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708A -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708A
KR20190045708A KR1020170138584A KR20170138584A KR20190045708A KR 20190045708 A KR20190045708 A KR 20190045708A KR 1020170138584 A KR1020170138584 A KR 1020170138584A KR 20170138584 A KR20170138584 A KR 20170138584A KR 20190045708 A KR20190045708 A KR 20190045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ms
temperature
antenna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전진용
성영훈
정대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5708A/ko
Priority to US15/955,999 priority patent/US20190123404A1/en
Publication of KR2019004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1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parameters specified by a numeric value or mathematical formula, e.g. ratios, sizes or concent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는 배터리 모듈의 정보를 획득하여 변환하는 컨버터와, 변환된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BATTERY}
아래 실시예들은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문제와 에너지 자원 문제가 대두되면서, 가운데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가 미래의 운송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팩을 주동력원으로 이용한다. 이때, 배터리 팩은 복수의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기 자동차의 경우, 배터리 팩의 수명이 중요하다. 배터리 팩의 용량이 클수록 배터리 팩의 수명은 증가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팩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다 많은 배터리 셀을 배터리 팩에 탑재하는 것은 배터리 팩에 대한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pack)와,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은, 인접한 배터리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antenna)와, 상기 인접한 배터리 모듈과 전력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코일(coil)을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코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하기 위한 NFC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양쪽 면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양쪽 면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제1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버퍼(buffer)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가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코일 및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기준값은 상기 제1 기준값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SO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상태(SOC)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충전 가능 전력 및 방전 가능 전력을 계산하고, 상기 충전 가능 전력 및 상기 방전 가능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가능 전력 및 상기 방전 가능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그룹핑(grouping)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pack)과,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에 포함된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는,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하기 위한 NFC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양쪽 면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제1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버퍼(buffer)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시스템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안테나의 등가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S-BM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무선통신회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M-BM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 예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른 예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a는 도 11에 도시된 제1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제1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S-BM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집적 회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른 예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른 예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시스템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battery system; 10)은 배터리 팩(battery pack; 100)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BMS); 200)을 포함한다.
배터리 시스템(10)은 배터리가 사용되는 모든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시스템(10)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ESS)), 전자 장치, 이동 수단 등에 구현될 수 있다. 이동 수단은 자동차,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vehicle),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vehicle)일 수 있다. 즉, 배터리 시스템(10)은 전자 장치, 이동 수단 등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전원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0)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은 서로 직렬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 각각은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셀은 직렬로 접속된 2차 전지일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aster battery management system(M-BMS); 220) 및 복수의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장치(slave battery management system(S-BMS); 210-1, 210-2, 및 210-3)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컨트롤러(controller)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220)는 M-BMS(220)로,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장치(210-1, 210-2, 및 210-3)는 S-BMS(210-1, 210-2, 및 210-3)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배터리 팩(100)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서로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BMS(210-1)는 제1 배터리 모듈(110-1)과 접속되고, 제2 S-BMS(210-2)는 제2 배터리 모듈(110-2)과 접속되고, 제3 S-BMS(210-3)는 제3 배터리 모듈(110-3)과 접속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배터리 팩(10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0)의 정보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전압, 전류, 온도, 임피던스(impedance), 충전 상태(state of charge(SOC)), 및 수명 상태(state of health(SOH))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배터리 셀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충전 상태(SOC) 또는 수명 상태(SOH)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BMS(210-1)는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S-BMS(210-2)는 제2 배터리 모듈(110-2)의 정보를 획득하고, 제3 S-BMS(210-3)는 제3 배터리 모듈(110-3)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S-BMS(210-1, 210-2, 및 210-3)는 획득한 정보를 M-BMS(220)로 송신할 수 있다. 복수의 S-BMS(210-1, 210-2, 및 210-3) 및 M-BMS(220)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S-BMS(210-1, 210-2, 및 210-3)과 M-BMS(220)는 안테나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안테나는 배터리 팩(100)의 양쪽 면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 각각은 제1 면에 안테나를 포함하고, 제2 면에도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 각각의 안테나는 인접한 배터리 모듈(110-1, 110-2, 또는 110-3)의 안테나와 통신할 수 있다. 안테나는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하기 위한 NFC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배터리 시스템(10)은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노이즈(noise)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시스템(10)의 구조가 경량화 및 간소화되어 에너지 밀도가 향상되고, 제작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배터리 시스템(10)은 유선 통신이 아닌 무선 통신을 사용함으로써 배터리 셀의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하고, 확장성 및 적용 유연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배터리 팩(100)의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밸런싱(battery balancing)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배터리 팩(100)에 대하여 충전 또는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무선으로 충전 또는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과 인접한 배터리 모듈(110-1, 110-2, 또는 110-3)에 대하여 무선 충전 또는 무선 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코일(coil)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은 배터리 팩(100)의 양쪽 면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 각각은 제1 면에 코일을 포함하고, 제2 면에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 각각의 코일은 인접한 배터리 모듈(110-1, 110-2, 또는 110-3)을 충전 또는 방전할 수 있다.
M-BMS(22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 충전 상태(SOC) 또는 수명 상태(SOH)에 기초하여 복수의 S-BMS(210-1, 210-2, 및 210-3) 각각에 충전 또는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복수의 S-BMS(210-1, 210-2, 및 210-3) 각각은 M-BMS(220)의 명령에 응답하여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 각각에 충전 또는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22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의 충전 상태(SOC)에 기초하여 충전 또는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M-BMS(22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 각각의 충전 상태(SOC)를 결정하고,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예를 들어, 110-1)을 결정할 수 있다.
M-BMS(22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 중에서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모듈(예를 들어, 110-2 및 110-3)에 무선 방전을 명령할 수 있다. 즉, M-BMS(22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 중에서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10-1)을 제외한 배터리 모듈(110-2 및 110-3)의 S-BMS(210-2 및 210-3)로 무선 방전을 명령할 수 있다. 이에,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모듈(110-2 및 110-3)은 인접한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로 에너지를 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터리 모듈(110-2)은 제1 배터리 모듈(110-1) 및 제3 배터리 모듈(110-3)로 에너지를 방전하고, 제3 배터리 모듈(110-3)은 제2 배터리 모듈(110-2)로 에너지를 방전할 수 있다.
또한, M-BMS(22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 중에서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10-1)에 무선 충전 및 무선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M-BMS(22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 중에서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10-1)의 S-BMS(210-1)에 무선 충전 및 무선 방전을 명령할 수 있다.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10-1)은 인접한 배터리 모듈(110-2)로부터 에너지를 충전하고 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 모듈(110-1)은 인접한 제2 배터리 모듈(110-2)로부터 에너지를 수신(충전)할 수 있다. 이때, 제2 배터리 모듈(110-2)은 인접한 제3 배터리 모듈(110-3)로부터 수신한(충전한) 에너지와 자신의 에너지를 제1 배터리 모듈(110-1)로 방전할 수 있다. 제2 배터리 모듈(110-2)이 제1 배터리 모듈(110-1)로 방전하는 자신의 에너지는 현재 제2 배터리 모듈(110-2)의 충전량과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충전량의 차이에 해당하는 에너지일 수 있다.
제1 배터리 모듈(110-1)은 S-BMS(210-1)의 명령에 응답하여, 제2 배터리 모듈(110-2)로부터 수신한(충전된) 에너지를 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 모듈(110-1)은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로 에너지를 방전할 수 있다. LDC는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또는 저전압 부하(0.5kW 내지 3kW)에 12~14VDC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M-BMS(22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의 충전 상태(SOC)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 배터리 밸런싱을 종료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배터리 팩(100)의 정보에 기초하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안테나(antenna) 또는 코일(coil)을 사용하여 배터리 팩(1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배터리 시스템(10)은 저온 환경에서 이상 없이 작동할 수 있고,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배터리 팩(100) 중에서 온도가 제1 기준값(the first reference value) 이하인 배터리 모듈(100-1, 110-2, 또는 110-3)이 있는 경우, 안테나를 사용하여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안테나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의 양쪽 면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온도가 0°C 이하인 배터리 모듈(100-1, 110-2, 또는 110-3)을 결정하고, 안테나를 사용하여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안테나에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배터리 팩(100) 중에서 온도가 제2 기준값(the second reference value) 이하인 배터리 모듈(100-1, 110-2, 또는 110-3)이 있는 경우, 안테나 및 코일을 사용하여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기준값은 제1 기준값보다 낮을 수 있다. 코일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의 양쪽 면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온도가 -10°C 이하인 배터리 모듈(100-1, 110-2, 또는 110-3)을 결정하고, 안테나 및 코일을 사용하여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안테나 및 코일에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이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의 내부에 있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 팩(100)은 세 개의 배터리 모듈(110-1, 110-2, 및 110-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안테나의 등가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10)은 M-BMS(220), 제1 안테나(321 및 322), 배터리 모듈(110-1~110-n), S-BMS(210-1~210-n), 및 제2 안테나(215-1~215-2n)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321 및 322) 및 제2 안테나(215-1~215-2n)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NFC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제1 배터리 모듈(110-1)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2 안테나(215-1)는 제1 면(111)에 구현되고, 제2 안테나(215-2)는 제2 면(112)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S-BMS(210-1)가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상단 면 또는 하단 면에 구현될 수 있다.
M-BMS(220)는 제1 안테나(321 및 322)를 통해 인접한 배터리 모듈(110-1 및 110-n)의 S-BMS(210-1 및 210-n)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220)는 제1 안테나(321)를 통해 제1 S-BMS(210-1)과 통신하고, 제1 안테나(322)를 통해 제n S-BMS(210-n)과 통신할 수 있다. 이에, M-BMS(22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M-BMS(220)는 제1 안테나(321)를 통해 제1 S-BMS(210-1)에 웨이크 업(wake up)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S-BMS(210-1)는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면 아이들 모드(idle mode)에서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아이들 모드는 휴면 모드이고, 액티브 모드는 배터리 모듈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M-BMS(220)는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제1 S-BMS(210-1)에 배터리 모듈(110-1 및 110-n)의 개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22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S-BMS(210-1)로부터 제n S-BMS(210-n)까지 CAN 메시지가 통과하면, 제n S-BMS(210-n)는 M-BMS(220)에 배터리 모듈(110-1 및 110-n)의 개수가 n개임을 알릴 수 있다.
M-BMS(22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110-n)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220)는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제1 S-BMS(210-1)에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1 S-BMS(210-1)는 연결된 제1 배터리 모듈(110-1)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는 전압, 전류, 및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S-BMS(210-1)는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S-BMS(210-1)는 획득한 정보 및 M-BMS(220)의 요청을 제2 안테나(215-2)를 통해 제2 S-BMS(210-2)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S-BMS(210-2)는 제2 안테나(215-3)을 통해 제1 S-BMS(210-1)로부터 정보 및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S-BMS(210-2)는 연결된 제2 배터리 모듈(110-2)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제3 S-BMS(210-3)로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n-1 S-BMS(210-n-1)는 제2 안테나(215-2n-2)를 통해 제n S-BMS(210-n)로 획득한 정보를 M-BMS(220)의 요청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n S-BMS(210-n)는 제2 안테나(215-2n-1)을 통해 제n-1 S-BMS(210-n-1)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n S-BMS(210-n)는 획득한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M-BMS(22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n S-BMS(210-n)는 제2 안테나(215-2n)를 통해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M-BMS(220)는 제1 안테나(322)를 통해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안테나(215-1~215-2n)에 대해서 설명하면, 안테나(215-1~215-2n)의 등가 회로는 저항(resistor; R)과 인덕터(inductor; L)가 직렬로 연결되고, 커패시터(capacitor; C)가 저항 및 인덕터에 병렬로 연결된 회로로 설명될 수 있다. 저항(R)은 안테나(215-1~215-2n)의 내부 저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등가 회로로 I[A]의 전류가 흐르고, 저항 및 인덕터 측에는 I1[A]의 전류가 흐르고, 커패시터 측에는 I2[A]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즉, 키르히호프의 법칙(Kirchhoff's law)에 따라, I = I1 + I2일 수 있다. 안테나(215-1~215-2n)에 I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Figure pat00001
[W]에 해당하는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안테나(215-1~215-2n)는 발열체로서 동작할 수 있다.
M-BMS(220)는 온도가 제1 기준값 이하인 배터리 모듈(예를 들어, 제2 배터리 모듈(110-2))을 감지한 경우, 해당 배터리 모듈(110-2)에 부착된 안테나를 사용하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220)는 제2 배터리 모듈(110-2)과 인접한 제1 배터리 모듈(110-1) 및 제3 배터리 모듈(110-3)이 제2 배터리 모듈(110-2)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2 배터리 모듈(110-2)의 온도가 상승하고, 배터리 팩(100)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안테나(215-1~215-2n)는 합금(alloy)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215-1~215-2n)는 티타늄(titanium(Ti)) 및 구리(copper(Cu))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M-BMS(220)는 안테나(215-1~215-2n)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S-BM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무선통신회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S-BMS(210-1)은 극성을 맞추어 제1 배터리 모듈(110-1)과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BMS(210-1)의 +극과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극이 서로 접속하고, 제1 S-BMS(210-1)의 -극과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극이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제1 S-BMS(210-1)는 컨트롤러(211), 컨버터(213), 제2 안테나(215-1 및 215-2), 및 무선통신회로(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217-1 및 217-2)를 포함한다.
컨트롤러(211)는 제1 S-BMS(2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11)는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한 정보를 변환하거나, 변환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11)는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컨버터(213)는 컨트롤러(211)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정보를 획득하여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버터(213)는 아날로그 형태의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컨버터(213)는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회로(217-1 및 217-2)는 컨트롤러(211)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제2 안테나(215-1 및 215-2)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안테나(215-1 및 215-2)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인접한 안테나(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로 방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안테나(215-1 및 215-2)는 도 5에 도시된 등가 회로와 같이 이해될 수 있다.
컨트롤러(211)는 M-BMS(220)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220)는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온도가 제1 기준값 이하인 것을 감지한 경우, 제1 S-BMS(210-1)로 하여금 온도를 상승시킬 것을 제어(명령)할 수 있다. 이에, 컨트롤러(211)는 제2 안테나(215-1 및 215-2)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안테나(215-1 및 215-2)는 티타늄(Ti) 및 구리(Cu)의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11)가 증폭기(216)에 전류(Heat 1)를 입력한 경우, 증폭기(216)는 증폭된 전류를 제2 안테나(215-1 및 215-2)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통신회로(217-1)는 무선통신드라이버(wireless communication driver; 212), 스위치(214), 및 증폭기(216)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드라이버(212)는 통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증폭기(216)는 OP 앰프(operational amplifier)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무선통신회로(217-1)는 버퍼(buffer)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214)는 버퍼 동작의 개폐(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회로(217-1)는 컨트롤러(211)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전류를 증폭할 수 있다. 이에,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통신회로(217-1)의 개략적인 블록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선통신회로(217-2)는 무선통신회로(217-1)와 구성 및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M-BM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M-BMS(220)는 컨트롤러(221), 제1 안테나(321 및 322), 및 무선통신회로(227-1 및 227-2)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제1 안테나(321 및 322) 및 무선통신회로(227-1 및 227-2)는 도 6에 도시된 제2 안테나(215-1 및 215-2) 및 무선통신회로(217-1 및 217-2)와 구성 및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제1 안테나(321 및 322), 및 무선통신회로(227-1 및 227-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러(221)는 M-BMS(2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21)는 MCU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21)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110-n)의 S-BMS(210-1~210-n)로 요청, 명령, 또는 정보 등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21)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요청하고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21)는 획득한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21)는 온도가 제1 기준값 이하인 배터리 모듈(110-1~110-n)을 감지하고, 해당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21)는 해당 배터리 모듈(110-1~110-n)의 S-BMS(210-1 및 210-n)로 온도를 상승시킬 것을 제어(명령)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 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10)은 M-BMS(220), 제1 안테나(325), 배터리 모듈(110-1~110-n), S-BMS(210-1~210-n), 및 제2 안테나(215-1~215-2n)를 포함한다.
M-BMS(220)는 제1 안테나(325)를 통해 제1 S-BMS(210-1)에 웨이크 업 신호를 송신하고,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2 안테나(215-1)를 통해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한 제1 S-BMS(210-1)는 아이들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어,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하여 마주보고 있는 제1 안테나(325) 및 제2 안테나(215-1)는 안테나 짝(antenna pair)으로 명명 수 있다. 제1 S-BMS(210-1)는 획득한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정보를 제2 안테나(215-2)를 통해 제2 S-BMS(210-2)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S-BMS(210-2)는 제2 안테나(215-3)를 통해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정보를 획득하면서 아이들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어, 제2 배터리 모듈(110-2)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접하여 마주보고 있는 제2 안테나(215-2) 및 제2 안테나(215-3)는 안테나 짝일 수 있다.
제n S-BMS(210-n)는 제2 안테나(215-2n-1)를 통해 배터리 모듈(110-1~110-n-1)의 정보를 획득하면서 아이들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어, 제n 배터리 모듈(110-n)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n S-BMS(210-n)는 획득한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제n-1 S-BMS(210-n-1)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제n S-BMS(210-n)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역방향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S-BMS(210-1)이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획득하면, 제1 S-BMS(210-1)는 제2 안테나(215-1)를 통해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M-BMS(220)로 송신할 수 있다.
M-BMS(220)는 제1 안테나(325)를 통해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획득하여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M-BMS(2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온도에 기초하여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출력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른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10)은 M-BMS(220), 제1 안테나(327 및 329), 배터리 모듈(110-1~110-n), S-BMS(210-1~210-n), 및 제2 안테나(215-1~215-2n)를 포함한다.
M-BMS(220)는 제1 안테나(327)를 통해 제1 S-BMS(210-1)에 웨이크 업 신호를 송신하고,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1 S-BMS(210-1)는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정보를 획득하여 인접한 제2 S-BMS(210-2)로 송신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원리가 적용되어, 제n S-BMS(210-n)는 제2 안테나(215-2n-1)를 통해 배터리 모듈(110-1~110-n-1)의 정보를 획득하면서 아이들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어, 제n 배터리 모듈(110-n)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n S-BMS(210-n)는 획득한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제2 안테나(215-2n)를 통해 M-BMS(22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M-BMS(220)는 제1 안테나(329)를 통해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를 획득하여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M-BMS(2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온도에 기초하여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출력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2a는 도 11에 도시된 제1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제1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10)은 M-BMS(520), 제1 안테나(521 및 522), 제1 코일(531 및 532), 배터리 모듈(110-1~110-n), S-BMS(610-1~610-n), 제2 안테나(615-1~615-2n), 및 제2 코일(613-1~613-2n)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안테나(521 및 522) 및 제2 안테나(615-1~615-2n)는 도 5에 도시된 등가 회로와 같이 이해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M-BMS(520), 제1 안테나(521 및 522), 제1 코일(531 및 532), 배터리 모듈(110-1~110-n), S-BMS(610-1~610-n), 및 제2 안테나(615-1~615-2n)는 도 3에 도시된 M-BMS(220), 제1 안테나(321 및 322), 배터리 모듈(110-1~110-n), S-BMS(210-1~210-n), 및 제2 안테나(215-1~215-2n)와 구성 및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차별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M-BMS(520)는 온도가 제1 기준값 이하인 배터리 모듈(예를 들어, 제2 배터리 모듈(110-2))을 감지할 수 있다. M-BMS(520)는 제2 배터리 모듈(110-2)에 부착된 제2 안테나(615-3 및 615-4)를 사용하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220)는 제2 배터리 모듈(110-2)과 인접한 제1 배터리 모듈(110-1) 및 제3 배터리 모듈(110-3)이 제2 배터리 모듈(110-2)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2 배터리 모듈(110-2)의 온도가 상승하고, 배터리 팩(100)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M-BMS(520)는 온도가 제2 기준값 이하인 배터리 모듈(예를 들어, 제3 배터리 모듈(110-3))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기준값은 제1 기준값보다 낮을 수 있다. M-BMS(520)는 제3 배터리 모듈(110-3)에 부착된 제2 안테나(615-5 및 615-6) 및 제2 코일(613-5 및 613-6)을 사용하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220)는 제3 배터리 모듈(110-3)과 인접한 제2 배터리 모듈(110-2) 및 제4 배터리 모듈(110-4)이 제3 배터리 모듈(110-2)과 통신 및 무선 전력 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3 배터리 모듈(110-3)의 온도가 상승하고, 배터리 팩(100)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온도를 감지함에 있어서, 온도가 제2 기준값 이하인지 우선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온도가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M-BMS(520)는 S-BMS(610-1~610-n)로 하여금 제2 안테나(615-1~615-2n) 및 제2 코일(613-1~613-2n)을 사용하여 온도를 제어하도록 제어(명령)할 수 있다.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온도가 제2 기준값 초과인 경우, 온도가 제1 기준값 이하인지 확인할 수 있다.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온도가 제1 기준값 이하인 경우, M-BMS(520)는 S-BMS(610-1~610-n)로 하여금 제2 안테나(615-1~615-2n)를 사용하여 온도를 제어하도록 제어(명령)할 수 있다.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온도가 제1 기준값 초과인 경우, 대기 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제1 배터리 모듈(110-1)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2 안테나(615-1)는 제1 면(111)에 구현되고, 제2 안테나(615-2)는 제2 면(112)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S-BMS(610-1)가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상단 면 또는 하단 면에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시스템(10)은 제1 코일(531 및 532) 및 제2 코일(613-1~613-2n)을 통해 배터리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코일(531 및 532)은 M-BMS(520)의 양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코일(613-1~613-2n)은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양쪽 면에 구현될 수 있다.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팩(1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으로 충전 또는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S-BMS(610-1~610-n) 각각은 M-BMS(520)의 명령에 응답하여, 제2 코일(613-1~613-2n)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충전 또는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충전 상태(SOC)에 기초하여 충전 또는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 각각의 충전 상태(SOC)를 결정하고,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예를 들어, 110-1)을 결정할 수 있다.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 중에서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모듈(예를 들어, 110-2~110-n)에 무선 방전을 명령할 수 있다. 즉,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 중에서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10-1)을 제외한 배터리 모듈(110-2~110-n)의 S-BMS(210-2~210-n)로 무선 방전을 명령할 수 있다. 이에,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모듈(110-2~110-n)은 제2 코일(613-1~613-2n)을 사용하여 인접한 배터리 모듈(110-1~110-n)로 에너지를 방전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10-2~110-n) 각각이 방전하는 에너지는, 배터리 모듈(110-2~110-n) 각각의 충전량과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충전량의 차이에 해당하는 에너지일 수 있다.
또한,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 중에서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10-1)에 무선 충전 및 무선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 중에서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10-1)의 S-BMS(210-1)에 무선 충전 및 무선 방전을 명령할 수 있다.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10-1)은 제2 코일(613-1 및 613-2)을 사용하여 인접한 배터리 모듈(110-2~110-n)로부터 에너지를 충전하고 방전할 수 있다.
제1 배터리 모듈(110-1)은 S-BMS(210-1)의 명령에 응답하여, 인접한 배터리 모듈(110-2~110-n)로부터 수신한(충전된) 에너지를 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 모듈(110-1)은 제2 코일(613-1 및 613-2)을 사용하여 M-BMS(520) 또는 LDC로 에너지를 방전할 수 있다.
M-BMS(520) 또는 LDC는 제1 코일(531 및 532)을 사용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M-BMS(520) 또는 LDC는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또는 저전압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520) 또는 LDC는 저전압 부하(0.5kW 내지 3kW)에 12~14VDC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충전 상태(SOC)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 배터리 밸런싱을 종료할 수 있다.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충전 상태(SOC)에 기초하여 배터리 팩(1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M-BMS(520)는 충전 상태(SOC)에 기초하여 배터리 모듈(110-1~110-n) 각각의 충전 가능 전력 및 방전 가능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M-BMS(520)는 충전 가능 전력 및 방전 가능 전력에 기초하여 배터리 팩(1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520)는 충전 가능 전력 및 방전 가능 전력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110-1~110-n)을 그룹핑(grouping)할 수 있다. M-BMS(520)는 그룹핑된 배터리 모듈(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 서로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룹핑된 배터리 모듈(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 서로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 팩(100)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M-BMS(520)는 그룹핑을 수행함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온도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520)는 온도가 제1 기준값 이하인 배터리 모듈(110-1~110-n) 및 이와 인접한 배터리 모듈(110-1~110-n)을 그룹핑할 수 있다. 또한, M-BMS(520)는 온도가 제2 기준값 이하인 배터리 모듈(110-1~110-n) 및 이와 인접한 배터리 모듈(110-1~110-n)을 그룹핑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S-BM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집적 회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S-BMS(610-1)은 극성을 맞추어 제1 배터리 모듈(110-1)과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BMS(610-1)의 +극과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극이 서로 접속하고, 제1 S-BMS(610-1)의 -극과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극이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제1 S-BMS(610-1)는 컨트롤러(611), 컨버터(612), 제2 코일(613-1 및 613-2), 선형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 614), 제2 안테나(615-1 및 615-2), 및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IC); 617-1 및 617-2)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컨트롤러(611), 컨버터(612), 및 제2 안테나(615-1 및 615-2)는 도 6에 도시된 컨트롤러(211), 컨버터(213), 및 제2 안테나(215-1 및 215-2)와 구성 및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S-BMS(610-1)는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정보를 M-BMS(520)로 송신하고, M-BMS(520)의 명령에 응답하여 배터리 밸런싱 및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선형 레귤레이터(614)는 컨트롤러(611)로 입력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레귤레이터(614)는 2.5~3V의 전압을 컨트롤러(611)로 입력시킬 수 있다. 선형 레귤레이터(614)는 LDO(low drop out) 레귤레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611)는 제1 S-BMS(6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611)는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한 정보를 변환하거나, 변환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인접한 배터리 모듈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611)는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컨버터(612)는 컨트롤러(611)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획득한 정보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버터(612)는 획득한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집적 회로(617-1 및 617-2)는 무선통신드라이버(710), 스위치(720), 증폭기(730 및 750), 및 무선전력드라이버(wireless power driver; 7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무선통신드라이버(710), 스위치(720), 및 증폭기(730)는 도 7에 도시된 무선통신드라이버(212), 스위치(214), 및 증폭기(216)와 구성 및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무선전력드라이버(740)는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도록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증폭기(750)는 OP 앰프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611)는 M-BMS(520)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520)는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온도가 제1 기준값 이하인 것을 감지한 경우, 제1 S-BMS(610-1)로 하여금 제2 안테나(615-1 및 615-2)를 사용하여 온도를 상승시킬 것을 제어(명령)할 수 있다. 이에, 컨트롤러(611)는 제2 안테나(615-1 및 615-2)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안테나(615-1 및 615-2)는 티타늄(Ti) 및 구리(Cu)의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611)가 증폭기(730)에 전류(Heat 1)를 입력한 경우, 증폭기(720)는 증폭된 전류를 제2 안테나(615-1 및 615-2)로 출력할 수 있다.
M-BMS(520)는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온도가 제2 기준값 이하인 것을 감지한 경우, 제1 S-BMS(610-1)로 하여금 제2 안테나(615-1 및 615-2) 및 제2 코일(613-1 및 613-2)를 사용하여 온도를 상승시킬 것을 제어(명령)할 수 있다. 이에, 컨트롤러(611)는 제2 안테나(615-1 및 615-2) 및 제2 코일(613-1 및 613-2)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611)가 증폭기(750)에 전류(Heat 2)를 입력한 경우, 증폭기(750)는 증폭된 전류를 제2 코일(613-1 및 613-2)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집적 회로(617-1)의 개략적인 블록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집적 회로(617-2)는 집적 회로(617-1)와 구성 및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집적 회로(617-1 및 617-2)는 컨트롤러(611)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제2 안테나(615-1 및 615-2)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안테나(615-1 및 615-2)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인접한 안테나(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로 방사할 수 있다.
또한, 집적 회로(617-1 및 617-2)는 컨트롤러(611)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충전 신호 또는 방전 신호를 제2 코일(613-1 및 613-2)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코일(613-1 및 613-2)은 제1 S-BMS(610-1)의 명령에 응답하여 인접한 배터리 모듈로 무선으로 충전 또는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른 예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10)은 M-BMS(520), 제1 안테나(533), 제1 코일(523), 배터리 모듈(110-1~110-n), S-BMS(610-1~610-n), 제2 코일(613-1~613-2n), 및 제2 안테나(615-1~615-2n)를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M-BMS(520), 제1 안테나(533), 배터리 모듈(110-1~110-n), S-BMS(610-1~610-n), 및 제2 안테나(615-1~615-2n)는 도 9에 도시된 M-BMS(220), 제1 안테나(325), 배터리 모듈(110-1~110-n), S-BMS(210-1~210-n), 및 제2 안테나(215-1~215-2n)와 구성 및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M-BMS(520)는 제1 코일(523)을 사용하여 배터리 밸런싱 및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520)는 온도가 제2 기준값 이하인 배터리 모듈(110-1~110-n)을 감지하는 경우, 제1 코일(523)을 통해 에너지를 충전 또는 방전시킬 수 있다.
이때, M-BMS(520)는 충전 상태(SOC)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110-1~110-n)을 그룹핑(group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520)는 충전 상태(SOC)에 기초하여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충전 가능 전력 및 방전 가능 전력을 계산하여 그룹핑을 수행할 수 있다. M-BMS(520)는 그룹핑된 배터리 모듈(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 서로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룹핑된 배터리 모듈(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 서로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 팩(100)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520)는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배터리 모듈(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을 결정할 수 있다.
M-BMS(520)는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모듈(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BMS(610-1~6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게 방전을 명령할 수 있다. 즉, M-BMS(520)는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모듈(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BMS(610-1~6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충전 상태(SOC)가 최소가 될 때까지 에너지를 방전시킬 수 있다.
M-BMS(520)는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배터리 모듈(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BMS(610-1~6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게 충전 및 방전을 명령할 수 있다. 즉,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배터리 모듈(110-1~1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S-BMS(610-1~610-n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배터리 모듈(110-1~110-n)로부터 전달받은 에너지를 통과시킬 수 있다.
M-BMS(520) 또는 LDC는 제1 코일(523)을 사용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M-BMS(520) 또는 LDC는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또는 저전압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520) 또는 LDC는 저전압 부하(0.5kW 내지 3kW)에 12~14VDC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온도가 모두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대기 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n)의 충전 상태(SOC)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 배터리 밸런싱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다른 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10)은 M-BMS(520), 제1 안테나(535 및 537), 제1 코일(525 및 527), 배터리 모듈(110-1~110-4), S-BMS(610-1~610-4), 제2 코일(613-1~613-8), 및 제2 안테나(615-1~615-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배터리 모듈(110-1)의 충전률은 80%이고, 제2 배터리 모듈(110-2)의 충전률은 80%이고, 제3 배터리 모듈(110-3)의 충전률은 70%이고, 제4 배터리 모듈(110-4)의 충전률은 70%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터리 모듈(110-1~110-4)의 충전률을 임의로 설정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BMS(520)는 제1 코일(525 및 527)을 사용하여 배터리 밸런싱 및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520)는 제1 코일(525 및 527)을 통해 에너지를 충전 또는 방전시킬 수 있다.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4)의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배터리 모듈(110-3 및 110-4)을 결정할 수 있다. 충전 상태(SOC)는 충전률을 포함할 수 있다.
M-BMS(520)는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모듈(110-1 및 110-2)의 S-BMS(610-1 및 613-2)에게 방전을 명령할 수 있다. 즉, M-BMS(520)는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모듈(110-1 및 110-2)의 S-BMS(610-1 및 613-2)는 배터리 모듈(110-1 및 110-2)의 충전 상태(SOC)가 최소가 될 때까지 에너지를 방전시킬 수 있다. 배터리 모듈(110-1 및 110-2)는 충전률이 70%가 될 때까지 에너지를 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 모듈(110-1)은 제2 코일(613-1 및 613-2)을 통해 에너지를 방전시킬 수 있다. M-BMS(520) 또는 LDC는 제2 코일(613-1)을 통해 방전된 에너지를 제1 코일(525)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2 배터리 모듈(110-2)은 제2 코일(613-2)을 통해 방전된 에너지를 제2 코일(613-3)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터리 모듈(110-2)은 제2 코일(613-3 및 613-4)을 통해 에너지를 방전시킬 수 있다. 즉, 제2 배터리 모듈(110-2)은 제1 배터리 모듈(110-1) 또는 제3 배터리 모듈(110-3)로 에너지를 방전시킬 수 있다.
M-BMS(520)는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배터리 모듈(110-3 및 110-4)의 S-BMS(610-3 및 613-4)에게 충전 및 방전을 명령할 수 있다. 즉, 충전 상태(SOC)가 최소에 해당하는 배터리 모듈(110-3 및 110-4)의 S-BMS(610-3 및 613-4)는 인접한 배터리 모듈(110-1 및 110-2)로부터 전달받은 에너지를 통과시킬 수 있다.
제3 배터리 모듈(110-3) 및 제4 배터리 모듈(110-4)은 제1 배터리 모듈(110-1) 및 제2 배터리 모듈(110-2)로부터 수신한 에너지를 통과시킬 수 있다. 제4 배터리 모듈(110-4)은 제2 코일(613-7 및 613-8)을 통해 에너지를 방전시킬 수 있다. M-BMS(520) 또는 LDC는 제2 코일(613-8)을 통해 방전된 에너지를 제1 코일(527)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M-BMS(520) 또는 LDC는 제1 코일(525 및 527)로부터 충전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또는 저전압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520) 또는 LDC는 저전압 부하(0.5kW 내지 3kW)에 12~14VDC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M-BMS(520)는 배터리 모듈(110-1~110-4)의 온도가 모두 제1 기준값을 초과할 때까지 배터리 밸런싱 및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터리 모듈(110-1~110-4)이 네 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S-BMS(610-1~610-4), 제2 코일(613-1~613-8), 및 제2 안테나(615-1~615-8)의 개수 또한 배터리 모듈(110-1~110-4)의 개수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자동차(810)가 도시된다. 자동차(810)는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일 수 있다.
배터리 시스템(10)은 배터리 팩(100)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배터리 팩(100)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모듈 각각은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0)은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 및 복수의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장치(S-BMS)를 포함한다. 복수의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장치(S-BMS) 각각은 서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장치(S-BMS)는 배터리 모듈 내의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물리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물리량 정보는, 예를 들어, 전압 정보, 전류 정보, 온도 정보, 중 임피던스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장치(S-BMS)는 수집된 물리량 정보를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장치(S-BMS)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수집된 물리량 정보를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로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수집된 물리량 정보를 기초로 배터리 셀, 배터리 모듈, 및/또는 배터리 팩(100)의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 또는 수명 상태(State Of Health, SO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배터리 셀의 방전과 관련된 출력 정보를 기록한다. 배터리 셀의 방전과 관련된 출력 정보는, 예를 들어, 배터리 팩(100)의 출력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터리 셀의 방전과 관련된 출력 정보는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배터리 팩(100)의 출력 전력을 센싱할 수 있다.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센싱된 출력 전력을 기록할 수 있다.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기록된 출력 정보를 기초로 배터리 팩(100)의 출력 패턴 정보를 결정한다.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결정된 출력 패턴 정보를 기초로 배터리 셀의 조정 컷 오프 물리량을 결정한다.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배터리 셀의 컷 오프 물리량을 조정 컷 오프 물리량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배터리 셀의 보호 회로의 컷 오프 전압에 대한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출력 패턴 정보가 저출력 패턴을 보인다면,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배터리 셀의 방전 컷 오프 물리량을 배터리 셀에 대해 미리 설정된 방전 컷 오프 물리량보다 낮게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셀의 사용 용량은 조정 전의 사용 용량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보다 적은 개수의 배터리 셀로 원하는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팩 설계 시 배터리 팩 내의 배터리 셀의 개수가 감소할 수 있어, 배터리 팩에 대한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자동차(810) 내의 동력 관리 시스템(예를 들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으로부터 요청 출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요청 출력 정보는 사용자가 자동차(810)의 액셀러레이터를 밟은 경우, 동력 관리 시스템이 연산한 전력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전력 지령(command)값)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배터리 팩(100)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충전 상태 및/또는 수명 상태)를 기초로 배터리 팩(100)의 출력 가능 전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요청 출력 정보가 출력 가능 전력 정보 이하이면,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요청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이 출력되도록 배터리 팩(100)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0)의 출력 전력은 자동차(810) 내의 인버터로 전달될 수 있다. 인버터는 출력 전력을 변환하고, 변환된 전력을 전기 모터에 전달할 수 있다.
요청 출력 정보가 출력 가능 전력 정보보다 크면,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출력 가능 전력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이 출력되도록 배터리 팩(1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배터리 관리 장치(M-BMS)는 요청 출력 정보만큼의 전력이 출력되지 못하는 내용 및/또는 충전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200)은 충전 가능(rechargeable) 배터리가 탑재되는 전자기기 또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탑재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6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17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pack); 및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은,
    인접한 배터리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antenna); 및
    상기 인접한 배터리 모듈과 전력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코일(coil)
    을 포함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코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하기 위한 NFC 안테나로 구현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양쪽 면에 구현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양쪽 면에 구현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를 수신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포함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제1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버퍼(buffer)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가 제2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코일 및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기준값은 상기 제1 기준값보다 낮은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SOC))를 포함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상태(SOC)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충전 가능 전력 및 방전 가능 전력을 계산하고, 상기 충전 가능 전력 및 상기 방전 가능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충전 가능 전력 및 상기 방전 가능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그룹핑(grouping)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14.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pack); 및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에 포함된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
    를 포함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하기 위한 NFC 안테나로 구현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양쪽 면에 구현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를 수신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의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포함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제1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버퍼(buffer)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제어하는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KR1020170138584A 2017-10-24 2017-10-24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KR20190045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84A KR20190045708A (ko) 2017-10-24 2017-10-24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US15/955,999 US20190123404A1 (en) 2017-10-24 2018-04-18 Apparatus with battery temperatur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84A KR20190045708A (ko) 2017-10-24 2017-10-24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708A true KR20190045708A (ko) 2019-05-03

Family

ID=6617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584A KR20190045708A (ko) 2017-10-24 2017-10-24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123404A1 (ko)
KR (1) KR201900457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0606A (zh) * 2020-12-23 2021-04-16 重庆峘能电动车科技有限公司 电池包及电动汽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301B1 (ko) * 2017-07-20 2021-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선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0893B (zh) * 2009-04-06 2014-11-05 阿克伦大学 电池组管理器单元和使用其来延长电池组的寿命的方法
US9002264B2 (en) * 2011-05-06 2015-04-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ntenna structure for a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
WO2015063945A1 (ja) * 2013-11-01 2015-05-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池制御システム
US10840726B2 (en) * 2016-07-07 2020-11-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ireless charging and battery hea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0606A (zh) * 2020-12-23 2021-04-16 重庆峘能电动车科技有限公司 电池包及电动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23404A1 (en)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604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시스템
US10730398B2 (en) Batter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JP6777510B2 (ja) バッテリ制御方法、バッテリ制御装置、及びバッテリパック
EP3557687B1 (en) Battery management unit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JP6580790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のための温度モニタリング装置及び方法
JP6840525B2 (ja) バッテリ制御方法、バッテリ制御装置、及びバッテリパック
US10023057B2 (en) Contactless charger and battery management
KR20180037733A (ko) 배터리 온도 제어 방법,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시스템
CN103475072B (zh) 用于车载电池充电器的控制导向唤醒电路
KR102655397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81868A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배터리 제어 시스템
US20140354212A1 (en) Power reserve apparatus, power system, and electric vehicle
US20140300311A1 (en) Portable power bank and battery booster
WO2017077838A1 (ja) 充電制御装置
JP2011501640A (ja) 電圧センサーと均等充電装置とが結合されたバッテリー管理
JP6764673B2 (ja) バッテリ制御装置、バッテリモジュール、バッテリパック、及びバッテリ制御方法
CN103947066A (zh) 用于平衡电力电池组元件的充电的装置
CN107408844A (zh) 用于在无线充电系统中生成无线功率接收器的负载的方法和无线功率接收器
EP2701263B1 (en)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changes the operating conditions of a battery charger
KR20200047075A (ko) 밸런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배터리팩
KR20190045708A (ko) 배터리 온도 제어 장치
US20230223784A1 (en) Supercapacitor system with temperature control
JP2024500195A (ja) 電池加熱システム、電池パック及び電力消費装置
CN114844167A (zh) 一种电池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579538B1 (ko)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