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715A - Circulate and filter type water collec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irculate and filter type water collec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715A
KR20190044715A KR1020170136380A KR20170136380A KR20190044715A KR 20190044715 A KR20190044715 A KR 20190044715A KR 1020170136380 A KR1020170136380 A KR 1020170136380A KR 20170136380 A KR20170136380 A KR 20170136380A KR 20190044715 A KR20190044715 A KR 20190044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kimmer
inlet
diame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0594B1 (en
Inventor
고영식
정승균
정재민
Original Assignee
고영식
정재민
정승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식, 정재민, 정승균 filed Critical 고영식
Priority to KR102017013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594B1/en
Publication of KR2019004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7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A circulation and filtration type water collecting device comprises: a water tank including a breeding water inlet arranged on a lower part of a reference surface, a skimmer inlet and outlet arranged in a flowing direction of inflow water introduced from the breeding water inlet, a biofiltration breeding water outlet arranged on an upper part of the reference surface, and an anaerobic microorganism inlet; a skimmer for introducing the inflow water through the skimmer inlet to perform foam separation on the inflow water, and providing foam separation discharge water to the skimmer outlet; and an anaerobic tank for performing an object control of an anaerobic microorganism and introducing the anaerobic microorganism through the anaerobic microorganism inlet. Therefore, the circulation and filtration type water collecting device is connected to a farming water tank to collect breeding water, and circulates and filters the collected breeding water to circulate the same into the farming tank.

Description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CIRCULATE AND FILTER TYPE WATER COLLECTING APPARAT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tion 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순환여과형 집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식 수조에 연결되어 사육수를 집수시키고, 집수된 사육수를 순환 및 여과시켜 양식 수조로 순환시키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ting-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irculating-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connected to a aquaculture tank for collecting breeding water and circulating and filtering the collected breeding water to the aqua- will be.

일반적으로, 물고기 양식은 정수식 양식, 유수식 양식, 가두리 양식, 순환 여과식 양식이 있고, 물고기의 양식시설은 양식하는 고기의 종류·목적·방법에 따라 시설의 구조·형태·크기가 달라진다.In general, there are fish farming systems, water farming farms, cage farming farms, circulation farming farms, and fish farming facilities vary in structure, form and size depending on the type, purpose and method of meat to be farmed.

순환식 양식은 수족관이나 가정에서 관상용 어류를 기르는데 쓰이던 방법을 대규모화한 것으로 수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면서 용존산소를 늘려 적은 수량으로 많은 수산동물을 양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식 생물이 배설하는 암모니아나 유기물은 수중이나 여과층에 서식하는 세균의 작용으로 무기물로 분해되고, 어류에 해로운 암모니아·아질산 등은 독성이 약한 질산염으로 변환된다. 소규모의 관상용 수조의 경우 물 속의 먼지·배설물·먹이찌꺼기 등을 수조 내에서 모래·자갈층으로 여과시키는 경우도 있지만, 대규모 양식 시설에서는 이들을 침전·분리시켜서 뽑아내어 여과조와는 별도로 처리한다. 수조 내에서 여과시키는 방법을 쓸 때 오래 사용하거나 너무 많은 어류를 수용하면 여과층이 막히는 일이 있으므로 때때로 씻어 주어 여과능력을 개선시켜야 한다. 물의 순환은 펌프에 의하며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산소를 공급해 주어야 하므로 펌프로 포기를 해준다.Circulating aquaculture is a large-scale method used to grow ornamental fish in aquariums and homes. It aims to grow many aquatic animals in small quantities by increasing dissolved oxygen while eliminating harmful substances in the water. Ammonia and organic matter excreted by aquaculture organisms are decomposed into minerals by the action of germs in the water and the filtration layer, and ammonia and nitrite, which are harmful to fish, are converted into nitrate which is less toxic. In the case of a small ornamental water tank, the dust, excrement and food waste in the water may be filtered into the sand or gravel layer in the water tank, but in large-scale aquaculture facilities, they are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filtration tank. If you use a filter in the tank, you may need to wash it occasionally to improve its filtration ability because it may clog the filter layer if it is used for a long time or if it contains too many fish. The circulation of water is by the pump and oxygen is supplied to accelerate the decomposition of the organic matter, so it gives up by the pump.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8055(2015.03.26)호는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다각형의 수조외벽으로 이루어진 수조본체; 상기 수조본체 외부에는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다각형의 수조외벽으로 이루어진 부수조와 집수정이 설치되고; 사육수 공급파이프는 집수정에서 출발하여 수조본체로 연결되고; 상기 수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사육수는 부수조와 배수파이프로 연결되고; 부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사육수는 집수정과 복수개의 파이프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스키머를 이용한 바이오플락용 복합양식수조이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08055 (Feb. 26, 2015) discloses a water tank body comprising a bottom portion having an open top and a predetermined area and a polygonal outer wall of the water tank; A water tank having a bottom and a polygonal outer wall having an open top and a predetermined area, The breeding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body starting from the house collection; The bree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body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the drain pipe; And the bree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tank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ipes through collecting and collecting.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4693(2002.04.17)호는 광물미립자와 포말분리장치를 이용한 어류 사육수의 순환여과식 어류양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광물미립자를 사육수에 현탁시켜, 어류로부터 발생되는 노폐물을 분해 흡착시키고, 이를 포말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사육수로부터 분리하여 배출시켜 사육수를 정화하여 재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미립자와 포말분리장치를 이용한 어류 사육수의 순환여과식 어류양식방법이며, 구조가 간단해서 관리유지에 특별한 어려움이 없으며, 90%이상의 사육수를 재사용하므로서 수자원의 풍족하지 못한 곳에서 사용하기 유리하며, 사육수의 오염과 외부 병원생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사육수의 수온조절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어 어류의 사육 성장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34693 (Apr. 14, 2002) discl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irculating and filtering fish culture using fish micro-particles and a foam separator, wherein micro-fine particles are suspended in fish, And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waste water from the water by using a foam separator to purify and reuse the water of the breeding water. The micro-particles and the foam separator are used for the circulation filtration of fish, It is a method of farming, it is simple in structure, so there is no particular difficulty in maintenance and it is advantageous to use in an inadequate place of water resources by reusing more than 90% of breeding water, The energy required for water temperature control can be saved, thereby enhancing the growth rate of the fish.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8055(2015.03.26)호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08055 (Feb.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4693(2002.04.17)호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34693 (Apr. 14, 20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양식 수조에 연결되어 사육수를 집수시키고, 집수된 사육수를 순환 및 여과시켜 양식 수조로 순환시킬 수 있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lating-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connected to a culture water tank, collecting water for breeding water, and circulating and filtering collected water to circulation to a culture water tank.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양식 수조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면적을 최소화하고 집수된 사육수를 한 곳에서 처리할 수 있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lating-filtration-type collecting device which is separately provided outside the aquaculture tank and can minimize the area and treat the collected water in one pl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집수조에 수질 첨가조, 혐기조 및 스키머를 연결하여 최소의 공간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순환 및 여과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lating-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circulating and filtering the most efficiently in a minimum space by connecting a water-adding tank, an anaerobic tank and a skimmer to a collecting tank.

실시예들 중에서,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는 기준면의 하부에 배치된 사육수 유입구, 상기 사육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유입수의 흐름 방향에 배치되는 스키머 유입구와 배출구, 상기 기준면의 상부에 배치된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 및 혐기성 미생물 투입구를 포함하는 집수조, 상기 스키머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입수를 유입시켜 상기 유입수에 관한 포말 분리를 수행하여 포말 분리 배출수를 상기 스키머 배출구에 제공하는 스키머 및 혐기성 미생물의 개체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혐기성 미생물 투입구를 통해 상기 혐기성 미생물을 투입하는 혐기조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circulation 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includes a breeding water inle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ference surface, a skimmer inlet and an outlet disposed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inflow water introduced from the breeding water inlet, A water collecting tank including a breeding water outlet and an anaerobic microorganism input port, a skimmer for introducing the influent water through the skimmer inlet to perform a foam separation on the influent water to provide a foam separation effluent to the skimmer outlet, and an object control of the anaerobic microorganism And an anaerobic tank for introducing the anaerobic microorganisms through the anaerobic microorganism input port.

집수조는 유속 측정 센서, 외부에 설치된 에어 브로어와 연결되어 산소를 제공받고 바닥에 배치된 폐쇄형 루프를 통해 수중으로 산소를 방출하는 산소 방출관 및 상기 유속 측정 센서를 통해 수신된 유속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에어 브로어의 산소 공급량을 제어하는 산소량 공급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ng tank includes a flow rate measuring sensor, an oxygen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external air blower to receive oxygen and discharge oxygen in the water through a closed loop disposed on the floor, and a flow rate sensor based on the flow rate data received through the flow rate measuring sensor And an oxygen amount supply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xygen supply amount of the air blower.

산소량 공급 제어모듈은 상기 에어 브로어에 설치된 팬의 속도를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The oxygen amount supply control module can control the speed of the fan installed in the air blower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Mathematical Expression]

ω = v * αω = v * α

여기에서, ω는 상기 에어 브로어에 설치된 팬의 각속도, v는 상기 집수조의 유속 및 α는 각속도와 유속 간의 변수에 해당한다.Here, omega is the angular velocity of the fan installed in the air blower, v is the flow velocity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alpha is a variable between the angular velocity and the flow velocity.

상기 스키머 유입구와 상기 스키머를 연결하고 지름 Ø(상기 Ø는 자연수)으로 구성된 메인 파이프 및 상기 스키머의 전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혐기조를 연결하며 상기 지름 Ø의 1/2에 해당하는 지름을 가지는 서브 파이프로 구성된 배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A main pipe connecting the skimmer inlet and the skimmer and having a diameter Ø (Ø is a natural number), and a sub pipe branched from the front end of the skimmer and connecting the anaerobic tank and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½ of the diameter Ø And may comprise a constructed piping structure.

집수조는 내부에 산소, pH 및 암모니아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수질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ng tank may include a water quality sensor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oxygen, pH and ammonia values therein.

상기 사육수 유입구의 지름과 상기 메인 파이프의 지름 간의 길이 비는 10:1에 해당할 수 있다.The length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the breeding water inlet and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may correspond to 10: 1.

상기 사육수 유입구의 지름과 상기 서브 파이프의 지름 간의 길이 비는 20:1에 해당할 수 있다.The length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the breeding water inlet and the diameter of the subpipe may be 20: 1.

상기 사육수 유입구의 지름과 상기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의 지름 간의 길이 비는 4:1에 해당할 수 있다.The length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the breeding water inlet and the diameter of the biofiltration water outlet may be 4: 1.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iqu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hereby, as it is not meant to imply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는 양식 수조에 연결되어 사육수를 집수시키고, 집수된 사육수를 순환 및 여과시켜 양식 수조로 순환시킬 수 있다.The circulation 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aquaculture tank to collect the breeding water, and circulate and collect the collected breeding water to the aquaculture water tan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는 양식 수조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면적을 최소화하고 집수된 사육수를 한 곳에서 처리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parately installed outside the aquaculture tank to minimize the area and treat the collected water in one pl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는 집수조에 수질 첨가조, 혐기조 및 스키머를 연결하여 최소의 공간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순환 및 여과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irculate and filter the most efficiently in a minimum space by connecting a water adding tank, an anaerobic tank and a skimmer to a collecting tan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형 양식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irculating filtration typ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irculating-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 first ",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 have "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형 양식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irculating filtration typ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순환여과형 양식 시스템(10)은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양식 수조(200)를 포함한다.1, a circulating-filtration aquaculture system 10 includes a circulating-filtration collector device 100 and at least one aquarium tank 200.

일반적으로, 순환여과식 양식은 수조 속의 물을 계속 순환·여과시켜서 많은 어류들을 양식하는 방법이다. 순환여과식 양식의 경우, 물 속의 배설물·먹이 찌꺼기 등의 불순물들을 모래 또는 자갈층으로 여과시키는 소규모 양식과 침전·분리시켜서 뽑아내는 대규모 양식 방법이 있다. 종래의 순환여과식 양식은 불순물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육수의 일부를 배출시키고 불순물을 포함하는 사육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모터를 설치하는 등의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general, circulation filtration is a way of continuously cultivating many fish by circulating and filtering the water in the tank. In the case of recirculating filtration, there is a large-scale farming method in which impurities such as excrement and food waste in the water are filtered through a sand or gravel layer, and sedimentation and separation are carried out. Conventional circulation filtration method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such as discharging a part of the breeding water to remove impurities and installing a separate motor for moving the breeding water containing impurities.

순환여과형 양식 시스템(10)은 양식 수조들(200) 외부에 별도로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를 설치하고, 양식 수조들(200) 각각으로부터 사육수를 집수하여 하나의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에서 순환 및 여과시킬 수 있다.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은 종래의 순환여과형 양식 수조 대비 여과시키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체 순환여과형 양식 시스템(10)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시설비도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The circulating filtration type aquaculture system 10 is provided with a circulation 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100 separately from the aquarium tanks 200 and collects the breeding water from each of the aquarium tanks 200, And can be circulated and filtered in the modification device 100. The circulation filtration type collecting apparatus 100 can reduce the filtration area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irculation filtration type aquarium and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entire circulation filtration type aquarium system 10 to improve the space efficiency,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saving.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는 양식 수조들(200) 보다 낮게 설치되어 별도의 모터를 통한 사육수의 이동을 제어할 필요가 없고, 높이 단차를 이용하여 양식 수조들(200)로부터 사육수를 집수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는 양식 수조들(200)의 유속에 맞게 사육수의 유입·배출을 제어하기 때문에 양식 생물의 운동성을 유지시킬 수 있고, 사육수 내의 불순물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다.The circulation filtration collecting device 100 is installed lower than the aquariums 200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reeding water through a separate motor, So that energy efficiency can be enhanced. In addition, the circulation-filtration type collecting apparatus 100 can control the inflow / outflow of the breeding water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culture water tanks 200, so that it can maintain the mobility of aquatic organisms and more effectively decompose the impurities in the breeding water .

일 실시예에서,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는 일반적인 어류 양식에 활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새우양식에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류, 갑각류를 포함하는 모든 양식에 적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irculating-filtration collector device 100 may be utilized in a general fish culture, specifically, in shrimp cul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ll forms, including fish and crustaceans. .

도 2는 도 1에 있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a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의 배치도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irculating-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circulating-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and FIG.

도 2를 참조하면,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는 집수조(210), 스키머(220), 수질 첨가조(230), 혐기조(240), 모터(250), 산소 방출관(260), 유속 측정 센서(270), 수질 측정 센서(280) 및 에어 브로어(290)를 포함한다.2, the circulation 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100 includes a water collecting tank 210, a skimmer 220, a water adding tank 230, an anaerobic tank 240, a motor 250, an oxygen discharge pipe 260, A flow rate measuring sensor 270, a water quality measuring sensor 280 and an air blower 290. [

집수조(210)는 양식 수조들(200) 각각으로부터 사육수를 유입하여 집수하는 물 탱크로 구현될 수 있고,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ng tank 210 may be implemented as a water tank for collecting and collecting the breeding water from each of the aquaculture water tanks 200, and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ave.

집수조(210)는 기준면의 하부에 배치된 사육수 유입구(212), 기준면의 상부에 배치된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214)를 포함하고, 스키머 유입구와 배출구(222, 224), 수질 첨가제 투입구(232) 및 혐기성 미생물 투입구(2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collecting tank 210 includes a breeding water inlet 212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ference surface and a biofiltration water discharging outlet 214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ference surface and includes a skimmer inlet and outlet ports 222 and 224, 232) and an anaerobic microorganism inlet (242).

일 실시예에서,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는 양식 수조들(200) 각각에 연결된 배관을 지면 아래에 설치하고, 각각의 배관들은 집수조(210)와 연결될 수 있다. 집수조(210)는 지면 아래에 배치된 사육수 유입구(212)를 통해 양식 수조들(200) 각각으로부터 배출되는 사육수를 집수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는 집수조(210)에 설치된 사육수 유입구(212)를 통해 유입된 사육수를 집수시키고, 집수된 사육수를 스키머(220), 수질 첨가조(230) 및 혐기조(240)으로 순환하여 여과된 생물 여과 사육수를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214)를 통해 양식 수조들(200) 각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사육수 유입구(212)과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214)는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고, 설계에 따라 그 개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irculation filtration collect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below the ground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aquariums 200, and each piping may be connected to the catchment vessel 210. The water collecting tank 210 can collect the breeding water discharged from each of the culture water tanks 200 through a breeding water inlet 212 disposed below the ground. The circulation filtration collecting device 100 collects the breed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breeding water inlet 212 provided in the collecting tank 210 and supplies the collected breeding water to the skimmer 220 and the water quality adding tank 230, And the anaerobic tank 240 to be discharged to each of the culture water tanks 200 through the biofiltration water discharge port 214. Here, the breeding water inlet 212 and the biofiltration water outlet 214 may be implemented in a plurality, and the number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sign.

일 실시예에서,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사육수를 순환 및 여과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circulating and filtering the breeding water performed in the circulation-type collecting device 100 is as follows.

사육수 유입구(212)로부터 유입된 사육수는 스키머(220)로 유입되어 포말 분리를 수행할 수 있고, 포말 분리된 포말 분리 배출수는 스키머 배출구(224)를 통해 집수조(210)로 유입될 수 있고, 일부의 포말 분리 배출수는 수질 첨가조(230) 또는 혐기조(240)로 유입될 수 있다. 수질 첨가조(230) 또는 혐기조(240) 각각에서 여과된 사육수는 다시 스키머(220)로 유입되어 포말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는 순환 및 여과된 사육수(생물 여과 사육수)는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214)를 통해 배출되어 양식 수조들(200) 각각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214)는 집수조(2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외부 모터(250)에 의해 사육수를 끌어올려 배출될 수 있다.The breed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breeding water inlet 212 flows into the skimmer 220 to perform the foam separation and the separated foam discharge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vessel 210 through the skimmer outlet 224 , Some of the foam separation efflue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adding tank 230 or the anaerobic tank 240. The breeding water filtered in each of the water quality addition tank 230 or the anaerobic tank 240 flows into the skimmer 220 to perform the foam separation. Finally, the circulating and filtering type water collecting apparatus 100 can circulate and filter the filtered water (biofiltration water) through the biofiltration water outlet 214 and into each of the aquarium 200 . The biofiltration water discharge port 214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210 and may be discharged by lifting the water by the external motor 250.

일 실시예에서, 스키머 유입구(212)는 사육수 유입구(212)로부터 유입된 유입수의 흐름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키머(220)는 스키머 유입구(212)로부터 유입된 유입수에 관한 포말 분리를 수행하여 포말 분리 배출수를 스키머 배출구(214)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키머(220)는 어류 양식에 사용되는 단백질 제거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사육수에 포함된 단백질 유기물 등을 제거하는 포말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kimmer inlet 212 may be positioned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influent incoming from the feedwater inlet 212 and the skimmer 220 may perform a foam separation on the influent incoming from the skimmer inlet 212 So that the separat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skimmer outlet 214. Here, the skimmer 220 may be implemented as a protein removal device used in fish culture, and may perform foam separation to remove protein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breeding water.

구체적으로,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는 사육수 유입구(212)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스키머 유입구(222)를 설치할 수 있고, 유입된 사육수는 스키머(220)로 이동되어 포말 분리될 수 있다. 스키머(220)는 외부에 설치된 모터(250)를 통해 유입된 사육수를 회전시켜 포말 분리를 수행할 수 있고, 포말 분리된 포말 분리 배출수는 스키머 배출구(224)를 통해 집수조(210)로 다시 유입되거나, 서브 파이프(225)를 통해 수질 첨가조(230) 또는 혐기조(240)로 유입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filtration collecting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skimmer inlet 222 at a distance closest to the breeding water inlet 212 and the inflow water may be moved to the skimmer 220, have. The skimmer 220 can perform the foam separation by rotating the incoming water through the motor 250 installed in the outside, and the separated foam discharge water flows back into the collection tank 210 through the skimmer outlet 224 Or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quality addition tank 230 or the anaerobic tank 240 through the subpipe 225.

일 실시예에서, 스키머(220)는 스키머 유입구(222)와 스키머 배출구(224)의 배치되는 위치를 각각 다르게 형성할 수 있고, 스키머 배출구(224)를 스키머 유입구(222) 보다 낮게 배치할 수 있다. 스키머(220)는 사육수에 포함된 단백질 유기물을 포말에 흡착시켜 분리하기 때문에 단백질이 제거된 사육수는 상대적으로 스키머(220)의 하부에 수집되어 스키머 배출구(224)는 스키머 유입구(222)보다 낮게 설치되어 포말 분리된 배출수를 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kimmer 220 may be configured to position the skimmer inlet 222 and the skimmer outlet 224 differently, and the skimmer outlet 224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skimmer inlet 222 . Since the protein material contained in the breeding water is separated and adsorbed on the foam, the protein removal water is collec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kimmer 220 and the skimmer outlet 224 is collected in the skimmer inlet 222 It is installed low and can discharge foam separated water.

일 실시예에서, 수질 첨가조(230)는 사육수의 pH 수치, 암모니아 수치를 기초로 pH 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식물성 원료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질 첨가조(230)는 수질 측정 센서(280)로부터 수신된 사육수의 pH 수치에 따라 탄산염을 조절하여 첨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quality addition vessel 230 can adjust the pH concentration based on the pH value of the raising water, the ammonia level, and add the vegetable raw material. For example, the water quality addition tank 230 can be adjusted by adding carbonate in accordance with the pH value of the feed water received from the water quality sensor 280.

일 실시예에서, 혐기조(240)는 혐기성 미생물의 개체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혐기성 미생물 투입구(242)를 통해 혐기성 미생물을 사육수에 투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혐기성 미생물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생활하는 혐기성 세균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aerobic tank 240 may perform individual control of the anaerobic microorganism, and may enter the anaerobic microorganism through the anaerobic microorganism input port 242. Here, the anaerobic microorganism may be an anaerobic microorganism living in an oxygen-free environment.

혐기성 세균은 사육수에 포함된 호기성 세균이 배출하는 배설물 등을 먹이로 증식할 수 있다. 양식 과정 중에 호기성 세균이 증식함에 따라 호기성 세균이 배출하는 배설물(암모니아, 탄산염 등)로 인해 사육수가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데, 혐기성 세균을 사육수에 첨가하여 호기성 세균의 배설물을 제거할 수 있다. Anaerobic bacteria are able to multiply by feeding the excreted matter of aerobic bacteria contained in the breeding water. As the aerobic bacteria multiply during the aquaculture process, aerobic bacteria are polluted by the excrement (ammonia, carbonate etc.) discharged from the aerobic bacteria, and the odor is generated. The anaerobic bacteria can be added to the breeding water to remove the aerobic bacteria have.

일 실시예에서, 집수조(210)는 내부에 유속 측정 센서(270)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에 설치된 에어 브로어(290)와 연결되어 산소를 방출하는 산소 방출관(260)을 포함할 수 있다. 산소 방출관(260)은 에어 브로어(290)로부터 산소를 제공받아 집수조(210) 내부에 산소를 방출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집수조(210)의 바닥에 배치될 수 있으며 폐쇄형 루프를 통해 수중으로 산소를 방출할 수 있다. 산소 방출관(260)은 폐쇄형 루프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집수조(210) 내부에 보다 많은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단일의 폐쇄형 루프가 아닌 복수 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collection vessel 210 may include an internal flow rate sensor 270 and may include an oxygen discharge tube 260 coupled to an externally mounted air blower 290 to discharge oxygen have. The oxygen discharge pipe 260 may receive oxygen from the air blower 290 and discharge oxygen into the water collecting tank 210. Specifically, the oxygen discharging pipe 260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210, Oxygen can be released into the water. The oxygen discharge pipe 260 may be formed in a closed loop structure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tructures other than a single closed loop to supply more oxygen into the water collecting vessel 210,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일 실시예에서,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는 유속 측정 센서(270)를 통해 수신된 유속 데이터를 기초로 에어 브로어(290)의 산소 공급량을 제어하는 산소량 공급 제어모듈(27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소량 공급 제어모듈(272)은 에어 브로어(290)에 설치된 팬의 속도를 제어하여 산소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고, 다음의 수학식을 따라 팬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irculating-filtrated collector device 100 includes an oxygen amount supply control module 272 that controls the oxygen supply amount of the air blower 290 based on the flow rate data received via the flow rate measurement sensor 270 . Specifically, the oxygen amount supply control module 272 can control the oxygen supply amount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fan installed in the air blower 290, and can control the speed of the fan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Mathematical Expression]

ω = v * αω = v * α

여기에서, ω는 에어 브로어(290)에 설치된 팬의 각속도, v는 집수조(210)의 유속 및 α는 각속도와 유속 간의 변수에 해당한다.Here, omega is the angular velocity of the fan installed in the air blower 290, v is the flow velocity of the water collecting vessel 210, and alpha is a variable between the angular velocity and the flow velocity.

산소량 공급 제어모듈(272)은 유속 측정 센서(270)로부터 집수조(210) 내 유속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유속 데이터를 기초로 에어 브로어(290)에 설치된 팬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위의 수학식에 따라, 산소량 공급 제어모듈(272)은 집수조(210)의 유속이 빠를수록 에어 브로어(290)의 팬의 속도를 높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집수조(210)의 유속이 빠를수록 집수조(210)에 더 많은 산소량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α는 각속도와 유속 간의 변수에 해당하고, 집수조(210)의 크기, 에어 브로어(290)에 설치된 팬의 종류 및 연결된 모터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The oxygen supply control module 272 may receive flow rate data from the flow rate sensor 270 in the catchment vessel 210 and may control the speed of the fan installed in the airflower 290 based on the received flow rate data have. According to the above equation, the oxygen supply control module 272 can control the speed of the fan of the air blower 290 to be higher as the flow rate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210 is faster. Accordingly, as the flow velocity of the water collecting vessel 210 increases, more oxygen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collecting vessel 210. Here,? Corresponds to a variable between the angular velocity and the flow velocity, and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210, the type of the fan installed in the air blower 290, and the type of the connected motor.

일 실시예에서, 집수조(210)는 내부에 수질 측정 센서(280)를 포함할 수 있고, 수질 측정 센서(280)는 집수조(210) 내부의 산소량, pH 농도 및 암모니아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는 수질 측정 센서(280)로부터 수신된 수질 정보에 따라 산소량, pH 농도 및 암모니아 수치를 조절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산소량 공급 제어모듈(272)을 제어하여 산소량을 조절할 수 있고, 수질 첨가조(230) 또는 혐기조(230)을 통해 수질 첨가제 또는 혐기성 세균의 개체수를 조절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collecting vessel 210 may include a water quality measuring sensor 280 therein and the water quality measuring sensor 280 measures at least one of the oxygen amount, the pH concentration, and the ammonia value inside the water collecting vessel 210 . The circulation filtration type collecting apparatus 100 can adjust the oxygen amount, the pH concentration, and the ammonia value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ter quality measuring sensor 280, and specifically controls the oxygen amount supply control module 272, And the number of water additives or anaerobic bacteria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water quality addition tank 230 or the anaerobic tank 230.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는 양식 수조들(200) 각각으로부터 유입되는 사육수 전체를 집수하고, 순환 및 여과 과정을 거쳐 다시 양식 수조들(200) 각각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집수조(210)에 집수된 사육수의 수온을 적정한 온도로 맞춰 양식 수조들(200)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circulation 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100 collects the entire breeding water introduced from each of the culture water tanks 200 and flows into each of the culture water tanks 200 again after circulation and filtration process,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collect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aquariums 200 at a proper temperature.

일 실시예에서, 집수조(210)는 옆면을 따라 설치된 열선(미도시)을 통해 집수조(210)에 있는 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온도 제어기(미도시)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수온을 확인할 수 있다. 집수조(210)에 집수된 사육수의 수온을 조절하는 온도 제어 장치는 열선, 코일 또는 별도의 가온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온도 제어기는 양식 수조들(200)로부터 유입된 사육수의 수온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실시간으로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water collecting vessel 210 can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vessel 210 through a heat line (not shown) installed along the side surface, and a separate temperature controller (not shown) Can be confirmed. The temperature controller for regulating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breeding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210 may be realized by a heat wire, a coil, or a separate heating device,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aquarium 200 Temperature control can be performed in real time in order to maintain an appropriate level.

일 실시예에서,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100)는 유입된 사육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순환 및 여과시키기 위해 메인 파이프(223) 및 서브 파이프(225)를 포함하는 배관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스키머(220)와 스키머 유입구(222)를 연결하는 배관은 메인 파이프(223)로 구성될 수 있고, 스키머(220)의 전단에서 분기되어 혐기조(240) 또는 수질 첨가조(230)와 연결되는 배관은 서브 파이프(225)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파이프의 지름 Ø(Ø은 자연수)은 서브 파이프의 지름의 2배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irculating-filtration collector device 100 may form a piping structure that includes a main pipe 223 and a sub-pipe 225 to more efficiently circulate and filter the incoming feed water . The piping connecting the skimmer 220 and the skimmer inlet 222 may be configured as a main pipe 223 and may be branched from the front end of the skimmer 220 and connected to the anaerobic tank 240 or the water- The sub-pipe 225 may be a sub-pipe. Specifically, the diameter Ø of the main pipe (Ø is a natural number) may correspond to twice the diameter of the sub-pipe.

일 실시예에서, 사육수 유입구(212)의 지름과 메인 파이프(223)의 지름 간의 길이 비는 10 : 1 에 해당할 수 있고, 사육수 유입구(212)의 지름과 서브 파이프(225)의 지름 간의 길이 비는 20 : 1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사육수 유입구(212)의 지름과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214)의 지름 간의 길이 비는 4 : 1에 해당할 수 있다. The length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the catching water inlet 212 and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223 may correspond to 10 to 1 and the diameter of the catching water inlet 212 and the diameter of the sub- The length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the breeding water inlet 212 and the diameter of the biofiltration water outlet 214 may correspond to 4: 1.

구체적으로, 사육수 유입구(212)의 지름을 N(N은 자연수)일 경우, 메인 파이프(223)의 지름은 1/10N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서브 파이프(225)의 지름은 1/20N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214)의 지름은 1/4N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223 may be 1 / 10N and the diameter of the sub pipe 225 may be 1 / 20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And the diameter of the biofiltration water outlet 214 may be 1/4 of the diameter.

일 실시예에서, 사육수 유입구(212)의 지름에 관한 메인 파이프(223)의 지름이 1/10N일 경우에 유입된 사육수의 일부가 메인 파이프(223)를 통해 스키머(220)로 이동하여 포말 분리 과정을 통과할 수 있고, 1/10N 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 사육수의 스키머(220)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거나 와류가 발생하여 전체 사육수의 흐름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223 relative to the diameter of the carcass water inlet 212 is 1 / 10N, part of the incoming carcass moves to the skimmer 220 through the main pipe 223 If the water cont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 / 10N, the movement of the breeding water to the skimmer 220 may not proceed smoothly or the vortex may occur,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flow of the whole breeding water is clogged .

일 실시예에서, 사육수 유입구(212)의 지름에 관한 서브 파이프(225)의 지름이 1/20N일 경우에 스키머(220)로부터 배출된 포말 분리 배출수의 일부가 서브 파이프(225)를 통해 수질 첨가조(230)와 혐기조(240) 각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포말 분리 배출수의 나머지 일부는 다시 집수조(210)로 유입될 수 있다. 서브 파이프(225)의 지름이 1/20N 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 포말 분리 배출수의 일부가 수질 첨가조(230)와 혐기조(240)로 이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diameter of the sub-pipe 225 relative to the diameter of the carcass water inlet 212 is 1 / 20N, part of the foam separating and discharg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skimmer 220 flows through the sub- Can be moved to the additive tank (230) and the anaerobic tank (240), respectively,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oam separation effluent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collecting tank (210) again. When the diameter of the sub pipe 225 is larger than or smaller than 1 / 20N, a problem arises in that a part of the foam separation effluent water is not transferred to the water adding tank 230 and the anaerobic tank 240.

일 실시예에서, 사육수 유입구(212)의 지름에 관한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214)의 지름이 1/4N일 경우에 집수조(210)에서 모든 여과 과정을 마친 사육수가 다시 양식 수조들(200) 각각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diameter of the biofiltration water outlet 214 in relation to the diameter of the faunal water inlet 212 is 1 / 4N, all the filtering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vessel 210 is re- ), Respectively.

결과적으로, 사육수 유입구(212)의 지름을 N(N은 자연수)일 경우, 메인 파이프(223)의 지름은 1/10N으로, 서브 파이프(225)의 지름은 1/20N으로,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214)의 지름은 1/4N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사육수의 순환 및 여과 과정의 효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As a result, when the diameter of the breeding water inlet 212 is N (N is a natural number),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223 is 1 / 10N and the diameter of the sub pipe 225 is 1 / 20N. The diameter of the water discharge port 214 may be 1/4 N, and the efficiency of the circulation and filtration process is the highes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 순환여과형 양식 시스템
100: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200: 양식 수조
210: 집수조 220: 스키머
230: 수질 첨가조 240: 혐기조
250: 모터 260: 산소 방출관
270: 유속 측정 센서 280: 수질 측정 센서
290: 에어 브로어 212: 사육수 유입구
214: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 222: 스키머 유이북
224: 스키머 배출구 223: 메인 파이프
225: 서브 파이프 232: 수질 첨가제 투입구
242: 혐기성 미생물 투입구 272: 산소량 공급 제어모듈
10: Circulating filtration system
100: Circulating-filtration type collecting device 200: Aquaculture tank
210: Water collecting tank 220: Skimmer
230: water addition tank 240: anaerobic tank
250: motor 260: oxygen discharge tube
270: Flow rate measuring sensor 280: Water quality measuring sensor
290: Air blower 212: Breeding water inlet
214: Biofiltration breeding water outlet 222: Skimmer Yui North
224: Skimmer outlet 223: Main pipe
225: Subpipe 232: Water quality additive inlet
242: Anaerobic microorganism input port 272: Oxygen supply control module

Claims (8)

기준면의 하부에 배치된 사육수 유입구, 상기 사육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유입수의 흐름 방향에 배치되는 스키머 유입구와 배출구, 상기 기준면의 상부에 배치된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 및 혐기성 미생물 투입구를 포함하는 집수조;
상기 스키머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입수를 유입시켜 상기 유입수에 관한 포말 분리를 수행하여 포말 분리 배출수를 상기 스키머 배출구에 제공하는 스키머; 및
혐기성 미생물의 개체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혐기성 미생물 투입구를 통해 상기 혐기성 미생물을 투입하는 혐기조를 포함하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A water collecting tank including a breeding water inle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ference surface, a skimmer inlet and an outlet disposed in a flow direction of the inflow water introduced from the breeding water inlet, a biological filtration water outlet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ference surface, and an anaerobic microorganism inlet;
A skimmer for introducing the inflow water through the skimmer inlet port to perform a foam separation on the inflow water to provide foam separation and discharge water to the skimmer outlet port; And
And an anaerobic tank for subjecting the anaerobic microorganisms to individual control and introducing the anaerobic microorganisms through the anaerobic microorganism input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는
유속 측정 센서;
외부에 설치된 에어 브로어와 연결되어 산소를 제공받고 바닥에 배치된 폐쇄형 루프를 통해 수중으로 산소를 방출하는 산소 방출관; 및
상기 유속 측정 센서를 통해 수신된 유속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에어 브로어의 산소 공급량을 제어하는 산소량 공급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collecting tank
Flow rate measurement sensor;
An oxygen discharge tube connected to an externally installed air blower to receive oxygen and to release oxygen into the water through a closed loop disposed at the bottom; And
And an oxygen amount supply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n oxygen supply amount of the air blower based on the flow rate data received through the flow rate measuring sens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량 공급 제어모듈은
상기 에어 브로어에 설치된 팬의 속도를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수학식]
ω = v * α
여기에서, ω는 상기 에어 브로어에 설치된 팬의 각속도, v는 상기 집수조의 유속 및 α는 각속도와 유속 간의 변수에 해당한다.
3. Th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xygen amount supply control module
Wherein the speed of the fan installed in the air blower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Mathematical Expression]
ω = v * α
Here, omega is the angular velocity of the fan installed in the air blower, v is the flow velocity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alpha is a variable between the angular velocity and the flow velo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머 유입구와 상기 스키머를 연결하고 지름 Ø(상기 Ø는 자연수)으로 구성된 메인 파이프 및 상기 스키머의 전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혐기조를 연결하며 상기 지름 Ø의 1/2에 해당하는 지름을 가지는 서브 파이프로 구성된 배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in pipe connecting the skimmer inlet and the skimmer and having a diameter Ø (Ø is a natural number), and a sub pipe branched from the front end of the skimmer and connecting the anaerobic tank and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½ of the diameter Ø Wherein the piping structure comprises a pip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는
내부에 산소, pH 및 암모니아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수질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a water quality sensor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oxygen, pH, and ammonia values in the inside there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수 유입구의 지름과 상기 메인 파이프의 지름 간의 길이 비는
10:1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ength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the breeding water inlet and the diameter of the main pipe
10: 1. ≪ / RTI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수 유입구의 지름과 상기 서브 파이프의 지름 간의 길이 비는
20:1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ength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the submerged water inlet and the diameter of the sub-
20: 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수 유입구의 지름과 상기 생물 여과 사육수 배출구의 지름 간의 길이 비는
4:1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ngth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the breeding water inlet and the diameter of the biofiltration water outlet is
4: 1. ≪ / RTI >
KR1020170136380A 2017-10-20 2017-10-20 Circulate and filter type water collecting apparatus KR102070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380A KR102070594B1 (en) 2017-10-20 2017-10-20 Circulate and filter type water coll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380A KR102070594B1 (en) 2017-10-20 2017-10-20 Circulate and filter type water collec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715A true KR20190044715A (en) 2019-05-02
KR102070594B1 KR102070594B1 (en) 2020-01-30

Family

ID=6658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380A KR102070594B1 (en) 2017-10-20 2017-10-20 Circulate and filter type water collec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59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9479A (en) * 2019-06-18 2019-08-06 岭南师范学院 A kind of aquatic products recirculated water culture Laboratory culture device
KR20210084914A (en) * 2019-12-30 2021-07-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using probiotic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9169A (en) * 2000-10-17 2002-04-23 Vital Japan Kk System and method for raising fish and shellfish
KR100334693B1 (en) 2000-04-03 2002-04-27 민병서 The method and apparatus of circulating filter system fish culture using mineral corpuscle and foam separation
KR20070036407A (en) * 2005-09-29 2007-04-03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Recirculating culture system and filtering method of recirculating
KR101508055B1 (en) 2013-06-08 2015-04-07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Aquaculture tank for bio-floc, using a bio skimmer
KR101572984B1 (en) * 2013-11-11 2015-12-11 명노환 Super air-lift device and round shape type aqua-farm using the same
KR101770176B1 (en) * 2016-03-07 2017-08-22 이윤재 shrimp farms by using bio-floc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693B1 (en) 2000-04-03 2002-04-27 민병서 The method and apparatus of circulating filter system fish culture using mineral corpuscle and foam separation
JP2002119169A (en) * 2000-10-17 2002-04-23 Vital Japan Kk System and method for raising fish and shellfish
KR20070036407A (en) * 2005-09-29 2007-04-03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Recirculating culture system and filtering method of recirculating
KR101508055B1 (en) 2013-06-08 2015-04-07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Aquaculture tank for bio-floc, using a bio skimmer
KR101572984B1 (en) * 2013-11-11 2015-12-11 명노환 Super air-lift device and round shape type aqua-farm using the same
KR101770176B1 (en) * 2016-03-07 2017-08-22 이윤재 shrimp farms by using bio-floc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9479A (en) * 2019-06-18 2019-08-06 岭南师范学院 A kind of aquatic products recirculated water culture Laboratory culture device
CN110089479B (en) * 2019-06-18 2024-04-12 岭南师范学院 Aquatic product circulating water culture laboratory breeding device
KR20210084914A (en) * 2019-12-30 2021-07-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using probiotic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594B1 (en)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705B1 (e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use of Biofloc Technology
KR101408850B1 (en) No drain combined recirculating aquacultural system having such
CN205648738U (en) All receive and be close to ecological industrialization farming systems of shrimp
CN103478055A (en) Indoor industrial penaeus vannamei culture device
KR101847695B1 (en) Biofloc system with trap and settling tank for removing sludge
CN103332828B (en) Energy-saving efficient circulation water cultivation method
KR101795171B1 (en) Apparatus for removing floated sludge of biofloc
CN109380171A (en) A kind of Penaeus Vannmei sea-farming ecological circulation purification system
CN210492204U (en) External penaeus vannamei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CN104756916A (en) Self-maintaining reflowing type cold water salmon fry culture system
KR20090051685A (en) Farm system of marine products using micro bubbles
CN107751085B (en) Circulating seawater culture system based on microalgae membrane bioreactor
CN206101330U (en) Intergrowth farming systems of aquaculture water circulating system and aquatic livestock and little algae
KR20190044715A (en) Circulate and filter type water collecting apparatus
CN103070127A (en) Combined modular circulating water cultivating system
KR101555134B1 (en) Recirculating aquacultural tank
CN106698667B (en) A method of improving efficiency culturing pool treatment effeciency
CN220191868U (en) Water quality detection and treatment device for bottom of fish pond
CN211241338U (en) High-density double-circulating water culture system
CN208327728U (en) A kind of circulating water treatment device for raising fish and shrimp
JP2002186376A (en) Raising facility for bivalves
CN105836975B (en) A kind of water treatment system and its processing method of aquaculture pond
KR102627737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quality water of farm pond
KR20220075694A (en) Water treatment system of circulation filtration system that can save energy
CN208791377U (en) A kind of device of aquaculture pond water body high-efficient pur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