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606A - 호산구-유래 신경독을 이용한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을 판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호산구-유래 신경독을 이용한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을 판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606A
KR20190041606A KR1020170133028A KR20170133028A KR20190041606A KR 20190041606 A KR20190041606 A KR 20190041606A KR 1020170133028 A KR1020170133028 A KR 1020170133028A KR 20170133028 A KR20170133028 A KR 20170133028A KR 20190041606 A KR20190041606 A KR 2019004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n
group
wheezing
patient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근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3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1606A/ko
Publication of KR2019004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2Pulmonary disea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기 감염증의 천명(wheezing)의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산구-유래 신경독(eosinophil-derived neurotoxin, EDN) 수준과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천명(wheezing, 쌕쌕거림)과의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EDN을 호흡기 감염증을 앓았거나 앓고있는 소아 환자에서의 천명의 발생 또는 재발에 대한 판별용 마커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EDN 수준을 객관화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한 판별을 통해 천명을 관찰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관리 가능한 예방약 및 치료약 개발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산구-유래 신경독을 이용한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을 판별하는 방법{A method of detecting wheezing of pediatric respiratory infections using eosinophil-derived neurotoxin}
본 발명은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wheezing)을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식을 포함한 호흡기 감염증의 발생기전에는 여러 가지 혈구세포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활성화된 호산구와 호중구가 기관지 점막, 기관폐포 세척액, 객담, 그리고 혈액 등의 검체에서 그 수가 증가되어 있음이 이전의 여러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다[Watt AP, et al., Current drug targets Inflammation and allergy. 2005;4(4):415-23; Holgate ST, journal of the British Society for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8;38(6):872-97]. 호산구와 호중구는 세포 안 과립에 여러 화학매개물질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들 세포가 활성화되면 과립 안의 화학매개물질들이 세포 밖으로 배출되면서 염증반응을 야기한다[Macdowell AL, et al., Current allergy and asthma reports. 2007;7(6):464-8]. 호산구의 과립은 세포막에 붙어 있으며, 이 과립 안에 조직손상을 야기하는 강한 양전하의 단백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다[Moqbel R,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996;796:209-17; Wolthers OD. European Society of Pediatric Allergy and Immunology. 2003;14(4):248-54]. 과립의 중심에 MBP (major basic protein)이 있고, 과립의 기질에는 ECP (eosinophilic cationic protein), EPO (eosinophil peroxidase), EDN (eosinophil-derived neurotoxin) 등이 있다[Hogan SP, et al., journal of the British Society for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8;38(5):709-50]. 이전에 혈중 호산구 수나 퍼센트 측정을 통해 호산구의 활성도를 측정하려는 연구들도 있었으나, 이는 실제 호산구의 활성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였고, 호산구 과립 단백물질(EDN 및 ECP)의 측정이 실질적인 호산구성 염증반응 정도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Venge P. Monitoring the allergic inflammation. Allergy. 2004;59(1):26-32; Kim CK, et al.,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the Care of Asthma. 2010;47(5):568-73].
이에 본 발명자는 호흡기 감염증 환자에서 천명(wheezing)의 판별을 위한 방법을 연구하던 중 호흡기 감염증 환자로부터 호산구-유래 신경독(eosinophil-derived neurotoxin, EDN) 수치를 측정 시 천명 판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wheezing)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wheezing)의 판별용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호흡기감염증 환자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호산구-유래 신경독(eosinophil-derived neurotoxin, EDN) 수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흡기감염증 환자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EDN 수치를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의 판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호산구-유래 신경독(eosinophil-derived neurotoxin, EDN) 수준과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천명(wheezing, 쌕쌕거림)과의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EDN을 호흡기 감염증을 앓았거나 앓고있는 소아 환자에서의 천명의 발생 또는 재발에 대한 판별용 마커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EDN 수준을 객관화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한 판별을 통해 천명을 관찰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관리 가능한 예방약 및 치료약 개발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천명군에서 1세 이상부터 3세 미만군과 3세 이상부터 7세 미만군 사이에 EDN 수치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비천명군에서 0세 이상부터 1세 미만군, 1세 이상부터 3세 미만군, 3세 이상부터 7세 미만군 사이에 EDN 수치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천명군과 비천명군간 EDN 수치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비천명군을 폐렴군(pneumonia), 감기군(common cold) 및 편도염군(tonsiliitis)의 3군으로 나누어 천명군을 포함한 4군간의 EDN 수치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호흡기감염증 환자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호산구-유래 신경독(eosinophil-derived neurotoxin, EDN) 수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wheezing)의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천명(wheezing)"은 쌕쌕거림이라고도 명명하며, 기도가 좁아져서 숨을 내쉴 때 쌕쌕거리거나 가랑가랑하는 호흡음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EDN 수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생물학적 시료 등에서 호산구-유래 신경독(eosinophil-derived neurotoxin, EDN)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호흡기 감염증은 모세기관지염(bronchiolitis), 천식(asthma), 알레르기 비염(allergic rhinitis), 인두염(pharyngitis), 편도염(tonsillitis), 폐렴(pneumonia), 감기(common cold) 및 편도염(tonsiliit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모세기관지염은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메타뉴모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 및 마이코플라즈마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유해균의 감염으로 유발되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전혈, 혈청, 혈장, 타액, 뇨, 객담, 림프액, 조직 및 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환자는 아토피 피부염 진단 이력이 존재하고, 비천명군에 비하여 아토피 피부염 진단 이력이 있는 환자에서 유의적으로 천명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는 0세 내지 10세의 소아 환자이고, 바람직하게는 1세 내지 7세의 소아 환자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판별"은 병리 상태와 관련된 증상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판별은 호흡기 감염증 환자에서 천식의 발생 및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판별은 0세 내지 10세의 소아 환자에서 EDN 수준이 35.08 ng/ml 이상 시 천명으로 판별하고, 상기 소아 환자에서 3세 미만은 EDN 수준이 31.92 ng/ml 이상 시 천명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아 환자에서 3세 이상은 EDN 수준이 38.92 ng/ml 이상 시 천명으로 판별하는 각 컷-오프(cut-off)값이 존재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EDN 수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웨스턴 블랏,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Ouchterlony) 면역확산법, 로케트(rocket)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유세포분석(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및 단백질 칩(protein chi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EDN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EDN 단백질의 범위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 및 상기 단백질의 기능적 동등물을 포함한다. "기능적 동등물"이란 아미노산의 부가, 치환 또는 결실의 결과,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과 실질적으로 동질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단백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EDN 단백질은 이의 천연형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이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가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EDN 단백질의 변이체란 EDN 천연 아미노산 서열과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단백질 및 펩티드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H.Neurath, R.L.Hill, The Proteins, Academic Press, New York, 1979). 상기 SaRBP1 단백질 또는 이의 변이체는 천연에서 추출하거나 합성 (Merrifleld, J. Amer. chem. Soc. 85:2149-2156, 1963) 또는 DNA 서열을 기본으로 하는 유전자 재조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Cold Spring Harbour Laboratory Press, New York, USA, 2판, 1989).
또한, 상기 염기 서열의 변이체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EDN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로서 사용될 수 있는 EDN 핵산분자는 이를 구성하는 핵산 분자의 작용성 등가물, 예를 들어, EDN 핵산 분자의 일부 염기서열이 결실(deletion), 치환(substitution) 또는 삽입(insertion)에 의해 변형되었지만, SaRBP1 핵산 분자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는 변이체(variants)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2의 염기 서열과 각각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염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한 "서열 상동성의 %"는 두 개의 최적으로 배열된 서열과 비교 영역을 비교함으로써 확인되며, 비교 영역에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일부는 두 서열의 최적 배열에 대한 참고 서열(추가 또는 삭제를 포함하지 않음)에 비해 추가 또는 삭제(즉, 갭)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대상" 또는 "환자"는 인간, 소, 개, 기니아 피그, 토끼, 닭, 곤충 등을 포함하여 치료가 요구되는 임의의 단일 개체를 의미한다. 또한, 임의의 질병 임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임상 연구 시험에 참여한 임의의 대상 또는 역학 연구에 참여한 대상 또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대상이 대상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표지" 또는 "라벨"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시약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표지는 그 자체가 검출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 또는 형광 표지), 효소 표지의 경우에, 검출 가능한 기질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화학적 변형을 촉매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유효량"은,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또는 생화학적 결과에 영향을 주는 적절한 양이다. 유효량은 한번 또는 그 이상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저해제 화합물의 유효량은 질병 상태의 진행을 일시적으로 완화, 개선, 안정화, 되돌림, 속도를 늦춤 또는 지연시키는데 적절한 양이다. 만약, 수혜동물이 조성물의 투여에 견딜 수 있거나, 조성물의 그 동물에의 투여가 적합한 경우라면,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함"을 나타낸다. 투여된 양이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제는 "치료학적으로 유효량"으로 투여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상기 제제의 존재가 수혜 환자의 생리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변화를 초래한 경우라면 상기 제제는 생리학적으로 의미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치료"는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를 수득하기 위한 접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는 비제한적으로, 증상의 완화, 질병 범위의 감소, 질병 상태의 안정화 (즉, 악화되지 않음), 질병 진행의 지연 또는 속도의 감소, 질병 상태의 개선 또는 일시적 완화 및 경감 (부분적이거나 전체적으로), 검출가능하거나 또는 검출되지 않거나의 여부를 포함한다. 또한, "치료"는 치료를 받지 않았을 때 예상되는 생존율과 비교하여 생존율을 늘이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치료는 치료학적 치료 및 예방적 또는 예방조치 방법 모두를 가리킨다. 상기 치료들은 예방되는 장애뿐만 아니라 이미 발생한 장애에 있어서 요구되는 치료를 포함한다. 질병을 "완화(Palliating)"하는 것은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질병상태의 범위 및/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임상적 징후가 감소되거나 및/또는 진행의 시간적 추이(time course)가 늦춰지거나 길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약"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흡기감염증 환자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EDN수치를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wheezing)의 판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단백질 칩 키트, RT-PCR 키트, 마이크로어레이 칩 키트 및 DNA 칩 키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제제는 EDN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프라이머 및 프로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 준비 및 실험 방법
1-1. 연구대상 및 천명 환자 분류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천식알러지센터에서 사용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을 확대하고자 2016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호흡기 증상을 주소로 중국 산시성 시안 지아통대학교 산시성인민병원의 어린이병원 외래에 방문한 0-7세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조사과정은 산시성인민병원 임상연구심의위원회(International Review Board)의 승인(2016-001)하에 진행되었다.
천명(wheezing)의 분류는, 환아가 외래 방문 당시 의사가 신체검진을 하여 천명이 들린 경우 천명군으로 분류하였다. 의사의 진찰 상 천명이 들리지 않은 경우 비천명군으로 분류하였다. 수포음은 천명으로 간주하지 않았고, 이전에 천명이 있었는지 여부나 재발성 등은 고려하지 않았다.
1-2. 혈청 EDN(Eosinophil-derived Neurotoxin) 수치 측정
채혈을 시행 후 BD vacutainer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ranklin Lakes, NJ, USA) 혈청분리튜브에 검체를 수집하였다. 이를 25도에서 1시간 동안 응고시키고, 1350 g, 4도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시행하였다. 각각의 혈청 샘플을 새로운 플라스틱 튜브에 담아 검사 전까지 -70도에서 보관하였다. 혈청 EDN은 K-EDN ELISA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Kim CK, et al., official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of Allergology. 2016].
1-3. 통계분석 및 비천명군의 분류
천명군의 EDN 수치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보이지 않아 천명군과 비천명군간의 EDN 수치 비교는 Mann-Whitney 검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비천명군을 다시 폐렴군(pneumonia), 감기군(common cold), 편도염군(tonsillitis)의 3군으로 나누어 천명군을 포함한 4군간의 EDN 수치 비교를 시행하였고, 이 때 Kruskal-Wallis 검사를 이용하였다. 천명군과 비천명군에서 나이대별 EDN 수치 비교 역시 Kruskal-Wallis 검사를 이용하였다. Kruskal-Wallis 검사에서 사후검정을 위해 2군씩 쌍을 지어 각각 Mann-Whitney test를 시행하고 Bonferroni's method로 제1종 오류를 보정하여 크기가 다른 쌍을 직접 찾았다. 두 군간의 범주형 데이터 비교는 Fisher의 정확한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ver. 17.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으며 P-value가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실시예 2. 천명군과 비천명군에서 나이대별 EDN 수치 비교
2-1. 연구 대상자 수 및 특성
역학 171명이 조사 대상에 포함되었고, 천명군이 46명, 비천명군은 125명이었다. 비천명군은 폐렴 30명, 감기 61명, 편도염 34명으로 구성되었다. 천명군의 평균나이는 42.3개월로 비천명군의 평균나이 22.2개월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남녀 성비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전에 아토피피부염 진단을 받아본 적이 있는지에 대해 천명군은 10.5%, 비천명군 0.8%가 "그렇다"고 하여 천명군에서 아토피피부염 진단력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식품알레르기 진단력, 부모의 천식 진단력, 애완동물 소유 여부, 집먼지진드기 특이항체 양성 여부의 경우 두 군간에 빈도 차이가 없었다(표 1).
천명(Wheezing)
(n=46)
비-천명군(Non-wheezing)(n=125) P-value
나이(month) 42.3±20.0 22.2±19.3 <0.001
성별(남/여) 27/19 65/10 0.436
식품 알레르기 진단력(Food allergy diagnosis ever) 1/46 (2.2%) 2/125 (1.6%) 1.000
아토피 피부염 진단(Atopic dermatitis diagnosis ever) 5/46 (10.5%) 1/125 (0.8%) 0.006
부모의 천식 진단력(Parental asthma diagnosis ever) 1/46 (2.2%) 0 0.269
애완동물 소유 여부(Having a pet) 0 2/125 (1.6%) 0.533
집먼지진드기 특이항체 양성 여부(specific IgE for house dust mite) 2/46 (4.3%) 1/125 (0.8%) 0.177
2-2. 천명군과 비천명군에서 나이대별 EDN 수치 비교
천명군과 비천명군간에 나이 분포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각 군에서 나이대별 EDN 수치 차이가 유의한지 분석하였다. 각 군을 0세 이상부터 1세 미만, 1세 이상부터 3세 미만, 3세 이상부터 7세 미만의 나이대별 3군으로 구분하여 EDN 수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명군의 경우 1세 이상부터 3세 미만군과 3세 이상부터 7세 미만군 사이에 EDN 수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천명군 역시 0세 이상부터 1세 미만군, 1세 이상부터 3세 미만군, 3세 이상부터 7세 미만군 사이에 EDN 수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실시예 3. 천명군과 비천명군간 EDN 수치 비교
천명군과 비천명군간 EDN 수치 비교를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천명군을 다시 폐렴군(pneumonia), 감기군(common cold) 및 편도염군(tonsiliitis)의 3군으로 나누어 천명군을 포함한 4군간의 EDN 수치를 비교하였을 때의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명군의 EDN 평균수치는 48.8±71.4 ng/ml로 비천명군 EDN 평균수치인 13.3±5.1 ng/m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천명군을 다시 폐렴군, 감기군, 편도염군의 3군으로 나누어 천명군을 포함한 4군간의 EDN 수치를 비교하였을 때 천명군의 EDN 평균수치는 폐렴군 15.1±5.5 ng/ml, 감기군 12.4±4.9 ng/ml, 편도염군 13.4±4.7 ng/m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폐렴균, 감기군 및 편도염군의 EDN 수치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천명군과 비천명군간의 EDN 수준에 따른 컷-오프(cut-off) 값 확인
상기 실시예 2 및 3의 일련의 결과에 따라, 호흡기 감염증이 유발된 소아들을 대상으로 천명군과 비천명군간의 EDN 수준에 따른 컷-오프(cut-off) 값을 분석하였다. EDN 수준의 컷-오프로서 전체 천명군 환자에서는 35.08 ng/ml (median+1SE)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령별로 나누었을 때, 3세 미만의 EDN 수준에 따른 컷-오프 값은 31.92 ng/ml (median+1SE)이고, 3세 이상은 38.92 ng/ml (median+1SE)임을 확인하였다.
<110> inje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A method of detecting wheezing of pediatric respiratory infections using eosinophil-derived neurotoxin <130> pn1709-326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6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DN amino acid sequence <400> 1 Met Val Pro Lys Leu Phe Thr Ser Gln Ile Cys Leu Leu Leu Leu Leu 1 5 10 15 Gly Leu Leu Ala Val Glu Gly Ser Leu His Val Lys Pro Pro Gln Phe 20 25 30 Thr Trp Ala Gln Trp Phe Glu Thr Gln His Ile Asn Met Thr Ser Gln 35 40 45 Gln Cys Thr Asn Ala Met Gln Val Ile Asn Asn Tyr Gln Arg Arg Cys 50 55 60 Lys Asn Gln Asn Thr Phe Leu Leu Thr Thr Phe Ala Asn Val Val Asn 65 70 75 80 Val Cys Gly Asn Pro Asn Met Thr Cys Pro Ser Asn Lys Thr Arg Lys 85 90 95 Asn Cys His His Ser Gly Ser Gln Val Pro Leu Ile His Cys Asn Leu 100 105 110 Thr Thr Pro Ser Pro Gln Asn Ile Ser Asn Cys Arg Tyr Ala Gln Thr 115 120 125 Pro Ala Asn Met Phe Tyr Ile Val Ala Cys Asp Asn Arg Asp Gln Arg 130 135 140 Arg Asp Pro Pro Gln Tyr Pro Val Val Pro Val His Leu Asp Arg Ile 145 150 155 160 Ile <210> 2 <211> 48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DN cDNA sequence <400> 2 atggttccaa aactgttcac ttcccaaatt tgtctgcttc ttctgttggg gcttctggct 60 gtggagggct cactccatgt caaacctcca cagtttacct gggctcaatg gtttgaaacc 120 cagcacatca atatgacctc ccagcaatgc accaatgcaa tgcaggtcat taacaattat 180 caacggcgat gcaaaaacca aaatactttc cttcttacaa cttttgctaa cgtagttaat 240 gtttgtggta acccaaatat gacctgtcct agtaacaaaa ctcgcaaaaa ttgtcaccac 300 agtggaagcc aggtgccttt aatccactgt aacctcacaa ctccaagtcc acagaatatt 360 tcaaactgca ggtatgcgca gacaccagca aacatgttct atatagttgc atgtgacaac 420 agagatcaac gacgagaccc tccacagtat ccggtggttc cagttcacct ggatagaatc 480 atctaa 486

Claims (14)

  1. 호흡기감염증 환자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호산구-유래 신경독(eosinophil-derived neurotoxin, EDN) 수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wheezing)을 판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감염증은 모세기관지염(bronchiolitis), 천식(asthma), 알레르기 비염(allergic rhinitis), 인두염(pharyngitis), 편도염(tonsillitis), 폐렴(pneumonia), 감기(common cold) 및 편도염(tonsiliit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기관지염은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메타뉴모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 및 마이코플라즈마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유해균의 감염으로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전혈, 혈청, 혈장, 타액, 뇨, 객담, 림프액, 조직 및 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아토피 피부염 진단 이력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0세 내지 10세의 소아 환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은 0세 내지 10세의 소아 환자에서 EDN 수준이 35.08 ng/ml 이상 시 천명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아 환자에서 3세 미만은 EDN 수준이 31.92 ng/ml 이상 시 천명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아 환자에서 3세 이상은 EDN 수준이 38.92 ng/ml 이상 시 천명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DN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DN 수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웨스턴 블랏,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Ouchterlony) 면역확산법, 로케트(rocket)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유세포분석(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및 단백질 칩(protein chi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호흡기감염증 환자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EDN(eosinophil-derived neurotoxin) 수치를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wheezing)의 판별용 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단백질 칩 키트, RT-PCR 키트, 마이크로어레이 칩 키트 및 DNA 칩 키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EDN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프라이머 및 프로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KR1020170133028A 2017-10-13 2017-10-13 호산구-유래 신경독을 이용한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을 판별하는 방법 KR20190041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28A KR20190041606A (ko) 2017-10-13 2017-10-13 호산구-유래 신경독을 이용한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을 판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028A KR20190041606A (ko) 2017-10-13 2017-10-13 호산구-유래 신경독을 이용한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을 판별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880A Division KR102064136B1 (ko) 2019-10-23 2019-10-23 호산구-유래 신경독을 이용한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을 판별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06A true KR20190041606A (ko) 2019-04-23

Family

ID=6628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028A KR20190041606A (ko) 2017-10-13 2017-10-13 호산구-유래 신경독을 이용한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을 판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16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2809B2 (en) Differential expression of protein marker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eosinophilic esophagitis
Shrestha et al. Lesional and nonlesional skin from patients with untreated juvenile dermatomyositis displays increased numbers of mast cells and mature plasmacytoid dendritic cells
Kouzaki et al. Epithelial cell-derived cytokines contribute to the pathophysiology of eosinophilic chronic rhinosinusitis
ES2353722T3 (es) Procedimiento de diagnosis in vitro por examen del líquido cefalorraquídeo para el diagnóstico de enfermedades de demencia y enfermedades neuroinflamatorias.
KR20140108718A (ko) 가와사키 질환용 바이오마커
US20230414717A1 (en) Modified fibroblast growth factor 21 (fgf-21) for use in methods f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Boyages et al. Endemic cretinism: possible role for thyroid autoimmunity
Chong et al. Serum fractalkine (CX3CL1) concentration correlates with clinical severity in pediatric atopic dermatitis patients
Pavel-Tanasa et al. Adipokines, and not vitamin D, associate with antibody immune responses following dual BNT162b2 vaccination within individuals younger than 60 years
Surlin et al. NLRP3 inflammasome expression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of patients with periodontitis and chronic hepatitis C
KR101611743B1 (ko) 모세기관지염 후 천식 진단을 위한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064136B1 (ko) 호산구-유래 신경독을 이용한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을 판별하는 방법
KR20190041606A (ko) 호산구-유래 신경독을 이용한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을 판별하는 방법
KR101754490B1 (ko) 천식 진단용 마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천식 진단용 키트 및 천식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JP7016110B2 (ja) スティル病と敗血症との鑑別用バイオマーカー
Ota et al. Upregulation of plasma CCL8 in mouse model of graft-vs-host disease
JP2010266238A (ja) 疲労度の判定方法および疲労度判定キット
KR102501298B1 (ko) 아토피피부염을 동반하는 식품 알레르기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9868311A (zh) Mif及其预测二代抗精神病药物诱导的代谢不良反应的应用
Aladl et al. Assessment of Serum Interleukin 23, 17 Level and its Relation to Disease Control in Psoriasis, Atopic Dermatitis and Lichen Planus: A Serological Study
KR102233640B1 (ko) 구강암 예후 진단용 조성물 및 키트
KR20210121802A (ko) Mrgprx2를 이용한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
KR20090057758A (ko) 비타민 d 결합 단백질을 이용한 천식 진단 마커 및 천식치료제
JP6565099B2 (ja) 家族性地中海熱のバイオマーカー
Ananthalekshmi Effect of Nicotine on Visfatin Levels of Gingival Crevicular Fluid in Periodontal Health and Disease: A Clinical and Biochemical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