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784A -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784A
KR20190043784A KR1020170135764A KR20170135764A KR20190043784A KR 20190043784 A KR20190043784 A KR 20190043784A KR 1020170135764 A KR1020170135764 A KR 1020170135764A KR 20170135764 A KR20170135764 A KR 20170135764A KR 20190043784 A KR20190043784 A KR 2019004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leg
coil
connecting line
secondar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7483B1 (ko
Inventor
박훈양
Original Assignee
박훈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훈양 filed Critical 박훈양
Priority to KR1020170135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4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8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 H01F27/385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for reducing harmon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6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with special arrangement or spacing of turns of the winding(s), e.g. to produce desired self-reso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 계통에서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의 고조파 및 불평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압기의 철심에 지그재그로 코일을 권취하고, 상단 및 하단 인출부를 상부만의 인출부로 변경된,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하이브리드 변압기는, 제1 레그와 제2 레그 및 제3 레그를 구비하는 철심; 제1 레그와 제2 레그 및 제3 레그 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권취되는 1차 코일; 제1 레그와 제2 레그 및 제3 레그에 지그재그 형태로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권취된 2차 코일; 및 2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제1 연결선과 제2 연결선 및 제3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고, 1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제4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되, 상기 제1 연결선과 상기 제2 연결선, 상기 제3 연결선 및 상기 제4 연결선이 모두 상기 철심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연결되도록 인출된 상부인출 리드부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 계통에서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의 고조파 및 불평형을 감소시키고, 코일에서 발생된 누설 자속을 상쇄시켜 표유 부하손(stray loss)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Hybrid transformer for reduction of stray-load loss,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배전 계통에서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의 고조파 및 불평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압기의 철심에 지그재그로 코일을 권취하고, 상단 및 하단 인출부를 상부만의 인출부로 변경함으로써 코일에서 발생된 누설 자속을 상쇄시켜 표유 부하손(stray-load loss)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권선으로 인가하는 접속 단자로서 고압 부싱과, 변압된 저압의 전력을 다시 외부로 인출하는 저압 부싱을 포함하고 있다. 즉, 변압기는 고압 부싱을 통하여 인입되는 고압의 전력을 저압의 전력으로 변압하고, 저압 부싱을 통하여 수용가나 배전 선로로 공급한다. 저압 부싱 사이에는 강자성체인 몸체가 매질로 와류 자속의 통로가 되는데, 이는 변압기 부하 손실 중 표유 부하손(stray loss)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배전 계통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및 불평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압기의 철심에 코일을 지그재그로 권취하고, 코일에서 발생된 누설 자속을 억제하여 표유 부하손을 줄이는 하이브리드 변압기 출원한 바 있다.
도 1은 기존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권선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하이브리드 변압기(10)는, 철심에 코일을 지그재그로 권취하고, 이렇게 권취된 권선에 상부 리드부스바(12)와 하부 리드부스바(14)를 각각 인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기존 하이브리드 변압기(10)는 각 상에서 2개의 권선을 상호 반대방향이 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권선함으로써 부하에서 발생하는 영상분 전류의 위상이 서로 반대가 되어 고조파 및 불평형 전류를 자연적으로 상쇄시키게 된다.
그런데, 기존 하이브리드 변압기(10)에 대해 권선의 인출부를 상단과 하단에 각각 인출하는 구조에서는 다음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드부스바의 손실이 약 108.23 와트(W), 단철 손실이 약 721.53 와트(W)로서 총 830 와트(W) 가량의 손실이 발생하였다.
Figure pat00001
따라서, 기존 하이브리드 변압기(10)를 상부 리드부스바(12)와 하부 리드부스바(14)로 인출하는 구조는 권선에 발생되는 누설 자속이 서로 상쇄되지 않기 때문에 그에 따른 표유 부하손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98599호(등록일 : 2014.05.16)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 계통에서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의 고조파 및 불평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압기의 철심에 지그재그로 코일을 권취하고, 상단 및 하단 인출부를 상부만의 인출부로 변경함으로써 코일에서 발생된 누설 자속을 상쇄시켜 표유 부하손(stray-load loss)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는, 제1 레그와 제2 레그 및 제3 레그를 구비하는 철심; 제1 레그와 제2 레그 및 제3 레그 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권취되는 1차 코일; 제1 레그와 제2 레그 및 제3 레그에 지그재그 형태로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권취된 2차 코일; 및 2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제1 연결선과 제2 연결선 및 제3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고, 1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제4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되, 상기 제1 연결선과 상기 제2 연결선, 상기 제3 연결선 및 상기 제4 연결선이 모두 상기 철심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연결되도록 인출된 상부인출 리드부스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인출 리드부스바는, 제1 연결선을 통해, 제1 레그에 권취된 2차 코일의 제1 권선 및 제2 권선과, 제3 레그에 권취된 2차 코일의 제3 권선 및 제1 권선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인출 리드부스바는, 제2 연결선을 통해, 제1 레그에 권취된 2차 코일의 제1 권선 및 제2 권선과, 제2 레그에 권취된 2차 코일의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인출 리드부스바는, 제3 연결선을 통해, 제2 레그에 권취된 2차 코일의 제2 권선 및 제3 권선과, 제3 레그에 권취된 2차 코일의 제1 권선 및 제3 권선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레그, 제2 레그 및 제3 레그 각각의 최외각에 권취된 2차 코일 둘레에 1차 코일이 중첩되어 권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은, (a) 철심의 제1 레그와 제2 레그 및 제3 레그에 지그재그 형태로 2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권취하는 단계; (b) 제1 레그와 제2 레그 및 제3 레그 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1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권취하는 단계; (c) 2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철심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인출된 제1 연결선과 제2 연결선 및 제3 연결선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 (d) 상기 1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상기 철심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인출된 제4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연결선과 상기 제2 연결선, 상기 제3 연결선 및 상기 제4 연결선이 모두 상기 철심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인출된 상부인출 리드부스바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e) 단계에서 제1 연결선은, 제1 레그에 권취된 2차 코일의 제1 권선 및 제2 권선과, 제3 레그에 권취된 2차 코일의 제3 권선 및 제1 권선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e) 단계에서 제2 연결선은, 제1 레그에 권취된 2차 코일의 제1 권선 및 제2 권선과, 제2 레그에 권취된 2차 코일의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e) 단계에서 제3 연결선은, 제2 레그에 권취된 2차 코일의 제2 권선 및 제3 권선과, 제3 레그에 권취된 2차 코일의 제1 권선 및 제3 권선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b) 단계는, 제1 레그, 제2 레그 및 제3 레그 각각의 최외각에 권취된 2차 코일 둘레에 1차 코일이 중첩되어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변압기에서 상하 인출부를 상부만의 인출부로 변경함으로써 변압기에서 발생되는 누설 자속을 서로 상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누설자속 감소를 통한 임피던스의 감소 및 표유 부하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존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권선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외관 형상과 상부로 리드부스바가 인출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일부 권선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인출부 구조 변경을 통해 누설자속과 표유부하손이 감소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인출 변압기와 기존의 상하인출 변압기의 표유 부하 손실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인출 변압기와 기존의 상하인출 변압기의 리드부스바 재질 변화에 따른 표유 부하 손실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외관 형상과 상부로 리드부스바가 인출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100)는, 제1 레그(110a)와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를 구비하는 철심(110); 제1 레그(110a)와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 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제1 권선(120a)과 제2 권선(120b) 및 제3 권선(120c)이 권취되는 1차 코일(120); 제1 레그(110a)와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에 지그재그 형태로 제1 권선(210)과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이 권취된 2차 코일(200); 및 2차 코일(200)의 제1 권선(210)과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이 제1 연결선(211)과 제2 연결선(221) 및 제3 연결선(231)을 통해 연결되고, 1차 코일(120)의 제1 권선(120a)과 제2 권선(120b) 및 제3 권선(120c)이 제4 연결선(241)을 통해 연결된다.
이때, 상부인출 리드부스바(310)는 제1 연결선(211)과 제2 연결선(221), 제3 연결선(231) 및 제4 연결선(241)이 모두 철심(110)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인출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에서, 제1 연결선(211)과 제2 연결선(221), 제3 연결선(231) 및 제4 연결선(241)을 포함하는 상부인출 리드부스바(310)는 변압기의 상단측에 위치하여 리드 선(lead line) 형태로 설치되고, 변압기의 하단측에는 리드 선이 전혀 없는 구조로 제조된다.
또한, 상부인출 리드부스바(310)는, 제1 연결선(211)을 통해, 제1 레그(110a)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제1 권선(210) 및 제2 권선(220)과, 제3 레그(110c)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제3 권선(230) 및 제1 권선(21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부인출 리드부스바(310)는, 제2 연결선(221)을 통해, 제1 레그(110a)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제1 권선(210) 및 제2 권선(220)과, 제2 레그(110b)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부인출 리드부스바(310)는, 제3 연결선(231)을 통해, 제2 레그(110b)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과, 제3 레그(110c)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제1 권선(210) 및 제3 권선(230)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레그(110a)와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 각각의 최외각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둘레에 1차 코일(120)이 중첩되어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100)는, Δ-Y 형태의 변압기일 수 있다. 즉,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의 1차 코일(120)은 형으로 결선되고, 2차 코일(200)은 Y형으로 결선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의 결선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결선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만, 이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Y 형태의 변압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철심(110)은 제1 레그(110a),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는 도 4와 같이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철심(110)은 규소 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아몰퍼스 금속(Amorphous Metal)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아몰퍼스 금속이란, 철(Fe), 붕소(B), 규소(Si) 등이 혼합된 용융금속을 급속 냉각시킨 비정질 자성재료이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일부 권선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1차 코일(120)은 형으로 결선될 수 있다. 1차 코일(120)은 제1 권선(120a)과 제2 권선(120b) 및 제3 권선(120c)을 포함하며, 제1 권선(120a)과 제2 권선(120b) 및 제3 권선(120c)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 레그(110a),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 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다.
이 때, 제1 권선(120a)과 제2 권선(120b) 및 제3 권선(120c)은 각각 제1 레그(110a),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 상에서 1회 이상 권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권선(120a)과 제2 권선(120b) 및 제3 권선(120c)의 권수비는 1:1: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2차 코일(200)은 제1 레그(110a),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에 Y형으로 결선될 수 있다. 2차 코일(200)은 제1 권선(210),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을 포함하며, 배전 계통에서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의 고조파 및 불평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그(110a),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에 지그재그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즉, 2차 코일(200)의 제1 권선(210),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을 지그재그로 권선하여, 제2차 코일(200)에 흐르는 전류는 1차 코일(12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철심(110)에 생성된 자속(magnetic flux)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조절한다.
2차 코일(200)의 지그재그 권선이란, 2차 코일(200)을 구성하는 제1 권선(210),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이 철심(110)의 제1 레그(110a),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레그에 교차로 권선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철심(110)의 제1 레그(110a),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 각각에 제1 권선(210),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권선이 교차로 권선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100)는 2차 코일(200)의 제1 권선(210)은 제1 레그(110a), 제3 레그(110c), 제1 레그(110a), 제3 레그(110c) 및 제1 레그(110a)의 순서로 권취되고, 제2 권선(220)은 제2 레그(110b), 제1 레그(110a), 제2 레그(110b), 제1 레그(110a) 및 제2 레그(110b)의 순서로 권취된다.
또한, 2차 코일(200)의 제3 권선(230)은 제3 레그(110c), 제2 레그(110b), 제3 레그(110c),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의 순서로 권취된다. 이 때, 제1 권선(210),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은 각각 중성선(N)에 연결된다.
한편, 2차 코일(200)의 제1 권선(210)은 제1 레그(110a) 및 제3 레그(110c)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으며, 제2 권선(220)은 제2 레그(110b) 및 제1 레그(110a)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제3권선(230)은 제3 레그(110c) 및 제2 레그(110b)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다.
그러면, 각각의 레그(110a, 110b, 110c) 상에서 자속(magnetic flux)의 크기는 동일하지만 부하에서 발생한 영상분 전류의 위상이 서로 반대가 되어 자속이 상쇄되며, 이에 따라 고조파 및 불평형 성분의 전류는 감소하게 된다.
2차 코일(200)에서 제1 레그(110a),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에 지그재그로 권취된 제1 권선(210),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의 권수비는 각각 1:1:1:1:1 또는 1:2:2:2: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그(110a), 제3 레그(110c), 제1 레그(110a), 제3 레그(110c) 및 제1 레그(110a)의 순서로 권취된 제1 권선(210)의 권수비는 1:1:1:1:1 또는 1:2:2:2:1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구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권수비로 권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1차 코일(120) 및 2차 코일(200)이 각각 형 및 Y형으로 결선되는 경우, 1차 코일(120) 및 2차 코일(200) 사이에 혼촉 방지판(130)이 개재될 수 있다. 혼촉 방지판(130)은 2차 코일(200)보다 1차 코일(120)에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 낮은 전압이 인가된 2차 코일(200) 측에 연결된 제1 부하(11a) 및 제2 부하(11b)에 발생하는 전기적 피해를 줄인다. 또한, 혼촉 방지판(130)은 전원과 제1 부하(11a) 및 제2 부하(11b) 사이에 발생하는 고조파의 유입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100)는, 먼저 철심(110)의 제1 레그(110a)와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에 지그재그 형태로 2차 코일(200)의 제1 권선(210)과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이 권취된다(S610).
이어, 철심(110)의 제1 레그(110a)와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 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1차 코일(120)의 제1 권선(120a)과 제2 권선(120b) 및 제3 권선(120c)이 권취된다(S620).
이때, 제1 레그(110a)와 제2 레그(110b) 및 제3 레그(110c) 각각의 최외각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둘레에 1차 코일(120)이 중첩되어 권취될 수 있다.
이어, 2차 코일(200)의 제1 권선(210)과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이 철심(110)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인출된 제1 연결선(211)과 제2 연결선(221) 및 제3 연결선(231)을 통해 연결된다(S640).
이때, 제1 연결선(211)은, 제1 레그(110a)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제1 권선(210) 및 제2 권선(220)과, 제3 레그(110c)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제3 권선(230) 및 제1 권선(21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선(221)은, 제1 레그(110a)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제1 권선(210) 및 제2 권선(220)과, 제2 레그(110b)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3 연결선(231은, 제2 레그(110b)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제2 권선(220) 및 제3 권선(230)과, 제3 레그(110c)에 권취된 2차 코일(200)의 제1 권선(210) 및 제3 권선(23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어, 1차 코일(120)의 제1 권선(110a)과 제2 권선(110b) 및 제3 권선(110c)이 철심(110)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인출된 제4 연결선(241)을 통해 연결된다(S640).
이때, 제4 연결선(24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의 상단측에 위치하여 인출되도록 1차 코일(120)의 제1 권선(110a)과 제2 권선(110b) 및 제3 권선(110c)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1 연결선(211)과 제2 연결선(221), 제3 연결선(231) 및 제4 연결선(241)이 모두 철심(110)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인출된 상부인출 리드부스바(310)에 연결된다(S650).
즉, 상부인출 리드부스바(310)는 제1 연결선(211)과 제2 연결선(221), 제3 연결선(231) 및 제4 연결선(241)이 모두 철심(110)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인출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100)는 상부측에만 상부인출 리드부스바(310)가 인출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아래와 같이 표유 부하 손실이 현저히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에 대해, 권선의 인출부를 상단부에만 인출하는 구조에서는 다음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인출 리드부스바(310)의 손실이 약 100.59 와트(W), 단철 손실이 약 456.75 와트(W)로서 총 557 와트(W) 가량의 손실이 발생하였다.
Figure pat00002
따라서, 기존에 상부와 하부로 인출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10)는 830 와트(W)의 손실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상부만 인출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100)는 557 와트(W)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표유 부하손이 현저히 저감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100)는 상부 인출 구조를 통해 권선에 발생되는 누설 자속이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누설자속과 표유부하손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상부 및 하부 인출형 하이브리드 변압기(10)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만 인출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의 손실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3
표 3에서, 먼저 코어 손실(Core Loss)의 경우, 리드부스바 상하인출 변압기(Case 1-1)는 6933 와트(W)이고, 리드부스바 상부인출 변압기(Case 2-1)는 6933 와트(W)로 동일하고, 단철 손실은 721 와트(W)와 456 와트(W)로 저감되었다.
표 3에서, 리드부스바 손실의 경우, 리드부스바 상하인출 변압기는 108 와트(W)이고, 리드부스바 상부인출 변압기는 100 와트(W)로 약간 저감되었다.
표 3에서, 구리 손실(Copper Losses)의 경우, 리드부스바 상하인출 변압기는 100% 부하일 때 3633 와트(W)이고, 리드부스바 상부인출 변압기는 100% 부하일 때 3622 와트(W)로서 서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표 3에서, 총 손실의 경우, 리드부스바 상하인출 변압기는 100% 부하일 때 11,384 와트(W)이고, 50% 부하일 때 8,045 와트(W)이며, 리드부스바 상부인출 변압기는 100% 부하일 때 11,112 와트(W)이고, 50% 부하일 때 7,977 와트(W)로 약간 저감되었다.
표 3에서, 효율(%)에 있어서 리드부스바 상하인출 변압기는 100% 부하일 때 98.874%이고, 50% 부하일 때 99.202%이며, 리드부스바 상부인출 변압기는 100% 부하일 때 98.901%이고, 50% 부하일 때 99.209%로 미세하게 증가되었다.
표 3에서, 총손실 대비 단철 및 리드부스바의 손실(%)은 리드부스바 상하인출 변압기가 100% 부하일 때 7.288%이고 50% 부하일 때 10.313%이며, 리드부스바 상부인출 변압기가 100% 부하일 때 5.015%이고 50% 부하일 때 6.986%로 저감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인출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제작한 후 누설 자속 및 표유 부하손을 측정한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 자속 및 표유 부하손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인출부 구조 변경을 통해 누설자속과 표유부하손이 감소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누설자속 또는 표유 부하손을 측정한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누설자속이나 표유 부하손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7의 그래프에서 산봉우리 모양으로 솟아 있는 위치는 측정 주파수 대역에서 누설자속이나 표유 부하손의 값이 높음을 알 수 있고, 그 외의 부분은 낮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기존 변압기의 상단 및 하단 인출부를 변경하여 모두 변압기의 상부 인출부로 제조하게 됨으로써 누설자속과 표유 부하손이 대폭 감소되었음을 측정 시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인출 변압기와 기존의 상하인출 변압기의 표유 부하 손실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리드부스바를 회로에 연결하고, 재질이 구리이므로 단철과 다르게 솔리드 콘덕터(Solid Conductor)로 설정하여 해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리드부스바 상하인출 변압기(Case 1)는 단철 손실이 722.421 와트(W)이고 리드부스바 손실이 120.466 와트(W)로서 총 830 와트(W)의 손실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드부스바 상부인출 변압기(Case 2)는 단철 손실이 457.751 와트(W)이고, 리드부스바 손실이 111.039 와트(W)로서 총 557 와트(W)의 손실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드부스바 상부인출 변압기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 기존의 변압기 대비 손실을 273 와트(W)로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해석 결과에 따라 리드부스바 상부인출 변압기의 경우, 리드부스바 상하인출 변압기보다 총 손실에서 표유 부하손이 약 2% ~ 3%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인출 변압기와 기존의 상하인출 변압기의 리드부스바 재질 변화에 따른 표유 부하 손실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하이브리드 변압기(10)인 리드부스바 상하인출 변압기(Case 1)는 리드부스바의 재질이 알루미늄인 경우, 단철 손실이 722.421 와트(W)이고 리드부스바 손실은 120.466 와트(W)로서 합이 843 와트(W)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리드부스바 상하인출 변압기(Case 1)에서 리드부스바가 구리인 경우 단철 손실이 721.536 와트(W)이고 리드부스바 손실은 108.232 와트(W)로서 합이 830 와트(W)임을 알 수 있다.
즉, 기존의 하이브리드 변압기(10)인 리드부스바 상하인출 변압기(Case 1)는 리드부스바의 재질이 알루미늄보다 구리인 경우에 표유 부하 손실이 좀 더 줄어듬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인 리드부스바 상부인출 변압기(Case 2)는 리드부스바의 재질이 알루미늄인 경우, 단철 손실이 457.751 와트(W)이고 리드부스바 손실이 111.039 와트(W)로서 합이 569 와트(W)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리드부스바 상부인출 변압기(Case 2)에서 리드부스바의 재질이 구리인 경우, 단철 손실이 456.746 와트(W)이고 리드부스바 손실이 100.590 와트(W)로서 합이 557 와트(W)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인 리드부스바 상부인출 변압기(Case 2)는, 리드부스바가 상단 및 하단으로 인출된 리드부스바 상하인출 변압기(Case 1)보다 표유 부하 손실이 현저히 줄어듬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변압기(100)인 리드부스바 상부인출 변압기(Case 2)에서도 리드부스바의 재질이 알루미늄보다 구리인 경우에 표유 부하 손실이 좀 더 줄어듬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 계통에서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의 고조파 및 불평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변압기의 철심에 지그재그로 코일을 권취하고, 상단 및 하단 인출부를 상부만의 인출부로 변경함으로써 코일에서 발생된 누설 자속을 상쇄시켜 표유 부하손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기존 하이브리드 변압기 12 : 상부 리드부스바
14 : 하부 리드부스바 100 : 하이브리드 변압기
110 : 철심 110a : 제1 레그
110b : 제2 레그 110c : 제3 레그
112 : 상부 지지대 114 : 하부 지지대
120 : 1차 코일 120a : 제1 권선
120b : 제2 권선 120c : 제3 권선
200 : 2차 코일 210 : 제1 권선
211 : 제1 연결선 220 : 제2 권선
221 : 제2 연결선 230 : 제3 권선
231 : 제3 연결선 241 : 제4 연결선
310 : 상부인출 리드부스바

Claims (10)

  1. 제1 레그와 제2 레그 및 제3 레그를 구비하는 철심;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2 레그 및 상기 제3 레그 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권취되는 1차 코일;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2 레그 및 상기 제3 레그에 지그재그 형태로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권취된 2차 코일; 및
    상기 2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제1 연결선과 제2 연결선 및 제3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1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제4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되, 상기 제1 연결선과 상기 제2 연결선, 상기 제3 연결선 및 상기 제4 연결선이 모두 상기 철심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연결되도록 인출된 상부인출 리드부스바;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인출 리드부스바는, 상기 제1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제1 레그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의 제1 권선 및 제2 권선과, 상기 제3 레그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의 제3 권선 및 제1 권선을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인출 리드부스바는, 상기 제2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제1 레그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의 제1 권선 및 제2 권선과, 상기 제2 레그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의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을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인출 리드부스바는, 상기 제3 연결선을 통해, 상기 제2 레그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의 제2 권선 및 제3 권선과, 상기 제3 레그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의 제1 권선 및 제3 권선을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그, 상기 제2 레그 및 상기 제3 레그 각각의 최외각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 둘레에 상기 1차 코일이 중첩되어 권취된, 하이브리드 변압기.
  6. (a) 철심의 제1 레그와 제2 레그 및 제3 레그에 지그재그 형태로 2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권취되는 단계;
    (b)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2 레그 및 상기 제3 레그 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1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권취되는 단계; 및
    (c) 상기 2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상기 철심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인출된 제1 연결선과 제2 연결선 및 제3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
    (d) 상기 1차 코일의 제1 권선과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이 상기 철심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인출된 제4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연결선과 상기 제2 연결선, 상기 제3 연결선 및 상기 제4 연결선이 모두 상기 철심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인출된 상부인출 리드부스바에 연결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제1 연결선은, 상기 제1 레그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의 제1 권선 및 제2 권선과, 상기 제3 레그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의 제3 권선 및 제1 권선을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제2 연결선은, 상기 제1 레그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의 제1 권선 및 제2 권선과, 상기 제2 레그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의 제2 권선 및 제3 권선을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제3 연결선은, 상기 제2 레그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의 제2 권선 및 제3 권선과, 상기 제3 레그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의 제1 권선 및 제3 권선을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레그, 상기 제2 레그 및 상기 제3 레그 각각의 최외각에 권취된 상기 2차 코일의 둘레에 상기 1차 코일이 중첩되어 권취되는,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
KR1020170135764A 2017-10-19 2017-10-19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 KR101977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764A KR101977483B1 (ko) 2017-10-19 2017-10-19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764A KR101977483B1 (ko) 2017-10-19 2017-10-19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784A true KR20190043784A (ko) 2019-04-29
KR101977483B1 KR101977483B1 (ko) 2019-05-10

Family

ID=6628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764A KR101977483B1 (ko) 2017-10-19 2017-10-19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4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6080A (ja) * 2008-03-31 2009-10-22 Japan Ae Power Systems Corp 静止誘導電器
KR20100123217A (ko) * 2009-05-14 2010-11-24 삼정전기공업 주식회사 표류부하손실이 저감된 주상 변압기용 부싱 및 이를 적용한 주상 변압기
KR101229631B1 (ko) * 2011-10-31 2013-02-04 김은희 표류 부하손을 절감하는 자기차폐형 변압기
KR101398599B1 (ko) 2013-02-04 2014-05-28 김나운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절전방법
KR101573813B1 (ko) * 2015-06-29 2015-12-02 박훈양 저손실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6080A (ja) * 2008-03-31 2009-10-22 Japan Ae Power Systems Corp 静止誘導電器
KR20100123217A (ko) * 2009-05-14 2010-11-24 삼정전기공업 주식회사 표류부하손실이 저감된 주상 변압기용 부싱 및 이를 적용한 주상 변압기
KR101229631B1 (ko) * 2011-10-31 2013-02-04 김은희 표류 부하손을 절감하는 자기차폐형 변압기
KR101398599B1 (ko) 2013-02-04 2014-05-28 김나운 친환경 절전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절전방법
KR101573813B1 (ko) * 2015-06-29 2015-12-02 박훈양 저손실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483B1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4868B1 (en) Filtering choke arrangement for a frequency converter
RU2374713C2 (ru) Плоский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US8497755B2 (en) Hybrid transformer with transformation and improved harmonics functions, unbalanced current, and a power supply system thereof
JP2010035300A (ja) 非接触給電装置
Dzhankhotov et al. A new passive hybrid air-core foil filter for modern power drives
US8193889B2 (en) Filter appliance for a multiphase electrical converter device
JP2009182115A (ja) 変圧器
US20210383961A1 (en) Transformer
EP2779180A1 (en) Transformer
WO2020036507A1 (ru) Сглаживающе-токоограничивающий реактор фильтр-устройств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тяговой подстанции
KR101977483B1 (ko) 하이브리드 변압기의 표유 부하손 저감 방법
US9583252B2 (en) Transformer
CN109637791A (zh) 一种逆斯科特变压器
KR101573813B1 (ko) 저손실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그 제조 방법
CN209216746U (zh) 一种逆斯科特变压器
JP2012034149A (ja) 電源ラインフィルタ
JP3544465B2 (ja) 単相単巻変圧器
CN109767901A (zh) 一种具有电磁平衡功能的抗干扰零序电流互感器
JP6825745B2 (ja) 静止誘導電器
EP0844626B1 (en) Transformer
KR20180062586A (ko) 변압기
Chaw et al. Design comparison for rectangular and round winding distribution transformer (1000 kVA)
JP200223742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用トランス
Shimotsu et al. Loss reduction design for coils and power converter by considering reactive power and ac resistance in high power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JP2000058357A (ja) 交流変流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