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449A - 철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철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449A
KR20190046449A KR1020170140264A KR20170140264A KR20190046449A KR 20190046449 A KR20190046449 A KR 20190046449A KR 1020170140264 A KR1020170140264 A KR 1020170140264A KR 20170140264 A KR20170140264 A KR 20170140264A KR 20190046449 A KR20190046449 A KR 20190046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ct
belt member
coupled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헌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0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6449A/ko
Publication of KR2019004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18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magnets moving during operation
    • B03C1/20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magnets moving during operation in the form of belts, e.g. cross-belt type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철물 선별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철물 선별장치는, 본체프레임부와,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자성을 띄는 마그넷부와, 본체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풀리부와, 풀리부와 연결되고, 풀리부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풀리부와 접촉되고, 마그넷부의 둘레를 따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벨트부재와, 벨트부재에 접촉가능하도록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벨트부재가 처짐에 따라 승강 이동하는 처짐감지부와,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처짐감지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 및 처짐감지부의 이동 시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물 선별장치{SEPERATING APPARATUS FOR IRON GOODS}
본 발명은 철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부재의 처짐을 감지할 수 있는 철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을 제련하는 제철 과정에서 광석으로부터 금속을 빼내고 남은 슬래그는 파쇄되어 별도로 수거된다. 슬래그에 남아있는 철을 회수하기 위하여 슬래그를 작은 단위로 파쇄한 뒤, 전자석을 이용하여 슬래그와 함께 작은 단위로 파쇄된 철분을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0241호(2013.07.22 등록, 발명의 명칭: 철분 회수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짐감지부로 인하여 벨트부재의 처짐을 감지하고, 벨트부재의 처짐으로 인한 장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철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물 선별장치는: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자성을 띄는 마그넷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풀리부; 상기 풀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풀리부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풀리부와 접촉되고, 상기 마그넷부의 둘레를 따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벨트부재;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재가 처짐에 따라 승강 이동하는 처짐감지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처짐감지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처짐감지부의 이동 시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짐감지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는 감지본체;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감지본체와 상기 접촉부에 각각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길이조절부와 결합되는 접촉본체; 및 상기 접촉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짐감지부는, 상기 감지본체와 상기 접촉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철물 선별장치는, 상기 벨트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자성을 띄는 선별부; 및 상기 벨트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부재 상에서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벨트부재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센서본체; 상기 선별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별부와 함께 이동되는 리미트부; 및 상기 벨트부재의 외측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리미트부를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하는 제2센서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물 선별장치는, 처짐감지부가 벨트부재에 접촉됨으로 인하여 벨트부재의 처짐 발생 시 제1센서부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길이조절부로 인하여 벨트부재의 처짐 발생 시 접촉부가 벨트부재에 접촉되며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여 제1세서부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접촉롤러부로 인하여 접촉부와 벨트부재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마찰로 인하여 벨트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로 인하여 접촉부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고, 접촉부가 소정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로 인하여 길이조절부 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별부가 자성을 띄며 벨트부재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마그넷부의 자력에 더하여 컨베이어벨트에서 이송되는 이송물에 포함된 철물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센서부로 인하여 풀리부의 회전을 측정하는 것에 비하여 벨트부재의 속도 측정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물 선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짐감지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벨트부재의 처짐 발생 시 처짐감지부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서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6은 벨트부재의 처짐 발생 시 철물 선별장치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물 선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물 선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짐감지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벨트부재의 처짐 발생 시 처짐감지부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서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6은 벨트부재의 처짐 발생 시 철물 선별장치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물 선별장치(1)는 본체프레임부(100), 마그넷부(200), 풀리부(300), 구동부(350), 벨트부재(400), 처짐감지부(500), 제1센서부(600), 제어부(700), 선별부(800), 제2센서부(900)를 포함한다.
도 1,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프레임부(100)는 컨베이어벨트(10)의 상측(도 1 기준)에 배치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마그넷부(200)가 결합된다.
도 1, 도 2,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20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자성을 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200)는 본체프레임부(100)와 컨베이어벨트(10)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단위 전자석(도면 미도시)들이 별도의 금속하우징(도면 미도시)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위 전자석들은 코일(COIL) 등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자력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하여 컨베이어벨트(10) 상에서 이송되는 이송물 중에 철물(5)이 뒤에 설명할 벨트부재(400), 선별부(800)에 흡착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리부(30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프레임부(10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본체프레임부(100)와 마그넷부(200)의 둘레를 따라 벨트부재(400)가 풀리부(300)에 접촉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도 1,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50)는 풀리부(300)와 연결되는 것으로 풀리부(3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350)는 모터(MOTOR) 방식으로 풀리부(30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부(350)가 풀리부(300)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구동부(350)와 풀리부(300)에 각각 결합되는 기어부가 맞물려 회전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2, 도 4,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400)는 풀리부(300)와 접촉되는 것으로 마그넷부(200)의 둘레를 따라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한다.
벨트부재(40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풀리부(300)와 접촉되어 구동부(35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은 풀리부(300)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벨트부재(400)는 장력을 유지하며 풀리부(300)에 밀착되도록 접촉되고, 풀리부(300)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된다.
도 1, 도 2,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짐감지부(500)는 벨트부재(400)에 접촉가능하도록 본체프레임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벨트부재(400)가 처짐에 따라 승강 이동한다.
처짐감지부(500)는 감지본체(510), 접촉부(520), 길이조절부(530), 가이드부(5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본체(51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프레임부(100)의 일측에 위치 고정되고 하측(도 1 기준) 단부에 뒤에 설명할 길이조절부(530)가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520)는 벨트부재(400)에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 벨트부재(400)를 가압한다. 접촉부(520)는 접촉본체(521), 접촉롤러부(5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본체(521)는 길이조절부(530)와 결합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인식부(620)가 결합된다. 접촉본체(521)는 벨트부재(400)의 처짐이 발생됨에 따라 벨트부재(400)와 함께 하측(도 1 기준)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롤러부(523)는 접촉본체(5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벨트부재(400)에 접촉된다.
접촉롤러부(523)가 벨트부재(400)에 접촉되며 회전됨으로 인하여 접촉부(520)와 벨트부재(400) 간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접촉부(520)와 벨트부재(400)의 마찰로 인해 벨트부재(4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520)는 길이조절부(530)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벨트부재(400)와 항상 접촉되며, 벨트부재(400)를 하측(도 1 기준)으로 접촉 가압한다.
도 1, 도 2,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530)는 감지본체(510)와 접촉부(520)에 각각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길이조절부(53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길이조절부(530)는 스프링(SPRING)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길이조절부(530)가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530)는 접촉부(520), 구체적으로 접촉롤러부(523)가 벨트부재(400)를 접촉 가압하도록 벨트부재(400) 측(도 1 기준 하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감지본체(510)에 고정 설치되고, 접촉부(520)를 벨트부재(400) 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벨트부재(400)의 처짐이 발생되면 벨트부재(400)가 하측(도 3 기준)으로 쳐지게 되고 이때 함께 접촉부(520)가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접촉부(52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접촉본체(521)의 소정위치에 결합되는 인식부(620)와 본체프레임부(100)에 설치되는 제1센서본체(610)가 이격되며 벨트부재(400)의 처짐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도 2,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540)는 감지본체(510)와 접촉부(520)의 외측에 배치되어 접촉부(520)의 승강 경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54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접촉부(520), 구체적으로 접촉본체(521)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부(540)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감지본체(510), 접촉본체(521)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부(540)가 접촉부(520), 구체적으로 접촉본체(521)에 결합되고 감지본체(510)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도 2 기준)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감지본체(510)에 결합되고, 접촉부(520), 구체적으로 접촉본체(521)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도 2 기준)으로 이동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2,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서부(60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처짐감지부(500)의 이동을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한다.
제1센서부(600)는 제1센서본체(610), 인식부(6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서본체(61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며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부(620)는 접촉부(520), 구체적으로 접촉본체(521)에 결합된다. 인식부(620)는 접촉본체(521)가 상하 방향(도 1 기준)으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서부(600)는 처짐감지부(500)의 이동을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거리 감지 방식으로 제1센서부(600), 구체적으로 제1센서본체(610)와 접촉본체(521)에 결합되는 인식부(62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값을 초과 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벨트부재(400)의 장력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제1센서본체(610)가 접촉부(520)에 결합되는 인식부(620)와 접촉되나, 벨트부재(400)가 처짐에 따라 접촉부(520)가 하측(도 1 기준)으로 이동하고, 인식부(620)와 제1센서본체(610)의 접촉이 해제되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700)는 처짐감지부(500)의 이동 시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것으로, 구동부(3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로 인하여 벨트부재(400)의 처짐을 조기에 감지하고 구동부(350)의 구동을 정지시켜 철물 선별장치(1)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회수되지 않은 철물(5)로 인해 장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4,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800)는 벨트부재(4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자성을 띈다.
선별부(800)는 바(BAR) 형상으로 벨트부재(400)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벨트부재(400)에 결합된다.
선별부(80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벨트부재(400)의 외측면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마그넷부(200)의 자력에 의해 컨베이어벨트(10)에서 벨트부재(400) 상으로 이동되는 철물(5)을 흡착하여 컨베이어벨트(10)에서 철물(5)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4,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서부(900)는 벨트부재(40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선별부(800)의 이동을 감지한다.
제2센서부(900)는 벨트부재(400)의 외측에서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벨트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선별부(800)를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서부(900)는 리미트부(910), 제2센서본체(920)를 포함한다. 리미트부(910)는 선별부(800)에 결합되어 선별부(800)와 함께 이동된다. 리미트부(910)는 선별부(800)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서본체(920)는 벨트부재(400)의 외측에 위치 고정되어 리미트부(910)를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서부(900)가 벨트부재(400)의 외측에서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소정 위치를 지나는 각각의 리미트부(910)를 감지하여 벨트부재(400)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센서본체(920)와 리미트부(910)가 비접촉 방식으로 거리 감지 방식으로 선별부(800)의 이동을 감지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센서본체(920)와 리미트부(910)가 직접 접촉되며 접촉 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물 선별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물 선별장치(1)는 본체프레임부(100), 마그넷부(200), 풀리부(300), 구동부(350), 벨트부재(400), 처짐감지부(500), 제1센서부(600), 제어부(700), 선별부(800), 제2센서부(90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벨트(10) 상에는 철물(5)이 포함된 이송물이 이송되고,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며 자성을 띄는 마그넷부(200)의 자력에 의해 컨베이어벨트(10) 상의 철물(5)이 마그넷부(200)의 둘레를 따라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하는 벨트부재(400)에 흡착된다.
벨트부재(40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풀리부(300)에 접촉되어 이동되고, 소정 범위의 장력 값이 요구된다.
벨트부재(40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벨트부재(400)가 탄성 변형되면 하측(도 1 기준)으로 처짐이 발생된다.
도 3, 도 6을 참조하면, 벨트부재(400)의 처짐이 발생되면 마그넷부(200)와 벨트부재(400) 간 간격이 증가되고 컨베이어벨트(10) 상에서 이송되는 이송물에 함유된 철물(5)이 마그넷부(200)의 자력 범위를 벗어나 벨트부재(400) 측으로 흡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짐감지부(500)는 마그넷부(200)와 컨베이어벨트(10) 사이를 통과하는 벨트부재(400)에 접촉가능하도록 본체프레임부(100)에 설치되며 벨트부재(400)가 처짐에 따라 승강 이동한다.
접촉부(520), 구체적으로 접촉롤러부(523)가 벨트부재(400) 상에 접촉되며 회전가능하게 접촉본체(521)에 결합되고, 벨트부재(400)의 처짐으로 인한 상하 방향(도 1 기준) 이동 시 함께 이동된다.
길이조절부(530)로 인하여 접촉부(520)가 벨트부재(400)를 접촉 가압하도록 하여 벨트부재(400)의 처짐 발생 시 제1센서부(600)가 벨트부재(400)의 처짐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서본체(61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위치 고정되고, 접촉부(520)에 결합되는 인식부(620)가 제1센서본체(6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제1센서부(6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700)는 구동부(350)의 구동을 제어하고, 구체적으로 구동부(35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로 인하여 벨트부재(400)의 처짐을 조기에 감지하고, 철물 선별장치(1)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컨베이어벨트(10) 상에서 이송되는 이송물에 포함된 철물(5)이 회수되지 않음으로 인한 컨베이어벨트(10) 손상, 장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540)가 감지본체(510)와 접촉부(520)의 외측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접촉부(520)의 승강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부(540)로 인하여 길이조절부(53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로 인해 길이조절부(5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800)는 자성을 띄며 벨트부재(400)에 결합되고, 선별부(800)로 인하여 마그넷부(200)의 자력을 보조하여 컨베이어벨트(10)에서 이송되는 이송물에 포함된 철물(5)을 회수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센서부(900)가 벨트부재(400)의 외측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선별부(800)의 이동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제2센서부(900)는 위치고정되는 제2센서본체(920)와 선별부(800)에 결합되어 벨트부재(400) 상에서 함께 이동되는 리미트부(910)를 포함한다.
제2센서본체(920)가 소정 위치를 지나는 리미트부(910)를 감지하고, 복수 개의 선별부(800)에 각각 결합되는 리미트부(910) 간 간격, 설정 시간 동안 측정된 리미트부(910)의 개수 등을 고려하여 벨트부재(40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센서부(900)로 인하여 풀리부(300)에 직접 설치되는 속도 감지장치에 비하여 풀리부(300)와 벨트부재(400) 간 슬립(SLIP) 발생 여부에 관계 없이 벨트부재(400)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철물 선별장치 5: 철물
10: 컨베이어벨트 100: 본체프레임부
200: 마그넷부 300: 풀리부
350: 구동부 400: 벨트부재
500: 처짐감지부 510: 감지본체
520: 접촉부 521: 접촉본체
523: 접촉롤러부 530: 길이조절부
540: 가이드부 600: 제1센서부
610: 제1센서본체 620: 인식부
700: 제어부 800: 선별부
900: 제2센서부 910: 리미트부
920: 제2센서본체

Claims (7)

  1.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자성을 띄는 마그넷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풀리부;
    상기 풀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풀리부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풀리부와 접촉되고, 상기 마그넷부의 둘레를 따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벨트부재;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재가 처짐에 따라 승강 이동하는 처짐감지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처짐감지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처짐감지부의 이동 시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감지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는 감지본체;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감지본체와 상기 접촉부에 각각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길이조절부와 결합되는 접촉본체; 및
    상기 접촉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 가능한 접촉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 선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감지부는, 상기 감지본체와 상기 접촉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 선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자성을 띄는 선별부; 및
    상기 벨트부재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 선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부재 상에서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 선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선별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별부와 함께 이동되는 리미트부; 및
    상기 벨트부재의 외측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리미트부를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하는 제2센서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물 선별장치.
KR1020170140264A 2017-10-26 2017-10-26 철물 선별장치 KR20190046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264A KR20190046449A (ko) 2017-10-26 2017-10-26 철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264A KR20190046449A (ko) 2017-10-26 2017-10-26 철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449A true KR20190046449A (ko) 2019-05-07

Family

ID=6665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264A KR20190046449A (ko) 2017-10-26 2017-10-26 철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64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9694A (zh) * 2021-03-13 2021-06-25 韩雪梅 一种五金件分类筛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9694A (zh) * 2021-03-13 2021-06-25 韩雪梅 一种五金件分类筛选装置
CN113019694B (zh) * 2021-03-13 2023-08-22 深圳市景艺欣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五金件分类筛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99630A (en) Position sensing devices, particularly in hoisting and conveying systems
US109067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mover on a closed track
US10377574B2 (en) Conveyor belt wear monitoring system
CN102992001A (zh) 输送带的张紧力检测装置
EP1306603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sicherheitsrelevanten Funktion einer Maschine
US58109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exing containers
KR20190046449A (ko) 철물 선별장치
US2579922A (en) Double sheet detector
KR20210000837A (ko) 철편 제거장치
TW202007623A (zh) 物品搬送裝置
KR102343619B1 (ko) 금속이물 검출장치
KR20190102408A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 제거장치
CN208830011U (zh) 一种服装加工用检针机
CN213230349U (zh) 一种皮带打滑检测装置
WO1989008068A1 (en) Multiple document detector
KR20110034376A (ko) 이송벨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19115A (ko) 금속 검출장치
CN109865678B (zh) 一种全自动检测设备
KR101477101B1 (ko) 낙광 방지장치
KR20140069394A (ko) 트리퍼카용 주행장치
JP2004017700A (ja) 自走式電車線検査装置
KR20180031318A (ko)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US4042877A (en)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laws in serially fed substantially cylindrical objects
US6216602B1 (en) Balance control mechanism for overhead traveling carrier
KR102394792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