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651A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ork status of worker by recognition between sensor installed in machine and worker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ork status of worker by recognition between sensor installed in machine and work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651A
KR20190041651A KR1020170133126A KR20170133126A KR20190041651A KR 20190041651 A KR20190041651 A KR 20190041651A KR 1020170133126 A KR1020170133126 A KR 1020170133126A KR 20170133126 A KR20170133126 A KR 20170133126A KR 20190041651 A KR20190041651 A KR 20190041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sensor
machine
information
recogni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7610B1 (en
Inventor
강학주
Original Assignee
울랄라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랄라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울랄라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610B1/en
Publication of KR20190041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6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system for managing a worker operation status based on a sensor installed in a machine, which comprises: recognition sensors installed in each machine in a factory, recognizing a worker device which stay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per time of the worker device to a server; and the server analyzing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a worke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per time of the worker and motion data of each machine, and providing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The worker device, which is carried by each worker in the factory,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the recognition sensors.

Description

기계에 설치된 센서와 근로자 장치 간의 인식을 통한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ORK STATUS OF WORKER BY RECOGNITION BETWEEN SENSOR INSTALLED IN MACHINE AND WORKER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worker's work status by recognizing a sensor between a sensor installed in a machine and a worker apparatus,

본 발명은 기계에 설치된 센서와 근로자 장치 간의 인식을 통한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work status of a worker through recognition between a sensor installed in a machine and a worker apparatus.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업과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오면서, 30년 이상 제조업이 침체되어 오고 있다. 또한, 중국 제조업 영향으로 각 국가의 제조업은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rvices and software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manufacturing industry has been stagnating for over 30 years. In addition, due to the influence of Chinese manufacturing, manufacturing in each country continues to face difficulties.

제조공장의 생산력을 강화 시키기 위해 1986년 6시그마 기법이 정립되고 이후 품질경영기법이 발전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소,중소 제조기업은 현실적인 환경적 문제로 품질경영기법 도입 어려움이 여전히 존재한다. Six Sigma techniques have been established in 1986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manufacturing plants, and quality management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n. Nonetheless,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still face difficulties in introducing quality management techniques due to real environmental problems.

특히, 6시그마의 SQC(Statistical Quality Control), SPC(Statistical Process Control)은 통계학적 기법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지만 분석 통계를 위한 DATA수집이 여전히 작업자의 수기로 이뤄지고 있어, 정확도가 매우 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Especially statistical techniques are essential for SQC (Statistical Quality Control) and SPC (Statistical Process Control) of 6 Sigma, but the data collection for analysis statistics is still performed by the operator's manual, and the accuracy is very low .

한편, 최근 중국의 공급과잉, 금융불안, 원가상승으로 제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전세계 제조업을 둘러싼 환경이 급변화되는 한편, 제조업 위기 돌파구로서 ICT융합기술이 급부상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CT convergence technology is emerging as a breakthrough in the manufacturing crisis, while China's supply surplus, financial uncertainty, and rising costs have weakened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manufacturing has rapidly changed.

대표적인 제조업 분야의 ICT 융합기술은 스마트팩토리이다. 스마트팩토리는 4차 산업혁명의 근간이 되는 기술분야로서, 제조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일으킬 수 있는 기술이다. ICT convergence technology in a typical manufacturing sector is a smart factory. Smart Factory is a technological field that is the basi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s a technology that can enhance competitiveness through productivity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companies.

스마트팩토리 기술분야에서 IoT, Smart Sensor를 통한 DATA 수집 방법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이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인력(Man) 작업 성과 분석을 위한 DATA 수집 방법은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There are various approaches to collecting data through IoT and Smart Sensors in the field of smart factory technology, but there is still no method of collecting data for analysis of man work performanc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0727호 (2009.04.27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40727 (published on Apr. 27, 200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6대 주요 제조산업(6대 뿌리산업 : 주조, 금형, 열처리, 표면처리, 소성가공, 용접) 뿐만 아니라 전자제품, 조립, 가공 등 모든 영역의 산업영역을 목표로 할 수 있는 기술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all six major manufacturing industries (casting, It is a technology that can target the industrial field of the region.

본 발명은 인력 품질관리가 필요한 모든 제조기업을 타겟으로 하며, 특히, 영소,중소제조기업을 주요 타겟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argets all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require labor quality management, and particularly targets small, medium and small manufacturing companies.

본 발명은 각 기계 별로 설치된 센서와 근로자 별로 소지하게 하도록 하는 근로자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태그)와의 상호간 인식을 통해, 근로자의 동선이나 작업관리에 대한 정보를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공장 작업자의 수기로 진행되어 왔던 인력품질관리를 전자화/자동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 on workers' movement or work management through an automated system, by mutual recognition between the sensor installed for each machine and the worker device (for example, smart ta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utomate / automate manpower quality management, which had previously been carried out by a factory work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은, 공장 내의 각 기계마다 설치되며, 일정 거리 이내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물게 되는 근로자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근로자 장치의 시간 별 위치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인식센서; 및 각 근로자에 대한 상기 시간 별 위치정보와 각 기계의 동작데이터를 기초로 근로자의 작업현황정보를 분석하여,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근로자 장치는 공장 내의 각 근로자가 소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인식센서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A sensor-based worker work status management system installed in a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each machine in a factory and recognizes a worker device staying within a certain distanc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 recognition sensor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And the server analyzes the work status information of the workers based on the time-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data of each machine for each worker, and provides the analyzed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wherein the worker apparatus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cognition sens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방법은, 공장 내의 각 기계마다 설치된 인식센서가, 일정 거리 이내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물게 되는 근로자 장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센서가 상기 근로자 장치의 시간 별 위치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각 근로자에 대한 상기 시간 별 위치정보와 각 기계의 동작데이터를 기초로 근로자의 작업현황정보를 분석하여,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근로자 장치는 공장 내의 각 근로자가 소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인식센서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a worker's work status based on a sensor installed in a machine, comprising: recognizing a worker apparatus in which a recognition sensor installed in each machine in a factory stay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a predetermined time; Providing, by the recognition sens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device by time to a server; And analyzing the work status information of the worker based on the time-based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data of each machine for each worker, and providing the analyzed work status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Wherein the worker apparatus is a device carried by each worker in the factory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cognition senso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은, 공장 내의 각 기계마다 설치된 인식센서로부터 근로자 장치의 시간 별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각 근로자에 대한 상기 시간 별 위치정보와 각 기계의 동작데이터를 기초로 근로자의 작업현황정보를 분석하여,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센서는 상기 인식센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물게 되는 근로자 장치를 인식하여 상기 시간 별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근로자 장치는 공장 내의 각 근로자가 소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인식센서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based worker's work status management system installed on a machine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worker's apparatus from a recognition sensor installed for each machine in the factory, And a server for analyzing the work status information of the worker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data of each machine, and providing the work status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wherein the recognition sensor comprises a worker device stay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cognition sensor And provides the position-specific posi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he worker apparatus carrie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cognition sensor as a device carried by each worker in the factory.

본 발명은 각 기계 별로 설치된 센서와 근로자 별로 소지하게 하도록 하는 근로자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태그)와의 상호간 인식을 통해, 근로자의 동선이나 작업관리에 대한 정보를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공장 작업자의 수기로 진행되어 왔던 인력품질관리를 전자화/자동화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 on workers' movement or work management through an automated system, by mutual recognition between the sensor installed for each machine and the worker device (for example, smart tag)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utomate / automate manpower quality management, which has already been carried out by the factory workers.

본 발명은 단순 출퇴근, 근로시간 관리 시스템이 아닌 인력의 생산 활동 중심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을 기반으로 생산, 품질, 운영을 관리함으써 제조기업의 공장 가동율/인력 숙련도 증대 효과 및 작업일지 수기작성 및 엑셀관리 등 불필요한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production, quality, and operation based on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on the basis of production activities of a manpower rather than a simple commute / work time management system, thereby increasing the factory operation rate / manpower increase and manufacturing logbook And Excel management can be minimized.

특히, 본 발명은 근로자의 작업효율관리, 근로자의 동선 모니터링, 기계오류나 제품오류 등에 대한 원인과 책임의 신속하고 정확한 규명에 있어 매우 큰 도움을 줄 수 있어, 인건비 대비 원가 절약, 인력운영 효율화, 품질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석, 체계적인 생산관리 증대를 이룰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assist in the quick and accurate identification of causes and responsibilities for workers 'work efficiency management, workers' movement monitoring, machine errors, product errors, etc., thereby saving cost against labor costs, More accurate analysis and systematic production control can be achieved.

도 1은 종래의 공장 내의 기계설비 배치 현황과 근로자들의 업무동선을 도식화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스템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기계에 부착되는 센서 어셈블리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의 구조를 블록화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근로자 작업현황정보 관리에 관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기계의 동작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arrangement of mechanical equipment in a factory and the work flow of workers.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ructural view of a sensor assembly attached to a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block form.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worker work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llecting operation data of a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part "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On the other hand, 'to'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o' may be configured to be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s'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or further components and componen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back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 user terminal " or " administrator terminal " referred to below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server or oth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b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 VR HMD (e.g.,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 ≪ / RTI > Here, the VR HMD can be used for PC (eg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etc.), mobile (eg GearVR, DayDream, And stand alone models (e.g., Deepon, PICO, etc.) that are independently implemented. [0002] A portable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to be portable and portable, for example, as well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wearable device, a Bluetooth (BLE), an NFC, an RFID, , An infrared ray, a WiFi, a LiFi, and the like. The term " network "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The network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WWW: World Wide Web),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elephone network, wired /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GPP, LTE, WIMAX, Wi-Fi,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s,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LiFi, and the like.

도 1은 공장 내 근로자들의 동선을 점선으로 나타낸 도식도이다. 일반적인 공장에서 근로자들은 하나의 장소에서만 작업하지 않는다. 근로자 A가 제1기계(10)를, 근로자 B가 제2기계(10)를 담당하여 작업하기로 내부적으로 의사결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경우에 따라 근로자 A가 제 2 기계(10)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각 생산라인 별로 담당하는 근로자가 정해져 있기는 하나, 내부적인 사정이나 업무환경 등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또한, 어느 한 근로자가 한 장소에서만 머물면서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건조가공실이나 보일러실 등과 같은 다른 작업공간을 이동하면서 다닐 수도 있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ine of movement of workers in a factory,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a typical plant, workers do not work in one place. Even if the worker A uses the first machine 10 and the worker B uses the second machine 10 internally to make a decision to work with the second machine 10, have. Although each worker line is assigned to each production line, it depends on internal circumstances and work environment. Also, it is possible that a worker does not only stay in one place but work in another workspace such as an open room or a boiler room.

이러한 경우, 기계(10) 오류나 제품 오류가 발생한 경우의 원인규명이나, 각 근로자 별 작업능률 관리나, 생산력 측정 등에 있어서, 변동인자들이 매우 많으며, 이러한 변동인자들을 수기로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In such a case, there are many fluctuation factors in the cause of machine (10) error or product error, the work efficiency management for each worker, and the productivity measurement, and there is a limit to manage these fluctuation factors by hand.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은 센서 어셈블리(100), 서버(200), 관리자 단말(300), 근로자 장치(400)를 포함한다. 2,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assembly 100, a server 200, an administrator terminal 300, and an employee device 400. [

센서 어셈블리(100)는 기계(10)에 설치되어 기계(10)의 동작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들의 집합일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00)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센서(130)와 측정센서(130)가 측정한 동작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 컨트롤러(1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assembly 100 may be a set of sensors installed on the machine 10 to measure operation data of the machine 10. [ The sensor assembly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measurement sensor 130 and a sensor controller 110 for collecting operation data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nsor 130.

이때, 센서 어셈블리(100)에 포함된 측정센서(130) 혹은 센서 컨트롤러(110)는 "인식센서"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언급하는 인식센서란 근로자 장치(400)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를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sensor 130 or the sensor controller 110 included in the sensor assembly 100 may function as a " recognition sensor ". The recognition sensor referred to herein means a sensor for recognizing the worker apparatus 400. [

인식센서는 공장 내의 각 기계(10)마다 설치되며, 일정 거리(d) 이내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물게 되는 근로자 장치(400)를 인식하고, 근로자 장치(400)의 시간 별 위치정보를 서버(200)로 제공한다. 즉, 인식센서는 근로자 작업현황 정보를 서버(200)로 제공한다. The recognition sensor is installed for each machine 10 in the factory and recognizes the worker device 400 stay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transmits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worker device 400 to the server 200 to provide. That is, the recognition sensor provides the worker status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근로자 장치(400)는 공장 내의 각 근로자가 공장 내에서 항상 소지하고 있는 장치이다. The worker device (400) is a device that each worker in the factory always possesses in the factory.

서버(200)는 각 근로자에 대한 상기 시간 별 위치정보와 각 기계(10)의 동작데이터를 기초로 근로자의 작업현황정보를 분석하여, 관리자 단말(300)로 제공한다.The server 200 analyzes the work status information of the workers based on the time-based 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worker and the operation data of each machine 10, and provides the analyzed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0.

이 경우, 공장 내에서 근로자의 동선 정보를 관리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동선 정보를 통해 관리자는 근로자가 적절한 동선으로 작업을 수행하였는지, 어느 기계(10)에서 작업을 수행하였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 입장에서는 효율적인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가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manager can easily confirm the information of the employee's movement in the factory. Through the copper line information, the administrator can confirm whether the worker has performed the work with the proper copper wire, the worker has performed the work with the machine 10, and the lik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work situation of the worker effectively from the viewpoint of the manager.

여기서 근로자 장치(400)는 인식센서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근로자 장치(400)는 스마트폰, RFID 장치, NFC 장치, 블루투스 장치 및 와이파이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근로자 장치(400)는 휴대 단말이나 스마트폰과 같이 근로자의 개인 명의로 소지하면서 평소에도 보유해 다니는 장치일 수도 있다. 이때, 근로자 장치(400)에는 인식센서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근로자 장치(400)는 공장에서 작업할 때 항상 소지하도록 지급되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목걸이 형태로 끈과 함께 결합되어 제공되는 경우가 많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근로자 장치(400)는 RFID, NFC,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다양한 수단으로 인식센서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worker apparatus 40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cognition sensor. The worker device 400 may be any one of a smart phone, an RFID device, an NFC device, a Bluetooth device, and a Wi-Fi device. The worker apparatus 400 may be a device that is usually carried by a worker while carrying it as a worker's personal name such as a mobile terminal or a smart phone. At this time, the worker apparatus 400 may be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cognition sensor. The worker device 400 may be a separate device that is always paid to carry when working at a factory. In this case, they are often provided in the form of a necklace in combination with a string,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The worker apparatus 400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cognition sensor by various means such as RFID, NFC, Bluetooth, and Wi-Fi.

근로자 장치(400)가 블루투스 장치로 형성되는 경우, 약 50m 내외의 인식거리를 가지며, 최대 3년 내외의 수명을 갖는 리튬 배터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매우 소형으로 제작되어 근로자가 끈 등을 통해 목에 매고 다닐 수 있는 가벼운 중량을 가질 수도 있다. When the worker apparatus 400 is formed of a Bluetooth device, the worker apparatus 400 may have a lithium battery having a recognition distance of about 50m and a life of up to about 3 years. Also, it can be made very compact and have a light weight that the worker can wear on his neck through a cord or the like.

인식센서가 포함된 센서 어셈블리(100)는 도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The sensor assembly 100 including the recognition sensor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센서 어셈블리(100)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센서 어셈블리(100)는 센서 컨트롤러(110), 통신 모듈(120), 측정센서(130), 커넥터(140)를 포함한다. The sensor assembly 1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sors. Specifically, the sensor assembly 100 includes a sensor controller 110, a communication module 120, a measurement sensor 130, and a connector 140.

센서 컨트롤러(110) 내지 측정센서(130)는 각각 물리적으로 독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센서들이 육면체 형태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물리적 규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필요한 모듈별로 교체되기가 매우 용이하다. 예를 들어, 센서 컨트롤러(110), 통신 모듈(120), 측정센서(130)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용도 변경이 필요할 경우, 해당하는 센서를 교체함으로써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도 있다.The sensor controller 110 to the measurement sensor 130 may be physically independent of each other. That is, each of the sensors may be formed to have a similar or identical physical size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nd it is very easy to replace the necessary modules. For example, when a failure occurs in any one of the sensor controller 110,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the measurement sensor 130, or when the usage change is required, the problem can be easily solved by replacing the corresponding sensor.

또한, 센서 어셈블리(100)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거치대는 센서 컨트롤러(110)와 통신 모듈(120)을 함께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거치대는 센서 컨트롤러(110)와 통신 모듈(120)의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되, 테두리 영역에 격벽이 형성됨으로써 센서 컨트롤러(110)와 통신 모듈(120)이 외부로 벗어나지 않게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센서 컨트롤러(110)와 통신 모듈(120)은 거치대 상에서 서로 적층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Further, the sensor assembly 100 may further include a cradle. The cradle functions to support the sensor controller 11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together. The cradle is formed to have an area covering the area of the sensor controller 11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cradle is formed in a border area to fix the sensor controller 11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outside Function may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sensor controller 11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arranged in a stacked manner on a cradle.

이하, 각 센서 별로 그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function of each sens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센서 컨트롤러(110)는 측정센서(130)로부터 동작데이터를 수신하고, 동작데이터가 서버(200)로 전송되어 수집되도록 통신 모듈(120)로 동작데이터를 전달한다. 이때, 센서 컨트롤러(110)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센서(130)와 연결된다. 만약 측정센서(130)의 교체 또는 부가를 통해 기존에 연결되어 있던 측정센서(130)가 다른 종류의 측정센서(130)로 대체되더라도, 센서 컨트롤러(110)는 현재 연결된 측정센서(130)의 동작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식할 수 있다. The sensor controller 110 receives the operation data from the measurement sensor 130 and transfers the operation data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so that the opera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and collected. At this time, the sensor controller 11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measurement sensor 130. If the measurement sensor 130 is replaced with another type of measurement sensor 130 through the replacement or addition of the measurement sensor 130, the sensor controller 110 may detect the oper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measurement sensor 130 Data can be received and recognized.

예를 들어, 온도 센서, 압력 센서, 습도 센서, 전류/전압 센서, 전력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과 센서 컨트롤러(11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가 서버(200)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 센서 컨트롤러(110)는 단순히 측정센서(130)의 전기신호값(즉, A/D 신호값: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된 신호)을 서버(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센서 컨트롤러(110)에 모든 센서에 대한 펌웨어가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각 센서들이 서로 다른 기기와 호환이 되지 않는 물건이라고 하더라도, 센서 컨트롤러(110)는 해당 센서의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controller 110 may be connected to various sensor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press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current / voltage sensor, and a power sensor. When the firmware is installed in the server 200, the sensor controller 110 simply transmits the electric signal value of the measurement sensor 130 (i.e., the A / D signal value: analog-to-digital converted signal) The sensor controller 110 transmits the firmware to all the sensors installed in the sensor controller 110. Even if the sensors are not compatible with different devices, The signal of the sensor can be recognized.

센서 컨트롤러(110)는 측정센서(130)로부터 수신한 동작데이터를 규격화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모듈(1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와 압력센서로부터 센서 컨트롤러(110)로 전달된 신호는 서로 다른 포맷의 전기신호일 수 있다. 이를 그대로 서버(200)로 전달할 경우, 서버(200)가 어떠한 정보를 담고 있는지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컨트롤러(110)는 아날로그신호 또는 디지털신호를 규격화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서버(200)에서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The sensor controller 110 converts the operation data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 130 into a standardized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digita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For exampl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to the sensor controller 110 may be electrical signals of different formats. If the information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may not know exactly what information it contains. For this, the sensor controller 110 may convert an analog signal or a digital signal into a standardized digital signal, and convert the analog signal or the digital signal into a form recognizable by the server 200.

또한, 센서 컨트롤러(110)는 근로자 장치(400)를 인식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controller 110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worker device 400.

통신 모듈(120)은 센서 컨트롤러(110)와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 사이에서 정보 전달을 수행한다. 즉, 센서 컨트롤러(110)에서 측정된 동작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에서 센서 컨트롤러(110)로 명령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센서 컨트롤러(110)로 전달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transfers information between the sensor controller 110 and the server 200 or the user terminal 300. That is, the operation data measured by the sensor controller 11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and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00 to the sensor controller 110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sensor controller 110.

통신 모듈(120)은 바람직하게 무선 통신 모듈(120)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유선 통신 모듈(120)일 수도 있다. 또한, 통신 모듈(120)은 3G, 4G, WIFI,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120. Also, 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implemented to perform various communications such as 3G, 4G, WIFI, Bluetooth, Zigbee, and the like.

측정센서(130)는 기계(10)의 동작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측정센서(130)는 기계(10)의 동작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으며 공장 내의 상태나 운영현황 등에 대한 정보도 측정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정센서(130)는 온도, 압력, 습도, 전압, 전력 및 진동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는 일 예일 뿐이며, 다른 다양한 동작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측정센서(130)는 근로자 장치(400)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일 수도 있다. The measurement sensor 130 is a sensor for measuring operation data of the machine 10. [ The measurement sensor 130 may be a sensor for measuring operation data of the machine 1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sensor for measuring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factory or the operation status. For example, the measurement sensor 130 may be a sensor that measures one of temperature, pressure, humidity, voltage, power, and vibration.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include sensors for measuring various other operational data. In addition, the measurement sensor 130 may be a sensor for recognizing the worker apparatus 400. [

이하, 인식센서와 서버(200)의 동작에 대해,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cognition sensor and the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and FIG.

먼저, 인식센서(즉, 센서 어셈블리(10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측정센서(130) 또는 센서 컨트롤러(110))는 일정거리 이내에서 일정시간 이상동안 머물러 있는 근로자 장치(400)를 인식한다(S210). First, the recognition sensor (i.e., any one of the measurement sensors 130 or the sensor controller 110 included in the sensor assembly 100) recognizes the worker apparatus 400 staying within a certain distanc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S210).

구체적으로, 인식센서는 인식센서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전파되는 탐색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신한다. 탐색신호의 전파거리가 인식센서가 근로자 장치(400)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하며,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기반으로 할 경우 약 50m 내외일 수 있다. 인식센서는 일정거리 이내의 범위에 진입한 근로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확인(ACK)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ecognition sensor periodically transmits a search signal propagated from the recognition sensor to a certain distance. The propagation distance of the search signal refers to a range in which the recognition sensor can recognize the worker device 400 and may be about 50 m when the low power Bluetooth technology is used. The recognition sensor can receive an acknowledgment (ACK) signal from the worker apparatus 400 that has entered a range within a certain distance.

그리고, 인식센서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수신확인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그 근로자 장치(400)를 인식하기 위하여 근로자 장치(400)로 근로자 식별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When the recognition sensor continuously receives the acknowledgment sign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worker apparatus 400 may request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recognize the worker apparatus 400.

근로자 식별정보란 근로자 고유정보(예를 들어, 근로자의 이름, 주소, ID, 닉네임 등) 및 근로자 장치(400) 고유정보(예를 들어, 근로자 장치(400)의 기기고유넘버, 근로자 장치(400)에 저장된 고유문자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근로자 식별정보는 각 근로자 장치(400)마다 저장되어 있다.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employee specific information (e.g., employee name, address, ID, nickname, etc.) and employee device 400 specific information (e.g., device unique number of worker device 400, (E.g., a unique character string stored in the URL).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for each worker apparatus 400.

인식센서는 근로자 장치(400)로부터 근로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S220), 서버(200)로 전달한다(S230).The recognition sensor receives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worker apparatus 400 (S220)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200 (S230).

추가적으로, 근로자 장치(400)는 인식센서로부터의 요청신호에 따라 인식센서의 식별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다. 인식센서가 수집하는 정보는 관리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정보이다. 근로자 장치(400)에서 기록하게 되는 정보는 근로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만약, 특정 기계(10)에서 오류가 발생되어 어느 한 근로자에게 관리자가 인식센서가 전송한 정보를 기초로 책임을 묻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는데, 이때, 근로자 장치(400)에 기록된 인식센서의 식별정보와 기록된 시각정보는 재확인용 정보가 될 수 있다. 또는, 인식센서에 오류가 발생되어 잘못된 근로자에게 책임을 묻게되는 경우, 근로자 장치(400)에 기록된 정보는 오히려 근로자에게 반박할 수 있는 근거정보가 될 수도 있다. 근로자 장치(400)에 저장되는 정보는 시간 별로 인식센서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worker apparatus 400 may recor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tion sensor in response to a request signal from the recognition sensor.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recognition sensor i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 The information to be recorded in the worker apparatus 400 may be information for providing to the worker. If an error occurs in the specific machine 10, the manager may be asked to take responsibility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recognition sensor to a worker. At this time, And the recorded tim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for revalidation. Alternatively, when an error occurs in the recognition sensor and a wrong worker is asked to take responsibility,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worker apparatus 400 may be grounds for refuting the worker.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worker apparatus 400 may b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tion sensor by time.

이어서, 근로자 식별정보를 수신한 서버(200)는 해당 근로자에 대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Subsequently, the server 200 receiving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rforms authentication with respect to the worker.

구체적으로, 서버(200)의 근로자 장치(400) 인증부(210)는 근로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기 등록된 근로자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근로자 식별정보는 관리자가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근로자 식별정보 목록과 인식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비교하여, 인식센서가 설치된 기계(10)로의 접근을 허용해도 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orker apparatus 400 authentication unit 210 of the server 200 refers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authentication.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have bee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by the administrator. Accordingly, the server 200 can compare the information of the employe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with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ognition sensor, and determine whether to allow access to the machine 10 equipped with the recognition sensor.

추가적으로, 인식센서는 상기 근로자 식별정보와 함께 인식센서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서버(200)는 이들 정보를 기초로 해당 근로자의 접근가능 여부에 대한 추가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서버(200)는 근로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근로자의 접근가능지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라인 담당 근로자는 보안실로의 접근이 제한되며, 공장 외부 영업 담당자는 전산실이나 보일러실 등과 같은 공간에 대해 접근이 제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 근로자별 접근 가능지역에 대한 정보는 서버(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서버(200)는 인식센서로부터 수신한 근로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그 근로자의 접근가능지역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ognition sensor transmits recognition sens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rver 200 may perform additional authentication on the availability of the worker based on the information. That is, the server 200 can identify an accessible area of the worker based on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production line worker is restricted from access to the security office, and an outside factory sales person may have limited access to spaces such as computer rooms or boiler rooms. Information on the accessible area for each worker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checks the information on the accessible area of the worker based on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ognition sensor .

서버(200)는 인식센서 식별정보를 기초로 인식센서가 배치된 위치가 어느 지역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근로자가 접근가능지역에 위치한 것인지 판단하여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server 200 can determine which area the recognition sensor is disposed based on the recognition sens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an perform additional authentica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worker is located in the accessible area.

이러한 인증은 근로자 장치(400)가 인식센서의 인식거리 내에 접근하게 된 최초 1회에 한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is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only once at the first time when the worker apparatus 400 approaches the recognition distance of the recognition sensor.

서버(200)는 인증완료된 경우, 인식센서로 인증완료정보를 전송한다(S250). 또는, 서버(200)는 인증 불가로 판단한 경우, 인식센서로 하여금 경고 사운드가 발생되도록 하거나, 관리자 단말(30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recognition sensor (S250). Alternatively, when the server 200 determines that authentication is not possible, the server 200 may cause the recognition sensor to generate a warning sound or send a warning message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0.

인식센서는 근로자 장치(400)의 동선을 인식하고(S260), 주기적으로 인식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270). The recognition sensor recognizes the copper wire of the worker apparatus 400 (S260), and periodically transmits the recogni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S270).

서버(200)의 근로자 작업현황정보 수집부(220)가 인식센서로부터 수신한 동선 정보는 근로자 장치(400)의 시간 별 위치정보, 근로자 장치(400)의 인식범위 이탈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근로자 장치(400)의 진입 및 이탈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pper lin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ognition sensor by the worker activity statu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20 of the server 200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by time of the worker apparatus 400, information on whether the worker apparatus 400 is out of the recognition range, And information on the entry and departure times of the mobile terminal 400.

이어서, 서버(200)는 근로자의 작업현황정보를 분석한다(S280). Then, the server 200 analyzes the work status information of the worker (S280).

구체적으로, 서버(200)의 근로자 작업현황정보 분석부(230)는 인식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각 근로자 별 동선정보, 각 근로자 별 전체 근로시간 중 작업시간과 작업외시간 및 각 기계(10) 별 작업을 진행한 근로자와 작업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Specifically,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ognition sensor, the worker work status information analyzing unit 230 of the server 200 calculates the worker information of each worker, the total work time of each worker, (10) It is possible to analyze at least one of the worker who worked on the work and the work time.

예를 들어, 근로자 별 동선정보는 시간과 공간에 대한 테이블 형태로 제공되거나, 공장 내의 지도 상에서 근로자 장치(400)가 인식된 지점들을 연이은 라인(LINE)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도 상의 구분된 공간 별로 그 근로자 장치(400)가 인식된 시각이 라인 옆에 병기됨으로써, 관리자가 한눈에 쉽게 확인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line-of-worker-specific lin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able of time and space, 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line that is a series of points where the worker device 400 is recognized on a map within the factory. Further, the time at which the worker apparatus 400 is recognized by the divided spaces on the map is indicated on the side of the line, so that the manager can easily check the time at a glance.

전체 근로시간 중 작업시간은 작업공간(생산라인, 보일러실, 전산실 등)에 배치된 인식센서로부터 동선이 인식된 시간들의 총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체 근로시간 중 작업외시간은 휴식시간, 점심시간 등을 합한 것으로서, 작업공간에 배치된 인식센서로부터 인식이 되지 않은 시간들의 총합이거나 휴게실에 배치된 인식센서로부터 인식된 시간들을 더한 것일 수도 있다. The work time during the total working hours can be composed of the sum of the times when the copper wire is recognized from the recognition sensor disposed in the work space (production line, boiler room, computer room, etc.). Of the total working hours, the non-working time is the total of the unrecognized times from the recognition sensors disposed in the work space plus the times recognized from the recognition sensors disposed in the rest room have.

또한, 각각의 기계(10)별로 인식센서가 배치되므로, 기계(10)별로 그 기계(10) 부근을 지나친 근로자들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기계(10) 별 작업을 진행한 근로자와 작업시간을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 1기계(10)의 경우, AM10:00~12:00까지 근로자A가 인식되었으며, PM1:00~6:00까지 근로자 B가 인식되어, 근로자 A와 B는 각각 P1기계(10)에 대해 2시간과 5시간의 업무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Further, since the recognition sensors are arranged for each machine 10, information on the workers over the vicinity of the machine 10 can be checked for each machine 10, thereby analyzing the worker and the worker You may.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 1 machine 10, the employee A is recognized from 10:00 AM to 12:00 AM, the employee B is recognized from PM 1:00 to 6:00, and the workers A and B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P1 machine 10) for two hours and five hours.

한편, 서버(200)의 기계동작정보 수집부(240)는 센서 어셈블리(100)로부터 기계(10)의 동작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기계(10) 오류 및 기계(10)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 오류 여부를 분석할 수도 있다. 이때, 기계동작정보 수집부(240)는 기계(10)를 가동한 이후 전체 시간 동안 수집한 동작데이터에 대하여 패턴을 도출하고, 이후 수집되는 동작데이터와 상기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기계(10) 오류 및 상기 제품 오류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The machin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40 of the server 200 collects the operation data of the machine 10 from the sensor assembly 100 in real time and collects the operation data of the machine 10, You can also analyze whether there is an error. At this time, the machin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40 derives a pattern for the operation data collected for the entire time after the machine 10 is operated, compares the operation data collected thereafter with the pattern, And analyze whether the product is in error.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센서 어셈블리(100)는 연결된 공장 기계에 대한 센싱을 시작한다(S430). Referring to FIG. 6, the sensor assembly 100 starts sensing the connected factory machine (S430).

센서 어셈블리(100)는 기계의 동작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센싱한다(S440).The sensor assembly 100 periodically senses the operation data of the machine (S440).

센싱될 때마다 서버(200)로 전송하며(S450), 서버(200)는 이로부터 각 기계별 운영현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460). (S450), and the server 200 may collect operational status information for each machine from the server 200 (S460).

그리고 서버(200)는 운영현황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S470). 사용자 단말(300)에 표시되는 운영현황 정보로서, 각 라인에 대한 기계에 부착된 센서의 개수, 센서의 정상동작여부, 센서가 부착된 기계의 장소 등이 제공될 수 있다. Then,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operational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0 (S470). As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300, the number of sensors attached to the machine for each line,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ensor, the location of the machine to which the sensor is attached,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한편, 서버(200)는 머신러닝 기반으로 오작동을 예측할 수도 있다(S480). 그리고 오작동 예측을 알림으로써, 공장 관리자가 기계 오작동 전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490). On the other hand, the server 200 may predict a malfunction based on the machine learning (S480). By notifying the malfunction prediction, it is possible to allow the factory manager to cope with malfunction beforehand (S490).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도출된 패턴으로부터 임계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는 이후에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동작데이터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순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먼저, 관리자 단말(300)로 오작동 발생 알림을 제공한다. 이후, 수집된 동작데이터가 임계값보다 미만이 되는 시점을 감지할 수 있으며, 서버(200)는 관리자 단말(300)로 오작동 종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오작동이 발생될때마다, 오작동이 감지된 단계의 시점에 서버(200)는 오작동 발생 전의 소정 시간 동안에 대한 측정값의 데이터 패턴을 저장하고 통계값을 도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er 200 can calculate a threshold value from the derived pattern. Then, the server 200 can detect the moment when the operation data continuously collected later exceeds the threshold value. At this time, the server 200 first provides the malfunction occurrence notific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0. Then, the server 200 can detect a time when the collected operation data become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and the server 200 can provide a malfunction termination notific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0. In this process, whenever a malfunction occurs, the server 200 may store a data pattern of a measured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 malfunction occurs and derive a statistical value at a point of time when a malfunction is detected.

예를 들어, 오작동 발생시점 이전의 50분간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 2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 제 2 오작동 발생 이전의 50분간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제 3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 마찬가지로 제 3 오작동 발생 이전의 50분간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누적된 데이터가 형성되며, 누적된 데이터에 대한 평균값을 구할 경우, 굵은 선 부분과 같이 측정값에 대한 평균 데이터 패턴이 검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data can be stored separately for 50 minutes before a malfunction occurs. Thereafter, when a second malfunction occurs, data for 50 minutes before the second malfunction occurs is stored. Also, when a third malfunction occurs, similarly, data for 50 minutes before the third malfunction occurs is stored. Through this process, accumulated data is formed, and when an average value of the accumulated data is obtained, an average data pattern of the measured value can be detected as indicated by a thick line.

즉, 서버(200)는 인식센서로부터 근로자 동선정보를 수집하고, 센서 어셈블리(100)로부터 기계의 동작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데, 이들을 조합하여, 기계 오류 및 제품 오류 여부와 상기 근로자 장치의 시간 별 위치정보를 함께 참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200)는 오류 발생시 해당 작업라인을 관리한 근로자를 식별하거나, 근로자 별 불량률 또는 근로자 별 생산능력을 분석할 수 있다. That is, the server 200 collects the workers' copper line information from the recognition sensor, and collects the operation data of the machine from the sensor assembly 100, and combines them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achine error and a product error, Location information can be referred to together. Accordingly, when the error occurs, the server 200 can identify the worker who has managed the work line, analyze the defect rate for each worker, or analyze the production capacity according to the worker.

예를 들어, 동작데이터 수집 결과에 따라, 어느 한 생산라인에서의 생산능력이 K에 해당하는 경우, 그 생산라인에서 근무한 근로자들의 작업시간 등을 참고하여 각 근로자 별 생산력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근로자 별 실적을 명백한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불량률의 경우, 기계 오류나 제품 오류가 발생된 때의 근로자를 식별하고, 그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산출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result of operation data collection, when the production capacity in one production line corresponds to K, the productivity of each worker can be calculated by referring to the work time of workers who worked in the production line. In this case, the performance for each employee can be calculated with clear data.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efective rate, it may be calculated by identifying a worker when a mechanical error or a product error occurs and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서버에서 분석된 정보들은 관리자 UI에 맞게 관리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S290).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server may be provid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according to the administrator UI (S29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being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ose elem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 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기계 100 : 센서 어셈블리
200: 서버 300: 관리자 단말
400: 근로자 장치
10: Machine 100: Sensor assembly
200: server 300: administrator terminal
400: Worker device

Claims (16)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장 내의 각 기계마다 설치되며, 일정 거리 이내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물게 되는 근로자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근로자 장치의 시간 별 위치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인식센서; 및
각 근로자에 대한 상기 시간 별 위치정보와 각 기계의 동작데이터를 기초로 근로자의 작업현황정보를 분석하여,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근로자 장치는 공장 내의 각 근로자가 소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인식센서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A sensor-based worker status management system installed on a machine,
A recognition sensor installed for each machine in the factory, recognizing a worker device stay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device by time to the server; And
And analyzing the work status information of the worker based on the time-based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data of each machine for each worker, and providing the work status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Wherein the worker apparatus is a device carried by each worker in the factory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cognition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 장치는 스마트폰, RFID 장치, NFC 장치, 블루투스 장치 및 와이파이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rker device is one of a smart phone, an RFID device, an NFC device, a Bluetooth device, and a Wi-Fi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센서는,
상기 인식센서로부터 상기 일정 거리까지 전파되는 탐색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신하며, 상기 일정거리 이내의 범위에 진입한 근로자 장치로부터 수신확인(ACK)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수신확인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근로자 장치로 근로자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sensor comprises:
(ACK) signal from a worker apparatus that has reached a range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and transmits the acknowledgment signal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worker apparatus when the worker receives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센서는,
상기 인식된 근로자 장치로부터, 근로자 고유정보 또는 근로자 장치 고유정보로 구성된 근로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sensor comprises:
And receives from the recognized worker devic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osed of worker specific information or worker device specific inform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 장치는,
상기 인식센서로부터의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근로자 식별정보를 상기 인식센서로 전송하고, 상기 인식센서의 식별정보를 기록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orker apparatus comprises:
And transmits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recognition sensor according to a request signal from the recognition sensor, and record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tion sens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센서는 상기 근로자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근로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기 등록된 근로자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cognition sensor transmits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Wherein the server performs authentication by referring to a previously registered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센서는 상기 근로자 식별정보와 함께 인식센서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근로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근로자의 접근가능지역을 식별하고, 상기 인식센서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근로자가 접근가능지역에 위치한 것인지 판단하여 추가 인증을 수행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ecognition sensor transmits recognition sens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server identifies an accessible area of the worker based on the wo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additional authentica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worker is located in an accessible area based on the recognition sens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worker management syste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인증 불가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인식센서로 하여금 경고 사운드가 발생되도록 하거나, 상기 관리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rver is configured to cause the recognition sensor to generate a warning sound or to send a warning message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hentication can not be per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인식센서로부터 근로자 장치의 시간 별 위치정보, 근로자 장치의 인식범위 이탈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근로자 장치의 진입 및 이탈 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comprises:
A sensor-based worker status management system installed in the machine, which receive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apparatus by tim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worker apparatus is out of the recognition range, and information on the entry and departure times of the worker apparatus from the recognition sensor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인식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각 근로자 별 동선정보, 각 근로자 별 전체 근로시간 중 작업시간과 작업외시간 및 각 기계 별 작업을 진행한 근로자와 작업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rver comprises: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ognition sensor, analyzing at least one of worker information and work time for each worker, information on work time and work time among all work hours for each worker, Sensor based worker status management system installed on a machin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기계에 설치된 별도의 센서로부터 기계의 동작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기계 오류 및 기계에 의해 생산되는 제품 오류 여부를 분석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rver comprises:
A sensor-based worker status management system installed on a machine, which collects the operation data of a machine from a separate sensor installed on the machine in real time, and analyzes the machine error and the product error produced by the machin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기계를 가동한 이후 전체 시간 동안 수집한 동작데이터에 대하여 패턴을 도출하고, 이후 수집되는 동작데이터와 상기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기계 오류 및 상기 제품 오류 여부를 분석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rver comprises:
Wherein a pattern is derived for operation data collected for a total period of time after the machine is activated and the mechanical error and the product error are analyzed by comparing the operation data collected thereafter with the pattern, Worker Management System for Workers i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기계 오류 및 제품 오류 여부와 상기 근로자 장치의 시간 별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오류 발생시 해당 작업라인을 관리한 근로자를 식별하거나, 근로자 별 불량률 또는 근로자 별 생산능력을 분석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rver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 unit identifies the worker who has managed the work line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error or analyzes the defect rate for each worker or the production capacity for each worker by referring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worker apparatus by the machine error and product error, Sensor - Based Worker Management System.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센서는,
기계에 배치된 측정센서로부터 상기 동작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 컨트롤러이거나, 상기 근로자 장치를 인식하며 상기 센서 컨트롤러와 연결된 측정센서인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recognition sensor comprises:
A sensor-based worker status management system installed on a machine, the sensor being a sensor controller for collecting the operation data from a measurement sensor disposed on the machine, or a measurement sensor for recognizing the worker device and connected to the sensor controller.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공장 내의 각 기계마다 설치된 인식센서가, 일정 거리 이내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물게 되는 근로자 장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센서가 상기 근로자 장치의 시간 별 위치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각 근로자에 대한 상기 시간 별 위치정보와 각 기계의 동작데이터를 기초로 근로자의 작업현황정보를 분석하여,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근로자 장치는 공장 내의 각 근로자가 소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인식센서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방법.
A sensor-based worker status management method installed on a machine,
Recognizing a worker apparatus in which a recognition sensor installed for each machine in a factory stay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Providing, by the recognition sens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device by time to a server; And
Analyzing the work status information of the workers based on the time-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data of each machine for each worker, and providing the analyzed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 RTI >
Wherein the worker apparatus is a device carried by each worker in the factory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cognition sensor.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장 내의 각 기계마다 설치된 인식센서로부터 근로자 장치의 시간 별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각 근로자에 대한 상기 시간 별 위치정보와 각 기계의 동작데이터를 기초로 근로자의 작업현황정보를 분석하여,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센서는 상기 인식센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물게 되는 근로자 장치를 인식하여 상기 시간 별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근로자 장치는 공장 내의 각 근로자가 소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인식센서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인, 기계에 설치된 센서 기반의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A sensor-based worker status management system installed on a machine,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worker from the recognition sensor installed for each machine in the factory, analyzes the work status information of the worker based on the time-based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worker and the operation data of each machine, The server comprising:
Wherein the recognition sensor recognizes a worker device stay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cognition senso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provides the position information per time to the server,
Wherein the worker apparatus is a device carried by each worker in the factory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cognition sensor.
KR1020170133126A 2017-10-13 2017-10-13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ork status of worker by recognition between sensor installed in machine and worker device KR1020176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26A KR102017610B1 (en) 2017-10-13 2017-10-13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ork status of worker by recognition between sensor installed in machine and work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26A KR102017610B1 (en) 2017-10-13 2017-10-13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ork status of worker by recognition between sensor installed in machine and work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51A true KR20190041651A (en) 2019-04-23
KR102017610B1 KR102017610B1 (en) 2019-09-04

Family

ID=66285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126A KR102017610B1 (en) 2017-10-13 2017-10-13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ork status of worker by recognition between sensor installed in machine and work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6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801A (en) 2020-12-21 2022-06-29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Worker accident prevention analysis system using Deep-leraning
WO2022225113A1 (en) * 2021-04-21 2022-10-27 곽란경 Smart 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smart process management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727A (en) 2007-10-22 2009-04-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nsing data relay apparatus and method, sensing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sensor network system thereof
KR20100013135A (en) * 2008-07-30 2010-02-09 윤병선 Providing risk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with rfid passive tag
KR20160053551A (en) * 2014-11-05 2016-05-13 성진계장 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aging work manpower
KR20170112937A (en) * 2016-03-31 2017-10-12 울랄라랩 주식회사 Smart factory system, factory managem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based on collecting machine operating information automatical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727A (en) 2007-10-22 2009-04-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nsing data relay apparatus and method, sensing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sensor network system thereof
KR20100013135A (en) * 2008-07-30 2010-02-09 윤병선 Providing risk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with rfid passive tag
KR20160053551A (en) * 2014-11-05 2016-05-13 성진계장 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aging work manpower
KR20170112937A (en) * 2016-03-31 2017-10-12 울랄라랩 주식회사 Smart factory system, factory managem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based on collecting machine operating information automatical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801A (en) 2020-12-21 2022-06-29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Worker accident prevention analysis system using Deep-leraning
WO2022225113A1 (en) * 2021-04-21 2022-10-27 곽란경 Smart 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smart process managemen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610B1 (en)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12086B (en) Intelligent production system based on edge calculation and identification analysis
KR102017561B1 (en) Algorith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data of machine based on machine-learning technique
CN107369303B (en) Factory's intelligent diagno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4122876A (en) Internet of Things based monitoring system for air compressors
US20150241873A1 (en) Monitoring a first system of a technical plant for producing a product
CN106403188A (en) Air-conditioner maintenance method and device
CN112734207A (en) Asse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20190041651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ork status of worker by recognition between sensor installed in machine and worker device
CN103020721B (en) A kind of method assessing automation system for the power network dispatching real time data processing efficiency
CN115497187A (en) Intelligent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CN103348557A (en) Field response system
CN102256297A (en) TD-SCDMA (Time Division-Synchronizat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user perception data collection method
CN115396481A (en) Power grid big data mining system and method for smart city operation management
US10876928B2 (en) Method and device to monitor and automatically report electric motor and transformer conditions
KR20120013005A (en) System for managing electric power plant based on ubiquitous and method thereof
CN105335770A (en) Abnormal production event real-time management system
CN105242655A (en) Industrial on-site supervising de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204463278U (en) A kind of some inspection terminal, marking equipment and some cruising inspection system
CN103017824A (en) Monitoring system using measurement robot
CN115208053A (en) Abnormity warning method, abnormity warning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6955434A (en) Full life cycle management and multidimensional energy efficiency analysis system for industrial equipment
JP7368582B1 (en)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ower plant patrol equipment
CN110766174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quiring maintenance scheme
CN112308176B (en) Mold manage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NB-IOT technology
Qiang et al. Research of visualization monitoring technology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n discrete manufactur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