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500A -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책상 및 업무시간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책상 및 업무시간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500A
KR20190047500A KR1020170141452A KR20170141452A KR20190047500A KR 20190047500 A KR20190047500 A KR 20190047500A KR 1020170141452 A KR1020170141452 A KR 1020170141452A KR 20170141452 A KR20170141452 A KR 20170141452A KR 20190047500 A KR20190047500 A KR 20190047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time
desk
smar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황
손석기
방문건
이은용
박은비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텐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이텐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41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7500A/ko
Publication of KR20190047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식별코드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휴대단말, 상기 휴대 단말과 근거리 통신 또는 USB단자를 통하여 연결 또는 분리됨을 감지하여 전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며, 점등시 및 소등시 점등 시간 및 소등시간을 저장하여 소등시간에서 점등시간을 차감하여 업무시간을 계산하는 스마트 책상 및 상기 업무시간을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전송받아 근로자에 대한 업무시간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업무시간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로자(학생)이 스마트 오피스(독서실 등 학습공간)에 출입 후 휴대 단말을 통하여 자신이 예약한 스마트 책상의 전등을 점등 후 소등하는 시간까지를 근무(학습)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음으로 실제 근무(학습)시간에 대한 통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책상 및 업무시간 관리장치{PORTABLE TERMINAL MANAGING WORKING TIME BY CONTROLLING LAMP AND SMATRT DESK CONNECTED THE PORTABLE TERMINAL AND MANAGEMENT APPARATUS OF WORKING TIME}
본 발명은 업무시간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스마트 오피스 환경에서 근로자의 업무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파악하여 근로자의 업무시간을 관리할 수 있는 업무시간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IT 발전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업무를 할 수 있는 개념인 스마트워크 도입이 증가함에 따라 사무 환경의 변화를 통한 스마트워크 문화를 도입하려는 정부기관 및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워크 문화에 따른 사무환경 변화로 인하여 정부에서는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물리적인 공간에 대한 품질 등급제를 도입 할 예정으로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스마트워크센터 및 스마트오피스 환경 사무실에 고정 좌석이 아닌 자율(변동)좌석을 시행하는 현장에서는 무인 관리가 가능한 출입 관리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스마트워크 환경내에서 근로자의 업무시간을 관리하기 위하여 출입 관리시스템에 기록된 스마트 오피스 입실 및 퇴실 시간을 이용하는 경우, 이는 근로자의 출근, 퇴근에 대한 단순 시간 정보일 뿐 스마트 오피스 환경에서의 근로자의 순수 업무시간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111호의 '스마트폰 연동 조명스탠드'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OLED가 설치된 조명장치의 조명밝기를 세분화하여 조절하고 있으나 스마트 오피스에서 근로자의 업무시간을 파악하는 기술에 대하여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근로자가 자유롭게 일하는 스마트 오피스 환경에서의 근로자의 업무시간 관리와 마찬가지로 출입관리시스템이 있는 독서실에서의 학생들의 학습시간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진보하고 있는 정보통신 기술인 IoT(Internet of things)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업무시간 관리 또는 학생의 학습시간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업무(학습)시간 관리장치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1.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111호 (2013.02.0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오피스내에 있는 스마트 책상에 설치된 전등의 점등을 제어하고, 점등시간을 측정하여 업무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에 의하여 전등이 온/오프 되는 스마트 책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오피스 또는 독서실 등에 있어서 근로자 또는 학생의 업무시간 및 학습시간을 관리하고 이를 관리자 또는 부모님에게 전송할 수 있는 업무시간 관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스마트 책상은 휴대 단말과 근거리 통신 또는 USB단자를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 전등을 점등하고, 점등시 점등시간을 저장하며, 휴대 단말과 분리되었을 경우, 전등을 소등하고, 소등시 소등시간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소등시간에서 점등시간을 차감하여 업무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휴대 단말과 근거리 통신 또는 USB단자를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 휴대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책상식별코드를 수신받아 스마트 책상의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책상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업무시간을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은 휴대 단말과 근거리 통신 또는 USB단자를 통하여 연결되어, 스마트 책상의 전등을 점등하기 위한 점등제어명령을 스마트 책상으로 전송하고, 스마트 책상으로부터 점등완료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점등시간을 저장하며, 스마트 책상의 전등을 소등하기 위한 소등제어명령을 스마트 책상으로 전송하고, 스마트 책상으로부터 소등완료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소등시간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소등시간에서 점등시간을 차감하여 계산된 업무시간을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휴대 단말은 스마트 책상으로부터 책상식별코드를 수신받아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책상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며, 휴대 단말은 근거리 통신 또는 USB단자를 통하여 스마트 책상과 연결되었을 경우, 무음 또는 진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업무시간 관리장치는 책상식별코드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휴대단말, 상기 휴대 단말과 근거리 통신 또는 USB단자를 통하여 연결 또는 분리됨을 감지하여 전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며, 점등시 및 소등시 점등 시간 및 소등시간을 저장하여 소등시간에서 점등시간을 차감하여 업무시간을 계산하는 스마트 책상 및 상기 업무시간을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전송받아 근로자에 대한 업무시간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관리서버는 스마트 책상으로부터 점등시간을 전송받은 경우, 근로자가 해당 책상에 착석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착석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관리서버는 관리자 단말에 착석상태정보 또는 업무시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근로자(학생)이 스마트 오피스(독서실 등 학습공간)에 출입 후 휴대 단말을 통하여 자신이 예약한 스마트 책상의 전등을 점등 후 소등하는 시간까지를 근무(학습)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음으로 실제 근무(학습)시간에 대한 통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근무(학습)시간에 대한 통계를 이용하여 실적 또는 성적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함으로서 효율적인 근태관리 및 학습관리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받은 근로자(학생)들이 휴대 단말을 통하여 스마트 책상의 전등을 점등하는 경우, 곧바로 휴대 단말을 통하여 관리서버로 책상식별코드를 전송함에 따라 관리자(부모님)은 필요시 근로자(학생)이 스마트 책상에 착석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시간 관리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책상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통하여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스마트 책상과 연결되는 경우 업무시간 관리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스마트 책상과 연결되는 경우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오피스에서 근로자의 업무시간은 학습공간(독서실 등)에서 학생의 학습시간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스마트 책상은 스마트 오피스 및 학습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마트 오피스에서 근로자의 업무시간에 대한 업무시간 관리장치도 학생에 대한 학습시간 관리장치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시간 관리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업무시간 관리장치(1000)는 스마트 책상(200)에 설치된 전등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전등의 점등시간에 따른 학습시간을 계산하여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휴대 단말(10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스마트 오피스를 출입하는 근로자에 대한 출입인증, 출입인증에 따른 출입문 개폐 및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업무시간정보를 관리하는 제어부(310) 및 근로자 이름, 이동통신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아이디, 패스워드, 출입식별코드 등의 근로자 정보(321), 근로자의 좌석예약현황, 해당 좌석의 책상식별코드 등의 좌석 정보(322) 및 근로자의 업무시간 정보(323) 등을 저장,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근로자가 휴대폰 또는 IC카드를 통하여 출입 단말기(미도시)에 출입식별코드를 입력하는 경우, 인증부(312)는 입력된 출입식별코드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출입식별코드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예약된(출입이 허용된) 근로자임을 판단하여 인증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의 출입관리부(311)는 인증부(312)에 의하여 인증 후 근로자가 스마트 오피스에 출입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근로자의 출입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312)는 휴대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인증코드(예를 들어 출입식별코드, 이동통신전화번호 등) 및 책상식별코드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인증코드(예를 들어 출입식별코드, 이동통신전화번호 등) 및 책상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근로자의 휴대 단말(100)에 인증완료 정보(인증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업무시간 관리부(313)는 인증부(312)의 인증완료정보가 휴대단말(100)에 전송되었을 경우, 인증완료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근로자가 자신의 스마트 책상(200)에 착석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근로자 착석상태정보(근로자 정보에 포함)를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업무시간 관리부(313)는 휴대단말(100)로부터 전송받은 근로자의 업무시간을 이용하여 일별로 근로자의 업무시간에 대하여 통계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320)에 업무시간 정보(323)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업무시간 관리부(313)는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관리자 단말(부모님 단말, 미도시)의 해당 근로자 업무시간정보요청 또는 착석상태확인요청에 대하여 관리자 단말로 해당 근로자의 업무시간정보 또는 착성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관리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스마트 앱)이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부모님)는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하여 현재 근로자의 착석상태 및 업무시간을 즉시 확인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근로자의 업무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교육환경에 적용할 경우, 원격지에 있는 부모가 학생의 학습활동에 따른 실제 학습시간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통계적으로 확인하고, 현재 학생이 스마트 책상에 있는지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 학생의 학습지도에 참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은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앱 실행부를 제어하여 외부에서 근로자의 점등 또는 소등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스마트 책상의 전등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점등(소등)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스마트 책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단말(110)은 일반적인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에 구비되어 있는 외부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120),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30),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 및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10)의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선통신, USB단자를 이용한 유선통신 및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이동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을 통하여 근로자의 동작에 따른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스크린 경우, 앱 실행에 따라 스마트 책상의 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근로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소정의 실행입력메뉴(UI/UX)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업무시간 계산부(160)는 전등의 점등시간과 소등시간을 이용하여 근로자가 스마트 책상에 앉아 전등이 점등중인 시간을 업무시간으로 계산하고, 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전등의 점등제어 및 업무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업무시간관리 어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출입 및 스마트 책상의 전원을 사용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사용자인증코드(예를 들어 출입식별코드, 이동통신전화번호 등) 및 상기 업무시간 계산부(160)에서 생성된 업무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업무시간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앱 실행명령(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어 있는 실행 아이콘을 터치)을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를 통하여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10)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하여 스마트 책상의 통신부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페어링을 수행하며, 스마트 책상과 연결되는 경우, 스마트 책상(200)의 통신부로 책상식별코드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받아 책상식별코드 및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출입식별코드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앱 실행부(170)를 구동시키는 사용자의 실행명령은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받거나, 휴대 단말(100)의 통신부와 스마트 책상의 통신부를 USB단자를 통하여 연결시키는 경우,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10)는 스마트 책상이 연결되었음을 인식하고 자동적으로 앱 실행부(17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스마트 책상과 연결되었을 경우, 휴대 단말(100, 스마트 폰)의 제어부는 진동 및 무음으로 자동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전송받은 책상식별코드 및 출입식별코드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책상식별코드 및 출입식별코드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따른 인증완료정보(인증완료코드)를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완료정보를 수신받은 휴대 단말(100)은 스마트 책상(200)의 통신부로 인증완료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책상(200) 현재 근로자가 해당 스마트 책상(200)을 사용할 권한이 있다고 판단하고 점등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근로자는 업무시간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점등메뉴 또는 소등메뉴를 터치하여 스마트 책상의 전등의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로자의 점등메뉴 및 소등메뉴의 터치에 따라 제어부는 점등제어명령 또는 소등제어명령을 근거리 통신 또는 USB단자를 통하여 스마트 책상의 통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등 및 소등 제어명령은 근로자가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점등메뉴 및 소등메뉴를 터치하여 입력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모듈 또는 USB 단자를 통하여 스마트 책상과 연결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점등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스마트 책상으로 전송함으로써 근로자의 외부 입력없이 스마트 책상의 전등이 점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과 스마트 책상과의 연결이 끊어졌을 경우(예를 들어 업무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또는 USB 단자로부터 분리), 스마트 책상의 제어부는 휴대 단말과의 연결이 해제되었다고 인식하고 전등을 소등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책상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 책상(200)의 저장부(230)는 책상식별코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책상식별코드는 휴대 단말(100)의 책상식별코드 요청에 따라 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휴대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책상식별코드는 근로자가 사용가능한 스마트 책상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에 이용될 수 있다. 스마트 책상(200)의 제어부(21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인증완료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점등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점등 대기 상태에서 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휴대 단말(100)로부터 점등제어명령 및 소등제어명령을 수신받은 경우, 전등(50)을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하여 스위칭부(24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부(250)과 전등(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240)는 트랜지스터 등의 전자식 스위치 및 릴레이 등의 기계식 스위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책상식별코드 전송에 따른 인증완료정보를 소정의 시간동안 수신받지 못하는 경우, 스피커(미도시) 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하여 이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통하여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리서버(300)는 근로자의 출입에 따른 출입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가 스마트 오피스 공간에 입실 또는 퇴실에 대한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S10). 휴대 단말(100)은 스마트 책상(200)과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USB단자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업무시간관리 어플리케이션(앱)을 실행(S41)하여 스마트 책상(200)에 책상식별코드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받아 사용자 인증코드 및 책상식별코드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42,S43,S44). 관리서버(300)는 수신받은 사용자 인증코드 및 책상식별코드를 이용하여 근로자가 해당 스마트 책상(200)을 사용할 권한이 있는지 인증을 수행하고, 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S45), 인증완료정보를 휴대단말(100)을 통하여 스마트 책상(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46). 인증 후 관리서버(300)는 근로자가 해당 스마트 책상(200)에 착석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착석상태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계속적으로 인증완료정보를 수신한 스마트 책상(200)은 점등 대기상태를 유지하고(S51), 휴대 단말로부터 전등 점등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경우(S52),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전등을 점등시키고(S53), 전등 점등완료정보를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54). 상기 점등 완료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100)은 점등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S55).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100)은 전등 소등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이를 수신받은 스마트 책상은 전등을 소등한 후 전등 소등완료정보를 휴대 단말로 전송하고 휴대 단말은 이에 따라 소등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S56,S57,S58,S59). 휴대 단말(100)은 저장되어 있는 소등시간에서 점등시간을 차감하여 업무시간을 계산하고(S60), 이를 관리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서버(300)은 현재 근로자의 업무시간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휴대단말을 통하여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과정에 있어 스마트 책상에 저장되어 있는 책상식별코드를 이용하여 근로자가 해당 스마트 책상의 사용권한이 있는지 관리서버에서 인증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휴대 단말에 책상식별코드가 미리 저장되고 이를 스마트 책상으로 전송하면, 스마트 책상의 제어부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책상식별코드와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책상식별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한 후 일치하는 경우, 스마트 책상이 점등대기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은 스마트 책상이 점등 대기상태일 경우, 점등 대기 상태를 전송받아 이를 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서버는 근로자가 해당 스마트 책상에 착석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착석상태정보를 생성,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스마트 책상과 연결되는 경우 업무시간 관리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스마트 책상과 연결되는 경우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 책상(200)은 네트워크망(10)을 통하여 관리서버(300)와 연결되고 휴대 단말(100)과는 근거리 통신모듈 또는 USB단자를 통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책상(200)의 제어부는 통신부(근거리 통신모듈 또는 USB 단자)를 통하여 휴대 단말이 연결되었을 경우(S61), 휴대 단말(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책상식별코드를 수신받아 스마트 책상(200)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책상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전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점등 시간을 저장하거나 점등 시간을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62). 관리서버(300)는 상기 점등 시간을 스마트 책상으로부터 전송받은 경우, 근로자가 해당 책상에 착석하였다고 판단하고 이를 착석상태정보로 저장,관리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이 스마트 폰 등 이동통신 단말일 경우,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스마트 책상과 USB 단자를 통하여 연결되었음을 감지하고, 무음 또는 진동모드로 휴대 단말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책상식별코드는 근로자가 좌석예약에 따른 근로자의 휴대 단말에 전송되는 인증코드로 휴대 단말의 저장부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계속적으로 스마트 책상(200)의 제어부는 통신부(USB 단자)로부터 휴대 단말이 분리되었을 경우(S63), 전등을 소등함과 동시에 소등시간을 저장하거나 점등 시간을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65). 마지막으로 스마트 책상(200)의 제어부는 상기 소등시간에서 점등시간을 차감하여 업무시간을 계산하고 이를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65). 여기서 업무시간을 스마트 책상이 계산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마트 책상은 전등 점등 또는 소등에 대한 시간정보를 전송받은 관리서버로 이를 이용하여 업무시간을 계산하고 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오피스 환경에서 근로자의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스마트 책상의 전등의 점등시간을 제어하거나, 휴대 단말이 스마트 책상과 USB 단자를 통하여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전등을 점등, 소등시키고 이에 따른 점등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업무시간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근로자의 현재 착석상태 및 업무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으로 근로자의 업무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오피스 환경이 구축되어 있는 직장, 관공서, 독서실 등의 이용자에 대한 출입관리와 동시에 업무시간을 관리함으로써 이용자의 근로(학습)상태에 대한 정확한 통계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휴대 단말 110:제어부
120:통신부 130:입력부
140:디스플레이부 150:저장부
160:업무시간 관리부 170:앱 실행부
200:스마트 책상 210:제어부
220:통신부 230:저장부
240:스위칭부 250:전원부
300:관리서버 310:출입 관리부
320:인증부 330:업무시간 관리부
320:데이터베이스 1000:업무시간 관리장치

Claims (1)

  1. 미리 저장된 출입식별코드 및 스마트 책상으로부터 전송받은 책상식별코드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근거리 통신 또는 USB단자를 통하여 스마트 책상과 연결되는 경우, 업무시간관리 앱을 실행하고 상기 업무시간관리 앱을 통하여 전등의 점등제어 및 업무시간을 계산하는 휴대 단말,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출입식별코드 및 책상식별코드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출입식별코드 및 책상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근로자의 휴대 단말에 인증완료 정보(인증코드)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휴대 단말로부터 인증완료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점등대기상태를 유지하고, 휴대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점등제어명령 또는 소등제어명령에 따라 전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스마트 책상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스마트 책상으로부터 수신한 점등완료정보 및 소등완료정보를 이용하여 업무시간을 계산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관리서버는 인증 후 근로자가 해당 스마트 책상에 착석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착석상태정보를 생성하고, 휴대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업무시간을 일별로 업무시간에 대한 통계처리한 업무시간정보를 관리하며, 휴대단말로부터 출입식별코드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출입식별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예약된 근로자라 판단하고 출입문을 개방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관리자 단말에 착석상태정보 또는 업무시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업무시간 관리장치.
KR1020170141452A 2017-10-27 2017-10-27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책상 및 업무시간 관리장치 KR20190047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452A KR20190047500A (ko) 2017-10-27 2017-10-27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책상 및 업무시간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452A KR20190047500A (ko) 2017-10-27 2017-10-27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책상 및 업무시간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500A true KR20190047500A (ko) 2019-05-08

Family

ID=6658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452A KR20190047500A (ko) 2017-10-27 2017-10-27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책상 및 업무시간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75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6109A1 (en) * 2019-10-07 2021-04-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mart desk arrangement
KR20220032814A (ko) * 2020-09-08 2022-03-15 안준권 착탈식 스위치단말을 이용한 시간관리 시스템
KR102404882B1 (ko) * 2021-06-22 2022-06-02 최성백 스마트 스탠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11Y1 (ko) 2012-09-04 2013-02-04 (주)한영이엔지 스마트폰 연동 조명스탠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11Y1 (ko) 2012-09-04 2013-02-04 (주)한영이엔지 스마트폰 연동 조명스탠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6109A1 (en) * 2019-10-07 2021-04-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mart desk arrangement
KR20220032814A (ko) * 2020-09-08 2022-03-15 안준권 착탈식 스위치단말을 이용한 시간관리 시스템
KR102404882B1 (ko) * 2021-06-22 2022-06-02 최성백 스마트 스탠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3117B2 (en) Controlling an elevator car to take a user to a destination floor based on calendar information from a mobile device
US10505751B2 (en) Synergistic interface system for a building network
US10296022B2 (en) Configuration of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controller
CN102404450B (zh) 一种使用移动设备来控制与房间相关联的组件的方法和系统
KR20170087140A (ko)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책상 및 업무시간 관리장치
CN105120202A (zh) 基于楼宇门禁可视语音对讲的移动视频系统及其方法
KR20190047500A (ko) 전등제어에 따른 업무시간을 관리하는 휴대 단말,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책상 및 업무시간 관리장치
KR101698679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출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33062B1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8449723B (zh) 对讲设备共享方法、对讲设备以及计算机可读介质
US20220350770A1 (en) Hot-desking station and system
CN113612887B (zh) 一种基于家庭与学校共同管理移动终端的管控系统及方法
Khalid et al. A smart visitors’ notification system with automatic secure door lock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US20220269768A1 (en) Facial recognition by a security / automation system control panel
CN104521217B (zh) 用于在物理对象与通信设备之间建立授权通信的方法
US20190281068A1 (en) Method for providing an access device for a personal data source
WO201922510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2861753B (zh) 一种常用空间内的管理方法
CN101499183A (zh) 控管系统、装置与控管方法
Tkauc et al. Cloud-Based Face and Speech Recognition for Access Control Applications
KR102017015B1 (ko) 스마트폰 사용제한 시스템
KR101968167B1 (ko) 신체정보 및 행동정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84960B1 (ko) 숙박업소에서 언어 치환을 수행하는 서비스 시스템
CN105306229A (zh) 进行通讯控制的方法和装置
CN112578721B (zh) 一种设备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