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009A -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009A
KR20190044009A KR1020180124069A KR20180124069A KR20190044009A KR 20190044009 A KR20190044009 A KR 20190044009A KR 1020180124069 A KR1020180124069 A KR 1020180124069A KR 20180124069 A KR20180124069 A KR 20180124069A KR 20190044009 A KR20190044009 A KR 20190044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kin
stilbenoid
group
glyco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진
조형진
김기영
심우선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9004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염이 갖는 고유의 효과를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이드로트로프와 조합 사용시 피부 개선(미백, 주름, 탄력, 보습)에 대한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가지므로, 우수한 효과의 피부 미백,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조성물 {Composition containing stilbenoid glycoside and hydrotrope}
본 발명은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보습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틸베노이드(Stilbenoid)는 천연에서 얻을 수 있으며 스틸벤(Stilbene) 구조에 수산화기가 포함된 유도체를 말한다. 이러한 스틸베노이드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눠지며, 수산화기의 수소가 당류로 치환된 경우 특별히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Stilbenoid Glycosides)로, 치환되지 않은 형태를 스틸베노이드 아글리콘(Stilbenoid Aglycones)으로 분류하고 있다. 대표적인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는 호장에서 추출 가능한 5,4-디하이드록시스틸벤(dihydroxystilbene)-3-O-D-글루코피라노이드(glucopyranoside) (폴리다틴, polydatin)이 있으며, 스틸베노이드 아글리콘은 3,5,4'-트리하이드록시-트랜스-스틸벤(trihydroxy-trans-stilbene) (레즈베라트롤, Resveratrol)이 있으며, 두 물질 모두 주름 개선, 미백, 항염 등과 같은 효과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틸베노이드의 다양한 효과는 수산화기로 치환된 두 개의 벤젠을 이중 결합으로 연결된 화학적 구조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생물학적인 효과에 대해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효과가 뛰어난 스틸베노이드들은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시도를 하고 있으나 낮은 용해도 및 피부 투과도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시도가 보고되고 있다. 스틸베노이드와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용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버터밀크에서 추출물을 이용한 시도가 보고 되었으며(비특허문헌 1), 지방산을 이용한 에멀젼을 제작하여 용해도를 높인 사례도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2).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은 스틸베노이드의 용해도는 증가시켰으나 거대 분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피부 투과도는 증가에는 큰 효과를 보이지 못하였고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들어가는 화장품 조성물에서 적용하기는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보여준다.
또한 경피 흡수 촉진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은 주로 피부 각질층에 작용하여 피부의 장벽효과를 억제하여 약물의 피부 투과를 촉진하는데 효과를 위해 다량 사용할 경우 피부 자극이 나타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경피 흡수를 높이기 위한 방안 중 하나인 리포좀은 생체막의 주요성분인 인지질로 구성되어 생체 친화적이며 수용성 또는 지용성 성분 모두를 리포좀의 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된 내부로 포집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제형의 불안정성, 극히 낮은 포집 효율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나노 단위로 제조한 나노 에멀젼, 고체 지질을 나노 미립화한 고상 지질 나노 미립자 또는 계면 활성제로 계면을 안정화 시킨 고분자형 나노 미립자들도 리포좀과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액정을 이용하여 친수성 유용물질을 내부에 포집하여 전달 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연속상이 물인 O/W 에멀젼에 잘 분산되어 고르게 분포하지 못할 뿐 아니라 화장품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영향으로 인해 그 구조를 온전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하며 제형에서 높은 안정성을 보이면서도 저자극이고 스틸베노이드의 용해도 및 피부 투과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Jian-Hui, Y.; Emilie, T.; Luz, S.; Yue-Rong, L. and Mary, A. A. Interaction between whole buttermilk and resveratrol, J. Agric. Food Chem. 2013, 61, 7096.) 2. Hung, C. F.; Fang, C. L.; Liao, M. H. and Fang, J. Y. The effect of oil component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drug delivery of emulsions: tocol emulsion versus lipid emulsion. Int. J. Pharm. 2007, 335, 193
본 발명은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하며 제형에서 높은 안정성을 보이면서도 저자극이고 스틸베노이드의 수용해도 및 피부 투과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는 폴리다틴, 아스트린진, 라폰틴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하이드로트로프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카페인(Caffeine), 시트르산(Citric Acid), 트레할로스(Trehalose),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갈산(Gall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나이아신(Niacin), 이소나이아신아마이드(Isoniacinamide), 테오브로민(Theobromine), 테오필린(Theophylline), 락토오스(Lactose), 글루코오스(Glucose), 및 슈크로오스(Sucr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보습용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는 폴리다틴, 아스트린진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하이드로트로프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카페인(Caffeine), 시트르산(Citric Acid), 트레할로스(Trehalose),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갈산(Gall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나이아신(Niacin), 이소나이아신아마이드(Isoniacinamide), 테오브로민(Theobromine), 테오필린(Theophylline), 락토오스(Lactose), 글루코오스(Glucose), 및 슈크로오스(Sucr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보습용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의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는 폴리다틴, 아스트린진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의 하이드로트로프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카페인(Caffeine), 시트르산(Citric Acid), 트레할로스(Trehalose),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갈산(Gall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나이아신(Niacin), 이소나이아신아마이드(Isoniacinamide), 테오브로민(Theobromine), 테오필린(Theophylline), 락토오스(Lactose), 글루코오스(Glucose), 및 슈크로오스(Sucr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보습용이다.
본 발명의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스틸베노이드의 용해도 및 피부 투과도가 현저하게 개선된다. 이를 통해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염이 갖는 고유의 효과를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이드로트로프와 조합 사용시 피부 개선(미백, 주름, 탄력, 보습)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가지므로, 피부 미백용, 탄력 증진용 또는 주름 개선용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피부 미백,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 투과도를 확인하는 실험에 사용된 프란츠 셀의 구성도이다.
상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Stilbenoid Glycosides) 또는 이의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는 천연에서 얻어질 수 있는 하이드록시 그룹내 수소가 당류로 치환되고, 하이드록시 그룹을 가지고 있는 스틸벤 유도체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는 폴리다틴(Polydatin 또는 Piceid), 아스트린진(Astringin), 라폰틴(Rapontin)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다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의 획득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는 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비-용매화된(unsolvated)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고, 결정형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1 내지 20 중량%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01 내지 10 중량%,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이드로트로프(hydrotrope)(또는 하이드로트로픽 물질)은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의 용해도 및 피부 투과도를 개선시키며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와 혼합 사용시 피부 개선(미백, 주름, 탄력, 보습)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나게 하는 성분으로, 물에 잘 녹지 않는 유기분자의 용해도를 극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능력과 양쪽 친매성 분자 구조에 의해 특징이 있는 수용성 화합물의 다양한 클래스(class)이다. 대부분의 하이드로트로프는 일부분이 이온 성질을 갖는 방향성 분자구조를 갖는다. 반면에 일부 분자구조는 아래 표에 있는 선상 알킬 체인구조를 갖는다. 하이드로트로프는 상당히 계면활성제를 닮아서 표면장력을 줄이는 능력이 있고, 상기 분자구조의 일부 소수성 부분과 상대적으로 짧은 알킬 체인은 양친매성 물질로써 구별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상기분자의 소수성은 심지어 고농도에서 마치 교질입자(micelle)같은 고도의 조직화된 자가 관련 구조(self-associated structure)를 생성하기에 충분하지는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트로프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카페인(Caffeine), 시트르산(Citric Acid), 트레할로스(Trehalose),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갈산(Gall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나이아신(Niacin), 이소나이아신아마이드(Isoniacinamide), 테오브로민(Theobromine), 테오필린(Theophylline), 락토오스(Lactose), 글루코오스(Glucose), 및 슈크로오스(Sucr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나이아신아마이드, 카페인, 시트르산 및 트레할로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트로프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1 내지 20 중량%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01 내지 10 중량%,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및 하이드로트로프의 함량비는 중량 대비 1 : 0.01 내지 100, 구체적으로 1 : 0.1 내지 50, 더 구체적으로 1 : 1 내지 10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보습용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주름 개선”이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미백”이라 함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탄력 증진”이란 피부가 쳐지거나 늘어지는 정도를 완화시켜주는 것으로,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탄력섬유가 콜라겐(collagen)이라고 하는 교원섬유와 함께 존재하는데, 엘라스틴과 콜라겐이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 탄력이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보습"이란 피부에 수분감을 증가시켜주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 보습 효과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도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에센스, 로션, 스킨, 스틱 및 점도 낮은 형태의 스프레이, 미스트 제형 등을 포함한 W/O, O/W, W/O/W 형태의 에멀젼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수중유, 또는 유중수 제형인 경우, 상기 수중유 또는 유중수 화장료 조성물의 pH는 3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 일 수 있으며, 상기 pH가 3 내지 11인 경우 수중유 또는 유중수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 피부 미백, 피부 탄력 증진,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는 이들을 포함하는 동식물,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의 가공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피부 미백,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 피부 미백, 피부 탄력 증진,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말티톨, 전분, 젤라틴, 글리세린,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카보네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식물성 오일,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리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의약외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피부 미백, 탄력 증진, 주름 개선 또는 보습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피부 미백, 탄력 증진, 주름 개선 또는 보습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미백, 탄력 증진, 주름 개선 또는 보습 효과는 더욱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미백 성분으로서,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C(L-Ascorbic acid);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 탄력, 주름 개선 또는 보습 성분으로서,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함량 범위는 피부 안전성, 상기 조성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는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 증진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하이드로트로프에 의한 스틸베노이드의 용해도 개선 효과를 비교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폴리다틴, 레즈베라트롤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용매 디프로필렌글리콜(DPG, Dipropylene glycol) 30g에 용해시킨 후, 총 중량 100g이 되도록 증류수를 가하여 이 용액을 24 시간 동안 교반기를 이용하여 섞어주었다. 그 후 녹지 않은 스틸베노이드를 원심분리기 및 필터(멤브레인 필터, Merck isopore, pore size 0.2 μm)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중량 %)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폴리다틴 4 4 4 4 4 4 - 4 -
레즈베라트롤 - - - - - - 4 - 4
디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30 30
트레할로스 1 - - - - - - - -
시트르산 - 1 - - - - - - -
카페인 - - 1 - - - - - -
나이아신아마이드 - - - 1 3 5 1 - -
정제수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용액에 녹아 있는 스틸베노이드의 양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스틸베노이드 농도(ppm) 1.74 1.78 3.02 1.66 2.28 3.24 1.02 1.42 0.87
측정 결과,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는 하이드로트로프를 혼합하지 않은 경우 농도가 1.42 ppm인데 비해 (비교예 2) 하이드로트로프를 혼합한 경우 농도가 최대 3.24 ppm 까지 되어 (실시예 6) 용해도가 최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반면에 스틸베노이드 아글리콘은 하이드로트로프를 혼합하지 않은 경우는 0.87 ppm 인 반면 (비교예 3) 하이드로트로프를 혼합한 경우는 1.02 ppm 으로 측정되어 (비교예 1) 하이드로트로프의 혼합으로 인한 용해도 증가가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만큼 차이나지는 않았다.
[실험예 2]
하이드로트로프에 의한 스틸베노이드의 피부 투과도 개선 효과를 비교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폴리다틴, 레즈베라트롤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하기 표 3의 함량으로 용매 디프로필렌글리콜 30g에 용해시킨 후, 총 중량 100g이 되도록 증류수를 가하여 이 용액을 24 시간 동안 교반기를 이용하여 섞어주었다. 그 후 녹지 않은 스틸베노이드를 원심분리기 및 필터(멤브레인 필터, Merck isopore, pore size 0.2 μm)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중량 %)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폴리다틴 1 1 1 1 1 1 - 1 -
레즈베라트롤 - - - - - - 1 - 1
디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30 30
트레할로스 1 - - - - - - - -
시트르산 - 1 - - - - - - -
카페인 - - 1 - - - - - -
나이아신아마이드 - - - 1 3 5 1 - -
정제수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피부 투과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프란츠 셀(Franz diffusion cells, FCDV-15, Labfine)과 돼지 피부(porcine skin, thickness: 1.7~2.0 mm, size : 2 X 2 cm2)을 이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1과 같이 돼지 피부를 공급 챔버(Donor chamber)와 수용 챔버(Receptor chamber) 사이에 넣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용 챔버에 인산완충식염수 5ml를 넣은 뒤 공급 챔버에 각 용액을 넣고 4 시간 동안 36℃를 유지시켰다. 그 후 수용 챔버의 용액을 HPLC로 분석하여 투과한 스틸베노이드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스틸베노이드 농도(ppm) 1.3 1.2 1.5 1.2 2.1 2.7 0.5 0.8 0.5
측정 결과,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는 하이드로트로프를 혼합하지 않은 경우 0.8 ppm인데 비해 (비교예 5) 하이드로트로프를 혼합한 경우 최대 2.7ppm 까지 되어 (실시예 12) 피부 투과도가 최대 3배 이상 증가하였다. 반면에 스틸베노이드 아글리콘은 하이드로트로프를 혼합하지 않은 경우 (비교예 4) 및 혼합한 경우 (비교예 6) 모두 농도가 0.5 ppm이라서 하이드로트로프의 혼합으로 인해 피부 투과도에 차이가 없었다.
[실험예 3]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의 피부투과도 증진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되었을 때,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의 피부투과도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수중유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수상 및 유상을 각각 상온 또는 고온(65 내지 75℃)에서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시킨 후 모두를 고온(65 내지 75℃)에서 고르게 혼합하고 30℃ 이하로 냉각하여 에멀젼(emulsion)을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의 상세한 성분은 하기의 표에 나타내었다. (단위 : 중량 %)
구분 원료명 비교예 7 비교예 8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수상 정제수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100으로 맞춤
판테놀 1 1 1 1 1 1
글리세린 3 3 3 3 3 3
1,2-헥산디올 2 2 2 2 2 2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카보머 0.3 0.3 0.3 0.3 0.3 0.3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3 0.3 0.3 0.3 0.3 0.3
잔탄검 0.5 0.5 0.5 0.5 0.5 0.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트레할로스 - - 1.5 - - -
시트르산 - - - 1.5 - -
카페인 - 1.5 - - 1.5 -
나이아신아마이드 - - - - - 1.5
폴리다틴 0.2 - 0.2 0.2 0.2 0.2
트로메타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유상 트리에칠헥사노인 2 2 2 2 2 2
세틸포스페이트 0.5 0.5 0.5 0.5 0.5 0.5
이소스테아릭애씨드 0.5 0.5 0.5 0.5 0.5 0.5
메도우폼씨오일 2 2 2 2 2 2
스틸베노이드의 피부 투과도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프란츠 셀(Franz diffusion cells, FCDV-15, Labfine)과 돼지 피부(porcine skin, thickness: 1.7~2.0 mm, size : 2 X 2 cm2)을 이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돼지 피부를 공급 챔버와 수용 챔버 사이에 넣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용 챔버에 인산완충식염수 5ml를 넣은 뒤 공급 챔버에 각 용액을 넣고 12시간 동안 36℃를 유지시켰다. 그 후 수용 챔버의 용액을 HPLC로 분석하여 투과한 폴리다틴의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폴리다틴 농도(ppm) 0.5 1.1 0.9 1.5 1.0
측정 결과,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는 하이드로트로프를 혼합하지 않은 경우 투과한 폴리다틴 농도가 0.5 ppm 인데 비해 (비교예 7) 하이드로트로프를 혼합한 경우 폴리다틴 농도가 최대 1.5 ppm 까지 되어 (실시예 15) 피부 투과도가 최대 3배 이상 증가하였다.
[실험예 4]
본 실험 예에서는 상기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전 실험자 12명의 얼굴 피부를 측정하고 4주간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도포한 다음 실험자 피부를 측정하여 주름, 미백, 탄력, 보습과 관련된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측정 기기로는 주름은 PRIMOS, 미백은 Colorimeter, 탄력은 Cutometer, 수분은 Corneometer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개선율(%) 비교예 7 비교예 8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주름 3.4 3.7 11.4 12.1 14.5 10.3
미백 2.2 2.5 6.2 5.1 4.9 6.5
탄력 2.3 3.4 7.2 8.2 6.7 7.4
보습 4.1 2.8 9.1 9.5 9.8 10.4
측정 결과,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만을 포함하는 경우(비교예 7) 및 하이드로트포프만을 포함하는 경우 (비교예 8) 대비하여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혼합하여 포함하는 경우 (실시예 13~16), 주름 개선, 미백, 탄력 및 보습 모두 현저히 증가하여,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의 피부 개선에 대한 하이드로트로프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는 폴리다틴, 아스트린진, 라폰틴(Rapontin)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트로프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카페인(Caffeine), 시트르산(Citric Acid), 트레할로스(Trehalose),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갈산(Gall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나이아신(Niacin), 이소나이아신아마이드(Isoniacinamide), 테오브로민(Theobromine), 테오필린(Theophylline), 락토오스(Lactose), 글루코오스(Glucose), 및 슈크로오스(Sucr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보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는 폴리다틴, 아스트린진, 라폰틴(Rapontin)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트로프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카페인(Caffeine), 시트르산(Citric Acid), 트레할로스(Trehalose),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갈산(Gall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나이아신(Niacin), 이소나이아신아마이드(Isoniacinamide), 테오브로민(Theobromine), 테오필린(Theophylline), 락토오스(Lactose), 글루코오스(Glucose), 및 슈크로오스(Sucr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보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0.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는 폴리다틴, 아스트린진, 라폰틴(Rapontin)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트로프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카페인(Caffeine), 시트르산(Citric Acid), 트레할로스(Trehalose),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갈산(Gall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나이아신(Niacin), 이소나이아신아마이드(Isoniacinamide), 테오브로민(Theobromine), 테오필린(Theophylline), 락토오스(Lactose), 글루코오스(Glucose), 및 슈크로오스(Sucr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보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180124069A 2017-10-19 2018-10-17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440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79 2017-10-19
KR20170135979 2017-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009A true KR20190044009A (ko) 2019-04-29

Family

ID=6628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069A KR20190044009A (ko) 2017-10-19 2018-10-17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40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857A1 (ko) * 2022-03-24 2023-09-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흡수성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Jian-Hui, Y.; Emilie, T.; Luz, S.; Yue-Rong, L. and Mary, A. A. Interaction between whole buttermilk and resveratrol, J. Agric. Food Chem. 2013, 61, 7096.)
2. Hung, C. F.; Fang, C. L.; Liao, M. H. and Fang, J. Y. The effect of oil component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drug delivery of emulsions: tocol emulsion versus lipid emulsion. Int. J. Pharm. 2007, 335, 19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857A1 (ko) * 2022-03-24 2023-09-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흡수성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013B1 (ko) 피부 탄력 증진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80090122A (ko) 이소사쿠라네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4009A (ko)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20253A (ko) 아트락틸레놀라이드 i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0755742B1 (ko)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48149B1 (ko) 파르테노리드를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70079977A (ko) 프레이럽토린 에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8259A (ko) 아이소스테비올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20213760A1 (ko) 스틸베노이드 글리코시드 및 하이드로트로프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20223A (ko) 샨즈히시드 메틸에스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512775B1 (ko) 데메틸웨델로락톤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48148B1 (ko) 다이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577787B1 (ko) 폴리필린 ⅶ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042707A (ko) 스트리크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202038899A (zh) 包含芪類糖苷和助水溶劑的組合物
KR102665308B1 (ko)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2029A (ko) 디오스불빈 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0074A (ko) 브라시놀라이드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9975A (ko) 아주골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80069A (ko) 에스큘렌토사이드 에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19768A (ko) 피세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815A (ko) 에스쿨렌토시드 a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50A (ko) 우고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80114391A (ko) 메발로노락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114390A (ko)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