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477A - 여신산의 착상 증가 효능 - Google Patents

여신산의 착상 증가 효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477A
KR20190042477A KR1020180123251A KR20180123251A KR20190042477A KR 20190042477 A KR20190042477 A KR 20190042477A KR 1020180123251 A KR1020180123251 A KR 1020180123251A KR 20180123251 A KR20180123251 A KR 20180123251A KR 20190042477 A KR20190042477 A KR 20190042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erbal
peony
infertility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771B1 (ko
Inventor
하기태
최희정
최준용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04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Cyperaceae (Sedge family)
    • A61K36/8905Cyperus (flats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불임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궁내막 세포에서 착상과 관련된 LIF의 발현을 증가시켜, 자궁내막 세포와 태아유래 영양막 세포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수정란의 착상을 효과적으로 유도함으로써, 불임증의 예방 또는 치료 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여신산의 착상 증가 효능 {Improvement of embryo implantation by Yeosin-san}
본 발명은 여신산의 착상 증가 효능에 관한 것이다.
여성 불임의 원인은 배란장애, 수정란의 이송장애, 착상장애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시험관아기시술법 (IVF)을 이용하는 경우, 배란장애와 수정란의 이송장애로 인한 불임에는 효과가 있으나, 착상장애로 인한 불임을 극복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수정란의 착상은 배란 후 약 6~10일간의 착상 창 (implantation window) 시기에 일어나며, 수정란의 투명대가 제거되는 단계 (hatching), 수정란과 자궁내피가 느슨하게 상호작용하는 단계 (apposition), 수정란과 자궁내피가 강하게 결합하는 단계 (adhesion) 및 결합한 수정란이 자궁내막으로 침투하는 (invasion) 일련의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이러한 착상 과정에 필요한 인자의 결함이 불임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착상 과정에서 관여하는 인자로는 자궁내막에서 분비되는 백혈병억제인자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등의 인터루킨-6 (IL-6) 종류의 사이토카인, 인터루킨-11 등의 사이토카인, IGFBP-3, HB-EGF 등의 성장인자 및 배아세포와 자궁내막 세포간의 접착에 관여하는 분자들이 있으며, 이러한 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한의학 및 약학 분야에서는 이지천계방 (二至天癸方; Er Zhi Tian Zhu Fang)을 이용하는 경우, 여성호르몬이 증가하고, 배란 수가 증가하며 여포자극호르몬 (FSH)에 대한 난소의 반응성 증가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으며 (中國中西醫結合雜誌, 26(8), pp. 685-688, 2006), 한약재 단삼 (丹蔘), 천궁 (川芎), 애엽 (艾葉)을 이용하는 경우, 자궁의 혈류가 개선되고, PGE2 농도가 증가하는 것 (中國中西醫結合雜誌, 12(3), pp. 165-168, 1992)과, 보신활혈법 (補腎活血法)을 이용하는 경우, 나팔관 협착이 개선되고, 난포의 발달과 자궁내막의 증식이 개선되는 등 (中國中西醫結合雜誌, 26, pp. 325-328, 2006) 다양한 한약이 불임 치료에 관련된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5-0030428호에서는 작약에 포함된 패오니플로린이 백혈병억제인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모체의 자궁내막세포와 태아유래 영양막의 결합을 촉진시켜 수정란의 착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였고,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742968호에서는 향부자에 포함된 알파-시페론이 백혈병억제인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모체의 자궁내막세포와 태아유래 영양막의 결합을 촉진시켜 수정란의 착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불임 원인 중 착상 장애로 인한 불임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한약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여신산은 향부자 (香附子; Roots of Cyperus rotundus L.)와 작약 (Roots of Paeonia lactiflora Pallas)이 1:1로 배합된 처방으로, 부인대전양방 (婦人大全良方)에서 처음 수록된 이후 태평성혜방 (太平聖惠方), 본초강목 (本草綱目) 등 중요 한의서에 수록되어, 비정상 자궁출혈 (붕루, 崩漏)나 적색 혹은 백색 대하 (leukorrhea, 赤白帶下)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도 불임 치료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5-00304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296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임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이 착상과 관련된 사이토카인인 백혈병억제인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자궁내막 세포 및 태아유래 영양막 세포의 결합을 증가시킴으로써 임신 촉진 및 착상장애로 인한 불임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임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자궁내막 세포에서 착상과 관련된 백혈병억제인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자궁내막 세포와 태아유래 영양막 세포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수정란의 착상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a) 실시예 1-1 (시료 A)과 (b) 비교예 1 (시료 B) 및 (c) 비교예 2 (시료 C)에 따른 시료별로 이시카와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MTT법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1과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시료별로 태아유래 세포주의 자궁내막유래 세포주에 대한 부착을 형광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a) 및 부착수를 계수한 결과 (b)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시료별로 태아유래 세포주의 자궁내막유래 세포주에 대한 부착을 형광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a) 및 부착수를 계수한 결과 (b)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실험예 3에 따른 방법으로 착상 억제 생쥐 모델에 대한 착상 증진 효능을 확인한 것으로, (a) 각 군별 배아 사진과 (b) 그 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한방에서는 뿌리가 약재로 사용된다. 작약의 뿌리에는 패오니플로린 (paeoniflorin), 패오닌(paeonine), 탄닌, 수지, 안식향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작약은 중추 신경계 억제, 항균작용, 위장염과 위장의 경련성 동통에 대한 진통, 빈혈에 의한 근육경련에 대한 진통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작약 추출물”은 작약 뿌리를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향부자”는 사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인 위향부의 덩이줄기로서 가는 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것을 지칭한다. 향부자에는 알파-시페론(alpha-cyperone), 베타-셀리넨 (beta-selinene), 시페론 (cyperone) 등이 포함되어 있다. 향부자는 진통, 자궁수축 억제, 월경불순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향부자 추출물”은 향부자 덩이줄기를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은 상기 작약 추출물 및 상기 향부자 추출물의 혼합물이거나, 작약과 향부자 혼합물의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천연 물질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침지 추출법, 고온 및 고압 증기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천연 물질을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C1-C4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30% 내지 80% 메탄올 (v/v), 30% 내지 80% 에탄올 (v/v)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작약 또는 향부자의 건조 중량의 2배 내지 20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수 추출”은 추출 대상물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가열하거나, 추출 대상물에 고온의 물을 첨가하여 상기 추출 대상물로부터 추출물을 용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 방법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액을 증발시키고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결 건조하여 수득한 시료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이를 다시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단계는 2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작약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은 5: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작약과 향부자의 혼합물에서 작약과 향부자는 5: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불임증 (infertility)”은 임신이 되지 않는 상태로서, 난임 (subfertility) 상태를 포함하고, 과거에 임신을 해본적 없는 1차성 불임 및 과거에 임신 한적 있으나, 이후 임신이 되지 않는 2차성 불임을 포함한다. 불임증은 예를 들어, 조기난소부전 (Premature Ovarian Failure), 다낭성 난소 증후군 (Polycystic Ovary Syndrome), 난관 폐쇄와 같은 배란 장애, 수정란의 이송장애 또는 착상장애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그 원인은 연령, 스트레스, 영양결핍 또는 무리한 다이어트, 과체중 또는 저체중, 흡연, 약물, 음주 또는 유전적 요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복합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쥐,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주사 등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임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되어, 그 안정성이 입증되어 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임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작약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은 5: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임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작약과 향부자의 혼합물에서 작약과 향부자는 5: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임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작약 및 향부자 혼합물을 열수 추출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임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7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불임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 (niacin), 비오틴 (biotin), 폴레이트 (folate), 판토텐산 (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 (Zn), 철 (Fe), 칼슘 (Ca), 크롬 (Cr), 마그네슘 (Mg), 망간 (Mn), 구리 (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 (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디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 (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 (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등), 착색제 (타르색소 등), 발색제 (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 (아황산나트륨), 조미료 (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 (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 (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 (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 (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 (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임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상기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농산물, 축산물 또는 수산물의 특성을 살려 변형시키는 동시에 저장성을 좋게 한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가린, 지방 지속성 (fat continuous) 또는 물 지속성 (water continuous) 또는 양쪽 지속성(bicontinuous) 스프레드, 지방 감소된 스프레드, 초콜렛, 또는 초콜렛 코팅 또는 초콜렛 속 (fillings) 또는 베이커리 속과 같은 과자류, 아이스크림, 아이스크림 코팅, 아이스크림 함유물, 드레싱, 마요네즈, 치즈, 크림 대체물, 건조 스프, 드링크, 시리얼 바, 소스, 스낵바, 유제품, 임상 영양식품, 소아용 식품 등의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및 실험예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작약 및 향부자를 포함하는 열수 추출물
실시예 1-1. 작약 및 향부자를 1: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열수 추출물
작약 및 향부자의 중량비를 1:1로 혼합한 혼합물 100g에 증류수 1L를 첨가하여 2시간 이상 가열하였다. 가열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4℃에서 유지하여 냉각하였다. 상등액을 필터한 후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열수 추출물 (이하, 시료 A로 표기한다)을 수득하였다. 열수 추출을 통한 시료 A의 수율은 40.37%였다.
실시예 1-2 내지 1-5.
작약 및 향부자의 중량비를 각각 3:1, 2:1, 1:2 및 1:3으로 혼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작약 및 자소엽을 포함하는 열수 추출물
작약 및 자소엽의 중량비를 1:1로 혼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 추출물 (이하, 시료 B로 표기한다)을 수득하였다. 열수 추출을 통한 시료 B의 수율은 16.20%였다.
비교예 2. 작약, 향부자 및 자소엽을 포함하는 열수 추출물
작약, 향부자 및 자소엽의 중량비를 1:1:1로 혼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 추출물(이하, 시료 C로 표기한다)을 수득하였다. 열수 추출을 통한 시료 C의 수율은 27.87%였다.
실험예 1. 열수 추출물의 세포독성 확인
시료 A 내지 C의 열수 추출물의 세포에 대한 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자궁내막 유래 세포인 이시카와 세포 (Ishikawa cell)에 각각 0, 100, 250, 500 및 1000μg/ml 농도로 처리하고 이시카와 세포의 생존능을 MTT법 (4,5-디메틸디아졸-2-일-2,5-데페닐테트라졸리움 프로미드를 이용한 흡광도 정량)으로 측정 (도 1)하였다.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시료 A 내지 C는 각각 500, 250, 1000μg/ml의 농도까지는 유의미한 세포 독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험에서는 공통적으로 독성이 없는 250μg/ml 농도의 시료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2. 태아유래 세포주의 자궁내막유래 세포주에 대한 부착능 확인
실험예 2-1. 시료 A 내지 C의 부착능 확인
인간 자궁내막 유래 세포주인 이시카와 세포를 80% 합류 (confluence)가 되도록 단일층으로 배양한 다음, 시료 A 내지 C를 각각 250μg/ml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후 100% 합류가 될 때까지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미리 배양시킨 태아유래 세포주인 자 세포(JAR cell)를 박리하여 단세포 (single cell)가 되도록 현탁시켰다. 현탁시킨 자 세포를 CMFDA (5-chloromethylfluorescein diacetate)를 이용하여 15분 동안 37℃에서 염색시킨 뒤 상기 이시카와 세포에 뿌리고 150rpm으로 교반하면서 30분간 배양하였다. 인산완충식염수 (PBS)로 2회 세척하여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하고, 부착된 세포는 5% 포르말린 용액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고정된 세포를 형광현미경으로 확인 (도 2 (a))하고 사진으로 촬영하여, 이시카와 세포에 부착된 자 세포를 계수하였다. 10개 이상의 다른 영역의 사진에서 계수된 세포의 총 수를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한 다음, 3회 반복한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도 2 (b)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 A를 처리한 경우, 대조군 (Con)에 비해 비해 이시카와 세포에 대한 자 세포의 부착능이 약 2.5배 정도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2. 작약 및 향부자의 함량별 부착능 확인
이시카와 세포에 실시예 1-1 내지 1-5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250μg/ml 농도로 처리한 것 외에는 실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시카와 세포에 대한 자 세포의 부착능을 확인(도 3)하였다.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작약 및 향부자의 중량비가 1:1인 시료 A를 처리한 경우, 대조군 (Con)에 비해 이시카와 세포에 대한 자 세포의 부착능이 약 2.5배 정도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착상 억제 생쥐 모델에 대한 착상 증진 효능 확인
1주일간 안정화시킨 7주령의 C57BL/6N 암컷 생쥐와 수컷 생쥐를 준비하고, 암컷 생쥐와 수컷 생쥐가 교배하는 날을 0일이라고 할 때, -7일부터 아래 (1) 내지 (5)와 같이 5 군으로 나누었다. 이하에서, “1X”는 인간에 대한 시료 A의 1일 용량 (건조 시료 기준 총 32g)을 바탕으로, 수율과 몸무게를 곱해 계산한 생쥐에 대한 1일 용량을 의미한다.
(1) Con 군은 100μL의 생리식염수를 매일 1회, 15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2) RU 군은 100μL의 생리식염수를 매일 1회, 15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3) 0.25X 군은 0.25X (7.98mg/kg)의 시료 A와 100μL의 생리식염수를 매일 1회, 15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4) 0.5X 군은 0.5X (15.96mg/kg)의 시료 A와 100μL의 생리식염수를 매일 1회, 15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5) 1X 군은 1X (31.92mg/kg)의 시료 A와 100μL의 생리식염수를 매일 1회, 15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발정 주기를 동기화 하기 위해 -2일에 모든 생쥐에 PMSG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 5 IU를 피하주사하고, 48시간 뒤에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5 IU를 투여하고, 암컷과 수컷을 1:1 비율로 하여 합사하여 교배하였다. 교배 후 4, 5, 6 및 7일에 Con 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 루셀 위클라프 38486 (이하, RU486 또는 RU) 4mg/kg과 콘 오일 100μL를 경구 투여하고, Con 군에는 콘 오일 100μL만 경구 투여하였다. 교배 후 7일에 수컷을 분리하고, 다음날 암컷을 희생하여 자궁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자궁에 착상된 배아의 수를 계수한 후, Student’s t-test (GraphPad prism)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0.25X, 0.5X 및 1X 군의 착상 배아수가 RU 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0.5X 군에서 가장 효과가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이상과 같이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작약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의 혼합물이거나, 작약과 향부자의 혼합물을 추출한 것인,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작약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은 5: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작약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은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작약 및 향부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임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작약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의 혼합물이거나, 작약과 향부자의 혼합물을 추출한 것인, 불임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작약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은 5: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작약과 향부자의 혼합물에서 작약과 향부자는 5: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불임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불임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80123251A 2017-10-16 2018-10-16 여신산의 착상 증가 효능 KR102148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915 2017-10-16
KR20170133915 2017-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477A true KR20190042477A (ko) 2019-04-24
KR102148771B1 KR102148771B1 (ko) 2020-08-27

Family

ID=6628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251A KR102148771B1 (ko) 2017-10-16 2018-10-16 여신산의 착상 증가 효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7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0680A (zh) * 2018-11-08 2019-02-19 楚雄齐苏堂中医门诊部 一种助孕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制剂与应用
WO2023153794A1 (ko) * 2022-02-14 2023-08-17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난소 기능 강화용 또는 난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1071A1 (en) * 2002-06-27 2006-06-29 Chinese Medicines Scientific Consultants Pty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gynecological disorders
KR20130053653A (ko) * 2011-11-15 2013-05-24 최철원 여성 질환 치료용 복합생약을 함유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030428A (ko) 2013-09-12 2015-03-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당류를 제거한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임신촉진용 조성물
KR20160121023A (ko) * 2015-04-09 2016-10-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패오니플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20297B1 (ko) * 2016-11-14 2017-03-27 하성미 여성의 난임 및 불임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한약조성물 및 상기 한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42968B1 (ko) 2016-02-02 2017-06-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알파-시페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임신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1071A1 (en) * 2002-06-27 2006-06-29 Chinese Medicines Scientific Consultants Pty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gynecological disorders
KR20130053653A (ko) * 2011-11-15 2013-05-24 최철원 여성 질환 치료용 복합생약을 함유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030428A (ko) 2013-09-12 2015-03-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당류를 제거한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임신촉진용 조성물
KR20160121023A (ko) * 2015-04-09 2016-10-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패오니플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2968B1 (ko) 2016-02-02 2017-06-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알파-시페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임신 촉진용 조성물
KR101720297B1 (ko) * 2016-11-14 2017-03-27 하성미 여성의 난임 및 불임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한약조성물 및 상기 한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7, 208, pp. 16-23* *
PloS one, 2016, 11(2), pp. 1-16*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0680A (zh) * 2018-11-08 2019-02-19 楚雄齐苏堂中医门诊部 一种助孕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制剂与应用
WO2023153794A1 (ko) * 2022-02-14 2023-08-17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난소 기능 강화용 또는 난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771B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400B1 (ko) 흰점박이꽃무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05072684A1 (ja) マカ抽出物の製造方法
KR101538047B1 (ko) 다당류를 제거한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임신촉진용 조성물
KR20190042477A (ko) 여신산의 착상 증가 효능
KR20110019492A (ko) 항 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꾸지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38879B1 (ko)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144005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ale infertility, containing mixed herbal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and use thereof
KR201701097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99555B1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2968B1 (ko) 알파-시페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임신 촉진용 조성물
KR101420270B1 (ko)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1341B1 (ko) 북두근, 북두근 추출물, 북두근 오니 또는 북두근 맥아 효소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20983A (ko) 자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3792B1 (ko) 들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87458B1 (ko) 육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궁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40064240A (ko) 뇌세포 사멸억제 활성을 갖는 석창포 및 천마를 함유하는생약조성물
KR102329070B1 (ko) 노각나무 잎 추출물 및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7989B1 (ko)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착상 장애로 인한 불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465403A (zh) 用于预防或治疗前列腺肥大症的草药组合物
JP2003277278A (ja) オキシトシン拮抗剤
KR102453634B1 (ko) 산조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0114B1 (ko) 편각영지버섯 추출물, 잇꽃씨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7215B1 (ko) 황기 생약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을 함유하는 골길이 성장 장애 치료 및 예방용약학조성물
KR20170130082A (ko) 우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