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626A -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626A
KR20190046626A KR1020180107242A KR20180107242A KR20190046626A KR 20190046626 A KR20190046626 A KR 20190046626A KR 1020180107242 A KR1020180107242 A KR 1020180107242A KR 20180107242 A KR20180107242 A KR 20180107242A KR 20190046626 A KR20190046626 A KR 20190046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female
connector body
se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2957B1 (ko
Inventor
임근택
이상문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EP18201727.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477782B1/en
Priority to JP2018198058A priority patent/JP2019079800A/ja
Priority to CN201811249859.0A priority patent/CN109713505B/zh
Priority to US16/170,411 priority patent/US10594072B2/en
Publication of KR20190046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제 1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제 1 모듈에 장착 가능한 수 커넥터와, 제 2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제 2 모듈에 장착 가능한 암 커넥터를 포함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는, 수 플랜지부 및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수 돌출부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바디와, 상기 수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 탭과, 상기 수 커넥터 바디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 볼트와, 상기 수 플랜지부에 삽입되는 수 오링을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및 암 플랜지부 및 상기 암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암 돌출부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 바디와, 상기 암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는 핀 및 상기 핀의 단부에 연결되는 리셉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암 탭과, 상기 암 돌출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수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 가능한 이너 시일과, 상기 암 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는 체결 너트와, 상기 암 돌출부의 외벽에 삽입되는 암 오링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DIRECT FASTENED CONNECTOR ASSEMBLY}
아래의 설명은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란 전기적인 접속을 연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전기 부품의 일종이다. 커넥터는 서로 다른 2개의 모듈을 접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및 바퀴에 장착되어, 서스펜션 및 바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는 2개의 모듈 사이로 외부 물질이 침투하는 것 또는 모듈 내에 구비된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커넥터는 서스펜션에 구비된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구조를 마련하여야 하며, 주행 중 바퀴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구조를 마련하여야 한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별도의 매개체 없이 직접 체결될 수 있으며, 2개의 모듈 사이의 밀봉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전자 모듈에 장착 가능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는, 상기 전자 모듈에 결합되기 위한 암 볼팅홀을 포함하는 암 플랜지부와, 상기 암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암 돌출부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 바디; 상기 암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는 핀과, 상기 핀의 단부에 연결되는 리셉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암 탭; 상기 암 돌출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암 커넥터에 체결되는 상대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 가능한 이너 시일; 상기 암 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는 체결 너트; 및 상기 암 돌출부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을 갖고, 상기 암 돌출부의 외벽에 삽입되는 암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암 커넥터 바디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 너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고, 상기 암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내측 암 돌출부; 및 상기 내측 암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측 암 돌출부를 둘러싸는 외측 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시일은 상기 내측 암 돌출부 및 외측 암 돌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시일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일단에 접촉 가능한 제 1 시일 파트; 및 상기 제 1 시일 파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내벽에 접촉 가능한 제 2 시일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암 커넥터 바디에 끼워지고, 탄성을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암 탭을 지지하는 패밀리 시일; 및 상기 암 커넥터 바디에 끼워지고, 상기 패밀리 시일을 지지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암 탭을 지지하는 시일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암 커넥터 바디 및 패밀리 시일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암 커넥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패밀리 시일을 지지하는 지지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암 돌출부 및 상기 패밀리 시일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암 포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 바디는, 상기 패밀리 시일을 기준으로 상기 시일 홀더의 반대편에 마련되고 상기 패밀리 시일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바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전자 모듈에 장착 가능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수 커넥터는, 상기 전자 모듈에 결합되기 위한 수 볼팅홀을 포함하는 수 플랜지부와,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수 돌출부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바디; 상기 수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 탭; 상기 수 커넥터 바디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 볼트; 및 상기 수 돌출부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을 갖고, 상기 수 플랜지부에 삽입되는 수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체결 볼트를 둘러싸는 체결 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볼트는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체결 오링을 지지하는 체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수 바디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 돌출부는, 상기 체결 볼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내측 수 돌출부; 및 상기 내측 수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측 수 돌출부를 둘러싸는 외측 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체결 볼트가 상기 수 커넥터 바디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볼트는, 외벽에 형성되고 상기 수 커넥터 바디를 가압하여 상기 체결 볼트가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수 돌출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 탭과 나란하고,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결합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제 1 모듈에 장착 가능한 수 커넥터와, 제 2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제 2 모듈에 장착 가능한 암 커넥터를 포함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는, 수 플랜지부 및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수 돌출부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바디와, 상기 수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 탭과, 상기 수 커넥터 바디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 볼트와, 상기 수 플랜지부에 삽입되는 수 오링을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및 암 플랜지부 및 상기 암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암 돌출부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 바디와, 상기 암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는 핀 및 상기 핀의 단부에 연결되는 리셉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암 탭과, 상기 암 돌출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수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 가능한 이너 시일과, 상기 암 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는 체결 너트와, 상기 암 돌출부의 외벽에 삽입되는 암 오링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시일은, 상기 수 돌출부에 접촉 가능한 제 1 시일 파트; 및 상기 제 1 시일 파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수 돌출부의 내벽에 접촉 가능한 제 2 시일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암 플랜지부의 중앙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 너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고, 상기 암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내측 암 돌출부; 및 상기 내측 암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측 암 돌출부를 둘러싸는 외측 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 돌출부는, 상기 체결 볼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측 암 돌출부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내측 수 돌출부; 및 상기 내측 암 돌출부 및 외측 암 돌출부 사이로 삽입 가능한 외측 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암 커넥터 바디에 끼워지고, 탄성을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암 탭을 지지하는 패밀리 시일; 및 상기 암 커넥터 바디에 끼워지고, 상기 패밀리 시일을 지지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암 탭을 지지하는 시일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암 돌출부 및 상기 패밀리 시일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암 포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 바디는, 상기 패밀리 시일을 기준으로 상기 시일 홀더의 반대편에 마련되고 상기 패밀리 시일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바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체결 볼트를 둘러싸는 체결 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볼트는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체결 오링을 지지하는 체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체결 볼트가 상기 수 커넥터 바디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볼트는, 외벽에 형성되고 상기 수 커넥터 바디를 가압하여 상기 체결 볼트가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 커넥터 및 암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는, 다른 하나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리브 사이의 간격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일 모듈에 장착되어 있는 수 커넥터는 타 모듈에 장착되어 있는 암 커넥터에 별도의 매개체 없이 직접적으로 체결되어, 2개의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는 커넥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된 리브, 수 탭 보다 먼저 암 커넥터에 접촉하는 체결 볼트 등을 통해, 수 탭 및 암 탭을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는 복수 개의 시일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모듈 및 커넥터 사이와, 커넥터 및 커넥터 사이의 간격을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는 이너 시일을 사용하여, 수 커넥터 및 암 커넥터 사이에서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를 줄여줌으로써, 커넥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암 커넥터에 구비된 바디 홀을 통해 포팅 물질이 적절하게 주입되었는지 여부를 관찰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밀봉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패밀리 시일 및 시일 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특허출원은 2017년 10월 25일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7-0139039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한 것이고, 해당 출원의 전체 내용이 본 특허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밀봉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1)는 2개의 모듈(M1, M2)의 직접적인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1)는 2개의 모듈(M1, M2)에 각각 설치 가능한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를 포함한다. 여기서, 2개의 커넥터(11, 12)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를 기준으로, 그에 체결되는 다른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는 제 1 모듈(M1) 및 제2 모듈(M2)을 별도의 중간 와이어 체결 작업 없이도, 2개의 모듈(M1, M2)에 각각 미리 조립된 2개의 커넥터(11, 12)를 이용하여, 2개의 모듈(M1, M2) 사이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1)는 연결을 위한 별도의 모듈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상의 작업을 통하여,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1)는 2개의 모듈(M1, M2)을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2개의 모듈(M1, M2)을 외부로부터 밀봉시킬 수 있다.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1)는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를 포함할 수 있다.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1)는 수 커넥터(11)가 장착된 제 1 모듈(M1)과, 암 커넥터(12)가 장착된 제 2 모듈(M2)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1)는 제 1 모듈(M1) 및 제 2 모듈(M2) 내부에 마련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 볼트(110)에 구비된 체결 오링(R1)은 체결 볼트(11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 볼트(110)는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체결 오링(R1)을 지지하는 체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오링(R1)은 수 커넥터(11)와 체결 볼트(110) 사이를 밀봉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제 1 모듈(M1) 내부를 향해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수 커넥터(11)의 수 커넥터 바디(111)에 구비된 수 오링(R2)은, 수 커넥터 바디(111)와 제 1 모듈(M1) 사이를 밀봉함으로써,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 사이를 통해 제 1 모듈(M1)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오링(R2)은 수 커넥터 바디(111)의 수 플랜지부(1111)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암 커넥터(12)의 암 커넥터 바디(121)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암 오링(R3)은, 암 커넥터 바디(121)와 제 2 모듈(M2) 사이를 밀봉함으로써,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 사이를 통해 제 2 모듈(M2)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 오링(R3)은 암 커넥터 바디(121)의 암 돌출부(1212)의 외벽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이너 시일(127)은, 외부로부터 암 커넥터(12)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 1 모듈(M1) 및 제 2 모듈(M2)은 전기적 연결이 요구되는 모듈일 수 있다. 제 1 모듈(M1)은 제 1 인쇄회로기판(B1)을 구비하고, 제 2 모듈(M2)은 제 2 인쇄회로기판(B2)을 구비할 수 있다.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1)는 제 1 인쇄회로기판(B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B2)을 접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듈(M1)은 자동차의 TCU 모듈(Transmission controller unit module)이고, 제 2 모듈(M2)은 제 1 모듈(M1)에 체결되는 E-모듈(Electronic module)이다. 제 1 모듈(M1) 및 제 2 모듈(M2)을 통칭하여 전자 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
수 커넥터(11)는 암 커넥터(12)에 체결될 수 있다. 수 커넥터(11)는 제 1 인쇄회로기판(B1)을 구비한 제 1 모듈(M1)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하는 암 커넥터(12)도 마찬가지로 제 2 인쇄회로기판(B2)을 구비한 제 2 모듈(M2)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 커넥터(11)는 암 커넥터(12)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서로 다른 2개의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수 커넥터(11)는 수 커넥터 바디(111), 이탈 방지부(115), 수 바디 돌기(116), 복수 개의 결합 로드(117a, 117b), 체결 볼트(110), 복수 개의 리브(118) 및 수 탭(119)을 포함할 수 있다.
수 커넥터 바디(111)는 암 커넥터(12)에 맞물릴 수 있다. 수 커넥터 바디(111)는 일 방향으로 암 커넥터(12)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수 커넥터 바디(111)는 수 탭(119)을 지지할 수 있다. 수 커넥터(11)가 암 커넥터(12)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암 커넥터(12)를 마주할 경우, 수 탭(119)은 암 커넥터(12)에 구비된 암 탭(129)과 나란할 수 있다. 수 커넥터 바디(111)는, 수 커넥터(11)가 암 커넥터(12)에 체결되기 위해 암 커넥터(12)를 마주할 때를 기준으로, 수 탭(119) 보다 암 커넥터(12)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 커넥터 바디(111)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수 탭(119)은 수 커넥터 바디(111)에 의해 완전히 오버랩될 수 있다. 이 경우, 수 커넥터 바디(111) 중 수 탭(119)을 둘러싸는 부분은 수 탭(119)보다 먼저 암 커넥터(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수 커넥터 바디(111)는 수 탭(119)이 잘못된 위치로 삽입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 커넥터 바디(111)는 수 플랜지부(1111) 및 수 돌출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 플랜지부(1111)는 수 커넥터(11)를 제 1 모듈(M1)에 체결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수 볼팅홀(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볼트(C1)는 수 볼팅홀(111a) 및 제 1 모듈(M1)에 나사 결합하여, 수 커넥터(11)를 제 1 모듈(M1)에 체결시킬 수 있다. 수 플랜지부(1111)는 수 오링(R2)을 지지할 수 있다. 수 오링(R2)은 수 플랜지부(1111) 중 암 커넥터(12)를 마주하는 표면에 위치할 수 있다.
수 돌출부(1112)는 수 플랜지부(111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암 커넥터(12)에 삽입될 수 있다. 수 돌출부(1112)는 내측 수 돌출부(1112a) 및 외측 수 돌출부(1112b)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수 돌출부(1112a)는 암 커넥터 바디(121)의 내측 암 돌출부(1212a)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내측 수 돌출부(112a)는 내측 암 돌출부(1212a) 및 체결 너트(12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외측 수 돌출부(1112b)는 암 커넥터 바디(121)의 내측 암 돌출부(1212a) 및 외측 암 돌출부(1212b)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15)는 체결 볼트(110)가 제 1 방향(도 4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15)는 체결 볼트(110)의 수 커넥터 바디(111)의 나사부 및 헤드부 사이에 함몰된 홈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이탈 방지부(115)는 도 4처럼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가 체결된 상태를 기준으로 수 커넥터 바디(111)의 하면 및 체결 너트(1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이탈 방지부(115)가 수 커넥터 바디(111)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이탈 방지부(115)는 수 커넥터 바디(111)와 별개의 부품으로 마련된 와셔(washer)일 수 있다. 한편, 체결 볼트(110)는 외벽에 형성되고 수 커넥터 바디(111)를 가압하여 체결 볼트(110)가 제 1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도 4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181)는 수 커넥터 바디(111)에 형성된 단차진 부분에 안착되어, 체결 볼트(110)가 제 2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15) 및 가압부(181)는 체결 볼트(110)가 수 커넥터 바디(111)에 대해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수 바디 돌기(116)는 내측 수 돌출부(1112a) 및 외측 수 돌출부(1112b) 사이에서 상기 수 플랜지부(111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내측 암 돌출부(1212a)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수 바디 돌기(116)는 수 탭(119) 및 암 탭(129)이 정렬된 상태로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수 바디 돌기(116) 중 수 플랜지부(1111)로부터 가장 이격된 단부는, 수 플랜지부(1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수 바디 돌기(116)는 내측 암 돌출부(1212a)에 정확히 정렬이 되지 않은 상태로도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외측 수 돌출부(1112b)는 수 탭(119)의 삽입 방향을 1차로 가이드하고, 내측 수 돌출부(1112a)는 수 탭(119)의 삽입 방향을 2차로 가이드하고, 수 바디 돌기(116)는 수 탭(119)의 삽입 방향을 3차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양 커넥터(11, 12)가 서로 체결될 때에, 수 탭(119)이 암 탭(129)의 단부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로드(117a, 117b)는 수 커넥터 바디(11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수 탭(119)과 나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결합 로드(117a, 117b)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제 1 결합 로드(117a) 및 제 2 결합 로드(1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 로드(117a)의 직경은 제 2 결합 로드(117b)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커넥터(11)에 장착되는 제 1 인쇄회로기판(B1)은 제 1 결합 로드(117a) 및 제 2 결합 로드(117b)를 통과시키기 위한 서로 다른 직경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로드(117a, 117b)는 제 1 인쇄회로기판(B1)이 수 커넥터(11)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브(118)는 수 커넥터 바디(111)의 측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커넥터(11)가 암 커넥터(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 복수 개의 리브(118)는 수 커넥터 바디(111)의 외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수 커넥터(11)가 암 커넥터(12)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구조, 다시 말하면, 수 커넥터(11)가 암 커넥터(12)를 감싸며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 복수 개의 리브(118)는 수 커넥터 바디(111)의 내벽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커넥터(12)는 복수 개의 리브(118)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리브 수용 홈(128)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브(118) 각각은 복수 개의 리브 수용 홈(128)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복수 개의 리브(118)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리브 사이의 간격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리브(118)는 수 커넥터 바디(111)의 제 1 측벽에 형성되는 제 1 리브(118a) 및 제 2 리브(118b)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측벽에 형성되는 제 3 리브(118c) 및 제 4 리브(118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브(118a) 및 제 2 리브(118b) 사이의 간격은, 제 3 리브(118c) 및 제 4 리브(118d) 사이의 간격보다 넓거나 좁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가 당초 의도한 방향이 아닌 잘못된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앞서 복수 개의 리브(118)가 수 커넥터(11)에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암 커넥터(12)가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수 커넥터(11)가 복수 개의 리브 수용 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수 커넥터(11)가 복수 개의 리브 및 리브 수용 홈을 모두 포함하고, 암 커넥터(12)가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리브 수용 홈 및 리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 탭(119)은 수 커넥터 바디(111)에 배치될 수 있다. 수 탭(119)은 수 커넥터 바디(111)를 관통할 수 있다. 수 탭(119)의 일 단부는 제 1 모듈(M1) 내에 구비된 제 1 인쇄회로기판(B1)에 연결될 수 있다. 수 탭(119)은 암 커넥터(12) 내에 배치된 암 탭(129)에 직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수 탭(119)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수 탭(119)은 수 커넥터 바디(111)에 연결된 제 1 인쇄회로기판(B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수커넥터바디를 관통한 곳은 방수를 위하여 포팅 물질(P)이 포팅될 수 있다.
체결 볼트(110)는 수 커넥터(1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 커넥터(11)를 암 커넥터(12)에 체결시킬 수 있다. 체결 볼트(110)는 암 커넥터(12)의 체결 너트(120)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수 커넥터(11)는 제 1 모듈(M1)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고, 암 커넥터(12)는 제 2 모듈(M2)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 볼트(110)가 체결 너트(120)에 맞물린 상태로, 체결 볼트(1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체결 볼트(110)는 체결 너트(120)를 따라 암 커넥터(1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체결 볼트(110)의 가압부(181)가 수 커넥터 바디(111)에 형성된 단차진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에 각각 고정된 제 1 모듈(M1) 및 제 2 모듈(M2)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진행하여,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반대로, 체결 볼트(110)가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체결 볼트(110)는 암 커넥터(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체결 볼트(110)의 함몰된 홈에 끼워진 이탈 방지부(115)는 수 커넥터 바디(111)를 암 커넥터(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의 체결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에 각각 고정된 제 1 모듈(M1) 및 제 2 모듈(M2)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하여,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암 커넥터(12)는 암 커넥터 바디(121), 지지부(122), 패밀리 시일(123), 시일 홀더(124), 지지 로드(125, 도 7 참조), 돌출부(126, 도 7 참조), 이너 시일(127), 체결 너트(120), 복수 개의 리브 수용 홈(128) 및 암 탭(129)을 포함할 수 있다. 시일 홀더(124), 지지 로드(125) 및 돌출부(126)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암 커넥터 바디(121)는 수 커넥터 바디(111)에 맞물릴 수 있다. 암 커넥터 바디(121)는 일 방향으로 수 커넥터 바디(111)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암 커넥터 바디(121)는 암 탭(129)을 지지할 수 있다. 암 커넥터 바디(121)는, 암 커넥터(12)가 수 커넥터(11)에 체결되기 위해 수 커넥터(11)를 마주할 때를 기준으로, 암 탭(129) 보다 수 커넥터(11)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암 커넥터 바디(121)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암 탭(129)은 암 커넥터 바디(121)에 의해 완전히 오버랩될 수 있다. 암 커넥터 바디(121)는, 암 플랜지부(1211), 암 돌출부(1212) 및 암 포팅부(1213, 도 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암 플랜지부(1211)는 암 커넥터(12)를 제 2 모듈(M2)에 체결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암 볼팅홀(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볼트(C2)는 암 볼팅홀(121a) 및 제 2 모듈(M2)에 나사 결합하여, 암 커넥터(12)를 제 2 모듈(M2)에 체결시킬 수 있다.
암 돌출부(1212)는 암 플랜지부(121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수 커넥터(11)에 삽입될 수 있다. 암 돌출부(1212)는 외벽에 암 오링(R3)을 지지하기 위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암 돌출부(1212)는 내측 암 돌출부(1212a) 및 외측 암 돌출부(1212b)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암 돌출부(1212a)는 지지부(122)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부(122)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고, 암 플랜지부(121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암 돌출부(1212b)는 내측 암 돌출부(1212a)로부터 이격되어, 내측 암 돌출부(1212a)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고, 암 플랜지부(121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암 포팅부(1213, 도 7 참조)는, 암 돌출부(1212) 및 패밀리 시일(123) 사이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패밀리 시일(123)이 암 포팅부(1213)의 일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암 포팅부(1213)에 포팅 물질(P)이 포팅될 수 있다.
지지부(122)는 암 커넥터 바디(12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22)는 암 커넥터 바디(121)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22)는 지지부(122)는 암 플랜지부(1211)의 중앙부로부터 가장 높게 돌출 형성되어 체결 너트(120)를 지지하고, 체결볼트(110)을 가이드 할 수 있다.이너 시일(127)은 암 커넥터 바디(121)에 배치되고, 수 커넥터 바디(111)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너 시일(127)은 암 커넥터 바디(121) 중 수 커넥터 바디(111)가 삽입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시일(127)은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 볼트(110)가 체결 너트(120)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암 커넥터(12)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이너 시일(127)은 수 커넥터 바디(111)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될 수 있다. 이너 시일(127)은 탄성을 갖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시일(127)은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의 사이로 유체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 시일(127)은 제 1 시일 파트(1271) 및 제 2 시일 파트(12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시일(127)은, 암 커넥터 바디(121)에 신장된 상태로 끼워질 수 있다. 이너 시일(127)은 복원력에 의해 암 커넥터 바디(121)에 보다 더 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시일(127)은 폐곡선의 고리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부로부터 암 커넥터 바디(121)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전 방향에서 차단할 수 있다.
제 1 시일 파트(1271)는 수 커넥터(11)의 일단, 예를 들면, 수 돌출부(1112)에 접촉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시일 파트(1271)는 외측 수 돌출부(1112b)에 접촉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시일 파트(1271)는 암 커넥터 바디(121) 상에 수 커넥터(11)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시일 파트(1271)는 수 커넥터 바디(111)로부터 암 커넥터 바디(121)로 전달되거나, 암 커넥터 바디(121)로부터 수 커넥터 바디(111)로 전달되는 진동 중, 체결 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제 2 시일 파트(1272)는 제 1 시일 파트(127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수 커넥터(11), 예를 들면, 수 돌출부(1112)의 내벽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시일 파트(1272)는 외측 수 돌출부(1112b)의 내벽에 접촉할 수 있다. 제 2 시일 파트(1272)는 암 커넥터 바디(121)의 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2 시일 파트(1272)는 수 커넥터 바디(111)가 암 커넥터 바디(121)에 체결될 때, 수 커넥터 바디(1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시일 파트(1272)는 수 커넥터 바디(111)에 의해 내측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 2 시일 파트(1272)는 수 커넥터 바디(111)로부터 암 커넥터 바디(121)로 전달되거나, 암 커넥터 바디(121)로부터 수 커넥터 바디(111)로 전달되는 진동 중, 체결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이너 시일(127)의 형상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실시 예에 있어서 이너 시일(127)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면, 도면에 개시된 바와 달리, 이너 시일(127)의 단면에서, 외측 부분이 내측 부분보다 더 높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이너 시일(127)의 단면에서, 내측 부분 및 외측 부분이 모두 중앙부보다 더 높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복수 개의 리브 수용 홈(128)은 복수 개의 리브(118)를 수용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브 수용 홈(128)은 예를 들어, 제 1 리브 수용 홈(128a), 제 2 리브 수용 홈(128b), 제 3 리브 수용 홈(128c) 및 제 4 리브 수용 홈(128d)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브 수용 홈(128a) 및 제 2 리브 수용 홈(128b) 사이의 간격은 제 3 리스 수용 홈(128c) 및 제 4 리브 수용 홈(128d)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암 탭(129)은 암 커넥터 바디(121)에 배치될 수 있다. 암 탭(129)은 암 커넥터 바디(121)를 관통할 수 있다. 암 탭(129)의 일 단부는 제 2 모듈(M2) 내에 구비된 제 2 인쇄회로기판(B2)에 연결될 수 있다. 암 탭(129)은 수 커넥터(11) 내에 배치된 수 탭(119)에 직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암 탭(129)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암 탭(129)은 암 커넥터 바디(121)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암 탭(129)은 핀(1291) 및 리셉터(1292)를 포함할 수 있다.
핀(1291)은 길이 방향의 봉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탭(119)의 양단은 핀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핀(1291)은 인쇄회로기판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암 커넥터 바디(1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리셉터(1292)는 핀(1291)의 단부에 연결되고, 수 탭(119)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1292)는 수 탭(119)에 연결되기 위한 개구 파트(1292a)와, 개구 파트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핀(1291)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파트(1292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파트(1292b)는 압착 또는 솔더링을 통해서 핀(1291)과 고정될 수 있다.
앞서, 암 탭(129)이 핀(1291) 및 리셉터(1292)를 포함하고, 수 탭(119)은 핀으로 구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수 탭(119)이 핀 및 리셉터를 포함하고, 암 탭이 핀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체결 너트(120)는 암 커넥터 바디(121)에 배치되고, 체결 볼트(110)에 나사 결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체결 너트(120)는 너트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패밀리 시일 및 시일 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암 커넥터(12)는 암 커넥터 바디(121), 패밀리 시일(123), 시일 홀더(124), 지지 로드(125), 이너 시일(127) 및 암 탭(129)을 포함할 수 있다.
패밀리 시일(123)은 암 커넥터 바디(121)에 끼워질 수 있다. 패밀리 시일(123)은 탄성을 갖고, 암 커넥터 바디(121)에 끼워질 때, 암 커넥터 바디(121)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될 수 있다. 패밀리 시일(123)은 암 탭(129)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구멍의 단면적의 크기는 암 탭(129)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암 탭(129)이 패밀리 시일(123)을 통과할 때, 패밀리 시일(123)은 압축될 수 있고, 암 탭(129)은 패밀리 시일(123)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패밀리 시일(123)은 암 커넥터 바디(121) 내로 포팅 물질이 주입되는 동안, 포팅 물질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암 커넥터 바디(121)를 밀봉할 수 있다.
시일 홀더(124)는 암 커넥터 바디(121)에 끼워지고, 패밀리 시일(123)을 지지할 수 있다. 시일 홀더(124)는 패밀리 시일(123)이 암 커넥터 바디(1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일 홀더(124)는 암 탭(129)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구멍을 포함한다. 시일 홀더(124)의 단면적의 크기는 암 탭(129)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시일 홀더(124)는 패밀리 시일(123)보다 강성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암 탭(129)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시켜, 암 탭(129)이 수 탭(119)에 물리적으로 보다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지지 로드(125)는 암 커넥터 바디(12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패밀리 시일(123)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로드(125)는, 암 커넥터(12)가 수 커넥터(11)를 마주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암 커넥터 바디(121)로부터 수 커넥터(1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 로드(125)는 암 커넥터 바디(121)를 기준으로 수 커넥터(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로드(125)에 의해 패밀리 시일(123) 및 암 커넥터 바디(121) 사이의 공간에는 암 포팅부(1213)가 형성될 수 있다. 암 포팅부(1213)에는 포팅 물질(P)이 채워질 수 있다. 지지 로드(125)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로드(125)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암 커넥터 바디(121) 내로 주입되는 포팅 물질(P)은 복수 개의 지지 로드(125) 사이를 유동할 수 있다.
돌출부(126)는 암 커넥터 바디(12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패밀리 시일(123)에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126)는 예를 들어, 고리 형상의 돌출부일 수 있다. 돌출부(126)는 패밀리 시일(123)에 삽입되어, 암 커넥터 바디(121) 및 패밀리 시일(123) 사이의 보다 확실한 밀봉을 구현할 수 있다. 패밀리 시일(123)은 돌출부(126)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가 접촉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수 커넥터 바디(111)의 일부가 암 커넥터 바디(121)의 일부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체결 볼트(110)가 체결 너트(120)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는 체결 볼트(110)가 회전하여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가 완전히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암 커넥터 바디(121)는 복수 개의 바디 홀(1211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바디 홀(1211a)은 패밀리 시일(123)을 기준으로 시일 홀더(124)의 반대편에 구비되고, 패밀리 시일(123)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바디 홀(1211a)은 예를 들어, 지지부(122)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바디 홀(1211a)을 통해 암 포팅부(1213)에 포팅 물질이 적절하게 채워졌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바디 홀(1211a)은 지지부(122)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일 홀더(124)가 암 커넥터 바디(1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암 커넥터 바디(121) 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바디 홀(1211a)을 통해서 포팅 물질을 채워 넣으면서 남은 바디 홀(1211a)을 관찰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바디 홀(1211a) 각각의 하측에 포팅 물질이 충분히 채워지면, 포팅 물질은 바디 홀(1211a)을 통과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팅 물질이 4개의 바디 홀(1211a)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포팅 물질이 적절히 채워졌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포팅 물질이 상기 바디 홀(1211a)을 넘쳐 흘러서 상기 수 커넥터 바디(111)와 접촉되는 부분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완충 부분을 상기 암 커넥터 바디(121)의 내측에 형성하여 암, 커넥터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될 수도 있다.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는 다음과 같이 단계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수 돌출부(1112b)는 외측 암 돌출부(1212b) 내측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 탭(119) 및 암 탭(129)은 정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측 수 돌출부(1112b) 및 외측 암 돌출부(1212b)의 형상,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리브(118) 및 복수 개의 리브 수용 홈(128)을 기초로 체결 방향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도 2 참조). 외측 수 돌출부(1112b)는 내측 암 돌출부(1212a)로부터는 이격될 수 있다. 수 탭(119)은 암 탭(129)을 향해 접근한다. 수 바디 돌기(116)는 아직 암 커넥터(12)에 접촉하기 전 상태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단계에 앞서 바디 홀(1211a)을 통해 포팅 물질이 제대로 채워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 플랜지부(1111) 및 앞 플랜지부(1211)는 각각 다른 모듈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바디 돌기(116)는 내측 암 돌출부(1212a)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 탭(119) 및 암 탭(129)은 보다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볼트(110)의 단부는 체결 너트(120)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 탭(119) 및 암 탭(129)이 보다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볼트(110)가 수 커넥터(11)에 대해 회전하면서, 수 커넥터(11) 및 암 커넥터(12)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체결이 진행되는 동안, 수 탭(119)은 암 탭(129)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에서 생략된 나머지 부분은 도 3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볼트(210)는 외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28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81)는 체결 볼트(210)가 일 방향(도 13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281)는 수 커넥터 바디(111)의 상면에 안착되어, 체결 볼트(110)가 제 2 방향(도 13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15) 및 가압부(281)는 체결 볼트(210)가 수 커넥터 바디(111)에 대해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2)

  1.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전자 모듈에 장착 가능한 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자 모듈에 결합되기 위한 암 볼팅홀을 포함하는 암 플랜지부와, 상기 암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암 돌출부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 바디;
    상기 암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는 핀과, 상기 핀의 단부에 연결되는 리셉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암 탭;
    상기 암 돌출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암 커넥터에 체결되는 상대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 가능한 이너 시일;
    상기 암 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는 체결 너트; 및
    상기 암 돌출부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을 갖고, 상기 암 돌출부의 외벽에 삽입되는 암 오링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 바디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 너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고, 상기 암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내측 암 돌출부; 및
    상기 내측 암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측 암 돌출부를 둘러싸는 외측 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시일은 상기 내측 암 돌출부 및 외측 암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시일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일단에 접촉 가능한 제 1 시일 파트; 및
    상기 제 1 시일 파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내벽에 접촉 가능한 제 2 시일 파트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 바디에 끼워지고, 탄성을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암 탭을 지지하는 패밀리 시일; 및
    상기 암 커넥터 바디에 끼워지고, 상기 패밀리 시일을 지지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암 탭을 지지하는 시일 홀더를 더 포함하는 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 바디 및 패밀리 시일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암 커넥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패밀리 시일을 지지하는 지지 로드를 더 포함하는 암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암 돌출부 및 상기 패밀리 시일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암 포팅부를 더 포함하는 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 바디는, 상기 패밀리 시일을 기준으로 상기 시일 홀더의 반대편에 마련되고 상기 패밀리 시일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바디 홀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8.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전자 모듈에 장착 가능한 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자 모듈에 결합되기 위한 수 볼팅홀을 포함하는 수 플랜지부와,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수 돌출부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바디;
    상기 수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 탭;
    상기 수 커넥터 바디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 볼트; 및
    상기 수 돌출부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을 갖고, 상기 수 플랜지부에 삽입되는 수 오링을 포함하는 수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를 둘러싸는 체결 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볼트는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체결 오링을 지지하는 체결 홈을 포함하는 수 커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수 바디 돌기를 더 포함하는 수 커넥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 돌출부는,
    상기 체결 볼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내측 수 돌출부; 및
    상기 내측 수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측 수 돌출부를 둘러싸는 외측 수 돌출부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가 상기 수 커넥터 바디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볼트는, 외벽에 형성되고 상기 수 커넥터 바디를 가압하여 상기 체결 볼트가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수 돌출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 탭과 나란하고,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결합 로드를 더 포함하는 수 커넥터.
  14. 제 1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제 1 모듈에 장착 가능한 수 커넥터와, 제 2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제 2 모듈에 장착 가능한 암 커넥터를 포함하는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수 플랜지부 및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수 돌출부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바디와, 상기 수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 탭과, 상기 수 커넥터 바디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 볼트와, 상기 수 플랜지부에 삽입되는 수 오링을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및
    암 플랜지부 및 상기 암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암 돌출부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 바디와, 상기 암 커넥터 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는 핀 및 상기 핀의 단부에 연결되는 리셉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암 탭과, 상기 암 돌출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수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 가능한 이너 시일과, 상기 암 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는 체결 너트와, 상기 암 돌출부의 외벽에 삽입되는 암 오링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를 포함하는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시일은,
    상기 수 돌출부에 접촉 가능한 제 1 시일 파트; 및
    상기 제 1 시일 파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수 돌출부의 내벽에 접촉 가능한 제 2 시일 파트를 포함하는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암 플랜지부의 중앙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 너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고, 상기 암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내측 암 돌출부; 및
    상기 내측 암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측 암 돌출부를 둘러싸는 외측 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 돌출부는,
    상기 체결 볼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수 플랜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측 암 돌출부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내측 수 돌출부; 및
    상기 내측 암 돌출부 및 외측 암 돌출부 사이로 삽입 가능한 외측 수 돌출부를 포함하는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암 커넥터 바디에 끼워지고, 탄성을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암 탭을 지지하는 패밀리 시일; 및
    상기 암 커넥터 바디에 끼워지고, 상기 패밀리 시일을 지지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암 탭을 지지하는 시일 홀더를 더 포함하는 암 커넥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암 돌출부 및 상기 패밀리 시일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암 포팅부를 더 포함하는 암 커넥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 바디는, 상기 패밀리 시일을 기준으로 상기 시일 홀더의 반대편에 마련되고 상기 패밀리 시일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바디 홀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체결 볼트를 둘러싸는 체결 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볼트는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체결 오링을 지지하는 체결 홈을 포함하는 수 커넥터.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체결 볼트가 상기 수 커넥터 바디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볼트는, 외벽에 형성되고 상기 수 커넥터 바디를 가압하여 상기 체결 볼트가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 및 암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는, 다른 하나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리브 사이의 간격이 서로 상이한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80107242A 2017-10-25 2018-09-07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 KR102612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01727.7A EP3477782B1 (en) 2017-10-25 2018-10-22 Direct coupling connector assembly
JP2018198058A JP2019079800A (ja) 2017-10-25 2018-10-22 直接結合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201811249859.0A CN109713505B (zh) 2017-10-25 2018-10-25 直接联接式连接器组件
US16/170,411 US10594072B2 (en) 2017-10-25 2018-10-25 Direct coupling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39 2017-10-25
KR20170139039 2017-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626A true KR20190046626A (ko) 2019-05-07
KR102612957B1 KR102612957B1 (ko) 2023-12-13

Family

ID=6665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242A KR102612957B1 (ko) 2017-10-25 2018-09-07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8213A (zh) * 2019-08-30 2021-03-05 矢崎总业株式会社 连接器的防水密封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9444A (en) * 1962-04-23 1964-12-01 Amp Inc Breakaway connector
JP2001319725A (ja) * 2000-05-11 2001-11-16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2004362928A (ja) * 2003-06-04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スのシール構造、及びその組付方法
JP2009193903A (ja) * 2008-02-18 2009-08-27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13206860A (ja) * 2012-03-29 2013-10-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嵌合用ボルト及び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9444A (en) * 1962-04-23 1964-12-01 Amp Inc Breakaway connector
JP2001319725A (ja) * 2000-05-11 2001-11-16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2004362928A (ja) * 2003-06-04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スのシール構造、及びその組付方法
JP2009193903A (ja) * 2008-02-18 2009-08-27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13206860A (ja) * 2012-03-29 2013-10-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嵌合用ボルト及び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8213A (zh) * 2019-08-30 2021-03-05 矢崎总业株式会社 连接器的防水密封结构
CN112448213B (zh) * 2019-08-30 2022-04-29 矢崎总业株式会社 连接器的防水密封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957B1 (ko)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7782A1 (en) Direct coupling connector assembly
TWI382614B (zh) Connector
RU2637809C2 (ru) Непроницаемый для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корпус штекер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US6368130B1 (en) Connector adapted to absorb a positional misalignment
CN104124563A (zh) 连接器
CN102668259A (zh) 用于高压插头插座式连接器的两件式接触元件
CN101127422A (zh) 电子控制装置的框体以及电气连接器
US20180316142A1 (en) Case closing structure
JP6829317B2 (ja) コンタクトデバイスおよびコンタクトシステム
KR20230039628A (ko) 고전압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20230042241A (ko)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US9692172B2 (en) Connector
US7056137B1 (en)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a sealing element
KR101905100B1 (ko) 센서 연결용 커넥터
KR20190046626A (ko)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
JP5112451B2 (ja) シール可能な電気コネクタ
KR20170035070A (ko)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EP3113293A1 (en) Peripheral wedge seal member
JP2010519678A5 (ko)
CA3095527C (en) Electrical connector
CN209804972U (zh) 一种连接器
US10516235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nnector
CN203039171U (zh) 防水连接器
US11211751B1 (en) Conductive contact having a peripheral seal
CN211208823U (zh) 一种侧插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