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181A - 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 - Google Patents

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181A
KR20190047181A KR1020170140735A KR20170140735A KR20190047181A KR 20190047181 A KR20190047181 A KR 20190047181A KR 1020170140735 A KR1020170140735 A KR 1020170140735A KR 20170140735 A KR20170140735 A KR 20170140735A KR 20190047181 A KR20190047181 A KR 20190047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upport
mounting
carry
unit
mount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7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7721B1 (en
Inventor
이지성
최수용
Original Assignee
서한산업(주)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산업(주),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한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140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721B1/en
Publication of KR20190047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1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7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arrying out a wheel supporter and,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carrying out a wheel supporter, capable of rapidly and easily performing a sorting work and/or an inspection work of a defective product and quality of a wheel supporter (for example, a wheel carrier for a vehicle) for a vehicle completed.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carrying out a wheel supporter sorts a wheel supporter including multiple mounting units in accordance with a result of a quality test and automatically carries out the wheel supporter. The device for carrying out a wheel supporter includes: a mounting unit in which the wheel supporter for a vehicle transferred by a grip type transfer unit from a measuring unit of the wheel supporter stands by; a first carrying unit carrying the wheel supporter to be inspected from the mounting unit in a first direction when the wheel supporter to be inspected has good quality; and a second carrying out carrying the wheel supporter to be inspected from the mounting unit in a second direction when the wheel supporter to be inspected is defective.

Description

휠지지체 반출장치{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본 발명은 휠지지체 반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완성된 차량용 휠지지체(예를 들어, 차량용 휠 캐리어 등)의 양품 및 불량품 검사작업 및/또는 선별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support carrying-ou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el support carrying-out apparatus for quickly and easily performing inspection work for defective articles and defective articles of a finished vehicle wheel support (for example, a wheel carrier for a vehicle) .

일반적으로, 차량용 휠지지체는 차체의 중량을 차량용 휠에 전달하면서 동시에 차량와 차량용 휠을 연결하는 부품이다.Generally, the vehicle wheel support is a part that transmits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to the vehicle wheel and simultaneously connects the vehicle and the vehicle wheel.

이러한 차량용 휠지지체는 차량의 현가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며,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휠지지체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7-0102606호에 개시되어 있다.Such a vehicle wheel support constitutes a part of a suspension of a vehicle, and the contents of the prior art wheel support for a vehicle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102606.

상기 차량용 휠지지체에는 허브베어링, 어퍼암, 로워암, 어시스트암, 캘리퍼 등을 장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장착부가 구비되며, 이러한 복수 개의 장착부에는 각 주변 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여러 장착공이 마련된다.The vehicle wheel support includes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for mounting a hub bearing, an upper arm, a lower arm, an assist arm, a caliper, and the like, and the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are provided with mounting holes for connection with peripheral components.

즉, 상기 차량용 휠지지체는 여러 장착공들이 마련된다.That is, the vehicle wheel support is provided with various mounting holes.

차량용 휠지지체의 성형이 완료되어 완성품이 제조되고 난 후, 이러한 여러 장착공들이 상품화 제품 규격에 맞게 성형 및/또는 제조되었는지 양품/불량품 검사작업이 실행된다.After the molding of the vehicle wheel support is completed and the finished product is manufactured, the inspection of the good / defective product is carried out as to whether these various mounting holes are formed and / or manufactured in conformity with the commercialized product specification.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휠지지체의 양품 검사작업 및/또는 검사장치는 검사작업자가 차량용 휠지지체의 각 장착부(즉, 각 부위)를 일일이 치수 측정을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을 뿐만 아니라, 검사작업자가 검사완료 후 양품 휠지지체를 다음 공정으로 일일이 손수 옮겨야 하고, 불량 휠지지체 또한 폐기물 보관함으로 일일이 손수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여 왔다.There has been an inconvenience that the inspection worker and / or th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vehicle wheel suppo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e the inconvenience that the inspection worker individually measures the respective mounting portions (i.e.,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vehicle wheel support body, After completion, the good wheel support has to be manually transferred to the next process, and there has been inconvenience that the bad wheel support must be transferred to the waste storage box one by one.

이로 인해, 종래기술은 휠지지체의 양품 및 불량품 검사작업 및/또는 선별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Therefore,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takes much time to inspect good and defective products of the wheel support and / or screening work, resulting in extremely low work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성된 차량용 휠지지체(예를 들어, 차량용 휠 캐리어 등)가 양품인지 불량품인지 신속하고 용이하게 판단한 후 선별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heel support take-out apparatus which can promptly and easily judge whether a finished vehicle wheel support (for example, a wheel carrier for a vehicle) is good or defective,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장착부를 포함하는 휠지지체를 양품 검사결과에 따라 선별하여 자동 반출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로서, 휠지지체의 측정유닛로부터 파지형 이송유닛을 통하여 이송된 차량용 휠지지체가 대기하는 안착부와;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가 양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반출유닛과;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가 불량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반출유닛;을 포함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heel support transfer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a wheel support including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according to a test result of a good product, A seat portion on which the vehicle wheel support transferred through the grip-type transfer unit waits; A first carry-out unit for transferring the test subject wheel support from the seating part in a first direction when the test subject wheel support is in good condition; And a second carry-out unit for transferring the to-be-tested wheel support from the seating portion in a second direction when the to-be-tested wheel support is defectiv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휠지지체가 상기 안착부에서 반출되기 전까지 상기 휠지지체가 상기 안착부의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그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jig unit further comprises a jig unit for preventing the wheel suppor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eating part until the wheel support is removed from the seating par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그유닛은, 상기 휠지지체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다수 개의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그는 상기 안착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하로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ji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jigs to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wheel support, and the plurality And the jigs are vertically movable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eat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 개의 지그는, 상기 휠지지체의 허브베어링 장착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1 장착공과; 상기 휠지지체의 캘리퍼 장착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2 장착공;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jigs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mounting holes included in a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A plurality of second mounting holes included in the caliper mounting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And at least two mount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two mounting hole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2 반출유닛은 2개의 휠지지체에 대해 자동 반출하도록 좌우 대칭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at portion and the second carry-out unit are configured to be bilaterally symmetrical so as to automatically carry out the two wheel support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반출유닛은, 상기 안착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및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 지지축과; 상기 승강 지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휠지지체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파지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carry-out unit includes: a lift support shaft that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eat portion; And a first grasping arm connected to the elevation support shaft and configured to grasp the wheel suppor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파지암은, 상기 휠지지체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부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암과 마주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 파지암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gripping arm includes at least one fixed gripping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wheel support; And at least one or more moving grippers provided opposite to the at least one fixed gripping arm and configured to be reciprocated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gripping arm.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파지부는 원기둥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파지부의 하단부는 자유단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xed grip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xed grip portion is configured to de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free end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반출유닛은, 상기 제1 파지암에 대해 직각으로 상기 휠지지체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파지암과; 상기 제1 파지암 및 상기 제2 파지암을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carry-out unit includes: a second gripping arm configured to grip the wheel support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ripping arm; And a turning unit for rotating the first gripping arm and the second gripping arm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반출유닛은, 상기 지그유닛이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에서 하강한 후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휠지지체의 후방부분을 밀어 상기 휠지지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출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형 판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에 의한 휠지지체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하는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carry-out unit moves the wheel support in the second direction by pushing the rear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fter the jig unit desc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 sliding-type plate-like member configured; And a roller assembly for assisting sliding movement of the wheel support by the sliding type plate member.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안착부, 제1 반출유닛 및 제2 반출유닛을 포함함으로써, 휠지지체의 양품여부검사결과에 따라 휠지지체를 제1 방향(즉, 다음 공정) 및/또는 제2 방향(즉, 불량품 저장부)으로 자동 선별하여 자동 반출할 수 있어 양품검사작업의 속도 및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seat portion, the first carry-out unit and the second carry-out unit, the wheel support can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 or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the defective article storage unit), and thus the speed and efficiency of the good quality inspection work can be remarkably improved.

나아가, 본 발명은, 종래기술처럼 검사작업자가 검사완료된 휠지지체를 수작업으로 옮길 필요 없이, 검사완료된 휠지지체를 그 검사결과 따라 대응되는 방향으로 자동반출하므로, 양품 검사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pected worker does not have to manually move the inspected wheel support by the inspection worker as in the prior art, the inspected wheel support is automatically taken out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spection result.

또한, 본 발명은 지그유닛을 포함함으로써, 휠지지체가 파지형 이송유닛에서 안착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안착부의 정위치에 안착되로록 하고, 동시에 이후 상기 휠지지체가 안착부에서 반출유닛들로 반출될 때에도 정위치에서 반출되도록 할 수 있어, 휠지지체를 이송하고 이송받는 과정에서 안착부의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jig unit, it is possible to lock the wheel support in a fixed position of the seat part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gripping unit to the seat part, and at the same tim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heel support from deviating from the fixed position of the seat portio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and transporting the wheel support.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휠지지체의 이송 및 반출과정이 안착부의 정위치에서 휠지지체의 정자세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휠지지체의 이송 및 반출과정의 안정성을 신뢰도 높게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process of transferring and unloading the wheel support can be performed in the stationary state of the wheel support in the fixed position of the mount, reliability of the process of transferring and unloading the wheel support can be secured with high reli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제1 반출유닛이 제1 파지암 및 제2 파지암 그리고 회동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반출유닛으로 두 개의 휠지지체를 동시에 제1 방향으로 반출할 수 있어 반출효율 및 반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irst carry-out unit includes the first gripping arm, the second gripping arm, and the turn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carry out the two wheel supports in the first direction by one carry-out unit, The speed of unloading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휠지지체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휠지지체 검사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지지체 반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반출유닛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반출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ehicle wheel suppor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wheel support inspec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heel support take-o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first carry-o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econd carry-o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intended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Also,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 and / or " comprising "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mention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휠지지체(10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ehicle wheel support 1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휠지지체(100)는, 전륜 현가장치의 일 부품인 너클(knuckle)과, 후륜 현자장치의 일 부품인 캐리어(carrier)를 포함한다.1, a vehicle wheel suppo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uckle, which is a part of a front wheel suspension device, and a carrier, which is a part of a rear wheel arch device do.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차량용 휠지지체(100)가 캐리어인 경우를 기준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the sake of clarity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ase where the vehicle wheel support 100 is a carrier.

상기 차량용 휠지지체(100)는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와, 어퍼암 장착부(120), 로워암 장착부(130), 어시스트암 장착부(140), 트레일링암 장착부(150), 링크 장착부(160) 및 캘리퍼 장착부(170)를 포함하고, 각 장착부는 주로 상기 차량용 휠지지체(100)의 본체(즉,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에서부터 각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vehicle wheel support 100 includes a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110, an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0, a lower arm mounting portion 130, an assist arm mounting portion 140, a trailing arm mounting portion 150, a link mounting portion 160, And each of the mount portions is formed to extend in each lateral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wheel support 100 (i.e., the hub bearing mount 110).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는 허브베어링(미도시)이 장착 및/또는 수용되는 중앙 장착공(111)과, 그 주변을 둘러싸는 웹(web)으로 구성된다. The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110 includes a center mounting hole 111 through which a hub bearing (not shown) is mounted and / or received, and a web surrounding the hub.

상기 웹(web)에는 허브베어링의 플렌지에 구비된 볼트 등을 체결할 수 있는 제1 장착공(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장착공(112)은 허브베어링 및/또는 허브베어링의 플렌지를 3점 지지 또는 4점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 마련된다. A first mounting hole 112 for fastening a bolt or the like provided on a flange of a hub bearing is formed on the web, and the first mounting hole 112 is formed by a flange of a hub bearing and / A plurality of support points are provided to support three points or four points.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의 상부에는 어퍼암 장착부(120)가 마련된다. An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110.

상기 어퍼암 장착부(120)는 제1 어퍼암 장착부(120) 및 제2 어퍼암 장착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퍼암 장착부(120) 및 상기 제2 어퍼암 장착부(120)는 대향되게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0 includes a first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0 and a second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0. The first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0 and the second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0 are opposed to each oth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제1 어퍼암 장착부(120) 및 상기 제2 어퍼암 장착부(120) 각각은 어퍼암의 장착을 위한 제2 장착공(121)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장착공(121)들은 서로 일직선 상에 정렬되게 형성된다.Each of the first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0 and the second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0 includes a second mounting hole 121 for mounting the upper arm, As shown in FIG.

상기 제1 어퍼암 장착부(120) 및 상기 제2 어퍼암 장착부(120)는 어퍼암(미도시)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irst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0 and the second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0 are configured such that an upper arm (not shown) can be rotatably supported.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장착공(121)에는 어퍼암 힌지핀(미도시)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To this end, an upper arm hinge pin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ounting hole 121 and is rotatably supported.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의 하부에는 로워암 장착부(130)가 마련된다.A lower arm mounting portion 130 is provided below the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110.

상기 로워암 장착부(130)는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에서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The lower arm mounting portion 13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110.

상기 로워암 장착부(130)는 로워암 힌지핀을 수용하는 중공 원통형태의 제3 장착공(131)을 포함한다.The lower arm mounting part 130 includes a third mounting hole 131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for receiving the lower arm hinge pin.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의 하부에서 상기 로워암 장착부(130)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어시스트암 장착부(140)가 마련된다.At the lower portion of the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110, an assist arm mounting portion 140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lower arm mounting portion 130.

어시스트암 장착부(140)는 어시스트암(미도시)의 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어시스트암 장착부(140)는 어시스트암의 장착을 위해 중공 원통형태의 제4 장착공(141)을 포함한다.The assist arm mounting portion 140 serves to support an end of an assist arm (not shown), and the assist arm mounting portion 140 includes a fourth mounting hole 141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for mounting the assist arm do.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의 일측에는 트레일링암 장착부(150)가 형성된다.A trailing arm mounting portion 15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110.

상기 트레일링암 장착부(150)에는 트레일링암(미도시)이 다점 지지될 수 있도록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5 장착공(151)이 마련된다.The trailing arm mounting portion 1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fth mounting holes 151 into which fastening bolts are inserted so that the trailing arm (not shown) can be multiply supported.

상기 트레일링암 장착부(150)와 상기 어퍼암 장착부(120) 사이에는 링크 장착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링크 장착부(160)는 링크의 장착을 위한 제6 장착공(161)이 마련된다.A link mounting portion 160 is provided between the trailing arm mounting portion 150 and the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0 and a sixth mounting hole 161 for mounting the link is provided in the link mounting portion 160.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의 타측에는 캘리퍼 장착부(170)가 형성된다.A caliper mounting portion 17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110.

상기 캘리퍼 장착부(170)는 캘리퍼(미도시)의 플렌지에 구비되는 볼트 등이 체결되는 복수 개의 제7 장착공(171)이 구비된다.The caliper mounting portion 17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venth mounting holes 171 to which a bolt or the like provided on a flange of a caliper (not shown) is coupled.

상기 장착공들 사이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허브베어링 장착부(110)의 중앙 장착공(111) 및 제1 장착공(112), 상기 트레일링암 장착부(150)의 제5 장착공(151), 상기 링크 장착부(160)의 제6 장착공(161), 상기 캘리퍼 장착부(170)의 제7 장착공(171)은 동일한 제1 평면 또는 상기 제1 평면에 평행한 또는 거의 평행한 평면 상에 형성된다.The central mounting hole 111 and the first mounting hole 112 of the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110 and the fifth mounting hole 151 of the trailing arm mounting portion 150, The sixth mounting hole 161 of the link mounting portion 160 and the seventh mounting hole 171 of the caliper mounting portion 170 are formed on the same first plane or o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or parallel to the first plane do.

그리고, 상기 어퍼암 장착부(120)의 제2 장착공(121)들은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장착공(121)들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꼬인 위치에 배치된다.The second mounting holes 121 of the upper arm mounting portion 120 are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nd the second mounting holes 121 ar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mounting holes 121 are twis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ne.

또한, 상기 로워암 장착부(130)의 제3 장착공(131)의 길이방향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꼬인 위치 또는 수직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어시스트암 장착부(140)의 제4 장착공(141)도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꼬인 위치 또는 수직 위치에 배치된다.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third mounting hole 131 of the lower arm mounting part 130 is disposed at a twisted or vert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ne and the fourth mounting hole 141 of the assist arm mounting part 140 Are also disposed at a twisted or vertical position relative to the first plan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휠지지체 검사시스템(1000)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wheel support inspection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heel support transfer apparatus 1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휠지지체 검사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wheel support inspection system 10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휠지지체 검사시스템(1000)은, 측정유닛(1100)과, 파지형 이송유닛(1200)과, 검사작업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1300)와,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400)와,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와, 전술한 모든 부품 및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600)를 포함한다.2, a wheel support inspection system 10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ement unit 1100, a phased transfer unit 1200, an input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of the inspection worker, A memory unit 1400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a wheel support transfer device 1500, and a control unit 1600 that controls all the components and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상기 측정유닛(1100)은 제1 측정부(1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부(1110)는 휠지지체(100)에 포함되는 중앙 장착공(111)의 내경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easurement unit 1100 may include a first measurement unit 1110 and the first measurement unit 1110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an inner diameter of the center mount hole 111 included in the wheel support 100 .

그리고, 상기 측정유닛(1100)은 제2 측정부(112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부(1120)는상기 휠지지체(100)의 전체 높이, 및/또는 상기 휠지지체(100)의 각 구성(즉, 각 장착부)의 높이 및/또는 단차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easurement unit 1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easurement unit 1120 and the second measurement unit 1120 may measure the total height of the wheel support 100 and / Or steps of each configuration (i. E., Each mounting portion) of the < / RTI >

상기 파지형 이송유닛(1200)은 로봇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측정유닛(1100)에서 측정이 완료된 휠지지체(100)를 파지한 후,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즉, 안착부(1520))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The grasping unit 1200 includes a robot arm structure and grasps the wheel support 100 which has bee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100 and then rotates the wheel support transporting apparatus 1500 ).

상기 파지형 이송유닛(1200)이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의 안착부(1520)에서 상기 휠지지체(100)에 대해 파지해제할 때, 상기 휠지지체(100)의 자세나 위치가 파지상태 대비 변화될 수 있다.When the grasping and conveying unit 1200 releases the grasping of the wheel support 100 from the seating portion 1520 of the wheel support transfer device 1500, Can be changed.

즉, 상기 파지형 이송유닛(1200)의 파지해제과정에서 휠지지체(100)가 안착부(1520)의 정위치에서 벗어날 상태에서 안착부(1520)에 안착될 우려가 있다.That is, in the grip releasing process of the gripper-type transfer unit 1200, there is a fear that the wheel support 100 is seated in the seat portion 1520 in a state of being out of the fixed position of the seat portion 1520.

그러나, 이러한 우려(즉, 안착부(1520) 정위치 이탈)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그유닛(153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However, such a concern (that is, deviation from the seating portion 1520) may be prevented by the jig unit 15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later.

상기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는 후술하겠지만 제어신호 관점에서 지그유닛(1530), 센싱부, 제1 반출유닛(1540) 및 제2 반출유닛(1550)을 포함한다. The wheel support carrying-out apparatus 1500 includes a jig unit 1530, a sensing unit, a first carry-out unit 1540 and a second carry-out unit 1550 from the viewpoint of a control signa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더 구처젝으로 기술하기로 한다.The wheel support transporting apparatus 15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반출유닛(154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반출유닛(1550)의 작동상태(즉, 제2 반출유닛(1550)을 통한 반출과정)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heel support transport apparatus 1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to 4C are schematic views of a first carry-out unit 15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carry-out unit 15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e., a process of taking out through the second carry-out unit 1550) to be.

도 3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는 상기 측정유닛(1100) 및/또는 상기 제어부(1600)의 양품 검사결과에 따라 휠지지체(100)를 선별하여 자동 반출하도록 구성된다.3 to 5C, the wheel support carrying-out apparatus 1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a wheel support body (not shown) according to the inspection results of the good parts of the measurement unit 1100 and / 100) are automatically selected and taken out.

구체적으로, 상기 휠지지체 반출장치(1500)는, 프레임부(1510)와, 휠지지체(100) 안착부(1520)와, 지그유닛(1530)과, 제1 반출유닛(1540)과, 제2 반출유닛(1550)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wheel support transfer device 1500 includes a frame part 1510, a wheel support 100 seating part 1520, a jig unit 1530, a first carry-out unit 1540, And a carry-out unit 1550.

상기 프레임부(1510)는 전체적으로 휠지지체(100) 안착부(1520)와, 지그유닛(1530)과, 제2 반출유닛(155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The frame part 151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wheel support 100 seating part 1520, the jig unit 1530 and the second carrying-out unit 1550 as a whole.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1510)와, 상기 안착부(1520)와, 상기 제2 반출유닛(1550)(및 후술할 롤러조립체)은, 2개의 휠지지체(100)에 대해 자동 반출하도록 좌우 대칭되게 구성된다.Here, the frame portion 1510, the seating portion 1520, and the second carry-out unit 1550 (and a roller assembly described later) are symmetrically disposed so as to be automatically taken out from the two wheel supports 100 .

상기 휠지지체(100) 안착부(1520)는 상기 측정유닛(1100)로부터 파지형 이송유닛(1200)을 통하여 이송된 차량용 휠지지체(100)가 대기하는 부분으로서 평편한 판형 또는 블록형 부재이다.The wheel support 100 seating portion 1520 is a flat plate or block member as a part of the wheel support 100 for a vehicle waiting to be transferred from the measuring unit 1100 through the gripping type transfer unit 1200.

상기 휠지지체(100) 안착부(1520)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520 of the wheel support 100.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은 상기 휠지지체(100)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wheel support 100.

상기 관통공은 후술할 지그유닛(1530)의 지그들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이다.The through hole is a path through which the jig unit 15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move up and down.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은, 상기 휠지지체(100)의 허브베어링 장착부의 제1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2개의 제1 관통공(1521)과, 상기 캘리퍼 장착부에 구비되는 2개의 제7 장착공(171) 중 하나의 제7 장착공(17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1개의 제2 관통공(1522)과, 상기 2개의 제7 장착공(171)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제7 장착공(17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1개의 제3-1 관통공(1523)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clude two first through holes 1521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unting holes of the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100, One second through hole 1522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 seventh mounting hole 171 of the two seventh mounting holes 171 and one through hole 1522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venth mounting hole 171 of one of the two seventh mounting holes 171, And one third through-hole 1523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 seventh mounting hole 171.

여기서, 상기 제3-1 관통공(1523)은 후술할 제2 반출유닛(1550)의 슬라이딩형 판형부재(1551)에 형성되는 제3-2 관통공(1553)과 상하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The third through hole 1523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ird through hole 1553 formed in the sliding type plate member 1551 of the second take-out unit 155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지그유닛(1530)은, 상기 휠지지체(100)가 상기 안착부(1520)에서 반출되기 전까지 상기 휠지지체(100)가 상기 안착부(1520)의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e jig unit 153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wheel support 1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eating portion 1520 until the wheel support 100 is taken out of the seating portion 1520.

구체적으로, 상기 지그유닛(1530)은 다수 개의 지그와, 상기 다수 개의 지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다수 개의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jig unit 1530 includes a plurality of jigs and a plurality of actuators (not shown) for moving the plurality of jigs vertically.

상기 다수 개의 지그는, 상기 휠지지체(100)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The plurality of jigs may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wheel support 100.

이를 위하여, 상기 지그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의 바형 부재로 구성되며, 하강시에는 상기 안착부(1520)의 상부면에서 전혀 돌출되지 않도록 하부에 위치하고, 상승시에는 상기 안착부(1520)의 상부면으로부터 각 대응되는 장착공에 삽입되게 돌출되도록 위치한다.For this, the jig is formed as a generally cylindrical bar-like member, and is positioned at a lower position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520 at the time of lowering. When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part 1520 is elevated, And is positioned to protrud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mounting hole.

상기 복수 개의 지그는 상기 안착부(152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하로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plurality of jigs is configured to be vertically movable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520.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지그는, 상기 휠지지체(100)의 허브베어링 장착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1 장착공과; 상기 휠지지체(100)의 캘리퍼 장착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2 장착공;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The plurality of jigs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mounting holes included in a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100; And a plurality of second mounting holes included in the caliper mounting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100. The second mounting 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at least two mounting holes.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 개의 지그는 하나의 휠지지체(100)를 기준으로, 2개의 제1 지그(1531)와, 1개의 제2 지그(1532)와, 1개의 제3 지그(1533)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jigs include two first jigs 1531, one second jig 1532, and one third jig 1533 on the basis of one wheel support 100 can do.

여기서, 상기 2개의 제1 지그(1531)는 상기 제1 관통공 2개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1520)에서 상기 2개의 제1 관통공(1521)을 통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two first jigs 1531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wo first through holes, and ar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through the two first through holes 1521 in the seating part 1520 .

그리고, 상기 1개의 제2 지그(1532)는 상기 제2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1520)에서 상기 제2 관통공(1522)을 통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1개의 제3 지그(1533)는 상기 제3-1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1520)에서 상기 제3-1 관통공(1523) 및 상기 제3-2 관통공을 통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성된다.The one second jig 1532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is configured to vertically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522 in the seating part 1520, One third jig 1533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1 through-hole, and the third-1 through hole 1523 and the third-2 through-hole are formed in the seating part 1520, So as to vertically move up and down.

그리고, 상기 제1 반출유닛(1540)은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100)가 양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100)를 상기 안착부(1520)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반출유닛(1550)은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100)가 불량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100)를 상기 안착부(1520)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carry-out unit 1540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test subject wheel support 100 from the seating part 1520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test subject wheel support 100 is in good condition, 2 take-out unit 1550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test subject wheel support 100 from the seat 1520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test subject wheel support 100 is a defective product.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반출유닛(1540)은, 승강 지지축(1541)과, 회동부(1542)와, 제1 파지암(1544)과 제2 파지암(1544)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irst carry-out unit 1540 includes a lifting support shaft 1541, a rotation unit 1542, a first gripping arm 1544, and a second gripping arm 1544.

상기 승강 지지축(1541)은 상기 안착부(1520)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및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The elevation support shaft 1541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n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eating portion 1520.

상기 승강 지지축(154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2축 또는 3축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된다.The elevation support shaft 1541 is driven by a drive motor which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s movable in two or three axes.

상기 회동부(1542)는 상기 제1 파지암(1544) 및 상기 제2 파지암(1544)을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파지암(1544)의 파지암 지지축(1543) 및 상기 제2 파지암(1544)의 파지암 지지축(1543)에 연결된다.The rotation unit 1542 is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gripping arm 1544 and the second gripping arm 1544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the gripping arm support shaft 1543 of the first gripping arm 1544 And the gripping arm supporting shaft 1543 of the second gripping arm 1544. [

상기 제1 파지암(1544)과 상기 제2 파지암(1544)은 상기 회동부(1542)를 통하여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다.The first gripping arm 1544 and the second gripping arm 154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hrough the rotation unit 1542.

상기 제1 파지암(1544) 및 상기 제2 파지암(1544)은 상기 휠지지체(100)를 파지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gripping arm 1544 and the second gripping arm 1544 are configured to grip the wheel support 10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파지암(1544) 및 상기 제2 파지암(1544)은 상기 회동부(1542)에 연결되는 파지암 지지축(1543)과, 상기 파지암 지지축(1543)에 연장되는 판형 또는 블록형 지지부(154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부(1547)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파지부(1546)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irst gripping arm 1544 and the second gripping arm 1544 include a gripping arm supporting shaft 1543 connected to the swinging unit 1542, and a gripping arm supporting shaft 1543 extending from the gripping arm supporting shaft 1543 Shaped or block-shaped support portion 1545, at least one fixed grip portion 1547, and at least one movable grip portion 1546. [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부(1547)는 상기 휠지지체(100)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The at least one fixed grip portion 1547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wheel support 100.

이렇게, 고정 파지부(1547)를 포함함으로써, 파지부를 모두 이동 파지부(1546)로 구성하는 것에 비해 현저히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구조의 복잡성을 단순화시켜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including the fixed grip portion 1547 in this manner,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markab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ll of the grip portions are formed by the movement gripper 1546, and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to improve the maintenance property.

상기 고정 파지부(1547)는 상기 파지암(1544)이 상기 휠지지체(100)를 파지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공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The fixed grip portion 1547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at least one mounting hole when the gripping arm 1544 grasps the wheel support 100.

또한, 상기 고정 파지부(1547)는 원기둥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파지부(1547)의 하단부는 자유단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Further, the fixed gripper 1547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ower end of the fixed gripper 1547 is configured to have a reduced diameter toward the free end.

이로 인해, 상기 고정 파지부(1547)가 파지암(1544)의 파지를 위하여 해당 장착공에 삽입될 때 장착공 모서리와의 충돌없이 장착공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gripping arm 1544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for gripping the gripping arm 1544,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without collision with the corner of the mounting 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부(1547)는 휠지지체(100)에 포함되는 캘리퍼 장착부의 (2개의) 제7 장착공(171) 및/또는 트레일링암 장착부의 (3개의) 제5 장착공(151)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or more fixed grip portions 1547 may be disposed on the (seventh) mounting holes 171 of the caliper mounting portion included in the wheel support 100 and / or the (third) And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hole 151.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파지부(1546)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암(1544)과 마주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 파지암(1544)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at least one or more moving grippers 1546 are provided to face the at least one or more fixed gripping arms 1544 and are configured to reciprocat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gripping arms 1544.

그리고, 상기 제2 반출유닛(1550)은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100)가 불량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100)를 상기 안착부(1520)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carry-out unit 1550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test subject wheel support 100 from the seat 1520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test subject wheel support 100 is a defective product.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반출유닛(1550)은, 슬라이딩 판형부재와, 롤러 조립체(1554)와, 센싱부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carry-out unit 1550 includes a sliding plate member, a roller assembly 1554, and a sensing unit.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1551)는, 상기 지그유닛(1530)이 상기 안착부(1520)의 상부면에서 하강한 후 상기 안착부(1520)에 안착된 휠지지체(100)의 후방부분을 밀어 상기 휠지지체(100)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출하도록 구성된다.The sliding type plate member 1551 is configured to push the rear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100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520 after the jig unit 1530 desc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520, And to move the wheel support 100 in the second direction.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1551)에는, 제3-2 관통공(1553)이 형성된다.Here, the sliding-type plate member 1551 is provided with a (3-2) through-hole 1553.

즉,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1551)는 지그들이 안착부(1520)의 하부로 하강한 후 안착부(1520)에 안착된 (모두 불량인 경우) 2개의 휠지지체(100)의 후방 측면을 밀어 제2 방향으로(즉, 롤러 조립체(1554) 방향으로) 불량인 휠지지체(100)를 선별 반출시킨다.That is, as shown in FIGS. 5A to 5C, the sliding-type plate member 1551 is placed in the seating part 1520 after descending to the bottom of the seating part 1520 Pushes the rear side of the wheel support 100 to selectively deliver the wheel support 100 that is defective in the second direction (i.e., in the direction of the roller assembly 1554).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1551)는, 미는 힘을 잘 수용하기 위한 평평한 후방부와, 2개의 휠지지체(100)의 후방 측면의 곡면에 유사하게 또는 대응되게 2개의 오목홈(1552)이 형성된 전방부를 포함한다.At this time, preferably, the sliding type plate member 1551 has a flat rear portion for accommodating a pushing force and two concave grooves (not shown) similarly or correspondingly to the curved surfaces of the rear side surfaces of the two wheel supports 100 (Not shown).

상기 롤러 조립체(1554)는 복수 개의 원통형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1551)에 의한 휠지지체(100)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하도록 구성된다.The roller assembly 1554 includes a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and is configured to assis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wheel support 100 by the sliding type plate member 1551.

상기 프레임부(1510)에는, 상기 롤러 조립체(1554)의 중간영역에 센싱부(1555)가 구비될 수 있다.The frame 1510 may be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1555 in an intermediate region of the roller assembly 1554.

상기 센싱부(1555)는 불량으로 판단되어 제2 반출유닛(1550)에 의해 반출되는 휠지지체(100)의 수량을 체크하도록 구성된다.The sensing unit 1555 is determined to be defective and is configured to check the quantity of the wheel support 100 carried out by the second carry-out unit 155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100 : 차량용 휠지지체
110 : 허브베어링 장착부
111 : 중앙 장착공
112 : 제1 장착공
120 : 어퍼암 장착부
121 : 제2 장착공
130 : 로워암 장착부
131 : 제3 장착공
140 : 어시스트암 장착부
141 : 제4 장착공
150 : 트레일링암 장착부
151 : 제5 장착공
160 : 링크 장착부
161 : 제6 장착공
170 : 캘리퍼 장착부
171 : 제7 장착공
1000 : 검사시스템
1100 : 측정유닛
1110 : 제1 측정부
1120 : 제2 측정부
1200 : 파지형 이송유닛
1300 : 입력부
1400 : 메모리부
1500 : 휠지지체 반출장치
1510 : 프레임부
1520 : 휠지지체 안착부
1521 : 제1 관통공
1522 : 제2 관통공
1523 : 제3-1 관통공
1530 : 지그유닛
1531 : 제1 지그
1532 : 제2 지그
1533 : 제3 지그
1540 : 제1 반출유닛
1541 : 승강 지지축
1542 : 회동부
1543 : 파지암 지지축
1544 : 파지암
1545 : 지지부
1546 : 이동 파지부
1547 : 고정 파지부
1550 : 제2 반출유닛
1551 : 슬라이딩형 판형부재
1552 : 오목홈
1553 : 제3-2 관통공
1554 : 롤러조립체
1555 : 센싱부
1600 : 제어부
100: vehicle wheel support
110: Hub bearing mounting part
111: Center mounting hole
112: First mounting hole
120: upper arm mounting part
121: Second mounting hole
130: Lower arm mounting part
131: Third mounting hole
140: assist arm mounting part
141: fourth mounting hole
150: Trailing arm mounting part
151: fifth mounting hole
160: Link mounting part
161: 6th mounting ball
170: caliper mount
171: Seventh mounting hole
1000: Inspection system
1100: Measuring unit
1110: first measuring unit
1120: second measurement unit
1200: Fagetral type transfer unit
1300:
1400:
1500: wheel support transporting device
1510:
1520: wheel support seat part
1521: First through hole
1522: Second through hole
1523: Through hole 3-1
1530: jig unit
1531: 1st jig
1532: second jig
1533: Third jig
1540: First carry-out unit
1541:
1542:
1543: Retaining shaft of gripping arm
1544: Phage arm
1545:
1546:
1547:
1550: second take-out unit
1551: Sliding plate member
1552: Concave groove
1553: Through hole 3-2
1554: Roller assembly
1555: sensing part
1600:

Claims (10)

복수 개의 장착부를 포함하는 휠지지체를 양품 검사결과에 따라 선별하여 자동 반출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로서,
휠지지체의 측정유닛로부터 파지형 이송유닛을 통하여 이송된 차량용 휠지지체가 대기하는 안착부와;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가 양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반출유닛과;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가 불량품인 경우 상기 피검사 휠지지체를 상기 안착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반출유닛;을 포함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
A wheel support remov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a wheel support including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according to a result of a good product inspection,
A seat portion on which the vehicle wheel support transferred from the measurement unit of the wheel support through the gripping transfer unit stands by;
A first carry-out unit for transferring the test subject wheel support from the seating part in a first direction when the test subject wheel support is in good condition;
And a second carry-out unit for transferring the to-be-tested wheel support from the seating part in a second direction when the tested wheel support is defect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지지체가 상기 안착부에서 반출되기 전까지 상기 휠지지체가 상기 안착부의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그유닛;을 더 포함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jig unit for preventing the wheel suppor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xed position of the seat portion until the wheel support is taken out from the seat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유닛은, 상기 휠지지체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일부 다수 개의 장착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다수 개의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그는 상기 안착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하로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ji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jigs to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wheel support,
Wherein the plurality of jigs are vertically movable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eat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지그는,
상기 휠지지체의 허브베어링 장착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1 장착공과;
상기 휠지지체의 캘리퍼 장착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2 장착공;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jigs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mounting holes included in a hub bearing mounting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A plurality of second mounting holes included in the caliper mounting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Wherein the at least two mounting hole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two mounting ho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2 반출유닛은 2개의 휠지지체에 대해 자동 반출하도록 좌우 대칭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carry-out unit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as to automatically carry out the two wheel suppo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출유닛은,
상기 안착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및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 지지축과;
상기 승강 지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휠지지체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파지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arry-out unit includes:
An elevation support shaft that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eat portion;
And a first grasping arm connected to the elevation support shaft and configured to grasp the wheel suppo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암은,
상기 휠지지체의 복수 개의 장착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부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파지암과 마주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 파지암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gripping arm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fixed gripping part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of the wheel support;
And at least one or more moving grippers provided to face the at least one fixed gripping arm and configured to reciprocat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gripping ar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파지부는 원기둥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파지부의 하단부는 자유단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xed holding part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ower end of the fixed grip portion is configured to de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free end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출유닛은,
상기 제1 파지암에 대해 직각으로 상기 휠지지체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파지암과;
상기 제1 파지암 및 상기 제2 파지암을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carry-out unit includes:
A second gripping arm configured to grip the wheel support at a right angle to the first gripping arm;
And a pivo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first gripping arm and the second gripping arm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출유닛은,
상기 지그유닛이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에서 하강한 후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휠지지체의 후방부분을 밀어 상기 휠지지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출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형 판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형 판형부재에 의한 휠지지체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하는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지지체 반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carry-out unit includes:
A sliding-type plate member configured to push the rear portion of the wheel support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fter the jig unit desc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to carry the wheel suppor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roller assembly for assisting sliding movement of the wheel support by the sliding type plate member.
KR1020170140735A 2017-10-27 2017-10-27 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 KR1020077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735A KR102007721B1 (en) 2017-10-27 2017-10-27 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735A KR102007721B1 (en) 2017-10-27 2017-10-27 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181A true KR20190047181A (en) 2019-05-08
KR102007721B1 KR102007721B1 (en) 2019-08-07

Family

ID=6658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735A KR102007721B1 (en) 2017-10-27 2017-10-27 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72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3324A (en) * 2008-12-23 2012-06-14 ハンミ セミコンダ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Mold tablet sorting and feeding device
JP2012193001A (en) * 2011-03-15 2012-10-11 Anritsu Sanki System Co Ltd Sorting device
KR101333167B1 (en) * 2012-05-25 2013-11-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ssembling bearing module of linear mo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3324A (en) * 2008-12-23 2012-06-14 ハンミ セミコンダ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Mold tablet sorting and feeding device
JP2012193001A (en) * 2011-03-15 2012-10-11 Anritsu Sanki System Co Ltd Sorting device
KR101333167B1 (en) * 2012-05-25 2013-11-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ssembling bearing module of linear mo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721B1 (en)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22396B (en) Automatic double-parameter detection device for outer diameter and center thickness of lens
CN110589401A (en) Barrel processing detects automatic production system and barrel transfer system for automatic production
US564075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wheels to vehicles
EP0934868B1 (en) Body handling and assembly system
US6474460B2 (en) Processing plant with device for holding and centering bodies in processing stations
CN105817423A (en) Quality testing conveying line and quality testing method thereof
KR101313338B1 (en) Laser Cutting Automation System
US20170297157A1 (en) Workpiece positioning device for a processing center, processing center, and method
CN109434453A (en) A kind of automotive hub knuckle automatic assembling machine and assembly method
CN109581135A (en) Product automatic testing equipment and method
CN104854750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battery plates and arranging them in wet or AGM battery cases for cars or trucks
CN205147794U (en) Assembly manufacturing line of backing pressure cable pulley
CN114308550A (en) Five point gum machines in duplex position
JP3946003B2 (en) Hanging transfer equipment
KR20190047181A (en) Device for carrying out vehicle wheel supportor
CN113714125B (en) Cylinder sorting device and sorting method
CN219560509U (en) Transition plate for cylinder sorting device
JP7158055B2 (en) Welding automation system for dissimilar nuts for metal products for automobiles
JP2009042010A (en) Plate member inspection equipment
US109265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tires
KR20200083183A (en) Method to manufacture pipe type rod for stab link
CN219408091U (en) Double-mechanical arm carrying test platform
KR100332270B1 (en) Wheel assembly device and method
CN218319346U (en) Automatic conveying device for part processing
CN220739919U (en) Spot welding system for automobile skylight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