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916A -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916A
KR20190043916A KR1020170136022A KR20170136022A KR20190043916A KR 20190043916 A KR20190043916 A KR 20190043916A KR 1020170136022 A KR1020170136022 A KR 1020170136022A KR 20170136022 A KR20170136022 A KR 20170136022A KR 20190043916 A KR20190043916 A KR 20190043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limit value
electromagnetic wave
sar
absorption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059B1 (ko
Inventor
박용준
김주한
김경호
도주현
김민구
이태리
손동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059B1/ko
Priority to CN201811223297.2A priority patent/CN109688620B/zh
Priority to US16/164,896 priority patent/US10652839B2/en
Priority to EP18201478.7A priority patent/EP3474609B1/en
Publication of KR2019004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916A/ko
Priority to US16/871,286 priority patent/US1107106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2Power radiated at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시간 동안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에 대응하는 제1 최대 전력 제한값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전력량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 1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시간에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 1 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시간 이후 제2 시간에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출력될 제 2 출력 신호에 대한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을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 2 출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른 개체와의 통신을 위해서, 전자 장치는 안테나를 이용해 전자파 신호를 방사 한다. 상기 방사되는 전자파 신호는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자파 신호를 방사하는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방사된 전자파 신호가 생체 조직에 흡수되는 비율인 SAR(specific absorption rate)를 측정한다. 여러 공인된 기관들에서는 상기 측정되는 SAR를 통해 인체에 대한 유해 정도를 규격으로서 관리한다. 이러한 규격을 만족하기 위해서, 제조사는 전자 장치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의 세기를 인체 유해성이 없는 수준으로 전력을 낮추거나 방사체(안테나) 설계 구조를 변경해야 한다.
한편, 전력을 낮추는 방법으로 시간-평균 전력 제어(time average power control) 기술이 전자 장치에서 적용된다. 시간-평균 전력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방사되는 전자파 신호를 관리할 경우, 시간-평균 산출 기간 동안 전력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평균 전력이 기준을 넘지 않도록 제어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가 집중되는 상황(uplink burst)의 경우, 시간-평균 전력 제어 기술은, 평균 전력이 충분히 낮아지기 전까지는 전자 장치의 출력 전력을 제한하는 기준값을 원래의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회복시킬 수 없는 바, 출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시간-평균 전력 제어 조건 하에서 전송 효율을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통신 회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시간 동안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된 제 1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전력량을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상기 제 1 전력량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 1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 이후에 제 2 시간 동안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된 제 2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전력량을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상기 제 2 전력량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 2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자파 흡수율에 따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될 제 3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를 결정하고, 상기 최대 출력 파워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3 출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시간 동안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에 대응하는 제1 최대 전력 제한값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전력량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 1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시간에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 1 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시간 이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출력될 제 2 출력 신호에 대한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 2 출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적응적으로 SAR(specific absorption rate) 값을 결정하여 출력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SAR(specific absorption rate) 평균값과 전력 제한값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설계된",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또는 "~를 할 수 있는"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4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4),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4),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4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4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4)(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4)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40), 센서 모듈(174),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4))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4)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4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4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4)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4)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4)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SAR(specific absorption rate) 평균값과 전력 제한값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그래프(200)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력 제한값(PLIMIT)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래프(200)의 가로축은 시간(time)을 나타내고, 그래프(200)의 세로축은 전력 제한값(230)을 나타낸다. 그래프(250)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SAR 평균값(SARAVG)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래프(250)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그래프(250)의 세로축은 SAR 평균값(280)을 나타낸다.
상기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서 전자파를 방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에 의해 방사된 전자파 중 일부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방사된 전자파 중 상기 사용자의 생체 조직에 흡수되는 비율은 SAR로 지칭된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제조 단계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의 세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인체의 유해성이 없도록 상기 전력 제한값(230)을 조절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에 대한 SAR 값이 특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력 제한값(230)을 더 낮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방사되는 전자파에 대한 SAR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제1 시간 또는 제2시간)마다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전력(power)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은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최소의 시간 단위일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은 인터벌 유닛(interval unit)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은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구간인바, 인터벌 구간 또는 센싱 사이클(sensing cycle)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인터벌 구간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1)이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인터벌 구간은 1ms(milliseconds) 또는 200ms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1)이 3G(3rd generation)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인터벌 구간은 447us(microseconds)일 수 있다. 인터벌 구간은 미소 시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인터벌 구간마다 전력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인터벌 구간 마다 측정되는 전력값에 기반하여, 특정 시간(interval)(또는 제3 시간)에 대한 평균 전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인터벌 구간 마다 측정된 전력값을 특정 시간(또는 제3 시간) 동안 합산하고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또는 제3 시간)은 에버리지 구간(average interval)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은 에버리지 타임(average time)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시간은 에버리지 윈도우(average window)로 지칭될 수 도 있다. 상기 에버리지 구간은 상기 제1 시간 및 제2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버리지 구간은 4분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에버리지 구간은 6분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평균 전력값을 SAR 평균값(28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인터벌 구간마다 측정되는 전력값에 대응하는 SAR 값을 결정하고, 상기 SAR 값에 기반하여 상기 에버리지 구간에 대한 SAR 평균값(280)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SAR 평균값(280)이 상한값(281)(SARUPPER) 이하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1)는 전력 제한값(230)을 최대 전력 제한값(PMAX)(232)로 설정할 수 있다. 전력 제한값(230)은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한계치로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상기 최대 전력 제한값(232)는 상기 전자 장치(101)이 인터벌 구간에서 출력 가능한 최대의 전력값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제한값(230)은 최대 전력 제한값(232) 내에서 시간-평균 전력 제어를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전력 제한값(230)이 변경되면 최대 전력 제한값(232)은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232)으로부터 다른 값으로 변경 또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변경 또는 업데이트되는 최대 전력 제한값은 전력 제한값(230)의 변경에 대응하며 최대 전력 제한값(232) 초기값을 넘지 않는다. 최대 SAR 제한값은 최대 전력 제한값에 대응하는 값으로서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전력 제한값이 주어지면 연산에 의해 SAR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반대로 SAR 값으로부터 전력 제한값을 산출할 수 있다. 실제 신호를 출력할 때 최대 전력 제한값을 기준으로 신호를 증폭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시간-평균 전력 제어를 위해 SAR 값을 기본으로 연산 및 제어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최대 전력 제한값과 최대 SAR 제한값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제1 시점(261)에서, SAR 평균값(280)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제1 시점(261)에서 SAR 평균값(280)이 상한값(281)을 초과하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력 제한값(230)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력 제한값(230)은 최대 전력 제한값(232)으로 유지될 수 있다.
SAR 평균값(280)이 상한값(28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력 제한값(230)을 최대 전력 제한값(232)에서 백오프값(236)만큼 작은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전력 제한값(232)에서 백오프값(236)만큼 작은 값은 백오프 전력 한계값(234)(PMAX-Backoff)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제2 시점(262)에서, SAR 평균값(280)이 상한값(281)을 초과함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력 제한값(230)을 변경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 송신 시점에 해당하는 제3 시점(263)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는, 최대 전력 제한값(232)에서 백오프 전력 한계값 (234)로 상기 전력 제한값(230)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전력 제한값(230)이 백오프 전력 한계값(234)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구간(예: 제3 시점(263)부터 제5 시점(265)) 동안, 전력 제한값(230)이 백오프 전력 한계값(234)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3 시점(263)부터 상기 제5 시점(265)는 회복 구간(restore period)(270)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3 시점(263)은 백오프 시점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회복 구간(270)은 히스테리시스(hysteresis)의 양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히스테리시스의 양은 상기 상한값(281) 및 상기 하한값(SARLOWER)(283)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회복 구간(270)에서, 인터벌 구간마다 측정되는 전력값에 대응하는 SAR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SAR 값에 기반하여 상기 에버리지 구간에 대한 SAR 평균값(280)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SAR 평균값(280)이 상기 하한값(283) 미만인 경우, 상기 전력 제한값(230)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력 제한값(230)을 백오프 전력 한계값(234)에서 최대 전력 제한값(232)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1)는 제4 시점(264)에서, SAR 평균값(280)이 하한값(283) 미만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력 제한값(230)을 백오프 전력 한계값(234)에서 최대 전력 제한값(232)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다음 송신 개시 시점에 해당하는 시점(266)에서, 최대 전력 제한값(232)으로 설정된 전력 제한값(230)에 기반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측정되는 SAR 평균값(280)에 기반하여 전력 제한값(230)을 백오프 전력 한계값(232)으로 낮추거나, 전력 제한값(230)을 최대 전력 제한값(232)로 유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전력 제한값(230)이 낮아지는 경우, 전자 장치(101)에서 출력 가능한 전력값이 작아지는 바, 전자 장치(101)는 낮은 출력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 전력으로 상기 신호를 송신함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송 성공률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전력 제한값(230)이 낮아진 경우라도, 이후 인터벌 구간에서 측정되는 전력값이 충분히 낮아서 에버리지 구간 경과 후 결정될 SAR 평균값(280)이 충분히 하한값(283) 미만일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또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상기 전력 제한값(230)을 회복시켜 높은 출력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할 필요성이 있다.
회복 구간(270)이 길어지면, 전자 장치(101)는 낮은 전력 제한값(230)에 따라, 신호 전송시 전송 성공률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회복 구간(270)이 진행되는 동안이라도 예를 들면 Volte(voice over lte) 음성 신호와 같이 데이터에 따라 실제 전력 소모량이 크지 않거나 중요도가 높은 데이터에 대해 전력 제한값을 회복시켜 높은 출력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술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기능들을 결합한 장치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101)는 통신 모듈(310), 프로세서(320), 메모리(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310), 프로세서(320), 메모리(330)는 서로 동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310)(예: 도 1의 통신 모듈 19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310)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모듈(310)은 송신기(311), 증폭기(amplifier)(313), 검출기(3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310)은 검출기(315) 회로에서 검출한 송신 전력을 상기 프로세서(320)(예: 도 1의 프로세서 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검출기(315)에서 측정되는 송신 전력은 예를 들면 dB의 단위로 나타낼 수 있으나 측정되는 전력의 크기 단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통신 모듈(310)은 상기 프로세서(320)로부터 전력 제한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증폭기(313)에 의해 증폭되어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최대 출력 파워가 상기 전력 제한값을 넘지 않도록 전력 제한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 제한값은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도 칭할 수 있다. 최대 전력 제한값은 초기 설정된 최대 전력 제한값을 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세서(320)는 결정된 전력 제한값을 통신 모듈(310)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전력 제한값에 기반하여 증폭기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최대 출력 파워가 전력 제한값을 넘지 않도록 통신 모듈(3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310)은 상기 획득한 전력 제한값(예: 도 2의 230)에 기반하여 상기 증폭기(313)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송신 신호의 최대 출력 파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력 제한값이 최대 전력 제한값(예: 도 2의 232)인 경우, 상기 통신 모듈(310)은 상기 최대 전력 제한값(232)를 넘지 않는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통신에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330)(예: 도 1의 메모리 130)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의 세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인체의 유해성이 없도록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232) 또는 이에 대응하는 최대 SAR 제한값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각각의 전력 제한값(230)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232) 또는 최대 SAR 제한값에 따라 에버리지 구간 내에서 각 시점 마다 또는 각 인터벌 구간마다 할당할 SAR값에 대해 미리 결정된 SAR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30)는 각각의 전력 제한값(230)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232) 또는 최대 SAR 제한값에 따라 에버리지 구간 내에서 각 시점 마다 또는 각 인터벌 구간마다 할당할 SAR값을 생성하거나 SAR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330)는 상기 전자 장치(101)을 제어하는 제어 명령어 코드 또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30)는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력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도 2의 전력 제한값(230), 최대 전력 제한값(232), 백오프 전력 한계값(234), 백오프값(236), 상한값(281), 하한값(28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AR 테이블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전력값과 상기 전력값에 대응하는 SAR 값의 페어들(pair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전력값과 상기 전력값에 대응하는 SAR 값의 페어들(pairs)을 포함하는 값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SAR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은 상기 최대 전력 제한값(232) 및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측정된 전력량 또는 SAR 사용량, 잔여 SAR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변수로 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전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획득한 전력값에 기반하여 상기 SAR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결정된 SAR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전력값에 대응하는 SAR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SAR 테이블에 기반하여 SAR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측정된 전력량 또는 SAR 사용량에 기반하여 SAR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결정된 SAR 값에 기반하여 SAR 평균값(예: 도 2의 280)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SAR 평균값과 상한값(예: 도 2의 281) 또는 하한값(예: 도 2의 283)과 같은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SAR 평균값과 상기 임계값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SAR 평균값과 상기 임계값 비교 여부에 기반하여 전력의 백오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SAR 평균값과 상기 임계값 비교 여부에 기반하여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최대 SAR 제한값, 최대 전력 제한값(232) 또는 전력 제한값(230)에 기초하여 에버리지 구간 내에서 각 시점마다 또는 인터벌 구간 마다 SAR 값을 할당하고, 측정된 전력량을 SAR 사용량으로 환산하여 SAR 할당량과 SAR 사용량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SAR 할당량에 대해 SAR 사용량을 비교하고 그 차이에 대한 하한값을 비교하여 전력 제한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에버리지 구간 내에서 최초의 인터벌 구간에 할당되는 SAR 값을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232)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에버리지 구간 내에서 최초의 인터벌 구간에서 실제 출력된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량을 대응하는 SAR값으로 환산하여 해당 인터벌 구간에서 실제 사용된 SAR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실제 사용된 SAR값은 SAR 사용량이라 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이에 기반하여 최초 인터벌 구간 이후의 인터벌 구간에 할당되는 SAR 값을 결정할 수 있다. 할당되는 SAR값은 SAR 할당량이라 칭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최초 인터벌 구간 이후 인터벌 구간에 할당할 SAR 값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변수 등의 데이터 또는 명령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320)는 SAR 연산부(410), SAR 설정부(420), 전력 제어부(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STASE(smart time average SAR engine)로 지칭될 수 있다.
SAR 연산부(410)는 상기 전자 장치(101) 의 전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SAR 연산부(4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터벌 구간에 대해 상기 획득한 전력값에 기반하여 상기 SAR 값을 결정할 수 있다. SAR 연산부(4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터벌 구간에 대해 측정된 전력값에 대응하는 SAR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SAR 연산부(41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전력값에 대응하는 SAR 값을 결정할 수 있다. SAR 연산부(410)는 SAR 테이블을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전력값에 대응하는 SAR 값을 결정할 수 있다. SAR 연산부(410)는 상기 결정된 SAR 값에 기반하여 에버리지 구간에 대한 SAR 평균값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인터벌 구간은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 단위일 수 있다. 상기 인터벌 구간은 전력량을 비교하기 위한 시간 단위일 수 있다. 상기 인터벌 구간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1)이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인터벌 구간은 1ms(milliseconds) 또는 200ms일 수 있다.
SAR 설정부(420)는 인터벌 구간에 대한 상기 SAR 사용량과 SAR 할당량을 비교할 수 있다. SAR 설정부(420)는 상기 SAR 평균값을 상한값 또는 하한값과 같은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SAR 설정부(420)는 비교에 기반하여 다음 인터벌 구간에 할당될 SAR 값 또는 SAR 할당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SAR 설정부(420)는 계산된 SAR 평균값(예: 도 2의 280)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SAR 설정부(420)는 상한 임계값 또는 상한값(예: 도 2의 상한 임계값(281))과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SAR 설정부(420)는 하한 임계값 또는 하한값(예: 도 2의 하한 임계값(283))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SAR 설정부(420)는 비교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는 3가지 정보 중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상기 3가지 정보는 상기 SAR 평균값(280)이 상기 상한 임계값(281)을 초과함을 가리키는 제1 정보, 상기 SAR 평균값(280)이 상기 하한 임계값(283)보다 크고, 상기 상한 임계값(281) 이하임을 가리키는 제2 정보, 상기 SAR 평균값(280)이 상기 하한 임계값(283) 이하임을 가리키는 제3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AR 설정부(420)는 비교 결과에 따른 정보를 전력 제어부(4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SAR 설정부(42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다음 인터벌 구간 또는 다음 에버리지 구간에 대한 최대 SAR 제한값 또는 SAR 할당량을 갱신, 업데이트, 또는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AR 설정부(42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다음 인터벌 구간 또는 다음 에버리지 구간에 대한 최대 전력 제한값을 갱신, 업데이트 또는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AR 설정부(420)는 최대 SAR 제한값 또는 SAR 할당량에 대응하는 최대 전력 제한값 또는 전력 제한값을 SAR 연산부(410)의 연산 또는 SAR 테이블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SAR 설정부(420)는 다음 인터벌 구간 또는 에버리지 구간에 대해 설정된 최대 SAR 제한값, SAR 할당량, 최대 전력 제한값 또는 전력 제한값을 전력 제어부(430)에 전달할 수 있다.
전력 제어부(430)는 상기 SAR 설정부(42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통신 모듈(310)의 증폭기(313)에 의해 증폭되어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 제어부(430)는 최대 SAR 제한값, SAR 할당량, 최대 전력 제한값 또는 전력 제한값에 따라 통신 모듈(310)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 제어부(430)는 최대 전력 제한값 또는 전력 제한값을 통신 모듈(310)로 전송하여 이에 따라 통신 모듈(310)의 증폭기(313)의 증폭 신호 전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전력 제어부(430)는 상기 SAR 평균값(280)과 상기 임계값의 비교 결과(예: 제1 정보, 제2 정보, 제3 정보)에 기반하여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력 제어부(43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전력 제한 기준값을 백오프(backoff)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한 기준값은 상기 도 2의 전력 제한값(230)일 수 있다. 즉, 상기 전력 제어부(430)는 전력 제한 기준값(230)을 최대 전력 임계값(232)으로 할 지, 상기 최대 전력 임계값보다 작은 값인 백오프 전력 한계값(234)로 결정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교 결과가 상기 제1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력 제어부(430)는 현재 전력 제한값(230)에 기반하여 백오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전력 제한값(230)이 최대 전력 임계값(232)인 경우, 상기 전력 제어부(430)는 SAR 평균값(280)을 낮추기 위하여 백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부(430)는 상기 전력 제한 기준값(230)의 백오프를 수행할 경우, 상기 SAR 연산부(410) 및/또는 SAR 설정부(420)으로부터 백오프값(236)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SAR 연산부(410) 및/또는 SAR 설정부(420)은, 상기 도 2의 검출기 315 에서 측정되는 전력값에 따라 상기 백오프값(236)을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부(430)는 SAR 설정부(420)으로부터 전력 제한값(230)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부(430)는 백오프값(236)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전력 제한값(230)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한값(230)은 상기 전자 장치(101)이 신호 송신을 위해 사용하는 전력의 상한값을 가리킬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부(430)는 상기 결정된 전력 제한값(230)을 상기 도 4의 통신 모듈(4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시되는 다양한 도면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 동작의 순서가 서로 바뀌거나 특정 동작이 생략되거나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동작이 결합하거나 서로 다른 도면에 도시된 동작들이 대치되거나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도 4의 프로세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20))는 제 1 시간 동안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된 제 1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전력량을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력량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 1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은 인터벌 구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량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통신 모듈(310)에서, 안테나와 연결되어 송신기(31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313)의 증폭 신호 전력의 세기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량은 상기 송신기(311) 또는 증폭기(313)와 연결되어 신호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는 회로 또는 검출기(315)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상기 제1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1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파 흡수율은 SAR값으로 칭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1 전자파 흡수율은 상기 제1 시간 동안 사용된 SAR값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 동안 사용된 SAR값은 상기 제1 시간 동안의 SAR 사용량으로 칭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량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101)의 안테나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의 전력량의 합산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동작 503에서, 상기 제 1 시간 이후에 제 2 시간 동안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된 제 2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전력량을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력량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 2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제1 시간 경과 후, 제2 시간 동안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는 제2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면 인터벌 구간 마다 전력량을 반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상기 인터벌 구간(1ms, 447 us, 200ms)에 해당하는 제1 시간 동안 전력량을 측정하고, 다음 인터벌 구간에 해당하는 제2 시간 동안 전력량을 반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제2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2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2 전자파 흡수율은 상기 제2 시간 동안 사용된 SAR값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간 동안 사용된 SAR값은 상기 제2 시간 동안의 SAR 사용량으로 칭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은 제1 시간 동안의 제1 전력량 또는 SAR 사용량과 제2 시간 동안의 제2 전력량 또는 SAR 사용량을 상기 제1 시간 및 제2 시간을 포함하는 제3 시간 동안 합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제3 시간 동안 인터벌 구간 마다 측정된 전력량들을 합산하여 합산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제3 시간 동안의 전력량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시간 동안 사용한 SAR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제3 시간 동안의 전력량에 기반하여 SAR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동작 505에서, 목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 2 전자파 흡수율 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될 제 3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최대 출력 파워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3 출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간 동안 목표 전자파 흡수율은 상기 제2 시간 동안 할당된 SAR값으로 칭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간 동안 할당된 SAR값은 상기 제2 시간 동안의 SAR 할당량으로 칭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목표 전자파 흡수율 또는 SAR 할당량과 제2 전자파 흡수율 또는 제2 시간 동안의 SAR 사용량의 차이에 기반하여 다음 인터벌 구간에 대한 SAR 할당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제2 시간 이후 다음 인터벌 구간에 대한 SAR 할당량에 대응하는 최대 전력 제한값 또는 전력 제한값을 결정할 수 있다. 안테나를 통해 출력될 제3 신호의 최대 출력 파워는 상기 최대 전력 제한값 또는 전력 제한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3 신호의 최대 출력 파워는 상기 최대 전력 제한값 또는 전력 제한값 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최대 출력 파워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310)을 제어하여 안테나를 통해 제3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310)은 상기 최대 출력 파워에 따라 송출되는 신호의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최대 출력 파워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310)의 증폭기(313)의 신호 증폭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최대 출력 파워를 넘지 않도록 상기 통신 모듈(310)의 증폭기(313)를 통해 출력되는 제3 출력 신호의 증폭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측 그래프(600)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를 나타낸다. 그래프(600)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그래프(600)의 세로축은 송신 전력을 나타낸다.
도 6의 하측 그래프(650)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를 나타낸다. 그래프(650)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그래프(650)의 세로축은 SAR값을 나타낸다. 전자장치(101)(예: 프로세서(320)) 는 에버리지 구간(예: W1 및 W2) 동안 각 인터벌 구간(예: I1, I2, I4, I5) 동안 사용된 전력량을 산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SAR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래프(650)에서 세로축은 각 인터벌 구간에서 사용된 SAR값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에버리지 구간(W1) 시작 시점(621)에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631)에 기반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631)은 SAR 규정에 따라 전자 장치(101)에서 적용할 수 있는 최대의 전력값일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에버리지 구간(예: W1 및 W2) 동안 각 인터벌 구간(예: I1, I2, I4, I5)에 대해 최대 전력 제한값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특정 시간(예: 인터벌 구간 I1)에 전력 제한값(631)에 기반하여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최대 출력 파워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인터벌 구간(I1)의 종점(622)에 인터벌 구간(I1)의 전력량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SAR 사용량(611)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해당 인터벌 구간(I1)에 대한 최대 전력 제한값에 대응하는 목표 전자파 흡수율(예: SAR 할당량)과 SAR 사용량(611)을 비교하여 다음 인터벌 구간(I2)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예: SAR 할당량)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인터벌 구간(I1)에서 목표 전자파 흡수율에 비해 SAR 사용량(611)이 예를 들면 90% 이상인 경우, 다음번 인터벌 구간(I2)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을 인터벌 구간(I1)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에 대해 기설정된 비율 또는 양만큼 감소시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인터벌 구간(I1)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에 비해 SAR사용량(611)이 예를 들어 90% 이상인 경우 다음 인터벌 구간(I2)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을 예를 들어 90%로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어 인터벌 구간(I1)에 대해 설정된 전력 제한값(631)에 대해 특정량(예: 1dB) 만큼 감소시킨 전력 제한값(633)을 다음번 인터벌 구간(I2)에 대한 전력 제한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전력 제한값(633)에 기반하여 프로세서(320)는 다음번 인터벌 구간(I2)의 시점(622)부터 종점(623)까지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고 이 기간 동안의 사용 전력량에 기반하여 사용된 SAR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인터벌 구간(I2)에 대한 SAR사용량(613)이 목표 전자파 흡수율의 특정 비율(예: 90%) 이상인 경우, 다음번 인터벌 구간(시점(623)에서 종점(624))에 대한 전력 제한값은 예를 들어 인터벌 구간(I2)에 대한 전력 제한값(633) 보다 특정량(예: 1dB)만큼 감소시킨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력 제한값(633) 보다 특정량(예: 1dB)만큼 감소시킨 전력 제한값에 기반하여 프로세서(320)는 다음번 인터벌 구간의 시점(623)부터 종점(624)까지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고 이 기간 동안의 사용 전력량에 기반하여 사용된 SAR값(617)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2)는 인터벌 구간(시점(623)부터 종점(624))의 SAR 사용량(617)과 목표 전자파 흡수율의 차이가 특정 비율(예: 90%) 이상인 경우 다음번 인터벌 구간(시점(624)부터 시점(625))에 대한 전력 제한값은 예를 들면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631)로 결정할 수 있다.
에버리지 구간(W2)를 참조하면 인터벌 구간(I4)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과 SAR 사용량(615)의 차이가 목표 전자파 흡수율의 특정 비율(예: 90%)을 넘는 경우, 다음 번 인터벌 구간(I4)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은 이전 인터벌 구간(I4)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과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벌 구간(I4)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은 상기 에버리지 구간(W2)에서 결정될 수 있는 최대 목표 전자파 흡수율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20)은 인터벌 구간의 종점마다(예: 625) 해당 에버리지 구간(W1)에 할당된 총 SAR값에서 인터벌 구간들(예:I1 및 I2를 포함 4개의 인터벌 구간)의 SAR 사용량(611, 613, 617, 615)의 합산을 차감하여 잔여 SAR값을 확인할 수 있다.
에버리지 구간(W1)의 잔여 시간(예: I3)에서 잔여 SAR 값이 하한값 이하이면, 프로세서(320)는 잔여 SAR 값 및 잔여 시간(I3)에 기반하여 최대 SAR 제한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 SAR 값이 하한값(예: 1%) 이하이면, 프로세서(320)는 잔여 SAR에 기반하여 해당 에버리지 구간의 남은 기간(I3)에 대한 최대 SAR 제한값을 잔여 SAR값을 평균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에버리지 구간(W1)의 잔여 시간(I3)에 대한 최대 전력 제한값(634)은 잔여 시간(I3) 동안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에버리지 구간(W1)에 해당하는 시간(예: 6분)이 경과하면, 프로세서(320)는 해당 에버리지 구간의 잔여 SAR값이 하한값(예: 총 SAR 할당량의 5%) 이하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잔여 SAR 값이 하한값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320)는 다음 에버리지 구간(W2)에 대해, 이전 에버리지 구간(W1)에 대해 적용된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601)을 적용할 수 있다. 잔여 SAR값이 하한값 이상인 경우에는 프로세서(320)는 다음 에버리지 구간(W2)에 대해 전자장치(101)에서 설정할 수 있는 최대 전력 제한값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는 에버리지 구간에서 사용한 SAR값이 SAR 할당량을 거의 소진하는 경우에도 이전 에버리지 구간에서 할당된 SAR 할당량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은 적어도 이전 에버리지 구간에 적용된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회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잔여 SAR 값이 하한값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320)는 다음 번 에버리지 구간 또는 인터벌 구간에 대해 초기 적용된 최대 SAR 제한값 또는 대응하는 최대 전력 제한값을 적용할 수 있다. 할당된 SAR값에 비해 사용된 SAR 값이 여유가 있는 상황이므로 이후 인터벌 구간에서 전자 장치(101)에서 적용할 수 있는 최대한의 전력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도 4의 프로세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20))는 최대 전력 제한값에 기반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특정 시간에 대한 전력량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SAR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은 인터벌 구간일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은 1ms, 447us, 200ms 또는 이들의 배수일 수 있다. 예컨대 인터벌 구간(제 1 시간 동안)에 산출하고 상기 인터벌 구간(1ms, 447 us, 200ms) 이후 다음 인터벌 구간(제 2 시간 동안)에 다시 산출할 수있다. 상기 전력량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안테나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일 수 있다. 상기 전력량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통신 모듈(310)에서, 안테나와 연결되어 송신기(31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313)의 증폭 신호 전력의 세기일 수 있다. 상기 전력량은 상기 송신기(311) 또는 증폭기(313)와 연결되어 신호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는 회로 또는 검출기(315)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상기 프로세서(320)는 상기 특정 시간에 대한 SAR 할당량과 SAR 사용량 차이에 기반하여 최대 전력 제한값을 변경, 업데이트, 재설정 등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에 대한 SAR 할당량은 상기 최대 전력 제한값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에 대한 SAR 할당량은 상기 최대 전력 제한값에 대응하는 SAR 값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에 대한 SAR 할당량은 상기 특정 시간에 대해 설정된 SAR 평균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에 대한 SAR 할당량은 상기 최대 전력 제한값과 상기 특정 시간을 포함하는 에버리지 구간에 대한 SAR 평균값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상기 프로세서(320)는 조정된 전력 제한값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310)을 제어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310)은 조정된 전력 제한값에 따라 송출되는 신호의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조정된 전력 제한값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310)의 증폭기(313)의 신호 증폭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도 4의 프로세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20))은 에버리지 구간의 초기 제1 시간에 최대 전력 제한값에 기반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은 인터벌 구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은 예를 들면 에버리지 구간의 초기 인터벌 구간일 수 있다. 상기 최대 전력 제한값은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출력할 수 있는 최대한의 전력일 수 있다. 상기 최대 전력 제한값은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제한값 초기값으로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동작 803에서, 프로세서(320)는 제1 시간이 경과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은 인터벌 구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은 1ms, 447us, 200ms 또는 이들의 배수일 수 있다.
동작 805에서, 프로세서(320)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된 신호(예: 제 1 출력 신호)의 전력량(예: 제 1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안테나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일 수 있다. 상기 전력량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통신 모듈(310)에서, 안테나와 연결되어 송신기(31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313)의 증폭 신호 전력의 세기일 수 있다. 상기 전력량은 상기 송신기(311) 또는 증폭기(313)와 연결되어 신호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는 회로 또는 검출기(315)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출력 신호의 전력은 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출력 신호의 전력은 상기 제2시간 동안 예를 들면 1ms마다 측정된 전력의 합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동작 807에서, 프로세서(320)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확인된 전력량을 SAR 사용량(예: 제 1 전자파 흡수율)으로 환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전력량을 SAR값으로 환산하기 위해 메모리(330)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면 메모리(330)에 저장된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의 측정된 상기 전력값에 대응하는 SAR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809에서, 프로세서(320)는 에버리지 구간의 제3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에버리지 구간인 제3 시간은 복수의 인터벌 구간(예:제1시간 및 제2시간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11에서, 에버리지 구간의 제3 시간이 경과하면, 프로세서(320)는 각 인터벌 구간(예: 제1시간 및 제2시간 포함)의 SAR 사용량을 합산하여 에버리지 구간의 총 SAR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시간은 6분에 대응하는 시간일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도 4의 프로세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20))은 잔여 SAR값이 하한값 이하인지 확인할 수 있다. 잔여 SAR값은 예를 들면 인터벌 구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총 SAR값(예: SAR 할당량)에서 해당 인터벌 구간에서의 SAR 사용량을 차감한 값일 수 있다. 해당 인터벌 구간에서 사용한 SAR 사용량은 각 인터벌 구간에서 출력된 신호의 전력량을 누적한 합산값에 대응하는 SAR 값일 수 있다. 잔여 SAR 값은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해 설정된 총 SAR 할당량에서 산출된 상기 SAR 사용량을 차감한 값일 수 있다. 하한값은 전자 장치(101)의 각종 특성을 고려하여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하한값은 예를 들면 해당 인터벌인터벌 구간에 대해 할당된 SAR 평균값에 비례하는 값이거나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해 할당된 SAR 할당량에 비례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하한값은 예를 들면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해 설정된 SAR 평균값 또는 총 SAR 할당량의 1%가 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동작 901의 판단 결과 잔여 SAR값이 미리 설정된 하한값(예: 1%) 이하가 아닌 경우 프로세서(320)는 잔여 SAR에 기반하여 최대 SAR 제한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최대 SAR 제한값은, 예를 들면 잔여 SAR값이 총 SAR 할당량의 90% 이상인 경우 예를 들면 기존 최대 SAR 제한값에 대해 1dB 만큼 감소시켜 갱신, 업데이트 또는 재설정할 수 있다. 최대 SAR 제한값은, 예를 들면 잔여 SAR이 총 SAR 할당량의 80%인 경우 예를 들면 기존 최대 SAR 제한값에 대해 2dB 만큼 감소시켜 갱신, 업데이트 또는 재설정할 수 있다. 갱신되는 최대 SAR 제한값은 잔여 SAR값에 비례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갱신되는 최대 SAR 제한값의 감소분은 SAR 할당량에 대한 비율과 해당 에버리지 구간 중 잔여 인터벌 구간의 총 시간 또는 잔여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동작 905에서, 동작 901의 판단결과 잔여 SAR값이 하한값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320)는 잔여 SAR 및 잔여 시간에 기반하여 최대 SAR 제한값을 갱신 또는 설정할 수 있다. 잔여 SAR이 미리 설정된 하한값(예: 1%) 이하로서 해당 에버리지 구간 동안 남은 기간 동안 어느 시점에서 신호 송신이 불가능해지는 상황을 막고 적어도 신호 송신을 보장하기 위해, 프로세서(320)는 잔여 SAR값을 잔여 기간으로 평균하여 잔여 기간 동안의 최대 SAR 제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해당 에버리지 구간의 잔여 기간 동안 최대 전력 제한값은 설정된 최대 SAR 제한값에 대응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도 4의 프로세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1에서, 프로세서(320)는 인터벌 구간에 대한 SAR 사용량과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한 SAR 할당량을 비교하여, 해당 SAR 할당량의 상당량이 사용되지 않고 남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당량이 사용되지 않음은 SAR 할당량의 임계값 이상이 SAR 사용량으로 소진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20)는 SAR 할당량의 90% 이상이 SAR 사용량으로 소진되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한 송신 신호 전력량에 대응하는 SAR 사용량을 산출하고 해당 SAR 사용량을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한 SAR 할당량과 비교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프로세서(320)는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한 SAR 할당량의 상당량이 소진되지 않은 경우, 즉 SAR 할당량과 SAR 사용량의 차가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에는, 이후 출력될 신호의 출력 전력에 적용할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이에 대응하는 최대 전력 제한값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기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한 SAR 할당량의 상당량이 소진되지 않은 경우 이후 출력될 신호의 출력 전력을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이에 대응하는 최대 전력 제한값에 기반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이에 대응하는 최대 전력 제한값을 현재 시점에서 설정 가능한 최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SAR 할당량의 예를 들면 90% 이상이 SAR 사용량으로 소진되지 않은 경우, 즉 SAR 할당량과 SAR 사용량의 차가 SAR 할당량의 90%에 해당하는 값보다 큰 경우에는, 최대 SAR 제한값을 초기화 또는 가능한 최대값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인터벌 구간에서 예를 들면 Volte 음성 데이터와 같이 전력 소모가 많지 않은 신호를 송신할 때 해당 인터벌 구간에서 실제 사용 전력량은 상당히 작을 수 있다. 소모 전력량이 상당히 작으면 해당 인터벌 구간에서의 SAR 사용량도 상당히 작아 Volte와 같은 음성 데이터 신호 송신을 위한 최대 전력 제한값을 가능한 최대값으로 높일 수 있어, 최대 전력으로 음성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도 4의 프로세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01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20))은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은 에버리지 구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3 시간일 수 있다. 예컨대, 제 1 시간 및 제 2시간을 포함하는 제3 시간이 경과된 경우 프로세서는 SAR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103에서,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프로세서(320)는 해당 에버리지 구간의 잔여 SAR값이 하한값 미만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하한값은 전자 장치(101)의 각종 특성을 고려하여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하한값은 예를 들면 해당 에버리지 구간에 대해 설정된 SAR 평균값에 비례하는 값이거나 해당 에버리지 구간에 대해 할당된 총 SAR 할당량에 비례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하한값은 예를 들면 해당 에버리지 구간에 대해 설정된 SAR 평균값 또는 총 SAR 할당량의 5%가 될 수 있다. 상기 잔여 SAR값이 하한값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320)는 동작 1105를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잔여 SAR 값이 하한값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320)는 동작 1107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105에서, 상기 잔여 SAR 값이 하한값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320)는 해당 에버리지 구간 지속 시간에 대응하는 제3 시간 이전에 적용된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을 제3시간 이후에 해당하는 다음 에버리지 구간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제3시간 경과 후 다음 에버리지 구간의 초기에 적용되는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은 적어도 제3시간 이전에 적용된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회복될 수 있다. 제3시간 경과 후 다음 에버리지 구간의 초기에 신호 출력은 제3시간 이전에 적용된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회복될 수 있다.
동작 1107에서, 상기 잔여 SAR 값이 하한값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320)는 초기 최대 SAR 제한값 또는 대응하는 최대 전력 제한값을 다음 에버리지 구간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초기 최대 SAR 제한값 또는 대응하는 최대 전력 제한값은 상기 전자 장치(101)가 출력 가능한 최대의 전력값일 수 있다. 이전 에버리지 구간에 대해 할당된 SAR 값에 비해 총 SAR 사용량이 적어 잔여 SAR 값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이후 에버리지 구간의 초기 인터벌 구간에 대해 적용되는 최대 전력 제한값이 초기화되어 전자 장치(101)에서 적용할 수 있는 최대한의 전력값이 되도록 함으로써 신호 송신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도 4의 프로세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201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20))은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에 기반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은 SAR 규정에 따라 전자 장치(101)에서 적용할 수 있는 최대한의 전력값일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프로세서(320)는 인터벌 구간에 해당하는 특정 시간(제1시간 또는 제2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특정 시간이 경과하면 동작 1205에서, 특정 시간에서의 전자 장치(101)의 송신 전력량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SAR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동작 1207에서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해 할당된 SAR 할당량으로부터 SAR 사용량을 차감하여 잔여 SAR 값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에버리지 구간에 대한 SAR 할당량 및/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 등의 정보로부터 각 인터벌 구간에 할당된 SAR 할당량 또한 산출할 수 있다.
동작 1209에서, 프로세서(320)는 에버리지 구간에 해당하는 제3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211에서, 에버리지 구간(예: 제3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320)는 해당 에버리지 구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잔여 SAR값이 미리 설정된 하한값(예: 1%) 이하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에버리지 구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잔여 SAR값이 하한값 이하가 아닌 경우, 동작 1213에서 프로세서(320)는 해당 인터벌 구간에서의 SAR 사용량과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한 SAR 할당량을 비교하여 해당 SAR 할당량의 상당량이 사용되지 않고 남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SAR 할당량의 예를 들면 90% 이상이 SAR 사용량으로 소진되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한 송신 신호 전력량에 대응하는 SAR 사용량을 산출하고 해당 SAR 사용량을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한 SAR 할당량과 비교할 수 있다.
동작 1215에서, 프로세서(320)는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한 SAR 할당량이 어느 정도 소진된 경우 잔여 SAR에 기반하여 최대 SAR 제한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면 잔여 SAR이 총 SAR 할당량의 90%이하인 경우, 다음 인터벌 구간에 대해 예를 들면 기존 최대 SAR 제한값을 1dB 만큼 감소시켜 최대 SAR 제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면 잔여 SAR이 총 SAR 할당량의 80%이하인 경우 다음 인터벌 구간에 대해 예를 들면 기존 최대 SAR 제한값에 대해 2dB 만큼 감소시켜 최대 SAR 제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동작 1217에서, 해당 인터벌 구간에 대한 SAR 할당량이 소진되지 않고 상당량 남은 경우 프로세서(320)는 이후 인터벌 구간에서 출력될 신호의 출력 전력에 적용할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이에 대응하는 최대 전력 제한값을 예를 들면 해당 에버리지 구간에 적용된 초기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동작 1211에서 판단 결과 해당 에버리지 구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잔여 SAR값이 미리 설정된 하한값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320)는, 동작 1219에서 잔여 SAR 및 잔여 시간에 기반하여 최대 SAR 제한값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잔여 SAR을 잔여 기간으로 평균하여 잔여 기간 동안의 최대 SAR 제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해당 에버리지 구간의 잔여 기간 동안 최대 전력 제한값은 설정된 최대 SAR 제한값에 대응하여 전체 잔여 시간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동작 1209에서 에버리지 구간에 해당하는 제3시간이 경과된 경우, 프로세서(320)는 동작 1221에서, 해당 에버리지 구간의 잔여 SAR값이 하한값(예: 5%) 이하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223에서, 상기 잔여 SAR 값이 하한값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320)는 해당 에버리지 구간 지속 시간에 대응하는 제3 시간 이전에 적용된 최대 SAR 제한값 또는 최대 전력 제한값을 제3시간 이후에 해당하는 다음 에버리지 구간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동작 1225에서, 상기 잔여 SAR 값이 하한값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320)는 최대 SAR 제한값 또는 대응하는 최대 전력 제한값을 초기화하여 다음 에버리지 구간 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초기 최대 SAR 제한값 또는 대응하는 최대 전력 제한값은 상기 전자 장치(101)가 에버리지 구간에서 출력 가능한 최대의 전력값일 수 있다.
동작 1227에서, 프로세서(320)는 초기화, 재적용 또는 업데이트된 최대 SAR 제한값에 대응하는 최대 전력 제한값을 산출하여, 다음 인터벌 구간에 대해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01)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시간 동안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된 제 1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전력량을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상기 제 1 전력량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 1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 이후에 제 2 시간 동안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된 제 2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전력량을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상기 제 2 전력량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 2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목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 2 전자파 흡수율 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될 제 3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를 결정하고, 상기 최대 출력 파워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3 출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시간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2 전자파 흡수율 간의 차이가 지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를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상기 최대 출력 파워로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시간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 2 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가 지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를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대한 상기 최대 출력 파워로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대한 상기 최대 출력 파워가 상기 제2 시간 이후에 제3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시간 및 상기 제3 시간의 길이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시간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 2 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가 지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에서 기설정된 제2값 만큼 감소시킨 값을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대한 상기 최대 출력 파워로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1 전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2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2 전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전자파 흡수율을 합산하고 상기 목표 전자파 흡수율과 비교하여 상기 제 3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를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을 포함하는 제3 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1 전자파 흡수율 및 상기 제2 전자파 흡수율을 포함하는 전자파 흡수율들을 총합하고, 상기 목표 전자파 흡수율 총합과의 차이가 지정된 하한값보다 작으면, 상기 목표 전자파 흡수율 총합에서 상기 전자파 흡수율 총합을 차감한 값을 상기 제3 시간 중 잔여 시간에 대해 평균한 값을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로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을 포함하는 제3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3 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1 전자파 흡수율 및 상기 제2 전자파 흡수율을 포함하는 전자파 흡수율들을 총합하고, 상기 목표 전자파 흡수율 총합과의 차이가 지정된 하한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3 시간의 초기에 설정된 최대 출력 파워를 상기 제3 시간 이후 출력되는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로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을 포함하는 제3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3 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1 전자파 흡수율 및 상기 제2 전자파 흡수율을 포함하는 전자파 흡수율들을 총합하고, 상기 목표 전자파 흡수율 총합과의 차이가 지정된 하한값보다 크면, 상기 안테나에 대해 기설정된 초기 최대 출력 파워를 상기 제3 시간 이후 출력되는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로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01)는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시간 동안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에 대응하는 제1 최대 전력 제한값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전력량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 1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시간에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 1 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시간 이후 제2 시간에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출력될 제 2 출력 신호에 대한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 2 출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에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을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해 기설정된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에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을 상기 제1 최대 전력 제한값과 동일하게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이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상기 제2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의 길이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에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최대 전력 제한값에서 기설정된 제2값만큼 감소시킨 값을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제3 시간 동안 상기 제1시간 마다 확인된 상기 제1 전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을 합산하고 상기 제3 시간 동안 할당된 총 전자파 흡수율과 비교하여 상기 제3 시간 종료 후 제4시간에 대한 제3 최대 전력 제한값을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제3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3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 1 전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을 총 합산한 값과 상기 제3 시간 동안 할당된 총 전자파 흡수율 간의 차이가 지정된 하한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최대 전력 제한값을 상기 제3시간의 잔여 시간에 대해 평균한 값을, 상기 잔여 시간 동안의 상기 제3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제3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3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3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1 전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을 총 합산한 값과 상기 제3 시간 동안 할당된 총 전자파 흡수율 간의 차이가 지정된 하한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3 시간의 초기에 설정된 상기 1 최대 전력 제한값을 상기 제3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제3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3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1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1 전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을 총 합산한 값과 상기 제3 시간 동안 할당된 총 전자파 흡수율 간의 차이가 지정된 하한값보다 크면,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해 기설정된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을 상기 제3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를 참조하면, 좌측 그래프(1300)은 기존의 시간-평균 전력 제어의 예를 나타낸다. 좌측 그래프(1300)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좌측 그래프(1300)의 세로축은 송신 전력을 나타낸다. 에버리지 구간의 초기, 예를 들면 2분 동안 데이터 사용량이 많으면, 이후부터 에버리지 구간 종료시점까지는 SAR 소모량과 무관하게 Volte 음성 신호 등의 송신을 위해서도 최대 전력을 사용할 수 없다.
우측 그래프(135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시간-평균 전력 제어의 예를 나타낸다. 우측 그래프(1350)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우측 그래프(1350)의 세로축은 송신 전력을 나타낸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20))은 예를 들면 초기 2분 동안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경우에도, 이후 SAR 소모량이 작은 Volte 음성 신호 등을 출력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200ms 미소 시간 동안 할당된 SAR량보다 적은 SAR 사용량을 나타내므로, 미소시간 기준으로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회복시킴으로써 전력을 높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Volte 음성 신호 등의 SAR 사용량이 많지 않은 신호의 송신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을 참조하면, 그래프(140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를 나타낸다. 그래프 (1400)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그래프(1400)의 세로축은 송신 전력을 나타낸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20))은 일정 시간 또는 미소 시간(예: 인터벌 구간)의 과거에 사용 가능했던 SAR량(SAR 할당량)과 실제 사용했던 SAR량을 비교해서 할당량을 상당히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는 현재 SAR 사용량이 많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최대 전력 제한값을 초기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예: Volte 구간 1413). 프로세서(320)는 다음 비교 시간(예: 다음 인터벌 구간 종료 시점) 까지는 현재의 최대 전력 제한값을 유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시간-평균 SAR량을 체크하면서 상기와 같은 미소 시간 비교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가 전자 장치(101)이 실제 사용한 SAR량과 미소 시간 동안 사용 가능한 SAR량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전자 장치(101)의 송신량이 적은 시나리오(예: Volte)에서는 지속적으로 최대 전력 제한값을 최대화 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사용 가능했던 SAR량(SAR 할당량)과 실제 사용했던 SAR량을 비교해서 할당량을 상당히 사용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잔여 SAR에 기반하여 최대 SAR 제한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면 잔여 SAR이 총 SAR 할당량의 90%이하인 경우, 다음 인터벌 구간에 대해 예를 들면 기존 최대 SAR 제한값을 1dB 만큼 감소시켜 최대 SAR 제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구간 1411).
프로세서(320)는 에버리지 구간 6분 기준으로 초기(구간 1411)에 전력을 상당량 사용한 경우 중기 전후로 전체적으로 사용 가능한 SAR량이 감소하고 소진되어, 후기에는 사용 가능한 SAR량이 상당히 작을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이 경우 규정된 SAR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기 위해 사용 가능한 SAR량을 해당 에버리지 구간 잔여 시간으로 평균하여 해당 잔여 시간 동안 동일한 최대 전력 제한값을 적용함으로 규정된 SAR량을 넘지 않도록 할 수 있다(구간 1412).
본 발명에서, 특정 상태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상 또는 이하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초과 또는 미만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4)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통신 회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시간 동안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된 제 1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전력량을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상기 제 1 전력량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 1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 이후에 제 2 시간 동안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된 제 2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전력량을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상기 제 2 전력량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 2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및
    목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 2 전자파 흡수율 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될 제 3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를 결정하고,
    상기 최대 출력 파워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3 출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시간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2 전자파 흡수율 간의 차이가 지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를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상기 최대 출력 파워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시간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 2 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가 지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를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대한 상기 최대 출력 파워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시간에 대한 목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 2 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가 지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에서 기설정된 제2값 만큼 감소시킨 값을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대한 상기 최대 출력 파워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1 전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2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2 전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전자파 흡수율을 합산하고 상기 목표 전자파 흡수율과 비교하여 상기 제 3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을 포함하는 제3 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1 전자파 흡수율 및 상기 제2 전자파 흡수율을 포함하는 전자파 흡수율들을 총합하고, 상기 목표 전자파 흡수율 총합과의 차이가 지정된 하한값보다 작으면, 상기 목표 전자파 흡수율 총합에서 상기 전자파 흡수율 총합을 차감한 값을 상기 제3 시간 중 잔여 시간에 대해 평균한 값을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을 포함하는 제3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3 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1 전자파 흡수율 및 상기 제2 전자파 흡수율을 포함하는 전자파 흡수율들을 총합하고, 상기 목표 전자파 흡수율 총합과의 차이가 지정된 하한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3 시간의 초기에 설정된 최대 출력 파워를 상기 제3 시간 이후 출력되는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을 포함하는 제3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3 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1 전자파 흡수율 및 상기 제2 전자파 흡수율을 포함하는 전자파 흡수율들을 총합하고, 상기 목표 전자파 흡수율 총합과의 차이가 지정된 하한값보다 크면, 상기 안테나에 대해 기설정된 초기 최대 출력 파워를 상기 제3 시간 이후 출력되는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대한 최대 출력 파워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전자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시간 동안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에 대응하는 제1 최대 전력 제한값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전력량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 1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 1 전자파 흡수율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시간 이후 제2 시간에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출력될 제 2 출력 신호에 대한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 2 출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1 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을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해 기설정된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에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을 상기 제1 최대 전력 제한값과 동일하게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청구항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을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상기 제2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제2 시간의 길이를 동일하게 확인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에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최대 전력 제한값에서 기설정된 제2값만큼 감소시킨 값을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제3 시간 동안 상기 제1시간 마다 확인된 상기 제1 전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을 합산하고 상기 제3 시간 동안 할당된 총 전자파 흡수율과 비교하여 상기 제3 시간 종료 후 제4시간에 대한 제3 최대 전력 제한값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제3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3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 1 전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을 총 합산한 값과 상기 제3 시간 동안 할당된 총 전자파 흡수율 간의 차이가 지정된 하한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최대 전력 제한값을 상기 제3 시간의 잔여 시간에 대해 평균한 값을, 상기 잔여 시간 동안의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제3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3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1 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1 전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을 총 합산한 값과 상기 제3 시간 동안 할당된 총 전자파 흡수율 간의 차이가 지정된 하한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3 시간의 초기에 설정된 상기 제1 최대 전력 제한값을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제3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3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1시간 동안 확인된 상기 제1 전력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을 총 합산한 값과 상기 제3 시간 동안 할당된 총 전자파 흡수율 간의 차이가 지정된 하한값보다 크면,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해 기설정된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을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전자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시간 동안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에 대응하는 제1 최대 전력 제한값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출력되는 제 1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전력량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전력량에 대응하는 제 1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 시간에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 1 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시간 이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출력될 제 2 출력 신호에 대한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 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시간에 할당된 전자파 흡수율과 상기 제1전자파 흡수율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최대 전력 제한값을 상기 통신 모듈에 대해 기설정된 초기 최대 전력 제한값으로 결정하는 방법.
KR1020170136022A 2017-10-19 2017-10-19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65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022A KR102465059B1 (ko) 2017-10-19 2017-10-19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201811223297.2A CN109688620B (zh) 2017-10-19 2018-10-19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6/164,896 US10652839B2 (en) 2017-10-19 2018-10-19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18201478.7A EP3474609B1 (en) 2017-10-19 2018-10-19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6/871,286 US11071067B2 (en) 2017-10-19 2020-05-11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022A KR102465059B1 (ko) 2017-10-19 2017-10-19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916A true KR20190043916A (ko) 2019-04-29
KR102465059B1 KR102465059B1 (ko) 2022-11-09

Family

ID=6426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022A KR102465059B1 (ko) 2017-10-19 2017-10-19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652839B2 (ko)
EP (1) EP3474609B1 (ko)
KR (1) KR102465059B1 (ko)
CN (1) CN10968862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661A1 (ko) * 2022-07-15 2024-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tas와 twt의 통합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059B1 (ko) * 2017-10-19 2022-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652833B2 (en) * 2018-07-05 2020-05-12 Qualcomm Incorporated Evaluating radio frequency (RF) exposure in real time
CN112448732B (zh) * 2019-09-02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设备的射频暴露控制方法、装置及无线设备
US11716695B2 (en) 2020-09-11 2023-08-01 Qualcomm Incorporated Exception-robust time-averaged radio frequency exposure compliance continuity
EP3975629B1 (en) * 2020-09-23 2024-05-22 INTEL Corporation Time averaging for specific absorption rate & power density
US20220095237A1 (en) * 2020-09-23 2022-03-24 Intel Corporation Time averaging for specific absorption rate & power density
EP4017146A1 (en) * 2020-12-18 2022-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611943B2 (en) * 2021-04-08 2023-03-21 Apple Inc. Application aware adjust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CN117896812A (zh) * 2021-07-23 2024-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发射功率调整方法、装置及系统
WO2023229240A1 (ko) * 2022-05-26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17177344A (zh) * 2022-05-26 2023-12-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发射功率控制方法和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64641A1 (en) * 2015-08-26 2017-03-02 Qualcomm Incorporated Real-time specific absorption rate implementation in wireless devices
US20170265148A1 (en) * 2016-03-09 2017-09-1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based on sar and/or harq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2107B1 (en) * 2001-11-26 2006-07-25 Intel Corporation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s based on estimations of packet error rate
US7797732B2 (en) * 2004-11-04 2010-09-14 Tope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secure trusted social network
US8190827B2 (en) * 2009-02-27 2012-05-29 Red Hat, Inc. Memory sharing among computer programs
US8737934B2 (en) 2009-11-24 2014-05-27 Symbol Technologies, Inc. Setting SAR exposure limit of mobile devices
EP2403302B1 (en) * 2010-06-29 2017-01-04 Lg Electronics Inc. User equipment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plurality of signals simultaneously using at least two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and method thereof
US8538351B2 (en) * 2010-07-20 2013-09-17 Blackberry Limited Radiation power leve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tracked radiation history
US20120021707A1 (en) * 2010-07-26 2012-01-2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transmitter power in a system
US8565205B2 (en) * 2010-11-04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Specific absorption rate backoff in power headroom report
US8996054B2 (en) * 2010-11-16 2015-03-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ynamic SAR emission control to minimize RF exposure
US8811918B2 (en) * 2010-11-26 2014-08-19 Broadcom Corporation Distribution of transmit signal to multiple transmit antennas for reduction of measured specific absorption rate
US9107175B2 (en) * 2011-01-11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S2687145T3 (es) * 2011-02-21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dimiento para informar de manera eficiente de la potencia de transmisión de un equipo de usuario y aparato del mismo
US8909282B2 (en) * 2011-03-04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transmission power limit back-off for specific absorption rate compliance
US8781437B2 (en) * 2011-03-04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transmission power limit back-off for specific absorption rate compliance
JP5368503B2 (ja) * 2011-03-31 2013-12-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方法
US8818294B2 (en) * 2011-04-07 2014-08-26 Bertrand M. Hochwald Method of transmission from multiple transmit chains based on a cost function for electromagnetic radiation
CN103688575B (zh) * 2011-07-18 2017-07-11 诺基亚技术有限公司 智能无线电频率功率控制
US8995938B2 (en) * 2011-11-14 2015-03-31 Blackberry Limited Radiation power leve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unable elements
US8831528B2 (en) * 2012-01-04 2014-09-0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AR control using capacitive sensor and transmission duty cycle control in a wireless device
US9232478B2 (en) * 2012-03-02 2016-01-05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sca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ystem center frequency for LTE TDD
JP5993727B2 (ja) * 2012-11-29 2016-09-1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方法
US20140199952A1 (en) * 2013-01-15 2014-07-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pa/device temperature by switching the antennas on a device
EP3043481B1 (en) * 2013-09-02 2017-05-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50052547A (ko) * 2013-11-06 2015-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9785174B2 (en) * 2014-10-03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dictive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back-off
US9380541B1 (en) * 2015-06-02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specific absorption rate distribution to maximize transmit power of a wireless device
KR102412695B1 (ko) * 2015-07-28 2022-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72072B1 (ko) * 2016-02-19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안테나 선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200097B2 (en) * 2016-03-28 2019-02-05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antenna array training
KR102557996B1 (ko) 2016-07-15 2023-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661725B1 (ko) 2016-09-09 202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8063200A1 (en) * 2016-09-29 2018-04-05 Intel IP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s and method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10444305B2 (en) * 2017-06-21 2019-10-15 Canon Medical Systems Corpora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specific absorption rate calculation method
KR102465059B1 (ko) * 2017-10-19 2022-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1557033A (zh) * 2017-10-25 2020-08-18 豪夫迈·罗氏有限公司 用于认知和移动疾病或障碍的数字质量计量生物标记
US20200195290A1 (en) * 2018-12-13 2020-06-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Back-Off
US11184866B2 (en) * 2019-05-24 2021-11-23 Qualcomm Incorporated Beam selection balancing maximum power exposure and link budg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64641A1 (en) * 2015-08-26 2017-03-02 Qualcomm Incorporated Real-time specific absorption rate implementation in wireless devices
US20170265148A1 (en) * 2016-03-09 2017-09-1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based on sar and/or harq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661A1 (ko) * 2022-07-15 2024-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tas와 twt의 통합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52839B2 (en) 2020-05-12
EP3474609A1 (en) 2019-04-24
CN109688620B (zh) 2023-12-01
US11071067B2 (en) 2021-07-20
US20190124605A1 (en) 2019-04-25
US20200275387A1 (en) 2020-08-27
CN109688620A (zh) 2019-04-26
KR102465059B1 (ko) 2022-11-09
EP3474609B1 (en)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3916A (ko)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340009B1 (en) Electronic device and heat control method based on temperature of battery in electronic device
KR102661725B1 (ko)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80205253A1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20180000088A (ko) Sar 저감을 위한 안테나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1982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팬 제어 방법
KR20170020147A (ko)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US1036516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emperature in the electronic device
EP3383100A1 (en)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ling method
CN113169786A (zh) 具有阵列天线的电子装置和天线阵列的功率回退方法
KR20190001468A (ko)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44081A (ko)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장치 및 방법
KR20170075327A (ko) 전력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8028404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moisture in an electronic device
US10686338B2 (en) Electronic device and foreign object detec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2016011245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배터리 정보 제공 방법
KR20170108617A (ko)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무선 통신 제공 방법
KR20160139773A (ko) 전자 장치 및 그 전력 관리 방법
KR20180025762A (ko) 전력 전송 장치 및 전력 전송 방법
US20170185856A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function based on biometric signal
KR20160104965A (ko)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80128579A (ko) 배터리의 상태에 기반하여 배터리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60507A (ko) 전자 장치의 상태에 따른 음성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095988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peaker
KR102379096B1 (ko) Rf 신호 송신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