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455A -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455A
KR20190050455A KR1020170145870A KR20170145870A KR20190050455A KR 20190050455 A KR20190050455 A KR 20190050455A KR 1020170145870 A KR1020170145870 A KR 1020170145870A KR 20170145870 A KR20170145870 A KR 20170145870A KR 20190050455 A KR20190050455 A KR 20190050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information
environment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8523B1 (ko
Inventor
황현철
Original Assignee
(주)레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이원 filed Critical (주)레이원
Priority to KR1020170145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5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60W2550/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에어콘과 히터를 포함한 환경작동요소의 가동을 조정하는 차량구동부와, 차량의 실내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환경작동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조작정보 수집부와, 차량의 실내온도를 포함하는 차량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맥박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와, 학습모드에서는 차량조작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조작정보와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에서 제공된 환경정보 및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매칭되게 학습 프로파일을 구축하고, 자동처리모드에서는 구축된 학습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에서 제공된 환경정보와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차량의 실내환경이 되도록 상기 차량구동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 유니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사용자 실내 환경 조작 정보로부터 학습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 환경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artificial intelligence car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실내환경과 사용자의 생체정보로부터 학습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환경작동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무인화 산업의 연구 개발 및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차량산업은 IT 기술들이 접목되어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 증대를 위한 사고예방, 사고회피, 충돌안전, 편의성 향상, 차량 정보화 그리고 자율주행 기술 등을 적용한 지능형 차량들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지능형 차량은 운전자의 부주의나 조작 미숙에 대한 지원기술, 음성인식 등을 통한 편의 기능을 지원하는 차량으로서, 운전자의 과실에 의한 사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감소, 연료낭비, 배기가스 저감 등의 이점을 기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무인 자율주행 차량(Unmanned Ground Vehicle: UGV)은 지능형 차량 기술의 집합체로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원하는 목적지를 지정하면 이후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현재 위치나 목적지까지 최적의 경로를 생성하여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로의 교통신호나 표지판을 인지하고, 교통 흐름에 맞게 적절한 속도를 유지, 위험상황을 인지하여 사고예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스스로 차선을 유지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차선변경이나 추월, 장애물 등을 회피하기 위해 적절한 조향을 하며 원하는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다.
최근, 무인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자율주행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자율 주행시스템은 도로맵 정보를 바탕으로 GPS 위치정보 및 각종 센서에서 취득한 신호를 이용하여 도로상의 시작점부터 종료점까지 차량의 주행을 자동으로 제어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율 주행 시스템은 등록특허 제10-1063302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다.
한편, 차량에는 차량의 실내온도를 자동으로 조정하거나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게 조정하는 기능을 일반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내온도 자동조정의 기능은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 범위에 도달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마다 요구하는 실내 환경조건으로 최적화 하도록 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사용자의 실내환경 조정에 대한 차량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차량 조작정보와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최적화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처리하는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는 차량의 에어콘과 히터를 포함한 환경작동요소의 가동을 조정하는 차량구동부와; 차량의 실내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환경작동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조작정보 수집부와; 차량의 실내온도를 포함하는 차량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맥박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와; 학습모드에서는 상기 차량조작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조작정보와 상기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에서 제공된 환경정보 및 상기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매칭되게 학습 프로파일을 구축하고, 자동처리모드에서는 구축된 학습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에서 제공된 환경정보와 상기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차량의 실내환경이 되도록 상기 차량구동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 유니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경작동요소는 창문을 개폐하는 창문엑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는 운전자의 산호포화도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는 본체 상에 장착되어 차량의 외부 영상을 촬상하여 기록하는 영상기록모듈과; 상기 착용자 생체 정보 제공부와 상기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와 상기 차량조작정보 수집부와 상기 차량구동부와 인터페이싱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학습모드에서 상기 차량조작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조작정보와 상기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에서 제공된 환경정보 및 상기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매칭되게 학습 프로파일을 구축하는 차량제어 학습모듈과; 상기 자동처리모드에서는 상기 차량제어 학습모듈에서 구축된 학습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에서 제공된 환경정보와 상기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차량의 실내환경이 되도록 상기 차량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제어모듈;울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사용자 실내 환경 조작 정보로부터 학습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 환경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100)는 차량구동부(160), 차량조작정보 수집부(150), 차량환경정보 센서부(130),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140), 메인 제어 유니트(110)를 구비한다.
차량구동부(160)는 환경작동요소(170)의 가동을 메인 제어 유니트(110)에 의해 조정한다.
여기서 환경작동요소(170)는 차량의 실내환경을 조정할 수 있는 에어콘(172), 히터(174) 및 창문 엑츄에이터(176)가 적용된다.
여기서, 창문 엑츄에이터(176)는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창문을 구동하는 요소이다.
차량조작정보 수집부(150)는 차량의 실내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환경작동요소(17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정보를 수집한다.
즉, 차량조작정보 수집부(150)는 사용자가 차량의 에어콘(172)의 작동 온/오프 및 작동온 조작시의 풍량 등 지원되는 기능에 대한 설정조건, 히터(174)의 작동 온/오프 및 작동온 조작시의 풍량 등 지원되는 기능에 대한 설정조건, 창문의 개방 또는 폐쇄 조작 등에 대한 조작정보를 수집한다.
차량조작정보 수집부(150)는 에어콘(172), 히터(174) 및 창문의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생성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구축되면 된다.
차량환경정보 센서부(130)는 차량의 실내온도를 포함하는 차량환경정보를 검출하여 메인 제어유니트(110)에 제공한다.
차량환경정보 센서부(130)는 차량의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32), 차량의 외부조도를 검출하는 외부조도센서(134), 차량의 실내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136)가 적용되어 있다.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140)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맥박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정보를 메인 제어유니트(110)에 제공한다.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140)는 운전자의 맥박을 검출하는 맥박센서(142)와, 운전자의 산호포화도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센서(144)를 포함한다.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140)는 착용자가 되는 운전자의 맥박과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체적 부위 예를 들면 팔, 손목 등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측정된 생체정보를 메인 제어유니트(110)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120)는 메인 제어유니트(110)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부(120)는 학습모드와, 자동처리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메인 제어 유니트(110)는 학습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는 차량조작정보 수집부(150)로부터 수집된 조작정보와 차량환경정보 센서부(130)에서 제공된 환경정보 및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매칭되게 학습 프로파일을 구축하고, 자동처리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는 구축된 학습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차량환경정보 센서부(130)에서 제공된 환경정보와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차량의 실내환경이 되도록 차량구동부(160)를 제어한다.
메인 제어유니트는 영상기록모듈(112), 인터페이스 모듈(114), 차량제어 학습모듈(116), 차량제어모듈(118)울 구비한다.
영상기록모듈(112)은 차량에 장착될 수 있게 형성된 본체 상에 장착되어 차량의 외부 영상을 카메라로 촬상하여 메모리에 기록한다.
인터페이스 모듈(114)은 착용자 생체 정보 제공부(140)와, 차량환경정보 센서부(130)와, 차량조작정보 수집부(150) 및 차량구동부(160)와 인터페이싱을 지원한다.
인터페이스 모듈(114)은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 방식으로 앞서 설명된 착용자 생체 정보 제공부(140)와, 차량환경정보 센서부(130)와, 차량조작정보 수집부(150) 및 차량구동부(160)와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차량제어 학습모듈(116)은 학습모드에서 실행되며 차량조작정보 수집부(150)로부터 수집된 조작정보와 차량환경정보 센서부(130)에서 제공된 환경정보 및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매칭되게 학습 프로파일을 구축한다.
차량제어 모듈(118)은 자동처리모드에서 실행되며 차량제어 학습모듈(116)에서 구축된 학습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차량환경정보 센서부(130)에서 제공된 환경정보와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차량의 실내환경이 되도록 차량구동부(160)를 제어한다.
일 예로서, 학습모드에서 차량제어 학습모듈(116)은 운전자가 졸음이 오는 것 같아 창문을 개방시키는 조작을 하는 경우 운전자로부터 검출된 산소포화도값을 제1산소포화도값으로 기록하고, 자동처리모드에서 차량제어모듈(118)은 운전자의 산호포화도값이 제1산소포화도값에 해당하면 자동으로 창문이 개방되게 처리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사용자 실내 환경 조작 정보로부터 학습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 환경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10: 메인 제어 유니트 120: 조작부
130: 차량환경정보 센서부 140: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
150: 차량조작정보 수집부 160: 차량구동부

Claims (3)

  1. 차량의 에어콘과 히터를 포함한 환경작동요소의 가동을 조정하는 차량구동부와;
    차량의 실내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환경작동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조작정보 수집부와;
    차량의 실내온도를 포함하는 차량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맥박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와;
    학습모드에서는 상기 차량조작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조작정보와 상기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에서 제공된 환경정보 및 상기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매칭되게 학습 프로파일을 구축하고, 자동처리모드에서는 구축된 학습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에서 제공된 환경정보와 상기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차량의 실내환경이 되도록 상기 차량구동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작동요소는 창문을 개폐하는 창문엑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는 운전자의 산호포화도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는 본체 상에 장착되어 차량의 외부 영상을 촬상하여 기록하는 영상기록모듈과;
    상기 착용자 생체 정보 제공부와 상기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와 상기 차량조작정보 수집부와 상기 차량구동부와 인터페이싱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학습모드에서 상기 차량조작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조작정보와 상기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에서 제공된 환경정보 및 상기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매칭되게 학습 프로파일을 구축하는 차량제어 학습모듈과;
    상기 자동처리모드에서는 상기 차량제어 학습모듈에서 구축된 학습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환경정보 센서부에서 제공된 환경정보와 상기 착용자 생체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차량의 실내환경이 되도록 상기 차량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제어모듈;울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

KR1020170145870A 2017-11-03 2017-11-03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 KR102028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870A KR102028523B1 (ko) 2017-11-03 2017-11-03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870A KR102028523B1 (ko) 2017-11-03 2017-11-03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455A true KR20190050455A (ko) 2019-05-13
KR102028523B1 KR102028523B1 (ko) 2019-10-04

Family

ID=6658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870A KR102028523B1 (ko) 2017-11-03 2017-11-03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5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409B1 (ko) * 2019-07-01 2020-05-1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전자 생체 신호 기반의 도로 상황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7513A (ko) * 2020-01-30 2021-08-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사용자의 미세먼지 영향도 산출 및 예측 방법
WO2022154404A1 (ko) * 2021-01-13 2022-07-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차량 통합 열 관리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7810B2 (ja) * 2007-05-22 2012-07-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646124B1 (ko) * 2014-12-11 2016-08-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7810B2 (ja) * 2007-05-22 2012-07-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646124B1 (ko) * 2014-12-11 2016-08-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409B1 (ko) * 2019-07-01 2020-05-1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전자 생체 신호 기반의 도로 상황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7513A (ko) * 2020-01-30 2021-08-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사용자의 미세먼지 영향도 산출 및 예측 방법
WO2022154404A1 (ko) * 2021-01-13 2022-07-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차량 통합 열 관리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523B1 (ko) 2019-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8783B2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device
CN107128262B (zh) 用于车辆车门系统的电力管理
CN107130875B (zh) 用于电动车辆车门的温度控制
CN107176165B (zh) 车辆的控制装置
US8903567B2 (en) Vehicle remote operating system and in-vehicle device
US9558414B1 (en) Method for calculating a response time
US96238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angerous driving index for vehicle
KR20190050455A (ko)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제어장치
US870022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system
JP4453046B2 (ja) 車両挙動学習装置及び車両挙動学習プログラム
EP3025921A1 (en) Vehicular drive assist device, and vehicular drive assist method
EP1975564A2 (en) Vehicle behaviour learning apparatus and vehicle behaviour learning program
KR20130085235A (ko) 자동차의 무인 운전 시스템
JP2006163637A5 (ko)
CN108819952B (zh) 自动化车辆控制系统
JP2006151114A5 (ko)
US201702424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n automated motor vehicle
CN109131046A (zh) 车辆夜间会车系统
CN109466424A (zh) 一种智能远光灯控制系统及智能控制方法
KR20200089275A (ko)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주행하는 자동차를 위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 자동차 및 자동차 동역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20180334013A1 (en) Vehicle hvac system with odor control
CN106541885B (zh) 一种基于方向盘转角和车身侧倾角的车灯随动控制方法
WO2015068033A1 (en) Voice recognition device for vehicle
JP2019096117A (ja) 車両の制御装置
JP6819056B2 (ja) 自動運転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