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096A - 아토피 피부염 개선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염 개선 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096A
KR20190046096A KR1020170139263A KR20170139263A KR20190046096A KR 20190046096 A KR20190046096 A KR 20190046096A KR 1020170139263 A KR1020170139263 A KR 1020170139263A KR 20170139263 A KR20170139263 A KR 20170139263A KR 20190046096 A KR20190046096 A KR 20190046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composition
present
improving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형준
Original Assignee
(주)예스킨
류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스킨, 류형준 filed Critical (주)예스킨
Priority to KR1020170139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6096A/ko
Publication of KR2019004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0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61K36/324Boswellia, e.g. frankinc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61K36/328Commiphora, e.g. mecca myrrh or balm of Gilea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바이러스에 대한 사멸 효과를 발휘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은, 의이인, 자일리톨, 비타민C, 마누카꿀, 보스웰리아, 몰약 및 프로폴리스를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바이러스에 대하여 사멸 효과를 발휘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한다. 유아기에는 얼굴과 팔다리의 펼쳐진 쪽 부분에 습진으로 시작되지만, 성장하면서 특징적으로 팔이 굽혀지는 부분과 무릎 뒤의 굽혀지는 부위에 습진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많은 경우에 성장하면서 자연히 호전되는 경향을 보인다. 어른의 경우 접히는 부위 피부가 두꺼워지는 태선화(lichenification)가 나타나고, 유소아기에 비해 얼굴에 습진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아토피 피부염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병률이 인구의 20%라는 보고도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임상 증상도 피부건조증, 습진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병 원인이 어느 한 가지로만 설명될 수는 없지만,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소인, 면역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의 이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산업화로 인한 매연 등 환경 공해, 식품첨가물 사용의 증가, 서구식 주거 형태로 인한 카펫, 침대, 소파의 사용 증가, 실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알레르겐)의 증가 등이 예시되어 진다. 또한 실내에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일이 많아지면서 원인 물질에 노출되는 것도 원인으로 설명되고 있다. 한편 부모 모두가 아토피피부염을 가지는 자녀들은 부모 한쪽만 아토피피부염을 앓은 자녀들에 비해 발병률이 높다는 이유로, 아토피 피부염이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아토피 피부염의 유전 양식과 원인 유전자는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건조한 피부의 보습, 피부염 치료를 위한 부신피질호르몬제, 면역조절제, 국소 면역조절제와 가려움증을 치료하기 위한 항히스타민제가 사용된다. 아직까지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원인적 치료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발병의 병리적 원인이 정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보습, 부신피질호르몬제, 면역조절제 또는 항히스타민제 등은 일시적인 증상 완화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고 다시 재발하기 때문에 이들 처방을 원인적 치료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한편, 아직까지 아토피 피부염을 바이러스 질환으로 보는 의학계의 견해는 없고 아토피 피부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규명된 것도 아니지만, 본원 발명자는, 많은 임상 경험을 통하여,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에 침투한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추측하게 되었다. 아토피 피부염은 증상이 깨끗하게 낫지 않고 건강상태에 따라 반복하여 재발한다는 점에서 다른 바이러스 질환과 동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바이러스는 크기가 너무 작아서 기술적으로 전자현미경이 발명된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새로운 분야이다. 또 바이러스는 특성상 병원성의 여부를 가리는 것도 어렵고, 백신이나 치료약을 찾아도 내성 바이러스의 발현이 쉬워서 지속적으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더욱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바이러스는 특성상 숙주의 세포 안에 기생하면서 숙주의 면역력이 강하면 세포 안에 잠복하여 면역세포와의 접촉을 피하고 숙주의 면역력이 약해지면 비로소 세포에서 나와 활동하면서 병원성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세균과 달리 바이러스는 감염은 됐지만 비활동성으로 병적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병원성의 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더구나, 의학기술과 바이러스와의 싸움은 극히 일부분에서 시작하는 단계여서 알려진 바이러스보다 알려지지 않은 바이러스가 훨씬 더 많다. 바이러스는 살아 있는 세포 안에서 기생하고, 크기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여 돌연변이의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새로운 바이러스가 계속 등장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미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라 하더라도 숙주의 면역력이 정상이면 바이러스는 세포 안에서만 기생하여 병적 증상을 유발하지 못하고 반대로 숙주의 면역력이 약해져야 비로소 세포 밖으로 나와 특유의 병적 증상을 일으킨다. 면역력이 약해진 상태에서는 면역세포가 활동성인 바이러스와 싸워서 박멸하는 것도 어렵고, 또 세포 안에 숨어있는 바이러스를 찾아내어 없애기도 쉽지 않다. 이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원인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61248호(등록일자 : 2007.09.18)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56020호(등록일자 : 2017.07.03)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79221호(등록일자 : 2011.10.27) 한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117841호(공개일자 : 2017.10.24) 한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7-0100245 호(공개일자 : 2017.09.0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원인 치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토피 피부염이 다른 바이러스 질환과 동일한 특징을 갖는 점에 착안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이해하고, 이런 관점에서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를 퇴치할 수 있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의이인, 자일리톨, 비타민C, 마누카꿀, 보스웰리아, 몰약 및 프로폴리스를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의하여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은, 의이인, 자일리톨, 비타민C, 보스웰리아, 몰약의 혼합분말에, 마누카꿀과 프로폴리스를 더 혼합하여 환제, 과립제, 또는 산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은, 의이인, 자일리톨, 비타민C, 보스웰리아추출물, 몰약, 프로폴리스추출물의 혼합분말에, 마누카꿀을 더 혼합하여 환제, 과립제, 또는 산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은, 의이인, 자일리톨, 비타민C, 마누카꿀, 보스웰리아, 몰약 및 프로폴리스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물, 또는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제, 과립제, 산제, 또는 액상제로 만들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상술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과, 천궁, 지각(광귤나무열매), 해동피(엄나무껍질), 의이인, 메이플 시럽(Maple Syrup) 및 죽력(천연죽향)을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하는 림프순환촉진제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과 같이, 동일 부위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병변이 유발되는 경우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염증이나 가려움증이 있어서 염증부위나 가려운 부위의 색깔에 약간의 변화가 있지만 쉽게 화농 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증상의 경중을 반복하는 경우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예상하였다. 천연물 복합제로 항바이러스 효능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을 개발하고, 많은 임상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아토피 피부염에 대하여 병증을 완화하거나 치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은, 동일 부위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병변이 유발되는 경우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추측되었고, 임상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아토피 피부염의 바이러스 감염증을 완화하거나 치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은, 의이인, 자일리톨, 비타민C, 마누카꿀, 보스웰리아, 몰약 및 프로폴리스를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i)항균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의이인 5~60중량%(전체중량기준, 이하 같음)와, ii) 역시 항균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자일리톨 10~40중량%와, iii) 항산화물질로 알려진 비타민C 1~20중량%와, iv) 항박테리아 활성 물질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마누카꿀 1~20중량%와, v) 해독소종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보스웰리아 1~20중량%와, vi) 어혈 제거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몰약 1~20중량%와, vii) 벌통에서 추출한 항박테리아제인 프로폴리스 0.1~10중량%를 결합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게 한 것이다.
의이인을 5중량%미만으로 첨가하면 의이인에 의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미미하고, 의이인을 6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의이인에 의한 항바러스 효과 증대는 적은 반면, 다른 재료에 의한 항바이러스 기능을 추가하기 어려워 여러가지 아토피 피부염 관련 변형 바이러스에 대하여 효능을 갖게 하기 어렵다. 자일리톨을 10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자일리톨에 의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미미하고, 자일리톨을 4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자일리톨에 의한 항바러스 효과 증대는 적은 반면, 다른 재료에 의한 항바이러스 기능을 추가하기 어려워 여러가지 아토피 피부염 관련 변형 바이러스에 대하여 효능을 갖게 하기 어렵다. 비타민C를 1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비타민 C에 의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미미하고, 비타민 C를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비타민 C에 의한 항바러스 효과 증대는 적은 반면, 다른 재료에 의한 항바이러스 기능을 추가하기 어려워 여러가지 아토피 피부염 관련 변형 바이러스에 대하여 효능을 갖게 하기 어렵다. 마누카꿀을 1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마누카꿀에 의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미미하고, 마누카꿀을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마누카꿀에 의한 항바러스 효과 증대는 적은 반면, 다른 재료에 의한 항바이러스 기능을 추가하기 어려워 여러가지 아토피 피부염 관련 변형 바이러스에 대하여 효능을 갖게 하기 어렵다. 보스웰리아를 1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보스웰리아에 의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미미하고, 보스웰리아를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보스웰리아에 의한 항바러스 효과 증대는 적은 반면, 다른 재료에 의한 항바이러스 기능을 추가하기 어려워 여러가지 아토피 피부염 관련 변형 바이러스에 대하여 효능을 갖게 하기 어렵다. 몰약을 1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몰약에 의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미미하고, 몰약을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몰약에 의한 항바러스 효과 증대는 적은 반면, 다른 재료에 의한 항바이러스 기능을 추가하기 어려워 여러가지 아토피 피부염 관련 변형 바이러스에 대하여 효능을 갖게 하기 어렵다. 프로폴리스를 0.1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프로폴리스의 항바이러스 효과가 미미하고, 프로폴리스를 1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프로폴리스에 의한 항바러스 효과 증대는 적은 반면, 다른 재료에 의한 항바이러스 기능을 추가하기 어려워 여러가지 아토피 피부염 관련 변형 바이러스에 대하여 효능을 갖게 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은, 의이인, 자일리톨, 비타민C, 보스웰리아, 몰약의 혼합분말에, 마누카꿀과 프로폴리스를 더 혼합하여 환제, 과립제, 또는 산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은, 의이인, 자일리톨, 비타민C, 보스웰리아추출물, 몰약, 프로폴리스추출물의 혼합분말에, 마누카꿀을 더 혼합하여 내복용 환제, 과립제, 또는 산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은, 의이인, 자일리톨, 비타민C, 마누카꿀, 보스웰리아, 몰약 및 프로폴리스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물, 또는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내복용 환제, 과립제, 산제, 또는 액상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은, 의이인, 자일리톨, 비타민C, 마누카꿀, 보스웰리아, 몰약 및 프로폴리스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물, 또는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 패치(팩), 화장품, 비누 또는 샴푸로 만들 수 있다.
의이인은 벼과 식물인 율무의 여문 씨를 말린 것으로, 해려, 옥담, 기실, 또는 공미라고도 한다. 율무는 우리 나라의 각지에서 심는다. 가을에 씨가 익은 다음 전초를 베서 말려 두드려 씨를 털어 씨껍질을 벗긴다.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차다. 비경(脾經), 폐경(肺經)에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열을 내리고 고름을 빼낸다. 약리 실험에서 소염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 작용, 항암 작용, 항지간 작용, 진정 · 진통 작용 등이 밝혀졌다. 한방에서는 부종, 배뇨 장애, 각기(脚氣), 비허(脾虛)에 의한 설사, 폐농양(pulmonary ab-scess), 급성 충수염, 대하증, 만성 위염, 위암, 만성 간염, 신염, 영양 실조증 등에도 쓴다. 근래에 의이인의 항균작용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 있으나(PCT 국제공개번호 WO 2000/13697), 의이인의 항바이러스 작용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전혀 알려진바 없다. 그러나, 만성 위염, 만성 간염, 폐농양 등은 바이러스성 질환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의이인에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효과가 있거나 항바이러스효과를 증진시키는 면역증강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포함시켰다.
자일리톨은 자작나무과(Betulaceae)에 속한 낙엽교목자작나무(학명: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자작나무), 만주자작나무(학명:Betula platyphylla Sukatschev, 만주자작나무) 등의 껍질과 수액으로부터 추출한 5탄당(C5H12O5. 분자량 152.15)이다. 본 발명은 추출물의 당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자일리톨을 사용한다. 한의학에서는 자작나무는 껍질과 수액이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자작나무 껍질은, 한의서에 백화피, 화피, 화수피 등으로 불리며, 해열(解熱), 이수(利水), 해독(解毒), 소종(消腫)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감기로 인한 기관지염, 폐렴과 간염, 황달, 신장염, 방광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감기로 인한 기관지염이나 폐렴, 간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감기나 간염의 경우는 바이러스성 질환일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자작나무 껍질 또는 수액 추출물에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바이러스에 대한 직접적인 항바이러스효과가 있거나 항바이러스효과를 증진시키는 면역증강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포함시켰다.
비타민 C는 항산화 물질로 신체를 활성산소(자유기)로부터 보호하여 암, 동맥경화, 류머티즘 등을 예방해 주며, 면역 체계도 강화시킨다. 다른 유효성분들과 결합할 경우 비타민 C에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바이러스에 대한 직접적인 항바이러스효과가 있거나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효과를 증진시키는 면역증강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포함시켰다.
꿀은 수천년 동안 음식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의료용, 주로 항박테리아제로서 사용되어 왔다. 항박테리아 활성 물질의 주원인은 효소 글루코스 산화제에 의해 꿀 안에 생성된 과산화수소에 기인한다. 꿀은 명확한 항박테리아 효능이 있지만, 꿀의 항박테리아 효능은 실질적으로 꿀의 타입에 따라 변화한다. 꿀에 존재하는 화합물들의 대부분은 카르보하이드레이트, 효소, 방향족 산, 탄화수소, 직쇄 일가 및 이가 염기 산 및 물의 군에 포함된다. 꿀은 주로 당 글루코스(sugar glucose), 프럭토오스(fructose), 수크로오스(sucrose) 및 말토오스(maltose)로 구성되며, 다른 많은 올리고당(oligosaccharide)들을 더 포함한다. 벌에 의해 꿀에 첨가된 다른 물질은, 프로린(proline)이 가장 풍부하고 카탈라아제(catalase)가 미량 함유된 아미노산이다. 이러한 효소 카탈라아제는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한다. 옥탄데디오(octandedioic), 노난디오(nonanedioic), 데칸디오(decanedioic), 및 트랜스-2-데센디오(decenedioic)를 포함하는 이염기산(diacid)들도 꿀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마누카 나무, 즉 렙토스퍼뭄 스코파리움(Leptospermum scoparium)는 뉴질랜드가 원산지이고, 신장이 6-8 m, 직경이 7-10 cm일 때까지 성장할 수 있으며, 이것은 지름이 10-12 mm인 꽃들을 가지며, 이들 꽃은 매우 강한 향기를 가지는 꿀을 생산하는 데 이를 마누카 꿀이라고 한다. 마누카 꿀은 건조한 피부에 보습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손상된 피부 진정과 헬리코박타균 등에 대한 항균 작용 등이 일반 꿀보다 훨씬 뛰어나다.
마누카 꿀은 일반적인 꿀의 항박테리아 활성 물질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다량의 항박테리아 활성 물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추가 활성 물질은 비 과산화물 활성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특유 마누카 요소(UMF:Unique Manuka Factor)로 불리고 있다. 마누카 꿀에 많은 양이 들어있는 이러한 비 과산화물 활성 물질은 몰삼투압농도(osmolarity), pH 및 글루코스 산화제 활성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보다 높은 레벨의 항박테리아 활성을 가진다. 마누카 꿀의 비 과산화물 활성 물질(UMF)을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며, 이러한 추가 활성 물질의 원인이 된 분절을 규명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졌지만, 오랫 동안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마누카 꿀(UMF)의 비 과산화물 성분은 단리되거나 규명되지 못했다. 근래에는, 과산화수소는 꿀의 유의미한 유일한 항박테리아 물질이고, 과산화수소는 꿀 또는 이들의 분절 중의 글루코스 산화제에 의해 발생되며, 프로폴리스-유도된 페놀계와 같은 다른 물질들은 과산화수소에 비해 중요하지 않고, 꿀 중의 과산화수소 레벨은 본질적으로 꿀 중의 식물 유도성 카탈라제의 양에 의해 결정되며, 마누카 꿀에는 식물 유도성 카탈라제가 다른 꿀에 비해 많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결과 또한, 특유 마누카 요소(UMF)의 존재 또는 부존재에 대해 충분한 설명이나 증거가 되지 못하고 있다. 다만, 많은 연구에 의하여, 이러한 마누카 꿀 추가 활성 물질(UMF)이 열 및 광에 안정된 점과,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및 에테르에 용해될 수 있는 점과, 높은 당 농도에서 항균 능력이 더욱 활성화된다는 점 정도가 확인되었다. 마누카 꿀에 대해 밝혀진 이러한 성질들을 기초로, 본 발명자는 마누카 꿀의 직접적인 항바이러스 효과나 항바이러스 효과를 증진시키는 면역증강효과를 밝혀내고,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포함시켰다.
보스웰리아(유향)은, 감람과(橄欖科)(Burseraceae)에 속한 열대식물인 유향수(乳香樹)의 수간(樹幹) 및 수피(樹皮)에서 삼출(渗出)하는 수지를 응결건조한 것이다. 수지 60∼70%, 수교(樹膠) 25∼30%, 정유(精油) 등을 함유하였다. 유향은, 생기지양(生肌止痒), 해독소종(解毒消腫)(병원성미생물에 의한 염증을 없애는 작용),활혈지통(活血止痛)의 효능이 있으며, 본초강목(本草綱目)의 <별록(別錄))>에는 풍수(風水)로 인한 부스럼을 치료하고 두드러기와 가려움증을 치료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밖에 乳香(유향)은 한의학에서 이롱(耳聾), 중풍(中風)으로 인하여 이를 악물고 말을 하지 못하는 증상, 여성의 출혈증상을 치료하고, 대장의 설사와 대변출혈 및 모든 부스럼을 치료하고 주독(酒毒)을 풀며 풍냉(風冷)의 사기를 제거하고, 하기(下氣) 시키고 정(精)을 북돋운다.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하고 신허(腎虛)로 인한 요통과 복통을 다스리며 나쁜 사기(邪氣)의 침범으로 복통이 심하고 전염되는 증상을 치료한다. 끓여서 고(膏)를 만들어 사용하면 통증을 그치게 하고 새살을 돋게 하고, 불면(不眠)을 치료하고, 신(腎)을 보(補)하고 모든 경맥(經脈)의 통증을 멎게 하고, 모든 종기와 부스럼의 독(毒)을 제거하여 병변의 내부를 씻어내고 심(心)을 없애고, 활혈(活血) 작용으로 통증을 멎게 하고 근육을 이완시킨다. 본 발명자는 잘 낫지 않는 부스럼과 두드러기와 가려움증 등을 바이러스성 질환이라고 해석하기 때문에, 보스웰리아에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바이러스에 대한 직접적인 항바이러스효과가 있거나 항바이러스효과를 증진시키는 면역증강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하고, 보스웰리아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포함시켰다.
몰약은, 감람과(Burseraceae)에 소한 소교목(小喬木)인 몰약(미르라)의 수간(樹幹), 피부(皮部)의 상구(傷口)로부터 삼출(渗出)하는 황즙(黃汁)의 유상수지(乳狀樹脂)가 건조되어 적갈색의 괴상(塊狀)을 이룬 것이다. 수지(Myrrhin)25∼40%(α,β,γ-comphoric acid), 수교 65%, 회분, 정유2.5%∼8%(cuminaldehyde.eugenol) 등을 함유하였다. 몰약은, 소종생기(消腫生肌), 활혈거어지통(活血祛瘀止痛), 즉 혈을 잘 돌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멈추며 새살이 잘 돋아나게 한다. 어혈로 배가 아픈 데, 생리통, 월경이 멎은 것, 외상으로 멍들고 아픈 것을 치유한다. 기타 부스럼, 점막의 염증 등에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수렴작용, 소염작용, 항진균작용, 진통작용의 약리작용을 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의 개보본초(開寶本草)에 의하면, 瘀血(어혈)을 제거하고 통증을 멎게 하고, 창칼이나 둔기에 의한 외상을 치료하고 모든 부스럼이나 치루(痔漏), 갑작스러운 하혈(下血)을 치료하고, 눈에 군살이 돋아 시야를 가리고 어지러우며 통증이 있고 피부가 붓는 증상을 치료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한의학에서는, 징가(배 속에 덩어리가 생기는 병)와 어혈을 제거하고 종통(腫痛)을 다스리고, 심담(心膽)이 허약한 경우와 간혈(肝血)이 부족한 것을 치료하였다. 본 발명자는 부스럼, 점막의 염증 등을 바이러스성 질환이라고 해석하기 때문에, 몰약에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바이러스에 대한 직접적인 항바이러스효과가 있거나 항바이러스효과를 증진시키는 면역증강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하고, 보몰약을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포함시켰다.
프로폴리스는, 나무의 검 삼출물(gum exudate)로부터 벌에 의해 수집된 수지성 재료로 벌통에서 항박테리아제로 사용된다. 지금까지, 고초균, 포도상구균, 백선균, 대장균, 트리코모나스균, 살모넬라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꿀벌은 벌집의 틈이 난 곳에 프로폴리스를 발라 병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 말벌이나 쥐와 같은 적의 침입을 막는다. 특히 여왕벌이 산란할 때에는 일벌이 산란장소를 소독할 때 사용해 청결하게 한다. 프로폴리스(propolis)는 치환된 벤조산, 시나미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다. 플라보노이드가 프로폴리스 중에서 항박테리아 기능을 하는 주요 물질이다. 항박테리아 활성 물질에 대한 원인이 된 것으로 규명된 플라보노이드는 갈랑긴(galangin), 피노셈브린(pinocembrin), 카페산 및 페룰산을 포함한다. 프로폴리스의 주요한 효능으로는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진통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등이 있다. 항염 효과를 내는 것은 사람의 몸에 염증을 일으키는 프로스타그란딘을 만들어내는 효소를 절반까지 줄이기 때문이다. 또 주요 성분인 플라보노이드가 활성산소를 없애기 때문에 항산화 효과가 있다.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케르세틴 등이 있어 암세포의 유전자가 복제되기 전에 차단하는 일도 한다. 본 발명자는 프로폴리스가 바이러스성 염증에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고, 프로폴리스에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바이러스에 대한 직접적인 항바이러스효과가 있거나 항바이러스효과를 증진시키는 면역증강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하여, 프로폴리스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포함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의 구성 성분 중 의이인, 자일리톨, 마누카꿀, 보스웰리아, 몰약 및 프로폴리스는 자연의 생명체에서 유래한 것들이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생명체가 수많은 종류의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수십억 년 동안 끊임없이 진화시켜온 면역력의 결정체이고, 광범위한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 천연 항바이러스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을 인체에 적용하면 다양한 종류의 바이러스를 직접 사멸할 뿐만 아니라 우리 몸의 면역기능을 직간접적으로 보강하여 이미 감염된 바이러스를 퇴치하도록 돕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 재료들은, 항바이러스 효과가 예측되는 천연물 재료 중에서 특히 식품 재료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안전하고 활용하기 용이한 재료만을 선택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품, 기능성 식품 또는 약학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비누 또는 샴푸로 제조될 수도 있다.
바이러스 질환의 특징 중 하나는, 우리 몸에서 특히 바이러스 감염이 쉬운 부위가 있고, 바이러스 질환은 주로 여기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피부처럼 접촉이 쉬운 부위는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접촉에 의해 감염이 되므로 접촉이 쉬운 피부에 많이 감염되는 것이다. 피부는 얼굴, 몸, 손발, 두피, 귓속 등 어디에나 가능하며 바이러스는 건강한 피부로 직접 침투하기 어려워서 모낭충의 감염, 염증, 피부손상이 있는 부위를 통해 감염되기 쉽다. 우리 몸이 손상되었을 때, 손상된 부위에 바이러스가 감염되기 쉽다. 외부든 내부든 손상된 부위는 면역기능이 떨어지기 쉬운 환경이 되어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다. 이전에 다친 부위가 오랫동안 깨끗하게 낫지 않고 피곤하거나 힘들어지면 반복적으로 통증이나 증상이 유발되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피부에 나타나는 바이러스성 염증은, 기본적으로 수포가 생기거나 붉은 염증성 경향이 있다. 피부에 바이러스 감염증이 생긴 경우, 가벼운 정도에서는 평소 정상인데 자극을 받거나 면역력이 떨어지면 해당부위가 붉게 염증을 일으키며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회복된다. 예를 들어, 민감성피부, 묘기증, 두드러기, 한냉성담마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피부에 바이러스 감염증이 생긴 경우, 중 정도의 경우에는 평소 가려운 증상은 없지만 충혈이 되어있고 피부가 붉은 편이다. 또 심해지면 가렵거나 부종이 생기고 진물이 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안면홍조, 경증의 아토피 피부염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피부에 바이러스 감염증이 생긴 경우, 심할 경우 피부가 짙은 색으로 변색되고 염증부위가 비후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중증의 아토피 피부염, 건선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모든 경우 수포가 생기거나 환부에서 진물이 나오고 또 소양증이나 통증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화농성 염증으로 진행되는 경우는 드물다.
바이러스 질환의 다른 특징은, 증상이 깨끗하게 낫지 않고 건강상태에 따라 반복 된다는 점이다. 먼저 세포차원에서만 생각하면 일단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는 병든 세포이므로 여러 가지의 대사활동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기가 힘들 것이다. 따라서 이미 감염된 세포는 세포 안에는 병적 대사물이 쌓이고, 세포 자체가 약해지고, 세포의 생존주기도 줄어들고,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추측한다. 하지만 제대로 된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이미 감염된 세포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지속적인 감염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또 이렇게 병약한 세포는 그 자체로도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증상을 일으킬 수도 있고, 때로는 질병을 유발하거나 몸을 병약하게 하고, 자체적으로 유전자 변이를 일으켜 암세포로 되거나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전신적인 관점에서 생각하면 바이러스의 활동성은 면역력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즉, 면역력이 정상이면 세포 안에서만 생존하여 특별한 병변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다가 면역력이 약해지면 주변세포를 전염시키고 고유의 병변을 일으킨다. 이렇듯 면역력에 따라 두 가지 경우가 증상이 깨끗이 낫지 않고 반복되고 지속 된다. 아토피 피부염도 이러한 바이러스 질환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바이러스 질환의 또 다른 특징은, 만성질환인 경우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를 찾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바이러스도 마찬가지다. 세균성 질환은 원인균을 찾기가 쉽다. 하지만 병원성이 약하면서 만성질환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질환인 경우에는 평소에는 세포 안에 숨어있어 염증을 일으키지 않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미약하게 염증을 일으키거나 세포의 반응성을 민감하게 한다. 따라서 같은 부위에서 특정질환을 일으키는 경우에 발병 부위에서 항상 발견되어 원인 바이러스로 의심되는 경우라도 발병의 경험이 전혀 없는 정상인인 경우에도 비슷한 부위에서 같은 종류의 바이러스가 수시로 발견되어 원인 바이러스로 결론짓지 못하고 병원성이 없는 바이러스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전까지 아토피 피부염을 바이러스 질환으로 분류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아토피 피부염이 위와 같은 특징을 갖기 때문에, 아토피 피부염을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추측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을 적용하여, 증상이 개선되거나 치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바이러스 질환은, 바이러스를 박멸할 경우 명현 반응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바이러스 질환으로 확인되거나 의심되는 질환에 유효한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면 바이러스가 사멸된다. 이때 바이러스가 숨어있던 병든 세포까지 함께 터지면서 세포 안에 쌓여있던 염증물질이나 독성물질들이 주변에 퍼지고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염증이 심해져서 증상이 악화 되는 명현 반응이 자주 나타난다. 따라서, 명현 현상을 통해 해당 질환이 바이러스 질환임을 확인할 수도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을 복용하면 처음 1-2주 안에 명현 반응이 자주 나타난다. 명현 반응은 기존 환부의 피부증상이 심해져서 진물이 나거나 여러 군데에서 새로운 환부가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한 가지 증상을 목표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을 복용하였는데 목표한 증상과 연관된 명현 반응 이외에 여러 부위에서 명현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가 여러 부위에 감염되어 있다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의 복용으로 동시에 사멸되면서 각각 명현 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종합해보면 바이러스질환의 치료과정의 특성상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을 복용하면 다양한 명현 반응이 자주 나타난다. 또 복용 첫 달 1-2주 안에 가장 많이 나타나고 이후 대부분 2-3주 안에 저절로 없어진다. 명현 반응의 발생과 함께 우여곡절을 겪은 후에 병증의 개선이나 치유가 이루어지면, 이를 통해 해당 병증이 바이러스 질환이라고 사후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아토피 피부염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을 복용했을 때 전형적인 명현 반응이 나타나며 증세가 나아가는 과정을 관찰하면서 알레르기성 아토피 피부염도 면역 과잉반응이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정상적인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감염질환이라고 추측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과 함께, 천궁, 지각(광귤나무열매), 해동피(엄나무껍질), 의이인(율무), 메이플 시럽(Maple Syrup) 및 죽력(천연죽향)을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하는 림프순환촉진제를 더 개발하여 별도로 특허출원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은 상기 림프순환촉진제와 병용투여할 경우 상승효과를 가져 온다. 상기 림프순환촉진제는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흡수를 돕고 필요한 부위로의 이동을 원활히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의 복용으로 바이러스박멸 시 주변으로 배출되는 노폐물과 독성물질들을 빠르게 제거하여 명현 반응을 줄여주며,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복용으로 손실되는 감염세포를 빠르게 정리하고 정상세포의 복원을 돕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을 없애서 림프순환의 방해요소를 제거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렇듯 상기 림프순환촉진제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의 결합은 서로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상승 효과를 나타내고 명현 반응을 줄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의한 바이러스 질환의 바람직한 치유 과정을 설명한다. 반드시 아래와 같은 과정을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치유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의 과정들은 순차적이거나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의한 바이러스 질환의 치유 과정은 명현 반응의 감소를 위한 1차 해독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독과정은 주로 조직 내 쌓여있는 독성물질이나 노폐물 등을 상기 림프순환촉진제 의하여 혈액순환 과정에 포함시켜 간이나 신장에서 배출되도록 돕는 과정이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주위에 쌓여있는 노폐물이나 독성 물질들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의 복용으로 바이러스 감염세포들이 죽으면서 그 안에 쌓여있던 독성물질과 합쳐지면서 심하게 명현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해독과정을 거치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 심한 부위에 주로 나타나는 명현 반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복용 전에 먼저 2-3개월간 상기 림프순환촉진제를 복용하여 염증부위에 쌓여 있는 노폐물이나 독성 물질들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의한 바이러스 질환의 치유 과정은 직접적인 바이러스 퇴치과정을 포함한다. 아토피 피부염처럼 만성적인 바이러스 질환인 경우 직접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을 사용하는 기간은 대부분 3-4개월이다. 명현 반응은 대부분 주로 복용 1-2주 안에 나타나며 첫 달이 지나면 대부분 줄어들거나 없어진다. 명현 반응은 다양하여 예측하기 힘들며 평소 심한 부위가 더욱 심해지거나 새로운 부위에 병변이 생길 수도 있다. 또 기존의 병변과 관계없이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쉬운, 외부로 노출된 점막부위인 눈, 코, 입, 위, 소장, 대장, 여성생식기 등의 부위에서 명현 반응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위점막에 바이러스가 있을 때는 소화불량이나 속쓰림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3)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의한 바이러스 질환의 치유 과정은 세포환경 개선을 위한 2차 해독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해독과정이 항바이러스제의 명현 반응을 줄이기 위한 과정이라면 2차 해독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의 복용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들이 바이러스와 함께 사멸되면서 그 안에 있던 노폐물과 독성물질들이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상기 림프순환촉진제에 의하여 빠르게 개선하고 정상적인 세포가 재생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과정이다.
<실시 예>
1)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임상 실험 및 약효 확인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환을 다음과 같은 양으로 수차례 제조하였다.
의이인분말 3,200g, 자일리톨분말 2,700g, 비타민C분말 1,200g, 보스웰리아추출물분말 500g, 몰약분말 1,000g, 프로폴리스추출물분말 200g의 혼합분말을 만들고, 여기에 마누카꿀 1,200g을 더 혼합하여 직경 3-5mm의 작은 환으로 약 10,000g을 만들고 이들을 4.8g 단위로 포장하였다. 보스웰리아추출물과 프로폴리스추출물을 얻기 위해, 보스웰리아 및 프로폴리스을 각각 50% 에탄올과 1:30(보스웰리아 또는 프로폴리스 1 : 50% 에탄올 30)의 중량 비율로 섞어서 압력추출기에서 100~120℃ 온도로 3~12시간 동안 추출하고, 이후 에탄올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적정 시간 동안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찌꺼기를 제거한 후 건조시켜 분말화하였다.
2) 바이러스 질환에 대한 임상 실험 및 약효 확인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패치를 다음과 같은 양으로 수차례 제조하였다.
의이인분말 320g, 마누카꿀 120g, 자일리톨분말 270g, 비타민C분말 120g, 보스웰리아 50g, 몰약분말 100g, 프로폴리스 20g의 혼합물을 50% 에탄올과 1:30(혼합물 1 : 50% 에탄올 30)의 중량 비율로 섞어서 압력추출기에서 100~120℃ 온도로 3~12시간 동안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포함한 패치를 만들었다. 패치는 일반적인 화장품 팩과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었다.
3)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과 순차적으로 또는 병행하여 임상 시험을 하기 위하여 림프순환촉진제 환을 다음과 같은 양으로 수차례 제조하였다.
천궁분말 2,700g, 광귤나무열매(지각)분말 1,400g, 엄나무껍질(해동피)분말 1,100g, 율무분말 800g의 혼합분말을 만들고, 여기에 메이플시럽 2,600g과 죽력(천연죽향) 1,400g을 더 혼합하여 직경 3-5mm의 작은 환으로 약 10,000g을 만들고 이들을 4.8g 단위로 포장하였다.
4)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과 순차적으로 또는 병행하여 임상 시험을 하기 위하여 림프순환촉진제 패치를 다음과 같은 양으로 수차례 제조하였다.
천궁분말 270g, 메이플시럽 260g, 광귤나무열매(지각)분말 140g, 죽력(천연죽향) 140g, 엄나무껍질(해동피)분말 110g, 율무분말 80g의 혼합물을 에탄올과 1:4(혼합물 1 : 에탄올 4)의 중량 비율로 섞어서 압력추출기에서 100~120℃ 온도로 3~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만들고, 이 추출물을 포함한 패치를 만들었다. 패치는 일반적인 화장품 팩과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었다.
상기 림프순환촉진제는 본 발명자에 의하여 개발된 것으로, 림프 순환을 촉진하여 병소에 쌓인 노폐물과 독성물질을 빠르게 제거하여 증상을 줄이고 세포가 필요로 하는 영양분, 산소, 수분 등의 공급을 원활히 하여 세포가 원하는 최적의 환경을 만드는 것을 돕는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의한 증상의 개선도 빠르게 진행되고,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의 복용으로 생기는 명현 반응도 줄일 뿐만 아니라, 손상된 세포의 회복을 촉진한다.
아래 임상 예들은, 본 발명자가 주변의 소개 등을 통하여 선별한 환자들 중, 본 발명자와 신뢰 관계가 형성된 특정한 환자들에 대하여만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의 원재료, 조성, 성분 등은 일체 밝히지 않은 상태로, 본 발명자가 개발 중에 있는 항바이러스제라는 점과 효능만을 설명하고 본인의 동의를 얻어 그 효능을 확인한 임상 예들이다. 이 과정에서, 환자가 직접 복용하는 분량 이외의 분량은 일체 제공 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이 제3자에게 유출되거나 전달되지 못하도록 철저히 관리하면서 임상을 진행하였다.
<임상 예1> 아토피 피부염(36세, 남자)
어릴 때부터 아토피가 있었지만 크게 증상이 없다가 3년 전부터 이마와 손목, 뒤목 등에서 증상이 나타나고 1년 반전부터 갑자기 심해지기 시작하여 현재는 온 몸이 전체적으로 심한 증상의 환자였다. 병원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진단하였다. 피부가 심하게 가렵고 건조해서 당기고 심한 곳은 갈라져서 피가 나고 아픈 증상이 심해서 잠을 자지 못할 정도여서 이틀에 한 번씩 욕조에 따뜻한 물을 받고 또 뜨거운 물을 조금씩 나오게 하여 식지 않도록 하고 그 안에 들어가서 몇 시간씩 잠을 잤다고 한다. 아토피가 심해서 다니던 직장도 이미 퇴직한 상태이다. 처음 2개월간 본 발명에 따른 광범위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1회1포 상기 림프순환촉진제를 1회 2포씩을 t.i.d로 복용하게 한 후, 추가적으로 7개월간 1회 각1포씩 t.i.d로 복용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과 상기 림프순환촉진제로 피부 도포용 패치를 만들어 매일 1시간 이상씩 아토피 피부에 부착하도록 하였다. 최초 복용 후 7-14일 사이에 증상이 심해진 듯 했지만, 중단하지 않고 치료를 계속하여 9개월 후 아토피 증상이 완전히 사라졌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염증 형태가 주로 피부에 붉은 염증은 있지만 화농은 잘 안 되고 깨끗하게 낫지 않고 반복되는 증상과 본 발명 항바이러스제의 복용으로 나타나는 명현 반응이 동일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의 복용시 다른 바이러스 질환에서처럼 명현 반응이 일어나고, 항바이러스제인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의 복용으로 증상이 개선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바이러스질환의 특징과 일치하는 질환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임상 예2> 아토피 피부염(48세, 남자)
얼굴에 심한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환자였다. 피부과를 오랫동안 다니면서 항히스타민제,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등을 복용했지만, 크게 완화되지 않았다. 얼굴이 빨갛게 부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를 1회 2포씩 t.i.d로 7일간 복용하게 하였다. 7일후, 빨갛게 부어 있는 피부가 진정이 되고 얼굴색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에 의한 위 효과를 확인한 후, 아토피 피부염 원인 바이러스의 완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과 상기 림프순환촉진제를 1회 1포씩 t.i.d로 6개월간 복용하게 하였고, 처음 3개월간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과 상기 림프순환촉진제로 피부 도포용 패치를 만들어 적어도 2일에 1번씩 피부에 1시간 동안 도포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적용을 시작한 후 얼굴이 빨갛게 부어 오르는 아토피 피부염 증상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았고, 6개월 복용 후 아토피 피부염의 다른 증상도 사라지게 되었다.
<임상 예3> 아토피 피부염(17세, 여자)
17살 여고생으로, 무릎 뒤와 허벅지가 특히 심한 아토피 피부염 환자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와 상기 림프순환촉진제를 1회 2포씩 t.i.d로 14일간 복용하게 하였다. 예상대로 명현 반응이 나타났다가 점차 완화되었다. 이후,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바이러스를 완치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와 상기 림프순환촉진제를 1회 1포씩 b.i.d로 6개월간 더 복용하게 하였다. 6개월 복용 후 무릎 뒤와 허벅지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에서도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아토피 피부염의 근본적인 원인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고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개선되는 점에서 볼 때, 앞으로 의학계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하여 새롭게 인식하고 대응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로서,
    의이인, 자일리톨, 비타민C, 마누카꿀, 보스웰리아, 몰약 및 프로폴리스를 분말, 액상 또는 추출물 형태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은, 의이인, 자일리톨, 비타민C, 보스웰리아추출물, 몰약, 프로폴리스추출물의 혼합분말에, 마누카꿀을 더 혼합하여 환제, 과립제, 또는 산제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은, 의이인, 자일리톨, 비타민C, 마누카꿀, 보스웰리아, 몰약 및 프로폴리스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물, 또는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KR1020170139263A 2017-10-25 2017-10-25 아토피 피부염 개선 식품조성물 KR20190046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263A KR20190046096A (ko) 2017-10-25 2017-10-25 아토피 피부염 개선 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263A KR20190046096A (ko) 2017-10-25 2017-10-25 아토피 피부염 개선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96A true KR20190046096A (ko) 2019-05-07

Family

ID=6665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263A KR20190046096A (ko) 2017-10-25 2017-10-25 아토피 피부염 개선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609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248B1 (ko) 2006-10-12 2007-10-04 주식회사 유니젠 대나무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피부염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079221B1 (ko) 2011-03-22 2011-11-03 주식회사 머쉬메드 노랑다발 동충하초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6020B1 (ko) 2016-05-18 2017-07-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오리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피부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0245A (ko) 2016-02-25 2017-09-04 영림영농조합법인 제주편백우드 편백나무 및 황칠나무 수증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7841A (ko) 2016-04-14 2017-10-24 이병성 돌분말과 숯분말로부터 얻은 정제수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248B1 (ko) 2006-10-12 2007-10-04 주식회사 유니젠 대나무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피부염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079221B1 (ko) 2011-03-22 2011-11-03 주식회사 머쉬메드 노랑다발 동충하초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0245A (ko) 2016-02-25 2017-09-04 영림영농조합법인 제주편백우드 편백나무 및 황칠나무 수증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7841A (ko) 2016-04-14 2017-10-24 이병성 돌분말과 숯분말로부터 얻은 정제수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6020B1 (ko) 2016-05-18 2017-07-1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오리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피부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065B1 (ko)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Krishna et al. Review on nutritional, medicin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Papaya (Carica papaya Linn.)
US10864240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skin wounds and a method of treating skin wounds using thereof
Abd Elgadir et al. Carica papaya as a source of natural medicine and its utilization in selected pharmacetical applications
Priya et al. Phyllanthus emblica Linn.(Amla)—a natural gift to humans: an overview
CN105030621A (zh) 一种保湿祛痘爽肤水及其制备方法
KR20190042151A (ko) 천연물 항진균 식품조성물
KR102057790B1 (ko) 항바이러스제
Saad Integrating traditional Greco‐Arab and Islamic diet and herbal medicines in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KR100682979B1 (ko) 항균 감염증 및 항염증 작용에 대한 예방 치료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무좀치료제
KR20190044823A (ko) 만성 근골격계 질환 개선 조성물
CN110652552A (zh) 一种伤口愈合配方及制备方法
KR20190045887A (ko) 만성 비염 개선 식품조성물
KR20100088478A (ko)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45050A (ko) 감기 개선 식품조성물
KR20190046096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 식품조성물
KR20190042484A (ko) 바이러스 질환 개선을 위한 식품조성물
KR20190044734A (ko) 고혈압 개선 식품조성물
CN106728069B (zh) 一种治疗烫烧伤的祛腐生肌膏
CN106344453A (zh) 一种新型祛痘膏及其制备方法
KR20190046241A (ko) 건선 개선 식품조성물
KR20190101318A (ko) 천연물 항진균 조성물
KR20190045027A (ko) 만성 방광염 개선 식품조성물
Khanpara et al. A complete review on traditional Healers-Punarnava
KR20190044770A (ko) 대상포진 개선 식품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