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469A -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 - Google Patents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469A
KR20190049469A KR1020180125560A KR20180125560A KR20190049469A KR 20190049469 A KR20190049469 A KR 20190049469A KR 1020180125560 A KR1020180125560 A KR 1020180125560A KR 20180125560 A KR20180125560 A KR 20180125560A KR 20190049469 A KR20190049469 A KR 20190049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iving source
wheels
pair
scr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680B1 (ko
Inventor
이한민
Original Assignee
이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민 filed Critical 이한민
Publication of KR2019004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4Dropping-boards; Device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7Flo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사의 바닥에 깔린 왕겨를 자동으로 긁어 뒤집을 수 있으며 폐계를 운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는, 상면에 폐계수거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한 쌍의 바퀴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의 회전력을 상기 한 쌍의 바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는 왕겨긁기부재; 상기 프레임에 상측으로 설치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Apparatus for scraping poultry farm chaff and collecting culled chickens}
본 발명은 양계장에서 닭을 대량으로 사육할 때 계사의 바닥에 까는 왕겨를 긁어서 상부와 하부의 왕겨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하며, 수거된 폐계를 운반할 수 있는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에서 닭을 닭장(cage)에 넣지 않고 소정의 공간에 수천마리의 닭을 풀어놓고 사육하는 경우에는 계사의 바닥에 닭의 위생 등을 목적으로 왕겨를 소정의 두께로 깔아주게 된다.
따라서, 닭들은 계사의 바닥에 깔아 놓은 왕겨 위에서 활동하면서 상부에 끊임없이 계분을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왕겨의 상부에 계분이 쌓여 왕겨의 상부가 질척거리게 된다.
그런데 닭들은 왕겨의 상부에 쌓인 계분의 위에서 활동하거나 잠을 자게 되므로 계분이 닭들의 피부에 묻게 되어 닭들이 병이 걸리거나, 발육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통상 육계의 경우에는 대략 30일 정도면 출하를 하게 되나, 닭의 피부에 오염이 있으면 제값을 받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왕겨는 7~8cm 정도의 두께로 깔게 되므로, 닭들이 계분을 배출하여도 계분은 왕겨의 상부에만 쌓이기 때문에 상부의 왕겨만 계분에 의해 젖어 있을 뿐이며 하부의 왕겨는 처음 깔은 상태로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양계장에서는 작업자가 갈퀴 등으로 왕겨를 뒤집어 하부의 왕겨가 위로 올라오도록 하여 계사의 바닥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계사의 크기가 매우 크므로, 예를 들면, 길이 약 100M에 폭 약 15M정도가 되므로 작업자가 왕겨를 갈퀴 등으로 뒤집는 작업을 하는 것은 매우 힘이 들고 어렵다.
한편, 양계장에서는 매일 폐계, 예를 들면, 죽은 닭, 부상을 입은 닭, 성장이 느린 닭 등과 같이 정상적이지 않은 닭들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폐계는 하루에 수십마리가 발생하게 된다. 현재는 작업자가 폐계를 분리하여 계사의 외부로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계사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폐계를 계사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작업자의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동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계사의 왕겨를 긁어 뒤집을 수 있으며, 수거된 폐계를 운반할 수 있는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에 폐계수거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한 쌍의 바퀴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의 회전력을 상기 한 쌍의 바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 곳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왕겨긁기부재;
상기 프레임에 상측으로 설치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바퀴 각각은 원판; 및 상기 원판의 양면에 상기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원은 직류 모터이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직류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왕겨긁기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왕겨긁기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바퀴 각각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바퀴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바퀴를 마주하는 측면에 마련되는 동력전달돌기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마련된 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이동시키는 패들;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바퀴의 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걸림 돌기; 일단이 상기 패들에 고정되며 타단은 레버에 연결된 와이어; 상기 패들을 상기 바퀴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샤프트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패들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에 의하면,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가 자동으로 왕겨를 뒤집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갈퀴 등을 사용하여 왕겨를 뒤집을 필요가 없으므로 계사의 관리가 편리하게 된다. 따라서, 계사의 왕겨를 자주 뒤집을 수 있으므로, 닭의 생육환경을 건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에게 건강한 육계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에 의하면, 폐계를 폐계수용용기에 담아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로 운반할 수 있으므로, 폐계를 수거하여 계사의 외부로 반출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달리 사용자가 직접 폐계를 들어 외부로 반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계사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의 바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에 사용되는 후방 왕겨긁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전방 왕겨긁기부재만을 장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후방 왕겨긁기부재만을 장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a 및 도 9b는 도 7의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의 클러치를 나타내는 부분도;
도 10은 도 9a의 클러치의 슬라이딩 부재와 패들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보조바퀴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7의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에 보조바퀴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는 프레임(10), 한 쌍의 바퀴(20), 구동원(30), 왕겨긁기부재(40),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면에 폐계수거용기(90)(도 5 참조)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10)은 사각 파이프로 직사각형 형상의 액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0)의 좌우로는 폐계수거용기(9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좌측 및 우측 지지부(11)가 마련된다. 좌측 및 우측 지지부(11)에는 폐계수거용기(9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상면에 상측으로 수직하게 수직 프레임(15)이 마련된다. 수직 프레임(15)은 원형 파이프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5)의 상부에는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손잡이부(17)가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7)는 원형 파이프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17)에는 구동원(30)을 제어하는 제어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7)는 그 선단이 수평방향으로 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 왕겨긁기부재(50)의 선단과 대략 동일하거나 더 앞으로 튀어나온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상면의 앞부분에는 충전 배터리 고정부(81)가 마련될 수 있다. 충전 배터리 고정부(81)는 충전 배터리(80)를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충전 배터리 고정부(81)에는 충전 배터리(80)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커넥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전면에는 전방 왕겨긁기부재(50)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전방 고정부(18)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의 후면에는 후방 왕겨긁기부재(60)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후방 고정부(19)가 마련된다.
한 쌍의 바퀴(20)는 프레임(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한 쌍의 바퀴(20)는 프레임(10)의 하면에서 연장된 한 쌍의 축 지지브라켓(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22)에 고정된다. 한 쌍의 축 지지브라켓 (21) 각각의 하단에는 베어링(21a)이 설치되어 있어, 샤프트(22)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한 쌍의 축 지지브라켓(21)은 상술한 수직 프레임(15)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바퀴(20)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한 개의 바퀴(2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의 바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에 사용되는 바퀴(20)는 원판(25)과 원판(25)의 둘레에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부(26)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바퀴(20)의 원판(25)의 중심에는 고정 홀(25a)이 형성된다. 고정 홀(25a)에는 상술한 한 쌍의 축 지지브라켓(21)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22)가 고정된다. 원판(20)은 용접, 키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샤프트(22)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부(26)는 원판(25)의 양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복수의 날개부(26)는 원판(25)의 좌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좌측 날개(27)와 원판(25)의 우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우측 날개(28)를 포함한다. 복수의 좌측 및 우측 날개(27,28)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좌측 및 우측 날개(27,28)는 원판(25)의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복수의 좌측 및 우측 날개(27,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좌측 및 우측 날개(27,28)는 서로 엇갈리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좌측 및 우측 날개(27,28)는 각각 날개(27,28)의 상단(27a,28a)이 원판(25)의 외주면(25b)과 일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날개부(26)가 원판(25)의 외주면(25b)과 함께 바퀴(20)의 외주면을 형성하므로, 바퀴(20)의 이동시 원판(25)의 외주면(25b)과 복수의 날개부(26)의 상단(27a,28a)이 바닥에 접촉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좌측 및 우측 날개(27,28)의 상단(27a,28a)이 원판(25)의 외주면(25b)에서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날개부(26)만 바닥에 접촉하고, 원판(25)의 외주면(25b)은 바닥에 접촉하지 않는다.
복수의 날개부(26)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판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25)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날개부(26)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슬릿(25c)을 형성하고, 복수의 슬릿(25c) 각각에 직사각형 형상의 날개부(26)를 삽입하고 날개부(26)와 원판(25)을 용접으로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날개(27)와 우측 날개(28)는 직사각형 형상의 한 개의 평판으로 형성된다.
다른 예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날개부(26) 각각의 좌측 날개(27)와 우측 날개(28)를 각각 다른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하고 이를 원판(25)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바퀴(20)는 철판과 같은 금속이나, 견고한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퀴(20)를 외주면에 복수의 날개부(26)를 갖는 원판(25)의 형태로 형성하면, 바퀴(20)가 왕겨에 파묻힌 상태에서도 회전할 수 있으므로 이동이 용이하며, 바퀴(20)가 회전할 때, 왕겨를 뒤집는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구동원(30)은 한 쌍의 바퀴(2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프레임(10)의 하부에 한 쌍의 바퀴(20) 일측으로 설치된다. 구동원(30)으로는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소음이 적은 구동원(3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는 계사에 닭이 있는 상태에서 왕겨를 긁어 뒤집는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므로, 구동원(30)으로 소음이 있는 엔진을 사용하면 계사의 닭들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구동원(30)으로는 직류 모터(DC motor)를 사용할 수 있다. 직류 모터(30)로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한다. 직류 모터(30)는 감속기가 일체로 부착된 감속기 일체형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구동원(30)으로 교류 모터(AC motor)도 사용할 수 있으나, 교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있어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구동원(30)의 회전력을 한 쌍의 바퀴(20)로 전달하기 위해 동력전달부재(31)가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동력전달부재(31)로 체인(34)과 스프라켓(32,33)을 사용한다. 직류 모터(30)의 회전축(30a)에 구동 스프라켓(32)을 설치한다. 만일, 직류 모터(30)에 감속기가 일체로 설치된 경우에는 감속기의 출력축에 구동 스프라켓(32)을 설치한다. 한 쌍의 바퀴(20)가 고정된 샤프트(22)에는 피동 스프라켓(33)을 설치한다. 구동 스프라켓(32)과 피동 스프라켓(33)을 체인(34)으로 연결하면, 직류 모터(30)의 회전력으로 샤프트(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직류 모터(30)에 의해 샤프트(22)가 회전하면, 한 쌍의 바퀴(20)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전달부재(31)로 체인(34)과 스프라켓(32,33)을 사용하였으나, 동력전달부재(31)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동력전달부재(31)로 벨트와 풀리를 사용하거나 기어열을 사용할 수 있다.
왕겨긁기부재(40)는 프레임(10)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며, 계사의 바닥에 깔린 왕겨를 긁어 뒤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왕겨긁기부재(40)는 프레임(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의 전면과 후면에는 왕겨긁기부재(4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 고정부(18)와 후방 고정부(19)가 마련된다.
왕겨긁기부재(40)는 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방의 왕겨를 긁는 전방 왕겨긁기부재(50)와 프레임(10)의 후면에 설치되어 후방의 왕겨를 긁는 후방 왕겨긁기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방 왕겨긁기부재(50)는 몸체부(51)와 복수의 날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1)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10)의 전면 중앙에 마련된 전방 고정부(1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52)가 마련된다. 고정부(52)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10)의 전방 고정부(18)가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고정부(52)는 전방 고정부(18)의 사각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사각 파이프로 형성된다. 고정부(52)에는 전방 고정부(18)와 고정부(52)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52a)가 마련될 수 있다. 전방 고정부(18)는 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된 지지바(18a)에 일정 각도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방 왕겨긁기부재(50)도 프레임(10)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 가능하다.
고정부(52)의 양측으로는 전방 왕겨긁기부재(5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브 고정부(54)가 마련된다. 한 쌍의 서브 고정부(54)는 각각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고정 홈(54a)이 마련된다. 고정 홈(54a)은 프레임(10)의 양 측면에 마련된 고정돌기(54b)에 결합되므로, 전방 왕겨긁기부재(50)는 프레임(10)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 가능하다.
몸체부(51)의 양단에는 각각 연장부(55)가 설치될 수 있다. 연장부(55)는 몸체부(51)의 일단에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연장부(55)는 몸체부(51)의 일단에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연장부(55)를 몸체부(51)의 일단에서 일정 길이 뺄 수 있다. 연장부(55)의 일단에는 한 개의 날(53)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부(51)의 양단에 설치된 2개의 연장부(55)는 전방 왕겨긁기부재(50)가 긁을 수 있는 왕겨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전방 왕겨긁기부재(50)는 양단의 2개의 연장부(55)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복수의 날부(53)는 바닥에 깔린 왕겨를 긁어 뒤집을 수 있도록 몸체부(51) 및 연장부(55)의 하면에 마련된다. 복수의 날부(53)는 몸체부(51) 및 연장부(55)의 하면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날부(53)는 몸체부(51) 및 연장부(55)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몸체부(51)의 하면에는 복수의 날부(53)가 삽입되는 복수의 날 삽입부(57)가 마련된다. 날 삽입부(57)는 일정 깊이의 삽입 홈이 마련되며, 날 삽입부(57)의 삽입 홈에 날부(53)의 일단을 삽입하면, 날부(53)가 날 삽입부(57)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날부(53)를 몸체부(51) 및 연장부(55)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면, 마모된 경우에 복수의 날부(53)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복수의 날부(53) 각각의 선단은 전방 왕겨긁기부재(5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바닥에 깔린 왕겨를 긁어 뒤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전방 왕겨긁기부재(50)는 고정부(52)와 한 쌍의 서브 고정부(54)에 의해 프레임(10)에 고정되므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전진할 때, 전방의 왕겨를 안정적으로 긁어 뒤집을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에 사용되는 후방 왕겨긁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후방 왕겨긁기부재(60)는 몸체부(61)와 복수의 날부(63)를 포함한다.
몸체부(61)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가로바(62)와 제1가로바(62)와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제1가로바(62)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가로바(63)를 포함한다. 제1가로바(62)와 제2가로바(63)는 2개의 연결바(64)에 의해 연결된다.
몸체부(61)의 제1가로바(62)에는 프레임(10)의 후면에 마련된 후방 고정부(19)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고정부(66)가 마련된다. 2개의 고정부(66)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후면에는 후방 왕겨긁기부재(60)가 고정되는 2개의 후방 고정부(19)가 마련된다. 2개의 후방 고정부(19)가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후방 왕겨긁기부재(60)의 고정부(66)는 후방 고정부(19)의 사각 파이프에 삽입될 수 있는 사각 파이프로 형성된다. 프레임(10)의 2개의 후방 고정부(19) 각각에는 후방 왕겨긁기부재(60)의 고정부(66)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19a)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날부(65)는 바닥에 깔린 왕겨를 긁어 뒤집을 수 있도록 몸체부(61)의 하면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가로바(62)의 하면에 3개의 날(65)이 설치되고, 제2가로바(63)의 하면에 2개의 날(65)이 설치된다. 이때, 제2가로바(63)의 2개의 날(65)은 제1가로바(62)의 3개의 날(65)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날부(65)는 몸체부(61)의 하면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날부(65)는 몸체부(61)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몸체부(61)의 하면에는 복수의 날부(65)가 삽입되는 복수의 날 삽입부(67)가 마련된다. 일 예로서, 제1가로바(62)의 하면에는 3개의 날 삽입부(67)가 마련되고, 제2가로바(63)의 하면에는 2개의 날 삽입부(67)가 마련된다. 날 삽입부(67)는 일정 깊이의 삽입 홈이 마련되며, 날 삽입부(67)의 삽입 홈에 날부(65)의 일단을 삽입하면, 날부(65)가 날 삽입부(67)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날부(65)를 몸체부(61)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면, 마모된 경우에 복수의 날부(65)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복수의 날부(65) 각각의 선단은 후방 왕겨긁기부재(6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바닥에 깔린 왕겨를 긁어 뒤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날부(65) 각각의 선단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후방 왕겨긁기부재(60)는 2개의 고정부(66)에 의해 프레임(10)의 후면에 고정되므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전진할 때, 왕겨를 안정적으로 긁어 뒤집을 수 있다.
제어부(70)는 손잡이부(17)에 설치되며, 구동원(30)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어부(70)는 구동원(3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고, 구동원(3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70)는 1개의 시동 스위치(71), 즉 온/오프 스위치와 1개의 선택 스위치(72)로 형성할 수 있다. 온/오프 스위치(71)는 구동원(30)을 온/오프한다. 즉, 온/오프 스위치(71)를 한 번 누르면, 구동원(30)이 온되고, 다시 온/오프 스위치(71)를 누르면 구동원(30)이 오프된다.
선택 스위치(72)는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의 이동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선택 스위치(72)를 일측(예를 들어, 전의 위치)에 위치시키면, 구동원(30)이 정회전하여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선택 스위치(72)를 타측(예를 들어, 후의 위치)에 위치시키면 구동원(30)이 역회전하여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오프 스위치(71)를 한 번 누르면, 구동원(30)이 작동하여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선택 스위치(72)가 '전'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오프 스위치(71)를 누르면,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72)를 '후'의 위치에 위치시키면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이동하는 중에 사용자가 온/오프 스위치(71)를 다시 한번 누르면, 구동원(30)이 정지하여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정지한다.
이상에서는 제어부(70)가 한 개의 온/오프 스위치(71)와 한 개의 선택 스위치(72)로 구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스위치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원(30)의 온/오프 및 구동원(30)의 회전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한 스위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70)의 온/오프 스위치(71)는 구동원(3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볼륨 스위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볼륨 스위치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원(30)이 온 되면서, 구동원(30)의 회전 속도가 점점 커지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원(30)의 회전 속도가 점점 작아지며, 최대로 회전시키면 구동원(30)이 오프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구동원(30)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무선 수신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에 무선 수신부(75)가 마련된 경우에는 리모콘(미도시)이 별도로 마련된다. 리모콘은 구동원(30)을 온/오프시키고, 구동원(30)의 회전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3개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콘의 제1버튼을 누르면, 구동원(30)을 온/오프 시킬 수 있고, 제2버튼을 누르면 구동원(30)이 정회전하여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3버튼을 누르면 구동원(30)이 역회전하여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휴대폰이나 스마트 폰으로 리모콘과 유사하게 구동원(30)을 제어할 수 있도록 무선 수신부(75)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충전 배터리(80)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고, 충전이 필요한 경우 이를 알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77)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의 동작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에 전방 왕겨긁기부재(50)만을 설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전방 왕겨긁기부재만을 장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의 프레임(10)에는 전방 왕겨긁기부재(50)가 장착되고, 후방 왕겨긁기부재(60)는 프레임(10)에서 분리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부(17)의 선단 부분을 손으로 잡고, 제어부(70)의 온/오프 스위치(71)를 눌러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를 이동시킨다. 이때,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온/오프 스위치(71)를 온하기 전에 선택 스위치(72)를 '전'의 위치로 위치시킨다.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의 구동원(30)이 온되면, 동력전달부재(31)에 의해 한 쌍의 바퀴(20)가 회전하여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사용자가 손잡이부(17)에 힘을 가하지 않아도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는 구동원(30)의 힘에 의해 자력으로 이동한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부(17)에 일정 힘을 가하면,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이동하면, 전방 왕겨긁기부재(50)의 복수의 날부(53)의 선단은 바닥과 접촉하면서 이동하므로, 바닥에 깔린 왕겨를 긁어 올려서 하부의 왕겨가 위로 올라오도록 한다. 따라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지나가면, 계사 바닥의 왕겨가 뒤집어져서 닭들이 배설한 계분에 의해 젖은 상부의 왕겨가 하부로 이동하고, 마른 하부의 왕겨가 위로 올라오게 된다.
도 6은 후방 왕겨긁기부재만을 장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의 프레임(10)에는 후방 왕겨긁기부재(60)가 장착되고, 전방 왕겨긁기부재(50)는 프레임(10)에서 분리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부(17)의 선단 부분을 손으로 잡고, 제어부(70)의 온/오프 스위치(71)를 눌러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를 이동시킨다. 이때,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온/오프 스위치(71)를 온하기 전에 선택 스위치(72)를 '전'의 위치에 위치시킨다.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의 구동원(30)이 온되면, 동력전달부재(31)에 의해 한 쌍의 바퀴(20)가 회전하여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사용자가 손잡이부(17)에 힘을 가하지 않아도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는 구동원(30)의 힘에 의해 자력으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이동하면, 후방 왕겨긁기부재(60)의 복수의 날부(65)의 선단은 바닥과 접촉하면서 이동하므로, 바닥에 깔린 왕겨를 긁어 올려서 하부의 왕겨가 위로 올라오도록 한다. 따라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지나가면, 계사 바닥의 왕겨가 뒤집어져서 닭들이 배설한 계분에 의해 젖은 상부의 왕겨가 하부로 이동하고, 마른 하부의 왕겨가 위로 올라오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전방 왕겨긁기부재(50) 또는 후방 왕겨긁기부재(60)가 장착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를 이동시키는 동안, 폐계를 발견하면,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의 프레임(10)에 마련된 폐계수거용기(90)에 폐계를 담는다.
폐계수거용기(90)가 가득 차면, 사용자는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를 계사의 출입구로 이동시켜 폐계를 외부로 배출하고, 다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를 이동시켜 왕겨를 뒤집는 작업과 폐계를 수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무선 수신부(75)와 리모콘을 구비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를 제어하여 계사 바닥의 왕겨를 뒤집을 수 있고, 사용자가 있는 위치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가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폐계를 폐계수거용기(90)에 담을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의 동력전달부재는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7의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의 클러치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참고로, 도 9a 및 도 9b에서는 클러치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바퀴에서 복수의 날개를 삭제하였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는 프레임(110), 한 쌍의 바퀴(120), 구동원(130), 왕겨긁기부재(140), 속도 조절 스위치(171), 및 전후진 스위치(17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면에 폐계수거용기(90)(도 5 참조)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110)은 사각 파이프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110)의 좌우로는 도 1에 도시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의 프레임(10)과 같이 폐계수거용기(9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좌측 및 우측 지지부(11)와 고정부(13)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상면에 상측으로 수직하게 수직 프레임(115)이 마련된다. 수직 프레임(115)은 2개의 사각 파이프를 대략 나란하게 프레임(110)의 일단에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15)의 상부에는 프레임(110)의 전방으로 손잡이부(117)가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17)는 사각 파이프를 대략 'ㄷ'자 형상으로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부(117)에는 구동원(130)을 제어하는 제어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17)는 그 선단이 수평방향으로 프레임(110)의 전방에 설치된 충전 배터리(180)의 선단과 대략 동일하거나 더 앞으로 튀어나온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상면의 앞부분에는 충전 배터리 고정부(181)가 마련될 수 있다. 충전 배터리 고정부(181)는 충전 배터리(180)를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충전 배터리 고정부(181)에는 충전 배터리(180)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커넥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후면에는 후방 왕겨긁기부재(140)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후방 고정부(119)가 마련된다. 2개의 후방 고정부(119)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왕겨긁기부재(140)의 고정부(141)는 후방 고정부(119)의 사각 파이프에 삽입될 수 있는 사각 파이프로 형성된다. 프레임(110)의 2개의 후방 고정부(119) 각각에는 왕겨긁기부재(140)의 고정부(143)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119a)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바퀴(120)는 프레임(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한 쌍의 바퀴(120)는 프레임(110)의 아래로 연장된 수직 프레임(115)의 한 쌍의 연장 프레임(1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122)에 설치된다. 한 쌍의 연장 프레임(121) 각각에는 베어링(123)이 설치되어 있어, 샤프트(122)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즉, 샤프트(122)는 한 쌍의 연장 프레임(121)에 설치된 2개의 베어링(12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다른 예로서, 한 쌍의 연장 프레임(121)은 상술한 프레임(110)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바퀴(120)는 도 3에 도시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의 한 쌍의 바퀴(20)와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예로서, 필요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퀴 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무 타이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는 한 쌍의 바퀴(120)가 샤프트(12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바퀴(120) 각각의 일측에는 바퀴(120)가 선택적으로 샤프트(122)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 클러치(200)가 마련된다. 즉, 한 쌍의 바퀴 (120) 각각의 일측에 마련된 클러치(200)는 구동원(130)의 동력을 바퀴(120)로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클러치(200)는 슬라이딩 부재(210), 패들(220), 복수의 걸림돌기(230), 와이어(240), 및 레버(26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210)는 샤프트(122)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샤프트(122)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210)는 샤프트(122)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샤프트(122)가 회전하면, 샤프트(122)와 함께 회전한다.
슬라이딩 부재(2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딩 부재(210)의 일측면, 즉 바퀴(120)를 마주하는 측면에는 동력전달돌기(211)가 마련된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210)의 외주면에는 오목한 홈부(213)가 마련된다. 홈부(213)는 슬라이딩 부재(210)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패들(220)은 슬라이딩 부재(210)를 샤프트(122)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패들(220)은 슬라이딩 부재(210)의 홈부(2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평행한 2개의 다리(221a)를 포함하는 삽입부(221)와 삽입부(221)에서 연장되는 몸통부(223)를 포함한다. 삽입부(221)의 2개의 다리(221a)는 서로 평행하며, 슬라이딩 부재(210)의 홈부(213)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몸통부(223)에는 와이어(240)가 결합되는 제1구멍(225)과 지지부재(250)가 삽입되는 제2구멍(226)이 마련된다.
지지부재(250)는 샤프트(122)와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250)는 연장 프레임(121)에 설치된 지지브라켓(255)에 샤프트(122)에 평행하게 고정된다. 지지부재(250)는 원형봉이나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50)에는 패들(2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51)가 마련된다.
레버(260)는 클러치(200)를 동작시키는 것으로서, 손잡이부(117)에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레버(260)는 손잡이부(117)의 하부에 마련된 레버 브라켓(2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레버(260)를 일방향으로 당기면, 클러치(200)에 의해 샤프트(122)와 한 쌍의 바퀴(120)가 일체로 회전한다. 레버(260)를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클러치(200)에 의해 샤프트(122)의 회전이 한 쌍의 바퀴(120)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한 쌍의 바퀴(120)는 샤프트(122)의 회전에 관계 없이 샤프트(12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와이어(240)는 레버(260)의 동작을 패들(22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어(240)의 일단은 패들(220)에 고정되고 와이어(240)의 타단은 레버(260)의 하단에 연결된다. 수직 프레임(115)에는 와이어(24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와이어 안내관(243)이 마련된다. 한 쌍의 바퀴(120) 각각에 클러치(200)가 마련되므로 2개의 클러치(200)를 작동시키기 위해 2개의 와이어(240)가 사용된다. 따라서, 와이어 안내관(243)에는 2개의 와이어(240)가 삽입되며, 레버(260)의 하단에는 2개의 와이어(240)가 연결된다.
레버(260)의 하단과 2개의 와이어(240) 사이에는 와이어(2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력조절부재(263)가 마련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재(263)는 레버(260)의 하단과 2개의 와이어(200)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264)과 2개의 와이어(240) 각각에 설치되며, 연결 브라켓(264)에 고정되는 장력조절볼트(26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브라켓(264)은 레버(26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장력조절볼트(265)를 풀거나 조이면 와이어(24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장 프레임(121)에 설치된 와이어 안내관(243)과 패들(220) 사이에는 탄성부재(270)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70)는 패들(220)을 바퀴(120) 쪽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와이어(240)에 의해 패들(220)을 당기는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패들(220)은 탄성부재(270)에 의해 바퀴(120)에 인접하도록 위치한다. 탄성부재(270)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바퀴(120)의 일측면, 즉 슬라이딩 부재(210)와 마주하는 바퀴(120)의 측면에는 복수의 걸림 돌기(230)가 마련된다. 복수의 걸림 돌기(230)는 슬라이딩 부재(210)의 동력전달돌기(211)가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바퀴(120)의 반대측면에는 베어링(129)이 설치된다. 베어링(129)은 샤프트(122)의 일단부를 지지하여 바퀴(120)가 샤프트(12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210)의 동력전달돌기(211)가 바퀴(120)의 복수의 걸림돌기(230) 중 한 개에 걸리면, 바퀴(120)가 슬라이딩 부재(21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슬라이딩 부재(210)는 샤프트(122)와 일체로 회전하므로 바퀴(120)도 샤프트(122)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슬라이딩 부재(210)의 동력전달돌기(211)가 바퀴(120)의 걸림돌기(230)에 걸리지 않는 경우에는 바퀴(120)는 샤프트(12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구동원(130)은 한 쌍의 바퀴(12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프레임(110)의 하부에 한 쌍의 바퀴(120) 일측으로 설치된다. 구동원(13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의 구동원(3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원(130)의 회전력을 샤프트(122)로 전달하기 위해 동력전달부재(131)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와 동일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재(131)로 체인(134)과 스프라켓(132)을 사용한다. 따라서, 구동원(130)의 회전력으로 샤프트(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전달부재(131)로 체인(134)과 스프라켓(132)을 사용하였으나, 동력전달부재(131)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동력전달부재(131)로 벨트와 풀리를 사용하거나 기어열을 사용할 수 있다.
왕겨긁기부재(140)는 프레임(110)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며, 계사의 바닥에 깔린 왕겨를 긁어 뒤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왕겨긁기부재(140)는 프레임(1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프레임(110)의 후면에 왕겨긁기부재(14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프레임의 전면에 왕겨긁기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왕겨긁기부재(140)는 몸체부(141)에 설치되는 복수의 날부(145)가 몸체부(141)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날부(145)의 일단이 몸체부(1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왕겨긁기부재(14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의 후방 왕겨긁기부재(6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속도 조절 스위치(171)는 손잡이부(117)의 지지브라켓(173)에 설치되며, 구동원(130)의 온/오프와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속도 조절 스위치(171)는 구동원(130)을 온/오프하고, 그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볼륨 스위치로 구현할 수 있다. 볼륨 스위치(17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원(130)이 온 되면서, 구동원(130)의 회전 속도가 점점 커지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원(130)의 회전 속도가 점점 작아지며, 최대로 회전시키면 구동원(130)이 오프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전후진 스위치(172)는 손잡이부(117)의 선단에 설치되며,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의 이동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후진 스위치(172)를 일측(예를 들어, 전의 위치)에 위치시키면, 구동원(130)이 정회전하여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전후진 스위치(172)를 타측(예를 들어, 후의 위치)에 위치시키면 구동원(130)이 역회전하여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원(130)을 속도 조절 스위치(171)와 전후진 스위치(172)로 제어하도록 구성하였으나, 구동원(130)의 제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와 같이 제어부(70)를 이용하여 구동원(13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의 클러치의 작동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구동원(130)의 동력에 의해 한 쌍의 바퀴(120)가 회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레버(260)를 도 7의 앞쪽으로 밀면, 와이어(240)가 풀린 상태가 된다. 그러면, 패들(220)이 탄성부재(270)에 의해 바퀴(120) 쪽(도 9a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한다. 패들(220)이 바퀴(120) 쪽으로 이동하면, 패들(220)의 삽입부(221)에 결합된 슬라이딩 부재(210)도 바퀴(120) 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슬라이딩 부재(210)의 동력전달돌기(211)가 바퀴(120)의 복수의 걸림돌기(230) 중 하나에 걸리게 된다. 이때, 패들(220)은 지지부재(250)와 슬라이딩 부재(210)에 의해 양단 지지된 상태이므로 샤프트(122)를 따라 슬라이딩 부재(21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구동원(130)이 회전하면, 동력전달부재(131)에 의해 샤프트(122)가 회전하고, 샤프트(122)가 회전하면 슬라이딩 부재(210)가 일체로 회전한다. 슬라이딩 부재(210)가 회전하면, 동력전달돌기(211)와 걸림돌기(230)에 의해 바퀴(12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는 구동원(130)의 동력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의 이동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레버(260)를 반대방향으로 당긴다.
그러면, 레버(260)에 의해 와이어(240)가 당겨지게 되고, 이에 의해 패들(220)이 탄성부재(270)를 압축하며 바퀴(120)와 반대쪽(도 9b의 화살표 B 방향), 즉 연장 프레임(121) 쪽으로 이동한다. 패들(220)이 연장 프레임(121) 쪽으로 이동하면, 패들(220)의 삽입부(221)에 결합된 슬라이딩 부재(210)도 연장 프레임(121) 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슬라이딩 부재(210)의 동력전달돌기(211)가 바퀴(120)의 복수의 걸림돌기(230)와 분리되므로, 슬라이딩 부재(210)의 회전이 바퀴(120)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한 쌍의 바퀴(120)는 샤프트(122)의 회전과 관계 없이 샤프트(12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의 이동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이동 방향을 변경한 후, 사용자는 다시 레버(260)를 반대 방향으로 당긴다. 그러면, 클러치(200)에 의해 샤프트(122)의 회전이 한 쌍(120)의 바퀴로 전달되므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는 구동원(13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는 왕겨를 뒤집는 작업보다 폐계 등을 운반하는 작업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왕겨긁기부재(140) 대신 보조바퀴 조립체(3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보조바퀴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7의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에 보조바퀴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보조바퀴 조립체(300)는 몸체부(301)와 2개의 캐스터(307)를 포함한다.
몸체부(301)에는 프레임(110)의 후방 고정부(119)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고정부(303)가 마련된다. 2개의 고정부(303)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01)의 하면에는 2개의 캐스터(307)가 결합되는 2개의 다리(305)가 마련된다.
2개의 캐스터(307)는 2개의 다리(305)에 설치된다. 캐스터(307)는 2개의 다리(305) 각각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7의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에서 왕겨긁기부재(140)를 분리한 후, 보조바퀴 조립체(300)를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의 프레임(110)의 후면에 설치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이와 같이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에 보조바퀴 조립체(300)를 결합하면,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2)가 4개의 바퀴(120)(307)에 의해 이동하므로 이동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2)에 의하면, 사용자가 갈퀴 등을 사용하여 왕겨를 뒤집을 필요가 없이 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2)가 자동으로 왕겨를 뒤집을 수 있으므로 계사의 관리가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2)에 의하면, 폐계를 폐계수용용기(90)에 담아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1,2)로 운반할 수 있으므로 폐계를 수거하여 계사의 외부로 반출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2: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 10,110; 프레임
15,115; 수직 프레임 17,117; 손잡이
18; 전방 고정부 19,119; 후방 고정부
20,120; 바퀴 25; 원판
26; 날개부 27; 좌측 날개
28; 우측 날개 30,130; 구동원
31,131; 동력전달부재 32,33; 스프라켓
34; 체인 40,140; 왕겨긁기부재
50; 전방 왕겨긁기부재 51; 몸체부
53; 날부 55; 연장부
57; 날 삽입부 60; 후방 왕겨긁기부재
61; 몸체부 65; 날부
66; 고정부 67; 날 삽입부
70,170; 제어부 71; 시동 스위치(온/오프 스위치)
72; 선택 스위치 75; 무선 수신부
77; 디스플레이 80,180; 충전 배터리
81,181; 충전 배터리 고정부 90; 폐계수거용기
200; 클러치 210; 슬라이딩 부재
220; 패들 230; 걸림돌기
240; 와이어 250; 지지부재
260; 레버 270; 탄성부재
300; 보조바퀴 조립체 307; 캐스터

Claims (5)

  1. 상면에 폐계수거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한 쌍의 바퀴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의 회전력을 상기 한 쌍의 바퀴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 곳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왕겨긁기부재;
    상기 프레임에 상측으로 설치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퀴 각각은
    원판; 및
    상기 원판의 양면에 상기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직류 모터이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직류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는 보조바퀴 조립체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퀴 각각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바퀴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가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는,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바퀴를 마주하는 측면에 마련되는 동력전달돌기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마련된 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이동시키는 패들;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바퀴의 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걸림 돌기;
    일단이 상기 패들에 고정되며 타단은 레버에 연결된 와이어;
    상기 패들을 상기 바퀴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샤프트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패들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
KR1020180125560A 2017-10-31 2018-10-19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 KR102129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43257 2017-10-31
KR1020170143257 2017-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469A true KR20190049469A (ko) 2019-05-09
KR102129680B1 KR102129680B1 (ko) 2020-07-02

Family

ID=6654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560A KR102129680B1 (ko) 2017-10-31 2018-10-19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6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7007U (ko) * 1984-11-09 1986-06-07
JPH0321110U (ko) * 1989-07-05 1991-03-01
KR920006116Y1 (ko) * 1990-12-01 1992-09-17 황용운 이동식 가축 오물 수거장치
JPH061U (ja) * 1992-06-08 1994-01-11 春二 森 雑草除去装置
KR0124934Y1 (ko) * 1994-11-10 1998-10-15 김동기 청소기
KR101676349B1 (ko) * 2015-08-11 2016-11-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사 가축분뇨 제거용 다단형 갈고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7007U (ko) * 1984-11-09 1986-06-07
JPH0321110U (ko) * 1989-07-05 1991-03-01
KR920006116Y1 (ko) * 1990-12-01 1992-09-17 황용운 이동식 가축 오물 수거장치
JPH061U (ja) * 1992-06-08 1994-01-11 春二 森 雑草除去装置
KR0124934Y1 (ko) * 1994-11-10 1998-10-15 김동기 청소기
KR101676349B1 (ko) * 2015-08-11 2016-11-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사 가축분뇨 제거용 다단형 갈고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680B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487B1 (ko) 가축 분뇨 제거기
US5771531A (en) Vacuum for animal feces
CN112982348B (zh) 一种水产养殖用漂浮物打捞装置
US9560803B2 (en) Weed trimmer and edger attachment for riding lawnmowers
CN108935199B (zh) 一种机械化养鸡设备
CN103650762A (zh) 水草采收系统的剪刀脱开装置及包括该装置的水草采收船
CN101953313A (zh) 环保型鸡舍粪便清理机
KR20190049469A (ko) 폐계수거 겸용 계사왕겨 긁기장치
CN110495396B (zh) 一种畜牧养殖用粪便收集器
CN208211211U (zh) 便捷式鸡舍除粪装置
CN211064599U (zh) 一种畜牧养殖喂料槽用均匀下料装置
CN105475166A (zh) 一种清粪机
CN211210919U (zh) 一种畜牧养殖用清扫车
CN218681155U (zh) 一种用于畜禽养殖场的粪便清理机构
CN209845923U (zh) 一种清理单元拆装方便的清理车
CN216314646U (zh) 一种畜牧养殖场用清粪设备的自动清洁机构
CN111011282A (zh) 一种基于智能终端的智慧农业鱼塘养殖的自动投料装置
CN110250037A (zh) 一种用于家禽肥料收集与肥料砖的制作装置
CN212325272U (zh) 一种往复式刮鱼鳞剖鱼机
KR200474636Y1 (ko) 채밀용 탈봉장치
CN211353530U (zh) 一种用于绿壳蛋鸡的养殖设备
CN204168769U (zh) 水下割草机
CN206923508U (zh) 一种鸡舍粪便收集装置
CN214628888U (zh) 一种畜牧养殖粪便清理装置
CN205357681U (zh) 多层自动除粪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