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744A -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 - Google Patents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0744A KR20190050744A KR1020190035885A KR20190035885A KR20190050744A KR 20190050744 A KR20190050744 A KR 20190050744A KR 1020190035885 A KR1020190035885 A KR 1020190035885A KR 20190035885 A KR20190035885 A KR 20190035885A KR 20190050744 A KR20190050744 A KR 201900507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lined wall
- water channel
- wall
- water
- sm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는,
수로바닥부;
상기 수로바닥부의 좌우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바닥부와 함께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측벽; 및
상기 수로내에 놓여지며, 상기 수로바닥부에 결합되는 블록바닥부와, 상기 블록바닥부의 상면에 위치된 경사벽으로 구성된 어도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벽은 상기 블록바닥부의 일측 끝단에서 중앙을 향해 점차 낮아지며,
상기 경사벽의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은, 상류에서 하류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로바닥부;
상기 수로바닥부의 좌우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바닥부와 함께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측벽; 및
상기 수로내에 놓여지며, 상기 수로바닥부에 결합되는 블록바닥부와, 상기 블록바닥부의 상면에 위치된 경사벽으로 구성된 어도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벽은 상기 블록바닥부의 일측 끝단에서 중앙을 향해 점차 낮아지며,
상기 경사벽의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은, 상류에서 하류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도벽식 어도(1)는, 물의 흐름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유하거리가 증가하는 원리로 유속을 저감하지만, 수심이 낮고 회전구간에서 가속이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 계단식 어도(2)는, 격벽을 넘는 흐름만 유속을 가져 어도의 기울기가 1/20 이하에서는 안정적인 어도이나, 낙차가 큰 보에서는 어도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지고 소하천에는 하천규모에 비해 과대한 어도 설치로 경관을 해치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도벽식 어도와 계단식 어도의 단점을 없애고 장점만을 취한,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는,
수로바닥부;
상기 수로바닥부의 좌우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바닥부와 함께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측벽; 및
상기 수로내에 놓여지며, 상기 수로바닥부에 결합되는 블록바닥부와, 상기 블록바닥부의 상면에 위치된 경사벽으로 구성된 어도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벽은 상기 블록바닥부의 일측 끝단에서 중앙을 향해 점차 낮아지며,
상기 경사벽의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은, 상류에서 하류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수로바닥부;
상기 수로바닥부의 좌우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바닥부와 함께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측벽; 및
상기 수로내에 놓여지며, 상기 수로바닥부에 결합되는 블록바닥부와, 상기 블록바닥부의 상면에 위치된 경사벽과, 상기 경사벽의 측면에 설치된 돌기로 구성된 어도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벽은 상기 블록바닥부의 일측 끝단에서 중앙을 향해 점차 낮아지며,
상기 경사벽의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은, 상류에서 하류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바뀌며,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오는 물과 직접 부딪치는 상기 돌기의 뒤쪽과 반대방향인 앞쪽으로 어류쉼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수로바닥부;
상기 수로바닥부의 좌우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바닥부와 함께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측벽; 및
상기 수로내에 놓여지며, 상기 수로바닥부에 결합되는 블록바닥부와, 상기 블록바닥부의 상면에 위치된 경사벽과, 상기 경사벽의 측면에 설치된 돌기로 구성된 어도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벽은 상기 블록바닥부의 일측 끝단에서 중앙을 향해 점차 낮아지며,
상기 경사벽의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은, 상류에서 하류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바뀌며,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오는 물과 직접 부딪치는 상기 돌기의 뒤쪽과 반대방향인 앞쪽으로 입구가 구비된 어류쉼터가 상기 돌기의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직선흐름과 곡선흐름이 겹치면서 흐름간섭으로 유속이 저감되어 자연흐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종래 도벽식 어도가 가진 물의 흐름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유하거리가 증가되는 원리로 유속을 저감시키는 장점은 가지면서, 수심이 낮고 회전구간에서 가속이 되는 단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종래 계단식 어도의 격벽을 넘는 흐름만 유속을 가져 어도의 기울기가 1/20 이하에서는 안정적일 수 있는 장점은 가지면서, 낙차가 큰 보에서는 어도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지고 소하천에는 하천규모에 비해 과대한 어도 설치로 경관을 해치는 부작용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면, 종래 도벽식 어도와 계단식 어도의 단점을 없애고 장점만을 취한, 자연흐름 형성에 의한 유속감소로 어류이동 효율이 높아진 어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속감소로 인한 어류쉼터를 군데군데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록바닥부의 일측 끝단에서 중앙을 향해 점차 낮아지며, 상류에서 하류방향을 따라,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이 번갈아가며 바뀌는 경사벽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오는 물이 평상시나 우기(雨氣)는 물론 갈수기(渴水期)에도 어도로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경사벽이 없는 부분으로는, 물이 경사벽의 높이와 상관없이 경사벽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흐를 수 있으므로, 경사벽의 경사각을 조절하면, 경사벽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흐르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사벽의 측면에 돌기가 설치되어, 상류에서 하류로 물과 직접 부딪치는 돌기의 뒤쪽과 반대방향인 앞쪽에 어류가 휴식할 수 있는 어류쉼터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어류가 어류쉼터에서 잠시 쉬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은 경사벽의 측면에 돌기가 설치되어,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오는 물과 직접 부딪치는 돌기의 뒤쪽과 반대방향인 앞쪽에 입구가 있는 어류쉼터를 돌기의 내부에 형성한다. 이로 인해, 어류가 어류쉼터에서 편안하게 쉬어갈 수 있다.
도 1은 종래 도벽식 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계단식 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직선흐름과 곡선흐름이 겹치면서 흐름간섭으로 유속이 저감되어 자연흐름이 형성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계단식 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직선흐름과 곡선흐름이 겹치면서 흐름간섭으로 유속이 저감되어 자연흐름이 형성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2,3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를 각각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1,2,3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를 설치할 수 있는 공통적인 하천의 조건과 공통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물의 흐름 유형과 속도를 결정하는 요소는 어도기울기와 어도길이다.
어도기울기와 어도길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어도기울기 : 어도입구와 출구의 높이차 / 거리
- 어도길이 : 어도입구에서 출구까지 거리
본 발명의 제1,2,3실시예에 따른 소형어도는, 소규모 하천 (소하천, 하폭에 비해 유로가 좁은 하천)에 어도길이가 30m 이내 또는 작은 어도기울기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2,3실시예에 따른 소형어도는, 어도입구와 출구의 높이차가 크지 않도록, 낙차가 적은 보(1~1.5m)에 어도기울기 1/10~1/20로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3실시예에 따른 소형어도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톱니형 경사벽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톱니형 경사벽을 가진 어도가 소규모 하천에 30m 이내의 어도길이 또는 작은 어도기울기로 설치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흐름(좌측도면 참조)과 직선흐름(우측도면 참조)이 겹치면서 흐름간섭으로 유속이 저감되어 자연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연흐름 형성에 의한 유속감소로 어류이동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유속감소로 인한 어류쉼터를 군데군데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100)는, 수로바닥부(101), 수로측벽(102), 어도블록(110)들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화살표는 상류에서 하류로 흘러내리는 물을 나타낸다.
수로바닥부(101)는 하천의 바닥에 설치된다. 수로바닥부(101)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진다.
수로측벽(102)은 수로바닥부(101)의 좌우측 끝단에 설치된다. 수로측벽(102)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다. 수로측벽(102)은 수로바닥부(101)를 만들 때 함께 만들어진다.
수로측벽(102)은 수로바닥부(101)와 함께 수로를 형성한다.
어도블록(110)은 수로내에 놓여진다.
어도블록(110)은 블록바닥부(111), 경사벽(112)으로 구성된다.
블록바닥부(111), 경사벽(112)은 일체로 만들어진다.
블록바닥부(111)는 수로바닥부(101) 위에 놓인 후, 수로바닥부(101)와 볼트(미도시)로 결합된다.
경사벽(112)은 블록바닥부(111)의 상면에 위치된다.
경사벽(112)의 높이는 블록바닥부(111)의 일측 끝단에서 중앙을 향해 점차 낮아진다. 이로 인해,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오는 물이 평상시나 우기(雨氣)는 물론 갈수기(渴水期)에도 경사벽(112)을 넘을 수 있다.
경사벽(112)의 경사각(θ)을 조절하여, 블록바닥부(111)에서 경사벽(112)이 없는 부분의 폭(W1)과 경사벽(112)이 놓여있는 부분의 폭(W2)을 조절할 수 있다.
경사각(θ)이 커질수록, 블록바닥부(111)에서 경사벽(112)이 없는 부분의 폭(W1)이 커지고, 경사각(θ)이 작아질수록, 블록바닥부(111)에서 경사벽(112)이 없는 부분의 폭(W1)은 작아진다.
경사벽(112)이 없는 부분으로는, 물이 경사벽(112)의 높이와 상관없이 경사벽(112)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흐를 수 있으므로, 경사벽(112)의 경사각(θ)을 조절하면, 경사벽(112)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흐르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경사벽(112)의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은, 상류에서 하류방향을 따라, 번갈아 가며 바뀐다. 즉, 경사벽(112)의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번갈아가며 바뀐다.
갈수기에는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오는 물이 경사벽(112)이 없는 부분과 경사벽(112)의 최저지점(P1)만을 넘고, 평상시에는 월류벽(113)의 중간지점(P2)까지 넘다가, 우기에는 월류벽(113)의 최고지점(P3)까지 모두 넘는다. 이로 인해, 어류가 평상시와 우기는 물론 갈수기에도 어도를 흐르는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어도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200)는, 수로바닥부(201), 수로측벽(202), 어도블록(210)들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화살표는 상류에서 하류로 흘러내리는 물을 나타낸다.
수로바닥부(201), 수로측벽(20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100)의 수로바닥부(101), 수로측벽(102)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어도블록(210)은 블록바닥부(211), 경사벽(212), 돌기(213)로 구성된다.
블록바닥부(211), 경사벽(21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어도블록(110)을 구성하는 블록바닥부(111), 경사벽(112)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돌기(213)는 경사벽(212)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돌기(213)의 형상은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유선형이다.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오는 물과 직접 부딪치는 돌기(213)의 뒤쪽과 반대방향인 앞쪽으로 어류쉼터(P4)가 형성된다. 어류는 어류쉼터(P4)에서 잠시 쉬어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300)는, 수로바닥부(301), 수로측벽(302), 어도블록(310)들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화살표는 상류에서 하류로 흘러내리는 물을 나타낸다.
수로바닥부(301), 수로측벽(30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100)의 수로바닥부(101), 수로측벽(102)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어도블록(310)은 블록바닥부(311), 경사벽(312), 돌기(313)로 구성된다.
블록바닥부(311), 경사벽(31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어도블록(110)을 구성하는 블록바닥부(111), 경사벽(112)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돌기(313)는 경사벽(312)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돌기(313)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유선형이다.
돌기(313)의 내부에는 어류가 휴식할 수 있는 어류쉼터(S)가 형성된다.
어류쉼터(S)의 입구는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오는 물과 직접 부딪치는 돌기(313)의 뒤쪽과 반대방향인 앞쪽에 구비된다.
어류는 어류쉼터(S)에서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다.
1: 도벽식 어도 2: 계단식 어도
100,200,300: 소형어도 112,212,312: 경사벽
100,200,300: 소형어도 112,212,312: 경사벽
Claims (1)
- 수로바닥부와, 상기 수로바닥부의 좌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바닥부와 함께 수로를 형성하는 좌측수로측벽과, 상기 수로바닥부의 우측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바닥부와 함께 수로를 형성하는 우측수로측벽과, 상기 수로내에 놓여지며 상기 수로바닥부에 결합되는 블록바닥부로 구성되어,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설치된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에 있어서,
상기 좌측수로측벽과 상기 수로바닥부에 걸쳐서 설치되며, 상기 좌측수로측벽에서 상기 수로바닥부를 향해 하향 경사져 우측 끝단의 최고점과 최저점이 동일한 직각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좌측수로측벽에서 상기 수로바닥부를 향해 하향 경사져 우측 끝단의 최저점이 상기 블록바닥부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1경사벽; 및
상기 우측수로측벽과 상기 수로바닥부에 걸쳐서 설치되며, 상기 우측수로측벽에서 상기 수로바닥부를 향해 하향 경사져 좌측 끝단의 최고점과 최저점이 동일한 직각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우측수로측벽에서 상기 수로바닥부를 향해 하향 경사져 좌측 끝단의 최저점이 상기 블록바닥부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2경사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벽의 바닥면의 길이는 상기 제1경사벽의 우측 끝단이 상기 제2경사벽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제2경사벽의 바닥면의 길이는 상기 제2경사벽의 좌측 끝단이 상기 제1경사벽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는 것이 기본이나,
소규모 하천의 유량을 고려하여, 항시 직선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경사벽의 경사각 및 상기 제2경사벽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상기 블록바닥부에서 상기 제1경사벽 및 상기 제2경사벽이 없는 부분의 폭과 상기 제1경사벽 및 상기 제2경사벽이 놓여있는 부분의 폭을 조절하여, 상기 제1경사벽의 우측 끝단과, 상기 제2경사벽의 좌측 끝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상기 제1경사벽과 상기 제2경사벽은 번갈아가며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설치되며,
어도길이는 어도입구에서 출구까지 거리로 정의되고, 어도기울기는 어도입구와 출구의 높이차 / 거리로 정의될 때,
상기 어도길이는 30m 이내이며, 상기 어도기울기는 1/10~1/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5885A KR20190050744A (ko) | 2019-03-28 | 2019-03-28 |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5885A KR20190050744A (ko) | 2019-03-28 | 2019-03-28 |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3220A Division KR20190002916A (ko) | 2017-06-30 | 2017-06-30 |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0744A true KR20190050744A (ko) | 2019-05-13 |
Family
ID=6658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5885A KR20190050744A (ko) | 2019-03-28 | 2019-03-28 |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5074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29727A (zh) * | 2019-07-30 | 2019-12-31 | 福建省水利水电勘测设计研究院 | 河口新型仿生态鱼道水力设计方法 |
KR102165005B1 (ko) * | 2020-02-29 | 2020-10-13 | 하해개발 주식회사 | 한국 환경에 적합한 조립식 격벽 블록 어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2510B1 (ko) | 2010-08-19 | 2011-06-17 | 신강하이텍(주) | 어도 시공방법 |
-
2019
- 2019-03-28 KR KR1020190035885A patent/KR20190050744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2510B1 (ko) | 2010-08-19 | 2011-06-17 | 신강하이텍(주) | 어도 시공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29727A (zh) * | 2019-07-30 | 2019-12-31 | 福建省水利水电勘测设计研究院 | 河口新型仿生态鱼道水力设计方法 |
KR102165005B1 (ko) * | 2020-02-29 | 2020-10-13 | 하해개발 주식회사 | 한국 환경에 적합한 조립식 격벽 블록 어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02916A (ko) |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 | |
KR20190050744A (ko) | 소규모 하천용 유속저감형 소형어도 | |
KR20120015557A (ko) | 수중생태계 보호를 위한 어도 블록 | |
KR200418401Y1 (ko) |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 |
KR101155687B1 (ko) | 퇴적방지 구조를 구비한 래버린스 보 | |
JP2007032036A (ja) | 横軸ポンプ、ポンプゲート設備、排水機場 | |
CN101705669A (zh) | 鸭嘴型薄壁堰装置 | |
RU138311U1 (ru) | Водосброс гидросооружения | |
Gilja et al. | Impact of river training works on the Drava River flow regime | |
RU2557184C1 (ru) | Гаситель энергии водного потока | |
RU2088724C1 (ru) |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и способ ее сооружения | |
RU2816532C2 (ru) |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структуры потока воды у циркуляционного порога в русле водотока с водозаборным сооружением | |
RU2807696C2 (ru) |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ежимом потока в открытом канале | |
KR20090076290A (ko) | 홍수의 유속 방향을 변환하는 하천 만곡부의 급류를유도하기 위한 제방 | |
KR200318234Y1 (ko) | 어도 블럭 | |
JP7442197B2 (ja) | 跳水防止ガイド付き取水装置 | |
JP2568887Y2 (ja) | 取水槽 | |
JPH09256350A (ja) | 魚道及び魚道用ブロック | |
CN208201812U (zh) | 一种导流洞进水口消涡体型 | |
RU2269621C1 (ru) | Способ привлечения рыб во входной оголовок рыбоходно-нерестового канала и рыбоходно-нерестовый канал, его осуществляющий | |
SU1373753A1 (ru) | Водосбросное сооружение | |
RU2700948C1 (ru) | Двухсторонний вододелитель для каналов с большим уклоном | |
CN220352545U (zh) | 导流路平石以及道路排水结构 | |
CN217128119U (zh) | 一种河流故道生态过鱼设施及湿地系统 | |
RU2735957C1 (ru) | Поворо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каналов с бурным течение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