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000A - A device for dispensing ink - Google Patents

A device for dispensing 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000A
KR20190046000A KR1020170139041A KR20170139041A KR20190046000A KR 20190046000 A KR20190046000 A KR 20190046000A KR 1020170139041 A KR1020170139041 A KR 1020170139041A KR 20170139041 A KR20170139041 A KR 20170139041A KR 20190046000 A KR20190046000 A KR 20190046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discharge tube
tube
discharging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근노
Original Assignee
(주) 나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인테크 filed Critical (주) 나인테크
Priority to KR1020170139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6000A/en
Publication of KR20190046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0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05Ink viscosity control mean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discharging device suitable for micro-pattern printing which can prevent clogging of a nozzle and the like while enabling micro-liquid drop j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k discharging device comprises: an ink discharging tube having a micro-aperture; a discharging hole part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ink discharging tube, and discharging the ink in the ink discharging tube downward while being driven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k discharging tube; a hole driving part coupled and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the discharging hole part, and driving the discharging hole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ink supply part penetrated and installed to a middle of the ink discharging tube, and supplying ink into the ink discharging tube.

Description

잉크 토출장치{A DEVICE FOR DISPENSING INK}A DEVICE FOR DISPENSING INK

본 발명은 잉크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 액적 분사가 가능하면서도 노즐의 막힘 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어서 미세 패턴 인쇄에 적합한 잉크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ej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k ejection apparatus that is capable of fine droplet ejection but can prevent clogging of nozzles and is suitable for fine pattern printing.

일반적으로, 유체를 액적의 형태로 분사시키는 잉크 토출장치는 과거에는 주로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인쇄회로기판 제조 공정, DNA칩 제조 공정 등과 같은 첨단 산업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특히, 3D 프린터의 특허가 만료됨에 따라 3D 프린터 분야에서의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general, an ink ejecting apparatus for ejecting a fluid in the form of droplets has been applied to inkjet printers in the past, but has been widely applied to high-tech industries such as a display manufacturing process, a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process, and a DNA chip manufacturing process . Especially, as 3D printer patent expires, application in 3D printer field is expected.

잉크 토출장치는 유체 상태의 잉크로부터 액적을 토출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액적을 토출시키는 방식에 따라 크게 가열 방식(Thermal type)과 가압 방식(Piezoelectric type)으로 나뉜다. 가열 방식은 노즐을 가열하여 노즐 안의 잉크를 순간적으로 끓게 한 후, 수증기압을 이용하여 잉크를 밀어내는 방식이다. 가열 방식은 잉크의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으나,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ink ejecting apparatus is an apparatus for ejecting liquid droplets from ink in a fluid state. The ink ejecting apparatus is largely divided into a thermal type and a piezoelectric type according to a method of ejecting droplets. In the heating method, the nozzle is heated to instantaneously boil the ink in the nozzle, and then the ink is pushed out by using the water vapor pressure. The heating method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affected by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ink, but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inexpensive.

가압 방식은 노즐 뒷면에 압전소자(피에조 소자)가 부착되어 있다. 가압 방식은 압전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면 압전소자의 플레이트가 휘면서 잉크를 밀어내는 방식이다. 가압 방식은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나, 전압, 주파수, 속도 조절 등이 용이하고, 잉크의 화학적 성질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surizing system, a piezoelectric element (piezo element)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nozzle. In a pressurizing metho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a piezoelectric element, the plat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bent to push out the ink. Although the pressurizing method has a disadvantage of high cost, it is easy to control the voltage, frequency and speed, and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not greatly influenced by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ink.

가열 또는 가압 방식을 이용하는 잉크 토출장치는 점도 50 cP 이상의 잉크로부터 액적을 분리하기 어렵고, 직경20 um 이하의 액적을 토출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It is known that the ink ejection apparatus using the heating or pressurizing method is difficult to separate liquid droplets from inks having a viscosity of 50 cP or more and difficult to eject liquid droplets having a diameter of 20 μm or less.

이러한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압전소자 등의 물리적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액면을 제어하고,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액적을 토출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방식의 잉크분사장치의 일례로서 '하이브리드 방식의 잉크 젯 프린트 헤드(한국 공개 제2010-0128953호, 2010.12.08 공개)', '하이브리드형 잉크 토출 장치(한국 공개 제2014-0059013호, 2014.05.15 공개)' 등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conventional method, a hybrid method of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by using a physical control device such as a piezoelectric element and discharging droplets by using the electrostatic force has been proposed. Hybrid type ink jet printing apparatuses (Korean Published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No. 2010-0128953, published on December 12, 2010), hybrid ink type ejecting apparatuses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59013, 15 disclosed) " and the like are disclosed.

한국 공개 제2010-0128953호는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는 전극과 압전 액츄에이터에 의해 메니스커스가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하여, 종래의 ESD방식의 잉크젯 프린트 헤드보다 요구되는 에너지를 저감시키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잉크젯 프린트 헤드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0-0128953 discloses a hybrid type inkjet print head capable of easily generating a meniscus by an electrode and a piezoelectric actuator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reducing the energy required by a conventional ESD type inkjet printhead Head.

한국 공개 제2014-0059013호는 노즐의 상부를 개방하여 물리구동부를 배치하고, 상하측에 마련되는 전극으로 물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전기장을 형성함으로써 미세직경의 잉크를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잉크 토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0059013 discloses a hybrid type ink jet recording head capable of easily discharging ink of a small diameter by disposing a physical drive portion by opening an upper portion of a nozzle, driving the physical drive portion with electrodes provided at upper and lower sides, Discloses an ink e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세 액적 분사가 가능하면서도 노즐의 막힘 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어서 미세 패턴 인쇄에 적합한 잉크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k ejection apparatus suitable for fine pattern printing because it can prevent droplet ejection and clogging of nozzles.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 토출장치는, 미세 구경을 가지는 잉크 토출 튜브; 상기 잉크 토출 튜브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잉크 토출 튜브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상기 잉크 토출 튜브 내의 잉크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토출 공이부; 상기 토출 공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토출 공이부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공이 구동부; 상기 잉크 토출 튜브의 중간에 연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잉크 토출 튜브 내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k ejection apparatus including: an ink ejection tube having a micro-aperture; A discharge hole inserted in the ink discharge tube for discharging the ink in the ink discharge tube downward while being driven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k discharge tube; A driving part for the discharge hole to be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part, the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discharge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ink supply portion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ink discharge tube and supplying ink into the ink discharge tub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잉크 토출장치에는, 상기 잉크 토출 튜브 중 상기 잉크 공급부 연통 지점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 공이부와 상기 잉크 토출 튜브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 유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irtightness maintaining member provided above the ink supply portion communication point of the ink ejection tube and maintaining airtightness between the ejection hole portion and the ink ejection tube .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잉크 공급부에는, 공급되는 잉크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측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k supply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viscos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viscosity of ink to be suppl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 토출장치에는, 상기 점도 측정부에서 제공되는 잉크의 점도를 바탕으로 상기 토출 공이부에 가해지는 힘을 변동시키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hanging a force applied to the ejection hole on the basis of the viscosity of the ink provided by the viscosity measuring unit.

또한 상기 잉크 공급부에는, 세정액을 상기 잉크 토출 튜브로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k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liquid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ink discharge tube.

본 발명의 잉크 토출 장치에 따르면 잉크 토출 튜브의 구경을 최소화하면서도 잉크 토출 튜브 내의 잉크를 토출 공이부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배출하여 미세 액적 분사가 가능하면서도 노즐의 막힘 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어서 미세 패턴 인쇄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ink ej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k in the ink ejection tube can be physically ejected using the ejection hole portion while minimizing the diameter of the ink ejection tube, thereby enabling fine droplet ejection while preventing clogging of the nozzles. There is a good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장치의 세정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of the ink ej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leaning process of the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토출 튜브(110), 토출 공이부(120), 공이 구동부(130) 및 잉크 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는 미세 구경을 가지는 튜브 형태를 가지면서 잉크(1)를 토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잉크 토출 튜브(110)는 미세한 액적(1a) 형태로 잉크를 토출하기 위하여 1 ~ 2 ㎛ 정도의 구경을 가지는 것이, 1㎛ 이하의 액적을 토출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1, the ink ej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k ejecting tube 110, a discharging hole 120, a ball driving part 130, and an ink supplying part 140 . First, the ink discharge tube 110 is a component that discharges the ink 1 while having a tube shape having a micro-aperture. The ink discharge tube 110 preferably has a diameter of about 1 to 2 mu m so as to discharge droplets of 1 mu m or less in order to discharge ink in the form of fine droplets 1a.

이러한 미세 구조를 가지는 잉크 토출 튜브(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0)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기립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에서 토출되는 잉크 액적(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자유 낙하한다. As shown in FIG. 1, the ink discharge tube 110 having such a fine structure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50 and is installed standing up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ink droplet 1a ejected from the ink ejection tube 110 falls freely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의 외면에는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를 통과하는 잉크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미세한 온도 하강에 의해서도 잉크 토출 튜브(110) 내에서 경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 내부를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Further, a heating unit (not shown) for heating the inside of the ink discharge tube 110 may be furthe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k discharge tube 110. If the viscosity of the ink passing through the ink discharge tube 110 is high, it may cause problems such as hardening in the ink discharge tube 110 due to a slight temperature drop.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110)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다음으로 상기 토출 공이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 내의 잉크를 하부로 밀어서 배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토출 공이부(120)는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 내부에 주입되는 잉크를 하측으로 물리적 가압을 통하여 일정량이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1, the discharging hole 120 is inserted into the ink discharging tube 110 and is installed in the ink discharging tube 110 while being driven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k discharging tube 110 110 by pushing down the ink. That is, the discharge hole 120 allows the ink injected into the ink discharge tube 110 to be discharged downward by a certain amount through physical pressure.

따라서 상기 토출 공이부(120)는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한다. 특히, 상기 토출 공이부(120)의 하단은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 중 잉크 주입공(112) 형성 위치를 지나서 왕복하도록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하우징(15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공이 구동부(130)와 결합된다. Accordingly, the discharge hole 120 has a size enough to be inserted into the ink discharge tube 110, and is slidably drive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k discharge tube 110. Particularly,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hole 120 is installed to reciprocate past the position of the ink injection hole 112 in the ink discharge tube 110, and the upp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50, (130).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 공이부(120)의 표면은 잉크가 묻지 않는 안티 잉크막(도면에 미도시)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120 is coated with an anti-ink film (not shown).

또한 상기 토출 공이부(120)의 상부 중 상기 하우징(150)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 일부는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휨 가능부(12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휨 가능부(122)에 의하여 상기 토출 공이부(120)가 정확하게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 기립 방향으로 구동되지 않아도 토출 공이부(120)가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hole 12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5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endable portion 122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nding easily. The discharge hole 120 is not broken even if the discharge hole 120 is not accurately drive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k discharge tube 110 is extended by the bendable portion 122.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장치(100)에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 유지부재(1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밀 유지부재(124)는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 중 상기 잉크 주입공(112)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 공이부(120)와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기밀 유지부재(124)에 의하여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 내부에 주입된 잉크가 상부로 이동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Meanwhile, the ink ej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hermetic holding member 124, as shown in Figs. The airtightness maintaining member 124 is disposed above the ink injection hole 112 of the ink discharge tube 110 and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discharge port 120 and the ink discharge tube 110 Element. Accordingly, the ink injected into the ink discharge tube 110 by the airtightness maintaining member 124 is not moved upward.

다음으로 상기 공이 구동부(13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 공이부(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토출 공이부(120)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이 구동부(130)는 상기 토출 공이부(120)를 단순하게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 실시가능하며, 상기 토출 공이부(120)를 구동시키는 스트로크 및 압력은 매우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 and 2, the ball driving unit 13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ing hole 120, and the discharging hole is a component for driving the discharging hole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ll driving unit 130 may be modified to have various structures that can simply drive the discharging hole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troke and the pressure for driving the discharging hole 120 It is preferable that it can be controlled very finely.

다음으로 상기 잉크 공급부(14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의 중간에 연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 내로 잉크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잉크 공급부(140)는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와 연통되는 잉크 공급관(142)과, 상기 잉크 공급관(142)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잉크 공급관(142) 내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탱크(144)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잉크 공급관(142)의 중간에는 이 잉크 공급관(142)을 통과하는 잉크의 흐름을 단속하는 잉크 단속 밸브(146)가 더 구비된다. 1 and 2, the ink supply unit 140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ink discharge tube 110 and supplies the ink into the ink discharge tube 110. The ink supply unit 140 includes an ink supply pipe 142 communicating with the ink discharge tube 110 and an ink supply tank 14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k supply pipe 142 to supply ink into the ink supply pipe 142. [ (144). Of course, in the middle of the ink supply pipe 142, an ink intermittent valve 146 for interrupting the flow of ink passing through the ink supply pipe 142 is further provided.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잉크 공급부(140)에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잉크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측정부(148)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는 매우 미세한 직경을 가지므로, 이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잉크의 점도는 토출 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점도 측정부(148)는 상기 잉크 공급관(142)을 통과하는 잉크의 점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에 제공하여 장치의 구동 제어에 사용하는 것이다. 1 and 2, the ink supply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viscosity measuring unit 148 for measuring the viscosity of the supplied ink.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nk discharge tube 110 has a very fine diameter, the viscosity of the ink ejected through the ink discharge tube 110 greatly affects the ejection result. Accordingly, the viscosity measuring unit 148 senses the viscosity of the ink passing through the ink supply pipe 142 in real time, and provides the detected viscosity to the controller to be used for drive control of the apparatus.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장치(100)에는 제어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이 제어부는 상기 점도 측정부(148)에서 제공되는 잉크의 점도를 바탕으로 상기 토출 공이부(120)에 가해지는 힘을 변동시킨다. 또한 상기 토출 공이부(120)의 상하 이동 스트로크도 미세하게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 토출 장치(100)를 일정 시간 이상으로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 내의 잉크를 모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토출 공이부(120)를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의 하단까지 구동시켜 잉크를 완전히 하측으로 밀어내어 제거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ink ej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varies the force applied to the discharge part 120 based on the viscosity of the ink supplied from the viscosity measuring part 148. Further, the discharging hole finely controls the upward and downward stroke of the part 120. For example, when the ink ejection apparatus 100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it is desirable to remove all the ink in the ink ejection tube 110, So as to push the ink completely downward to be remov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장치(100)에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액 공급부(16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세정액 공급부(160)는 잉크 토출 장치(100) 사용 후에 세정액(2)을 상기 잉크 토출 튜브(110)로 공급하여, 잉크 공급관(142) 및 잉크 토출 튜브(110)를 세정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160)에 의한 세정 작업은 잉크 토출 작업이 완료된 후에 진행되며, 상기 잉크 단속 밸브(146)를 차단한 상태에서 진행된다. Also,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k ej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liquid supply unit 160. The cleaning liquid supply unit 160 is a component that supplies the cleaning liquid 2 to the ink discharge tube 110 after use of the ink discharge apparatus 100 to clean the ink supply tube 142 and the ink discharge tube 110. Therefore, the cleaning operation by the cleaning liquid supply unit 160 proceeds after completion of the ink discharging operation, and proceeds with the ink intermittent valve 146 being shut off.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토출 장치
110 : 잉크 토출 튜브 120 : 토출 공이부
130 : 공이 구동부 140 : 잉크 공급부
150 : 하우징 160 : 세정액 공급부
1 : 잉크
100: An ink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ink discharge tube 120: discharge hole part
130: ball driving part 140: ink supply part
150: housing 160: cleaning liquid supply unit
1: Ink

Claims (5)

미세 구경을 가지는 잉크 토출 튜브;
상기 잉크 토출 튜브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잉크 토출 튜브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상기 잉크 토출 튜브 내의 잉크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토출 공이부;
상기 토출 공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토출 공이부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공이 구동부;
상기 잉크 토출 튜브의 중간에 연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잉크 토출 튜브 내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토출 장치.
An ink discharge tube having a micro aperture;
A discharge hole inserted in the ink discharge tube for discharging the ink in the ink discharge tube downward while being driven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k discharge tube;
A driving part for the discharge hole to be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part, the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discharge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ink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ink discharge tube and supplying ink into the ink discharge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토출 튜브 중 상기 잉크 공급부 연통 지점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 공이부와 상기 잉크 토출 튜브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 유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토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irtightness maintaining member installed above the ink supply portion communication point of the ink discharge tube and maintaining airtightness between the discharge hole portion and the ink discharge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공급부에는,
공급되는 잉크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측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토출 장치.
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iscosity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 viscosity of ink to be suppli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측정부에서 제공되는 잉크의 점도를 바탕으로 상기 토출 공이부에 가해지는 힘을 변동시키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토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varying a force applied to the part of the discharge hole based on the viscosity of the ink provided by the viscosity measur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공급부에는,
세정액을 상기 잉크 토출 튜브로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토출 장치.
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leaning liquid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ink discharge tube.
KR1020170139041A 2017-10-25 2017-10-25 A device for dispensing ink KR201900460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41A KR20190046000A (en) 2017-10-25 2017-10-25 A device for dispensing 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41A KR20190046000A (en) 2017-10-25 2017-10-25 A device for dispensing 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00A true KR20190046000A (en) 2019-05-07

Family

ID=6665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041A KR20190046000A (en) 2017-10-25 2017-10-25 A device for dispensing 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600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0097B2 (en) Fluid ejection device
KR101275225B1 (en) Electrohydrodynamic ink ejecting apparatus
US8657415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073951B (en) Fluid ejection device
US20170246867A1 (en) Fluid ejection device
US7578573B2 (en) Drop ejection assemby
KR100406939B1 (en) Ink-jet Printer Head
JP5413826B2 (en) Discharge device
US10357978B2 (en) Valve
KR20100135596A (en) Inkjet head
JP2009538225A (en) System and method for droplet ejection
JP2007516876A (en) Droplet ejection assembly
JP2007516879A5 (en)
JP2007125775A (en) Inkjet head and inkjet type recorder
KR20190046000A (en) A device for dispensing ink
US81136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or recovering nozzle function for an inkjet printhead
JP2018008379A (en) Liquid jetting device
JP5773014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method
JP5505272B2 (en) Liquid ejector
JP4936900B2 (en) Droplet ejection assembly
US7168788B2 (en) Drop ejection assembly
JP2005335171A (en) Inkjet head and inkjet printer
JP2005335233A (en) Inkjet head and inkjet printer
KR20070080946A (en) Ink jet printer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