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675A -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675A
KR20190041675A KR1020170133180A KR20170133180A KR20190041675A KR 20190041675 A KR20190041675 A KR 20190041675A KR 1020170133180 A KR1020170133180 A KR 1020170133180A KR 20170133180 A KR20170133180 A KR 20170133180A KR 20190041675 A KR20190041675 A KR 20190041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oof rack
fastened
roof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391B1 (ko
Inventor
정용원
이승진
김동하
이승목
박은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3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초 장착시에는 차량의 실내에서 상방향으로 조립하고, 탈거 또는 재장착시에는 측면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양방향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양방향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는, 차량의 루프 패널(1)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2)이 접합되는 부위의 표면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루프랙(11)과, 상기 루프랙(11)의 내부에 상부가 위치하고, 상기 루프랙(11)와 일체가 되도록 체결되는 브라켓(13)과, 상기 루프 패널(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13)을 관통하는 상하 체결수단과, 상기 상하 체결수단을 측면으로 관통능하고 상기 상하 체결수단과 상기 브라켓(13)을 체결시키는 측면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ROOF-RACK ASSEMBLY OF VEHICLE CAPABLE OF BIDIRECTIONAL MOUNTING}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어 차량의 루프에 적재물을 고정하도록 하는 루프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최초 장착시에는 차량의 실내에서 상방향으로 조립하고, 탈거 또는 재장착시에는 측면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양방향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루프에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량의 루프에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한 루프랙이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루프랙은 상기 차량의 루프의 양측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1과 도 2에는 종래기술의 일례에 따른 루프랙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루프랙(111)은 상기 루프에 루프랙(111)을 안치시키고, 상기 루프랙(111)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루프랙(111)을 체결시킨다.
상기 차량의 루프 패널(1)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2)이 접합되는 부위에 브라켓(117)을 설치한 후, 상방으로 스터드볼트(115)를 체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루프랙(111)에 형성된 관통공을 이용하여 상기 루프랙(111)을 상기 스터드볼트(115)에 끼운다. 이후, 체결너트(116)를 상기 스터드볼트(115)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루프랙(111)을 상기 루프 패널(1)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체결너트(116)를 조이기 위해서 상방에서 하방으로 공구를 투입하여 상기 체결너트(116)를 조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루프랙(111)의 상부면에는 공구투입공(111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너트(116)의 체결 후에는 상기 공구투입공(111a)에 캡(112)을 체결시켜 상기 루프랙(111)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 경우에는 공구가 상기 루프랙(111)의 상방을 통하여 진입하게 되므로, 체결작업이 용이하고 상기 루프랙(111)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상기 캡(112)을 제거한 후 공구를 투입하면 되므로 분리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루프랙(111)이 통상적으로 알루미늄을 압출한 후 가공하여 완성되고, 상기 캡(112)은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공구투입공(111a)에 체결되므로, 상기 루프랙(111)과 상기 캡(112)이 별도로 제작되어 재질과 도장공법이 상이하여 서로 색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루프랙(111)에서 상기 캡(112)의 둘레 사이에 파팅이 노출되어 외관이 저하된다. 아울러, 상기 루프랙(111)의 표면처리시 상기 공구투입공(111a)의 형성에 의한 엣지 형성으로 아노다이징, 도금 등의 작업에 제약이 발생한다.
한편, 도 3에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루프랙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스터드 볼트(125)가 루프랙(121)에 미리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루프랙(121)을 상기 루프 패널(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이 접합되는 부위에 안착시킨다. 상기 스터드볼트(125)가 상기 루프 패널(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실내에서 공구(T)를 이용하여 상기 스터드볼트(125)에 체결너트(126)는 체결시킨다.
이는 앞서 살펴본 루프랙과 달리 상기 루프랙(121)의 표면에 캡과 같은 부재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구(T)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투입하여 조립해야 하므로, 체결작업이 불편하여 체결 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루프랙(121)을 교환해야 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실내 트림 전체를 교환해야 하므로 정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095732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외관이 우수하면서도 체결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는, 차량의 루프 패널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이 접합되는 부위의 표면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루프랙과, 상기 루프랙의 내부에 상부가 위치하고, 상기 루프랙와 일체가 되도록 체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루프 패널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상하 체결수단과, 상기 상하 체결수단을 측면으로 관통가능하고 상기 상하 체결수단과 상기 브라켓을 체결시키는 측면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상하 체결수단은, 상기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되 둘레방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되며, 하부에는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메인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프랙의 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브라켓에서 상기 메인볼트가 삽입되는 부분이 관통하여 상기 루프랙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볼트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볼트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제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회전제한부를 수용하는 회전제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메인볼트가 관통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루프랙에 체결되는 브라켓 고정볼트가 상기 브라켓과 상기 루프랙을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위는 상기 루프랙의 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 고정볼트은 상방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 체결수단은, 상기 루프랙의 측면으로 출납가능하고, 상기 브라켓과 상기 메인볼트를 체결시키는 체결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너트는 상기 루프 패널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을 관통한 상기 메인볼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 체결수단은, 상기 루프 패널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에 하부가 체결되고 상부가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또 다른 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 체결수단은 상기 루프랙의 측면으로 출납가능하고, 상기 2개의 브라켓을 동시에 관통하여 서로 체결시키는 체결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 체결수단은, 하부가 상기 루프 패널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에 체결되고, 상부는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 체결수단은, 체결볼트의 내부에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반경방향으로 출납되게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결합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프랙의 최초 장착시에는 상기 브라켓에 상기 상하 체결수단을 관통시키고, 상기 측면 체결수단을 상기 브라켓과 상기 상하 체결수단을 체결시킨 다음, 상기 루프 패널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을 상기 상하 체결수단이 관통되도록 하여 체결시키고,
상기 루프랙의 탈거시에는 상기 측면 체결수단을 해제하여 상기 브라켓과 상기 상하 체결수단을 분리시켜, 상기 루프랙과 상기 브라켓이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싱기 루프랙의 재장착시에는 상기 루프랙과 체결된 상기 브라켓을 상기 상하 체결수단에 끼운 후, 상기 측면 체결수단으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상하 체결수단을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프랙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 체결수단이 해제하기 위한 공구가 출납되는 공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에 따르면, 루프랙의 상부면에 캡과 같은 별도 구성이 없고 매끄러워 외관이 향상된다.
또한, 최초 장착시의 방향과 분리 또는 재장착시의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재장착시 실내트림을 교환하지 않고, 루프랙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정비성이 향상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의 일례에 따른 차량의 루프랙을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의 루프랙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가 분리되는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는, 차량의 루프 패널(1)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2)이 접합되는 부위의 표면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루프랙(11)과, 상기 루프랙(11)의 내부에 상부가 위치하고, 상기 루프랙(11)와 일체가 되도록 체결되는 브라켓(13)과, 상기 루프 패널(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13)을 관통하는 상하 체결수단과, 상기 상하 체결수단을 측면으로 관통가능하고 상기 상하 체결수단과 상기 브라켓(13)을 체결시키는 측면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는 최초 장칙시에는 상기 루프랙(11)이 체결된 조립체를 상기 상하 체결수단과 상기 측면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한 후, 상기 측면 체결수단을 상기 루프랙(1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이 접하는 부위에 체결된다.
이후, 상기 루프랙(11)을 분리시에는 상기 측면 체결수단을 해제하여, 상기 브라켓(13)과 상기 상하 체결수단이 체결이 해제되도록 한 다음 상기 루프랙(11)와 상기 브라켓(13)의 조립체를 상기 상하 체결수단이 해제되도록 한다.
한편, 다시 상기 루프랙(11)을 장착하려면, 상기 루프랙(11)이 체결된 상기 브라켓(13)을 상기 상하 체결수단에 체결가능한 상태로 위치시킨 후, 상기 측면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13)과 상기 상하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루프랙(11)이 재장착 되도록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하 체결수단으로는 메인볼트(15), 측면 체결수단으로는 체결볼트(17)가 적용되어 있다.
루프랙(11)은 알루미늄 등을 재질로 하여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압축 등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루프랙(11)의 저면에는 상기 브라켓(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체결볼트(17)를 분리하거나 다시 체결할 때, 공구가 출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구공(11a)이 형성된다.
브라켓(13)은 상기 루프랙(11)과 일체가 된다. 상기 브라켓(13)은 상부는 상기 루프랙(11)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하부에서 상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루프랙(11)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브라켓(13)은 상기 루프랙(11)과 일체가 되도록 브라켓 고정볼트(14)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브라켓(13)은 상기 루프랙(11)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위의 양쪽으로 상기 루프랙(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루프랙(11)의 저면에 밀접된다. 이후, 상기 브라켓 고정볼트(14)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체결하여, 상기 브라켓(13)의 연장된 부위와 상기 루프랙(11)의 저면을 순서대로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루프랙(11)과 상기 브라켓(13)이 일체가 되도록 한다.
메인볼트(15)는 상부는 브라켓(13)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13)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부는 체결너트(16)와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볼트(15)의 상부는 상기 브라켓(13)의 내부에 상기 메인볼트(15)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다만, 상기 메인볼트(15)가 상기 브라켓(13)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13)에 대하여 상기 메인볼트(15)에 대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인볼트(15)의 상부에 상기 메인볼트(15)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제한부(15a)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3)에 상기 회전제한부(15a)를 수용하는 회전제한홈(1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볼트(15)의 상부가 상기 브라켓(13)에 삽입되면, 상기 메인볼트(15)의 축방향, 즉,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는 슬라이딩이 가능하지만, 상기 메인볼트(15)가 상기 브라켓(13)의 내부에서 회전은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상기 메인볼트(15)의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볼트(15)를 상기 루프 패널(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에 체결시키는 체결너트(16)가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체결볼트(17)는 상기 루프랙(11)의 측방항으로 상기 브라켓(13)과 상기 메인볼트(15)를 체결시킨다. 상기 체결볼트(17)는 상기 브라켓(13)의 내부에 상기 메인볼트(15)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루프랙(11)의 측면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13)에 체결되어 상기 메인볼트(15)와 상기 브라켓(13)이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볼트(17)는 최초 조립시에는 외부에서 상기 브라켓(13)과 상기 메인볼트(15)이 체결되도록 조립되지만, 분리시 또는 재장착시에는 상기 공구공(11a)을 통하여 출납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상기 루프랙(11)을 최초로 장착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3)에 상기 메인볼트(15)를 삽입하고, 상기 체결볼트(17)를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13)과 상기 메인볼트(15)가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제한부(15a)와 상기 회전제한홈(13a)에 의해 상기 브라켓(13)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볼트(15)는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3)을 상기 루프랙(11)의 내부로 삽입한 다음, 상기 브라켓 고정볼트(14)로 상기 브라켓(13)과 상기 루프랙(11)을 체결시킨다.
한편, 상기 루프랙(11)와 상기 브라켓(13)을 먼저 체결한 후, 상기 브라켓(13)과 상기 메인볼트(15)를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루프랙(11), 상기 브라켓(13), 상기 메인볼트(15) 및 상기 체결너트(16)가 일체가 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볼트(15)를 상기 루프 패널(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을 관통시킨 후, 차량의 실내에서 상기 체결너트(16)를 상기 메인볼트(15)의 하부에 체결시킴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루프랙(11)의 상부면에는 체결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관통공을 막는 캡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루프랙(11)의 외관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도 6a 내지 도 6c에는 상기 루프랙(11)을 분리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루프랙(11)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구공(11a)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볼트(17)를 분리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구공(11a)을 이용하여, 분리된 상기 체결볼트(17)를 상기 루프랙(11)의 외부로 인출한다.
상기 체결볼트(17)가 상기 브라켓(13)과 상기 메인볼트(15)의 결속을 해제시키면, 상기 루프랙(11)과 상기 브라켓(13)의 조립체는 상기 메인볼트(15)와 분리되므로, 상기 루프랙(11)과 상기 브라켓(13)의 조립체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차량의 루프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상기 루프랙(11)을 재장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루프랙(11)이 체결된 브라켓(13)을 상기 메인볼트(15)이 삽입한다.
새로운 루프랙(11)와 브라켓(13)의 조립체가 상기 루프에 안착되면, 상기 공구공(11a)을 통하여 상기 체결볼트(17)를 삽입한 후, 공구로 상기 체결볼트(17)를 조여 상기 브라켓(13)과 상기 메인볼트(15)가 결속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루프랙(11)의 분리하거나 재장착시에는 상기 체결볼트(17)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부에서 작업을 하게 되므로, 정비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하 체결수단은 상기 루프 패널(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에 하부가 체결되고 상부가 상기 브라켓(23)을 관통하는 또 다른 브라켓(24)이 되고, 상기 측면 체결수단은 상기 루프랙(21)의 측면으로 진입하여 상기 2개의 브라켓(23)(24)을 동시에 관통하여 서로 체결시키는 체결볼트(25)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루프랙(21)의 내부에 체결되어 상기 루프랙(21)와 일체가 되는 브라켓(23)을 제1브라켓(23)이라하고, 상기 제1브라켓(23)을 관통하는 브라켓(24)을 제2브라켓(24)이 될 수 있다.
제1브라켓(23)은 상기 루프랙(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루프랙(21)와 일체가 된다. 상기 제1브라켓(23)은 상기 루프랙(21)에 사전에 체결될 수 있다.
제2브라켓(24)은 하부는 상기 루프 패널(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에 체결되고, 상부는 상기 제1브라켓(23)의 내부를 관통한다.
상기 제2브라켓(24)의 하부는 상기 루프 패널(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을 관통한 후, 체결너트(26)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상기 제2브라켓(24)의 상부는 상기 제1브라켓(23)을 상기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1브라켓(23)과 상기 제2브라켓(24)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브라켓(23)이 상기 제2브라켓(24)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다.
체결볼트(25)는 상기 제2브라켓(24)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브라켓(23)과 상기 제2브라켓(24)을 체결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루프랙(21)의 최초 장착시에는 체결볼트(25)를 이용하여, 상기 제1브라켓(23)과 상기 제2브라켓(24)을 체결시킨 후, 상기 제2브라켓(24)의 하부를 상기 루프 패널(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을 관통시킨 후, 체결너트(26)를 이용하여 상기 루프 패널(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에 체결시킨다.
이후, 상기 루프랙(21)의 분리 또는 재장착시에는 상기 루프랙(21)의 측면에 형성된 공구공(21a)을 공구를 투입하여, 상기 체결너트(26)를 분리 또는 체결시켜, 상기 제1브라켓(23)과 상기 제2브라켓(24)이 분리, 재체결이 되도록 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하 체결수단은, 상기 루프랙(31)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에 체결되고, 상기 브라켓(3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34)가 되고, 상기 측면 체결수단은 체결볼트(34)의 내부에 스프링(36)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체결볼트(34)의 반경방향으로 출납되게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33)을 관통하는 결합핀(37)이 된다.
브라켓(33)은 상부가 상기 루프랙(31)의 내부에 상부가 체결되고, 내부를 중공으로 형성된다.
체결볼트(34)는 상기 브라켓(33)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루프 패널(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에 체결너트(35)로 체결된다.
상기 브라켓(33)과 상기 체결볼트(34)를 상기 루프랙(31)의 측면방향으로 체결시키는 결합핀(37)은 상기 체결볼트(34)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결합핀(37)은 상기 체결볼트(34)의 반경방향(루프랙의 측면방향)으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결합핀(37)읜 스프링(36)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핀(37)이 상기 체결볼트(34)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라켓(33)과 상기 체결볼트(34)가 체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는 상기 루프랙(31)의 최초 조립시에는 상기 브라켓(33)과 상기 체결볼트(34)를 상기 결합핀(37)을 이용하여 체결한 후, 상기 체결볼트(34)의 하단을 상기 루프 패널(1)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에 체결너트(35)를 이용하여 체결시킨다.
이후, 상기 루프랙(31)의 분리 또는 재장착시에는 상기 루프랙(31) 측면의 공구공(31a)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결합핀(37)을 상기 체결볼트(34)의 내부로 삽입시켜 상기 체결볼트(34)에 대하여 상기 브라켓(33)이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라켓(33)과 상기 체결볼트(34)가 분리 또는 재장착되도록 한다.
1 : 루프패널 2 : 사이드 아우터 패널
11 : 루프랙 11a : 공구공
13 : 브라켓 13a : 회전제한홈
14 : 브라켓 고정볼트 15 : 메인볼트
15a: 회전제한부 16 : 체결너트
17 : 체결볼트 21 : 루프랙
21a : 공구공 23 : 제1브라켓
24 : 제2브라켓 25 : 체결볼트
26 : 체결너트 31 : 루프랙
31a : 공구공 33 : 브라켓
34 : 체결볼트 35 : 체결너트
36 : 스프링 37 : 결합핀
111 : 루프랙 111a : 공구투입공
112 : 캡 115 : 스터드볼트
116 : 체결너트 117 : 브라켓
121 : 루프랙 125 : 스터드볼트
126 : 체결너트

Claims (15)

  1. 차량의 루프 패널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이 접합되는 부위의 표면에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루프랙과,
    상기 루프랙의 내부에 상부가 위치하고, 상기 루프랙와 일체가 되도록 체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루프 패널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상하 체결수단과,
    상기 상하 체결수단을 측면으로 관통가능하고 상기 상하 체결수단과 상기 브라켓을 체결시키는 측면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체결수단은,
    상기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되 둘레방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되며, 하부에는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메인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랙의 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브라켓에서 상기 메인볼트가 삽입되는 부분이 관통하여 상기 루프랙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볼트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볼트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제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회전제한부를 수용하는 회전제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메인볼트가 관통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루프랙에 체결되는 브라켓 고정볼트가 상기 브라켓과 상기 루프랙을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위는 상기 루프랙의 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 고정볼트은 상방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체결수단은,
    상기 루프랙의 측면으로 출납가능하고, 상기 브라켓과 상기 메인볼트를 체결시키는 체결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는 상기 루프 패널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을 관통한 상기 메인볼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체결수단은,
    상기 루프 패널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에 하부가 체결되고 상부가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또 다른 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체결수단은 상기 루프랙의 측면으로 출납가능하고, 상기 2개의 브라켓을 동시에 관통하여 서로 체결시키는 체결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체결수단은, 하부가 상기 루프 패널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에 체결되고, 상부는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체결수단은,
    체결볼트의 내부에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반경방향으로 출납되게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결합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랙의 최초 장착시에는 상기 브라켓에 상기 상하 체결수단을 관통시키고, 상기 측면 체결수단을 상기 브라켓과 상기 상하 체결수단을 체결시킨 다음, 상기 루프 패널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을 상기 상하 체결수단이 관통되도록 하여 체결시키고,
    상기 루프랙의 탈거시에는 상기 측면 체결수단을 해제하여 상기 브라켓과 상기 상하 체결수단을 분리시켜, 상기 루프랙과 상기 브라켓이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싱기 루프랙의 재장착시에는 상기 루프랙과 체결된 상기 브라켓을 상기 상하 체결수단에 끼운 후, 상기 측면 체결수단으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상하 체결수단을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랙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 체결수단이 해제하기 위한 공구가 출납되는 공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KR1020170133180A 2017-10-13 2017-10-13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KR102417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80A KR102417391B1 (ko) 2017-10-13 2017-10-13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80A KR102417391B1 (ko) 2017-10-13 2017-10-13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75A true KR20190041675A (ko) 2019-04-23
KR102417391B1 KR102417391B1 (ko) 2022-07-06

Family

ID=6628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180A KR102417391B1 (ko) 2017-10-13 2017-10-13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3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759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루프 랙 장착구조
JPH10250490A (ja) * 1997-03-11 1998-09-22 Nissan Motor Co Ltd ルーフラックレール取付構造
KR19980053369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루프 랙 설치구조
JP2001114025A (ja) * 1999-09-22 2001-04-24 Jac Prod Deutschland Gmbh 車両ルーフレール用のサポートレッグ
KR100957320B1 (ko) 2008-12-05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759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루프 랙 장착구조
KR19980053369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루프 랙 설치구조
JPH10250490A (ja) * 1997-03-11 1998-09-22 Nissan Motor Co Ltd ルーフラックレール取付構造
JP2001114025A (ja) * 1999-09-22 2001-04-24 Jac Prod Deutschland Gmbh 車両ルーフレール用のサポートレッグ
KR100957320B1 (ko) 2008-12-05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391B1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761B2 (en) Roof rack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fastening said roof rack
US9726206B2 (en) Method of attaching an object to a panel with an adjustable tower stud assembly
DE102013222606B4 (de) Umgestaltbare Dachgepäckträgerhalterungsanordnung für ein Fahrzeug
US11752945B2 (en) Roof rack system for a vehicle
US9243657B2 (en) Fastener retaining device
CN108281932A (zh) 自转位螺母板
US8403612B2 (en) Fastener assembly
KR101575508B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 체결장치
US20140265434A1 (en) Fairing mounting system
KR20190041675A (ko)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루프랙 어셈블리
KR101284765B1 (ko) 차량용 일체형 루프렉 및 그 제조방법
JP3530473B2 (ja) 車両ルーフレール用のサポートレッグ
GB2571764A (en) An assembly and method for attaching two components
DE102013003100B4 (d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heckseitigen Stoßfängerverkleidung an einem Kraftfahrzeug und zugehöriges Kraftfahrzeug
KR101428226B1 (ko) 차량의 필러넥 조립용 브라켓
US10093257B2 (en) Bumper fascia adjustment mechanism
CN207018313U (zh) 一种汽车门护板卡扣
US20140219709A1 (en) Sliding grip clip for mounting a ski rack
CN210652909U (zh) 一种锁定件及具有锁定件的安装架
KR20180068633A (ko)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
CN108725306B (zh) 绑定导轨、装载空间面、车辆
RU2674267C2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провода заземления к алюминиевому элементу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точк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заземления на алюминиевом элементе
KR102429070B1 (ko) 차량의 루프랙 체결장치
DE10119604C1 (de) Innenausstat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Kraftfahrzeug
CN215056155U (zh) 一种门锁连接结构及具有其的门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