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425A -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425A
KR20190048425A KR1020170143370A KR20170143370A KR20190048425A KR 20190048425 A KR20190048425 A KR 20190048425A KR 1020170143370 A KR1020170143370 A KR 1020170143370A KR 20170143370 A KR20170143370 A KR 20170143370A KR 20190048425 A KR20190048425 A KR 20190048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ctor
display
error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013B1 (ko
Inventor
원강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013B1/ko
Priority to US16/760,233 priority patent/US11445171B2/en
Priority to PCT/KR2018/012997 priority patent/WO2019088646A1/ko
Publication of KR20190048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04N17/045Self-contained 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33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hardware characteristics, e.g. manufacturer, processing or storage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컨텐츠 수신부, 통신부 및 표시부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컨텐츠 수신부, 통신부 및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하고,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인자와 동작 에러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하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ERVICE SYSTME}
개시된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가 진단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 또는 저장된 영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가정이나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서버용 컴퓨터 등에 연결된 모니터 장치나, 휴대용 컴퓨터 장치나, 내비게이션 단말 장치나, 일반 텔레비전 장치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장치나,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개인용 디지털 보조 장치(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셀룰러 폰 등의 휴대용 단말 장치나, 산업 현장에서 광고나 영화 같은 화상을 재생하기 위해 이용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나, 또는 이외 다양한 종류의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내부에 다양한 구성 부품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다양한 장치들과도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영상 재상 장치, 영상 제공 서버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서 또는 그 외부에서 다양한 부품들 및/또는 장치들이 연결됨으로 인하여, 다양한 부품들 및/또는 장치들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에서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계자에 의하여 사전에 정의된 에러에 대해서만 사용자에게 에러와 관련된 정보를 고지하고, 사용자가 직접 조치를 취하도록 안내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아니한 경우 비로소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동작 에러와 관련된 정보를 고지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동작 에러에 대한 분석 및 수리가 이루어질 때까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지 못하였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동작 에러 및/또는 외부 장치와의 동작 에러를 스스로 진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동작 중단 없이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에러의 위험성의 판단 결과에 따라 에러의 해소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병의 일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자와 상기 동작 에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크면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크면 사용자로부터 턴오프 명령이 수신된 이후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자의 값을 변경하면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를 판단하고, 상기 인자의 값의 정상 동작 범위와 상기 인자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인자의 설정값에 의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자의 설정값이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자의 설정값과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의 상한 사이의 차이 및 상기 인자의 설정값과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의 하한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을 판단하고,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작으면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작으면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이 증가하도록 상기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 아니하면 상기 변경된 설정값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표시부와 컨텐츠 수신부와 통신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을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하면서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상기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자와 상기 동작 에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에러에 대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인자의 설정값에 따라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자의 설정값에 의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자와 상기 동작 에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동작 에러 및/또는 외부 장치와의 동작 에러를 스스로 진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작 중단 없이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러의 위험성의 판단 결과에 따라 에러의 해소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와 서비스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러 감시 동작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러 진단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인자 값의 정상 동작 범위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인자 값의 정상 동작 범위를 판단하고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캘리브레이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장치의 서비스 제공 동작을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서비스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는 통신망(3)을 통하여 서비스 장치(2)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고, 냉장고는 식품을 냉장 보관하며,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도 1에는 전자 장치(1)의 예시로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었으나, 전자 장치(1)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는 그 내부에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실장되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복수의 구성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유닛들 각각은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및 주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성 유닛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 저장부, 통신부, 전원부,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는 스스로 동작을 점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는 복수의 구성 유닛들 각각의 개별 동작을 점검하고, 복수의 구성 유닛들 사이의 연관 동작(예를 들어, 통신)을 점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는 복수의 구성 유닛들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 가능한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디코딩을 위한 인자의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또는 영상에 따라 인자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복수의 구성 유닛들 각각의 개별 동작을 점검하는 중에 전자 장치(1)는 복수의 구성 유닛들 각각의 인자의 값을 변경하면서 복수의 구성 유닛들 각각의 개별 동작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는 복수의 구성 유닛들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설정 가능한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성 유닛들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며,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도체(예를 들어, 신호 라인, 전력 라인, 접지 라인 등)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도체의 공차로 인하여 복수의 구성 유닛들 사이의 신호의 왜곡이나 감쇄가 있을 수 있으며, 신호의 왜곡이나 감쇄는 설정 가능한 인자의 값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는 복수의 구성 유닛들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설정 가능한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저장부와의 통신을 위한 인자의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 환경에 따라 인자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복수의 구성 유닛들 사이의 연관 동작을 점검하는 중에 전자 장치(1)는 복수의 구성 유닛들과 관련된 인자의 값을 변경하면서 복수의 구성 유닛들 사이의 연관 동작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는 자가 진단 결과에 따라 통신망(3)을 통하여 서비스 장치(2)에 진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망(3)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만은 케이블망이나 전화망과 같은 인터넷을 포함하며, 무선망은 와이파이(WiFi™, IEEE 802.11 기술 표준), 블루투스 (Bluetooth™, IEEE 802.15.1 기술 표준), 지그비(ZigBee™, IEEE 802.15.4 기술 표준)를 이용한 무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망은 CDMA, WCDMA, GSM, LET(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등의 이동 통신 서비스 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통신망(3)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구현될 통신 서비스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3)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는 근거리 무선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고, 액세스 포인트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유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통신,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등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허브(hub), 라우터(router), 스위치(switch), 게이트웨이(gateway) 등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전자 장치(1)의 생산자 또는 판매자 또는 서비스 대행자 등에 의하여 운영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통신망(3)을 통하여 전자 장치(1)로부터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고, 진단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는 진단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전자 장치(1)의 에러에 대한 적절한 대응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일종의 클라우드 서버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2)는 전자 장치(1)의 하드웨어 자원 및/또는 소프트웨어 자원을 구비함으로써 전자 장치(1)로부터 수신된 진단 데이터를 제공받아, 진단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다만, 서비스 장치(2)는 클라우드 서버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통신망(3)은 생략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와 서비스 장치(2)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와 서비스 장치(2)가 직접 연결된 경우, 서비스 장치(2)는 데스크 탑 컴퓨터, 랩 탑 컴퓨터 등 전자 장치(1)의 주변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다.
도 2와 함께, 전자 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 및 전자 장치(1)의 자가 진단 동작이 간략히 설명된다.
전자 장치(1)는 전자 장치(1)의 에러를 진단하는 진단 실행 유닛(11)과 에러 진단의 대상이 되는 진단 대상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실행 유닛(11) 스스로의 에러 진단을 수행하거나, 진단 대상 유닛(12)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실행 유닛(11)과 진단 대상 유닛(12) 사이의 통신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진단 실행 유닛(11)은 제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의 하드웨어 자원이거나, 제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자원일 수 있다.
진단 대상 유닛(12)은 진단 실행 유닛(11)의 에러 진단의 대상이 되며, 진단 실행 유닛(11)의 진단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진단 대상 유닛(12)은 전자 장치(1)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 유닛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 대상 유닛(12)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모듈 등일 수 있다.
진단 실행 유닛(11)은 에러가 감지되면 진단 대상 유닛(12)에 대한 에러 진단을 수행하거나,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진단 대상 유닛(12)에 대한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단 실행 유닛(11)은 에러 감지 시에 에러 진단을 수행하거나, 정기적으로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에러 진단 중에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또는 에러 가능성)을 판단하고,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해소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에러의 위험성은 진단 대상 유닛(12)의 정상 동작 마진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정상 동작 마진은 진단 대상 유닛(12)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인자 값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값이 정상 동작 마진 이내에서 변경되더라도 진단 대상 유닛(12)은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 진단 실행 유닛(11)은 정상 동작 마진이 작을수록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정상 동작 마진이 클수록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값을 변경하면서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값을 변경하면서 진단 대상 유닛(12)에 진단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진단 대상 유닛(12)은 진단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진단 실행 유닛(11)에 제공할 수 있으며,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대상 유닛(12)의 응답 신호를 기초로 진단 대상 유닛(12)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은 진단 대상 유닛(12)의 개별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 및/또는 진단 실행 유닛(11)과 진단 대상 유닛(12)의 사이의 연관 동작(예를 들어, 통신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일 수 있다.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대상 유닛(12)의 개별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 대상 유닛(12)이 통신부인 경우, 진단 실행 유닛(11)은 통신부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진단 실행 유닛(11)은 통신부가 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한 샘플링 주기와 관련된 인자의 값을 변경하거나, 통신부가 신호의 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에러 정정과 관련된 인자의 값을 변경하거나, 통신부가 채널에 의한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이퀄라이징과 관련된 인자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대상 유닛(12)과 진단 실행 유닛(11) 사이의 연관 동작(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통신)과 관련된 인자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대상 유닛(12)이 진단 실행 유닛(11)의 통신 신호를 샘플링하는 시점(샘플링 지연)과 관련된 인자의 값을 변경하거나, 통신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인자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자의 설정값은 진단 실행 유닛(11) 및/또는 진단 대상 유닛(12)에 구비된 특정한 레지스터에 저장될 수 있으며,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대상 유닛(12)을 동작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레지스터에 저장된 인자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진단 신호는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과 관련된 신호일 수 있으며, 진단 실행 유닛(11)의 진단 신호에 대응하는 기준 응답 신호가 사전에 진단 실행 유닛(11)에 저장될 수 있다. 기준 응답 신호는 진단 대상 유닛(12)의 정상 동작 중에 진단 대상 유닛(12)으로부터 출력되는 응답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 대상 유닛(12)이 메모리인 경우, 진단 실행 유닛(11)은 저장 명령과 함께 진단 데이터를 메모리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데이터의 로딩 명령을 메모리에 제공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진단 데이터를 진단 실행 유닛(11)에 제공할 수 있다. 진단 실행 유닛(11)은 메모리에 저장 명령과 함께 제공된 진단 데이터와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응답 데이터(메모리에 기억된 진단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메모리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진단 실행 유닛(11)은 인자의 값의 변동에 따른 진단 대상 유닛(12)의 정상 동작 여부를 기초로 인자의 현재 설정값에 의한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또는 에러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진단 실행 유닛(11)은 전자 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을 기초로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인자의 현재 설정값에 의한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판단되면 진단 실행 유닛(11)은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대상 유닛(12)의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하고,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또는 에러 가능성)을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판단되지 아니하면, 진단 실행 유닛(11)은 변경된 설정값으로 해당 인자를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인자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다.
여전히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판단하면, 진단 실행 유닛(11)은 서비스 장치(2)로 진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수신된 진단 데이터를 분석하고,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해소하기 위한 대응 조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진단 실행 유닛(11)은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값을 변경하면서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을 테스트할 수 있으며, 동작의 테스트 결과에 따라 진단 대상 유닛(12)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을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진단 방법은 전문가가 별도의 진단 장치 또는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동작 에러를 진단하는 것이 곤란한 장치에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의 진단 방법은 일반 가정에서 전자 장치에 대한 지식이 적은 사용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가전 기기 또는 많은 사람들이 통행하는 거리에 설치되는 옥외 전자 장치에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진단 방법은 사용자가 동작 에러를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동작 에러 또는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동작 에러에 대응하는 대응 조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진단 방법은 동작 에러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확연하게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결국, 이상의 진단 방법은 일반 가정에서 이용되는 가정용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등) 또는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 등)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지 못하는 불편이 발생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스스로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감지하고, 동작 에러에 대응하는 대응 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에러를 일일이 점검하는 불편없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스스로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감지하고, 동작 에러에 대응하는 대응 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상의 진단 방법이 가정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장치(1)의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자가 진단 동작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DTV)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니터(Monitor),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통신장치, 휴대용 연산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라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건물 옥상이나 버스 정류장과 같은 옥외에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Large Format Display, LFD)일 수 있다. 여기서, 옥외는 반드시 야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하철역, 쇼핑몰, 영화관, 회사, 상점 등 실내이더라도 다수의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는 곳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비디오/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영상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10)와,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120)와, 컨텐츠 소스들 및/또는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는 통신부(130)와, 컨텐츠 수신부(120) 및/또는 통신부(130)에 의하여 수신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50)와, 제어부(140)에 의하여 처리된 처리된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16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버튼(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방송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 버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음향 조절 버튼, 컨텐츠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소스 선택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튼(111)는 각각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으며, 푸시 스위치, 터치 스위치, 다이얼, 슬라이드 스위치, 토글 스위치 등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80)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기(112)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 수신기(112)는 리모트 컨트롤러(18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수신부(120)는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와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 단자(121) 및 튜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단자(121)은 케이블을 통하여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단자(121)은 컴포넌트(component, YPbPr/RGB) 단자, 컴포지트 (composite video blanking and sync, CVBS) 단자, 오디오 단자,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단자,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튜너(122)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신호 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22)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방송 신호를 통과시키고,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방송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이처럼, 컨텐츠 수신부(120)는 수신 단자(121) 및/또는 튜너(122)를 통하여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 단자(121) 및/또는 튜너(122)를 통하여 수신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컨텐츠 소스들 및/또는 외부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30)는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컨텐츠 소스들 및/또는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유선 통신 모듈(131)과 무선 통신 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31)은 케이블을 통하여 통신망(3)에 접속할 수 있으며, 통신망(3)을 통하여 컨텐츠 소스들 및/또는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131)은 이더넷(Ethernet, IEEE 802.3 기술 표준)을 통하여 통신망(3)에 접속하고, 컨텐츠 소스들 및/또는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52)은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하여 통신망(3)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32)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AP)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32)은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하여 통신망(3)에 접속하고, 컨텐츠 소스들 및/또는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서비스 장치(2)에 제어부(140)의 진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컨텐츠 수신부(120) 및/또는 통신부(130)에 의하여 수신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위하여 비디오/오디오 신호는 데이터는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등 다양한 비디오 압축 표준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으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비디오/오디오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비디오 압축 표준을 이용하여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영상을 재현(reproduce)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영상을 재현하기 위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영상 표시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컨텐츠 수신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50) 및/또는 영상 표시부(1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컨텐츠 수신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50) 및/또는 영상 표시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에러 감지 시에 및/또는 정기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사용자 입력부(110), 컨텐츠 수신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50), 영상 표시부(160), 전원부(170), 제어부(140)의 에러 진단을 위한 진단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에러 진단의 결과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에러 진단 결과를 나타내는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부(150)에 진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진단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논리 연산 및 산술 연산 등을 수행하는 연산 회로와, 연산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회로(예를 들어, 레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40)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의 동작의 에러를 진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4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중에 제어부(140)에 의하여 발생되는 임시 데이터(예를 들어, 임시 영상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151)와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는 저장 매체(15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1)가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중에 생성되는 임시 영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1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을 기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의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디코딩과 관련된 인자들의 설정값,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인자들의 설정값 등을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151)이 이외에도 다양한 인자들의 설정값을 기억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1)가 에러 진단을 수행하는 중에 생성되는 임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상 동작 여부를 기억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현재 설정값에 따른 정상 동작의 마진을 기억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51)는 예를 들어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15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1)가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프로그램(일련의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매체(152)는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1)가 인자의 설정값을 임시로 기억하는 반면 저장 매체(152)는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설정값이 손실되지 않도록 인자의 설정값을 장기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매체(152)는 롬(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표시부(160)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62)과, 디스플레이 패널(162)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61)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62)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61)로부터 수신된 영상 프레임 데이터에 따라 영상을 생성하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62)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가 되는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픽셀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61)로부터 영상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픽셀이 출력하는 광학 신호가 조합됨으로써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62)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61)는 제어부(140)로부터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62)을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61)는 디스플레이 패널(162)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 각각에 영상 프레임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61)가 디스플레이 패널(162)을 구성하는 각각의 픽셀에 영상 프레임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면 각각의 픽셀은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고, 각각의 픽셀이 출력하는 광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10), 컨텐츠 수신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50), 영상 표시부(160), 제어부(140) 및 그 밖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171) (이하 'SMPS'라 한다)를 포함한다.
SMPS (171)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공급받고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와, 직류 전력의 전압을 변경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원의 교류 전력은 AC-DC 컨버터에 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되며, 직류 전력의 전압은 DC-DC 컨버터에 의하여 다양한 전압(예를 들어, 5V 및/또는 15V)으로 변경될 수 있다.
직류 전력은 사용자 입력부(110), 컨텐츠 수신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50), 영상 표시부(160), 제어부(140) 및 그 밖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에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4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서비스 장치(2)의 진단 동작(1000)이 설명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를 감시한다(1010).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동작하는 동안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를 감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컨텐츠 수신부(120) 및/또는 통신부(130)에 의한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수신 에러, 제어부(140)에 의한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에러, 영상 표시부(160)에 의한 영상 프레임의 표시 에러, 저장부(150)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 에러, 전원부(170)에 의한 전력 공급 에러 등을 감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스로 에러 진단을 수행한다(1020).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에 대한 에러 진단을 수행하거나,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에 대한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의 감지 시에 에러 진단을 수행하거나, 정기적으로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면 에러가 감지된 특정 구성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정기 점검을 위한 만족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들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거나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즉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거나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 이후 사용자의 턴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에러 진단의 수행 중에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에러 가능성)을 판단하고,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해소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에러의 위험성은 진단 대상 유닛(12)의 정상 동작 마진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으며, 정상 동작 마진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인자의 값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을 기초로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값을 변경하고,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 변경 이후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판단되지 아니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에 대하여 변경된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에러 진단에 의한 진단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로 전송한다(103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 변경 이후 여전히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진단의 진단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진단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에 관한 데이터(예를 들어, 동작 에러 발생 시의 환경 데이터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에 관한 데이터(예를 들어, 동작 에러의 원인되는 인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인자 값의 범위 등)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를 분석하고 대응 조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1040).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진단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라 다양한 대응 조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서비스 담당자가 사용자를 방문하도록 서비스 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를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조치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조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서비스 센터에 입고시키기 위한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서비스 입고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스로 에러 진단을 수행하고,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감지되면 캘리브레이션을 통하여 동작 에러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에 의하여 동작 에러가 해소되지 아니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로 에러 진단에 관한 진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진단 데이터를 분석하고, 진단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 각각의 동작이 설명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러 감시 동작을 도시한다.
도 5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감시 동작(1100)이 설명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온된다(111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턴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180)를 통한 사용자의 턴온 명령에 의하여 턴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턴온을 예약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정해진 시각에 턴온될 수 있다.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턴온되면 전원부(17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들에 전력이 공급되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들을 체크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정기 점검 여부를 판단한다(1120).
제어부(140)는 정기 점검을 수행하기 앞서 정기 점검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하고,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기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은 다양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시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여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초기화 여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 이후 경과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기 점검을 수행하고 정기 점검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시간을 초기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준 간이 100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시간이 100시간에 도달할 때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기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 이후 경과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기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된 이후 최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온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초기화된 이후 최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온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기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지 아니하였으면(1120의 아니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에러를 감시한다(1130).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동작하는 동안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를 감시할 수 있으며, 동작 에러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계자 및/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에러는 컨텐츠 수신부(120) 및/또는 통신부(130)에 의한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수신 에러, 제어부(140)에 의한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에러, 영상 표시부(160)에 의한 영상 프레임의 표시 에러, 저장부(150)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 에러, 전원부(170)에 의한 전력 공급 에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에러는 에러의 발생 원인 및 에러가 발생된 구성을 판단할 수 없는 원인 미상의 에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에러를 감시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에러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114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중에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를 감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에러가 감지되지 아니하면(1140의 아니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에러의 감시를 계속한다.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거나(1120의 예) 또는 동작 에러가 감지되면(1140의 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스로 에러 진단을 수행한다(1150).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에 대한 에러 진단을 수행하거나,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에 대한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의 감지 시에 에러 진단을 수행하거나, 정기적으로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면 동작 에러가 감지된 특정 구성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수신 에러가 감지되면 컨텐츠 수신부(120) 및/또는 통신부(13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비디오/오디오 신호의 디코딩 에러가 감지되면 제어부(14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영상 프레임의 표시 에러가 감지되면 영상 표시부(16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저장 에러가 감지되면 저장부(15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전력 공급의 에러가 감지되면 전원부(17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동작 에러가 발생된 구성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들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들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10), 컨텐츠 수신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50), 영상 표시부(160), 전원부(170), 제어부(140) 등에 대한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거나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즉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거나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 이후 사용자의 턴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에러 진단에 의하여 제어부(140)의 데이터 처리량이 증가되므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턴오프 명령이 입력된 이후(다시 말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 이후 사용자의 턴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영상 표시부(160)의 동작을 종료하고(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오프시키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고 동작 에러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이 현저하게 제한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의 감지 즉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동작 에러의 감지에 의한 에러 진단과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의 만조에 의한 에러 진단을 다른 시기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된 이후 즉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하고,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 이후 사용자의 턴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된 이후 사용자의 턴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하고,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 이후 즉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에러가 감지되거나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스스로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에러가 감지된 즉시 또는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 즉시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에러가 감지되거나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턴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에러 진단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인자 값의 정상 동작 범위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인자 값의 정상 동작 범위를 판단하고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캘리브레이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 동작(1200)이 설명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에러 진단을 개시한다(121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거나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거나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즉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거나 정기 점검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 이후 사용자의 턴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에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에러 진단을 개시한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 값의 정상 동작 범위를 판단한다(12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들(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 통신부, 저장부, 제어부, 영상 표시부, 전원부 등)의 동작을 체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들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체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인자에 의하여 동작에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 통신부, 저장부, 제어부, 영상 표시부, 전원부 등)은 그 각각의 개별 동작과 관련된 인자 및 다른 구성들과의 연관 동작(예를 들어, 다른 구성들과의 통신)과 관련된 인자에 의하여 동작에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의 개별 동작과 관련된 인자는 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한 샘플링 주기와 관련된 인자와, 신호의 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에러 정정과 관련된 인자와, 이퀄라이징과 관련된 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1)와 제어부(140)의 연관 동작과 관련된 인자는 메모리(151)와 제어부(140) 사이의 통신 신호를 샘플링하는 시점(샘플링 지연)과 관련된 인자와, 통신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이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인자의 값의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의 정상 동작을 위한 인자 값의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가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인자 값을 선택한다(1221).
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과 관련하여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클럭 신호에 따라 메모리(15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샘플링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41)가 메모리(151)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은 메모리(151)의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샘플링 시각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41)가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샘플링 시각과 관련된 인자는 "샘플링 지연"일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 지연의 값이 변화함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141)가 메모리(151)의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시각이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샘플링 지연의 값은 "0"에서 "7"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다.
샘플링 지연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진단하기 위하여 제어부(140)는 샘플링 지연의 변동 허용 범위인 "0"에서 "7"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정상 동작하는지를 판단한다(1222).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선택된 샘플링 지연의 값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샘플링 지연을 "0"으로 설정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메모리(151)에 미리 정해진 기준 데이터의 저장 명령을 출력할 수 있으며, 메모리(15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의 저장 명령에 응답하여 기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메모리(151)에 저장된 데이터의 로딩 명령을 출력할 수 있으며, 메모리(15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의 로딩 명령에 응답하여 기준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로 전송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메모리(151)로 전송된 기준 데이터와 메모리(15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하고, 기준 데이터와 메모리(151)의 데이터가 동일하면 정상 동작으로 판단하고, 기준 데이터와 메모리(151)의 데이터가 상이하면 동작 에러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정상 동작하면(1222의 예), 제어부(140)는 선택된 인자 값에 대응하여 정상 동작을 저장한다(1223).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정상 동작하지 아니하면(1222의 아니오), 제어부(140)는 선택된 인자 값에 대응하여 동작 에러를 저장한다(1224).
제어부(140)는 인자 값에 따라 정상 동작의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으며, 선택된 인자 값에 대하여 정상 동작을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동작 에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샘플링 지연의 값에 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의 정상 동작에 따라 정상 동작을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동작 에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51)로 전송된 기준 데이터와 메모리(15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동일하면 제어부(140)는 정상 동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준 데이터와 메모리(151)의 데이터가 상이하면 제어부(140)는 동작 에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샘플링 지연의 값을 변경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샘플링 지연의 값을 변경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반복한 결과, 제어부(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 상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샘플링 지연 값 "0", "1", "2" 및 "7"에 대응하여 동작 에러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되고, 샘플링 지연 값 "3", "4", "5" 및 "6"에 대응하여 정상 동작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어부(140)가 하나의 인자 값에 대하여 정상 동작 범위를 판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40)는 2 이상의 인자 값에 대하여 정상 동작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과 관련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41)가 메모리(151)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은 메모리(151)가 출력하는 신호의 세기(예를 들어, 신호의 전압값)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1)가 출력하는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인자는 "신호 세기"일 수 있다. 신호 세기의 값이 변화함에 따라 메모리(15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전압값이 변화할 수 있으며, 신호 세기는 "0"에서 "9"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샘플링 지연과 신호 세기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진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샘플링 지연의 변동 허용 범위인 "0"에서 "7"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값을 선택하고, 신호 세기의 변동 허용 범위인 "0"에서 "9"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선택된 샘플링 지연의 값과 신호 세기의 값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샘플링 지연과 신호 세기를 각각 "0"과 "0"을 선택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샘플링 지연의 값과 신호 세기의 값에 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의 정상 동작에 따라 정상 동작을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동작 에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샘플링 지연의 값과 신호 세기의 값을 변경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샘플링 지연의 값과 신호 세기의 값을 변경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반복한 결과, 제어부(1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 상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인자 값의 정상 동작 범위를 판단한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한다(1230).
제어부(140)는 인자 값의 정상 동작 범위(예를 들어, 동작 상태 테이블)와 인자의 현재 설정값을 기초로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현재 설정값의 정상 동작 마진을 판단하고, 현재 설정값의 정상 동작 마진을 기초로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정상 동작 마진이 작을수록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정상 동작 마진이 클수록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작으면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크면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동작 마진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계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추후에 변경될 수 있다. 기준 동작 마진은 제품의 신뢰도와 연관될 수 있다. 기준 동작 마진이 증가할수록 제품의 신뢰도는 높아지고 기준 동작 마진이 감소할수록 제품의 신뢰도는 낮아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준 동작 마진은 "+1"으로 가정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상 동작 마진은 현재 설정값에서 동작 오차 등에 의하여 인자 값이 변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정상 동작이 가능한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정상 동작 마진은 인자의 설정값의 변동 가능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샘플링 지연의 현재 설정값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일 수 있다.
또한, 샘플링 지연의 허용 오차는 "ㅁ1"일 수 있다. 설정값의 허용 오차는 국제 표준 또는 국가 표준 또는 기업 표준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설정값은 허용 오차 이내에서 변동하더라도 제품의 정상 동작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샘플링 지연의 설정값이 "3"인 경우, 샘플링 지연의 값이 "2"에서 "4" 사이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정상 통신 동작이 보장되어야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샘플링 지연의 값이 "2" 이하이거나 "7" 이상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에 동작 에러가 발생되며, 샘플링 지연의 값이 "3"에서 "6" 사이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은 정상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샘플링 지연의 정상 동작 마진은 음의 방향으로 "-1"이고 양의 방향으로 "+2"일 수 있다.
이처럼, 샘플링 지연의 음의 방향 정상 동작 마진 "-1"이 기준 동작 마진 "+1"보다 작으므로 제어부(140)는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샘플링 지연의 정상 동작 마진이 "0"보다 작으므로 현재 설정값에서도 동작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샘플링 지연과 신호 세기의 현재 설정값은 각각 "3"과 "5"일 수 있다.
또한, 샘플링 지연의 허용 오차는 "ㅁ1"이고, 신호 세기의 허용 오차는 "ㅁ1"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샘플링 지연이 변동되더라도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은 정상 동작된다. 따라서, 샘플링 지연의 정상 동작 마진은 음의 방향으로 "+2"이고 양의 방향으로 "+3"일 수 있다.
반면, 신호 세기의 값이 "1"이하이거나 "7" 이상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에 동작 에러가 발생하며, 신호 세기의 값이 신호 세기의 값이 "2"에서 "6" 사이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은 정상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세기의 정상 동작 마진은 음의 방향으로 "+2"이고 양의 방향으로 "0"일 수 있다.
이처럼, 샘플링 지연의 정상 동작 마진은 기준 동작 마진 "+1"보다 크지만 신호 세기의 양의 방향 정상 동작 마진 "0"은 기준 동작 마진 "+1"보다 작으므로 제어부(140)는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판단되지 아니하면(1230의 아니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에러 감시 동작(1100)을 수행한다(1280).
에러 진단의 결과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판단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에러 진단을 종료하고, 에러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판단되면(1230의 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에러를 해소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1240).
제어부(140)는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중에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이 증가하도록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샘플링 지연의 정상 동작 마진은 음의 방향으로 "-1"이고 양의 방향으로 "+2"일 수 있으며, 샘플링 지연의 음의 방향 정상 동작 마진 "-1"이 기준 동작 마진 "1"보다 작으므로 제어부(140)는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샘플링 지연의 정상 동작 마진이 증가하도록 샘플링 지연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샘플링 지연의 음의 방향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작으므로, 현재 설정값을 "1" 증가시키면 음의 방향의 정상 동작 마진이 증가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캘리브레이션 동작 중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 지연의 설정값을 "3"으로부터 "4"로 변경할 수 있다. 샘플링 지연의 설정값 변경에 의하여, 샘플링 지연의 정상 동작 마진은 음의 방향으로 "0"이 되고 양의 방향으로 "+1"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이크로 프로세서(141)와 메모리(151)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샘플링 지연의 정상 동작 마진은 음의 방향으로 "+2"이고 양의 방향으로 "+3"일 수 있으며, 신호 세기의 정상 동작 마진은 음의 방향으로 "+2"이고 양의 방향으로 "0"일 수 있다. 신호 세기의 양의 방향 정상 동작 마진 "0"이 기준 동작 마진 "1"보다 작으므로 제어부(140)는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신호 세기의 정상 동작 마진이 증가하도록 신호 세기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신호 세기의 양의 방향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작으므로, 현재 설정값을 "1" 감소시키면 양의 방향의 정상 동작 마진이 증가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캘리브레이션 동작 중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세기의 설정값을 "5"으로부터 "4"로 변경할 수 있다. 신호 세기의 설정값 변경에 의하여, 신호 세기의 정상 동작 마진은 음의 방향으로 "+1"이 되고 양의 방향으로 "+1"이 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다시 판단한다(1250).
제어부(140)는 인자 값의 정상 동작 범위(예를 들어, 동작 상태 테이블)와 인자의 변경된 설정값을 기초로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현재 설정값의 정상 동작 마진을 판단하고, 현재 설정값의 정상 동작 마진을 기초로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 지연의 변경된 설정값은 "4"일 수 있으며, 샘플링 지연의 정상 동작 마진은 음의 방향으로 "0"이고 양의 방향으로 "+1"일 수 있다.
샘플링 지연의 음의 방향 정상 동작 마진 "0"이 기준 동작 마진 "+1"보다 작으므로 제어부(140)는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세기의 변경된 설정값은 "4"일 수 있으며, 신호 세기의 정상 동작 마진은 음의 방향으로 "+1"이고 양의 방향으로 "+1"일 수 있다.
신호 세기의 정상 동작 마진이 모두 기준 동작 마진 "+1"보다 작지 아니하므로(크거나 같으므로) 제어부(140)는 에러의 위험성이 낮거나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판단되지 아니하면(1250의 아니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에러 감시 동작(1100)을 수행한다(1280).
캘리브레이션에 의하여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해소되면 제어부(140)는 에러 진단을 종료하고, 에러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캘리브레이션에 의하여 신호 세기의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크거나 같아지면 제어부(140)는 에러 진단을 종료하고, 에러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판단되면(1250의 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캘리브레이션의 수행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큰지를 판단한다(1260).
캘리브레이션에 의하여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해소되지 아니하면, 제어부(140)는 캘리브레이션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캘리브레이션의 수행 횟수를 제한하기 위하여 제어부(140)는 캘리브레이션의 수행 횟수를 기준 횟수와 비교하고, 캘리브레이션의 수행 횟수를 기준 횟수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준 횟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계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추후에 변경될 수 있다. 기준 횟수는 에러 진단의 수행 시간과 연관될 수 있다. 기준 횟수가 증가할수록 에러 진단의 수행 시간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리브레이션의 수행 횟수는 3회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의 수행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크지 않으면(1260의 아니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에러를 해소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1240).
캘리브레이션에 의하여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해소되지 아니하면, 제어부(140)는 캘리브레이션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캘리브레이션에 의하여 샘플링 지연의 음의 방향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여전히 작으면 제어부(140)는 캘리브레이션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샘플링 지연의 음의 방향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작으므로, 현재 설정값을 "1" 증가시키면 음의 방향의 정상 동작 마진이 증가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2번째 캘리브레이션 동작 중에 샘플링 지연의 설정값을 "4"으로부터 "5"로 변경할 수 있다. 샘플링 지연의 설정값 변경에 의하여, 샘플링 지연의 정상 동작 마진은 음의 방향으로 "+1"이 되고 양의 방향으로 "0"이 될 수 있다.
2번째 캘리브레이션 동작에 의하여 샘플링 지연의 음의 방향 정상 동작 마진은 기준 동작 마진 "1"보다 같아지나, 샘플링 지연의 양의 방향 정상 동작 마진은 기준 동작 마진 "1"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동작 에러의 위험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아니하며, 제어부(140)는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의 수행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크면(1260의 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에러 진단 동작의 진단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로 전송한다(1270).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반복하는 중에 캘리브레이션 동작의 수행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크면 제어부(140)는 에러 진단 동작의 진단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로 전송하고, 에러 진단을 종료할 수 있다.
수 차례에 의한 캘리브레이션에 의하여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해소되지 않으면 캘리브레이션 동작에 의하여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해소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서비스 장치(2)로 에러 진단 동작의 진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해소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진단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 및 에러 진단에 관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동작 에러 발생 시의 환경 데이터(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컨텐츠 소스의 데이터), 동작 에러의 원인되는 인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인자 값의 범위, 동작 에러의 원인이 되는 인자의 현재 설정값, 동작 에러의 원인이 되는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동작 에러 또는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해소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에 의하여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해소되지 아니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로 진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스로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으며,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불편 없이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3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장치의 서비스 제공 동작을 도시한다.
도 13과 함께, 서비스 장치(2)의 서비스 제공 동작(1300)이 설명된다.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진단 데이터를 수신한다(1310).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생산자 또는 판매자 또는 서비스 대행자 등에 의하여 운영될 수 있으며, 일종의 클라우드 서버로 동작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진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진단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 및 에러 진단에 관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데이터는 예를 들어 동작 에러 발생 시의 환경 데이터(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컨텐츠 소스의 데이터), 동작 에러의 원인되는 인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인자 값의 범위, 동작 에러의 원인이 되는 인자의 현재 설정값, 동작 에러의 원인이 되는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진단 데이터를 분석한다(1320).
서비스 장치(2)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로부터 진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이외의 다른 여러 장치들로부터 동작 에러에 관한 진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진단 데이터들과 동작 에러에 대응한 대응 조치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진단 데이터들과 대응 조치에 관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데이터 베이스의 진단 데이터들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대응 조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가 데이터 베이스의 진단 데이터와 매칭되면, 서비스 장치(2)는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대응 조치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응 조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가 데이터 베이스의 진단 데이터와 매칭되지 아니하면,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계자에게 대응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응 조치를 판단한다(133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를 분석한 이후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응 조치를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비스 장치(2)는 데이터 베이스의 진단 데이터들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대응 조치를 판단할 수 있다. 대응 조치는 예를 들어 서비스 담당자의 방문, 동작 에러를 해소하기 위한 사용자 조치의 안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리를 위한 서비스 입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는 대응 조치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1330).
대응 조치를 판단한 이후, 서비스 장치(2)는 대응 조치를 위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서비스 담당자가 사용자를 방문하도록 서비스 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에러를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조치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조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서비스 센터에 입고시키기 위한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서비스 입고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비스 장치(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동작 에러에 관한 진단 데이터를 수집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진단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진단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응 조치를 판단하고, 대응 조치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서비스 장치(2)는 사용자에게 동작 에러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서비스 담당자의 방문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게시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게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전자 장치 2: 서비스 장치
3: 통신망 11: 진단 실행 유닛
12: 진단 대상 유닛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사용자 입력부 111: 입력 버튼
112: 신호 수신기 120: 컨텐츠 수신부
121: 수신 단자 122: 튜너
130: 통신부 131: 유선 통신 모듈
132: 무선 통신 모듈 140: 제어부
141: 마이크로 프로세서 150: 저장부
151: 메모리 152: 저장 매체
160: 영상 표시부 16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162: 디스플레이 패널 170: 전원부
171: SMPS 180: 리모트 컨트롤러

Claims (20)

  1. 표시부;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자와 상기 동작 에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크면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크면 사용자로부터 턴오프 명령이 수신된 이후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자의 값을 변경하면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를 판단하고, 상기 인자의 값의 정상 동작 범위와 상기 인자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인자의 설정값에 의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자의 설정값이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자의 설정값과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의 상한 사이의 차이 및 상기 인자의 설정값과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의 하한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을 판단하고,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작으면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작으면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이 증가하도록 상기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 아니하면 상기 변경된 설정값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표시부와 컨텐츠 수신부와 통신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을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하면서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상기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자와 상기 동작 에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인자의 설정값에 의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크면 사용자로부터 턴오프 명령이 수신된 이후 상기 인자의 설정값에 의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인자의 값을 변경하면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를 판단하고;
    상기 인자의 설정값과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의 상한 사이의 차이 및 상기 인자의 설정값과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의 하한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을 판단하고;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작으면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작으면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이 증가하도록 상기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 아니하면 상기 변경된 설정값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에러에 대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과 관련된 인자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인자의 설정값에 따라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자의 설정값에 의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자의 설정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자와 상기 동작 에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가 감지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시간 동작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크면 상기 인자의 설정값에 의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크면 사용자로부터 턴오프 명령이 수신된 이후 상기 인자의 설정값에 의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자의 값을 변경하면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가 정상 동작하도록 하는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를 판단하고, 상기 인자의 설정값과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의 상한 사이의 차이 및 상기 인자의 설정값과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범위의 하한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을 판단하고, 상기 인자의 정상 동작 마진이 기준 동작 마진보다 작으면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상기 컨텐츠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에러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 아니하면 상기 변경된 설정값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143370A 2017-10-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 KR102486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70A KR102486013B1 (ko) 2017-10-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
US16/760,233 US11445171B2 (en) 2017-10-31 2018-10-3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8/012997 WO2019088646A1 (ko) 2017-10-31 2018-10-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70A KR102486013B1 (ko) 2017-10-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425A true KR20190048425A (ko) 2019-05-09
KR102486013B1 KR102486013B1 (ko) 2023-01-09

Family

ID=6633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370A KR102486013B1 (ko) 2017-10-31 2017-10-31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45171B2 (ko)
KR (1) KR102486013B1 (ko)
WO (1) WO201908864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849A1 (en) * 2019-09-10 2021-03-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2234874A1 (ko) * 2021-05-07 2022-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695A (ko) 2020-09-24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190530B2 (ja) * 2021-05-12 2022-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ユーザによる情報システムのリソース操作を評価する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418A (ko) * 2014-08-22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
KR20170041998A (ko) * 2015-10-08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처리장치, 비디오처리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70308370A1 (en) * 2016-04-26 2017-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052A (ko) 2012-12-27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26202A (ko)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케이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20160129662A (ko) 2015-04-30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가 진단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418A (ko) * 2014-08-22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
KR20170041998A (ko) * 2015-10-08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처리장치, 비디오처리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70308370A1 (en) * 2016-04-26 2017-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849A1 (en) * 2019-09-10 2021-03-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175873B2 (en) 2019-09-10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2234874A1 (ko) * 2021-05-07 2022-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11642A1 (en) 2021-07-08
WO2019088646A1 (ko) 2019-05-09
KR102486013B1 (ko) 2023-01-09
US11445171B2 (en)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517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7630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
US20120249323A1 (en) Low Battery Remote Display System
US20060281455A1 (en) Base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changeover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changeover program
KR201500719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통합 리모컨 설정 방법, 통합 리모컨 및 이의 설정 방법
US201400355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from voltage thereof
EP2787772B1 (en) Method for connecting short-range communication in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US10306307B2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video output settings for video source
KR20170085479A (ko) 조건수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IoT 관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723302B2 (en)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method for measuring video processing quality
US9215454B2 (en)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audio/video processing function of audio/video playback apparatus
US8416349B2 (en)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antenna connection detection method for broadcast reception device
US20150156676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determining re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886137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broadcast reception state thereof
EP3082342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US20120254924A1 (en) method circuit and system for detecting a connection request while maintaining a low power mode
US20150002738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transmitting display data,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50087039A (ko) 자가 진단기능을 탑재한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카메라 자가 진단 방법
US100636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ding wireless signals sufficient for installation of wireless home automation devices
KR20110016652A (ko) 무선 신호의 수신 감도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방송 송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998546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792746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6033251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303781B1 (ko)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EP2800331B1 (en) Input lag estimation for wi-fi display si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