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202A -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202A
KR20160026202A KR1020140114263A KR20140114263A KR20160026202A KR 20160026202 A KR20160026202 A KR 20160026202A KR 1020140114263 A KR1020140114263 A KR 1020140114263A KR 20140114263 A KR20140114263 A KR 20140114263A KR 20160026202 A KR20160026202 A KR 20160026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input
content
external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태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1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6202A/ko
Publication of KR2016002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커넥터 설정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커넥터 설정값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입출력 구성부, 입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출력 테이블을 생성하고, 입출력 테이블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EXTERNAL INPUT DEVICE CONNECTED TO DISPLAY DIVCE,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셋톱박스(set-top box)란, TV 위에 설치된 상자에서 유래된 용어로, 디지털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전송된 압축신호를 원래의 영상 및 음성신호로 복원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셋톱박스는 TV와 연결되어 인터넷과의 접속을 통해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 TV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셋톱박스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01-0107194호에는 맞춤형 디지털 셋톱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셋톱박스는 TV 주변에 위치해야 하므로, 셋톱박스의 설치에 많은 공간적 제약이 따른다. 또한, 셋톱박스와 TV는 상호 제어가 되지 않아 각각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해야 한다.
최근에는 TV와 셋톱박스가 결합된 모델이 출시가 되고 있으나, 특정 TV 모델에 대하여 셋톱박스가 개별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와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한 외부 입력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결합 모델을 제공할 수 있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각각의 콘트롤 장치가 필요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입력 장치의 결합 모델을 통해 하나의 콘트롤 장치로 상호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결합 모델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입력 장치 간의 유연한 연결성 및 UI 방법을 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커넥터 설정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커넥터 설정값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입출력 구성부, 입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출력 테이블을 생성하고, 입출력 테이블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커넥터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커넥터 설정값을 분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입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출력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입출력 테이블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커넥터 설정값을 수신하고, 커넥터 설정값을 분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를 구성하고, 입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출력 테이블을 생성하고, 입출력 테이블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한 외부 입력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결합 모델을 제공할 수 있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각각의 콘트롤 장치가 필요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입력 장치의 결합 모델을 통해 하나의 콘트롤 장치로 상호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결합 모델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입력 장치 간의 유연한 연결성 및 UI 방법을 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넥터 설정값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에서 구성한 입출력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명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 외부 입력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은 리모컨(14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제공 서버(110),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 외부 입력 장치(130)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장치(13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11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외부 입력 장치(130)로부터 컨텐츠를 요청받고, 요청받은 컨텐츠를 외부 입력 장치(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는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VOD(Video On Deman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외부 입력 장치(130)로부터 디코딩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컨텐츠의 표시를 위해 LCD, LED, PDP 등과 같은 패널(panel)부와 패널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신호처리부는 단자 전체의 기능 및 영상/음성 신호 규격 등을 통신하는 단자, 영상신호를 송수신하는 단자,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단자, 사용자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자, VCC와 Ground와 같이 외부장치의 전력을 공급하는 단자, GPIO와 같이 Reserved 단자 등을 포함함으로써, 외부 입력 장치(130)를 수용하고, 외부 입력 장치(130)와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을 공유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커넥터 설정값을 외부 입력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일 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V, LED(Light Emitting Diodes) TV, PDP(Plasma Display Panel) TV,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V, 3D(3-Dimensional) TV, UHD(Ultra High Definition) TV와 같이 완제품 형태의 다양한 TV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로부터 커넥터 설정값을 수신하고, 커넥터 설정값을 분석할 수 있다. 커넥터 설정값은 예를 들어, 복수의 비디오 포트, 오디오 포트, 리모컨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 설정값은 복수의 포트에 대한 정의 및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설정값은 예를 들어, 핀(PIN) 번호, 해당 핀에 대한 정의(Definition), 입/출력 타입(I/O Type), 사용가능여부(available), 설명(Descrip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커넥터 설정값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를 구성하고, 입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출력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사용가능여부(available)에서 'Yes'로 표시된 핀 번호 및 외부 입력 장치(130)에서 지원하는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130)는 이와 같이 생성된 입출력 테이블을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수신한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 핀들을 오픈(open)시키고, 외부 입력 장치(130)와 디스플레이 장치(120) 간의 통신이 가능해지면서, 외부 입력 장치(130)가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외부 입력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와 하나의 결합 모델로서 작동될 수 있으며, 완제품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120)와 달리, 외부 입력 장치(130)는 PC 카드와 같은 외장 기구물이 없이 구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컴포넌트(component)만으로 구성된 물리적인 형태, 즉, 반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130)는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입력 장치(13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130)는 컨텐츠의 디코딩을 위해 필요한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동영상 코덱은 예를 들어, MPEG-1, MPEG-2, MPEG-4, DivX, Xvid, AVI 및 WMV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 코덱은 예를 들어, MP3, WMA, AAC 및 AC-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외부 입력 장치(130) 및 디스플레이 장치(12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테이블에 리모컨 신호 포트가 포함되어 구성된 경우, 외부 입력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입력된 리모컨 신호를 리모컨 신호 포트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 외부 입력 장치(130) 각각에 대해 리모컨(140)이 필요하였지만, 리모컨 신호 포트를 공유함으로써, 하나의 리모컨(14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 외부 입력 장치(130) 모두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입력 장치(130)는 전력부(210), 수신부(220), 입출력 구성부(230), 전송부(240), 컨텐츠 수신부(250), 디코딩부(260) 및 컨텐츠 제공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부(210)는 외부 입력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 입력 장치(130) 내에 자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전력부(210)는 특정 포트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수신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로부터 커넥터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롬(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저장소에 접속하여 커넥터 설정값을 읽어올 수 있으며, 커넥터 설정값은 예를 들어, 복수의 비디오 포트 및 오디오 포트, 리모컨 신호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설정값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넥터 설정값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커넥터 설정값은 복수의 필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필드(310)는 예를 들어, 핀(PIN, 311), 해당 핀의 정의(Definition, 312), 입/출력 타입(I/O Type, 313), 사용가능여부(available, 314), 설명(Description, 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서, 핀이 총 60개로 구성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핀(PIN, 311)은, 일 예로서, 1 부터 60까지의 총 60핀(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1번 핀(321)의 정의(312)는 전압(VCC), 입/출력 타입(313)은 출력, 사용가능여부(314)는 가능, 설명(315)은 12V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2번 핀(322)의 정의(312)는 접지(Ground), 사용가능여부(315)는 가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3번~5번 핀(323)의 정의(312)는 아날로그 비디오(Analog Video), Y/Pb/Pr, 입/출력 타입(313)은 입력, 사용가능여부(314)는 가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6번~24번 핀(324)의 정의(312)는 디지털 A/V(Digital A/V), 입/출력 타입(313)은 입력, 사용가능여부(314)는 가능, 설명(315)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Ver1.4a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25~34번 핀(325)의 정의(312)는 디지털 비디오(Digital Video), 입/출력 타입(313)은 입력, 사용가능여부(314)는 불가능, 설명(315)은 LVDS(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35번~36번 핀(326)의 정의(312)는 아날로그 오디오(Analog Audio) Lt/Rt, 입/출력 타입(313)은 입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37번 핀(327)의 정의(312)는 적외선(IR, Infrared Ray), 입/출력 타입(313)은 출력, 사용가능여부(314)는 가능, 설명(315)은 리모컨(Remocon)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38번~39번 핀(328)의 정의(312)는 칩 간의 통신 규약을 나타내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입/출력 타입(313)은 입/출력, 사용가능여부(314)는 가능, 설명(315)은 Slave 37h Config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40번~41번 핀(329)의 정의(312)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입/출력 타입(313)은 입/출력, 사용가능여부(314)는 가능, 설명(315)은 Master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42번~43번 핀(330)의 정의(312)는 칩 간의 통신 규약을 나타내는 UART(Univers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입/출력 타입(313)은 입/출력, 사용가능여부(314)는 가능, 설명(315)는 115200 Baud Rate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44번~47번 핀(331)의 정의(312)는 이더넷(Ethernet), 입/출력 타입(313)은 입/출력, 사용가능여부(314)는 가능, 설명(315)은 10/100Mbps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48번~60번 핀(332)의 정의(312)는 추가적 기능을 정의하는 Reserved, 입/출력 타입(313)은 입/출력, 사용가능여부(314)는 가능, 설명(315)는 GPIO(General-Purpose Input/Output)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디스플레이 타입(340)은 3840, 2160, 60p의 해상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입출력 구성부(230)는 커넥터 설정값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입출력 구성부(230)는 도 3의 커넥터 설정값을 이용하여 비디오 포트, 오디오 포트, 리모컨 포트, 이더넷(Ethernet) 포트 등을 설정함으로써,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포트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커넥터 설정값의 디스플레이 타입(340)이 3840, 2160, 60p이고, 외부 입력 장치(130)의 출력 해상도가 이를 지원한다고 가정하자. 외부 입력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커넥터 설정값의 6번~24번 핀(324)과 25번~34번 핀(325) 중 어느 하나를 비디오 포트로 설정하여 비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커넥터 설정값의 25번~34번 핀(325)의 사용가능여부(314)가 불가능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입출력 구성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6번~24번 핀(324)을 비디오 포트로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오디오 포트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커넥터 설정값에서 6번~24번 핀(324)의 HDMI가 오디오 포트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입출력 구성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6번~24번 핀(324)을 오디오 포트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리모컨 포트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커넥터 설정값에서 37번 핀(327)이 리모컨 포트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입출력 구성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37번 핀(327)을 리모컨 포트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인터넷 사용을 위해 이더넷(Ethernet) 포트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커넥터 설정값에서 44번~47번 핀(331)이 이더넷 포트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입출력 구성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44번~47번 핀(331)을 이더넷 포트로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 입력 장치(130)에서 이더넷의 100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20)에서 이더넷의 10/100Mbps의 전송 속도만을 지원하므로, 입출력 구성부(230)는 44번~47번 핀(331)을 이더넷 포트로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송부(240)는 입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출력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입출력 테이블은 디스플레이 장치(120)에서 표시될 외부 입력 장치(130)의 모델명 및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테이블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에서 구성한 입출력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입출력 테이블은 복수의 필드(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필드(410)는 예를 들어, 핀(PIN, 411), 정의(Definition, 412), 사용 여부(Usage, 413), 설명(Description, 4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핀에 대한 정의(412), 핀에 대한 설명(414)은 도 3과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송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1 부터 60까지의 핀(420) 중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여부(Usage, 413)를 예스(Yes) 또는 노(No)로 표시한 입출력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1번 및 2번 핀은 전압과 접지를 나타내는 핀으로, 외부 입력 장치(130)는 항상 해당 핀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므로, 입출력 테이블에는 포함될 수도,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240)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송출을 위해 디지털 A/V(Digital A/V)를 나타내는 6번~24번 핀(422),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리모컨과의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37번 핀(425), 칩간 통신 규약 중 하나인 I2C를 나타내는 38번~39번(426) 및 40번~41번(427)을 사용하는 것으로 입출력 테이블을 구성하고, 이외의 핀들에 대해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입출력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부(240)는 'SMT-0000'과 같은 외부 입력 장치(130)의 모델명 및 'kt IPTV'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130)의 이름(440)을 포함하여 입출력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240)는 생성한 입출력 테이블을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수신한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외부 입력 장치(130)가 사용여부(Usage, 413)에 'Yes'로 표시한 핀(PIN)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핀들을 오픈(Open)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컨텐츠 수신부(25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된 경우, 컨텐츠 수신부(25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PIP(Picture-In-Picture) 기능과 같이 복수의 화면으로 구성된 경우, 컨텐츠 수신부(25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코딩부(260)는 수신한 컨텐츠를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수신부(250)로부터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한 경우, 디코딩부(260)는 수신한 하나의 컨텐츠를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수신부(250)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한 경우, 디코딩부(260)는 수신한 복수의 컨텐츠를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동시에 디코딩할 수도 있다.
디코딩부(260)는 컨텐츠의 디코딩을 위해 필요한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동영상 코덱은 예를 들어, MPEG-1, MPEG-2, MPEG-4, DivX, Xvid, AVI 및 WMV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 코덱은 예를 들어, MP3, WMA, AAC 및 AC-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270)는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제공부(270)는 입출력 테이블에 'Yes'라고 표시된 비디오 포트 및 오디오 포트를 통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0)에서 컨텐츠 표시 화면으로 하나의 화면이 설정된 경우, 컨텐츠 제공부(270)는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0)에서 컨텐츠 표시 화면으로 PIP(Picture-In-Picture) 화면이 설정된 경우, 컨텐츠 제공부(270)는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제공부(270)는 제 1 컨텐츠를 복수의 비디오 포트 중 제 1 포트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부(270)는 제 2 컨텐츠를 복수의 비디오 포트 중 제 2 포트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20)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130)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외부 입력 장치(130) 내의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20)로부터 커넥터 설정값을 수신하고, 커넥터 설정값을 분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를 구성하고, 입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출력 테이블을 생성하고, 입출력 테이블을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전송하고,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명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DVD 플레이어, 게임기 등과 같은 일반적인 외부 입력 기기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외부입력1 및 외부입력2와 같이 외부입력(510)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한 외부 입력 장치(130)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kt IPTV'와 같이 외부 입력 장치(130)의 이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13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 장치(13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610에서 외부 입력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로부터 커넥터 설정값을 수신한다. 이 때, 커넥터 설정값은 예를 들어, 복수의 비디오 포트, 오디오 포트 및 리모컨 신호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외부 입력 장치(130)는 커넥터 설정값을 분석한다. 단계 S630에서 외부 입력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가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를 구성한다. 단계 S640에서 외부 입력 장치(130)는 입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출력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 때, 입출력 테이블은 디스플레이 장치(120)에서 표시될 외부 입력 장치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50에서 외부 입력 장치(130)는 입출력 테이블을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전송한다. 단계 S660에서 외부 입력 장치(130)는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제공한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 입력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 입력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저장소에 접속하여 커넥터 설정값을 읽어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 입력 장치(130)는 제 1 컨텐츠를 복수의 비디오 포트 중 제 1 포트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 2 컨텐츠를 복수의 비디오 포트 중 제 2 포트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 입력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입력된 리모컨 신호를 리모컨 신호 포트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 입력 장치(130)는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 입력 장치(130)는 컨텐츠를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외부 입력 장치(13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컨텐츠 제공 서버
120: 디스플레이 장치
130: 외부 입력 장치
140: 리모컨
210: 전력부
220: 수신부
230: 입출력 구성부
240: 전송부
250: 컨텐츠 수신부
260: 디코딩부
270: 컨텐츠 제공부

Claims (19)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커넥터 설정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커넥터 설정값을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입출력 구성부;
    상기 입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출력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입출력 테이블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부를 더 포함하는, 외부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장소에 접속하여 상기 커넥터 설정값을 읽어오는 것인, 외부 입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설정값은 비디오 포트 및 오디오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외부 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설정값은 복수의 비디오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제 1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비디오 포트 중 제 1 포트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제 2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비디오 포트 중 제 2 포트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인, 외부 입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설정값은 리모컨 신호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입력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리모컨 신호를 상기 리모컨 신호 포트를 통해 수신하는 것인, 외부 입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테이블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될 상기 외부 입력 장치의 이름을 포함하는 것인, 외부 입력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외부 입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외부 입력 장치.
  10. 외부 입력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커넥터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 설정값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입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출력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출력 테이블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장소에 접속하여 상기 커넥터 설정값을 읽어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설정값은 비디오 포트 및 오디오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설정값은 복수의 비디오 포트를 포함하며,
    제 1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비디오 포트 중 제 1 포트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 2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비디오 포트 중 제 2 포트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설정값은 리모컨 신호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리모컨 신호를 상기 리모컨 신호 포트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테이블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될 상기 외부 입력 장치의 이름을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방법.
  19. 디스플레이 장치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커넥터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커넥터 설정값을 분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용가능한 입출력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입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출력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입출력 테이블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입출력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40114263A 2014-08-29 2014-08-29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20160026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63A KR20160026202A (ko) 2014-08-29 2014-08-29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63A KR20160026202A (ko) 2014-08-29 2014-08-29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202A true KR20160026202A (ko) 2016-03-09

Family

ID=5553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263A KR20160026202A (ko) 2014-08-29 2014-08-29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62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646A1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646A1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45171B2 (en) 2017-10-31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4640B2 (en) Wireless theater system
KR101576238B1 (ko)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한 시리얼 버스 지원의 유연한 구현
WO2016070734A1 (zh) 插卡式电视
US10158822B2 (en) Video presentation device and method
US20100295994A1 (en) Management and display of video content
US20120311654A1 (en) Bridged control of multiple media devices via a selected user interface in a wireless media network
KR101748262B1 (ko) 통합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10868624B2 (en) Backward compatible mechanism to provide cable type signaling in HDMI
US20120090001A1 (en) Apparatus having multimedia interface and network access management integrated therein
KR20160132843A (ko) Hdmi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 기기 및 방법
US20140344876A1 (en) Smart touch set-top box device and smart multimedia playing system
CN108449360B (zh) 智能交互一体机
US20150020137A1 (en) Presentation control apparatus, presentation control method, presentation system, presentation control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metadata
US9798507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150026947A (ko) 디스플레이 포워딩 기능에 대한 호환성 통지를 이용하는 컨텐트 공유 방법 및 연관 디바이스
CN102594795A (zh) 网络系统、内容再现接管方法和程序
US1026431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P-based HDMI device
CN102147566A (zh) 嵌入式操作系统的多媒体投影仪
US202002453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content in a multi-user and mulit-device environment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3299615A (zh) 因特网协议网络上的视频分发系统和方法
US9137553B2 (en) Content server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same
KR20160026202A (ko)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입력 장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US20130194397A1 (en) Display apparatus, apparatus for upgrading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of display system
US20130212636A1 (e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synchronous image display
WO2012171156A1 (en) Wireless video streaming using usb connectivity of hd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