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009A - 파일 커플러 - Google Patents

파일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009A
KR20190045009A KR1020170137750A KR20170137750A KR20190045009A KR 20190045009 A KR20190045009 A KR 20190045009A KR 1020170137750 A KR1020170137750 A KR 1020170137750A KR 20170137750 A KR20170137750 A KR 20170137750A KR 20190045009 A KR20190045009 A KR 20190045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pressing
bodies
coupler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905B1 (ko
Inventor
정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
Priority to KR1020170137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9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커플러는, 상, 하부 파일(P1, P2)을 연결하는 커플러에 있어서, 대칭구조로 형성되어 일단은 힌지(H)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고정되며, 상기 상, 하부 파일(P1, P2)의 대향 부위가 삽입되도록 상하 개구되는 제1, 2 몸체(110, 120)와, 상기 제1, 2 몸체의 외주면 상단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 파일(P1)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파일(P1)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상부 가압구(130), 및 상기 제1, 2 몸체의 외주면 하단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 파일(P2)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 파일(P2)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하부 가압구(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일 커플러 {Pile coupler}
본 발명은 파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발전과 같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파일(pile)을 시공할 때, 상하 파일의 이웃한 단부를 연결하는 파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 등과 같은 지상구조물을 지반 상에 설치할 때, 지반이 연약하거나 지상구조물의 하중이 큰 경우 하중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 확보를 위해 지지용 파일이 사용된다.
여기서, 지지용 파일로는 PHC 파일과 같은 콘크리트계 파일, 강관 파일, 이종의 파일을 서로 연결한 복합 파일 등이 이용되고 있다.
콘크리트계 파일은 강관파일에 비해 자재비가 훨씬 저렴하지만 항타 시공시에 지반의 저항력이 커서 파일의 두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전단력이나 토크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강관 파일은 콘크리트계 파일에 비해 자재비가 비싼 단점이 있지만, 전단력이나 토크 등의 힘에 대해서도 저항력이 강하고 전 길이에 걸쳐 그 저항력이 균일하며 항타 시공도 용이하다.
이러한 콘크리트계 파일과 강관 파일의 단점을 극복하여 저렴하면서도 고품질의 지지파일을 확보하기 위해 이종의 지지파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한 복합 파일이 제작 및 시공되고 있으며, 이종의 지지파일을 서로 연결하는 커플러와 관련된 기술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 제1563159호에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파일과 파일의 단부(端部)들을 양쪽의 파일커플러로 감싸서 연결부위를 조인팅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파일커플러에 의해 연결 가능한 상하 파일의 직경과, 실제 연결하고자 하는 상하 파일의 직경이 상이할 때, 실제 연결할 상하 파일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그나마 연결할 수 있지만 견고한 고정이 어렵고, 상하 파일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커플러에 의한 연결이 난해하므로 상하 파일 각각의 직경마다 커플러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563159호 (등록일: 2015.10.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구조물을 지상에 고정시키는 상하부 파일의 직경에 맞게 상, 하부 가압구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하부 파일의 직경에 상관없이 상하부 파일의 연결 고정이 가능한 파일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커플러는, 상, 하부 파일(P1, P2)을 연결하는 커플러에 있어서, 대칭구조로 형성되어 일단은 힌지(H)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고정되며, 상기 상, 하부 파일(P1, P2)의 대향 부위가 삽입되도록 상하 개구되는 제1, 2 몸체(110, 120); 상기 제1, 2 몸체의 외주면 상단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 파일(P1)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파일(P1)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상부 가압구(130); 및 상기 제1, 2 몸체의 외주면 하단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 파일(P2)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 파일(P2)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하부 가압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2 몸체(110, 120)는 대향된 내주면에 상기 상부 파일(P)의 하단과, 상기 하부 파일(P2)의 상단의 위치를 한정하는 제1, 2 스토퍼(112a, 12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 하부 가압구(130, 140)는, 상기 상, 하부 파일(P1, P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일단에 구비되는 상, 하부 밀착구(132, 142); 및 상기 상, 하부 밀착구(132, 142)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2 몸체(110, 120)의 제1, 2 상부 체결홀(114, 124)과 제1, 2 하부 체결홀(116, 126)에 각각 나선 체결되는 상, 하부 체결축(134, 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110)의 타단에 형성된 제1 연장부(118)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몸체(1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 연장부(128)를 결속 또는 분리시키는 결속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160)는, 상기 제1 몸체(110)의 제1 연장부(118)에 설치되며, 내주면 일단과 타단에 제1 턱(164)과 제2 턱(166)이 각각 구비되는 고정구(162); 일단은 상기 고정구(162)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구(162)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외주면에 턱(172)이 형성되며, 타단 단부에 가압 경사면(174)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가압구(170); 상기 가압구(170)의 누름시 오므려지고, 상기 가압구(170)의 누름 해제시 벌려지도록 양쪽으로 분할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가압구(170)의 가압 경사면(174)과 각각 대응되도록 연동 경사면(182)이 각각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제1 몸체(120)의 제2 연장부(128)에 형성된 결속홀(128a)을 통과하여 결속되도록 걸림턱(184)이 돌출 형성되는 결속구(180); 상기 가압구(170)의 턱(172)과 상기 고정구(162)의 제2 턱(166)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구(17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스프링(176); 및 상기 가압구(170)의 대향면에 설치되어 상가 가압부(170)가 벌려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4 스프링(1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칭구조를 갖는 제1, 2 몸체의 상하부에 나선 체결된 상하부 가압구를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하여 상하부 파일의 외경에 대응하는 위치만큼 상하부 가압구를 이동시켜 상하부 밀착구를 지주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상하부 파일의 직경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일단이 힌지 연결된 제1, 2 몸체의 타단에 결속부재가 설치되어 볼트 및 너트를 통한 체결 방식 대비 제1, 2 몸체의 결속 시간이 단시간 내에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일 커플러를 통해 상하부 파일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부 파일에 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파일 커플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파일 커플러에 의해 상하부 파일 중 상부 파일의 외주면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파일 커플러에 의해 상하부 파일의 외주면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파일 커플러의 결속부재를 통해 제1, 2 몸체의 제1, 2 연장부를 결속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파일 커플러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일 커플러(100)는 대칭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은 힌지(H)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되는 제1, 2 몸체(110, 120)와, 제1, 2 몸체(110, 120)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상부 파일(P1)을 고정시키는 상부 가압구(130)와, 상기 제1, 2 몸체(110, 120)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하부 파일(P2)을 고정시키는 하부 가압구(140) 및 제1, 2 몸체(110, 120)의 타단에 설치되어 제1, 2 몸체(110, 120)의 타단을 상호 결속시키는 결속부재(160)를 포함한다.
제1, 2 몸체(110, 120)는 타단을 상호 결속시킬 때 결속부재(160)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볼트 및 너트 등을 통해서도 체결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 파일(P1)은 원형 단면이고, 하부 파일(P2)은 하부가 스파이럴(spiral) 형상일 수 있다. 하부 파일(P2)의 하부가 스파이럴 형상인 경우에는 하부 파일(P2)을 회전시키면서 파일을 박기 때문에 충격음과 같은 소음이 없으며 지반에 암반이 없더라도 파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파일 커플러(100)의 일측을 구성하여 제2 몸체(120)와의 결합시 파일 커플러(100)가 원통형 형상을 갖도록 하며, 제1 삽입부(112), 제1 상부 체결홀(114), 제1 하부 체결홀(116) 및 제1 연장부(118)를 포함한다. 한편, 제1 몸체(110)는 횡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몸체(120)와 결합되면 원형 형상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결합 형상이 다각형일 수도 있다.
제1 몸체(110)는 일단이 제2 몸체(120)와 힌지(H)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몸체(120)의 타단과 결속부재(160)를 통해 결속 또는 분리된다.
제1 삽입부(112)는 평면 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어 제2 몸체(120)의 제2 삽입부(122)와 결합시 내부에 상부 파일(P1)의 하단 일부와, 이와 하부 파일(P2)의 상단 일부가 각각 삽입된다.
제1 삽입부(112)에는 내주면 중심에 상부 파일(P)의 하단 위치와 하부 파일(P2)의 상단 위치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112a)가 반원 형태로 구비되며, 제2 삽입부(122)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스토퍼(122a)와의 인접시 환형 형상을 갖게 한다.
제1 상부 체결홀(114)은 제1 몸체(110)의 외주면 상단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부 가압구(130)의 상부 체결축(134)이 나선 체결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상부 체결홀(114)은 2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제2 몸체(120)의 제2 상부 체결홀(124) 역시 2개 형성되는 것을 감안하였을 때 90°마다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상부 체결홀(114)은 2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변동이 가능하다.
제1 하부 체결홀(116)은 제1 몸체(110)의 외주면 하단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하부 가압구(140)의 하부 체결축(144)이 나선 체결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제1 하부 체결홀(116)은 제1 상부 체결홀(114)과 대응되도록 2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제1 상부 체결홀(114)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제1 연장부(118)는 제1 몸체(110)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결속부재(160)가 설치되며, 제2 몸체(120)의 제2 연장부(128)와 밀착된 상태에서 결속부재(160)에 의해 제2 연장부(128)와 결속된다.
제2 몸체(120)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파일 커플러(100)의 타측을 구성하여 제1 몸체(110)와의 결합시 파일 커플러(100)가 원통형 형상을 갖도록 하며, 제2 삽입부(122), 제2 상부 체결홀(124), 제2 하부 체결홀(126) 및 제2 연장부(128)를 포함한다.
제2 몸체(120)는 일단이 제1 몸체(120)와 힌지(H)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몸체(110)의 타단과 결속부재(160)를 통해 결속 또는 분리된다.
제2 삽입부(122)는 평면 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어 제1 몸체(110)의 제1 삽입부(112)와 결합시 내부에 상부 파일(P1)의 하단 일부와, 이와 대향된 하부 파일(P2)의 상단 일부가 각각 삽입된다.
제2 삽입부(122)에는 내주면 중심에 상부 파일(P)의 하단 위치와 하부 파일(P2)의 상단 위치를 제한하는 제2 스토퍼(122a)가 반원 형태로 구비된다.
제2 상부 체결홀(124)은 제2 몸체(120)의 외주면 상단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부 가압구(130)가 나선 체결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2 상부 체결홀(124)은 제1 상부 체결홀(114)과 동일하게 2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변동이 가능하다.
제2 하부 체결홀(126)은 제2 몸체(120)의 외주면 하단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하부 가압구(140)의 하부 체결축(144)이 나선 체결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제2 하부 체결홀(126)은 제2 상부 체결홀(124)과 대응되도록 2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제1 상부 체결홀(124)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제2 연장부(128)는 제2 몸체(120)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어 결속부재(160)가 설치되며, 제1 몸체(110)의 제1 연장부(118)와 밀착된 상태에서 결속부재(160)에 의해 제1 연장부(118)와 결속된다.
상부 가압구(130)는 제1, 2 몸체(110, 120)의 제1, 2 상부 체결홀(114, 124)에 각각 체결되어 상부 파일(P1)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부 밀착구(132) 및 상부 체결축(134)을 포함한다.
상부 밀착구(132)는 제1, 2 몸체(110, 12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 파일(P1)의 외주면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부 밀착구(132)는 상부 파일(P1)의 외주면에 밀착될 때 접촉 면적이 커지도록 밀착면에 "V"자 형상 등의 홈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 밀착구(132)의 밀착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상부 파일(P1)의 외주면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부 체결축(134)은 상부 밀착구(132)의 바깥쪽 면 중앙에 설치되어 제1, 2 상부 체결홀(114, 124)과 나선 체결되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상부 체결축(134)은 단부가 제1, 2 상부 체결홀(114, 124)을 통해 제1, 2 몸체(110, 120)의 외부에 노출되며, 단부에 공구 삽입홈(136)이 형성되어 상부 가압구(130)의 회전시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통해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부 체결축(134)의 일단부에 볼트 머리가 일체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부 밀착구(132)와 나선 체결될 수도 있다.
상부 체결축(134)을 감싸면서 상부 밀착구(132)의 후면과 이와 대향된 제1, 2 몸체(110, 120)의 내주면에 상부 밀착구(13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0a)이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150a)은 제1, 2 상부 체결홀(114, 124)에서 상부 체결축(134)이 풀리지 않도록 상부 밀착구(132)를 상부 파일(P1)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하부 가압구(140)는 제1, 2 몸체(110, 120)의 제1, 2 하부 체결홀(116, 126)에 각각 체결되어 하부 파일(P2)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며, 하부 밀착구(142) 및 하부 체결축(144)을 포함한다.
이때, 하부 가압구(140)는 상부 가압구(130)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스프링(150b)에 의해 하부 밀착구(142)를 하부 파일(P2)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결속부재(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10)의 타단에 형성된 제1 연장부(118)의 설치홀(118a)에 설치되어, 제2 몸체(1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 연장부(128)의 결속홀(128a)을 결속 또는 분리시킨다. 그리고 결속부재(160)는 고정구(162), 가압구(170) 및 결속구(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속부재(160)는 제1 연장부(118)에 1개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162)는 제1 몸체(110)에 형성된 제1 연장부(118)의 외측면 중 설치홀(118a)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다.
고정구(16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 일단과 타단에 제1 턱(164)과 제2 턱(166)이 각각 구비된다.
제1 턱(164)은 가압구(170)의 턱(172)이 걸려 가압구(170)가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된 턱이고, 제2 턱(166)은 가압구(170)의 턱(172)과의 사이에 제3 스프링(176)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턱이다.
가압구(170)는 도 5 기준 우측단이 고정구(16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주면에 형성된 턱(176)이 고정구(162)의 제1 턱(164)에 걸려 분리되지 않으며, 우측면에 가압 경사면(174)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가압 경사면(174)은 도 5 기준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차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가압구(170)의 가압시 결속구(180)의 연동 경사면(182)을 가압하면서 이격된 결속구(180)의 간격이 좁아지게 하고, 가압구(170)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이격된 결속구(180)의 간격이 넓어지게 한다.
가압구(170)의 외주면에 형성된 턱(172)과 고정구(162)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턱(166)의 사이에는 제3 스프링(176)이 설치된다. 제3 스프링(176)은 가압구(170)의 가압시 압축되고, 가압구(170)의 가압력 해제시 신장되면서 복원력에 의해 가압구(170)를 원위치시킨다.
결속구(180)는 양쪽으로 분할 형성되어 가압구(170)의 누름시 오므려지고, 가압구(170)의 누름 해제시 벌려지며, 연동 경사면(182), 걸림턱(184), 가이드 홀(186) 및 고정홈(188)을 포함한다.
연동 경사면(182)은 가압구(170)의 가압 경사면(174)의 내부에 대향된 상태로 형성되어, 가압된 가압구(170)의 가압 경사면(174)에 의해 가압되면 경사면에 의해 결속구(180)의 간격이 좁아지게 한다. 그리고 가압 해제된 가압구(170)의 가압 경사면(174)이 후진하면 가압 경사면(174)에 의해 가해진 가압력이 연동 경사면(182)에서 해제되면서 결속구(180)의 간격이 원위치만큼 넓어진다.
걸림턱(184)은 도 5 기준 결속구(180)의 우측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결속홀(128a)의 지름보다 간격을 좁히면 제2 몸체(120)의 제2 연장부(128)에 형성된 결속홀(128a)에서 분리되고, 간격을 원위치시키면 결속홀(128a)에 결속된다.
이처럼 분할된 결속구(180)의 간격이 좁아져 걸림턱(184)들의 간격 역시 제2 몸체(120)의 제2 연장부(128)에 형성된 결속홀(128a)의 내경보다 좁아지면 제2 몸체(120)의 제2 연장부(128)가 제1 몸체(110)의 제1 연장부(118)와 분리된다. 반대로 분할된 가압구(170)의 간격이 넓어져 걸림턱(184)들의 간격 역시 제2 몸체(120)의 제2 연장부(128)에 형성된 결속홀(128a)의 내경보다 넓어지면 제2 몸체(120)의 제2 연장부(128)가 제1 몸체(110)의 제1 연장부(118)와 결속된다.
가이드 홀(186)은 도 5 기준 고정구(162)의 내부에 위치되는 좌측단 각각에 결속구(180)의 간격 조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고정구(162)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핀(P)이 내부에 위치된다.
가이드 홀(186)은 결속구(180)가 고정구(16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핀(P)이 고정되면서 결속구(180)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결속구(18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고정홈(188)은 도 5 기준 결속구(180)의 대향면 우측단에 형성되어 내부에 제4 스프링(190)이 장착된다.
제4 스프링(190)은 가압구(170)의 가압력 제거시 결속구(180)의 간격이 원위치되도록 가압구(17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146은 공구 삽입홈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커플러(100)를 통해 상하 파일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 파일(P2)을 지면에 고정시키고, 하부 파일(P2)의 상부에 상단에 구조물(10)이 설치될 상부 파일(P1)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 파일(P2)과 상부 파일(P1)의 대향 부위에 제1, 2 몸체(110, 120)의 타단을 벌린 파일 커플러(100)를 위치시킨 후 제1, 2 몸체(110, 120)의 타단을 오므린다.
다음으로, 제1, 2 몸체(110, 120)의 타단을 오므릴 때, 결속구(180)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면이 제2 몸체(120)의 제2 연장부(128)에 형성된 결속홀(128a)을 통과하면서 결속구(180)의 간격이 좁혀지고, 간격이 좁혀진 걸림턱(184)이 결속홀(128a)을 통과한 후 제4 스프링(190)의 복원력에 의해 양쪽의 결속구(180)가 벌어져 제1 연장부(118)와 제2 연장부(128)가 서로 결속된다.
다음으로, 하부 가압구(140)를 통해 하부 파일(P2)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함으로써 파일 커플러(100)의 하단을 하부 파일(P2)에 고정시킨다. 이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하부 체결축(144)의 공구 삽입홈(146)에 삽입한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2 하부 체결홀(116, 126)과 나선 체결된 하부 체결축(144)이 하부 파일(P2) 방향으로 각각 전진하게 되면서, 하부 밀착구(142)가 하부 파일(P2)의 외주면을 밀착 및 가압된다.
다음으로, 상부 가압구(130)를 통해 상부 파일(P1)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함으로써 파일 커플러(100)의 상단을 상부 파일(P1)에 고정시킨다. 이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상부 체결축(134)의 공구 삽입홈(136)에 삽입한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2 상부 체결홀(114, 124)과 나선 체결된 상부 체결축(134)이 상부 파일(P1) 방향으로 각각 전진하게 되면서, 상부 밀착구(132)가 상부 파일(P1)의 외주면을 밀착 및 가압된다.
더욱이, 파일 커플러(100)의 교체 등의 이유로 제1, 2 몸체(110, 120)의 타단을 벌려야 하는 경우, 작업자가 가압구(170)를 가압하게 되면 가압구(170)에 형성된 가압 경사면(174)이 이와 대향된 결속구(180)의 연동 경사면(182)을 각각 가압하면서 이격된 결속구(180)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결속구(180)의 간격이 좁아져 걸림턱(184)의 간격이 제2 연장부(128)의 결속홀(128a) 직경보다 작아지면 결속된 제2 연장부(128)가 제1 연장부(118)에서 분리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파일 커플러 110: 제1 몸체
112: 제1 삽입부 114: 제1 상부 체결홀
116: 제1 하부 체결홀 118: 제1 연장부
118a: 설치홀 120: 제2 몸체
122: 제2 삽입부 124: 제2 상부 체결홀
126: 제2 하부 체결홀 128: 제2 연장부
128a: 결속홀 130: 상부 가압구
132: 상부 밀착구 134: 상부 체결축
140: 하부 가압구 142: 하부 밀착구
144: 하부 체결축 150a, 150b: 제1, 2 스프링
160: 결속부재 162: 고정구
170: 가압구 172: 턱
174: 가압 경사면 176: 제3 스프링
180: 결속구 182: 연동 경사면
184: 걸림턱 186: 가이드 홀
188: 고정홈 190: 제4 스프링

Claims (5)

  1. 상, 하부 파일(P1, P2)을 연결하는 커플러에 있어서,
    대칭구조로 형성되어 일단은 힌지(H)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고정되며, 상기 상, 하부 파일(P1, P2)의 대향 부위가 삽입되도록 상하 개구되는 제1, 2 몸체(110, 120);
    상기 제1, 2 몸체의 외주면 상단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 파일(P1)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파일(P1)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상부 가압구(130); 및
    상기 제1, 2 몸체의 외주면 하단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 파일(P2)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 파일(P2)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하부 가압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몸체(110, 120)는 대향된 내주면에 상기 상부 파일(P)의 하단과, 상기 하부 파일(P2)의 상단의 위치를 한정하는 제1, 2 스토퍼(112a, 122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커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가압구(130, 140)는,
    상기 상, 하부 파일(P1, P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일단에 구비되는 상, 하부 밀착구(132, 142); 및
    상기 상, 하부 밀착구(132, 142)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2 몸체(110, 120)의 제1, 2 상부 체결홀(114, 124)과 제1, 2 하부 체결홀(116, 126)에 각각 나선 체결되는 상, 하부 체결축(134, 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커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110)의 타단에 형성된 제1 연장부(118)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몸체(1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 연장부(128)를 결속 또는 분리시키는 결속부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커플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60)는,
    상기 제1 몸체(110)의 제1 연장부(118)에 설치되며, 내주면 일단과 타단에 제1 턱(164)과 제2 턱(166)이 각각 구비되는 고정구(162);
    일단은 상기 고정구(162)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구(162)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외주면에 턱(172)이 형성되며, 타단 단부에 가압 경사면(174)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가압구(170);
    상기 가압구(170)의 누름시 오므려지고, 상기 가압구(170)의 누름 해제시 벌려지도록 양쪽으로 분할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가압구(170)의 가압 경사면(174)과 각각 대응되도록 연동 경사면(182)이 각각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제1 몸체(120)의 제2 연장부(128)에 형성된 결속홀(128a)을 통과하여 결속되도록 걸림턱(184)이 돌출 형성되는 결속구(180);
    상기 가압구(170)의 턱(172)과 상기 고정구(162)의 제2 턱(166)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구(17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스프링(176); 및
    상기 가압구(170)의 대향면에 설치되어 상가 가압부(170)가 벌려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4 스프링(1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커플러.



KR1020170137750A 2017-10-23 2017-10-23 파일 커플러 KR102061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750A KR102061905B1 (ko) 2017-10-23 2017-10-23 파일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750A KR102061905B1 (ko) 2017-10-23 2017-10-23 파일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009A true KR20190045009A (ko) 2019-05-02
KR102061905B1 KR102061905B1 (ko) 2020-02-17

Family

ID=6658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750A KR102061905B1 (ko) 2017-10-23 2017-10-23 파일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9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7166A (ja) * 2009-12-02 2011-06-16 Fuji Dengyosha:Kk 既設鋼管柱腐食防止補強材
KR101563159B1 (ko) 2015-01-13 2015-10-26 주식회사 신화 파일커플러
KR101584044B1 (ko) * 2015-10-26 2016-01-11 김경호 마이크로파일 커플러
KR20170021267A (ko) * 2017-02-07 2017-02-27 주식회사 한국에너솔라 파일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체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7166A (ja) * 2009-12-02 2011-06-16 Fuji Dengyosha:Kk 既設鋼管柱腐食防止補強材
KR101563159B1 (ko) 2015-01-13 2015-10-26 주식회사 신화 파일커플러
KR101584044B1 (ko) * 2015-10-26 2016-01-11 김경호 마이크로파일 커플러
KR20170021267A (ko) * 2017-02-07 2017-02-27 주식회사 한국에너솔라 파일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체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905B1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134B1 (ko) 콘크리트 파일용 엔드 플레이트
KR100791619B1 (ko) 철근 연결구
US20180335061A1 (en)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steel bars
CA3053999C (en) Rebar coupler
US7788779B2 (en) Pressing device
KR100965453B1 (ko)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MXPA04009299A (es) Un collar para acoplamiento de tuberia.
KR20100068452A (ko) 특히 모든 면을 강제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한 연결 방법 그리고 연결 장치
KR101486039B1 (ko) 압축과 인장에 의한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KR100712438B1 (ko) 철근 커플러
US4850096A (en) Method of joining pipes
US6484552B1 (en) Hinged die cage assembly
KR101913401B1 (ko) 강관 연결장치
KR101595327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20190045009A (ko) 파일 커플러
KR102101699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KR101807562B1 (ko) 철근 이음장치
US20050145005A1 (en) Press tool
KR102652961B1 (ko) 체결 장치 및 체결 어셈블리
KR200370224Y1 (ko) 철근 연결구
KR102401533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0975414B1 (ko)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KR20050002951A (ko) 원터치 방식의 관부재 이음장치
KR102062152B1 (ko) 철근 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KR20180048143A (ko) 철근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