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598A -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 Google Patents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598A
KR20190050598A KR1020170146149A KR20170146149A KR20190050598A KR 20190050598 A KR20190050598 A KR 20190050598A KR 1020170146149 A KR1020170146149 A KR 1020170146149A KR 20170146149 A KR20170146149 A KR 20170146149A KR 20190050598 A KR20190050598 A KR 20190050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member
toothbrush
cleaning function
uni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9506B1 (ko
Inventor
최만오
Original Assignee
최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만오 filed Critical 최만오
Priority to KR102017014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5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B08B1/0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5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involving cleaning of the clea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마련된 손잡이부와, 상기 사용자의 입안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측면에 다수의 브러쉬가 마련된 헤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재는 타측면에 공급된 세척수에 의해 상기 브러쉬들 사이의 이물질이 제거되기 위해 세척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은 헤드부재에 다수의 광통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브러쉬가 설치된 헤드부재의 외측면의 반대편에 세척수를 공급하면 상기 관통로들을 통해 세척수가 브러쉬들 사이로 공급되어 브러쉬들 사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Toothbrush with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면에 다수의 브러쉬가 마련된 헤드부재의 타측면으로 세척수가 공급시 세척수에 의해 브러쉬들이 세척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로가 형성된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는 음식물의 미세한 찌꺼기가 치아에 남게 되고, 이로 인해 치아 표면이나 잇몸에 충치 또는 잇몸질환의 원인이 되는 치태(프라그)가 침착하게 된다.
이러한 치태를 제때에 제거하지 않고 방치하여 두면, 치아 표면 등이 거칠어지게 되면서 치태가 침착하기 더 좋은 환경으로 변해간다. 치태는 칫솔을 이용하여 잇몸쪽에서 치아쪽으로 쓸어내리듯이 닦아내도록 양치질을 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섭취한 후에는 하루에 세 번, 식사 후 3분 이내, 3분 동안 하는 올바른 양치질 습관을 실천하여 구강위생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양치질 전후에 충치나 잇몸질환이 있는지를 사전에 확인 점검하여 구강건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칫솔은 손잡이와, 손잡이의 길이방향의 선단부에 형성된 칫솔 헤드와, 칫솔헤드의 일면에 부착된 칫솔모로 이루어져 있는데, 칫솔모들 사이 이물질이 쉽게 끼어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며, 칫솔모들이 비교적 촘촘하게 마련되어 있어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6245호: 칫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브러쉬가 설치된 헤드부재의 외측면의 반대편에 세척수를 공급하면 브러쉬들 사이로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마련된 손잡이부와, 상기 사용자의 입안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측면에 다수의 브러쉬가 마련된 헤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재는 타측면에 공급된 세척수에 의해 상기 브러쉬들 사이의 이물질이 제거되기 위해 세척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로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브러쉬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직선 상으로 연장되되,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로는 상기 헤드부재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형성된 메인경로와, 상기 메인경로의 단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까지 연장형성된 복수의 단위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단위경로는 상기 브러쉬 측으로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에 인접된 단부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게 연장된다.
상기 헤드부재는 상기 단위경로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단위경로들 사이에 위치한 가상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상기 단위경로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헤드부재는 상기 관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세척수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단위경로의 단부 가장자리에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단위경로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단위경로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에 대해 상기 헤드부재의 타측면 방향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되,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단위경로의 중심에 인접되도록 상기 단위경로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재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타측면에 공급되는 세척수가 일측면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타측면으로부터 일측면까지 관통되게 다수의 보조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구는 상기 헤드부재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인접될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로는 상기 브러쉬로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가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재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으로 인접될수록 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은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재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탈착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헤드부재가 삽입되어 결속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헤드부재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지지본체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헤드부재가 상기 지지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지지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폐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의 상호 대향되는 측면들 중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의 상호 대향되는 측면들 중 다른 한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구가 형성된다.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지지본체에 상기 폐쇄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 중 다른 하나에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되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마련된 인입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본체에 상기 폐쇄부재가 결합시 상기 인입슬롯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 중 다른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로드와, 상기 삽입로드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로드가 상기 인입슬롯에 삽입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로드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 중 다른 하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상기 삽입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지지본체와 폐쇄부재를 상호 분리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가 분리되도록 상기 삽입로드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된 스위치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은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이 마련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재의 타측면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유입공간의 세척수가 상기 헤드부재의 타측면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간은 상기 유입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된 결합바디;가 마련된 세척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은 헤드부재에 다수의 광통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브러쉬가 설치된 헤드부재의 외측면의 반대편에 세척수를 공급하면 상기 관통로들을 통해 세척수가 브러쉬들 사이로 공급되어 브러쉬들 사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의 헤드부재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의 헤드부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의 헤드부재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의 헤드부재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의 헤드부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의 세척유닛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10)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마련된 손잡이부(11)와, 상기 사용자의 입안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1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측면에 다수의 브러쉬(13)가 마련된 헤드부재(12)를 구비한다.
손잡이부(11)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헤드부재(12)는 손잡이부(11)의 전단부에 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일측면인 상면에 다수의 브러쉬(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브레쉬는 헤드부재(1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헤드부재(12)는 타측면에 공급된 세척수에 의해 상기 브러쉬(13)들 사이의 이물질이 제거되기 위해 세척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로(14)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로(14)는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의 헤드부재(12)에, 직선상으로 연장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10)의 세척하기 위해서 수도꼭지나 샤워기 같이 세척수가 분출되는 공급수단의 배출구 하측에 헤드부재(12)의 타측면을 위치시키면 상기 세척수는 헤드부재(12)에 형성된 관통로(14)를 통해 헤드부재(12)의 일측면으로 분사된다. 이때, 관통로(14)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는 브러쉬(13)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브러쉬(13)들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10)은 헤드부재(12)에 다수의 광통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브러쉬(13)가 설치된 헤드부재(12)의 외측면의 반대편에 세척수를 공급하면 상기 관통로(14)들을 통해 세척수가 브러쉬(13)들 사이로 공급되어 브러쉬(13)들 사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재(2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부재(20)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브러쉬(13)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관통로(21)가 직선 상으로 연장되되, 상기 헤드부재(2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관통로(21)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척수가 헤드부재(20)의 일측면으로 분출시 브러쉬(13)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분출되어 브러쉬(13)들 사이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통로(3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관통로(30)는 상기 헤드부재(20)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재(20)의 일측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형성된 메인경로(31)와, 상기 메인경로(31)의 단부로부터 분기된 복수의 단위경로(32)를 포함한다.
메인경로(31)는 헤드부재(20)의 타측면에 대해 헤드부재(20)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인입되며, 헤드부재(20)의 타측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단위경로(32)들은 메인경로(31)의 단부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되, 헤드부재(20)의 일측면까지 연장된다. 상기 단위경로(32)들은 메인경로(31)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메인경로(31)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재(20)의 타측면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메인경로(31)로 유입되고, 메인경로(31)를 통과한 세척수는 단위경로(32)들로 각각 유입되어 단위경로(32)를 통해 브러쉬(13) 측으로 분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메인경로(31)로 유입된 세척수는 복수의 단위경로(32)를 통해 2방향으로 분사되므로 세척수의 분사범위가 보다 확장되어 이물질 제거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재(4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부재(40)는 상기 브러쉬(13) 측으로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재(40)의 일측면에 인접된 단위경로(41)의 단부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재(40)는 상기 단위경로(41)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단위경로(41)들 사이에 위치한 가상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상기 단위경로(41)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위경로(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단위경로(41)의 단부가 호형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단위경로(41)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분사범위가 보다 확장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재(40)는 상기 관통로(30)를 통과하는 상기 세척수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재(40)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단위경로(41)의 단부 가장자리에 가이드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42)은 단위경로(41)들 사이의 가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최외곽에 위치한 단위경로(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가이드홈(42)은 상기 단위경로(41)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재(40)의 일측면에 대해 상기 헤드부재(40)의 타측면 방향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는데, 상기 헤드부재(40)의 일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단위경로(41)의 중심에 인접되도록 상기 단위경로(41)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경로(41)를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 중 일부는 가이드홈(42)을 따라 분출되어 세척수의 분사범위가 더욱 확산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재(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부재(50)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타측면에 공급되는 세척수가 일측면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타측면으로부터 일측면까지 관통되게 다수의 보조구(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구(51)는 상기 헤드부재(50)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인접될수록 폭이 감소하는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브러쉬(13) 방향으로 보다 많은 양의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구(51)는 헤드부재(50)의 타측면에서 일측면으로 갈소록 헤드부재(50)의 내측에 인접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재(50)의 가장자리에 인접된 브러쉬(13)들에 이물질이 낄 경우, 상대적으로 브러쉬(13)가 비위생적이라는 느낌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는데, 상술된 헤드부재(50)는 보조구(51)들에 의해 가장자리에 인접된 브러쉬(13)들에 보다 많은 양의 세척수가 공급되어 사용자에게 브러쉬(13)들이 보다 청결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재(6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부재(60)는 상기 브러쉬(13)로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가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로(61)가 상기 헤드부재(60)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재(60)의 일측면으로 인접될수록 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로(61)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입구보다 세척수가 배출되는 출구가 더 큰 면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분출되는 세척수가 보다 넓은 범위로 확산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100)은 상기 손잡이부(1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재(12)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탈착유닛(110)을 더 구비한다.
상기 탈착유닛(110)은 상기 헤드부재(12)가 삽입되어 결속될 수 있도록 삽입홈(113)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113)은 상기 헤드부재(12)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지지본체(111)와, 상기 삽입홈(113)에 삽입된 상기 헤드부재(12)가 상기 지지본체(1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113)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지지본체(1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폐쇄부재(112)를 구비한다.
지지본체(111)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후단부가 손잡이부(11)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삽입홈(113)은 지지본체(111)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지지본체(111)의 상면에 대해 하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된다. 이때, 삽입홈(113)은 헤드부재(1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전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본체(111)는 삽입홈(113)에 삽입된 헤드부재(12)가 삽입홈(1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이탈방지부재(114)가 마련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14)는 삽입홈(113)의 좌우 내측면 상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114)는 삽입홈(113)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본체(111)는 삽입홈(113)에 대해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전면에 다수의 고정구(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115)는 다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의 지지본체(111)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부재(11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는데, 지지본체(111)의 좌우폭 및 상하 높이에 대응되는 좌우폭 및 상하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폐쇄부재(112)는 후면 하단부에 상기 고정구(115)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돌기(1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116)는 고정구(115)들에 각각 대향되는 위치의 폐쇄부재(112)의 후면에 각각 형성되며, 폐쇄부재(112)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고정돌기(116)가 폐쇄부재(112)에 형성되고, 지지본체(111)에 고정구(115)가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돌기(116)가 지지본체(111)에 형성되고, 고정구(115)가 폐쇄부재(11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고정돌기(116)는 상기 고정구(115)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폐쇄부재(112)에 인접될수록 외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손잡이부(11)가 지지본체(111)에 고정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손잡이부(11)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본체(111) 대신에 폐쇄부재(112)에 고정될 수도 있다.
헤드부재(12)의 브러쉬(13)가 오염될 경우, 먼저, 지지본체(111)로부터 폐쇄부재(112)를 분리한 다음, 헤드부재(12)를 삽입홈(113)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다음, 지지본체(111)로부터 분리한 헤드부재(12)의 타측면에 세척수를 공급하면, 관통로(30)를 통해 세척수가 헤드부재(12)의 브러쉬(13)에 공급되어 브러쉬(13)들이 세척된다. 헤드부재(12)의 세척이 완료되면, 헤드부재(12)를 삽입홈(113)에 삽입한 다음, 지지본체(111)의 전면에 폐쇄부재(112)를 결합하여 헤드부재(12)를 지지본체(111)에 고정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100)은 탈착유닛(110)에 의해 헤드부재(12)를 용이하게 손잡이부(11)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헤드부재(12)를 보다 손쉽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착유닛(1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탈착유닛(110)은 상기 지지본체(111)에 상기 폐쇄부재(112)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200)를 더 구비한다.
이때, 손잡이부(11)의 단부에 폐쇄부재(112)가 고정되며, 삽입홈(113)은 헤드부재(1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본체(111)의 후면에는 인입슬롯(1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슬롯(101)은 지지본체(111)의 후면에 대해 전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되며, 좌우 내측면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걸림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폐쇄부재(112)의 전단부에는 지지본체(111)의 인입슬롯(101)에 인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03)는 폐쇄부재(112)의 전면 하측에,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며, 인입슬롯(101)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폐쇄부재(112) 및 삽입부(103) 내부에는 고정부(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104)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200)는 상기 지지본체(111)에 상기 폐쇄부재(112)가 결합시 상기 인입슬롯(10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폐쇄부재(1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에 상기 걸림홈(102)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돌기(211)가 마련된 복수의 삽입로드(210)와, 상기 삽입로드(210)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로드(210)가 상기 인입슬롯(101)에 삽입시 상기 걸림돌기(211)가 상기 걸림홈(102)에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로드(210)의 일단부가 상기 폐쇄부재(1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상기 삽입로드(2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220) 상기 지지본체(111)와 폐쇄부재(112)를 상호 분리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홈(102)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211)가 분리되도록 상기 삽입로드(210)를 변형 또는 회동시킬 수 있도록 폐쇄부재(112)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230)를 구비한다.
삽입로드(210)는 폐쇄부재(112)의 내부공간(104)에 후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복수개가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삽입부(103)의 좌우측면에는 각각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삽입로드(210)는 전단부가 관통구를 통해 폐쇄부재(112)의 삽입부(103) 외측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삽입로드(210)들은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된다. 걸림돌기(211)는 삽입로드(210)의 전단부에 형성되며, 걸림돌기(211)가 인입슬롯(101)에 삽입시 걸림홈(10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삽입로드(210)로부터 돌출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삽입로드(210)가 폐쇄부재(112)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삽입로드(21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지본체(111) 및 폐쇄부재(112)의 크기에 따라 1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탄성부(220)는 삽입로드(210)들 사이의 폐쇄부재(112) 내부에 형성된 간섭돌기(221)와, 상기 간섭돌기(221)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삽입로드(210)에 제공할 수 있도록 삽입로드(210)들의 후단부에 각각 연장된 연장부재(222)를 구비한다.
간섭돌기(221)는 삽입로드(210)들의 후단부 사이의 폐쇄부재(112) 내부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연장부재(222)는 각 삽입로드(210)의 후단부에 연장되되, 단부가 간섭부재에 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곡률를 갖도록 전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된다. 이때, 연장부재(222)는 단부가 삽입로드(210)의 회전축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며, 삽입로드(210)와 함께 소정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230)에 의해 간섭돌기(221)가 삽입부(103)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삽입로드(210)가 회동시 연장부재(222)는 단부가 삽입로드(210)에 인접되게 변형되는데, 변형되는 만큼 탄성력이 발생되어 삽입로드(210)에 제공한다.
한편, 탄성부(22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걸림돌기(211)가 삽입부(103) 외측에 돌출방향으로 삽입로드(210)가 회동되도록 삽입로드(2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삽입로드(210)에 각각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할 수도 있다.
스위치(230)는 복수개가 삽입로드(210)들에 대해 후방으로 인격된 위치의 폐쇄부재(112) 내부에 후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스위치(230)는 외주면이 폐쇄부재(11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전단부는 회동시 폐쇄부재(112)의 내부로 인입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위치(230)는 전단부가 폐쇄부재(112)의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회동시 각 삽입로드(210)를 간섭할 수 있도록 삽입로드(210)에 대향되는 전단부에 간섭바(2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간섭바(231)는 일단이 스위치(230)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동중심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삽입로드(210)에 접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본체(111)에 인입슬롯(101)이 형성되고, 폐쇄부재(112)에 고정부(200)가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폐쇄부재(112)에 인입슬롯(101)이 형성되고, 지지본체(111)에 고정부(2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헤드부재(12)의 브러쉬(13)가 오염될 경우, 먼저, 스위치(230)들을 누르면 스위치(230)의 전단부가 폐쇄부재(112) 내측으로 인입되게 회동되고, 회동되는 스위치(230)에 의해 간섭바(231)는 삽입로드(210)를 간섭하여 삽입로드(210)가 걸림돌기(211)가 걸림홈(10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회동시킨다. 사용자는 스위치(230)를 누른 상태에서 지지본체(111)로부터 폐쇄부재(112)를 분리한다. 다음, 헤드부재(12)를 삽입홈(113)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지지본체(111)로부터 분리한 헤드부재(12)의 타측면에 세척수를 공급하면, 관통로(14)를 통해 세척수가 헤드부재(12)의 브러쉬(13)에 공급되어 브러쉬(13)들이 세척된다. 헤드부재(12)의 세척이 완료되면, 헤드부재(12)를 삽입홈(113)에 삽입한 다음, 폐쇄부재(112)의 삽입부(103)를 지지본체(111)의 인입슬롯(101)에 인입시킨다. 이때, 삽입로드(210)는 탄성부(220)에 의해 걸림돌기(211)가 삽입부(103)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동된 상태이므로 걸림돌기(211)가 인입슬롯(101)의 걸림홈(102)에 걸려 지지본체(111)에 폐쇄부재(112)가 고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100)은 탈착유닛(110)에 의해 헤드부재(12)를 용이하게 손잡이부(11)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헤드부재(12)를 보다 손쉽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장치(301)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헤드부재(12)에 공급하는 세척유닛(300)을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공급장치(301)는 건축물의 수도시설에 연결된 수도꼭지가 적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급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기 세척유닛(300)은 공급장치(301)에 설치되는 메인바디(310)와, 메인바디(310)에 설치되며, 헤드부재(12)가 결합되는 결합바디(320)를 구비한다.
메인바디(310)는 내부에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311)이 마련되며, 상면에는 공급장치(301)의 수도꼭지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312)가 형성되어 있다. 세척수가 토출되는 수도꼭지의 단부가 상기 결합구(312)에 삽입되어 수도꼭지가 메인바디(310)에 결합된다. 한편, 메인바디(310)는 결합구(312)에 결합된 수도꼭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바디(320)는 메인바디(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3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재(12)의 타측면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재(1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간(321)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유입공간(311)의 세척수가 상기 헤드부재(12)의 타측면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간(321)은 상기 유입공간(311)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헤드부재(12)가 결합바디(320)에 결합시 헤드부재(12)의 외측면이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간(321)은 헤드부재(12)의 단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바디(320)는 메인바디(310)와 동일하게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결합바디(320)는 메인바디(310)의 하단에 인접된 위치에 상기 결합공간(321)에 인입된 헤드부재(12)가 인입공간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지돌기(3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지돌기(322)는 결합바디(320)의 내측면에 대해 결합공간(32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결합바디(320)의 내측면을 따라 폐궤도를 이루도록 연장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헤드부재(12)의 브러쉬(13)를 세척하기 위해 탈착유닛(110)으로부터 헤드부재(12)를 분리한 다음, 헤드부재(12)의 타측면이 결합공간(321)으로 인입되게 헤드부재(12)를 결합바디(320)에 결합시킨다. 다음, 메인바디(310)의 상부를 공급장치(301)인 수도꼭지 단부에 결합시키고, 수도꼭지를 작동시켜 메인바디(31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메인바디(31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결합바디(320)에 결합된 헤드부재(12)의 타측면으로 공급되고, 헤드부재(12)의 관통로(14)를 통과하여 브러쉬(13)를 세척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세척유닛(300)은 세척수는 공급하는 공급장치(301)에 헤드부재(12)를 고정시키므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헤드부재(12)의 브러쉬를 세척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11: 손잡이부
12: 헤드부재
13: 브러쉬
14: 관통로

Claims (15)

  1.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마련된 손잡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안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측면에 다수의 브러쉬가 마련된 헤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재는 타측면에 공급된 세척수에 의해 상기 브러쉬들 사이의 이물질이 제거되기 위해 세척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로가 형성된,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로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브러쉬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직선 상으로 연장되되,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로는 상기 헤드부재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형성된 메인경로와, 상기 메인경로의 단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까지 연장형성된 복수의 단위경로를 포함하는,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경로는 상기 브러쉬 측으로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에 인접된 단부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게 연장된,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는 상기 단위경로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단위경로들 사이에 위치한 가상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으로 상기 단위경로들이 형성된,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는 상기 관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세척수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단위경로의 단부 가장자리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단위경로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단위경로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에 대해 상기 헤드부재의 타측면 방향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되,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단위경로의 중심에 인접되도록 상기 단위경로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타측면에 공급되는 세척수가 일측면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타측면으로부터 일측면까지 관통되게 다수의 보조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구는 상기 헤드부재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인접될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로는 상기 브러쉬로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가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재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재의 일측면으로 인접될수록 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된,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재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탈착유닛;을 더 구비하는,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헤드부재가 삽입되어 결속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헤드부재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지지본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헤드부재가 상기 지지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지지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폐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손잡이부에 고정된,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의 상호 대향되는 측면들 중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의 상호 대향되는 측면들 중 다른 한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구가 형성된,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지지본체에 상기 폐쇄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 중 다른 하나에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되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마련된 인입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본체에 상기 폐쇄부재가 결합시 상기 인입슬롯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 중 다른 하나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로드;
    상기 삽입로드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로드가 상기 인입슬롯에 삽입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로드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 중 다른 하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상기 삽입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지지본체와 폐쇄부재를 상호 분리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가 분리되도록 상기 삽입로드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본체 또는 폐쇄부재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된 스위치;를 구비하는,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이 마련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재의 타측면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유입공간의 세척수가 상기 헤드부재의 타측면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간은 상기 유입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된 결합바디;가 마련된 세척유닛;을 더 구비하는,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KR1020170146149A 2017-11-03 2017-11-03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KR102059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149A KR102059506B1 (ko) 2017-11-03 2017-11-03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149A KR102059506B1 (ko) 2017-11-03 2017-11-03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598A true KR20190050598A (ko) 2019-05-13
KR102059506B1 KR102059506B1 (ko) 2019-12-26

Family

ID=6658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149A KR102059506B1 (ko) 2017-11-03 2017-11-03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5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4591A (zh) * 2020-11-05 2021-03-12 余天奎 一种路灯太阳能板清理装置
KR102257286B1 (ko) * 2019-11-20 2021-05-27 신향희 손톱 클리닝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245A (ko) 2010-03-24 2017-10-18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543Y1 (ko) * 2005-11-17 2006-01-31 박홍신 관통부를 가진 칫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6245A (ko) 2010-03-24 2017-10-18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286B1 (ko) * 2019-11-20 2021-05-27 신향희 손톱 클리닝 어셈블리
CN112474591A (zh) * 2020-11-05 2021-03-12 余天奎 一种路灯太阳能板清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506B1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864B1 (ko) 구강 세정시스템
US5774925A (en) Oral wash brush
EP1621106B2 (en) Oral care implement
US6932603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KR100625267B1 (ko) 구강 세척기
US20100050358A1 (en) Interdental brush
KR20190050598A (ko)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KR102342459B1 (ko) 다용도 샤워헤드
KR200466351Y1 (ko) 구강 세정 장치
KR100883358B1 (ko) 칫솔
CN205993890U (zh) 喷水牙刷
KR101036674B1 (ko) 회전 칫솔
KR101703313B1 (ko) 워터 칫솔
KR102167980B1 (ko) 수도관 개폐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구강 세척기
KR101337774B1 (ko) 구강 세정 시스템
KR20220063339A (ko) 칫솔
KR20200145518A (ko) 탈부착이 가능한 브러쉬 샤워기
KR20160004495U (ko) 실리콘으로 형성된 세정용 솔
WO1994000076A1 (en) Shower typed oral hygienic device
KR200364804Y1 (ko) 구강용 세척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CN200941898Y (zh) 喷水牙刷
KR200247899Y1 (ko) 액상치약이내장된칫솔
KR101579539B1 (ko) 에어 토출 구조가 적용된 칫솔
CN202959303U (zh) 一种水洗牙刷
KR200314124Y1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