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403A - 튜닝 가능한 체크 밸브를 갖는 유압식 텐셔너 - Google Patents

튜닝 가능한 체크 밸브를 갖는 유압식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403A
KR20190041403A KR1020180113332A KR20180113332A KR20190041403A KR 20190041403 A KR20190041403 A KR 20190041403A KR 1020180113332 A KR1020180113332 A KR 1020180113332A KR 20180113332 A KR20180113332 A KR 20180113332A KR 20190041403 A KR20190041403 A KR 20190041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ss
piston
disposed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 제레미
Original Assignee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4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16H2007/0814Fluid pressure with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3Ratch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9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유압식 텐셔너는 공동, 통로 및 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 내에 밸브 리테이너 및 밸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통로는 공동의 단부면을 통해 공동과의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보스는 통로 주위에 배치되고 단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밸브 리테이너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하우징에 고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밸브 부재는 제1 플레이트와 보스 사이에 축방향으로 있을 수 있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보스의 최외각 에지를 지나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가 보스와 밀봉 접촉되는 폐쇄 위치와 제2 플레이트가 보스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밸브 스프링은 제2 플레이트를 폐쇄 위치 쪽으로 부세한다.

Description

튜닝 가능한 체크 밸브를 갖는 유압식 텐셔너{HYDRAULIC TENSIONER WITH TUNABLE CHECK VALV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0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가출원 제62/571,482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완전하게 상술되는 것처럼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튜닝 가능한 체크 밸브를 갖는 유압식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은 반드시 종래 기술일 필요는 없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
체인 구동 시스템은 구동 스프로킷(drive sprocket), 및 플렉시블 엔드리스 체인(flexible endless chain)을 통해 상기 구동 스프로킷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동 스프로킷(driven sprocket)을 포함한다. 체인 구동 시스템의 이와 같은 일 실시예는 내연 기관의 체인 종동 캠샤프트이다. 일반적으로, 톱니형 체인의 경우 톱니부의 소음, 미끄러짐 또는 비치합(unmeshing)을 방지하기 위해 체인에 일정 정도의 장력을 부여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압식 텐셔너는 적절한 체인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일 유형의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메커니즘은 동력 전달 시스템의 이완측에서 체인을 가압하는 레버 암(lever arm)을 사용한다. 이러한 레버 암은 체인이 이완되면 체인을 가압하여 체인을 조이고, 체인이 조여지면 체인으로부터 떨어지게 리트랙트(retract)된다. 현재의 유압식 텐셔너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일반적으로 적합하지만, 개선된 유압식 텐셔너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섹션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요약을 제공하고, 그 전체 범위 또는 그 모든 특징의 포괄적인 개시 내용이 아니다.
일 형태에서, 본 발명은 2개의 회전 부재 사이의 래프트(wrapped) 동력 전달 장치를 위한 유압식 텐셔너를 제공한다. 유압식 텐셔너는 하우징, 피스톤, 피스톤 스프링, 밸브 리테이너, 밸브 부재 및 밸브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제1 공동, 통로 및 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동은 축을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통로는 제1 공동의 제1 단부면을 통해 제1 공동과 유체 연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보스는 축을 중심으로 및 통로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보스는 제1 단부면으로부터 제1 공동 내로 외측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피스톤은 축을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의 내측 단부는 제1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의 외측 단부는 하우징의 외부에 있을 수 있다. 피스톤은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 스프링은 제1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피스톤을 외측 방향으로 부세할 수 있다. 밸브 리테이너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제1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에 고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밸브 부재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와 보스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보스의 반경 방향으로 최외각 에지를 지나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가 보스와 밀봉 접촉되는 폐쇄 위치와 제2 플레이트가 보스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 스프링은 제2 플레이트를 폐쇄 위치 쪽으로 부세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부재는 외측 방향으로 제2 플레이트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부재의 측벽은 보스로부터 떨어진 제2 플레이트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1 플레이트와 접촉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부재의 측벽은 축을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고 밸브 스프링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스프링은 제1 플레이트의 내측부 및 제2 플레이트의 외측부와 접촉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스톤 스프링은 제1 플레이트의 외측부와 접촉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리테이너는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리테이너의 측벽은 내측 방향으로 제1 플레이트로부터 제1 단부면을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리테이너의 측벽은 밸브 리테이너의 측벽을 통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애퍼처(aper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공동은 제1 원통형 부분과 제2 원통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통형 부분은 제1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원통형 부분은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피스톤은 제1 원통형 부분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밸브 리테이너의 측벽의 원위 단부는 제2 원통형 부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원통형 부분은 제1 단부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외측 축방향면을 갖는 숄더(shoulder)를 정의할 수 있다. 밸브 리테이너 측벽의 원위 단부는 숄더의 외측 축방향면에 접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중심으로 배치된 애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플레이트는 미터링 애퍼처(metering aper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스톤의 외측 표면은 하우징에 대한 피스톤의 내측 축방향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톱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본 발명은 유압식 텐셔너의 밸브의 유량을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유압식 텐셔너는 하우징, 피스톤, 피스톤 스프링, 밸브 리테이너, 밸브 부재 및 밸브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제1 공동, 통로 및 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동은 축을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통로는 제1 공동의 제1 단부면을 통해 제1 공동과의 유체 연통을 위해 결합될 수 있다. 보스는 축을 중심으로 그리고 통로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보스는 제1 단부면으로부터 제1 공동 내로 외측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피스톤은 축을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의 내측 단부는 제1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의 외측 단부는 하우징의 외부에 있을 수 있다. 피스톤은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 스프링은 제1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피스톤을 외측 방향으로 부세할 수 있다. 밸브 리테이너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제1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에 고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밸브 부재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와 보스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보스의 반경 방향으로 최외각 에지를 지나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가 보스와 밀봉 접촉되는 폐쇄 위치와 제2 플레이트가 보스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 스프링은 제2 플레이트를 폐쇄 위치 쪽으로 부세할 수 있다. 방법은 밸브 부재의 최대 축방향 이동을 변경하기 위해 보스의 외측 축방향면과 제1 플레이트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스의 외측 축방향면과 제1 플레이트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변경하는 단계는, 보스의 외측 축방향면과 제1 단부면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보스의 외측 축방향면을 기계 가공(machin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리테이너는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리테이너의 측벽은 내측 방향으로 제1 플레이트로부터 제1 단부면을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단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숄더에 접할 수 있다. 보스의 외측 축방향면과 제1 플레이트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변경하는 단계는, 숄더의 외측 축방향면과 제1 단부면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숄더의 외측 축방향면을 기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영역은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요약에서의 설명 및 구체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선택된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일 뿐이며, 모든 가능한 실시형태가 아니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교시에 따른 텐셔너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텐셔너의 일부분의 단면도로서, 제1 구조의 텐셔너의 밸브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제2 구조의 텐셔너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2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제3 구조의 텐셔너를 도시한다.
대응하는 참조 번호는 도면의 여러 관점에 걸쳐서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력 전달 장치(10) 및 텐셔너 장치(14)가 도시된다. 동력 전달 장치(10)는 일반적으로 엔드리스 체인으로 지칭되는 체인(18), 구동 스프로킷(22), 및 적어도 하나의 종동 스프로킷(2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 전달 장치는 일반적으로 래프트 동력 전달 장치로 지칭되는 유형이다. 구동 스프로킷(22) 및 종동 스프로킷(26)은 회전 부재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종동 스프로킷(26)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추가적인 스프로킷(예를 들어, 2개 이상)이 체인(18)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구동 스프로킷(22)은 공통 회전을 위해 내연 기관(도시되지 않음)의 크랭크샤프트(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고, 종동 스프로킷(26)은 엔진의 밸브 트레인(도시되지 않음)의 캠샤프트(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지만,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구동 스프로킷(22)은 화살표(30)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체인이 드라이브 및 종동 스프로킷(22, 26)에 대해 장력측(34) 및 이완측(38)을 갖는다. 체인(18) 및 스프로킷(22, 26)은, 예를 들어 외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응 톱니부를 갖는 롤러 체인 및 스프로킷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양립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텐셔너 장치(14)는 레버 암(42) 및 텐셔너(46)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도 1의 텐셔너(46) 및 레버 암(42)이 동력 전달 장치(10)와 관련하여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나타낼 필요가 없으며 동력 전달 장치(10)는 텐셔너(46) 및 레버 암(42)에 대해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레버 암(42)은 피봇(5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피봇(50)은 그 위치가 동력 전달 장치(1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도록 엔진(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봇(50)은, 엔진 블록(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 본체(도시되지 않음) 또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의 강성 부분, 변속기(도시되지 않음), 또는 동력 전달 장치(10)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갖는 다른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될 수 있다. 레버 암(42)은 레버 암(42)이 피봇(50)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피봇될 수 있도록 피봇(50)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레버 암(42)은, 예를 들어 스프로킷(22, 26) 사이에서 체인(18)의 이완측(38)의 외측 부분과 맞물릴 수 있는 제1 측부(54)를 가질 수 있다. 레버 암(42)은 제1 측부(54)에 대향하는 제2 측부(58)를 가질 수 있다.
텐셔너(46)는 하우징(62), 플런저 또는 피스톤(66), 피스톤 스프링(70), 및 밸브 어셈블리(7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2)은 엔진(도시되지 않음), 본체(도시되지 않음) 또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의 강성 부분, 변속기(도시되지 않음), 또는 동력 전달 장치(10) 및 피봇(50)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갖는 다른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62)은 제1 공동(78) 및 유체 통로(82)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공동(78)은 중심 축(86)을 중심으로 배치된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의 보어일 수 있고, 제1 원통형 부분(90) 및 밸브 리세스(94)를 가질 수 있다. 제1 원통형 부분(90)은 동력 전달 장치(10) 쪽으로 향하는 하우징(62)의 측부를 통하여 개방된 일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제1 원통형 부분(90)의 대향 단부는 밸브 리세스(94)에 대해 개방될 수 있다. 유체 통로(82)는 밸브 리세스(94)를 이들 사이의 유체 연통을 위해 저장소(98)와 결합시킬 수 있다.
저장소(98)는 상승된 압력에서 다량의 유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소(98)는 이와의 유체 연통을 위해 하우징(62)으로부터 분리되어 유체 통로(82)에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62) 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소(98)는 펌프(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압력원으로부터 가압 유체를 수용하여 저장소(98) 내의 유체가 미리 결정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공된 예에서, 펌프(도시되지 않음)는 크랭크샤프트(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될 수 있지만,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전기 펌프).
피스톤(66)은 개방 단부(110) 및 폐쇄 단부(114)를 가질 수 있는 일반적으로 중공의 원통형 본체일 수 있다. 피스톤은 중심 축(86)과 동축일 수 있고, 제1 원통형 부분(90)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개방 단부(110)가 제1 공동(78) 내에 있고, 이와의 유체 연통을 위해 제1 공동(78) 내로 개방될 수 있다. 피스톤(66)은 제1 원통형 부분(90)의 개방 단부를 통해 연장되어, 피스톤(66)의 폐쇄 단부(114)가 하우징(6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66)의 폐쇄 단부(114)는 레버 암(42)의 제2 측면(58)과 맞물릴 수 있다. 피스톤(66)은 제1 원통형 부분(90) 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할 수 있고 하우징(62)과 밀봉 관계가 되어서 피스톤(66)이 제1 원통형 부분(90)의 개방 단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피스톤(66)의 외측 원통형 표면은 제1 원통형 부분(90)의 내부 표면과 밀봉되게 맞물리지만, 예를 들어 O-링 또는 다른 밀봉부(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폐쇄 단부(114)에 근접한 피스톤(66)의 외부 표면은 제1 원통형 부분(90)의 개방 단부에 근접한 하우징(62)의 리세스(122) 내에 배치된 스프링 c-클립과 같은 래칫 리테이닝 부재(구체적으로는 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래칫 톱니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칫 리테이닝 부재(도시되지 않음)는, 피스톤(66)이 대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면서, 피스톤(66)이 제1 공동(78)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래치팅(ratcheting) 방식으로 래칫 톱니부(118)와 맞물릴 수 있다. 톱니부(118)와 리테이닝 부재(도시되지 않음)는 추가적인 내측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톱니부(118)와 리테이닝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맞물리기 전에 내측 방향으로의 소량의 이동(예를 들어, 약 0 내지 4 mm)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톱니부(118)가 리테이닝 부재(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리기 전에 내측 방향으로의 이러한 소량의 이동은 "뱅-래쉬(bang-lash)"로서 지칭될 수 있다.
피스톤 스프링(70)은 제1 공동(78)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외측 방향으로(예를 들어, 동력 전달 장치(10)를 향해 그리고 레버 암(42)과 접촉되게) 피스톤(66)을 축방향으로 부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공된 예에서, 피스톤 스프링(70)은 중심 축(86)을 중심으로 동축으로 배치된 코일형 압축 스프링이다. 피스톤 스프링(70)은 피스톤(66)의 개방 단부(110)를 통해 연장되어, 피스톤 스프링(70)의 일 단부가 피스톤(66) 내에 배치되고 피스톤 스프링(70)의 다른 단부가 제1 공동(78) 내의 피스톤(66)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추가로 참조하면, 밸브 리세스(94)는 중심 축(86)과 동축일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밸브 리세스(94)는 제2 원통형 부분(210) 및 제3 원통형 부분(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원통형 부분(210)은 제1 공동(78)의 제1 원통형 부분(90)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제2 원통형 부분(210)은 제1 원통형 부분(9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공된 실시예에서, 제1 공동(78)은 제1 원통형 부분(90)으로부터 제2 원통형 부분(210)으로 직경이 단계적으로 감소한다.
제3 원통형 부분(214)은 제2 원통형 부분(210) 및 유체 통로(82)에 대해 개방되어, 제3 원통형 부분(214)이 제2 원통형 부분(210)과 유체 통로(82) 사이에 축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제3 원통형 부분(214)은 제2 원통형 부분(210)의 직경 미만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제공된 실시예에서, 제1 공동(78)은 제2 원통형 부분(210)으로부터 제3 원통형 부분(214)으로 직경이 단계적으로 감소하여, 그 사이의 직경의 단계적 감소가 숄더(218)를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구성에서, 제2 원통형 부분(210)은 제3 원통형 부분(214)과 동일한 직경일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유체 통로(82)는 중심 축(86)과 동축일 수 있고 제3 원통형 부분(214)의 축방향 단부면(222)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유체 통로(82)는 단부면(222)으로부터 제3 원통형 부분(214) 내로 외측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하우징(62)의 원통형 돌출부 또는 보스(226)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의된다. 보스(226)는 제1 축방향 거리(234)만큼 보스(226)의 단부면(222)에서부터 원위 단부(23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단부면(222)은 숄더(218)로부터 제2 축방향 거리(238)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보스(226)의 원위 단부(230)는 숄더(218)의 축방향으로 내측에 있을 수 있다. 보스(226)의 원위 단부(230)는 일반적으로 편평하고 중심 축(86)에 수직일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230)는 원형의 환형 형상을 갖는다.
밸브 어셈블리(74)는 체크 밸브 리테이너(246), 체크 밸브 스프링(250), 및 체크 밸브 컵 부재(254)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 리테이너(246)는 제1 플레이트(258) 및 제1 측벽(2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58)는 중심 축(86)과 일반적으로 동축인 디스크 형상일 수 있고 애퍼처(2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애퍼처(266)는 중심 축(86)과 동축일 수 있고, 제1 플레이트(258)는 제1 공동(78)의 제1 원통형 부분(9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262)은 중심 축(86)을 중심으로 동축으로 배치된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본체일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258)로부터 단부면(222)을 향해 내측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측벽(262)은 제1 측벽(262)을 통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 애퍼처(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측면 애퍼처(270)는 중심 축(86)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지만, 예를 들어 홀 또는 다른 형상과 같은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측벽(262)의 원위 단부(274)(즉, 제1 플레이트(258)에 대향하는 단부)는 제2 원통형 부분(210)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제1 측벽(262)의 외경은 제1 측벽(262)이 제2 원통형 부분(210) 내로 압입되도록 한다. 원위 단부(274)는 보스(226)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있을 수 있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274)의 내경은 제3 원통형 부분(214)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있어서 원위 단부(274)가 숄더(218)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숄더(218)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보스(226)의 원위 단부(230)는 제1 플레이트(258)로부터 제3 축방향 거리(242)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피스톤 스프링(70)의 내측 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향하는 제1 플레이트(258)의 측부에 접하여, 피스톤 스프링(70)과 숄더(218)가 체크 밸브 리테이너(246)를 축방향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체크 밸브 컵 부재(254)는 보스(226)와 제1 플레이트(258) 사이에 그리고 제1 측벽(262) 내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체크 밸브 컵 부재(254)는 체크 밸브 컵 부재(254)가 보스(226)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개방 위치(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와 폐쇄 위치(도 2에 도시됨) 사이에서 체크 밸브 리테이너(246)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체크 밸브 컵 부재(254)는 제2 플레이트(278) 및 제2 측벽(2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278)는 디스크 형상일 수 있고, 제2 플레이트(278)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들이 제2 플레이트(278)를 통하여 적은 유량의 유체만을 허용하도록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미터링 애퍼처(28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터링 애퍼처(286)는 미터링 애퍼처(286)를 통하는 최대 유량이 유체 통로(82), 제1 플레이트(258)의 애퍼처(266) 및 측부 애퍼처(270)를 통하는 유량보다 현저하게 적도록 하는 레이저 컷 핀홀(pin-hole)일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278)는 복수의 미터링 애퍼처(286)를 포함한다. 미터링 애퍼처(286)는 미터링 애퍼처(286)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가 유체 통로(82) 내로 직접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유체 통로(82)와 정렬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78)는 보스(226)의 외경보다 크지만 숄더(218)의 내경보다 작은(즉, 제3 원통형 부분(214)의 최외각 직경보다 더 작은) 최외각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측벽(282)은 제2 플레이트(278)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축(86)을 중심으로 배치된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78)에 대해 원위인 제2 측벽(282)의 단부는 제1 플레이트(258)의 애퍼처(266)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있을 수 있다.
체크 밸브 컵 부재(254)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플레이트(278)의 축방향 내측 대향 표면(290)은 보스(226)의 원위 단부(230)와 접촉 및 밀봉되어 유체 통로(82)를 통한 제1 공동(78)과 저장소(98)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저지할 수 있다. 보스(226)의 외경이 제2 플레이트(278)의 내측 대향 표면(290)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내측 대향 표면(290)은, 보스(226)의 원위 단부(230) 또는 내측 대향 표면(290)이, 예를 들어 제조 허용 오차 및/또는 부품의 마모로 인해 완벽하게 편평하지 않더라도, 보다 일관되고 완전한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스(226)는 제2 플레이트(278)가 단부면(222)과 직접 접촉되는 것보다 더 양호한 밀봉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278)가 미터링 애퍼처(286)를 포함하는 경우, 체크 밸브 컵 부재(25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미터링 애퍼처(286)를 통하여 소량의 유체 유동이 여전히 유체 통로(82)로 통과될 수 있다. 체크 밸브 컵 부재(254)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내측 대향 표면(290)은 유체 통로(82)를 통한 유체 연통이 허용되도록 보스(226)의 원위 단부(230)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체크 밸브 스프링(250)은 제1 플레이트(258)와 제2 플레이트(278)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보스(226)를 향해(즉, 폐쇄 위치를 향해) 제2 플레이트(278)를 부세할 수 있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체크 밸브 스프링(250)은 제1 플레이트(258)의 애퍼처(266)보다 크지만 제2 측벽(282)의 내경보다는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코일형일 수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따라서, 체크 밸브 스프링(250)은 제2 측벽(282) 내에 안착될 수 있고, 중심 축(86)과 일반적으로 동축일 수 있다. 체크 밸브 스프링(250)은 제2 플레이트(278)의 외측부 및 제1 플레이트(258)의 내측부와 접촉될 수 있다.
공칭 작동 동안에, 체크 밸브 컵 부재(254)는 폐쇄 위치에 있다. 피스톤(66)이 뱅-래쉬 동안과 같이 레버 암(42)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피스톤(66)은 저장소(98) 내의 압력보다 큰 압력이 되도록 제1 원통형 부분(90) 내의 유체를 압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인(18)의 이완을 계속하기 위하여, 피스톤(66)이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예를 들어, 피스톤 스프링(70)에 의해), 제1 원통형 부분(90) 내의 압력은 저장소(98) 내의 압력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제1 원통형 부분(90) 내의 압력이 약간 증가하면(예를 들어, 내측 방향으로의 피스톤(66)의 비교적 느린 이동 또는 작은 이동으로 인하여), 유체가 유체 통로(82)를 통해 저장소(98)를 향해 미터링 애퍼처(286)를 통과하여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원통형 부분(90) 내의 압력이 약간 감소하면(예를 들어, 외측 방향으로의 피스톤(66)의 비교적 느린 이동 또는 작은 이동으로 인하여), 유체가 미터링 애퍼처(286)를 통과하여 제1 원통형 부분(90) 내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들 작은 압력은 유체 통로(82)에서 제2 플레이트(278) 상에 생성된 힘이 체크 밸브 스프링(250)의 스프링 힘을 극복하지 못해서 체크 밸브 컵 부재(254)를 개방 위치 쪽으로 이동시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내측 방향으로의 피스톤(66)의 더 빠른 이동 또는 더 큰 이동은 미터링 애퍼처(286)를 통해 해제될 수 있는 압력보다 더 빠르게 제1 공동(78) 내에서 유압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278)는 체크 밸브로서 작용하여 제1 공동(78)로부터 저장소(98)로의 유체 유동을 방지 또는 제한하므로, 내측 방향으로의 피스톤(66)의 축방향 이동에 저항한다.
제1 원통형 부분(90) 내에서 압력이 더 크게 감소하면(예를 들어, 외측 방향으로의 피스톤(66)의 더 빠른 이동 또는 더 큰 이동으로 인해), 유체가 제2 플레이트(278) 상에서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예를 들어, 유체 통로(82)를 통해), 체크 밸브 스프링(250)의 힘을 극복할 수 있고, 체크 밸브 컵 부재(254)를 개방 위치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원통형 부분(90)과 저장소(98) 사이의 압력차가 미리 결정된 압력차(예를 들어, 체크 밸브 스프링(250)의 스프링력에 대응하는) 아래로 감소하는 경우, 제2 플레이트(278)는 유체 통로(82)로부터 제1 원통형 부분(90) 내로 유체가 유동하도록 보스(226)의 원위 단부(230)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미리 결정된 압력은 "팝업(pop-up) 압력"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측벽(282)의 원위 단부는 외측 방향으로의 제2 플레이트(278)의 추가적인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제1 플레이트(258)의 내측부와 접촉될 수 있다. 보스(226)의 원위 단부(230)로부터의 제2 플레이트(278)의 최대 분리는 제1 공동(78)과 유체 통로(82) 사이의 최대 유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체크 밸브 스프링(250)의 압축뿐만 아니라 제2 측벽(282)의 원위 단부와 제1 플레이트(258) 사이의 거리가 제3 축방향 거리(242)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팝업 압력뿐만 아니라 제2 플레이트(278)와 보스(226) 사이의 최대 분리는 제3 축방향 거리(242)(즉, 보스(226)의 원위 단부(230)와 제1 플레이트(258) 사이의 거리)에 좌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258)의 위치에 대한 보스(226)의 높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상이한 팝업 압력 및/또는 최대 유량이 달성될 수 있다.
제조 공정 동안에 하나의 부품으로부터 다음 부품으로 이러한 상대적 위치(즉, 제3 축방향 거리(242))를 조정하기 위한(예를 들어,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차량에 대해) 한가지 방법은, 제2 축방향 거리(238)를 유지하면서, 보스(226)의 원위 단부(230)와 제3 원통형 부분(214)의 단부면(222)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것이다(즉, 제1 축방향 거리(234)를 변경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는 보스(226)의 원위 단부(230)를 기계 가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크 밸브 리테이너(246), 체크 밸브 컵 부재(254), 체크 밸브 스프링(250) 및 피스톤 스프링(70)의 치수 및 물리적 특성은 상이한 팝업 압력 및/또는 최대 유량을 갖는 부품들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들 부품의 표준화는 제조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팝업 압력 및/또는 최대 유량을 여전히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제2 구조의 텐셔너(46')의 일부를 도시한다. 텐셔너(46')는 여기에서 달리 나타내거나 기술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텐셔너(46)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프라임 부호를 갖는 참조 번호는, 유사하지만 프라임 부호를 갖지 않는 참조 번호를 참조하여 상술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제1 축방향 거리(234')는 제1 축방향 거리(234)(도 2)보다 크다. 따라서, 텐셔너(46')는 더 큰 팝업 압력을 가질 수 있고 텐셔너(46)(도 1 및 도 2)보다 더 낮은 최대 유량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는 제3 구조의 텐셔너(46'')를 도시한다. 텐셔너(46")는 본 명세서에서 달리 나타내거나 기술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텐셔너(46)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더블 프라임 부호를 갖는 참조 번호는, 유사하지만 프라임 부호를 갖지 않는 참조 번호를 참조하여 상술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제1 축방향 거리(234")는 제1 축방향 거리(234)(도 2)보다 크고, 제1 축방향 거리(234')(도 3)보다도 크다. 따라서, 텐셔너(46")는 더 큰 팝업 압력을 가질 수 있고, 둘 모두의 텐셔너(46, 46')(도 1 내지 도 3)보다 낮은 최대 유량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팝업 압력 및/또는 최대 유량을 갖는 텐셔너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 또는 이의 팝업 압력 및/또는 최대 유량을 변경하기 위해 텐셔너 장치를 변경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는, 제1 팝업 압력 및/또는 제1 유량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제1 높이에서부터, 미리 결정된 제1 높이보다 작고 제2 팝업 압력 및/또는 제2 유량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제2 높이까지 보스(226)의 원위 단부(230)를 기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 공정 중에 하나의 부품으로부터 다음 부품으로 이러한 상대적 위치(즉, 제3 축방향 거리(242))를 조정하기 위한(예를 들어,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차량에 대해) 다른 방법은, 제1 축방향 거리(234)를 유지하면서, 숄더(218)와 제3 원통형 부분(214)의 단부면(222)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것이다(즉, 제2 축방향 거리(238)를 변경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는 숄더(218)를 기계 가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크 밸브 리테이너(246), 체크 밸브 컵 부재(254), 및 체크 밸브 스프링(250)의 치수 및 물리적 특성은 상이한 팝업 압력 및/또는 최대 유량을 갖는 부품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상이한 부품 사이에서 하우징(62)에 대한 제1 플레이트(258)의 위치 설정의 변경이 피스톤 스프링(70)의 크기 및 강성도와 피스톤(66)의 설계된 이동에 대해 무시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 스프링(70)은 부품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들 부품의 표준화는 제조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팝업 압력 및/또는 최대 유량을 여전히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팝업 압력 및/또는 최대 유량을 갖는 텐셔너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다른 예, 또는 이의 팝업 압력 및/또는 최대 유량을 변경하기 위해 텐셔너 장치를 변경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제1 팝업 압력 및/또는 제1 유량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제1 높이에서부터, 미리 결정된 제1 높이 미만이고 제2 팝업 압력 및/또는 제2 유량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제2 높이까지 숄더(218)를 기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대해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이는 개시 내용을 제한하거나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형태의 개개의 요소 또는 특징은 일반적으로 특정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지만, 적용 가능한 경우, 상호 교환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나타내거나 기술되지 않더라도, 선택된 실시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것도 여러 방식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예는 개시 내용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모든 변형예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 내용은 당업자에게 그 범위를 철저하고 완전하게 전달하도록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 요소, 장치 및 방법의 예와 같이 많은 특정 세부사항이 제시된다. 특정 세부사항이 사용될 필요가 없고,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많은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어느 것도 개시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은 통상의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공지된 공정, 공지된 장치 구조, 및 공지된 기술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 "하나"("a", "an") 및 "상기"("the")는 문맥상 명확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을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및 "갖는"(having)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며, 따라서 상술한 특징, 정수, 단계, 작동, 요소 및/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작동, 요소, 구성 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 단계, 공정 및 작동은 성능의 순서로서 구체적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논의되거나 나타낸 특정한 순서로 이들의 성능을 반드시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단계가 사용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있거나", 다른 요소 또는 층에 "맞물리거나",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이는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있거나, 다른 요소 또는 층에 맞물리거나,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개재하는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 "직접적으로 상에 있거나", 다른 요소 또는 층에 "직접적으로 맞물리거나",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개재하는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단어는 유사한 방식(예를 들어, "그 사이에" 대 "직접적으로 그 사이에", "인접하는" 대 "직접적으로 인접하는" 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연관된 열거된 항목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제1", "제2" 및 다른 수치 용어와 같은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는 한 시퀀스 또는 순서를 암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서 논의되는 제1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교시를 벗어남이 없이 제2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내부(inner)", "외부(outer)", "밑에(beneath)", "아래(below)", "더 낮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과 같은 공간상으로 상대적인 용어가 사용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관계를 기술할 수 있다. 공간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배향뿐만 아니라 사용 또는 작동 시에 장치의 상이한 배향을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장치가 뒤집힌다면,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밑에" 또는 "아래에"로 기술된 요소는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위에" 배향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아래"라는 용어는 위와 아래의 배향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달리 배향될 수 있고(90도 또는 다른 배향으로 회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공간상으로 상대적인 기술어는 그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Claims (15)

  1. 2개의 회전 부재 사이의 래프트 동력 전달 장치를 위한 유압식 텐셔너로서,
    상기 유압식 텐셔너는:
    제1 공동, 통로, 및 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공동이 축을 중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통로가 상기 제1 공동의 제1 단부면을 통해 상기 제1 공동과 유체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스가 상기 축을 중심으로 및 상기 통로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보스가 상기 제1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제1 공동 내로 외측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상기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피스톤으로서, 상기 피스톤의 내측 단부가 상기 제1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외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있으며, 상기 피스톤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피스톤;
    상기 제1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측 방향으로 부세하는 피스톤 스프링;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밸브 리테이너로서,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제1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식으로 결합되는, 밸브 리테이너;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밸브 부재로서,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보스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보스의 반경 방향으로 최외각 에지를 지나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보스와 밀봉 접촉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보스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부재;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기 폐쇄 위치 쪽으로 부세하는 밸브 스프링을 포함하는 유압식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외측 방향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측벽은 상기 보스로부터 떨어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유압식 텐셔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측벽은 상기 축을 중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밸브 스프링 주위에 배치되는, 유압식 텐셔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프링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내측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측부와 접촉되는, 유압식 텐셔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스프링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측부와 접촉되는, 유압식 텐셔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리테이너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리테이너의 상기 측벽은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단부면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압식 텐셔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리테이너의 상기 측벽은 상기 밸브 리테이너의 상기 측벽을 통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애퍼처를 포함하는, 유압식 텐셔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동은 제1 원통형 부분과 제2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통형 부분은 제1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원통형 부분은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1 원통형 부분 내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 리테이너의 상기 측벽의 원위 단부는 상기 제2 원통형 부분 내에 배치되는, 유압식 텐셔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통형 부분은 상기 제1 단부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외측 축방향면을 갖는 숄더를 정의하고, 상기 밸브 리테이너의 상기 측벽의 상기 원위 단부는 상기 숄더의 상기 외측 축방향면에 접하는, 유압식 텐셔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애퍼처를 포함하는, 유압식 텐셔너.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미터링 애퍼처를 포함하는, 유압식 텐셔너.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외측 표면은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피스톤의 내측 축방향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톱니부를 포함하는, 유압식 텐셔너.
  13. 유압식 텐셔너의 밸브의 유량을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압식 텐셔너는:
    제1 공동, 통로, 및 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공동은 축을 중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1 공동의 제1 단부면을 통해 상기 제1 공동과 유체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스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및 상기 통로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보스는 상기 제1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제1 공동 내로 외측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상기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피스톤으로서, 상기 피스톤의 내측 단부는 상기 제1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외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있으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피스톤;
    상기 제1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을 상기 외측 방향으로 부세하는 피스톤 스프링;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밸브 리테이너로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식으로 결합되는, 밸브 리테이너;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밸브 부재로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보스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보스의 반경 방향으로 최외각 에지를 지나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보스와 밀봉 접촉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보스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부재;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기 폐쇄 위치 쪽으로 부세하는 밸브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밸브 부재의 최대 축방향 이동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보스의 외측 축방향면과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압식 텐셔너의 밸브의 유량을 변경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의 상기 외측 축방향면과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축방향 거리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보스의 상기 외측 축방향면과 상기 제1 단부면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보스의 상기 외측 축방향면을 기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압식 텐셔너의 밸브의 유량을 변경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리테이너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리테이너의 상기 측벽은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단부면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단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숄더에 접하고, 상기 보스의 상기 외측 축방향면과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축방향 거리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숄더의 외측 축방향면과 상기 제1 단부면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숄더의 상기 외측 축방향면을 기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압식 텐셔너의 밸브의 유량을 변경하는 방법.
KR1020180113332A 2017-10-12 2018-09-20 튜닝 가능한 체크 밸브를 갖는 유압식 텐셔너 KR201900414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71482P 2017-10-12 2017-10-12
US62/571,482 2017-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403A true KR20190041403A (ko) 2019-04-22

Family

ID=6591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332A KR20190041403A (ko) 2017-10-12 2018-09-20 튜닝 가능한 체크 밸브를 갖는 유압식 텐셔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41839B2 (ko)
JP (1) JP2019074208A (ko)
KR (1) KR20190041403A (ko)
CN (1) CN109654183A (ko)
DE (1) DE102018125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8293B2 (en) * 2018-02-26 2022-09-20 Borgwarner Inc. Variable force tensioner with internal reservoir technology primary bore
JP2020101279A (ja) * 2018-12-21 2020-07-02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内部チェックバルブを含むピストンが備えられたテンショナ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3095C2 (de) * 1994-12-03 1996-10-17 Ford Werke Ag Kettenspann-/Riemenspannvorrichtung
US5700213A (en) * 1995-08-18 1997-12-23 Borg-Warner Automotive, Inc. Integral inlet and pressure relief valve for an automotive tensioner
US5643117A (en) * 1995-12-08 1997-07-01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check valve vent
US5819794A (en) * 1996-10-03 1998-10-13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a contoured disc check valve
US6361458B1 (en) * 1998-04-20 2002-03-2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pressure relief valve
US6312351B1 (en) 1998-09-21 2001-11-0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pivotal mount
US6322468B1 (en) * 1999-11-17 2001-11-27 Borgwarner Inc. Pressure relief valve and dual path vent disc for hydraulic tensioner
US6955621B2 (en) 2001-04-26 2005-10-18 Borgwarner Inc. Rotary actuating hydraulic tensioner
US6609985B2 (en) 2001-11-07 2003-08-26 Borgwarner Inc. Tensioner with vibrational damping
US20030236144A1 (en) 2001-12-14 2003-12-25 Borgwarner Morse Tec Japan K.K. Hydraulic tensioner
JP2003194165A (ja) 2001-12-28 2003-07-09 Borg Warner Morse Tec Japan Kk 液圧テンショナ
US20040204272A1 (en) 2003-03-20 2004-10-14 Borgwarner Morse Tec Japan K.K. Hydraulic tensioner
JP3649229B2 (ja) * 2003-06-30 2005-05-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JP4113817B2 (ja) 2003-09-03 2008-07-09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液圧テンショナ
JP2005127471A (ja) * 2003-10-27 2005-05-19 Tsubakimoto Chain Co 油圧式テンショナ
US7641575B2 (en) * 2004-04-09 2010-01-05 Tsubakimoto Chain Co. Hydraulic tensioner
US7691017B2 (en) 2004-04-23 2010-04-06 Borgwarner Morse Tec Japan K.K. Hydraulic tensioner
JP3962052B2 (ja) * 2004-11-02 2007-08-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US20060160645A1 (en) 2005-01-14 2006-07-20 Borgwarner Inc. Tensioner with ratcheting device
US20060270502A1 (en) 2005-05-27 2006-11-30 Borgwarner Inc. Tensioner for simultaneously tensioning multiple strands
US7455606B2 (en) 2005-06-08 2008-11-25 Borgwarner Inc. Mechanical chain tensioner with a rotational ratcheting device
US7641577B2 (en) 2005-06-28 2010-01-05 Borgwarner Inc. Mechanical chain tensioner with compliant blade spring
US7479077B2 (en) 2005-06-28 2009-01-20 Borgwarner Inc. Pivoting mechanical tensioner with compliant blade spring
US20060293133A1 (en) 2005-06-28 2006-12-28 Borgwarner Inc. Dual pivoting pawl tensioner
US20070119297A1 (en) 2005-07-21 2007-05-31 Borgwarner Inc. Linear hydraulic amplifier
US7597640B2 (en) 2005-08-15 2009-10-06 Borgwarner Inc. Long mechanical tensioner with a compliant blade spring
US7628719B2 (en) 2005-10-26 2009-12-08 Borgwarner, Inc. Mechanical strap tensioner for multi-strand tensioning
JP2009516135A (ja) 2005-11-14 2009-04-16 ボーグワーナ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油圧式チェック弁組立品
US8403783B2 (en) 2005-12-13 2013-03-2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a band type check valve
EP1984649B1 (en) 2006-02-17 2009-10-14 Borgwarner, Inc. Force limiting tensioning arm
US8066600B2 (en) 2006-04-20 2011-11-29 Borgwarner Inc. Ratchet mechanism for a chain drive
KR20090007602A (ko) 2006-05-08 2009-01-19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슬라이딩 및 피보팅 폴을 가지는 래칫팅 텐셔너
CN101479501B (zh) 2006-06-21 2012-11-14 博格华纳公司 带有弹簧固定球的止回阀
US8337345B2 (en) 2007-01-26 2012-12-25 Borgwarner Inc. Sliding rack ratchet tensioner
JP2008190604A (ja) * 2007-02-02 2008-08-21 Tsubakimoto Chain Co 油圧式テンショナ
US20080280712A1 (en) * 2007-05-07 2008-11-13 Yoshiaki Ryouno Chain tensioner
DE102007033600A1 (de) * 2007-07-17 2009-01-22 Schaeffler Kg Hydraulisches Spannsystem mit integriertem Überdruckventil
EP2532923B1 (en) 2007-07-23 2014-06-18 BorgWarner Inc. Modular hydraulic tensioner with ratchet
JP2011522998A (ja) 2008-06-04 2011-08-04 ボーグワーナ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マルチストランド張力調整用の固定された機械的ストラップテンショナ
CN102472300A (zh) 2009-09-15 2012-05-23 博格华纳公司 主动控制式张紧器
DE102010012918A1 (de) * 2010-03-26 2011-09-2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 Endlostriebmittel mit einem Kombinationsventil
DE102011005193A1 (de) * 2010-04-23 2011-11-24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Hydraulischer Spanner
DE112012000482T5 (de) 2011-02-28 2013-12-19 Borgwarner Inc. Ventil mit veränderbarem Durchfluss für eine hydraulische Spannvorrichtung
US9377087B2 (en) 2011-09-22 2016-06-28 Borgwarner Inc. Chain drive tensioner spring force control mechanism
JP2013096471A (ja) * 2011-10-31 2013-05-20 Tsubakimoto Chain Co 油圧式テンショナ
US9267579B2 (en) 2012-12-21 2016-02-23 Borgwarner Inc. Chain or belt tensioner with a ratchet that deactivates
US10006524B2 (en) * 2013-12-03 2018-06-26 Borgwarner Inc. Integrated pressure relief valve for hydraulic tensioner
DE102013225984B4 (de) * 2013-12-16 2017-03-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draulisch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Zugmitteltrieb
JP6310335B2 (ja) * 2014-02-21 2018-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油圧テンショナ装置
JP6386978B2 (ja) * 2015-07-31 2018-09-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DE102016207779B4 (de) * 2016-05-04 2022-01-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Kettentrieb
DE102018114200A1 (de) * 2017-06-15 2018-12-20 Borgwarner Inc. Spanner mit Rückschlagventil mit steuerbarer Steifigkeit
CN109654184A (zh) * 2017-10-12 2019-04-19 博格华纳公司 具有集成压力释放阀的液压张紧器
CN110360280A (zh) * 2018-04-11 2019-10-22 博格华纳公司 密封液压张紧器
US20200018383A1 (en) * 2018-07-13 2020-01-16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moving slee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41839B2 (en) 2021-03-09
CN109654183A (zh) 2019-04-19
DE102018125166A1 (de) 2019-04-18
JP2019074208A (ja) 2019-05-16
US20190113113A1 (en)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6524B2 (en) Integrated pressure relief valve for hydraulic tensioner
US7618339B2 (en) Hydraulic tensioner with improved relief valve
US7641575B2 (en) Hydraulic tensioner
JPH0642598A (ja) 可変オリフィス逆止弁を有する液圧テンショナ
US8535187B2 (en) Motorcycle camshaft drive tensioner
US20170356529A1 (en) Variable force tensioning assembly
US20100029424A1 (en) Check valve with spring retained ball
JPH08285018A (ja) 液圧テンショナ
KR20140007917A (ko) 유압 텐셔너를 위한 가변 유량 체크 밸브
JP6581084B2 (ja) 油圧式テンショナのための高流量/高速応答ディスク型逆止弁
JP2010091055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KR20190041403A (ko) 튜닝 가능한 체크 밸브를 갖는 유압식 텐셔너
EP0743473B1 (en) Self-contained hydraulic belt tensioner
GB2414777A (en) Hydraulic tensioner having a split ring
US20190113114A1 (en) Hydraulic tensioner with integrated pressure relief valves
US20200018383A1 (en) Hydraulic tensioner with moving sleeve
US11326670B2 (en) Tensioner with piston containing an internal check valve
JP4179888B2 (ja) 液圧テンショナ
JP2004076796A (ja) チェーン張力付与装置
US10161272B2 (en) Valve opening and closing timing control apparatus
US11162396B2 (en) Valve opening-closing timing control device
US20160076409A1 (en) Valve opening and closing timing control device
JP5926002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0266144A (ja)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JP2017089518A (ja) 弁開閉時期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