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704A -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704A
KR20190043704A KR1020170135607A KR20170135607A KR20190043704A KR 20190043704 A KR20190043704 A KR 20190043704A KR 1020170135607 A KR1020170135607 A KR 1020170135607A KR 20170135607 A KR20170135607 A KR 20170135607A KR 20190043704 A KR20190043704 A KR 20190043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base
conversion adapter
switc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한민
노진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3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3704A/ko
Publication of KR20190043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는 소정의 높이로 제공되며 하기 변환 어댑터와 결합하는 기초대 본체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부에 변압기 또는 개폐기가 거치되는 변환 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단일형 고강도플라스틱 원료를 사용하여 절연성능 향상과 경량화하여 경제적이고, 운송 및 설치가 편리하며, 변압기의 용량이나 개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단일형태의 기초대를 설치하여 공사비용 및 편의성의 향상시키고, 미관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BASE PLATE FOR TRANSFORM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배전용 기기의 설치를 위한 조립식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중배전용 기기는 지상에 설치함을 원칙으로 하되, 설치 장소는 녹지 또는 도로의 보도 등에 설치하며, 지상기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지표면을 굴착하여 지상기기 기초대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개폐기 또는 변압기를 설치한다.
지중배전용 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 구조물은 개폐기용과 변압기용이 있고 규격은 하기 표와 같이 크기가 상이하다.
품목번호 기 호 규격(외부치수:cm)
폭××높이×길이
비 고
104016 SW-3 90×112×130 수동 3회로형



104017 SW-4 90×112×170 수동 4회로 자동형
104018 T-1B 110×112×110 30∼100kVA 단상변압기
104019 T-1H 150×112×110 150∼200kVA 단상변압기
104020 T-3L 110×112×160 75∼200kVA 삼상변압기
104021 T-3U 135×112×160 300kVA 삼상변압기
104022 T-3N 160×112×160 500kVA 삼상 변압기
도 1은 종래의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다른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기초대 규격별 지상기기 호환 설치가 불가한 문제점이 있는데, 구체적으로 종래의 개폐기 또는 변압기 기초대는 규격이 정해져 있어 개폐기의 종류 변경 또는 변압기 용량 변경 시 기초대를 변경하여야 하는 구조로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지상기기의 변경 시 기초대의 변경공사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기초대 변경공사는 시공이 복잡하고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소용되는 문제가 있어, 도 1에서와 같이 현재는 용량이 큰 기초대를 설치하고 여유공간을 비규격의 뚜껑 또는 덮개 등을 씌워 기기 변경에 대비하고 있거나, 상위용량 변압기 교체에 따른 불량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기와 기초대간 접합부 방수 미시공 및 빗물 유입에 따른 고장이 발생한다. 기기와 기초대는 몰탈 또는 실리콘으로 방수처리 하고 있으나 시공을 생략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쉽게 노후되어 성능이 저하되고, 특히 도 2에서와 같이 비규격의 덮개를 씌워놓고 몰탈을 미시공한 기기는 방수시공이 어려워 기초대 내부로 물이 유입되고, 별도의 배수처리가 불가한 기초대에 쌓인 물은 케이블 노후 및 고장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현장납품자재로 운송비용 과다 소요되는데,일반적으로 전력설비 지중화에 필요한 지중배전용 기기 기초대는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1.5톤 내지 3톤의 중량물을 주로 공장에서 제작하여 공사현장에 운반ㅇ조립ㅇ설치하는 조립식 구조물이다. 따라서 구조물 상하차, 운송, 설치를 위해 건설중장비를 필요로 하며, 현장 직납자재로 과다한 운송비용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기초대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초대는 상하 이분 형성되어 요홈(102)과 돌기에 의하여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하부 기초대(100)와 상부 기초대(200)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하부 기초대(100)를 살펴보면, 측벽에 케이블 삽입공(104)이 천공되고, 상부는 개방 형성되어 상부면 가장자리에 요홈(102)이 형성되며, 측벽에는 설치를 위한 고리(106)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기초대(200)는 하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한 하부 기초대(100)의 요홈(102)에 대응되도록 하부면 가장 자리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측벽에는 설치용 고리(206)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부는 외함의 치수에 맞게 돌출형성되고, 중심에 배전 등을 위한 배전용 개구부(212)가 형성된 돌출부(210)와 상기한 돌출부(210)를 제외한 부분으로 중심에 작업공간을 위한 작업용 개구부(222)가 형성된 평면부(220)로 구분되어 상기한 평면부(220)의 작업용 개구부(222)를 개폐식 덮개(230)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덮개(230)와 평면부(220)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덮개(230)의 하부면 가장자리에는 누수방지용 돌기가 돌출형성되고, 평면부(220)의 작업용 개구부(222) 가장자리에는 누수방지용 요홈이 누수방지용 돌기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상기한 누수방지용 요홈 내부로는 실링재가 삽입되어 누수가 방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초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전히 기초대 규격별 지상기기 호환 설치가 불가한 문제점이 있고, 기기와 기초대간 접합부 방수 미시공 및 빗물 유입에 따른 고장이 발생하며, 또한 기초대 변경공사는 시공이 복잡하고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소용되는 문제가 있어 소요되는 작업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고, 제작과 설치 및 운반에 있어 비경제적이며, 앞서 설명한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출원 제 20-0440600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단일형 고강도플라스틱 원료를 사용하여 절연성능 향상과 경량화하여 경제적이고, 운송 및 설치가 편리하며, 변압기의 용량이나 개폐기의 종류에 관계없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는 소정의 높이로 제공되며 하기 변환 어댑터와 결합하는 기초대 본체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부에 변압기 또는 개폐기가 거치되는 변환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하판; 상기 하판과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들 및 상기 측벽들의 상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부를 덮는 변환 어댑터와 결합하는 상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들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측벽들에는 지중배전선이 관통하는 관통홀들이 상이한 크기로 각각 천공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들은 상호 이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들은 격자 형상으로 천공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단 지지부의 각각의 변들에는 변환 어댑터와 나사 결합을 위한 제 1 나사 구멍들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단 지지부는 외주부를 따라 내측으로 만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환 어댑터의 크기는 본체의 만입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변환 어댑터의 크기는 본체의 만입부에 삽입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변환 어댑터의 크기는 본체의 만입부를 덮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변환 어댑터는 외주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재질은 SMC(Sheet Molding Compoun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재질은 실리콘 또는 에폭시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는 방수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재는 변압기 또는 개폐기와 변환 어댑터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재는 변환 어댑터와 본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변환 어댑터의 각각의 변들에는 본체와 나사 결합을 위한 제 2 나사 구멍들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지중배전용 기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표면을 터파기 후에 본체를 설치하는 단계; (b)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에 관로 연결 및 접지를 시공하는 단계; 및 (c)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상단에 기초대 변환 어댑터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이후에 (d)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와 기초대 변환 어댑터를 나사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는 단일형 고강도플라스틱 원료를 사용하여 절연성능 향상과 경량화하여 경제적이고, 운송 및 설치가 편리하며, 변압기의 용량이나 개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단일형태의 기초대를 설치하여 공사비용 및 편의성의 향상시키고, 미관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다른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초대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본체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변환 어댑터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본체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본체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본체의 모식도이다.
도 4를 도 5 및 도 8과 함께 참조하면,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100)는 소정의 높이로 제공되며 하기 제 1 변환 어댑터(150)와 결합하는 기초대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와 결합되어 상부에 변압기 또는 개폐기가 거치되는 제 1 변환 어댑터(150)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본체(110)는 하판(120), 상기 하판(120)과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들(130) 및 상기 측벽들(130)의 상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부를 덮는 제 1 변환 어댑터(150)와 결합하는 상단 지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들(130)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진 구조이며, 상기 측벽들(130)에는 지중배전선이 관통하는 관통홀들(132)이 각각 천공되되, 상기 관통홀들은 상이한 크기로 천공이 가능하고, 상기 관통홀들(132)은 상호 이격되어 격자 형상으로 천공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단 지지부(140)는 외주부를 따라 내측으로 만입부(1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단 지지부(140)의 각각의 변들에는 제 1 변환 어댑터(150)와 나사 결합을 위한 제 1 나사 구멍들(144)이 천공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변환 어댑터의 모식도이다.
도 5를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제 1 변환 어댑터(150)는 상기 본체(110)와 결합되어 상부에 변압기 또는 개폐기가 거치되되, 상기 제 1 변환 어댑터(150)의 크기는 본체(110)의 만입부(142)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 1 변환 어댑터(150)에는 외주부에 단차(1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변환 어댑터(150)의 각각의 변들에는 본체(110)와 나사 결합을 위한 제 2 나사 구멍들(154)이 천공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본체의 모식도이다.
도 6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제 2 변환 어댑터(250)는 소용량 개폐기나 변압기용으로서, 제 2 변환 어댑터(250)의 크기는 본체(110)의 만입부(142)에 삽입되는 크기이며, 제 2 변환 어댑터(250)의 단차(152)가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변환 어댑터(250)의 크기 및 단차(152) 형성 방향이 제 1 변환 어댑터(150)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조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본체의 모식도이다.
도 7을 도 4 및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제 3 변환 어댑터(350)는 대용량 변압기용으로서, 제 3 변환 어댑터(350)의 크기는 본체(110)의 만입부(142)를 덮는 크기이며, 제 3 변환 어댑터(350)의 단차(152)가 본체(110)의 상단 지지부(140)를 덮도록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변환 어댑터(350)의 크기 및 단차(152) 형성 방향이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조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모식도이다.
도 8을 도 4 및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표준형 지상기기의 설치도로서 본체(110)와 제 1 변환 어댑터(150)가 결합되고, 제 1 변환 어댑터(150)의 상면에 변압기(10)가 거치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100)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변환 어댑터(150)의 크기는 상단 지지부(140)에 형성되어 있는 만입부(142)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고, 제 1 변환 어댑터(150)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152)가 상단 지지부(140)에 형성되어 있는 만입부(142)와 결합한다.
한편, 상기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100)는 방수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방수부재는 변압기(10)와 변환 어댑터(150) 사이에 개재되거나, 변환 어댑터(150)와 본체(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변환 어댑터(150)의 표면 재질이 SMC, 실리콘, 에폭시수지 등을 포함하여 별도의 방수부재를 사용함이 없이 자체 방수가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모식도이다.
도 9를 도 4 및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소형 지상기기의 설치도로서 본체(110)와 제 2 변환 어댑터(250)가 결합되고, 제 1 변환 어댑터(150)의 상면에 변압기(10)가 거치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200)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변환 어댑터(250)의 크기는 상단 지지부(140)에 형성되어 있는 만입부(142)에 삽입되는 크기를 가지고, 제 1 변환 어댑터(150)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152)가 내측으로 형성되어 변압기(10)와 접촉하는 면이 변압기(10)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모식도이다.
도 10을 도 4 및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대형 지상기기의 설치도로서 본체(110)와 제 3 변환 어댑터(350)가 결합되고, 제 3 변환 어댑터(350)의 상면에 변압기(10)가 거치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300)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변환 어댑터(350)의 크기는 상단 지지부(140)에 형성되어 있는 만입부(142)를 덮는 크기를 가지고, 제 3 변환 어댑터(350)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152)가 외측으로 형성되어 변압기(10)와 접촉하는 부분이 변압기(10)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진다.
도 4, 도 5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를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a) 지중배전용 기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표면을 터파기 후에 본체를 설치한다. 이어서, (b)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에 관로 연결 및 접지를 시공한다. 관로 연결 및 접지가 완료되면 (c)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상단에 지중배전용 기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변환 어댑터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c) 단계 이후에 (d)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와 기초대 변환 어댑터를 나사 체결한 후에 지중배전용 기기를 설치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가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110: 본체
120: 하판 130: 측벽들
132: 관통홀들 140: 상단 지지부
144: 제 1 나사 구멍들 150: 제 1 변환 어댑터
152: 단차 154: 제 2 나사 구멍들
250: 제 2 변환 어댑터 350: 제 3 변환 어댑터

Claims (20)

  1. 소정의 높이로 제공되며 하기 변환 어댑터와 결합하는 기초대 본체;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부에 변압기 또는 개폐기가 거치되는 변환 어댑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판;
    상기 하판과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들; 및
    상기 측벽들의 상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부를 덮는 변환 어댑터와 결합하는 상단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에는 지중배전선이 관통하는 관통홀들이 상이한 크기로 각각 천공이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들은 상호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들은 격자 형상으로 각각 천공이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부의 각각의 변들에는 변환 어댑터와 나사 결합을 위한 제 1 나사 구멍들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부는 외주부를 따라 내측으로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어댑터의 크기는 본체의 만입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어댑터의 크기는 본체의 만입부에 삽입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어댑터의 크기는 본체의 만입부를 덮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어댑터는 외주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재질은 SMC(Sheet Molding Compoun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재질은 실리콘 또는 에폭시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는 방수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변압기 또는 개폐기와 변환 어댑터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변환 어댑터와 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어댑터의 각각의 변들에는 본체와 나사 결합을 위한 제 2 나사 구멍들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지중배전용 기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표면을 터파기 후에 본체를 설치하는 단계,
    (b)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에 관로 연결 및 접지를 시공하는 단계, 및
    (c)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의 상단에 기초대 변환 어댑터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대 시공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와 기초대 변환 어댑터를 나사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대 시공 방법.
KR1020170135607A 2017-10-19 2017-10-19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90043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607A KR20190043704A (ko) 2017-10-19 2017-10-19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607A KR20190043704A (ko) 2017-10-19 2017-10-19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704A true KR20190043704A (ko) 2019-04-29

Family

ID=66282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607A KR20190043704A (ko) 2017-10-19 2017-10-19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37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914A (ko) * 2020-06-23 2022-08-19 한국전력공사 지하 매입형 저압분전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00Y1 (ko) 2007-03-09 2008-06-19 주식회사 삼성산업 변압기 및 개폐기용 기초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00Y1 (ko) 2007-03-09 2008-06-19 주식회사 삼성산업 변압기 및 개폐기용 기초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914A (ko) * 2020-06-23 2022-08-19 한국전력공사 지하 매입형 저압분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340B1 (ko) 높이조절용 지중 저압접속함
KR20190043704A (ko) 변압기 및 개폐기 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N210640604U (zh) 一种箱式变电站的基础结构
CN111764436A (zh) 一种混凝土预制装配式检查井
KR200338262Y1 (ko) 지상설치형 변압기의 받침 장치
CN204753639U (zh) 工厂化模块式混凝土挤压预制的水井
CN111764435A (zh) 一种混凝土预制灌浆密封装配式检查井
CN206389054U (zh) 一种变电站
KR100912898B1 (ko) 높낮이조절용 연결소켓이 구비된 우수받이
CN220953521U (zh) 一种预制装配式拼装配电箱基础
KR101672029B1 (ko) 맨홀 커플러, 이를 이용한 맨홀 방수 구조 및 방수 시공방법
KR100600516B1 (ko) 방수밀폐형 맨홀
CN113833028B (zh) 一种用于井下作业的拼接型接线墙体
CN220585921U (zh) 一种细石混凝土钢筋桁架楼承板多棱角线盒
CN203983787U (zh) 一种预装变电站箱体结构
CN216892741U (zh) 一种装配式预制电力八角形检查井
CN216948693U (zh) 装配式污水处理池
CN212670648U (zh) 一种混凝土预制装配式检查井
CN216892739U (zh) 一种装配式排水检查井
KR100672238B1 (ko) 변전소 지중 케이블관 설치구조
KR101066913B1 (ko) 관로구 일체형 기초대
CN216720682U (zh) 一种模块式非金属结构的箱式变电站
CN219011302U (zh) 一种方便地库连接的防水型带帽工井
CN209277189U (zh) 一种装配式预制环网箱基础
CN204370478U (zh) 一种塑料阀门检查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