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991A - 방열특성이 우수한 코일 구조체 및 이를 채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방열특성이 우수한 코일 구조체 및 이를 채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991A
KR20190048991A KR1020170144342A KR20170144342A KR20190048991A KR 20190048991 A KR20190048991 A KR 20190048991A KR 1020170144342 A KR1020170144342 A KR 1020170144342A KR 20170144342 A KR20170144342 A KR 20170144342A KR 20190048991 A KR20190048991 A KR 20190048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fer material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70144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8991A/ko
Publication of KR20190048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5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76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방열특성이 우수한 코일 구조체 및 이를 채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개시된다. 코일 구조체는 코일 가닥 사이의 빈 공간이 열전달 물질로 함침된 코일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집속하여 누설 자속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계차폐시트와, 상기 코일과 자계차폐시트를 접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코일 가닥 사이의 빈 공간이 열전달 물질로 함침된 코일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집속하여 누설 자속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계차폐시트와, 상기 코일과 자계차폐시트를 접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코일 구조체; 상기 코일 구조체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면서 히트 싱크의 역할을 하는 브라켓; 상기 코일에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가 실장된 PCB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열특성이 우수한 코일 구조체 및 이를 채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Coil Structure Hav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충전용 무선전력전송기의 방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스마트워치 등을 비롯한 웨어러벌 기기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기기들은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한다. 배터리의 충전에 있어서도 유선 충전 방식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무선 충전 방식을 채용하는 기기들이 늘고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이 알려져 있다. 전자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전력 전달에 초점을 맞춘 무선 충전 방식이고, 후자는 자계 공진 원리를 이용한 상대적 원거리 무선 전력 전달에 초점을 맞춘 무선 충전 방식이다. 어느 방식을 따르든,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교류전류를 흘려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자계를 생성하는 전력전송용 코일, 그 전력전송용 코일에 교류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력공급부, 그리고 전력전송용 코일이 생성하는 자계를 집속시켜 누설 자속을 최소화하는 자계차폐용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구성부는 케이스 또는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하나의 모듈을 이룰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동작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동안에는 전력공급부, 전력전송용 코일, 자계차폐용 시트 등에서는 열이 발생한다. 발생하는 열은 전송효율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성 부품들을 열화시켜 수명을 단축시키고 오동작 내지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인 방열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력전송용 코일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코일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전송용 코일과 자계차페용 시트와 같은 열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따른 코일 구조체는 코일 가닥 사이의 빈 공간이 열전달 물질로 함침된 코일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집속하여 누설 자속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계차폐시트와, 상기 코일과 자계차폐시트를 접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코일 가닥 사이의 빈 공간이 열전달 물질로 함침된 코일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집속하여 누설 자속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계차폐시트와, 상기 코일과 자계차폐시트를 접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코일 구조체; 상기 코일 구조체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면서 히트 싱크의 역할을 하는 브라켓; 상기 코일에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가 실장된 PCB를 포함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AP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부가된 TIM을 포함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자석과 브라켓 사이에 부가된 TIM을 포함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PCB와 브라켓 사이에 부가된 TIM 또는 방열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코일의 상면과 상부 케이스 사이에 부가된 TIM 또는 PCM TIM을 포함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부가된 방열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브라켓과 차폐시트 사이에 부가된 방열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브라켓과 상부 케이스 사이의 제1 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코일 및 자계 차폐 시트를 상기 상부 케이스 및 브라켓과 직접 접촉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열전달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브라켓과 하부 케이스 사이의 제2 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PCB 및 AP를 상기 하부 케이스 및 브라켓과 직접 접촉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열전달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코일 구조체에 의하면, 코일 다발이 열전달 특성이 우수한 열전달 물질로 함침되어 있으므로 코일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그 열전달 물질을 통해 바깥쪽으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코인형 무선 전력전송 장치(500)는 이러한 코일 구조체를 채택하는 한편,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발열체와 히트 싱크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들 간에 열전달 특성이 좋은 물질을 개재시킨 구조를 갖는다. 이런 구조에 의해, 각각의 발열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열전도 방식으로 케이스에 신속하게 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와 그 내부의 구성요소들 간의 빈 공간도 열전달물질로 충전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방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인형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외관 사시도와 내부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100)의 단면 구조를 예시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100)는 코일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110)는 소정의 형태로 감긴 코일(112)과, 그 코일(112)의 내부 공간을 메우는 형태로 함침된 열전달 물질(114)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112)은 도체가 여러 회 감긴 것이다. 도체는 예를 들어 헬릭스 타입(helix), 스파이럴(spiral) 타입 등의 형태로 감길 수 있다, 감긴 도체는 복수의 층 및/또는 복수의 겹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체가 2층을 이루면서 각 층이 7겹으로 감긴 코일(112)을 예시한다. 코일(112)의 층수와 겹수는 응용예의 필요에 따라 적정하게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코일(112)은 예를 들어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고전도성의 전선을 다발 형태로 감은 것이거나, 또는 금속박판을 이용하여 패턴닝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코일(112)의 형태나 구조는 적용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요구,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체는 단면이 일반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그러므로 감긴 도체의 층간 및/또는 겹간 즉, 코일(112) 내부에는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112) 내부에 형성되는 공극에는 공기가 존재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112) 내부의 공극 내에 있던 공기를 밀어내고 그 대신에 열전달 물질(114)로 채워진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도체들끼리는 이 열전달 물질(114)을 매개로 하여 열전도가 가능하게 연결된 형태가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열전달 물질(114)은 코일(112)의 내부를 전부 채울 뿐만 아니라, 그 코일(112)의 바깥면을 감싸는 형태로 에워싸도록 부가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달 물질(114)은 방열 레진,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일 수 있다. TIM은 액상 실리콘 TIM일 수 있다. 액상 실리콘 TIM은 2액형 액상 실리콘 TIM일 수 있다. 2액형 액상 실리콘 TIM의 열전달율은 예컨대 0.7W/mK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112) 즉, 도체 다발에 대한 열전달 물질(114)의 함침을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조밀하게 배치된 도체 다발 내의 빈 공간을 열전달 물질(114)이 빠짐없이 채우기 위해서, 진공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 열전달 물질(114)을 도체 다발 내부로 함침시키는 한 가지 방법으로, 코일(112)의 형태로 감긴 도체 다발(예컨대
Figure pat00001
, 100 가닥)을 액상의 열전달 물질(114)(예를 들어 액상 실리콘 TIM)에 침치시킨 상태에서 도체 다발에 진공 환경(예컨대 0.8bar)을 소정 시간(예컨대 10분간) 동안 조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체 다발을 액상의 열전달 물질(114)에 침지시키기 전에 및/또는 침지 중에 가열할 수도 있다. 가열된 도체 다발이 발산하는 열에 의해 열전달 물질(114)의 점도가 낮아져서 함침율을 높일 수 있다. 도체 다발의 가열은 열원을 이용한 직접 가열 방법 또는 예컨대 도체 다발에 전기를 흘려 저항열을 발생시키는 자체 가열 방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사용하는 열전달 물질(114)의 점도는 낮을수록, 그리고 진공 환경의 진공도는 높을수록 열전달 물질(114)의 함침 속도는 빨라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함침 속도를 더 빠르게 하고, 함침율(즉, 도체 다발의 공극을 열전달 물질(114)로 채워지는 정도)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체 다발에 전달되는 액상의 열전달 물질(114)에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정들을 적용하는 경우, 액상 열전달 물질(114)의 도체 다발 내의 함침율을 대략 95% 이상 달성할 수 있다. 액상 열전달 물질(114)이 함침된 코일(112)은 탈포, 건조 과정을 거쳐 열전달 물질(114)이 고형화된다. 코일(112)을 이루는 도체 가닥들은 고형화된 열전달 물질(114)로 둘러싸인 형태가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100)는 자계 차폐 시트(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 물질(114)이 함침된 코일부(110)는 접착제(130)를 매개로 하여 자계 차폐 시트(120)의 일면에 접합될 수 있다. 접착제(130)는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접착제, 또는 열전도성 접착제일 수 있다. 열전도성 접착제로는 SiC 방열 접착제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100)에 따르면, 코일(112)의 각 도체 가닥에서 발생하는 저항열은 열전달 물질(114)을 통해 열전도의 방식으로 코일(112)의 표면 쪽으로 전달되어 코일(112) 바깥으로 발산될 수 있다. 열전달 물질(114)은 공기에 비해 훨씬 높은 열전달율을 갖는다. 따라서 코일(112)만으로 구성된 형태에 비해 열전달 물질(114)이 함침된 코일부(110)가 코일(112)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훨씬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20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200)를 참조하면, 자계 차폐 시트(120)의 표면에도 열전달 물질(114)이 부가된 점에서 도 2의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100)와 다른 점이다. 이 차이는 제조 공정에서 비롯된 차이일 수 있다. 즉, 도 2와 달리, 코일(112)에 열전달 물질(114)을 함침시키기 전에 그 코일(112)을 자계 차폐 시트(120)에 접착제(130)로 먼저 접착시킨 다음, 그 접착된 상태의 코일(112)과 자계 차폐 시트(120)에 대하여 열전달 물질(114)의 함침 공정을 수행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200)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인형 무선 전력전송 장치(500)의 외관 사시도와 내부 단면 구조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코인형 무선 전력전송 장치(500)는 하부 케이스와 이를 덮는 형태로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가 코인형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코인형 무선 전력전송 장치(500)는 무선 충전 대상물 예컨대, 무선 전력 수신 모듈(비도시)을 내장한 스마트폰(비도시)을 그 위에 올려놓고 충전하기에 적합한 구조일 수 있다.
코인형 무선 전력전송 장치(500)는 차폐시트 위에 코일(coil)이 적층된 코일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코일 구조체가 도 2에서 설명한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100) 또는 도 3에서 설명한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200)일 수 있다.
코인형 무선 전력전송 장치(500)는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100 또는 200)를 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플레이트 형태이어서, 그의 일측이 케이스에 고정된 채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 구조체(100 또는 200)를 밑에서 받쳐줄 수 있다. 브라켓은 발열체인 자계 차폐 시트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브라켓은 자계 차폐 시트에서 생기는 열을 케이스에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만들 수 있다. 브라켓은 예컨대 알루미늄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 플레이트는 우수한 히트 싱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코인형 무선 전력전송 장치(500)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PCB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해 코일(112)에 흘려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PCB의 한 쪽 면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가 실장될 수 있다. 이 AP와 PCB 역시 작동 중에는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으로 작용한다. PCB는 브라켓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코인형 무선 전력전송 장치(500)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선 전력전송용 코일과 무선 전력수신용 코일이 정확하게 정렬될 필요가 있다. 이 자석은 무선충전 대상물이 이러한 요구에 부합되게 정렬되도록 해준다. 자석은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코인형 무선 전력전송 장치(500)는 케이스 내부의 좁은 공간에 위에서 언급한 여러 구성요소들이 수용되어 있다. 그러므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AP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TIM(①)을 적용할 수 있다. AP에서 발생하는 열을 TIM(①)이 열전도로 하부 케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과 브라켓 사이에 TIM(②)을 부가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PCB와 브라켓 사이에 TIM 또는 방열시트(③)를 부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PCB에서 발생하는 열을 히트싱크 역할을 하는 브라켓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112)의 상면과 상부 케이스 사이에도 TIM 또는 PCM TIM(④)을 부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코일(112)에서 방출되는 열을 열전도 방식으로 상부 케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도 방열시트(⑤)를 부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AP의 열을 TIM(①)과 방열시트(⑤)를 통해 하부 케이스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과 차폐시트 사이에도 방열시트(⑥)를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폐시트에서 발생하는 열이 효과적으로 브라켓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재질도 방열 특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방열 플라스틱으로 상부 및 하부 케이스를 만들 수 있다.
이상의 여러 가지 방안들은 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다. 모든 방안들이 다 함께 채용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전력전송 장치(500)의 발열원은 모두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그들에 의해 발생된 열은 케이스를 통해서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원과 케이스 간의 열전달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해법을 더 부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 발열원인 코일(112)은 케이스와 직접 접촉되어 있지 못하다. 코일(112)에서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통해 케이스로 전달되는 것보다는 더 효과적인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과 상부 케이스로 둘러싸인 공간(이하, '제1 공간'이라 함)을 열전도 특성이 우수한 물질로 충전할 수 있다. 그 물질의 예로는 저점도 TIM(이의 점도는 껌과 비슷한 점도를 가질 수 있음)일 수 있다. 코일 구조체(100 또는 200)를 케이스에 조립 시 저점도 TIM을 제1 공간에 충전할 수 있다. 충전된 저점도 TIM은 코일 구조체(100 또는 200)를 케이스와 직접 접촉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에 따라 코일 구조체(100 또는 200)에서 발생한 열을 전도 방식으로 케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공간이 저점도 TIM으로 채워진 경우가 공기로 채워진 경우에 비해 훨씬 우수한 방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열전달 물질(114)로 함침시킨 코일(112)의 표면 등에 불완전 함침 부위가 존재한다면, 그 저점도 TIM이 메울 수도 있어 그 문제를 보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과 하부 케이스를 둘러싸인 공간(이하, '제2 공간'이라 함)에는 PCB 및 AP와 같은 고 발열원이 존재한다. 이 제2 공간에도 마찬가지로 저점도 TIM을 충전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무선 충전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코일 구조체의 방열 특성 개선이 요구되는 응용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200: 코일 구조체
110: 코일부
112: 코일
114: 열전달 물질
120: 자계 차폐 시트
130: 접착제
500: 코인형 무선 전력전송 장치

Claims (13)

  1. 열전달 물질로 함침된 코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집속하는 자계차폐시트; 및
    상기 코일과 자계차폐시트를 접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코일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물질은 액상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SiC(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차폐시트의 상면 및 하면에 부가된 열전달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구조체.
  5.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코일 구조체;
    상기 코일 구조체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며, 금속을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자석; 및
    상기 코일에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부가된 열전달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부가된 열전달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부가된 열전달 물질 또는 방열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구조체의 상면과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에 부가된 열전달 물질 또는 상변화 열전달 물질(PCM TIM)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 상면에 부가된 방열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코일 구조체 사이에 부가된 방열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의 제1 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코일 구조체,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과 접촉하는 열전달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의 제2 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상기 하부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과 접촉하는 열전달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KR1020170144342A 2017-10-31 2017-10-31 방열특성이 우수한 코일 구조체 및 이를 채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20190048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342A KR20190048991A (ko) 2017-10-31 2017-10-31 방열특성이 우수한 코일 구조체 및 이를 채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342A KR20190048991A (ko) 2017-10-31 2017-10-31 방열특성이 우수한 코일 구조체 및 이를 채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991A true KR20190048991A (ko) 2019-05-09

Family

ID=6654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342A KR20190048991A (ko) 2017-10-31 2017-10-31 방열특성이 우수한 코일 구조체 및 이를 채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89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394A1 (ko) * 2021-06-07 2022-1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코일 안테나와 자석을 갖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394A1 (ko) * 2021-06-07 2022-1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코일 안테나와 자석을 갖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7955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充電モジュール
US9550427B2 (en) Contactless power supply device
JP6159689B2 (ja) コイル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US20110242775A1 (en) Inductors Occupying Space Above Circuit Board Components
CN103366926A (zh) 散热电磁装置布置
US20030227222A1 (en) Machine integrated power
US20120229986A1 (en) Power conversion system using ferromagnetic enclosure with embedded winding to serve as magnetic component
JP2021097590A (ja) ワイヤレス充電装置
CN107180696B (zh) 具有散热板的电子设备
JP2014027805A (ja) 電源装置
KR101930391B1 (ko) 전자기기
JP7126284B2 (ja) 車両用無線電力送信装置
JP2010165951A (ja) リアクトル及びコイル成形体
JP4872693B2 (ja) 電源モジュール
CN111354547B (zh) 一种电感器及电子设备
KR20190048991A (ko) 방열특성이 우수한 코일 구조체 및 이를 채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US20230111330A1 (en) Ground assembly for an inductive charging device
US11778773B2 (en) Choke structure with water cooling
JP2017041497A (ja) リアクトル
JP2009303285A (ja) 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CN219961221U (zh) 散热装置及电子设备
JP7345621B2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の製造方法
JP6308275B2 (ja) 電子機器
KR101582451B1 (ko) 방열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CN209561148U (zh) 一种磁性薄膜电感器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