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701A - 환기용 급기 덕트 - Google Patents
환기용 급기 덕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1701A KR20190051701A KR1020170147627A KR20170147627A KR20190051701A KR 20190051701 A KR20190051701 A KR 20190051701A KR 1020170147627 A KR1020170147627 A KR 1020170147627A KR 20170147627 A KR20170147627 A KR 20170147627A KR 20190051701 A KR20190051701 A KR 201900517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regions
- ventilation
- supply duct
- ai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 Y02T70/7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환기용 급기 덕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외 공간에 연결되는 제1 파이프; 실내 공간에 연결되는 제2 파이프;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를 연결하는 제3 파이프; 및 상기 제3 파이프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환기용 급기 덕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기용 급기 덕트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환기 장치가 설치된다. 환기 장치는 실내 외를 연결하는 급기 덕트 및 팬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외 공기는 급기 덕트에 설치된 팬에 의해 급기 덕트를 따라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겨울철 또는 극지방에서는 차가운 실외 공기가 급기 덕트를 통해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실내 온도를 급격하게 떨어뜨리고 열 손실 및 결로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에 별도의 히터를 설치하거나 급기 덕트에 열 교환기 또는 전열선을 설치하였다.
하지만, 열 교환기는 실외 공기를 실내 공기와 열 교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실내 외의 온도 차가 큰 경우에 실외 공기를 적정 온도까지 끌어올리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전열선은 실내 외의 온도 차가 큰 경우에도 실외 공기를 적정 온도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실외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워서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대부분의 실외 공기가 급기 덕트의 중심부를 통해 가장 빠른 유속을 가지고 유입됨에도 불구하고 급기 덕트의 중심부가 내주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서 열 에너지가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선박 등 대형 구조물에 설치되어 비교적 큰 직경이 요구되는 급기 덕트에 있어서 그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내로 유입되는 차가운 실외 공기를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환기용 급기 덕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외 공간에 연결되는 제1 파이프; 실내 공간에 연결되는 제2 파이프;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를 연결하는 제3 파이프; 및 상기 제3 파이프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환기용 급기 덕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 파이프의 내주면은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면상발열체는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제3 파이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분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각각은 상기 제3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각각은 상기 제3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면상발열체에 의해 실외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실외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특히 면상발열체가 결합되는 파이프의 내주면을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함으로써 대부분의 실외 공기가 지나가는 파이프의 중심부까지 열 에너지가 고르게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급기 덕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 - I´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급기 덕트의 일 예시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급기 덕트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 - I´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급기 덕트의 일 예시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급기 덕트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급기 덕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급기 덕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 - I´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급기 덕트(10)는 제1 파이프(100), 제2 파이프(200), 제3 파이프(300), 면상발열체(400) 및 단열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이프(100) 및 제2 파이프(200)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파이프(100)는 일단이 실외 공간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파이프(300)에 결합됨으로써 실외 공기를 제3 파이프(300)로 이송할 수 있다.
제2 파이프(200)는 일단이 제3 파이프(3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실내 공간에 연결됨으로써 제3 파이프(300)를 통해 이송된 실외 공기를 선실 등 실내로 이송할 수 있다.
제1 파이프(100) 또는 제2 파이프(200)에는 실외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fan)이 설치될 수 있다.
제3 파이프(300)는 제1 파이프(100)와 제2 파이프(200)를 상호간에 연결할 수 있다.
제3 파이프(300)의 내주면은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310, 320, 330, 340)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파이프(300)의 외경이 일정한 경우, 제3 파이프(300)는 복수의 영역(310, 320, 330, 340)에서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영역(310, 320, 330, 34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3 파이프(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영역(310, 320, 330, 340)의 중심각을 모두 합하면 360°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파이프(300)의 내주면이 4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경우에는 제1 영역(310), 제2 영역(320), 제3 영역(330) 및 제4 영역(340)은 각각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한 각도, 즉 90°의 중심각을 가질 수 있다.
면상발열체(400)는 전기가 공급되면 표면에서 균일하게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면상발열체(400)는 공지된 바와 같이 금속박판 또는 카본 등 발열 도료 등을 사용하여 필름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면상발열체(400)는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면상발열체(400)는 제3 파이프(300)의 내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제3 파이프(300)를 통해 이송되는 실외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면상발열체(400)는 제3 파이프(300)의 내주면이 복수의 영역(310, 320, 330, 340)으로 구획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영역(310, 320, 330, 340)의 각각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단열부재(500)는 제3 파이프(300)와 면상발열체(400) 사이에 개재되어 면상발열체(400)의 열 에너지가 제3 파이프(300)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단열부재(500)는 면상발열체(400)와 마찬가지로 필름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단열부재(500) 및 면상발열체(400)는 제3 파이프(300)의 내주면에 차례대로 적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급기 덕트의 일 예시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용 급기 덕트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영역(310, 320, 330, 340)의 각각은 제3 파이프(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직선형으로 연장되거나,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제3 파이프(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3 파이프(300)의 일단에서 제3 파이프(300)의 타단으로 갈수록, 복수의 영역(310, 320, 330, 340)의 각각에 결합되는 면상발열체(400)의 위치가 제3 파이프(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결과로 이어지므로, 결국 복수의 영역(310, 320, 330, 340)의 각각에 결합되는 면상발열체(400)가 제3 파이프(300)의 원주 방향의 전역에 걸쳐 형성되는 것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환기용 급기 덕트
100: 제1 파이프
200: 제2 파이프 300: 제3 파이프
310, 320, 330, 340: 영역 400: 면상발열체
500: 단열부재
200: 제2 파이프 300: 제3 파이프
310, 320, 330, 340: 영역 400: 면상발열체
500: 단열부재
Claims (5)
- 실외 공간에 연결되는 제1 파이프;
실내 공간에 연결되는 제2 파이프;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를 연결하는 제3 파이프; 및
상기 제3 파이프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면상발열체를 포함하는 환기용 급기 덕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이프의 내주면은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면상발열체는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각각에 결합되는 환기용 급기 덕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제3 파이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분리 배치되는 환기용 급기 덕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각각은 상기 제3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환기용 급기 덕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각각은 상기 제3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환기용 급기 덕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7627A KR101984919B1 (ko) | 2017-11-07 | 2017-11-07 | 환기용 급기 덕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7627A KR101984919B1 (ko) | 2017-11-07 | 2017-11-07 | 환기용 급기 덕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1701A true KR20190051701A (ko) | 2019-05-15 |
KR101984919B1 KR101984919B1 (ko) | 2019-05-31 |
Family
ID=6657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7627A KR101984919B1 (ko) | 2017-11-07 | 2017-11-07 | 환기용 급기 덕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491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183U (ja) * | 1992-03-06 | 1994-01-21 | サミー工業株式会社 | 電熱ヒーター |
JP2009287906A (ja) | 2008-06-02 | 2009-12-10 | Sekisui Chem Co Ltd | 換気用ダクト |
KR20170040686A (ko) * | 2015-10-05 | 2017-04-1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용 공조장치 |
-
2017
- 2017-11-07 KR KR1020170147627A patent/KR1019849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183U (ja) * | 1992-03-06 | 1994-01-21 | サミー工業株式会社 | 電熱ヒーター |
JP2009287906A (ja) | 2008-06-02 | 2009-12-10 | Sekisui Chem Co Ltd | 換気用ダクト |
KR20170040686A (ko) * | 2015-10-05 | 2017-04-1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용 공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4919B1 (ko) | 2019-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77956B2 (en) | Heat exchanger with enhanced airflow | |
US8876581B2 (en) | Supply air terminal device | |
BRPI0502223A (pt) | Caixa para o alojamento, em uma instalação de aquecimento, ventilação e/ou climatização, notadamente de veìculo automóvel, de um trocador de calor | |
WO2009117296A3 (en) | Steam-based hvac system | |
GB2581729A (en) | Air conditioning module | |
KR101984919B1 (ko) | 환기용 급기 덕트 | |
US11209104B2 (en) | Fastening system for a pipe passing through a panel of an air handling unit, and air handling unit comprising such a system | |
JP2008107076A (ja) | 加熱システムのための熱交換チューブ | |
JP2019172267A5 (ko) | ||
EP1703215A1 (en) | Radiating aluminium panel for false ceilings | |
JP4200523B2 (ja) | 局所空間を精密に温度制御するための空調システム | |
JPS60238631A (ja) | 吸排気ダクト | |
US9982900B2 (en) | Method of attaching electrodes to plated thermoset plastic heated blower housing | |
JP6322601B2 (ja) | 空気流通パネル | |
JP2015005615A (ja) | 配管への熱電発電素子の設置方法および熱電発電装置 | |
JP2004197988A (ja) | 冷暖房装置 | |
US20210172644A1 (en) | Compact diffuser | |
JP2006170551A (ja) | 天井輻射パネル | |
JP7067028B2 (ja) | 温水暖房装置 | |
US20110110652A1 (en) | Active air heater | |
KR101664805B1 (ko) | 해양 플랜트의 복사 냉난방 시스템 | |
US7243677B2 (en) | Air exchange assembly | |
US20240328645A1 (en) | Ceiling element with air outlet box | |
FI120846B (fi) | Ilmavirtauksen säädinlaite | |
WO2019230004A1 (ja) | 暖冷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