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230A -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230A
KR20190048230A KR1020170142997A KR20170142997A KR20190048230A KR 20190048230 A KR20190048230 A KR 20190048230A KR 1020170142997 A KR1020170142997 A KR 1020170142997A KR 20170142997 A KR20170142997 A KR 20170142997A KR 20190048230 A KR20190048230 A KR 20190048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cosmetic
wall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650B1 (ko
Inventor
김이슬
조현대
김봉준
이홍영
강신복
황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4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650B1/ko
Priority to CN201880021430.8A priority patent/CN110461187A/zh
Priority to PCT/KR2018/013078 priority patent/WO2019088685A1/ko
Priority to JP2019553833A priority patent/JP2020512152A/ja
Priority to US16/497,946 priority patent/US20210106116A1/en
Priority to EP18873751.4A priority patent/EP3590383A4/en
Publication of KR2019004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B65D83/0016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the contents being forced out through the screw-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제2 화장료를 구비하고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상부용기부(10); 제1 화장료를 구비한 하부용기부(20); 상기 상부용기부(10)의 하단과 상기 하부용기부(20)의 상단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손잡이부(30); 및 상기 제2 화장료를 토출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화장품 용기의 간편조작에 따라 이종 화장료 중 원하는 어느 한가지의 화장료만 사용하거나 또는 두가지의 화장료를 하나의 팁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화장료 사용 후 제2화장료를 필요한 만큼 토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컨투어링 메이크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형(제1화장료는 비비크림, 제2화장료는 하이라이터 또는 쉐딩 또는 블러셔 등)에 따라 얼굴 윤곽을 살리거나 입체감을 주도록 피부표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제1화장료로 크림제형 및 제2화장료로 에센스를 사용하거나, 제1화장료로 선케어제형 및 제2화장료로 쿨링제품을 사용하여 스킨케어와 피부보호용의 화장품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Cosmetic case for two-type 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 화장료를 구비하되, 화장료 두가지 중 어느 한가지의 화장료만 사용가능하거나 또는 용기의 조작에 따라 두가지의 화장료를 하나의 팁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종 화장료의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고형,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화장료 타입에 맞추어 이를 보관하는 화장품 용기도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다.
또한, 화장료는 다양한 제품류로 분류되며, 고형화장료 및 액상 화장료인 스킨, 로션, 에센스, 오일, 글로스, 틴트, 액상 파운데이션, 액상 메이크업제 등은 대부분 각각 하나의 화장료 용기에 담겨져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화장품에 기능성을 추가한 제품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고, 이 기능성 화장료들을 섞어서 사용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용기에 각각 담긴 화장료를 손등이나 별도의 플레이트에서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시 귀찮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에, 두 가지 화장료를 하나의 용기 내에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혼합형 화장료 용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등록실용신안 제20-0469855호에 개시된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는 두가지의 액상화장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없는 구성이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73968호에 개시된 펌핑부재와 누름버튼으로 이루어져 이종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화장품 용기는 이종 내용물을 누름버튼의 가압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출시켜야 하므로 가압력 조절이 어렵고 더욱이 사용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화장품 용기에 사용되는 팁은 그 형태 및 재질상 사용자가 피부에 고르게 펴바르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으며, 종래 팁의 재질이 화장료와 반응하여 부풀어오르는 등 팁의 형태가 망가지는 현상도 있고 화장료와의 반응에 따른 사용제품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985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96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 화장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간편조작에 따라 이종 화장료 중 어느 한가지의 화장료만 사용하거나 또는 두가지의 화장료를 하나의 팁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종 화장료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는,
제2 화장료를 구비하고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상부용기부(10);
제1 화장료를 구비한 하부용기부(20);
상기 상부용기부(1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구비되고 상기 하부용기부(20)의 상단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손잡이부(30); 및
상기 제2 화장료를 토출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상부용기부(10)는,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밀폐된 형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내벽(12)과 외벽(1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벽(12)은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내측상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내벽(12)의 내측면에는 나사산(12a)이 형성되거나 또는 홈(1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하부용기부(20)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용기형태로, 용기몸체의 상부 외측테두리에는 결착수단(22a)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하부용기부(20)의 상단 내측에는 박킹부(2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박킹부(25)는, 원통형상으로 상단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렌지형 걸림턱(251)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용기부(20)의 상단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하부는 중심부를 향한 테이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테이퍼에는 다수개의 절개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손잡이부(30)는, 내부벽(31)과 외부벽(32)으로 된 중공의 상하부 관통형상으로, 상기 내부벽(31)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걸림플렌지(31a)가 절곡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벽(32)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하부용기부(20)의 상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착수단(32a)이 구비되며, 외부벽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나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토출부(40)는, 상기 상부용기부(10)의 내측에 구비된 제2 화장료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토출이 가능하도록, 제1토출부(41); 제1토출부(41)와 하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결합된 제2토출부(42); 상기 제1토출부(41)의 외측면을 따라 상방향 이동 또는 상하이동하는 이동접시부(43); 상기 제2토출부(42)의 내측에 구비되는 토출조절부(44); 및 상기 제2토출부(42)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결합하는 팁(4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토출부(41)는, 상기 상부용기부(10)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되 제1토출부의 상단과 상부용기부(10)의 내벽의 내측상부면과는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하가 개방된 제1토출관(411)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토출관(411)의 외측면에는 스크류 나사산(411a)이 형성되며, 상기 제1토출관(411)의 하단에는 제1결합부(412)가 제1토출관(411)의 직경보다 크게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이동접시부(43)는, 내부접시(431)와 외부접시(432)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접시(431)의 내측면에는 스크류 나사산(4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접시(432)의 외측면에는 스크류 나사산(432a)이 형성되거나 또는 돌기(432b)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용기부(1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토출부(41)의 제1토출관(411)의 외측면을 따라 상방향 이동 또는 상하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2토출부(42)는, 상하가 개방된 제2토출관(421)으로 구성되되, 제2토출관(421)의 상단에는 제2결합부(4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토출부(41)의 제1결합부(412)와 밀착결합되며,
상기 제2토출관(421)의 내측 소정위치에는 관통홀(p)을 구비한 유동조절막(42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토출조절부(44)는, 이동막(441)과 상기 이동막(441) 하부에 결합되는 탄성체(442)로 구성되어, 상기 제2토출부(42)의 제2토출관을 통해 유동되는 제2 화장료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팁(45)은, 상기 제2토출부(42)의 하단에 결합되는 팁상부(451), 상기 제2토출부(42)와 연결되는 관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몸체(452)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452)의 측부 또는 하부에는 관통로의 토출홈(h)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팁(45)의 몸체(452)에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된후 고정부착된 펴바름부(453)가 더 형성되고, 상기 펴바름부(453)를 제외한 몸체(452)에는 함침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팁(45)의 몸체(452) 또는 펴바름부(453)는 실리콘이나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함침재는, 플로킹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폴리우레탄 러버 또는 폴리우레탄폼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면, 스펀지 또는 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상부용기부(10)의 내벽 하단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외부돌기(12c)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30)의 내부벽(31)의 내측면에는 상기 외부돌기에 대응되는 환형 결합홈(31b)을 더 구비하여,
상기 상부용기부(10)가 상기 손잡이부에 결착된채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간편조작에 따라 이종 화장료 중 원하는 어느 한가지의 화장료만 사용하거나 또는 두가지의 화장료를 하나의 팁을 이용하여 혼합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화장료 사용 후 제2화장료를 필요한 만큼 토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컨투어링 메이크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형(제1화장료는 비비크림, 제2화장료는 하이라이터 또는 쉐딩 또는 블러셔 등)에 따라 얼굴 윤곽을 살리거나 입체감을 주도록 피부표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에 제1화장료로 크림제형 및 제2화장료로 에센스를 사용하거나, 제1화장료로 선케어제형 및 제2화장료로 쿨링제품을 사용하여 스킨케어와 피부보호용의 화장품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외부형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상부용기부(10) 단면도(a)와 이에 결합되는 이동접시부(30)의 형태(b)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상부용기부(10)와 손잡이부(30)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외부형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상부용기부(10) 단면도(a)와 이에 결합되는 이동접시부(30)의 형태(b)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상부용기부(10)와 손잡이부(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1)는, 제2 화장료(C2)를 구비하고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상부용기부(10), 제1 화장료(C1)를 구비한 하부용기부(20), 상부용기부(1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구비되고, 하부용기부(20)의 상단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손잡이부(30), 및 제2 화장료(C2)를 토출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용기부(10)는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밀폐된 형상으로, 구체적으로는 이격되게 형성된 내벽(12)과 외벽(13)으로 이루어지되 내벽의 하부가 외벽의 하부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내벽은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내측상부에 화장료를 저장구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벽은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또한, 내벽의 내측면에는 나사산(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용기부의 상단에는 덮개(15)가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용기부(10)의 내벽 내측상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제2 화장료(C2)가 저장 구비되며, 상부용기부(10)는 상하이동없이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부용기부(2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용기형태로, 용기몸체(22)의 상부 외측테두리에는 결착수단(22a)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용기내부에는 제1 화장료(C1)가 저장 구비된다.
또한, 하부용기부(20)의 상단 내측에는 팁(45)에 묻어진 제1 화장료(C1)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박킹부(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박킹부(25)는 원통형상으로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렌지형 걸림턱(251)이 형성되어 하부용기부(20)의 상단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하부는 중심부를 향해 경사진 형태의 테이퍼(252)로 구성되되, 테이퍼 하단의 직경은 함침재가 머금거나 함침재에 묻어있는 제1 화장료를 덜어내도록 함침재가 구비된 팁(45)의 직경과 같거나 조금 더 크게 구비한다. 또한 테이퍼(252)에는 다수개의 절개라인을 형성하여 테이퍼하단을 통해 팁(45)의 상하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테이퍼하단에 팁(45)이 걸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30)는 후술하는 토출부(40)에 대해 상부용기부(10)가 상대적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부는 상부용기부(1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결합되고 하부는 하부용기부(20)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며, 상부용기부(10)의 회동시 상대적으로 토출부(40)의 관로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손잡이부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나 요철부를 형성하여 손잡이부를 잡고 상부용기부의 회동시 미끄러짐 없이 회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부(30)가 내부벽(31)과 외부벽(32)으로 된 중공의 상하부 관통형상으로, 내부벽(31)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걸림플렌지(31a)를 절곡형성하여 토출부(40)의 제2토출부의 제2결합부가 걸려 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벽 내측 하부에는 하부용기부(20)의 상부에 형성된 결착수단(22a)에 대응되는 결착수단(32a)을 형성하여, 내부벽 상부가 상부용기부(10)의 하부와 결합되고, 외부벽 내측 하부가 하부용기부(20)의 상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와 같은 형상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손잡이부에 양측방향에서 가해지는 사용자의 파지력은 토출부(40)의 제1토출부(41)와 제2토출부(42)의 결합부를 밀착가압하여 고정되게 한다.
토출부(40)는 상부용기부(10)의 내측에 구비된 제2 화장료(C2)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토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제1토출부(41), 제1토출부(41)와 하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결합된 제2토출부(42), 제1토출부(41)의 외측면을 따라 상방향이동 또는 상하이동하는 이동접시부(43), 제2토출부(42)의 내측에 구비되는 토출조절부(44), 및 제2토출부(42)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결합하는 팁(4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토출부(41)는 상부용기부(10)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되 제1토출부의 상단과 상부용기부(10)의 내벽의 내측상부면과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가 개방된 제1토출관(411)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1토출관(411)의 외측면에는 스크류 나사산(4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토출관(411)의 하단에는 제1결합부(412)가 제1토출관(411)의 직경보다 크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는 이동접시(43)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동접시부(43)는 상부용기부(10)의 회동에 따라 제1토출부(41)의 제1토출관(411) 외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내부접시(431)와 외부접시(432)로 구성되며, 내부접시(431)의 내측면에는 제1토출관(411)의 스크류 나사산(411a)에 대응되는 스크류 나사산(431a)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접시(432)의 외측면에는 상부용기부(10)의 나사산(12a)에 대응되는 스크류 나사산(4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내부접시와 외부접시는 밀착고정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접시부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용기부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이동접시부(43)를 상부용기부(10)의 회동에 따라 제1토출부(41)의 제1토출관(411) 외측면을 따라 상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내부접시(431)의 내측면에는 제1토출관(411)의 스크류 나사산(411a)에 대응되는 스크류 나사산(431a)을 형성하고, 상부용기부(10)의 내벽 내측면에는 나사산(12a) 대신에 별도로 다수개의 홈(12b)을 형성하며, 외부접시(432)의 외측면에는 상부용기부(10)의 홈(12b)에 대응하는 돌기(432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접시부(43)를 상부용기부(10)의 회동에 따라 제1토출부(41)의 제1토출관(411) 외측면을 따라 상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부용기부(10)의 내벽 하단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외부돌기(12c)를 더 형성하고 외부돌기는 손잡이부(30)의 내부벽(31) 내측면에 더 형성된 환형 결합홈(31b)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상부용기부(10)가 손잡이부에 결착된채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용기부(10)의 회동에 따라 제1토출부(41)의 제1토출관(411)을 따라 상방향 이동하는 이동접시부(43)에 의해, 상부용기부(10)의 내벽 내측상부에 저장된 제2 화장료(C2)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화장료(C2)는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1토출관(411)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어 제1토출관(411)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토출부(42)는 제1토출부(41)의 하단에 하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가 개방된 제2토출관(421)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2토출관(421)의 상단에는 제2결합부(422)가 형성되어 제1토출부(41)의 제1결합부(412)와 밀착결합된다. 또한, 제2토출관(421)의 내측 소정위치에는 관통홀(p)을 구비한 유동조절막(421a)이 형성되어 제2토출관(421)의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유동하는 화장료(C2)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관통홀(p)의 직경은 제2토출관(421)의 내직경보다 작음은 물론이다.
토출조절부(44)는 제2토출관(421)의 내측 유동조절막(421a)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유동조절막(421a)의 관통홀(p)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막(441)과 이동막(441) 하부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4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막(441)은 구형, 반구형, 판형, 원판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이동막(441)의 직경은 제2토출관의 내직경보다는 작고 관통홀(p)의 직경보다는 커야함은 물론이다.
또한, 탄성체(442)는 스프링 이외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며, 탄성력의 크기는 상방향으로부터 밀려오는 제2 화장료(C2)가 관통홀(p)을 통과하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압축이 가능한 정도이면 무방하다.
팁(45)은 제2토출부(42)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제2토출부(42)의 하단에 결합되는 팁상부(451), 내부에 제2토출부(42)와 연결되는 관통로가 형성된 몸체(452)로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452)의 측부 또는 하부에는 관통로의 토출홈(h)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몸체(452)에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된후 고정부착된 펴바름부(453)가 더 형성될 수 있고, 펴바름부(453)를 제외한 몸체(452)에는 플로킹(flocking)과 같은 함침재를 구비할 수 있다.
팁의 몸체(452)내의 관통로를 통해 제2 화장료(C2)가 토출되는 것이고, 함침재는 팁(45)이 하부용기부(20)내의 제1 화장료(C1) 안에 삽입되었을 때 제1 화장료(C1)를 머금게 된다. 또한, 펴바름부(453)는 제1 화장료 또는 제2 화장료를 사용자가 피부에 펴바를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팁(45), 즉 팁의 몸체와 펴바름부는 실리콘이나 엘라스토머,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를 가공하여 성형한 것으로, 엘라스토머는 화장료와의 반응성이 거의 없는 재질이다. 이와 같이 팁을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종래 팁 재질이 화장료와 반응하여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팁(45)을 실리콘이나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료와의 유해한 반응성은 없고 탄성 및 내구력을 가진 재질은 어느것이나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함침재로 플로킹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화장료(C1)를 충분히 머금을 수 있고, 또한 제2 화장료(C2)를 외부로 투과시킬 수도 있으면서, 제1 화장료(C1)와 제2 화장료(C2)가 함유된 상태로 혼합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 러버 또는 폴리우레탄폼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함침재도 가능하고, 면, 스펀지 또는 솜의 형태로 이루어진 함침재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팁의 형태를 관통로를 구비한 팁몸체와 펴바름부가 더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뼈대 역할을 하는 플라스틱재질의 주머니형상에 함침재가 씌워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통상의 실리콘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의 작동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화장료(C1)가 저장되어 있는 하부용기부(20)와 제2 화장료(C2)가 저장되어 있는 상부용기부(10)가 손잡이부(30)를 매개로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토출부의 제2토출관(42)과 팁(45)이 하부용기부(20)내의 제1 화장료(C1) 안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1 화장료(C1)가 몸체의 함침재에 머금어져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용기부(20)를 잡고 손잡이부(30)를 돌리게되면, 손잡이부(30) 하단과 하부용기부(20) 상단이 분리되면서, 토출부의 제2토출관(42)과 팁(45)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때, 외부로 노출되는 과정에서 팁(45)의 함침재(453)에 머금어져 있는 제1 화장료(C1)의 양은 박킹부(25)의 테이퍼하단(252)을 통과하면서 적정량으로 조절되게 된다.
외부로 노출된 함침재(453)에 머금어져 있는 제1 화장료(C1)를 피부에 도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화장료(C2)를 사용하기 위하여 손잡이부(30)를 잡고 상부용기부(10)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부용기부(10)의 회동력에 의해 상부용기부(10)의 내벽(12)의 내측면과 토출부(40)의 제1토출관(41)의 외측면에 스크류 나사결합된 이동접시부(43)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저장된 제2 화장료(C2)에 상방향의 가압력을 주게되고 상방향 가압력에 의해 제2 화장료(C2)는 상방향으로 밀려 이동하게 된다.
상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2 화장료(C2)는 연통되어 있는 제1토출관(411)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어 제1토출관(411)을 따라 하부로 밀려 이동된다.
제1토출관을 따라 이동되는 제2 화장료(C2)는 연통되어 있는 제2토출관(421)으로 연속해서 이동되고, 제2 화장료(C2)에 가해진 가압력 및 중력에 의해 제2 화장료(C2)는 제2토출관(421) 하부 내측에 형성된 유동조절막(421a)의 관통홀(p)을 통과하면서 관통홀을 하부에서 막고있는 이동막(441)에 힘을 가하게 되고, 이동막(441)은 하부에 결합된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관통홀(p)을 개방시킨다.
개방된 관통홀을 통해 이동되는 제2 화장료(C2)는 팁(45)까지 이동후 팁(45)의 주머니몸체(452)의 측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토출홈(h)을 통해 유출되어, 주머니몸체(452)를 둘러싸고 있는 함침재(453)에 머금어지거나 또는 이미 머금고 있는제1 화장료(C1)와 혼합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상부용기부
12: 내벽 12a: 나사산
12b: 홈 12c: 외부돌기
13:외벽 15: 덮개
20: 하부용기부 25: 박킹부
251: 플렌지형 걸림턱 252: 테이퍼
30: 손잡이부 31: 내부벽
32: 외부벽 31a: 걸림플렌지
31b: 환형 결합홈 32a: 결착수단
40: 토출부 41: 제1토출부
411: 제1토출관 412: 제1결합부
42: 제2토출부 421: 제2토출관
421a: 유동조절막 p: 관통홀
422: 제2결합부
43: 이동접시부 431: 내부접시
432: 외부접시 431a,432a: 스크류 나사산
432b: 돌기
44: 토출조절부 441: 이동막
442: 탄성체 45: 팁
451:팁상부 452: 몸체
h: 토출홈 453: 함침재

Claims (17)

  1. 제2 화장료를 구비하고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상부용기부(10);
    제1 화장료를 구비한 하부용기부(20);
    상기 상부용기부(1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구비되고 상기 하부용기부(20)의 상단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손잡이부(30); 및
    상기 제2 화장료를 토출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부(10)는,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밀폐된 형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내벽(12)과 외벽(1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벽(12)은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내측상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내벽(12)의 내측면에는 나사산(12a)이 형성되거나 또는 홈(1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부(20)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용기형태로, 용기몸체의 상부 외측테두리에는 결착수단(22a)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부(20)의 상단 내측에는 박킹부(2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박킹부(25)는,
    원통형상으로 상단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렌지형 걸림턱(251)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용기부(20)의 상단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하부는 중심부를 향한 테이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에는 다수개의 절개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0)는,
    내부벽(31)과 외부벽(32)으로 된 중공의 상하부 관통형상으로, 상기 내부벽(31)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걸림플렌지(31a)가 절곡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벽(32)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하부용기부(20)의 상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착수단(32a)이 구비되며, 외부벽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나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40)는,
    상기 상부용기부(10)의 내측에 구비된 제2 화장료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토출이 가능하도록, 제1토출부(41); 제1토출부(41)와 하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결합된 제2토출부(42); 상기 제1토출부(41)의 외측면을 따라 상방향 이동 또는 상하이동하는 이동접시부(43); 상기 제2토출부(42)의 내측에 구비되는 토출조절부(44); 및 상기 제2토출부(42)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결합하는 팁(4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부(41)는,
    상기 상부용기부(10)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되 제1토출부의 상단과 상부용기부(10)의 내벽의 내측상부면과는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하가 개방된 제1토출관(411)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토출관(411)의 외측면에는 스크류 나사산(411a)이 형성되며, 상기 제1토출관(411)의 하단에는 제1결합부(412)가 제1토출관(411)의 직경보다 크게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접시부(43)는,
    내부접시(431)와 외부접시(432)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접시(431)의 내측면에는 스크류 나사산(4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접시(432)의 외측면에는 스크류 나사산(432a)이 형성되거나 또는 돌기(432b)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용기부(1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토출부(41)의 제1토출관(411)의 외측면을 따라 상방향 이동 또는 상하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출부(42)는,
    상하가 개방된 제2토출관(421)으로 구성되되, 제2토출관(421)의 상단에는 제2결합부(4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토출부(41)의 제1결합부(412)와 밀착결합되며,
    상기 제2토출관(421)의 내측 소정위치에는 관통홀(p)을 구비한 유동조절막(42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조절부(44)는,
    이동막(441)과 상기 이동막(441) 하부에 결합되는 탄성체(442)로 구성되어, 상기 제2토출부(42)의 제2토출관을 통해 유동되는 제2 화장료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팁(45)은,
    상기 제2토출부(42)의 하단에 결합되는 팁상부(451), 상기 제2토출부(42)와 연결되는 관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몸체(452)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452)의 측부 또는 하부에는 관통로의 토출홈(h)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팁(45)의 몸체(452)에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된후 고정부착된 펴바름부(453)가 더 형성되고, 상기 펴바름부(453)를 제외한 몸체(452)에는 함침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팁(45)의 몸체(452) 또는 펴바름부(453)는 실리콘이나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플로킹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폴리우레탄 러버 또는 폴리우레탄폼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면, 스펀지 또는 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부(10)의 내벽 하단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외부돌기(12c)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30)의 내부벽(31)의 내측면에는 상기 외부돌기에 대응되는 환형 결합홈(31b)을 더 구비하여,
    상기 상부용기부(10)가 상기 손잡이부에 결착된채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1020170142997A 2017-10-31 2017-10-31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10198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997A KR101987650B1 (ko) 2017-10-31 2017-10-31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CN201880021430.8A CN110461187A (zh) 2017-10-31 2018-10-31 异种化妆料化妆品容器
PCT/KR2018/013078 WO2019088685A1 (ko) 2017-10-31 2018-10-31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JP2019553833A JP2020512152A (ja) 2017-10-31 2018-10-31 異種化粧料の化粧品容器
US16/497,946 US20210106116A1 (en) 2017-10-31 2018-10-31 Cosmetic container for two kinds of cosmetics
EP18873751.4A EP3590383A4 (en) 2017-10-31 2018-10-31 CONTAINER FOR COSMETIC PRODUCTS FOR TWO TYPES OF COSMETIC PRODU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997A KR101987650B1 (ko) 2017-10-31 2017-10-31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230A true KR20190048230A (ko) 2019-05-09
KR101987650B1 KR101987650B1 (ko) 2019-06-12

Family

ID=6633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997A KR101987650B1 (ko) 2017-10-31 2017-10-31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06116A1 (ko)
EP (1) EP3590383A4 (ko)
JP (1) JP2020512152A (ko)
KR (1) KR101987650B1 (ko)
CN (1) CN110461187A (ko)
WO (1) WO2019088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7245B2 (en) 2019-11-04 2023-01-10 Vadim Krasnopolskiy Grinding apparatus and method
USD966053S1 (en) * 2020-09-29 2022-10-11 Vadim Krasnopolskiy Grinder apparatus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138Y1 (ko) * 2001-06-28 2001-12-13 변영광 파운데이션 분사기구 및 이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충진식화장용구
JP2004351208A (ja) * 2003-05-27 2004-12-16 L'oreal Sa ワイパー部材を備えた物質の包装及び塗布装置
KR20120111540A (ko) * 2011-04-01 2012-10-10 변영광 액상화장품 용기
KR200469855Y1 (ko) 2012-10-05 2013-11-13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
KR200473968Y1 (ko) 2013-02-14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KR20140005290U (ko) * 2013-03-29 2014-10-13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 퍼프를 갖는 립클로우즈 화장용기
KR101464156B1 (ko) * 2013-10-30 2014-11-21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50001641U (ko) * 2013-10-21 2015-04-30 (주)아모레퍼시픽 텐션부재를 구비한 액상 내용물 용기
KR200481972Y1 (ko) * 2016-01-26 2016-12-02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이액혼합 가능형 화장료 용기
KR20170011603A (ko) * 2015-07-23 2017-02-02 (주)장업시스템 이중 어플리케이터 립메이크업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75Y1 (ko) * 2004-09-24 2004-12-23 강성일 고점도 화장품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구조
KR100758216B1 (ko) * 2005-10-11 2007-09-12 변영광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KR200450995Y1 (ko) * 2008-08-26 2010-11-16 (주)연우 펜슬형 화장품용기
KR101109295B1 (ko) * 2009-09-29 2012-01-31 신기봉 액상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138Y1 (ko) * 2001-06-28 2001-12-13 변영광 파운데이션 분사기구 및 이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충진식화장용구
JP2004351208A (ja) * 2003-05-27 2004-12-16 L'oreal Sa ワイパー部材を備えた物質の包装及び塗布装置
KR20120111540A (ko) * 2011-04-01 2012-10-10 변영광 액상화장품 용기
KR200469855Y1 (ko) 2012-10-05 2013-11-13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
KR200473968Y1 (ko) 2013-02-14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KR20140005290U (ko) * 2013-03-29 2014-10-13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 퍼프를 갖는 립클로우즈 화장용기
KR20150001641U (ko) * 2013-10-21 2015-04-30 (주)아모레퍼시픽 텐션부재를 구비한 액상 내용물 용기
KR101464156B1 (ko) * 2013-10-30 2014-11-21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70011603A (ko) * 2015-07-23 2017-02-02 (주)장업시스템 이중 어플리케이터 립메이크업 용기
KR200481972Y1 (ko) * 2016-01-26 2016-12-02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이액혼합 가능형 화장료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06116A1 (en) 2021-04-15
KR101987650B1 (ko) 2019-06-12
EP3590383A4 (en) 2020-12-09
CN110461187A (zh) 2019-11-15
WO2019088685A1 (ko) 2019-05-09
EP3590383A1 (en) 2020-01-08
JP2020512152A (ja)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939Y1 (ko) 고무배출패드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US6648538B2 (en)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and refill for a dispensing device
KR200478729Y1 (ko) 스퀴즈가 가능한 퍼프 일체형 화장품용기
KR20150001236U (ko) 리필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987650B1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US11812838B2 (en) Container and dispenser system and apparatus
US6174099B1 (en) Device for applying liquid cosmetic products
EP3684219B1 (en) Cap and vial applicator system for applying two cosmetic products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US20230270235A1 (en) Applicator system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US3015836A (en) Fluid applicators
KR102018557B1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101838391B1 (ko) 충진 장치, 화장품 용기, 화장품 충진 세트 그리고 화장품 충진 방법
KR20160061030A (ko) 도포부재를 구비한 튜브용기
KR101895042B1 (ko) 화장료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0430507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용기
KR102065015B1 (ko) 리필 가능한 내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US20240041178A1 (en) Universal and Reusable Versatile Dispenser
KR200487907Y1 (ko) 화장품
KR102067958B1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101984912B1 (ko)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190049652A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GB2534275A (en) A device for fluid application
KR20190049650A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20190000412U (ko)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