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385A -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385A
KR20190047385A KR1020170141228A KR20170141228A KR20190047385A KR 20190047385 A KR20190047385 A KR 20190047385A KR 1020170141228 A KR1020170141228 A KR 1020170141228A KR 20170141228 A KR20170141228 A KR 20170141228A KR 20190047385 A KR20190047385 A KR 20190047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lighting
unit
lighting uni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351B1 (ko
Inventor
정한욱
Original Assignee
(주) 맑은생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맑은생각 filed Critical (주) 맑은생각
Priority to KR1020170141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35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7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05B37/0218
    • H05B37/027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02B20/4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조명유닛에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유닛이 자동으로 점등하거나, 상기 조명유닛의 점등 여부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Ligh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조명유닛에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조명유닛이 자동으로 점등하거나, 상기 조명유닛의 점등 여부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 또는 지하도 등에는 가로등과 같은 조명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어 야간에 보행자 또는 운전자의 보행 또는 차량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 조명 시스템은 사람이 지나가지 않거나, 자동차가 통과하지 않더라도 계속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 전기에너지를 낭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야간에만 조명 시스템이 작동하게 하거나, 조명 시스템에 센서 등을 부가하여, 보행자 등을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가로등 등의 조명 시스템이 소개되었다.
센서 방식의 조명 시스템은 보행자 등이 가로등 등의 조명 시스템의 센서의 감지범위에 도달하기 전까지 가로등 주변 상황을 확인 또는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인 최근의 모바일 단말기는 3G, LTE 등의 통신기능과 GPS를 구비하여, 무선 인터넷 통신과 사용자 위치 식별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최근의 모바일 단말기는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3G, LTE 등의 사업자 통신망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와 조명 시스템을 연동하여 사용자의 불안감 또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도 조명 시스템을 통해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소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조명 시스템의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조명 시스템을 구성하는 조명유닛이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조명유닛의 점등 여부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안감 또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도 조명 시스템을 통해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한 복수의 조명유닛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여 연결(페어링) 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서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한 복수의 조명유닛에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조명유닛의 광원이 자동으로 점등되고, 기준거리보다 이격되면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한 복수의 조명유닛에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조명유닛이 모바일 단말기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것이 제어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조명유닛에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하더라도 조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조명유닛이 점등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서버가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복수의 조명유닛의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도센서 및 근거리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경우, 각각의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진입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조명유닛의 제1통신모듈이 상호 통신연결되면 상기 광원을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밖으로 멀어져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조명유닛의 제1통신모듈이 상호 통신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광원을 소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크거나, 상기 조명유닛의 이동통신모듈에서 수신된 조도 정보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큰 경우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광원을 점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진입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조명유닛의 제1통신모듈이 상호 통신연결되면, 상기 조명유닛의 광원을 점등하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을 위한 제어 아이콘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아이콘은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유닛은 노상(路上)에 설치되는 가로등 또는 복도에 설치되는 복도등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소지자가 노상 또는 복도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근거리통신이 연결된 기준거리 내의 복수 개의 조명유닛이 함께 점등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소지자가 노상 또는 복도를 따라 이동하면, 이동방향을 따라 기준거리 내로 접근하여 통신 연결되는 소등 상태의 조명유닛이 점등하고,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을 따라 기준거리 밖으로 벗어나 통신 통신연결이 해제되는 점등 상태의 조명유닛은 소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이동통신망과 통신 가능한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이동통신망과 통신 가능한 제2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조명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조명유닛의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이동통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기준거리 내에서 상호 통신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조명유닛 중 소등된 조명유닛을 점등하기 위한 점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거리 내에서 상호 통신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복수 개의 점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 사이에 소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통신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며, 기준거리 밖의 점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을 소등하기 위한 소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도센서가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모듈에 의한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복수 개의 조명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조명유닛의 근거리통신의 연결을 감지하는 통신연결 감지단계와, 상기 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이고, 상기 통신연결 감지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조명유닛이 통신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조명유닛을 제어하는 조명유닛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근거리통신으로 전송된 조도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서 의하여 상기 조명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는 조도가 미리 결정된 조도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근거리통신으로 점등 제어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조명유닛을 점등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 연결된 복수 개의 조명유닛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소지자가 이동하면, 이동 방향으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는 소등 상태의 조명유닛을 점등하고,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준거리 밖으로 벗어나는 근거리통신이 해제되는 점등 상태의 조명유닛을 소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조명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조명유닛의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이동통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며,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조명유닛을 점등하기 위한 점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복수 개의 점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 사이에 소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조명 시스템의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조명 시스템을 구성하는 조명유닛이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조명유닛의 점등 여부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안감 또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도 조명 시스템을 통해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행자 및 운전자의 이동이 없을 때에는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행자 및 운전자가 이동할 경우 일정 거리에 도달할 때부터 조명유닛을 미리 점등하여 불안감을 최소화하며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행자 및 운전자가 귀가할 때 자동으로 실내등이 켜져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한 복수의 조명유닛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여 연결(페어링) 되거나,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서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한 복수의 조명유닛에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조명유닛의 광원이 자동으로 점등되고, 기준거리보다 이격되면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한 복수의 조명유닛에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조명유닛이 모바일 단말기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것이 제어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명유닛에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하더라도 조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조명유닛이 점등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버가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복수의 조명유닛의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조명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 조명 시스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 조명 시스템의 조명유닛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모바일 단말기와 조명유닛이 페어링 되어 통신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5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조명유닛을 제어하는 버튼이 나타난 각종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 조명 시스템이 설치된 도로상에서, 조명 시스템이 작동하는 태양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 조명 시스템이 설치된 주택에서, 조명 시스템이 작동하는 태양을 도시한다.
도 8은 모바일 단말기가 서버를 통해 조명유닛과 페어링되어 통신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 조명 시스템(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 조명 시스템(1)은 조도센서(230) 및 근거리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201)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적어도 하나의 광원(320),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301)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조도센서(230)에서 감지된 조도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201)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제어신호를 송부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한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근거리통신모듈(201)과 상기 제1통신모듈(301)은 일정 반경 또는 기준거리에 접근하면 서로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통신모듈로 구비된다면 어떠한 구조 및 형태, 종류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일 수 있다.
상기 기준거리(L)는 상기 보행자나 운전자가 통행하는 데 충분한 시야를 밝힐 수 있는 거리일 수 있으며, 근거리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의 통신 가능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모듈(201)과 상기 제1통신모듈(301)은 기준거리에 위치하면 상호 인식 및 접속(Pairing) 또는 통신연결될 수 있고, 상기 통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화면(22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모바일단말기(200)를 통해 근거리통신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지만,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3G, LTE 등 이동통신망(IP NETWORK)으로 통신 연결되는 이동통신 서버(100)를 통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조명유닛(300)의 상태정보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조명유닛(300)과도 상기 이동통신망 또는 전선망을 통해 상기 조명유닛(300)의 위치정보, 상태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제어신호를 수령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와 상기 조명유닛(300)이 근거리 통신 연결되지 않거나, 상기 조명유닛(300)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모듈(202)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고,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제2통신모듈(3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통신모듈(302)은 와이파이 등이 가능한 AP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와 도 3은 상기 단말기(200)와 상기 조명유닛(300)이 기본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201)과 상기 근거리통신모듈(202)을 포함하고, 외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센서(230)와, 상기 단말기(200)에 제어명령을 입력 명령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단말기(200)의 상태 및 상기 단말기(200)가 접속한 이동통신 서버(100)나 조명유닛(300)의 상태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220)와,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0)는 터치패널로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유닛(300)는 빛을 발산하는 광원(320)과, 상기 제1통신모듈(301), 상기 제2통신모듈(302)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320)는 일반적인 전구로 구비되거나, LED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유닛(300)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유닛(300)는 상기 제1통신모듈(301)이나 상기 제2통신모듈(302)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이나, 상기 조도센서(330)에서 입력된 정보를 통해 상기 광원(300)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제어부(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제어부(340)는 상기 통신모듈과 조도센서(330)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유닛(300)은 각각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기준거리(L) 이내로 진입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의 제1통신모듈(301)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근거리통신모듈(201)이 상호 통신연결되면 상기 광원(320)을 점등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기준거리(L) 밖으로 멀어져 상기 조명유닛의 제1통신모듈과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통신모듈의 통신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광원을 소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소지자가 기준거리(L)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거리(L)는 상기 근거리통신모듈과 상기 제1통신모듈이 근거리 통신 연결될 수 있는 거리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소지자가 상기 조명유닛(300)의 적외선 감지센서 등의 감지 거리보다 먼 거리에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기준거리(L) 이내에 있으면 상기 조명유닛(300)는 점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소지자가 상기 조명유닛(300) 바로 앞에 도달하지 않아도 미리 상기 조명유닛(300)이 점등되므로,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소지자의 시야가 확보하여 심리적 불안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방법기능이 강화될 수 있고, 모바일단말기 소지자가 상기 기준거리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소등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소지자는 상기 조명유닛(300)과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근거리 통신연결되더라도 상기 조명유닛(300)이 점등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소지자는 통신연결된 조명유닛(300)의 점등 및 소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상기 조명유닛(300)의 점등/소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아이콘(A)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기준거리(L) 이내로 진입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의 제1통신모듈(301)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근거리통신모듈(201)이 상호 통신연결되면, 상기 조명유닛(300)의 광원(320)을 점등하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을 위한 제어 아이콘(A)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과 근거리 통신 연결되면,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제어부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아이콘(A)을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과 근거리 통신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도 정보에 의하여 제어아이콘(A)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제어아이콘(A)를 터치하는 경우, 통신 연결 시도 및 통신 연결 후 점등 제어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조명유닛(300)이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 연결되면, 상기 조명유닛(300)이 고유의 IP 또는 인식주소와, 접근가능신호를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에 송부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인지하여 기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제어아이콘(A)을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상기 제어아이콘(A)이 단말기 소지자에 의해 터치 입력(또는 슬라이드 터치)되면, 상기 모바일단말기(200)는 상기 조명유닛의 점등 제어신호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조명유닛(300)에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조명유닛(300)의 제어부(340)는 상기 광원(3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a),(c),(e)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초기상태로서 상기 조명유닛(300)과 통신연결되지 않았을 때 상태이다. 이 중 도 5(a),(c)는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e)는 상기 단말기(200)의 잠금상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즉,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잠금상태가 해제된 경우는 물론,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잠금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아이콘(A)은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소지자가 상기 광원(320)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상태를 번거롭게 해제할 필요가 없어 소지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도 5(b),(d),(f)는 상기 제어아이콘(A)이 화면(220)에 등장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b)와 같이 상기 제어아이콘(A)은 화면(220)이 가압되면 입력되는 스위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소지자가 용이하고 쉽게 상기 조명유닛(300)의 광원(320)을 점등/ 소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d)와 같이 상기 제어아이콘(A)이 슬라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임의로 상기 제어아이콘(A)이 가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명유닛(300)의 상기 광원(320)이 점등/소등되지 않으므로 소지자의 확실한 의사를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f)와 같이 상기 제어아이콘(A)는 잠금화면에서도 등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아이콘(A)은 패턴, 자판 등이 등장하는 부분이 아닌 여유 공간에 등장하여 소지자가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의 기준거리(L) 이내에 있다고 하더라도, 낮과 같이 밝거나 시야가 확보된 경우에는 상기 조명유닛(300)이 점등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유닛(300)이 지속적으로 점등하거나, 소등한다면 전기에너지가 낭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조명유닛(300)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조도센서(230)에서 감지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아이콘(A)은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조도센서(230)의 감지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충분한 시야가 확보된 상황이므로 상기 제어아이콘(A)이 표시되는 것이 차단되어 원천적으로 소지자가 상기 조명유닛(300)을 점등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상기 제어아이콘(A)이 등장하였다고 하더라도, 상기 조도값이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값보다 크다면 바로 화면(220)에서 사라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명유닛(300)은 자체적으로 조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고, 자체적인 조도 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조도 이하라도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연결이 안된 경우에는 점등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명유닛(300)은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이나 이동통신 서버(100)에서 전송된 조도값이나, 자체 조도센서(330)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상기 미리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크다면 상기 광원(320)이 점등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 6은 상기 조명유닛(300)이 노상(路上)에 설치되는 가로등으로 복수개 구비된 것을 도시한다. 상기 조명유닛(300)은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 복도등 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조명유닛(300)이 복수개로서 노상에 배치된 경우에, 조명 시스템(1)을 활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조명유닛(300)는 노상(路上)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는 가로등 또는 복도등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조명유닛(300)는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노상을 따라 이동하면 순차적으로 점등하고 소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유닛(300)는 노상을 따라 제1조명유닛(301), 제2조명유닛(302), 제3조명유닛(303), 제4조명유닛(304), 제5조명유닛(305)를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200)를 소지한 보행자나 운행자는 상기 제1조명유닛(301)에서 상기 제5조명유닛(305)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제1조명유닛(301)와 상기 제2조명유닛(302)의 기준거리(L) 이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내지 제5조명유닛(303~305)는 기준거리(L) 밖에 위치하는 상황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조명유닛(301)와 상기 제2조명유닛(302)는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점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도센서(230)로 감지된 조도값은 기준값 이하일 수 있다.
도 6(b)와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소지한 보행자나 운전자는 보행 또는 주행하는 것을 가정하면, 상기 제1조명유닛(301)의 광원(32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상기 기준거리(l) 이내에 있을 때 까지 점등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기준거리(l)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소등된다.
또한, 상기 제3조명유닛(303)의 광원(32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기준거리(l) 이내에 진입하면 점등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보행자나 운전자가 이동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제4조명유닛(304)의 기준거리(L)로 내에서 통신연결되고, 상기 제4조명유닛(304)는 점등되며, 상기 제2조명유닛(302)의 기준거리(L)에서 이탈되어 통신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제2조명유닛(302)는 소등된다.
이로써, 보행자나 운전자의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조명유닛(300)이 점등되고,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소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 조명 시스템(1)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소지자가 노상 또는 복도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근거리통신이 연결된 기준거리 내의 복수 개의 조명유닛(300)이 함께 점등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소지자가 노상 또는 복도를 따라 이동하면, 이동 방향으로 기준거리 내로 접근하여 근거리통신이 연결되는 소등 상태의 조명유닛(300)이 점등하고,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준거리 밖으로 벗어나는 근거리통신이 해제되는 점등 상태의 조명유닛(300)이 소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모바일단말기 소지자의 이동방향으로 복수 개의 조명유닛이 함께 점등되도록 하여 모바일단말기 소지자의 시야 확보를 통해 불안감을 최소화하며 보행 또는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조명유닛(300)이 실내등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상기 조명유닛(300)은 건물 내에 배치되는 실내등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소지자가 상기 건물로 이동하여 기준거리(L)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근거리통신이 연결된 기준거리 내의 조명유닛(300)이 점등될 수 있다.
즉, 도 7(a)와 같이, 주택에서 기준거리(L)이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위치하였다가, 도 7(b)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기준거리(L)이내로 진입하면 상기 주택의 조명유닛(300)는 전부 점등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입력수단(A)의 입력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이로써, 보행자가 주택에 진입하지 않더라도 실내에 배치된 조명유닛(300)이 점등되어 안전하게 주택으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달리, 본 발명 조명 시스템(1)에서 상기 광원(300)이 점등되면 상기 점등된 광원을 구비한 조명유닛(300)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기준거리 이상으로 이격 되더라도 상기 광원은 기준 시간동안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보행자 및 운전자의 안전을 더욱 보호할 수 있고, 뒤따라오는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도 일정 시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이동통신 서버(100)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무선통신모듈(202)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에 위치정보를 실시간마다 또는 일정시간 마다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보다 기준거리(L)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에 제1위치정보(I)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조명유닛(300)에 제2통신모듈(302)을 통해 제1위치정보(I)를 전달할 수도 있고, 상기 조명유닛(300)에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대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에서 기준거리(L)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에 제2위치정보(II)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제2위처정보(II)를 수신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에 상기 제2위치정보(II)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위치정보(II)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조명유닛(300)의 기준거리(L) 이내에 진입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고, 상기 조명유닛(300)에 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유닛(300)는 상기 제2위치정보(II)가 수신되면, 상기 제2위치정보(II)가 상기 기준거리(L) 이내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위치정보(II)가 기준거리(L)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320)을 자동으로 점등하거나, 상기 광원(32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상기 조명유닛(300)이 근거리 통신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어렵거나, 기술적 요인에 의해 상기 근거리 통신방식으로는 충분한 기준거리(L)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상기 조명유닛(300)는 상기 단말기(200)가 기준거리(L)에 진입하면 상기 광원(320)을 점등하거나, 상기 단말기(200)에 의해 점등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단말기(200)의 개수,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정보 및 상기 조명유닛(300)의 점등정보, 점등 빈도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IOT기술에 접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며, 기준거리(L)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조명유닛(300) 중 소등된 조명유닛(300)을 점등하기 위한 점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준거리(L)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복수 개의 점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 사이에 소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이 존재하는지 여부일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며, 기준거리 밖의 점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을 소등하기 위한 소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조명 시스템(1)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 조명 시스템(1)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단계(A1)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및 상기 조명유닛(300)의 근거리통신의 연결을 감지하는 통신연결 감지단계(A2)와, 상기 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이고, 상기 통신연결 감지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적어도 하나의 조명유닛이 통신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조명유닛(300)을 제어하는 조명유닛 제어단계(A3)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A3)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근거리통신으로 전송된 조도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서 의하여 상기 조명유닛(300)을 제어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A3)에서 조도가 미리 결정된 조도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근거리통신으로 점등 제어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조명유닛(300)을 점등(A3-1)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A3)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된 복수 개의 조명유닛(300)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A3)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소지자가 이동하면, 이동 방향으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는 소등 상태의 조명유닛(300)을 점등(A3-1)하고,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준거리 밖으로 벗어나는 근거리통신이 해제되는 점등 상태의 조명유닛(300)을 소등(A3-2)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A3)에서 조명유닛(300)이 점등(A3-1)된 경우에 조도값이 미리 결정된 값을 넘어가거나, 통신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조명유닛(300)을 소등(A3-2) 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시스템(1)은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S3)에서 상기 이동통신 이동통신 서버(10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여,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조명유닛(300)을 점등하기 위한 점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조명유닛(300)의 점등/소등 제어를 보완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서버(100)는 상기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복수 개의 점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 사이에 소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이 존재하는지 여부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 : 시스템
100 : 서버
200 : 단말기
300 : 조명유닛

Claims (19)

  1. 조도센서 및 근거리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각각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진입하여 상기 조명유닛의 제1통신모듈과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통신모듈이 상호 통신연결되면 상기 광원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밖으로 멀어져 상기 조명유닛의 제1통신모듈과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통신모듈의 통신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광원을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큰 경우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광원을 점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기준거리 이내로 진입하여 상기 조명유닛의 제1통신모듈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통신모듈이 상호 통신연결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조명유닛의 광원을 점등하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을 위한 제어 아이콘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크기의 조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아이콘은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노상(路上)에 설치되는 가로등 또는 복도에 설치되는 복도등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소지자가 노상 또는 복도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근거리통신이 연결된 기준거리 내의 복수 개의 조명유닛이 함께 점등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소지자가 노상 또는 복도를 따라 이동하면, 이동 방향으로 기준거리 내로 접근하여 근거리통신이 연결되는 소등 상태의 조명유닛이 점등되고,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준거리 밖으로 벗어나는 근거리통신이 해제되는 점등 상태의 조명유닛이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건물 내에 배치되는 실내등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소지자가 상기 건물로 접근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근거리통신이 연결된 기준거리 내의 소등된 조명유닛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이동통신망과 통신 가능한 이동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이동통신망과 통신 가능한 제2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조명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조명유닛의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이동통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며,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조명유닛 중 소등된 조명유닛을 점등하기 위한 점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복수 개의 점등된 조명유닛 사이에 소등된 조명유닛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며, 기준거리 밖의 통신연결이 해재된 점등된 조명유닛을 소등하기 위한 소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점등된 조명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13. 조도센서가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모듈에 의한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복수 개의 조명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조명유닛의 근거리통신의 연결을 감지하는 통신연결 감지단계;
    상기 조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조도가 미리 결정된 범위이고, 상기 통신연결 감지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조명유닛이 통신연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조명유닛을 제어하는 조명유닛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근거리통신으로 전송된 조도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서 의하여 상기 조명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는 조도가 미리 결정된 조도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근거리통신으로 점등 제어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조명유닛을 점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 연결된 복수 개의 조명유닛을 동시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소지자가 이동하면, 이동 방향으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는 소등 상태의 조명유닛을 점등하고,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준거리 밖으로 벗어나는 근거리통신이 해제되는 점등 상태의 조명유닛을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조명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조명유닛의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이동통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 제어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정보를 수집하며,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조명유닛을 점등하기 위한 점등 제어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거리 내에서 근거리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복수 개의 점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 사이에 소등된 가로등 또는 복도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70141228A 2017-10-27 2017-10-27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34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228A KR102034351B1 (ko) 2017-10-27 2017-10-27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228A KR102034351B1 (ko) 2017-10-27 2017-10-27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385A true KR20190047385A (ko) 2019-05-08
KR102034351B1 KR102034351B1 (ko) 2019-11-08

Family

ID=6658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228A KR102034351B1 (ko) 2017-10-27 2017-10-27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111B1 (ko) * 2023-08-07 2024-02-23 (주)알트온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행자 이동 경로 추적 기반의 가로등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563A (ko) 2022-09-15 2024-03-22 박영현 보안등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485A (ko) 2010-08-16 2012-02-24 주식회사 신우테크 가로등의 점등패턴 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장치
KR20150042023A (ko) * 2013-10-10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제어 시스템
KR101700209B1 (ko) * 2016-02-04 2017-01-26 (주)이노비드 가로등 제어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110874A (ko) * 2016-03-24 2017-10-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및 그의 조명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485A (ko) 2010-08-16 2012-02-24 주식회사 신우테크 가로등의 점등패턴 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장치
KR20150042023A (ko) * 2013-10-10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제어 시스템
KR101700209B1 (ko) * 2016-02-04 2017-01-26 (주)이노비드 가로등 제어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110874A (ko) * 2016-03-24 2017-10-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및 그의 조명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111B1 (ko) * 2023-08-07 2024-02-23 (주)알트온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행자 이동 경로 추적 기반의 가로등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351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876B1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물조명 제어시스템
US8217763B2 (en) Lighting device for floors
TWI508627B (zh) 照明控制系統
KR101001276B1 (ko)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99018B1 (ko) 조명등의 그룹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213881B (zh) 用于识别移动体的方向的感测系统
JP665581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照明制御装置
CN103075698B (zh) 灯泡发光装置和包括这种装置以在家庭环境中监测患者的系统
WO2012096528A2 (ko)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4272877B (zh) 用于调试网络的节点的方法和设备
KR20190047385A (ko)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918460B2 (ja) 照明システム
KR20150095226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
KR100986273B1 (ko) 에너지 절약형 조명제어시스템
KR20130030925A (ko) Led 조명기구의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한 그룹제어 디밍시스템
KR101917096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안전보행 유도장치 및 그 방법
KR101110173B1 (ko) 그룹 및 개별제어를 통한 순차적 조명제어방법
KR20150068052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와 그 방법
CN113194576B (zh) 煤矿用智能照明系统、照明控制方法和装置
KR101673799B1 (ko) 지하주차장 다중 조명 시스템
JP3846211B2 (ja) 照明システム
WO2021215387A1 (ja) 照明システム
KR20130033852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37564B1 (ko)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0198A (ko) 가로등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