS resource(s) (예를 들어, "CSI-RS for CSI acquisition, CSI-RS for beam management (BM), 또는 CSI-RS for RRM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타입" 및/또는 "aperiodic, semi-persistent, 및/또는 periodic CSI-RS")에 대해서만 상기 MUX 형태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restrictions이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또는, 상기와 같이 특정 신호들(또는 채널들) 간 MUX에 의한 전송 설정이 발생할 수 있도록, 특정 CSI-RS resource가 특정 N-port(s) 이하일 경우에만 상기 MUX 형태의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특정 N값은 사전에 정해지거나, RRC, MAC CE(Command Element) 및/또는 DCI signaling에 의해 단말에게 설정(또는 지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와 같이 특정 신호들 간 MUX에 의한 전송 설정이 발생할 수 있도록, 특정 CSI-RS resource에 대해 설정되는 CSI-RS density(D)가 1 미만인 경우, 다음과 같은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 멀티플렉싱(Multiplexing)을 허용하지 않는다.
- 충돌이 생기는 PRB index를 쉬프팅(shifting)한다.
예를 들어, D=1/3, PRB #n=CSI-RS, PRB #(n+1)=No CSI-RS, PRB #(n+2)=No CSI-RS 구조에서, 특정 n에 대해 #n, #n+1에서 충돌이 발생하고 #n+2에서는 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해당 PRB set에 한정적으로 CSI-RS 전송 위치를 #n+2로 shifting한다.
이러한 예시처럼, 특정 다른 패턴(또는 규칙) 형태로 상기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의 특정 CSI-RS 전송 위치의 shift 관련 다른 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
- 특정 tone(또는 subcarrier)에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RE-level comb offset을 조절(또는 shift)하도록 하는 특정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 Port (group) 별로 comb shift 값이 다른 경우, 충돌이 발생한 port (group)들에 대해서 PRB index를 shifting한다.
또는, 특정 신호들 간 MUX에 의한 전송 설정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CSI-RS resource에 대해 설정되는 CSI-RS density (D) > 1 인 경우, 다음과 같은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
- Multiplexing을 허용하지 않는다.
- 특정 tone에서 충돌이 되는 경우, Re-level comb offset을 조절(또는 shift)하도록 하는 특정 동작이 설정(또는 지시,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충돌이 되는 특정 slot에 대하여 한시적으로 충돌이 나지 않는 다른 값의 D (e.g., D=2, 이미 설정된 값보다 작은 D의 값)을 설정하는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또는, 특정 SS block, CORESET, 및/또는 DMRS와 (주파수 도메인에서) MUX가 가능한 형태로 간섭 측정 자원(interference measurement resource, IMR)을 위한 zero-power (ZP) CSI-RS(들) 및/또는 IMR을 위한 non-zero-power (NZP) CSI-RS(들)도 상기 MUX 형태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위와 같은 IMR에 대한 ZP 또는 NZP CSI-RS resource들은 간섭 측정 용도이므로, 상기 subband reporting과 연관된 중요한 이슈(critical issue)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상기 IMR에 대한 ZP 또는 NZP CSI-RS resource들의 설정을 가지고 특정 subband reporting의 subband-wise의 간섭을 측정하여 CSI에 반영하도록 하는 경우, 앞서 제안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적용하여 단말이 상기 IMR도 특정 누락된 RE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SS block(SSB), CORESET 및/또는 DMRS와 CSI-RS 간의 공간(spatial) QCL(Quasi Co-Located)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여기서, 준 공동-위치(quasi co-located)은 아래와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에서 심볼이 전송되는 채널의 large-scale 특성들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에서 심볼이 전송되는 채널로부터 유추되는 경우, 2개의 안테나 포트들은 준 공동-위치(quasi co-located)에 있다고 한다.
상기 large-scale 특성들은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 평균 이득(average gain) 및 평균 지연(average delay)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다.
특정 SS block, CORESET, 및/또는 DMRS는 각각 설정된 특정 (analog) 빔 지시(beam indication) (예를 들어, CRI를 통해) 또는 특정 공간 QCL 지시(spatial QCL indication)에 의해 단말이 상기 특정 SS block, CORESET, 및/또는 DMRS 등을 수신하기 위한 특정 수신 빔 설정(Rx beam setting)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수신 빔 설정(Rx beam setting)은 예를 들어, Rx beam direction, spatial Rx parameter, spatial domain receive filter, QCL relation, spatial QCL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SSB, CORESET 및/또는 DMRS와 CSI-RS 간에 QCL 관계가 있다는 의미는 상기 특정 SSB, CORESET 및/또는 DMRS를 수신하는 단말의 Rx 빔 방향과, 상기 CSI-RS를 수신하는 단말의 Rx 빔 방향이 동일하다는 의미이거나, 또는 상기 특정 SSB, CORESET 및/또는 DMRS와 상기 CSI-RS에 대해 단말이 동일한 spatial domain receive filter로 수신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SI-RS는 (time/frequency) tracking 용도, channel acquisition 용도, beam management (BM)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위의 관계는 CSI-RS가 beam management로 사용되는 경우로만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CSI-RS가 beam management로 설정되었다는 것은 CSI-RS resource set에 higher layer parameter인 'CSI-RS-ResourceRep'가 On으로 설정된 경우, 해당 CSI-RS resource set은 beam management로 사용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BM 용) CSI-RS의 antenna port는 1개 또는 2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SSB(SS Block)과 CORESET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신호(또는 제어채널) 포함하는 자원 블록 또는 자원 세트로 표현될 수 있다.
그 이유는 SSB는 제어 신호(예:synchronization signal, demodulation signal 등)과 제어 채널(예: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포함하며, 상기 CORESET은 제어 신호(예:demodulation signal) 및 제어 채널(예: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만일 앞서 살핀 (주파수 영역으로) 신호들(및/또는 채널들) 간 MUX되어(또는 multiplexed) 설정된 CSI-RS(beam management를 위해)가 있고, 상기 특정 SS block, CORESET 및/또는 DMRS를 수신하기 위해 설정된 특정 spatial QCL indication이 상기 CSI-RS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빔 (설정)가 상이한 경우, 단말은 상기 MUX된 신호들을 동시에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의 Rx chain이 수신되는 CSI-RS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프로세싱) 체인들 (Rx (processing) chains) (또는 TXRUs)가 상기 MUX된 신호들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구비(또는 구현)된 경우, 단말은 일부 Rx chain들을 통해 특정 Rx beam으로 특정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일부 Rx chain들을 통해 또 다른 Rx beam으로 또 다른 대역의 MUX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Rx chain들을 충분히 구비하지 못한 (상대적으로 저 비용으로 구현된) 단말(들)은 전송되는 CSI-RS를 완전히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추가적으로, (단말에게 구현된) 단말에서 지원하는 Rx chain의 개수와 관련된 특정 capability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초기에)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상기 특정 capability에 대한 정보를 참고하여 상이한 Rx beam으로 동시 수신이 가능한 단말들로 상기 신호들(및/또는 채널들) 간 MUX된 전송을 설정하며, 동시 수신이 어려운(또는 불가한) 단말들로 상기 신호들(및/또는 채널들) 간 MUX된 전송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신호들(및/또는 채널들) 간 MUX된 전송은 (주파수 축으로) CSI-RS와 SS block, CORESET 및/또는 DMRS가 multiplexing되어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이한 RX beam을 통해 상기 MUX된 신호의 동시 수신이 불가능한 단말에 대해, 만일 상기 MUX된 신호의 전송이 단말로 이루어진 경우 (또는 상기 MUX된 신호들 간 (사전에) 설정된 특정 beam indication (또는 spatial QCL indication)이 상이하게 설정된 경우), 해당 단말은 아래와 같은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아래와 같은 단말의 동작들은 일종의 충돌 핸들링(collision handling) 동작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주파수 영역으로) MUX된 SS block과 특정 CSI-RS 간에 상이한 beam indication이 설정된 경우, 상기 SS block에 대한 수신 빔 지시를 우선한다.
이 때, 상기 SS block 용 수신 빔으로 상기 특정 CSI-RS의 수신을 시도하도록(overriding) 정의될 수 있거나, 또는 해당 시점에 단말의 CSI-RS에 대한 수신 시도를 스킵(skip)하도록 (또는 drop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특정 CSI-RS에 대한 수신보다 상기 SS block에 대한 수신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는 반대로, 상기 특정 CSI-RS에 대한 수신 빔을 우선하도록 정의하고, 위의 동작을 반대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상기 특정 CSI-RS에 대한 short-term과 관련된 동작(예: short term CSI reporting)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는, 미리 '단말은 MUX된 신호들(및/또는 채널들) 간에는 상이한 beam indication이 설정되는 것을 가정하지 않는다'와 같은 형태의 동작이 보장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이는 기지국이 이를 보장해주어야 한다.
- MUX된 CORESET(예를 들어, PDCCH (region))과 특정 CSI-RS 간에 상이한 beam indication이 설정된 경우, 전자(CORESET)에 대한 수신 빔 지시를 우선하여 적용한다.
이 때, 상기 CORESET 용 수신 빔으로 상기 특정 CSI-RS에 대한 수신을 시도하도록(overriding) 정의될 수 있거나, 또는 해당 시점에 단말의 CSI-RS 수신 시도를 skip하도록(또는 drop하도록) 정의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이는 상기 CORESET에 대한 단말의 수신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는 반대로, 상기 특정 CSI-RS에 대한 수신 빔을 우선하도록 정의하고, 위의 동작을 반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CSI-RS에 대한 단말의 수신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는, 미리 '단말은 MUX된 신호들(및/또는 채널들) 간에는 상이한 beam indication이 설정되는 것을 가정하지 않는다'와 같은 형태의 동작이 보장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이는 기지국이 이를 보장해주어야 한다.
- MUX된 DMRS와 특정 CSI-RS 간에 상이한 beam indication이 설정된 경우, 전자(DMRS)에 대한 수신 빔 지시를 우선하도록 적용한다.
이때, 상기 DMRS 용 수신 빔으로 상기 특정 CSI-RS에 대한 수신을 시도하도록(overriding) 정의할 수도 있거나, 또는 해당 시점에 단말의 CSI-RS에 대한 수신 시도를 skip하도록(또는 drop하도록) 정의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DMRS (및 현재 시점의 data)에 대한 수신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는 반대로, 상기 특정 CSI-RS에 대한 수신 빔을 우선하도록 정의하여 위의 동작을 반대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는, 미리 '단말은 MUX된 신호들(및/또는 채널들) 간에는 상이한 beam indication이 설정되는 것을 가정하지 않는다'와 같은 형태의 동작이 보장되도록 정의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이를 보장해주어야 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CSI-RS의 수신과 관련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자원 블록의 수신을 위해 설정된 제 1 공간(spatial) 준-공동 위치(Quasi-Co location, QCL) 관련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 블록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810).
상기 자원 블록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또는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원 블록이 상기 CORESET인 경우, 상기 제 1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는 상기 자원 블록의 특정 자원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자원 블록의 특정 자원은 상기 CORESET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과 관련된 자원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자원 블록과 CSI-RS가 동일한 심볼에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와 상기 CSI-RS의 수신을 위해 설정된 제 2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가 동일하게 설정된 것으로 기대 또는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제 2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CSI-RS를 수신하기 위한 빔을 설정한다(S820).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설정된 빔을 통해 상기 CSI-RS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830).
상기 공간(spatial) 준-공동 위치(Quasi-Co location, QCL) 관련 파라미터는 단말의 수신 빔 방향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기 자원 블록과 상기 CSI-RS는 상기 동일한 심볼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자원 블록(예: SSB 등)과 CSI-RS 간에 spatial RX parameter(예: RX 수신 빔 indication, RX 빔 방향 등)에 대해 QCL을 정의하는 이유는 수신하는 CSI-RS resource의 수보다 (구현된) RX chain의 개수가 작은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위의 동작들은, 상기 CSI-RS가 빔 관리(beam management, BM)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로 제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BM을 위한 CSI-RS의 경우, subband reporting이 아닌 wideband reporting을 지원하기 때문에, 상기 자원 블록과 상기 CSI-RS가 FDM되는 경우 앞서 언급한 subband에서의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CSI-RS가 BM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상기 CSI-RS의 안테나 포트 수는 특정 개수(N개)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 값은 1 또는 2일 수 있으며, 해당 값은 radio resource control(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CSI-RS의 전송과 관련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자원 블록과 CSI-RS를 동일한 심볼에 설정한다(S910).
상기 자원 블록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자원 블록과 상기 CSI-RS에 대한 공간(spatial) 준-공동 위치(Quasi-Co location, QCL) 관련 파라미터를 동일하게 설정한다(S920).
마찬가지로, 상기 자원 블록(예: SSB 등)과 CSI-RS 간에 spatial RX parameter(예: RX 수신 빔 indication, RX 빔 방향 등)에 대해 QCL을 정의하는 이유는 수신해야 하는 CSI-RS resource의 수보다 (구현된) RX chain의 개수가 작은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CSI-RS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BM)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CSI-RS가 BM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상기 CSI-RS의 안테나 포트 수는 특정 개수(N개)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 값은 1 또는 2일 수 있으며, 해당 값은 radio resource control(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자원 블록 및 상기 CSI-RS를 상기 설정된 동일한 심볼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를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S930).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CSI-RS의 수신과 관련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또 다른 순서도이다.
먼저,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자원 블록과 CSI-RS를 동일한 심볼에 설정한다(S1010).
상기 자원 블록은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자원 블록의 특정 자원과 상기 CSI-RS에 대한 공간(spatial) 준-공동 위치(Quasi-Co location, QCL) 관련 파라미터를 동일하게 설정한다(S1020).
여기서, 상기 자원 블록의 특정 자원은 상기 CORESET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과 관련된 자원 또는 자원 영역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자원 블록(예: CORESET 등)과 CSI-RS 간에 spatial RX parameter(예: RX 수신 빔 indication, RX 빔 방향 등)에 대해 QCL을 정의하는 이유는 수신해야 하는 CSI-RS resource의 수보다 (구현된) RX chain의 개수가 작은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자원 블록 및 상기 CSI-RS를 상기 설정된 동일한 심볼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를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S1030).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 일반
도 1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110)과 기지국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단말(1120)을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과 단말은 각각 무선 장치로 표현될 수도 있다.
기지국(1110)은 프로세서(processor, 1111), 메모리(memory, 1112) 및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111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1)는 앞서 도 1 내지 도 10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12)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프로세서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모듈(1113)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은 프로세서(1121), 메모리(1122) 및 RF 모듈(112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10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프로세서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모듈(1123)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메모리(1112, 1122)는 프로세서(1111, 112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및/또는 단말은 한 개의 안테나(single antenna) 또는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특히, 도 12에서는 앞서 도 11의 단말을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프로세서(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1210), RF 모듈(RF module)(또는 RF 유닛)(1235), 파워 관리 모듈(power management module)(1205), 안테나(antenna)(1240), 배터리(battery)(1255), 디스플레이(display)(1215), 키패드(keypad)(1220), 메모리(memory)(1230), 심카드(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1225)(이 구성은 선택적임), 스피커(speaker)(1245) 및 마이크로폰(microphone)(1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또한 단일의 안테나 또는 다중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앞서 도 1 내지 도 10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프로세서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30)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키패드(1220)의 버튼을 누르거나(혹은 터치하거나) 또는 마이크로폰(1250)를 이용한 음성 구동(voice activation)에 의해 전화 번호 등과 같은 명령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는 이러한 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거는 등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구동 상의 데이터(operational data)는 심카드(1225) 또는 메모리(123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인지하고 또한 편의를 위해 명령 정보 또는 구동 정보를 디스플레이(1215)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RF 모듈(1235)는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RF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를 구성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명령 정보를 RF 모듈에 전달한다. RF 모듈은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하여 수신기(receiver) 및 전송기(transmitter)로 구성된다. 안테나(1240)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 RF 모듈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기저 대역으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처리된 신호는 스피커(1245)를 통해 출력되는 가청 또는 가독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RF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는 RF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전송 경로에서, 도 11 및 도 12에서 기술된 프로세서는 전송될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송신기(1310)에 제공한다.
송신기(1310) 내에서, 아날로그 출력 신호는 디지털-대-아날로그 변환(ADC)에 의해 야기되는 이미지들을 제거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LPF)(1311)에 의해 필터링되고, 상향 변환기(Mixer, 1312)에 의해 기저대역으로부터 RF로 상향 변환되고, 가변이득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VGA)(1313)에 의해 증폭되며, 증폭된 신호는 필터(1314)에 의해 필터링되고,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PA)(1315)에 의해 추가로 증폭되며, 듀플렉서(들)(1350)/안테나 스위치(들)(1360)을 통해 라우팅되고, 안테나(1370)을 통해 전송된다.
또한, 수신 경로에서, 안테나(1370)은 외부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들을 제공하며, 이 신호들은 안테나 스위치(들)(1360)/듀플렉서들 (1350)을 통해 라우팅되고, 수신기(1320)으로 제공된다.
수신기(1320)내에서, 수신된 신호들은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1323)에 의해 증폭되며, 대역통과 필터(1324)에 의해 필터링되고, 하향 변환기(Mixer,1325)에 의해 RF로부터 기저대역으로 하향 변환된다.
상기 하향 변환된 신호는 저역 통과 필터(LPF,1326)에 의해 필터링되며, VGA(1327)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이는 도 11 및 도 12에서 기술된 프로세서에 제공된다.
또한, 로컬 오실레이터 (local oscillator, LO) 발생기(1340)는 전송 및 수신 LO 신호들을 발생 및 상향 변환기(1312) 및 하향 변환기(1325)에 각각 제공한다.
또한,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PLL)(1330)은 적절한 주파수들에서 전송 및 수신 LO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들을 LO 발생기(1340)에 제공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회로들은 도 13에 도시된 구성과 다르게 배열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의 RF 모듈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는 RF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다.
TDD 시스템에서의 RF 모듈의 송신기(1410) 및 수신기(1420)은 FDD 시스템에서의 RF 모듈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하, TDD 시스템의 RF 모듈은 FDD 시스템의 RF 모듈과 차이가 나는 구조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하고,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13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송신기의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PA)(1415)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밴드 선택 스위치(Band Select Switch,1450), 밴드 통과 필터(BPF,1460) 및 안테나 스위치(들)(1470)을 통해 라우팅되고, 안테나(1480)을 통해 전송된다.
또한, 수신 경로에서, 안테나(1480)은 외부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들을 제공하며, 이 신호들은 안테나 스위치(들)(1470), 밴드 통과 필터(1460) 및 밴드 선택 스위치(1450)을 통해 라우팅되고, 수신기(1420)으로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10: 기지국 1120: 단말

Claims (17)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제 1 공간(spatial) 준-공동 위치(Quasi-Co location, QCL) 관련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OFDM 심볼 상에서 자원 블록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원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며; 및
    제 2 공간(spatial) 준-공동 위치(Quasi-Co location, QCL) 관련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 블록이 수신되는 상기 OFDM 심볼 상에서 CSI-RS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원 블록 및 상기 CSI-RS 모두 상기 OFDM 심볼 상에서 수신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공간 QCL 관련 파라미터와 상기 제 2 공간 QCL 관련 파라미터는 동일하게 설정되며,
    상기 자원 블록과 상기 CSI-RS는 상기 OFDM 심볼 상의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SI-RS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BM)를 위해 설정된 CSI-RS 자원(resource)에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SI-RS는 특정 포트 수 이하의 CSI-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포트 수의 값은 radio resource control(RRC) 시그널링(signaling)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블록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또는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블록이 상기 CORESET인 경우, 상기 제 1 spatial QCL 관련 파라미터는 상기 CORESET의 특정 자원에 대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ORESET의 특정 자원은 상기 CORESET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과 관련된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OFDM 심볼 상에서 자원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자원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자원 블록이 설정되는 OFDM 심볼 상에서 CSI-RS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자원 블록 및 상기 CSI-RS 모두 상기 OFDM 심볼 상에 설정된 경우, 상기 CSI-RS에 대한 제 1 공간 QCL 관련 파라미터가 상기 자원 블록을 위한 제 2 공간 QCL 관련 파라미터로서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를 통해 상기 자원 블록 및 상기 CSI-RS를 상기 설정된 OFDM 심볼 상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블록은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또는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SI-RS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BM)를 위해 설정된 CSI-RS 자원(resource)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SI-RS는 특정 포트 수 이하의 CSI-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포트 수의 값을 설정하는 radio resource control(RRC) 시그널링(signaling)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블록이 상기 CORESET인 경우, 상기 제 1 공간 QCL 관련 파라미터는 상기 CORESET의 특정 자원에 대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수신하기 위해 설정된 단말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모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동작들을 수행하는 지시(instruction)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제 1 공간(spatial) 준-공동 위치(Quasi-Co location, QCL) 관련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OFDM 심볼 상에서 자원 블록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원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며; 및
    제 2 공간(spatial) 준-공동 위치(Quasi-Co location, QCL) 관련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 블록이 수신되는 상기 OFDM 심볼 상에서 CSI-RS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원 블록 및 상기 CSI-RS 모두 상기 OFDM 심볼 상에서 수신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공간 QCL 관련 파라미터와 상기 제 2 공간 QCL 관련 파라미터는 동일하게 설정되며,
    상기 자원 블록과 상기 CSI-RS는 상기 OFDM 심볼 상의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기지국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모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동작들을 수행하는 지시(instruction)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OFDM 심볼 상에서 자원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자원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자원 블록이 설정되는 OFDM 심볼 상에서 CSI-RS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자원 블록 및 상기 CSI-RS 모두 상기 OFDM 심볼 상에 설정된 경우, 상기 CSI-RS에 대한 제 1 공간 QCL 관련 파라미터가 상기 자원 블록을 위한 제 2 공간 QCL 관련 파라미터로서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를 통해 상기 자원 블록 및 상기 CSI-RS를 상기 설정된 OFDM 심볼 상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 QCL 관련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CSI-RS를 수신하기 위한 빔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빔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CSI-RS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90047473A 2017-06-28 2019-04-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76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26342P 2017-06-28 2017-06-28
US62/526,342 2017-06-28
US201762533645P 2017-07-17 2017-07-17
US62/533,645 2017-07-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942A Division KR101973770B1 (ko) 2017-06-28 2018-06-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726A KR20190046726A (ko) 2019-05-07
KR102076846B1 true KR102076846B1 (ko) 2020-05-18

Family

ID=647424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942A KR101973770B1 (ko) 2017-06-28 2018-06-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190047473A KR102076846B1 (ko) 2017-06-28 2019-04-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942A KR101973770B1 (ko) 2017-06-28 2018-06-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31361B2 (ko)
EP (1) EP3471328A4 (ko)
JP (1) JP6961712B2 (ko)
KR (2) KR101973770B1 (ko)
CN (1) CN110800244B (ko)
WO (1) WO20190047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7719B1 (en) * 2017-07-21 2023-1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ultiplexing between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102506475B1 (ko) 2017-08-31 2023-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csi-rs 자원 반복 전송 지원 방법 및 장치
EP4117216A1 (en) * 2017-11-17 2023-01-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CN109802818B (zh) 2017-11-17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CN111148268B (zh) * 2018-11-02 2022-0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随机接入资源确定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20096274A1 (ko) * 2018-11-08 202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416641B (zh) * 2019-01-08 2021-08-0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码本约束、码本参数确定方法及装置
WO2020162729A1 (ko) * 2019-02-08 2020-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WO2020192481A1 (zh) * 2019-03-28 2020-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JP7472901B2 (ja) 2019-03-28 2024-04-23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及び基地局装置の制御方法
CN115835390A (zh) * 2019-03-28 2023-03-21 欧芬诺有限责任公司 新无线电中的复用和优先级排序
EP3970278B1 (en) 2019-05-13 2023-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ulti-user transmissions
US11805435B2 (en) * 2019-09-06 2023-10-31 Qualcomm Incorporated Deriving CSI using a subset of configured CSI-RS resources
US11728849B2 (en) 2020-11-25 202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objective beam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0268A (ja) 2012-01-23 2013-08-01 Sharp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121002A (ko) * 2013-02-21 2015-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규모 mimo를 위한 안테나 포트 간 qcl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5101238B (zh) * 2014-05-07 2018-11-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邻区干扰信号信息通知方法、邻区干扰抑制方法及装置
CN106664192B (zh) * 2015-01-30 2020-12-01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配置csi-rs天线端口的端口编号的方法和设备
US10756799B2 (en) * 2015-10-23 2020-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038557B2 (en) * 2016-03-31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CN107342852B (zh) * 2016-04-29 2022-11-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令发送、接收方法及装置、网络侧设备、终端
US11272540B2 (en) * 2018-08-09 2022-03-08 Ofinno, Llc Channel access and uplink switching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3179
3GPP TS 36.331 v.11.5.0
Samsung, R1-1710654, DL beam management for NR, TSG RAN WG1 NR Ad-Hoc#2
Samsung, R1-1711604, Beam Management for PDCCH, TSG RAN WG1 Meeting NR AH2
ZTE, R1-1710194, On CSI-RS for beam management, TSG RAN WG1 NR Ad-Hoc#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1840A (ja) 2020-04-16
CN110800244B (zh) 2022-05-27
KR20190004226A (ko) 2019-01-11
EP3471328A4 (en) 2020-02-19
KR101973770B1 (ko) 2019-04-29
CN110800244A (zh) 2020-02-14
US10931361B2 (en) 2021-02-23
KR20190046726A (ko) 2019-05-07
WO2019004756A1 (ko) 2019-01-03
JP6961712B2 (ja) 2021-11-05
US20200112359A1 (en) 2020-04-09
EP3471328A1 (en)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84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3142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9504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북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4070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1739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5887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KR10213300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396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353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1084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5393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095852B (zh) 无线通信系统中在参考信号之间进行复用的方法及其装置
US1121820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20006789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부분에 할당되는 자원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1646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223405B2 (en)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on basis of prioriti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20200328870A1 (en) Method for performing channel estimation using dm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