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894A - 노래 대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 - Google Patents

노래 대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894A
KR20190045894A KR1020190046992A KR20190046992A KR20190045894A KR 20190045894 A KR20190045894 A KR 20190045894A KR 1020190046992 A KR1020190046992 A KR 1020190046992A KR 20190046992 A KR20190046992 A KR 20190046992A KR 20190045894 A KR20190045894 A KR 20190045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ong
image
so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868B1 (ko
Inventor
권준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미리
Priority to KR1020190046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868B1/ko
Publication of KR2019004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06Q30/021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based on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제 1 영상 및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영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합성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정보, 금액 정보, 곡수 정보 및 선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합성 영상을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ID 정보,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연령 정보, 상기 사용자의 거주 지역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노래 서비스 장치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저장할 위치 정보 및 공유할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래 대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SINGING SERVICE}
본 발명은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노래방 내에 설치된 노래 서비스 장치는 곡 선택, 예약, 연주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거나 또는 선곡하고자 할 경우, 책자 또는 노래 서비스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원하는 곡을 선곡하고 이에 따라 노래 서비스 장치가 음악을 연주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 10-0831410 호는 셋탑박스에서 노래방 기능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더욱이, 최근 노래방이나 영화관에 혼자 가서 여가를 즐기는 문화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나아가,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향유하는 수동적인 문화소비에 만족하지 않고 스스로 새로운 컨텐츠들을 창작하려는 능동적인 경향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발맞춰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컨텐츠를 의미하는 UCC(User Created Contents)와 UCC의 발전적인 형태인,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컨텐츠를 의미하는 PCC(Proteur Created Contents)의 제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미디어 및 인터넷 매체를 통한 각종 오디션 프로그램 및 노래 경연 프로그램이 성행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UCC 및 PCC 기반으로 "스타"가 탄생하고 있다. 이에, 연예인이 아니어도 연예인과 같은 끼와 능력을 많은 이들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다양하고 그리고 고품질의 서비스를 노래 서비스 장치에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는 음악이나 영상의 품질에 대한 향상일 수 있다. 혹은 이러한 요구는 사용자 자신이 부른 노래에 대한 부가적인 서비스에 대한 향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요구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자신이 부른 곡의 녹음 파일 혹은 영상을 기록한 녹화 파일, 또는, 사용자 자신이 부르는 모습을 노래 서비스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어 자신의 모습을 직접 보면서 노래를 부르는 것, 또는 자신이 노래부르는 영상에 대한 공유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의 노래 서비스 장치로의 접목은 노래 서비스 장치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리고 사용자에게는 보다 엔터테인먼트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노래 서비스의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증대시키기 위한 당업계의 니즈가 존재한다.
또한, 노래 서비스에 관련한 다양한 부가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당업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제 1 영상 및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영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합성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정보, 금액 정보, 곡수 정보 및 선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합성 영상을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ID 정보,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연령 정보, 상기 사용자의 거주 지역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노래 서비스 장치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저장할 위치 정보 및 공유할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편집을 허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피드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피드백은,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조회수, 추천수, 비추천수, 공유 횟수 및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부여된 평가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점수 및 상기 사용자의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포인트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포인트는,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편집 동작,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공유 동작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결제 정보 처리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피드백이 수신되는 경우 및 상기 포인트가 사전 결정된 임계 포인트를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치로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피드백 정보 및 상기 포인트를 포함하는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추가적으로,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의 노래 서비스 식별 정보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가 물리적으로 위치한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노래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합성 영상들을 카테고리화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추가적으로, 노래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 및 대결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전결정된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중인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 중 노래 대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결 상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대결 상대로부터 수신한 대결 승인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노래 대결을 허용하며, 그리고 상기 대결 요청 정보는, 성별 정보, 나이 정보, 상기 사용자의 평균 노래 점수 정보,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가 위치한 곳의 지역 정보, 상기 사용자의 대결 이력 정보, 상기 사용자의 랭킹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제 1 영상 및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영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합성 영상을 수신하는 명령-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정보, 금액 정보, 곡수 정보 및 선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합성 영상을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하는 명령-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ID 정보,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연령 정보, 상기 사용자의 거주 지역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노래 서비스 장치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저장할 위치 정보 및 공유할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노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가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서비스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래 서비스 장치의 다른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서비스 장치 장치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래 서비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할 수 있는 합성 영상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노래 대결을 수행중인 사용자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1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2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3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4 예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사용자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은 종종 상호교환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가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서버(100), 노래 서비스 장치(200) 및 사용자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노래 서비스 장치들(200, 200a, 200b)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노래 서비스 장치들은 각각 사용자 장치들(300, 300a....및 300h)과 연결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서버(100)는 사용자 장치들(300i 및 300k)과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노래 서비스 장치(200)와 연계되어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서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300)와 연계되어 사용자 장치(300)에서 상기 노래 서비스에 관련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노래 서비스"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반주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또는, 이러한 "노래 서비스"는 사용자 자신이 부른 노래에 대한 임의의 부가적인 컨텐츠일 수도 있다. 컨텐츠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자신이 부른 곡의 녹음 파일 혹은 영상을 기록한 녹화 파일, 또는, 사용자 자신이 부르는 모습을 노래 서비스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어 자신의 모습을 직접 보면서 노래를 부르는 것 자체, 또는 자신이 노래부르는 영상에 대한 공유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서버(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노래 서비스 장치(200) 또는 사용자 장치(300)에서 제공될 수 있는 노래 서비스에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또는 관리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서버(100)에 대해서는 도 8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서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서버, CMS(Cash Management Service) 서버, 외부 서버, 운용서버 및/또는 콜센터 서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장치(300) 및/또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다른 서버(미도시)와 연결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노래방 기기" 및 "노래방 장치"와 종종 상호 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 자체에 구비된 버튼을 포함하여, 해당 버튼 입력에 대응하는 노래에 대한 반주음을 출력하는 노래 서비스 장치 본체와, 본체에 연결되어 배경 영상 및 자막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음향과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근거리에서 사용자가 부를 노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본체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한 리모트 콘트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예시적 기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례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의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곡 선택, 예약, 연주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임의의 장치를 통칭할 수 있다.이러한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장비, 모바일, 무선 통신이 가능한 PC, 핸드폰, 키오스크, 셀룰러 폰, 셀룰러, 셀룰러 단말,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단말, 원격국, PDA,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무선 접속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장치, 무선 모뎀과 같은, 무선 접속 매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 장치(300)는 유선 팩스, 유선 모뎀을 구비한 PC, 유선 전화, 유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 등과 같은 유선 접속 매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서버(100) 및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노래 서비스 장치(200) 및 사용자 장치(3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100) 및 사용자 장치(3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 노래 서비스 장치(200) 및 사용자 장치(300)간에 송수신될 수 있는 정보들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정보들은 서버(100), 노래 서비스 장치(200) 및 사용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서버(100), 노래 서비스 장치(200) 및 사용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판독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매체는 ROM(판독 전용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CD(컴팩트 디스크)-ROM,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Public Switi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Infrared Data Asso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컴포넌트들 중 일부만이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컴포넌트들 이외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들)가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시스템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버(100) 및 노래 서비스 장치(200)를 중점으로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기재하기 위함일 뿐이며, 다시 말해, 노래 서비스 장치(200) 및/또는 서버(100)가 그 일부 혹은 전부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명백히 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서버(100) 및 사용자 장치(300)를 중점으로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기재하기 위함일 뿐이며, 다시 말해, 사용자 장치(300) 및/또는 서버(100)가 그 일부 혹은 전부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명백히 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노래 서비스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가 그 일부 혹은 전부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노래 서비스 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에서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서버(100)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서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서비스 장치 장치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각 컴포넌트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카메라부(210), 조명부(210a), 사용자 인식부(220), RF모듈(220a), NFC모듈(220b), 생체데이터식별모듈(220c), 결제부(230), 현금수납모듈(230a), 카드결제모듈(230b), 모바일결제모듈(230c), 디스플레이부(240), 제어부(250), 영상 합성부(251), 크로마키 처리부(253), 리스트 생성부(255), 대결상대결정부(257), 영상형식변환부(259), 메모리부(260), 음성처리부(270), 수신부(281), 사용자입력모듈(281a), 송신부(283) 및 네트워크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노래방 기기" 및 "노래방 장치"와 종종 상호 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예를 들어, 노래 서비스 장치(200) 자체에 구비된 버튼을 포함하여, 해당 버튼 입력에 대응하는 노래에 대한 반주음을 출력하는 노래 서비스 장치 본체와, 본체에 연결되어 배경 영상 및 자막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음향과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근거리에서 사용자가 부를 노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본체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한 리모트 콘트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예시적 기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례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의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곡 선택, 예약, 연주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임의의 장치를 통칭할 수 있다.
이에, 도 2에 도시된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전술한 바와 같은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카메라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분을 촬영한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부(210)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전면 상단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또는 카메라부(210)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외부 연장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카메라부(21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적절한 카메라부(210)가 선택되어 촬영될 수 있다. 여기서,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정보, 금액 정보, 곡수 정보 및 선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카메라가 카메라부(210)를 구성하는 경우, 카메라부(210)의 적어도 일부 카메라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화상 프레임을 촬영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일부의 카메라는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또는 관련되는 화상 프레임을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일부의 카메라는 상기 사용자와 함께 노래방을 이용중인 다른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화상 프레임을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임 규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화상 프레임을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노래 서비스 장치(2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한 곳에서 정지하며 노래를 부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지점으로 이동하며 노래를 부르곤 한다. 이에,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대한 위치 식별이 요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에 포함된 위치 식별 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로 상기 카메라부(21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와 인접한 다른 카메라부(210)가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조명부(210a)는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노래 서비스 점수 제공, 노래 서비스 시작 알림, 노래 서비스 종료 알림, 대결 승인 요청 알림, 대경 거절 수신 알림, 대결 성사 수신 알림 등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기재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함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상기 조명부(210a)는 LED(Light Emission Diode)를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LED의 점멸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상기 LED 들은,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미리 저장된 점멸 패턴을 따라 점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외부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미리 저장된 점멸 패턴을 따라 점멸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조명부(210a)는 일반적으로 노래 서비스 장치(200)가 위치한 물리적 공간이 낮은 채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카메라부(210)가 사용자에 대하여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보조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조명부(210a)는 확산적인 전반 조명을 하는 플랫 조명(flatlight) 및/또는 빛을 집광하는 조명인 스폿 조명(spotligh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랫 조명(flatlight) 및/또는 스폿 조명(spotlight) 이외의 조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인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식부(220)는, RFID 모듈(220a), NFC 모듈(220b) 및 생체 데이터 식별 모듈(220c)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식부(220)는 근거리 통신 기술의 일종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기술을 이용하여, 전파를 이용하여 원거리의 사용자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는 RFID 모듈이 포함된 카드 및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소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RFID 모듈에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ID, 식별 코드 등)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RFID 모듈을 식별함으로 인하여,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노래 이용 정보 등)를 갱신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식 모듈은 수신 모듈에 통합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식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RFID 기술 외에도, 접촉식/비접촉식으로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예를 들어, 블루투스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식부(220)는 카메라부(2100, 음성처리부(270), 수신부(281) 및 네트워크부(290)의 마이크로폰, 터치패드, 카메라 모듈 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음성, 지문, 얼굴)를 식별하는 생체 데이터 식별 모듈(220c)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부(230)는,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를 이용하기 위하여 결제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결제부(230)는 현금 수납 모듈(230a), 카드 결제 모듈(230b) 및 모바일 결제 모듈(230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부(230)는 사전 결정된 결제 알고리즘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제부(230)는, 사전 결정된 결제 알고리즘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결정된 결제 알고리즘이 2곡에 1,000원이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가 4곡 이용인 경우, 결제 정보는 2,000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결제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추가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9세 미만의 사용자에게는 총 결제 금액에서 10%가 할인되어 결제 정보가 생성될 수도 있다. 또는, 이러한 결제 정보는 사용자의 이용 내력에 추가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총 노래 서비스 이용 시간이 10시간 이상인 경우, 결제 금액을 산정하기 위한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서 2곡을 차감하고 결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설명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결제부(230)는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완료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노래 서비스 장치(200)로의 사용자 입력 및 사용자의 사용을 허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전술한 결제 정보, 희망 선곡 정보 및 추천 선곡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제부(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금융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승인 행위에 기초하여 결제 정보를 처리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250)는 이러한 결제부(230)와 연동되어 동작함으로써. 제어부(250)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장치(30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승인 행위에 기초하여 결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결제부(230)는 결제 수단 기능을 할 수 있는 칩(예컨대, NFC)을 삽입하여 신용카드처럼 결제하도록 허용하는 태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부(230)는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모듈은 현금 결제 모듈, 은행 결제 모듈, 카드 결제 모듈, 모바일 결제 모듈 및 ARS 결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결제 모듈은 휴대폰 번호와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뒤 휴대폰으로 인증번호를 넣어 결제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40)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부(240)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라 지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 도시된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외관의 형태를 참조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상단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모두 포함하거나, 이들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디스플레이부(240)는 배치되는 위치는 일 예일 뿐이며, 설계상의 필요 또는 시각적인 효과를 위해 다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현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은 수신부(281)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240)가 수신부(281)를 대체하여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4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부(240) 및 후술되는 음성처리부(270)는 종종 "출력부"로 통칭될 수도 있다. 음성처리부(270)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처리부(270)는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노래 서비스의 시작 알림 등이 존재할 수 있으며 기재되지 않은 다양한 이벤트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음성처리부(27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목소리와 반주음을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40)는 자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선곡 정보에 관련된 영상, 상기 제 1 영상, 상기 제 2 영상 및 상기 합성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대결 상대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제 3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될 수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자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선곡 정보에 관련된 영상, 상기 제 1 영상, 상기 제 2 영상 및 상기 합성 영상 중 상이한 영상들에 대하여 동일한 프레임 상에서 출력하거나 또는 상이한 프레임 상에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선곡 정보에 관련된 영상은 제 1 디스플레이부(240a)(도 3 참조)에서, 그리고 합성 영상은 제 2 디스플레이부(240b)(도 3 참조)에서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송신 및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들 중 임의의 정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제어부(250)는 후술되는 동작들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분화되나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컴포넌트를 더 포함함으로써, 각 컴포넌트가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250)는 영상 합성부(251), 크로마키 처리부(253), 리스트 생성부(255), 대결상대결정부(257) 및 영상형식변환부(259)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카메라부(210)로부터 촬영된 제 1 영상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영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각 부분을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영상을 추출된 상기 신체의 각 부분에 매칭함으로써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250)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영상의 배경을 투명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노래 서비스 장치(200)가 위치한 배경이 지저분한 경우에도, 상기 제 1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를 제외한 부분을 투명화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되는 텍스트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되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조합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합성 영상에 추가적인 편집 동작을 가능하도록 허용하여, 합성 영상 생성에 있어서 개인의 선호도를 충분히 반영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엔터테인먼트적인 측면이 강화됨과 동시에, 함께 합성 영상을 생성 및 편집하는 다른 사용자와의 친밀도 또한 제고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제어부(250)는, 상기 제 1 영상에서의 상기 사용자를 상기 제 2 영상과 합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영상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영상은 하나 이상의 합성 대상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50)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영상을 재생할 것을 허용하며, 그리고 상기 재생되는 제 1 영상 상에 상기 제 2 영상의 합성 대상 객체의 합성 위치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 영상은 예를 들어, 영상 합성부(25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된 영상과 합성될 합성 대상 객체 및 합성 대상 객체와 합성될 동영상을 선택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동영상은 재생되며, 재생되는 동영상 상에 상기 합성 대상 객체의 합성 위치를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지정하여 상기 합성 대상 객체를 상기 동영상 내에 합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동안, 합성 대상 객체의 합성 위치에는 상기 합성 대상 객체가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표시되고, 그리고 상기 동영상과 상기 합성 대상 객체의 합성 결과는 프리뷰(preview)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오버레이 형태 및 프리뷰 형태로 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장치(300)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250)는 크로마키(Chroma Key) 기술에 기초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크로마키(chroma key) 기법이란, 영상 프로그램에 특수한 효과와 텍스트를 추가하는 영상 합성 방법으로서, 특정한 색상 부분을 제거하고 그 이외의 요소만 추출하여 다른 영상과 합성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법이다. 이러한 크로마키 기법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영상의 일례로, 기상 캐스터의 이미지와 일기예보의 그래픽 이미지를 합성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송출하는 것이 존재한다.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한 합성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동영상을 촬영한 후 원하는 특정 부분을 추출하여 합성하고자 하는 배경 영상, 전경 영상, 또는 배경 음악과의 영상 합성 과정을 거쳐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들은, 일례로, 크로마키 처리부(25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250)는 상기 카메라부(210)가 촬영하는 피사체의 수,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영상을 결정하며, 그리고 결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영상을 포함하는 제 2 영상 후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은 제어부(250)의 리스트 생성부(25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리스트 생성부(255)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영상을 포함하는 제 2 영상 후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여성인 경우, 여자 아이돌 그룹의 뮤직 비디오의 배경 영상이 후보 리스트 안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3명인 경우, 3명에 대하여 익살스러움을 강조할 수 있는 합성 객체들(예를 들어, 콧수염, 상투 머리 등)이 포함된 배경 영상이 후보 리스트 안에 포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25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추천 선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국적 정보, 성별 정보, 연령 정보 및 노래 서비스 이용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250)는 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정보와 사전결정된 유사 범위 내에서의 사용자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의 노래 서비스 이력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추천 선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대 여성인 제 1 사용자, 30대 여성인 제 2 사용자, 40대 여성인 제 3 사용자, 50대 여성인 제 4 사용자, 20대 남성인 제 5 사용자 30대 남성인 제 6 사용자, 40대 남성인 제 7 사용자 및 50대 남성인 제 8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에게는 동일한 여성 중 유사 범위 내에서의 사용자 정보를 갖는 제 2 사용자 및 다른 20대 여성들의 노래 서비스 이력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추천 선곡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제 1 사용자에게는 다른 20대 여성들의 노래 서비스 이력 정보 및 20대 남성인 제 5 사용자의 노래 서비스 이력 정보에 적어도 기초하여 추천 선곡 정보가 생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 1 사용자에게는 부모의 연령을 고려하여 40대 여성인 제 3 사용자보다 50대 여성인 제 4 사용자의 노래 서비스 이력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추천 선곡 정보가 생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250)는,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노래 서비스 정보 및 대결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전결정된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중인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들 중 노래 대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결 상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노래 서비스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정보, 금액 정보, 곡수 정보 및 선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50)에 의해 생성된 추천 선곡 정보 등에 기초하여 제어부(250)는 사용자와 노래 대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결 상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250)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대결 상대로부터 수신한 대결 승인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노래 대결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들은 제어부(250)를 구성하는 대결상대결정부(257)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네트워크부(290)를 통해 대결하는 하나 이상의 대결 상대를 포함하는 대결 모드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노래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만족감을 제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대결 요청 정보는, 성별 정보, 나이 정보, 상기 사용자의 평균 노래 점수 정보,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가 위치한 곳의 지역 정보, 상기 사용자의 대결 이력 정보, 상기 사용자의 랭킹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와 상기 대결 상대가 노래 대결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대결 상대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제 3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을 참조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결제부(23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 결정된 결제 알고리즘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 완료 여부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생성된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가 완료되었다고 결정되는 경우 사전 결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전 결정된 동작은,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의 상기 사용자의 선곡 정보에 기초한 반주음 재생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합성 영상 출력 동작 및 상기 네트워크부의 상기 합성 영상 전송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기 때문에, 노래 서비스 장치를 상용중인 당업계의 경제적인 효과 또한 발생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250)는, 영상형식변환부(259)를 포함하여서,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100)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합성 영상의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나아가, 합성 영상을 SWF(ShockWave Flash) 포맷 또는 FLV(Flash Video) 등의 포맷으로 자동 변환한 후 추후 재편집이 가능하도록 외부의 포털 사이트에 전송하거나 또는 기록 매체에 저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외부 포털 사이트로의 접속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포털 사이트 또는 상기 사용자에 관련된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에 게재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또한, 합성 영상은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용 포맷으로 변환한 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장치(예를 들어, 모바일 폰 등)에 상기 합성 영상을 수신하거나 또는 제 2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합성 영상이 포함된 영상 메세지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전술한 그리고 후술하는 다른 컴포넌트들 모두와 통신할 수 있어서, 이들의 동작들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노래 서비스 장치(200) 그 자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260)는 제어부(2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또는 영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부(260)에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 및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영상 형식을 변환하며, 그리고 대결 상대를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260)는 사용자 인식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정보들은 메모리부(260)에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필요할 때마다 서버(100)로부터 송신 및 수신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260)에는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합성 대상이 되는 영상들(배경 영상, 전경 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그리고 크로마키 기법을 활용하기 위하여 사전 결정된 알고리즘들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부(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부(2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수신부(281) 및 송신부(283)는 네트워크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노래 서비스 장치(200)와 연계되는 서버(100)로부터 전술한 정보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거나 또는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수신부(281)를 통하여, 노래 서비스 장치(200)를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부(281)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모듈(28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모듈(281a)은 예를 들어, 터치 입력 모듈, 키보드 입력 모듈, 음성 입력 모듈 및 영상 입력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 모듈을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정보들 이외에도, 노래 서비스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가 대결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노래 서비스 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입력 모듈은 예를 들어,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은 카메라 모듈 또는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사용자 입력모듈(281a)은,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 모듈은 네트워크 통신 모듈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입력 모듈이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입력 모듈은 외부 콘솔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입력모듈(281a)이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 외부 콘솔 디바이스는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러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모듈이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 외부 콘솔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모듈(281a)은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카메라 모듈 또는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음성 또는 동작을 수신하여 이를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지의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기술 또는 동작 인식(Motion Recognition)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입력모듈(281a)은 카메라 모듈 및 마이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모듈(281a)은 사용자로부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의 초점을 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정하여 촬영하도록 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촬영 각도 및 화각을 조정하도록 하는 입력이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283)는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합성 영상 및 노래 서비스에 대한 활용도 및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부(290)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와 유/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와 다른 노래 서비스 장치(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부(290)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와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를 이용중인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장치(300)와 정보전송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290)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유/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s to the hom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부(290)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여,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와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고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한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부(290)는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 및 네트워크의 송수신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29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40), 음성처리부(270)를 통해 출력되거나, 메모리부(260)를 통해 저장되거나, 또는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근거리에 있는 다른 전자장치들(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단지, 반주음을 재생하고 상기 반주음에 따라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것에서 벗어나,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를 촬영하거나 또는 사전 저장된 다양한 합성 대상 영상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합성 대상 영상과 상기 사용에 대한 합성 영상을 제작 가능하도록 허용한다. 이를 통해, 비전문가의 경우에도 완성도 높은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오디션 등에 지원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비싼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도 오디션용 촬영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비싼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도 노래 서비스 장치(20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추억이 담긴 영상물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 따르면 단순히 사용자의 모습과 배경을 합성시키는 종래 동영상 제작기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보다 고도화되고 엔터테인먼트적 측면이 강조된 영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제작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바로 TV 및 인터넷 매체를 통한 게재가 가능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방송국, 기획사와 연계된 오디션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되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 및 도 8에서 후술되는 서버(100)는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서 생성된 음성/영상 파일을 오디션 채널을 제공하는 서버에 직접 전송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로써 사용자 측면에서는 방송 참여의 욕구 및 오디션 참여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방송국 및 기획사 측면에서는 연예계의 소질 있는 사용자를 쉽게 발굴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판독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명령-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정보, 금액 정보, 곡수 정보 및 선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분을 촬영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제 1 영상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영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 자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선곡 정보에 관련된 영상, 상기 제 1 영상, 상기 제 2 영상 및 상기 합성 영상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서, 이러한 매체는 ROM(판독 전용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CD(컴팩트 디스크)-ROM,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매체는 네트워크 모듈로 연결된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250) 그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260)에 저장되고, 제어부(2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예시적 형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서비스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래 서비스 장치의 다른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 내에 도 2에 도시한 컴포넌트들을 실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요약하면,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는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CCD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의 촬영을 보조하기 위한 조명부(210a)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영상 기록 장치가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촬영된 영상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 및 반주음의 재생 및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는 영상들을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영상들은 사용자가 선택한 선곡 정보에 대한 가사 정보를 포함하는 사전 결정된 영상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선곡 정보에 해당하는 반주음에 맞춰 노래하는 모습이 촬영되는 영상이 출력될 수도 있다.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 가능한 형태로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예를 들어, 240a 및 240b)를 포함하여, 상이한 영상들에 대하여 상이한 디스플레이부의 프레임 상에서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가 위치하는 물리적 공간은 이동식 공간 및 고정식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이동식 부스(200a)의 형태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부스(200a)는 예를 들어 독립 부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독립 부스는 상기 부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가 위치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의 다양성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식 부스는 상기 부스의 하단 부에 내입 및/또는 외부로 연장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어서 이동에의 용이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독립 부스는 대형 화물의 화물칸의 내부에 위치하여 이동하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이러한 독립 부스는 오락실의 한 부분, CGV 등과 같은 멀티플렉스의 일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노래방 등의 고정식 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물리적 공간 및 이동식 공간인 경우 모두, 사용자의 엔터테인먼트적 측면을 보다 제고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아이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이크업 도구, 가발, 의상, 악세사리 등이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가 위치된 공간 내에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를 사용하는데에 있어 일부의 비용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명을 실시하는 실시업의 경제적 효과 또한 존재함이 명백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보다 상세하게, 독립 부스는 이동이 가능한 형태의 부스로서 임의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또는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다른 수단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이 아닌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독립 부스 내부에는 사용자가 노래하는 모습을 촬영할 때 배경으로 사용되는 크로마키 판넬이 형성될 수 있다. 크로마키 판넬은 일반적으로, 영상 합성시에 사용하는 무광의 블루 또는 그린 스크린 뿐 아니라, 가격이 싼 천 또는 무광의 재질인 판넬이면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사용자의 동영상을 획득한 이후, 사용자 장치(300)의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다양한 배경 영상들, 전경 영상들,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 영상, 전경 영상 또는 음성으로 합성 영상을 생성되는 일련의 과정들이 자동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래 서비스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단계들 중 일부의 단계(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시되는 단계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추가적인 단계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단계들은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하기에 제시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각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이하의 단계들은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도 1 참조)의 하드웨어 또는 OS 자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단계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기재일 뿐이며, 추가적인 단계들을 더 포함하거나 혹은 보다 적은 단계들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들이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S510). 여기서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정보, 금액 정보, 곡수 정보 및 선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될 수 있다(S520).
추가적으로,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제 1 영상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영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합성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S530).
추가적으로, 자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선곡 정보에 관련된 영상, 상기 제 1 영상, 상기 제 2 영상 및 상기 합성 영상 중 하나 이상이 출력될 수 있다(S540).
추가적으로, 상기 합성 영상을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S550).
전술한 바와 같은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도록 하며, 여기에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기재일 뿐이며, 전술하지 않은 다양한 예들이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서비스 장치에서 생성할 수 있는 합성 영상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도면들(61, 62, 63, 64, 65 및 66)은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서 합성되고 또는 후술되는 서버(100)에 의해 합성되는 합성 영상의 일례이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서비스 장치(200)를 통해 노래 서비스를 이용중인 사용자(P)에 대한 영상이 획득되며, 상기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들에 따라서 노래 서비스를 이용중인 자신의 모습이 포함된 합성 영상(예를 들어,61, 62, 63, 64, 65 및 66)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에서 주목할 점은, 노래 서비스를 이용중인 사용자(P)가 한 명인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P)가 선택한 선곡 정보에 관련되어 사전 생성된 제 2 영상(즉, 합성 대상이 되는 영상)에는 예를 들어, 댄서의 모습이 포함될 수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흥미를 보다 제고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합성 영상들의 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도면들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함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P)가 선곡한 선곡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이미지는 촬영되어 메모리부(160) 또는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다. 노래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기 선곡 정보에 기초하여 반주음이 재생되는 경우, 카메라부(210)가 촬영하는 사용자(P)의 실제 영상과, 선곡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선곡에 해당하는 가수 또는 관련 캐릭터의 가상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마치 가수와 사용자(P)가 함께 노래를 부르는 듯한 증강 현실 시스템이 접목된 합성 영상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합성 영상 제작에의 편의성 뿐만 아니라, 재미 또한 제고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일례로, 증강 현실 시스템은 실사 영상에 가상 영상을 정합하기 위해서 미리 3차원으로 모델링 된 데이터를 실제 카메라가 실사 영상을 투영하는 것과 같은 3차원 원근 투영법을 이용하여 가상 영상을 렌더링한다. 이후 실사 영상과 가상의 그래픽을 합성함으로써 생성된다. 이 때 증강 현실 시스템은 실사 영상의 정확한 위치에 가상 그래픽 객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2차원 화면에서 가상 객체들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알아야하는 문제를 갖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실 세계의 어떤 지점에 대한 3차원 좌표가 필요하며, 이 좌표는 카메라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 예시에 따른 증강 현실 시스템은 카메라부의 영상에서 현실 세계의 어떤 지점이나 물체에 대한 카메라의 상대 3차원 좌표를 얻어내기 위하여 마커(marker)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커 인식을 통하여 증강 현실 영상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는 사용자(P)의 음성을 수집하고, 수집된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그리고 마커 인식부에서 인식된 마커의 위치에 가상 영상을 로딩하며, 렌더링된 가상 영상과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되는 사용자의 실제 영상이 합성된 합성 영상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노래 대결을 수행중인 사용자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노래 대결을 수행중인 제1 사용자(P1) 및 제 2 사용자(P2)를 도시한다. 두 사용자는 한 공간에서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공간에서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전제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대결을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노래 서비스 정보 및 대결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전결정된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중인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들 중 노래 대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결 상대(예를 들어, 제 2 사용자)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와 상기 대결 상대로부터 수신한 대결 승인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노래 대결이 허용될 수 있다.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상에서 자신과 취향이 비슷한 사람과 노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입력한 조건을 이용한 정보를 활용하여 비슷한 취향을 가진 사용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준다. 본 발명은 사용자간의 실시간 노래 대결을 통하여 노래 서비스 장치 이용의 즐거움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제공되는 노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현저한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대결 상대(예를 들어, 제 2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제 3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73이 제 3 영상의 일례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가 출력하는 영상(71)은 제 1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제 1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가 출력하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의 영상들은, 이미 합성이 된 제 1 사용자의 제 2 영상 및 제 2 사용자의 제 2 영상일 수도 있다. 나아가, 도 7에서 노래 서비스 장치(200)는 한 개의 디스플레이부(240)를 갖도록 도시되었으나,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노래 서비스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정보, 금액 정보, 곡수 정보 및 선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결 요청 정보는, 성별 정보, 나이 정보, 상기 사용자의 평균 노래 점수 정보,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가 위치한 곳의 지역 정보, 상기 사용자의 대결 이력 정보, 상기 사용자의 랭킹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후술되는 서버(100) 또는 사용자 장치(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대결이 실시간으로 게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시청자들로부터 실시간으로 반응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 1 사용자(P1)가 이용중인 노래 서비스 장치(200) 및 제 2 사용자(P2)가 이용중인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는 이를 표시하기 위한 추가적인 프레임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노래 대결의 게재 및 시청자 반응 수신은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D1, D2)는 리모트 콘트롤러일 수 있으며 또는 리모크 콘트롤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사용자 장치(300)일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100)는, 수신 모듈(110), 메모리모듈(120), 제어 모듈(130) 및 네트워크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110)은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제 1 영상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영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합성 영상을 수신한다.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정보, 금액 정보, 곡수 정보 및 선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모듈(120)은, 상기 합성 영상을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ID 정보,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연령 정보, 상기 사용자의 거주 지역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노래 서비스 장치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저장할 위치 정보 및 공유할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제어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가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정보, 금액 정보, 곡수 정보 및 선곡 정보, 상기 사용자의 ID 정보,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연령 정보, 상기 사용자의 거주 지역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노래 서비스 장치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생성된 합성 영상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결정한다. 이로써, 도 9를 참조하면, 합성 영상에 대한 웹사이트 게재를 용이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노래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합성 영상들은 노래 서비스 장치(200)의 노래 서비스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가 물리적으로 위치한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카테고리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 모듈(130)은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편집을 허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제어 모듈(130)은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피드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피드백은,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조회수, 추천수, 비추천수, 공유 횟수 및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부여된 평가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예시적 기재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일 뿐이며, 기재되지 않은 다양한 요소들이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 모듈(130)은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점수 및 상기 사용자의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포인트는, 기 합성 영상에 대한 편집 동작,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공유 동작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결제 정보 처리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0)은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피드백이 수신되는 경우 및 상기 포인트가 사전 결정된 임계 포인트를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치로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피드백 정보 및 상기 포인트를 포함하는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업로드한 합성 영상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추가적으로, 노래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 및 대결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전결정된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중인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 중 노래 대결을 수행하기 위한 대결 상대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대결 상대로부터 수신한 대결 승인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노래 대결을 허용한다. 여기서 대결 요청 정보는, 성별 정보, 나이 정보, 상기 사용자의 평균 노래 점수 정보,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가 위치한 곳의 지역 정보, 상기 사용자의 대결 이력 정보, 상기 사용자의 랭킹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성별 정보, 나이 정보, 상기 사용자의 평균 노래 점수 정보,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가 위치한 곳의 지역 정보, 상기 사용자의 대결 이력 정보, 상기 사용자의 랭킹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결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대결 상대가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노래 서비스 장치(200) 이용에의 흥미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모듈(140)은 서버(100)에 접속하는 사용자 장치(300) 및/또는 노래 서비스 장치(200)와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Public Switi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Infrared Data Asso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컴포넌트들 중 일부만이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컴포넌트들 이외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들)가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서버(1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판독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제 1 영상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영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합성 영상을 수신하는 명령-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 정보, 금액 정보, 곡수 정보 및 선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합성 영상을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하는 명령-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ID 정보,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연령 정보, 상기 사용자의 거주 지역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노래 서비스 장치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저장할 위치 정보 및 공유할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서, 이러한 매체는 ROM(판독 전용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CD(컴팩트 디스크)-ROM,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매체는 네트워크 모듈로 연결된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 모듈(130) 그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모듈(120)에 저장되고, 제어 모듈(1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1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2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3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4 예이다.
도 9 내지 도 12에서 도시되고, 그리고 상술되는 인터페이스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제 1 영상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영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합성 영상은, 예를 들어, 카테고리화되어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이라이트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대결 영상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기 위하여, 임의의 카테고리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들은 노래 서비스 장치(200)에서의 입력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에서의 입력 기초하여 임의의 웹사이트 및/또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에 배포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이벤트와 관련된 영상을 배포하는 임의의 웹사이트를 도시한다. 이러한 웹사이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영상들은 상기 노래 서비스에 관련한 영상을 예를 들어 노래 서비스 장치 식별 정보별, 노래 서비스 장치의 사용자 식별 정보별, 선곡 정보별 및 지역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임의의 웹사이트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검색 및/또는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래 서비스 장치 식별 정보가 포함하는 노래 서비스 장치가 위치한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국가별로 동일한 장르에 관련한 합성 영상/대결 영상이 분류될 수 있다. 또는, 노래 서비스 사용자 식별 정보가 포함하는 사용자의 국적에 기초하여 합성 영상/ 대결 영상이 분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웹사이트에 게재된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300)에서 출력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위치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서비스 계정을 통해 다른 계정주의 SNS로 상기 인터페이스가 포함하는 영상을 공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노래 서비스 장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임의의 영상 편집 애플리케이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합성 영상/대결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장치로 상기 영상이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영상을 자신의 기호에 맞게 편집할 수 있다. 도 11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편집 레이아웃을 도시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1에 기초하여 편집, 제작된 영상은 도 10에서 도시된 임의의 웹사이트에 배포되고, 도 9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에서 재생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포인트 제도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점수 및 상기 사용자의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포인트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07)를 참조하면, 권준언님은 8,195포인트를 획득하였고, 이러한 포인트를 이용하여 합성 영상에 대한 편집 동작,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공유 동작 및 상기 노래 서비스 이용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 결제 정보 처리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트에 대한 용이한 활용을 위하여,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피드백이 수신되는 경우 및 상기 포인트가 사전 결정된 임계 포인트를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치(300)로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피드백 정보 및 상기 포인트를 포함하는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가 송신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서 도시된 그리고 상술된 인터페이스들은(109, 111 및 113) 사용자 장치(300)에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 단계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 9 내지 도 12에서 도시되고 그리고 상술된 인터페이스들에 표시되는 요소들은 당업자 및/또는 사용자의 니즈에 의해 생략되거나 추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노래방 서비스 장치의 일구성인 카메라 모듈에서 사용자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제1영상, 상기 노래방 서비스 장치에서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의 노래 선곡에 대한 정보인 선곡 정보 및 상기 노래방 서비스 장치에서 송신되는 대결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제1영상과 상기 선곡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가수 또는 캐릭터의 가상 영상인 제2영상을 합성하여 증강 현실이 접목된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합성 영상을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ID 정보, 상기 사용자의 성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연령 정보, 상기 사용자의 거주 지역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노래 서비스 장치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을 포함하고,
    상기 대결 요청 정보는, 성별 정보, 나이 정보, 상기 사용자의 평균 노래 점수 정보,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가 위치한 곳의 지역 정보, 상기 사용자의 대결 이력 정보, 상기 사용자의 랭킹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선곡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저장할 위치 정보 및 공유할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선곡 정보 및 상기 대결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노래 서비스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노래 서비스 장치를 이용중인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노래 대결을 허용하며,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조회수, 추천수, 비추천수, 공유 횟수 및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부여된 평가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기초로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포인트를 부여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노래방 서비스 장치로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상기 피드백에 대한 정보인 피드백 정보 및 상기 포인트에 대한 정보인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대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

KR1020190046992A 2019-04-22 2019-04-22 노래 대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 KR102011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992A KR102011868B1 (ko) 2019-04-22 2019-04-22 노래 대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992A KR102011868B1 (ko) 2019-04-22 2019-04-22 노래 대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655A Division KR101973206B1 (ko) 2017-06-14 2017-06-14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894A true KR20190045894A (ko) 2019-05-03
KR102011868B1 KR102011868B1 (ko) 2019-08-26

Family

ID=6658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992A KR102011868B1 (ko) 2019-04-22 2019-04-22 노래 대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8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076B1 (ko) * 2019-10-07 2020-12-30 주식회사 아프리카티비 개인 방송을 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210041530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아프리카티비 개인 방송을 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530059B1 (ko) * 2022-09-08 2023-05-16 김도윤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095A (ko) * 2004-04-30 2005-11-03 모두스타 주식회사 네트워크 노래방을 이용한 도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0428A (ko) * 2009-07-24 2011-02-01 주식회사 금영 노래방 통합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20081874A (ko) * 2011-01-12 2012-07-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장치, 이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KR20130083065A (ko) * 2011-12-28 2013-07-22 주식회사 금영 Rfid를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KR101356637B1 (ko) * 2013-10-22 2014-02-03 (주)나라소프트 골프 게임, 골프 교육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101537667B1 (ko) * 2014-11-03 2015-07-22 (주)나라소프트 프로젝터를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KR20160004234A (ko) * 2015-12-14 2016-01-12 주식회사 케이티 소셜 인터랙티브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07617B1 (ko) * 2015-01-14 2016-03-30 주식회사 펫츠뷰 관광지 홍보용 실시간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60130966A (ko) * 2014-03-12 2016-11-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인식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배경 영상 표시 방법
KR20160133250A (ko) * 2015-05-12 2016-11-22 주식회사 유스타 개인뮤직비디오 제작 및 자동판매방법
KR101714983B1 (ko) * 2016-08-25 2017-03-22 한상선 제품을 활용한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서버 및 사용자 장치 및 제품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095A (ko) * 2004-04-30 2005-11-03 모두스타 주식회사 네트워크 노래방을 이용한 도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0428A (ko) * 2009-07-24 2011-02-01 주식회사 금영 노래방 통합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20081874A (ko) * 2011-01-12 2012-07-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장치, 이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KR20130083065A (ko) * 2011-12-28 2013-07-22 주식회사 금영 Rfid를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KR101356637B1 (ko) * 2013-10-22 2014-02-03 (주)나라소프트 골프 게임, 골프 교육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20160130966A (ko) * 2014-03-12 2016-11-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인식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배경 영상 표시 방법
KR101537667B1 (ko) * 2014-11-03 2015-07-22 (주)나라소프트 프로젝터를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KR101607617B1 (ko) * 2015-01-14 2016-03-30 주식회사 펫츠뷰 관광지 홍보용 실시간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60133250A (ko) * 2015-05-12 2016-11-22 주식회사 유스타 개인뮤직비디오 제작 및 자동판매방법
KR20160004234A (ko) * 2015-12-14 2016-01-12 주식회사 케이티 소셜 인터랙티브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14983B1 (ko) * 2016-08-25 2017-03-22 한상선 제품을 활용한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서버 및 사용자 장치 및 제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076B1 (ko) * 2019-10-07 2020-12-30 주식회사 아프리카티비 개인 방송을 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210041530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아프리카티비 개인 방송을 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530059B1 (ko) * 2022-09-08 2023-05-16 김도윤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868B1 (ko) 201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1924B2 (en) Control of digital media character replacement using personalized rulesets
US8683333B2 (en) Brokering of personalized rulesets for use in digital media character replacement
JP6046783B2 (ja) 改善された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デジタルジュークボックス装置および関連手法
TW482985B (en) Automatic media and advertising system
CN103905809B (zh) 信息处理设备和记录介质
US20150229978A1 (en) User customized animated video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30226758A1 (en) Delivering aggregated social media with third party apis
US20130232430A1 (en) Interactive user interface
US20130222371A1 (en) Enhancing a sensory perception in a field of view of a real-time source within a display screen through augmented reality
CN109118290A (zh) 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非暂时性存储介质
CN101946500A (zh) 实时视频包含系统
KR20190045894A (ko) 노래 대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
US20220020053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commentary about a media content event
KR101973206B1 (ko)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
KR101982346B1 (ko)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
Becker et al. Watching football in the fan park: Mediatization, spectatorship and fan identity
US20230097729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commentary rating
CN116668733A (zh) 虚拟主播直播系统及方法、相关装置
JP5310682B2 (ja) カラオケ装置
KR101984146B1 (ko)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서버,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JP2004088728A (ja) 画像提供装置、画像提供方法及び画像提供プログラム
KR20190055054A (ko)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서버,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140918A (ko)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Serazio The Authenticity Industries: Keeping it" Real" in Media, Culture, and Politics
Wicks et al. Post-Nordic-noir landscapes: Competition through localisation in Finnish streaming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