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378A -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378A
KR20190041378A KR1020170134279A KR20170134279A KR20190041378A KR 20190041378 A KR20190041378 A KR 20190041378A KR 1020170134279 A KR1020170134279 A KR 1020170134279A KR 20170134279 A KR20170134279 A KR 20170134279A KR 20190041378 A KR20190041378 A KR 20190041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paper
dispenser
integrated
c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인
Original Assignee
강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수인 filed Critical 강수인
Priority to KR1020170134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1378A/ko
Publication of KR2019004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ntainers, e.g. flasks, bottles, tins, milk packs
    • A47F7/28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ntainers, e.g. flasks, bottles, tins, milk packs for vertically-stacked containers; Stabilis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47F1/085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1)와 수거함(2)을 포함하는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의 이용을 통해 좁은 공간에서 수거함과 보관함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 {Integrated paper cup case}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에 종이컵 디스펜서와 수거함을 구비하여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종이컵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은 장소에서 각종 음료를 마시기 위해 일회용 종이컵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이컵의 사용 및 수거를 위해 종이컵 디스펜서와 수거함이 각각 비치되는데, 좁은 공간에서는 종이컵 디스펜서와 수거함을 모두 비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192호 및 특허 대한민국 공개특허10-2013-0012092호와 같은 일회용 종이컵 보관함의 경우 종이컵의 보관 및 인출은 용이하나 수거함을 위한 별개의 공간이 따로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5467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9157호와 같은 컵 수거장치 같은 경우 사용된 컵을 간편하게 수거할 수는 있으나, 종이컵 보관함을 위한 장소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외에도 종이컵의 수거함에 있어 수거된 종이컵들을 고정시켜주는 기능이 없는 장치들은 외부충격에 의해 수거된 종이컵이 흐트러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거된 종이컵을 재활용하거나 폐기하기 위해 수거함에서 회수할 때, 대부분 종이컵을 수거함 상단을 통해 수거하기 때문에 종이컵을 적층된 상태 그대로 유지하면서 회수하지 못하고, 종이컵 내에 남아 있는 액체가 흐르는 문제와 수거과정중 종이컵이 흐트러지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서용된 종이컵의 회수가 편리하면서도 종이컵 디스펜서와 종이컵 수거함을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192호 (발명의 명칭 : 종이컵 보관 및 인출기, 출원인 : 구재웅, 등록일 : 2014.08.2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2092호 (발명의 명칭 : 종이컵 수거함, 출원인 : 이현정, 공개일 : 2011.05.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5467호 (고안의 명칭 : 컵수거장치, 고안자 : 윤교국, 등록일 : 2006.04.2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9157호 (고안의 명칭 : 종이컵 수거함, 고안자 : 고광일, 등록일 : 2004.02.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의 종이컵 디스펜서(1)와 하단의 종이컵 수거함(2)이 일체형의 원통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단의 종이컵 디스펜서(1)와 하단의 종이컵 수거함(2)이 일체형의 원통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이다. 상기 상단의 종이컵 디스펜서(1) 하부는 종이컵이 인출되는 인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인출부는 종이컵 디스펜서(1) 하부의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이며, 종이컵이 걸리는 받침부(400)를 포함한다. 상단의 종이컵 디스펜서(1) 상부는 개폐 가능한 뚜껑(100)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하단의 종이컵 수거함(2)의 상부의 투입부(10)는 종이컵이 수거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이다.
하단의 종이컵 수거함(2)은 투입된 종이컵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20)를 포함한다.
종이컵 수거함 하부에 장치를 지면에 설치하기 위한 바닥부(40)가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단의 종이컵 디스펜서(1)와 하단의 종이컵 수거함(2)이 일체형의 원통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 디스펜서와 수거함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의 상단의 종이컵 디스펜서(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의 하단의 종이컵 수거함(2)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단의 종이컵 디스펜서(1)와 하단의 종이컵 수거함(2)을 포함하는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는 도 1과 같이 상단의 종이컵 디스펜서(1)와 하단의 종이컵 수거함(2)이 일체형의 원통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의 상단의 종이컵 디스펜서(1)의 사시도이다. 상기 상단의 종이컵 디스펜서(1)는 사용하기 전의 깨끗한 종이컵의 적층 공간을 제공하며, 뚜껑(100), 저장부(300), 적층된 종이컵을 지지하는 받침부(400), 종이컵을 꺼내는 인출부(500)를 포함하며, 종이컵은 투입구(200)를 통해 디스펜서(1)로 투입된다.
상기 저장부(300)는 원통형의 관으로서 내부가 잘 보이는 투명한 재질의 소재로 구성되어 종이컵 적층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저장부(300) 재질은 불투명한 소재로도 적용 가능하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도 적용 할 수 있다. 저장부(300) 내부의 지름은 사용되는 종이컵의 크기에 따라 7~10cm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뚜껑(100)은 종이컵 디스펜서(1) 상부에 구비되며, 저장부(300) 내부에 적층되어 있는 종이컵들이 오염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뚜껑(100)은 개폐가능하며, 투입구(200)와 끼움결합이 가능하다. 뚜껑(100) 소재는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지름은 저장부(300)보다 넓은 지름을 구성하여 투입구(200)와 용이하게 끼움결합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400)는 저장부(300) 내부의 적층된 컵을 지지한다. 받침부(400)의 지름은 저장부(300)의 지름보다 작게 구성하여 적층된 종이컵이 받침부(400)에 지지되어 걸쳐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부(500)는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종이컵이 걸리는 받침부를 포함한다. 이 인출부를 통해 받침부(400)에 지지되어 있는 종이컵을 하나씩 뽑아 쓸 수 있다.
도 3은 일체형 종이컵 보관장치의 하단의 종이컵 수거함(2)의 사시도이다. 상기 하단의 종이컵 수거함(2)은 원통형의 관으로 사용된 종이컵의 수거공간을 제공하며, 투입부(10), 고정부(20), 결합부(30), 지지대(40), 수거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수거부(50)는 원통형의 관으로서 내부가 잘 보이는 투명한 재질의 소재로 구성되어 종이컵 수거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수거부(50) 재질은 투명한 재질을 포함 불투명한 소재까지 적용 가능하다. 수거부(50) 내부의 지름은 상단의 디스펜서의 저장부(300)와 동일하다.
상기 투입부(10)는 사용된 컵을 수거함(2) 내부로 수거하기 위한 입구를 제공한다. 투입부 모양은 종이컵이 뒤집어 수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가 넓은 사다리꼴의 모양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20)는 지지대(40)에 꽂혀있는 상태로서 수거부(50) 내부에 위치한다. 고정부(20)는 종이컵들이 수거부(50)에 차례대로 쌓이게 하며, 수거된 종이컵들이 쓰러지지 않게 고정한다. 고정부는 막대 4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며, 지름은 종이컵 지름보다 넓은 지름을 구성하여 용이하게 종이컵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고정부 길이와 간격, 두께, 소재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부(50) 하단의 결합부(30)는, 지지대(40)의 홈과 끼움결합이 가능하다. 결합부(30)는 탈착식 형태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크류 등의 모양으로 수정가능하다. 결합부(30)의 지름은 고정부(20)의 지름보다는 넓고, 수거부(50)의 지름보다는 작은 지름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지지대(40)는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를 고정,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에는 "
Figure pat00001
"형상의 홈이 파여 있고, 이 홈은 결합부(30)와 결합된다.
상기 바닥부(60)는 지지대(40)와 결합되어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크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비어있는 원, 채워진 원 등의 모양으로 수정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4 : 디스펜서 5 : 수거함
10 : 투입부 20 : 고정부
30 : 결합부 40 : 지지대
50 : 수거부 60 : 바닥부
100 : 뚜껑 200 : 투입구
300 : 저장부 400 : 받침부
500 : 인출부

Claims (9)

  1. 상단의 종이컵 디스펜서(1)와 하단의 종이컵 수거함(2)이 일체형의 원통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보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의 종이컵 디스펜서(1) 하부에 종이컵이 인출되는 인출부(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보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500)는 종이컵 디스펜서(1) 하부의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보관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500)는 종이컵이 걸리는 받침부(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보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의 종이컵 디스펜서(1) 상부는 개폐가 가능한 뚜껑(1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보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의 종이컵 수거함(2) 상부에 종이컵이 수거되는 투입부(10)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보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0)는 수거함(2) 상부의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보관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의 종이컵 수거함(2) 내부는 투입된 종이컵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2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보관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 수거함(2) 하부에 장치를 지면에 설치하기 위한 바닥부(6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보관 장치.
KR1020170134279A 2017-10-12 2017-10-12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 KR20190041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279A KR20190041378A (ko) 2017-10-12 2017-10-12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279A KR20190041378A (ko) 2017-10-12 2017-10-12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378A true KR20190041378A (ko) 2019-04-22

Family

ID=66282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279A KR20190041378A (ko) 2017-10-12 2017-10-12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137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157Y1 (ko) 2004-02-16 2004-04-29 고광일 종이컵 수거함
KR200415467Y1 (ko) 2006-02-18 2006-05-03 윤교국 컵 수거장치
KR20130012092A (ko) 2011-05-20 2013-02-01 이현정 종이컵 수거함
KR101438192B1 (ko) 2013-12-03 2014-09-04 구재웅 종이컵 보관 및 인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157Y1 (ko) 2004-02-16 2004-04-29 고광일 종이컵 수거함
KR200415467Y1 (ko) 2006-02-18 2006-05-03 윤교국 컵 수거장치
KR20130012092A (ko) 2011-05-20 2013-02-01 이현정 종이컵 수거함
KR101438192B1 (ko) 2013-12-03 2014-09-04 구재웅 종이컵 보관 및 인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9124C (en) Receptacle configured for liner replacement without lid removal
US20100276428A1 (en) Trash dispenser having supply of trash bags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KR20160014069A (ko) 위생 용기 또는 그에 관련된 개량
US20150021332A1 (en) Pet Waste Station
KR102018024B1 (ko) 쓰레기통 받침대
KR20190041378A (ko) 일체형 종이컵 보관 장치
KR102015461B1 (ko) 쓰레기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통
KR20070045810A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US2015023966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novel waste basket
KR20190034441A (ko) 자동 분리수거 쓰레기통
JP4569890B2 (ja) コップ回収ボックス
KR20110003363U (ko) 원뿔형 종이컵 수거용구
US9890524B1 (en) Plunger device
GB2471914A (en) Chewing gum dispenser and disposal container
KR200488814Y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 형상의 용기를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 거치형 쓰레기통
KR200400098Y1 (ko) 음식물 쓰레기통
RU28018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штабелирования и хранения использованных стаканчиков, а также для сбора трубочек и крышек для стаканчиков и для сбора оставшейся жидкости из стаканчиков
KR20140103660A (ko) 휴지를 쉽게 교환 가능한 휴지걸이
KR200221798Y1 (ko) 종이컵 회수용기
KR200266323Y1 (ko) 종이컵 수거함
KR940007985Y1 (ko) 종이컵 수거함
KR100658372B1 (ko)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
KR101928429B1 (ko) 회전 숟가락 꽂이
KR20180023333A (ko) 비닐 거치를 도와주는 장치가 내장된 분리수거 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