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976A -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976A
KR20190040976A KR1020197006933A KR20197006933A KR20190040976A KR 20190040976 A KR20190040976 A KR 20190040976A KR 1020197006933 A KR1020197006933 A KR 1020197006933A KR 20197006933 A KR20197006933 A KR 20197006933A KR 20190040976 A KR20190040976 A KR 20190040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catcher
needle
membrane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401B1 (ko
Inventor
쉬-웨이 호
웨이-민 쳉
시아오-웨이 탕
아이-칭 우
에릭 와이. 후
포-후아 리
슐링 쳉
Original Assignee
메데온 바이오디자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234,807 external-priority patent/US10327761B2/en
Application filed by 메데온 바이오디자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데온 바이오디자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40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3Hand-held instruments for hold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17/06109Big needles, either gripped by hand or connectable to a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2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coded with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4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coded with symbols, e.g. tex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8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using electromagnetic means, e.g. transpo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63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sealing trocar wounds through abdominal w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42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located close to needle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수술 개방부를 폐쇄하기 위해 봉합사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세장형 전개 부재는 그 원위 단부에 후퇴된 대항력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대항력 부재는 수술 개방부 안으로 삽입되고, 개구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전개될 수 있다. 압축 부재는 봉합될 조직을 대항력 부재에 대해 압축하기 위해 세장형 부재 밑으로 활주할 수 있다. 봉합사 단부로 적재된 봉합사 패서는 세장형 부재 내의 바늘 튜브를 통과하여 세장형 부재로부터 나오고 봉합될 조직을 관통한 다음, 봉합사 단부를 봉합사 캐처로 배치할 수 있다. 봉합사 패서는 후퇴되어 봉합사 단부가 남을 수 있다. 봉합사 캐처는 후퇴되어 봉합사 단부를 유지하고, 장치 - 세장형 부재, 후퇴된 봉합사 캐처 및 유지된 봉합사 단부는 수술 개방부로부터 빠져 나갈 수 있다. 그런 다음 봉합이 완료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4 년 2 월 7 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1/937,089 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미국 특허 출원 제 14/615,786 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본 출원은 또한 및 2015 년 8 월 11 일자로 제출된 미국 가출원 제 62/203,670 호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고, 각각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참고 문헌으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환자의 신체에서 작은 절개부를 폐쇄하기 위한 기술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다양한 최소 침습 수술 절차, 예를 들어 담낭 절제술, 충수 절제술, 또는 비만 수술(bariatric surgery)에 뒤따라야 하는 복강경 포트 부위의 폐쇄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강경 수술은 최소 침습 수술의 일종이다. 전통적인 "개방" 수술의 대체이며 수술 후 통증을 최소화하고 입원 기간과 장애 기간을 줄이며 병원과 환자 모두의 비용을 줄이는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담낭 절제술, 충수 절제술, 비만 수술, 부인과 수술 및 비뇨기 수술과 같은 분야에서 매년 750 만 건 이상의 복강경 수술이 전세계에서 실시되고있다. 그러나, 복강경 수술에 대한 포트-부위 탈장의 발생률 때문에, 10 mm 이상인 근막 절개(fascial incisions)의 경우 포트-부위 폐쇄가 선호된다. 포트-부위 폐쇄는 탈장율을 효과적으로 줄여서, 수술 당 비용이 6,000 달러 내지 10,000 달러 사이이며 회복 기간이 3주인 탈장 수술의 필요성을 줄여 준다. 수행된 복강경 절차의 약 70 %는 10mm 이상의 포트-부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포트 부위를 봉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봉합사 전달 장치의 사용과 관련된 이점에도 불구하고, 많은 도전이 존재한다. 포트 부위 폐쇄 장치는 봉합 바늘을 삽입하는 동안 상처 트랙 또는 절개에서 수직으로 하향으로 회전, 기울이기 및 활주할 수 있다. 장치가 회전하면, 봉합사는 상처를 가로지르는 이상적인 180도 미만으로 전개될 것이다. 장치가 삽입 중에 수직으로 활주하는 경우, 근육/근막 층에 바늘을 삽입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복막을 사용하는 장치의 경우 원하는 근육/근막 층의 조직 물림이 감소한다. 즉, 이러한 장치가 하향 활주로 인하여 복막과 맞물리지 않는다면, 근육/근막 층으로의 바늘 진입 지점이 의도한 위치보다 낮아지고 조직 물림을 감소시킨다. 작동자로부터 요구되는 숙련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현 가능한 방식으로 바늘을 배치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및 다른 바람직한 특성을 제공하는 상처 봉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세장형 전개 부재를 포함한다. 세장형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를 향하여, 대항력 부재는 대항력 부재가 절개부로 진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후퇴 구성과 대항력 부재를 절개부로부터 추출하는 것에 저항하는 전개 구성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된다. 세장형 전개 부재의 근위 단부를 향해, 압축 부재는 절개부로의 진입에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압축 부재 및 대항력 부재는 압축 구성과 비압축 구성 사이에서 전이된다. 압축 구성에서, 조직은 장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압축 부재와 대항력 부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세장형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를 향해 배치된 봉합사 캐처는 봉합사 캐처가 절개부로 진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후퇴 구성과 봉합사를 포획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전개 구성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된다. 제 1 바늘 트랙은 세장형 전개 부재와 연계되고 전개 구성일 때 봉합사 캐처의 제 1 영역을 향하여 배향된다. 제 2 바늘 트랙은 또한 세장형 전개 부재와 연계되며 전개 구성일 때 봉합사 캐처의 제 2 영역을 향하여 배향된다. 전개 구성일 때의 봉합사 캐처의 제 1 영역과 전개 구성일 때의 봉합사 캐처의 제 2 영역은 절개부의 반대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봉합사 캐처에 위치된다. 제 1 및 제 2 바늘 트랙은 세장형 전개 부재를 통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봉합사 캐처는 V형 개구를 갖는 캐처 요소일 수 있다. 봉합사 캐처는 또한 바늘 출구 개방부를 갖는 스트럿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트럿은 캐처 요소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V형 개구는 구부러진 와이어 또는 상기 캐처 요소에 고정된 V형 개방부를 갖는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V형 개구는 장력하에 있을 때 봉합사 재료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협소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축 부재 및 대항력 부재는 비압축 구성으로부터 압축 구성으로 자동 전이될 수 있다. 압축 부재는 세장형 전개 부재를 따라 위치될 수 있고, 비압축 구성으로부터 압축 구성으로 자동 전이되도록 원위 방향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압축 부재는 스프링 또는 세장형 전개 부재를 따라 트랙과 결합하는 종동 기어에 의해 원위 방향을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바늘 트랙 및 제 2 바늘 트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액세스는 대항력 부재가 후퇴 구성에 있을 때 제한될 수 있다. 액세스는 게이트 제어 레버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대항력 부재는 제어 버튼에 작동식으로 결합되어, 제어 버튼이 전개 구성에 있는 대항력 부재와 연계된 위치에 있을 때, 제어 버튼은 제 1 바늘 트랙 및 제 2 바늘 트랙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게이트 제어 레버와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항력 부재는 제어 버튼에 작동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로킹 기구는 전개 구성에 있는 상기 대항력 부재와 연계된 위치에 상기 제어 버튼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킹 기구는 제어 버튼 내에 배치되어, 제어 버튼이 전개 구성에 있는 대항력 부재와 연계된 위치에 있을 때 결합될 수 있고, 제어 버튼이 눌려질 때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봉합사 캐처는 바늘 팁에 의한 관통에 저항하는 동안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된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봉합사 캐처는 봉합사 캐처 상의 근위 위치 및 원위 위치에 고정되고 바늘 팁에 의한 관통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전개 부재는 봉합사 전달 장치가 충분한 두께의 조직을 통해 삽입될 때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 시각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기는 제 1 바늘 트랙 및 제 2 바늘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출구에 인접한 근위 단부를 갖는 세장형 전개 부재의 컬러 영역일 수 있다.
추가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동일한 도면 부호는 일반적으로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부분 또는 요소를 지칭한다.
도 1a 및 도 1b는 봉합사 전달 장치 핸들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봉합사 패서(suture passer)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봉합사 패서가 삽입된 봉합사 전달 장치 핸들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봉합사 탈출 슬롯을 갖는 봉합사 전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접철식 바늘 트랙(telescoping needle track)을 갖는 봉합사 전달 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봉합사 캐처(suture catcher)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봉합사 전달 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g는 봉합사 전달 장치 핸들 및 봉합사 패서의 일 실시예의 사용 단계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봉합사 캐처의 일 실시예를 후퇴시키는 단계의 측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봉합사를 자동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봉합사 캐처의 일 실시예를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멤브레인을 스트럿에 부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멤브레인을 스트럿에 부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멤브레인을 스트럿에 부착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멤브레인을 스트럿에 부착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멤브레인을 스트럿에 부착하기 위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멤브레인 처짐을 관리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봉합사 전달 장치 핸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봉합사 전달 장치 핸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봉합사 캐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1a 내지 도 21e는 다용도 봉합사 캐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봉합사 패서 팁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3a 및 도 23b는 봉합사 전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4a 내지 도 24e는 봉합사 캐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5a 및 도 25b는 봉합사 캐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6은 봉합사 캐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7은 봉합사 캐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8은 V형 개구를 갖는 캐처 요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9는 V형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 오버레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V형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1은 스프링 구동 슬라이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2는 기어 구동 슬라이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3a 및 도 33b는 바늘 트랙의 액세스 제어를 갖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4a 및 도 34b는 캐처를 위한 로킹 기구를 구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5a 및 도 35b는 바늘 관통을 제한하는 차폐부를 구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6a 및 도 36b는 바늘 관통을 제한하는 재료의 스트립을 갖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7은 시각 표시기(visual indicator)를 갖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처음에, 본 개시는 특정 예시된 재료, 아키텍처, 루틴, 방법 또는 구조가 다양할 수 있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비록 본원에 기술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복수의 선택사항이 본 개시의 실시 또는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재료 및 방법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 설명될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 의도되며,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 설명에 걸쳐 사용된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예, 예시 또는 설명의 수단"을 의미하며, 반드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위한 특정 세부 사항들을 포함한다.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들 특정 세부 사항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장치들은 여기에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신규성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편의상 및 명확성의 목적으로, 상단, 하단, 좌측, 우측, 위로, 아래, 위, 위에, 밑에, 아래, 후방, 뒤 및 전방과 같은 방향성 용어가 첨부 도면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및 이와 유사한 방향의 용어는 임의의 방식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개시 내용과 관련된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용어 "봉합(suturing)"은 천공, 개구 또는 다른 상처를 봉합하기 위해가요성 재료와 함께 두 개의 표면 또는 에지를 드로잉하는 것을 포함하며, 봉합사는 합성물 또는 천연 중합체일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중합체, 내장, 금속 와이어 또는 다른 적절한 등가물일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부정관사("a", "an") 및 정관사("the")는 내용이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는 복강경 수술과 같은 외과 수술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개구에 삽입될 수 있는 봉합사 전달 장치를 기술한다. 봉합사 전달 장치는 주변 조직을 압축함으로써 개구와 관련하여 틸팅, 회전 또는 활주의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개구 내에서 장치를 안정화시킨다. 따라서, 안정화된, 봉합사 전달 장치는 미리 결정된 조직 영역 또는 층에 봉합사를 신뢰성있게 안내함으로써 조직 바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봉합사 전달 장치는 전달 장치의 몸체를 통과하여 포트-부위 조직을 관통하고 관통 후에 봉합사를 해제하는 하나 이상의 봉합사 패서를 배향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봉합사 전달 장치는 봉합사를 포획하고, 전달 장치를 후퇴시킬 때, 봉합사가 고정되고 개구가 폐쇄되도록 봉합사 단부가 개구를 통해 뒤로 당겨진다. 실시예는 사용하기 쉽고, 장기간의 피곤한 수술 과정의 마지막 단계일 수 있는 조직 폐쇄 장치에 중요하다.
봉합사 전달 장치[또는 "상처 봉합 장치"또는 "투관침 상처 봉합 장치"(TWC)]는 일반적으로 두개의 부분 즉, 핸들(100)(도 1a, 도 1b)과 봉합사 패서(도 2a 내지 도 2c)를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봉합사 전달 장치 핸들(100)의 실시예의 두 구성을 도시한다. 도 1a의 구성은 장치가 개구에 삽입될 때 사용된다. 도 1a에서, 핸들(100)은 비압축 구성이다. 도 1a는 샤프트(105), 캐처(110)[캐처 요소(112, 114)를 포함함], 슬라이더(115), 바늘 트랙(150, 155) 및 봉합사 출구 슬롯(160)을 갖는 핸들(100)를 도시한다. 샤프트(105)는 릿지형 트랙(120)이 설비된 세장형 전개 부재이다. 슬라이더(115)는 샤프트(105)를 따라 원위 단부(135)를 향해 이동되고 트랙(120)과 결합하여 제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압축 부재이다. 트랙(120)과 함께 도시되지 않은 회전 방지 범프는 슬라이더(115)가 바늘 트랙(150, 155)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도 1b). 슬라이더 버튼(125)은 트랙(120)을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폐쇄 상태로 도시된 캐처(110)는 전개될 때 대항력 부재이며, 봉합사를 감싸서 파지할 수 있는 치형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눌린 상태로 도시된 제어 버튼(130)은 스트럿(165, 170)을 이동시킴으로써 캐처(110)를 개방(또는 전개) 또는 폐쇄하는 제어 로드(145)(도 1b)를 이동시킨다. 캐처(1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원위 단부(135), 캐처(110) 및 샤프트(105)는 캐처(110)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될 수 있는 개방부를 통과할 때까지 수술 개방부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b에서, 핸들(100)은 압축 구성에서 제어 버튼(130)이 해제되고, 제어 로드(145)가 보이고, 캐처(110)가 전개되고 및 슬라이더(115)가 원위로 이동한다. 캐처(110)를 전개하기 위해, 제어 버튼(130)은 해제되어서 제어 로드(145)를 근위 방향으로[즉, 제어 버튼(130)을 향해 또는 이 도면에서는 "위로"] 이동시켜 스트럿(165, 170)이 캐처(110)를 전개하게 한다. 슬라이더(115)를 근위로 또는 원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슬라이더 버튼(125)은 슬라이더(115)를 트랙(120)으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사용되고 그 다음 슬라이더(115)가 이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슬라이더(115)는 트랙(120)으로부터 슬라이더(115)를 분리시키고 슬라이더(115)를 근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슬라이더 버튼(125)에 의해서 샤프트(105)를 따라 원위 방향으로 래칫할 수 있다(도 7 참조). 또다른 실시예에서, 슬라이더(115)는 스프링 또는 종동 기어(도 31 및 도 32 참조)에 의해 트랙(120)을 따라 원위로 편향될 수 있다.
도 1b의 구성은 슬라이더(115)와 캐처(110) 사이의 조직을 압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벽의 근막, 근육 및 복막 층은 캐처(110)에 가장 가까운 복막과 함께 슬라이더(115)와 캐처(110)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전개 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캐처(110)는 복벽의 개구를 통해 당겨지는 것에 저항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캐처(110)는 대항력 부재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항력은 봉합사 포획 능력이 부족한 요소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실시예에서, 봉합사 포획 능력은 대항 능력이 부족한 요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처(110)와 같은 대항력 부재는 적절한 로킹 기구(도 34a 및 도 34b 참조)에 의해 개방된 전개 구성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슬라이더(115)와 캐처(110) 사이에서 조직이 압축된 상태에서, 핸들(100)은 압축된 조직에 대해 안정되어 회전, 활주 또는 틸팅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핸들(100)이 안정화된 상태에서, 바늘 트랙(150, 155)은 또한 봉합될 조직인 주위 조직에 대해 안정화된다. 이것은 봉합사를 최적으로 배치하고 재생 방식으로 봉합사를 전개하고, 양자 모두 적절한 조직 바이트를 보장하고 작동자로부터 요구되는 기술의 양을 최소화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봉합사 패서(2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봉합사 패서(200)는 봉합사 단부를 파지하고 봉합사가 바늘 트랙[예: 바늘 트랙(150)]을 통과하여 봉합사를 위치시켜서 캐처(110)에 의해서 포획될 수 있다. 봉합사 패서(200)는 원위 단부의 후크(205), 바늘 튜브(210), 샤프트(215), 트리거(220) 및 바늘 버튼(225)을 포함한다. 후크(205)는 샤프트(215)의 원위 단부에 있다. 바늘 튜브(210)는 원위 단부의 첨부를 가지며 후크(205)를 커버하거나 또는 커버하지 않도록 샤프트(215)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다. 후크(205)는 봉합사(230)를 수용하고(도 2b 참조), 바늘 튜브(210)에 의해 커버될 때 봉합사(23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도 2c 참조). 후크(205)는 무딘 팁을 가질 수 있으며, 봉합사(230)를 적재하는 동안 첨부는 필요하지 않다. 후크(205)는 후크(205)가 커버되지 않은 경우 봉합사가 활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로(235)를 가질 수 있다. 도 2a에서, 바늘 버튼(225)은 연장된 (눌려지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고 후크(205)는 커버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바늘 버튼(225)은 눌려질 때 봉합사를 유지하기 위해 후크(205) 위로 바늘 튜브(210)를 연장시킬 수 있다. 트리거(220)는 눌려질 때 봉합사를 해제하기 위해 결과적으로 바늘 튜브가 후크(205)를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바늘 튜브(210), 샤프트(215), 후크(205) 및 트리거(220)는 바늘 트랙(150, 155) 내에 끼워지고 전개된 캐처(110)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서 봉합사를 전달 및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도 2b 및 도 2c는 일반적으로 봉합사 패서(200)의 로킹을 도시한다. 봉합사 패서(200)는 바늘 버튼(225) 및 트리거(220)에 의해 제어되는 2 개의 상태를 갖는다. 초기의 "오프" 상태에서, 샤프트(215)와 후크(205)는 바늘 튜브(210)로부터 돌출한다. 이 구성에서 봉합사(230)를 수용하기 위해 후크(205)가 사용된다. 즉, 봉합사(230)는 후크(205)에 의해 파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온" 상태로 전이하기 위해, 사용자는 바늘 버튼(225)을 누르고, 이는 봉합사(230) 및 후크(205)를 커버하도록 바늘 튜브(210)가 연장되게 한다. 따라서, 샤프트(215), 후크(205), 및 바늘 튜브(210)는 협력하여 봉합사(230)를 유지 또는 파지한다. "오프"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트리거(220)는 근위 방향으로 눌러서 작동될 수 있다. 트리거(220)를 누르면, 그에 의해서 봉합사(230)를 해제할 수 있다.
도 3은 봉합사 전달 장치(300)를 도시한다. 도 3에서, 봉합사 패서(200)는 핸들(100)의 바늘 트랙(150)에 삽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늘 트랙(150, 155)에 대한 액세스는 캐처(110)가 개방 구성으로 완전히 전개되지 않은 경우(도 33a 및 도 33b 참조) 봉합사 패서(200)의 도입을 방지하도록 제어 버튼(130)의 위치설정에 기초하여 예측될 수 있다. 핸들(100)은 캐처(100)가 전개되고 슬라이더(115)가 원위 방향으로 이동된 압축 구성에 있다. 바늘 버튼(225)은 후크(205)(미도시)를 덮는 바늘 튜브(210)로 눌려져 도시되어 있다. 바늘 튜브(210)의 원위 팁은 멤브레인(302) 근처에 있다. 멤브레인(302)은 캐처 요소(114 및 314) 사이에서 연장된다. 멤브레인(305)은 캐처 요소(112 및 312)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트랙(150)은 전개된 캐처(110)의 캐처 요소(114 및 314) 사이의 영역을 가리키는 방향으로 봉합사 패서(200)를 배향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캐처(110)에는 그 영역에 멤브레인(302)이 마련되어 있다. 멤브레인(302)은 캐처(110)가 봉합사를 포획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된다. 봉합사 패서(200)가 바늘 트랙(150) 내로 추가 삽입되면, 바늘 튜브(210)의 예리한 첨부는 멤브레인(302)을 관통하여 봉합사(미도시)를 운반한다. 추가 삽입은 트리거(220)가 바늘 트랙(150)의 개방부에 접촉하게 할 것이다. 또다른 삽입은 트리거(220)가 작동하게 하고 바늘 튜브(210)가 후퇴하여 후크(205)를 노출시키고 봉합사(230)(미도시)를 해제하게 한다. 이 지점에서, 봉합사 패서(200)는 바늘 트랙(150)으로부터 후퇴시킬 수 있다. 바늘 트랙(150)으로부터 봉합사 패서(200)를 후퇴시키는 것은 또한 멤브레인(302)으로부터 그것을 회수할 것이다. 그러나, 후크(205)로부터 해제된 봉합사(230)가 멤브레인(302) 내에 유지된다. 그 다음에 캐처(110)가 후퇴되면, 멤브레인(302)도 후퇴되어, 봉합사(230)가 캐처 요소(114, 314)에 의해 파지되게 한다. 이것은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더 설명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도면부호 112, 114, 312 및/또는 314와 같은 캐처 요소는 바늘 트랙(150, 155) 및 봉합사 패서(200)를 수용하고 아래의 도면과 관련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봉합사(23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형상부 개구와 정렬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자동 봉합사 해제를 제공하는 핸들(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단일 봉합사(415)의 2 개의 단부가 수술 개방부로 전달되어 봉합사 전달 장치의 원위 단부에 유지될 때, 근위 단부 부근의 봉합사(415)의 부분은 루프를 형성한다. 장치 후퇴 중에 루프가 장치와 연계될 수 있다. 기존의 폐쇄 장치는 작동자가 장치로부터 봉합사(415)를 수동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도 4a 내지 도 4c의 실시예는 봉합사(415)의 자동 해제를 용이하게 하는 내부 봉합사 탈출 슬롯(400)을 사용한다. 봉합사 탈출 슬롯(400)은 그 길이를 통해서 바늘 트랙(150, 155)을 연결하여, 봉합사(415)가 핸들(100)을 통과하고 봉합사 출구 슬롯(160) 밖으로 나오게 하는 슬롯을 제공한다. 도 4a에서, 봉합사 패서(200)는 바늘 트랙(155)에 삽입되고 샤프트(105)로부터 연장되어 바늘 튜브(210)를 노출시킨다. 바늘 튜브(210)는 관통 멤브레인(305) 후에 도시된다. 봉합사(415)의 봉합 팁(410)은 멤브레인(305)을 통과하고 봉합사 패서(200)의 팁에 의해 운반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제어 버튼(130)은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바늘 튜브(210)는 후크(205)를 커버하지 않고 봉합사 패서(200)로부터 봉합사 단부(410)가 해제된다(바늘 팁은 멤브레인(305)에 의해 도 4a에서 불투명하다). 바늘 트랙(150)은 봉합사 단부(405)가 멤브레인(302)을 통과하고, 해제되고, 봉합사 패서(200)가 회수된 후의 봉합사(415)를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의 봉합사 단부(405, 410)는 멤브레인(302, 305)에 의해 유지된다. 봉합사 단부(405)로부터, 봉합사(415)는 바늘 트랙(150)을 통과하여 바늘 트랙(150)로부터 나오고, 핸들(100) 위를 루프하며, 봉합사 패서(200)와 함께 동반되고, 바늘 트랙(155)으로 진입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슬라이더(115)는 내부 봉합사 탈출 경로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았다.
도 4b에서, 봉합사 패서(200)는 바늘 트랙(155)으로부터 회수되고 캐처(110)는 후퇴되어 봉합사 단부(405, 410)를 파지한다. 핸들(100)은 이 구성에서 수술 개방부로부터 회수되어, 핸들에 의해서 봉합사 단부(405)를 당긴다. 봉합사(415)는 바늘 트랙 출구(152)와 캐처(110) 사이에 루프를 만든다. 봉합사(415)는 또한 바늘 트랙 출구(157)와 캐처(110) 사이에 루프를 만든다. 이들 루프는 봉합될 조직을 통과한 봉합사(415)의 일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핸들(100)이 수술 개방부로부터 제거되어 봉합사 단부(410, 415)를 당기면, 조직을 통해 루프된 봉합사(415)의 섹션은 봉합사 탈출 슬롯(400)을 통해 봉합사(415)의 잔여물을 당길 것이다. 도 4c에서, 봉합사(415)는 봉합사 탈출 슬롯(400)을 통해 그리고 봉합사 출구 슬롯(160)을 완전히 통과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봉합사 전달 장치(300)의 핸들(100)의 실시예는 바늘 트랙 요소, 예컨대 바늘 트랙(150, 155) 및 봉합사 유지 요소, 예를 들어 캐처(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늘 트랙 요소는 핸들(100)의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자동 봉합사 해제 기구, 예컨대 봉합사 탈출 슬롯(400)을 포함할 수 있다. 봉합사 유지 요소는 핸들(100)의 원위 단부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봉합사 전달 장치는 또한 예를 들어, 슬라이더(115)와 같은 압축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바늘 트랙 요소는 근위 단부 부근에서 시작하여 원위 단부 부근에서 나오는 핸들[예: 핸들(100)]을 통해 삽입된 바늘[예: 봉합사 패서(200)]에 한정된 궤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 개방부에 삽입된 핸들로, 바늘은 피부 위의 바늘 트랙 요소[예: 바늘 트랙(150, 155)]의 근위 단부로 들어가고, 장치 내의 바늘 트랙을 통해 이동하고, 원위 단부에서 나와서 핸들과 관련하여 정의된 위치 및 각도에서 조직 층(예: 근막, 근육 및 복막)을 관통한다. 바늘 궤도는 입구와 출구 사이의 핸들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바늘 트랙 요소는 자동 봉합사 해제 기구(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됨)와 결합되어, 봉합사 루프(또는 봉합사 단부를 제외한 봉합사의 주요 섹션)가 장치의 원위 단부에 유지되지 않고, 핸들이 수술 개방부로부터 회수될 때 바늘 트랙으로부터 사용자 개입없이 활주할 수 있다.
봉합사 유지 요소[예: 캐처(110)]는 프레임[예: 캐처 요소(112, 114, 312, 314)] 및 봉합사 포획면(들)[예: 멤브레인(302, 305)]을 포함하거나 또는 프레임만을 포함할 수 있다. 봉합사 유지 요소는 봉합사[예: 치형체(140)] 및/또는 도 28 내지 도 30과 관련하여 하기에 기술된 개구에 대한 파지를 향상시키는 형상부를 구비할 수 있다. 봉합사 유지 요소 프레임은 복수의 스트럿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형상(예: 편평한, 랜턴, 몰리, 우산 등)을 가질 수 있다. 봉합사 유지 요소 프레임은 목표 영역을 한정할 수 있으며, 압축 요소의 압축력에 대항력을 제공하여 중간에 조직을 사이에 끼울 수 있다. 이 대항력은 예를 들어 복막에 대항할 수 있다. 봉합사 유지 요소는 또한 바늘 삽입 동안 선택적인 봉합사 포획면에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봉합사 유지 요소는 낮은 프로파일 또는 후퇴 상태의 조직 개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복강 내에 있을 수 있는 의도된 위치로 조직층을 통과 한 후에 그 팽창 상태로 전개될 수 있다. 봉합사 포획면은 프레임의 스트럿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장치 삽입 동안뿐만 아니라 장치 회수 동안 접힘 구성일 수 있다.
봉합사를 운반하는 바늘[예: 봉합사 패서(200)]은 바늘 트랙 요소[예: 바늘 트랙(150)]에 도입되고, 조직 층을 통해(예: 복막을 지나서) 관통하도록 안내될 수 있으며, 캐처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예: 캐처 요소(112, 312) 사이에 위치되거나 또는 멤브레인(305)에 삽입될 수 있다]. 바늘의 원위 팁의 디자인은 봉합사가 바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예: 후크(205)는 본래의 "후크"라기보다는 봉합사(230)가 활주하도록 하는 경사로(235)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늘이 의도된 위치에 삽입될 때 봉합사를 그 팁으로부터 해제하도록 촉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바늘 팁 디자인[예: 경사로(235)]은 봉합사가 바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포획면[예: 멤브레인(302, 305)]을 갖는 실시예에서, 표면 자체는 바늘로부터 봉합사(230)를 분리시키는 것을 보조하는 표면에 의한 봉합사(230)의 포획 및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특성 또는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장치(예: 캐처)의 원위 단부에서 포획된 봉합사 단부를 유지하면서 수술 개방부(예: 투관침 상처)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멤브레인(302, 305)은 본질적으로 조직 층을 통한 캐처(110)의 삽입 및 회수 중에 캐처(110) 프레임에 의해 봉입된다. 실시예에서, 봉합사 단부는 멤브레인(302, 305)에 포획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쇄 캐처(110) 프레임의 스트럿들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봉합사 유지 요소가 프레임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봉합사 단부는 장치 회수 중에 폐쇄 프레임의 스트럿들 사이의 기계적 클램핑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봉합사 전달 장치는 또한 다양한 해부학 구조에 적합하도록 장치 샤프트를 따라 이동 가능한 압축 요소, 예를 들어 슬라이더(115)를 가질 수 있다. 압축 요소는 대항력 부재[예: 캐처(110)]에 대해 조직을 개재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직은 복벽의 층일 수 있고, 상기 대항력 부재는 복막에 대해 복강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 요소는 피부의 표면을 향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 요소는 다양한 해부학 구조에 적응하면서 조직을 안정화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 요소는 대항력 부재 전개 기구에 연결되어, 압축 요소의 이동에 의해 대항력 부재가 전개 및 후퇴하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접철식 바늘 트랙(153, 158)을 갖는 핸들(100)의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5a에서, 핸들(100)은 슬라이더(115)가 캐처(110)로부터 멀리 근위로 연장된 비압축 구성이다. 단순화를 위해, 접철식 바늘 트랙(153, 158)이 유사하기 때문에, 접철식 바늘 트랙(153)만이 설명될 것이다. 접철식 바늘 트랙(153)은 튜브(505) 내에 튜브(510)를 접철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튜브들(505,510)을 포함한다. 실시예(미도시)에서, 튜브(505)는 튜브(510) 내에서 이동하여, 봉합사 패서가 삽입될 때 튜브(510)의 단부를 타격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미도시). 도 5a 및 도 5b에서, 튜브(505)는 비접철식 단부에서 슬라이더(115)에 고정된다. 튜브(510)는 비접철식 단부에서 샤프트(105)에 고정된다. 고정 부착은 튜브와 고정점 사이에서 각도 운동을 허용한다. 도 5b에서, 핸들(100)은 슬라이더(115)가 캐처(110)를 향해 원위로 이동된 압축 구성이다. 이 운동으로, 접철식 바늘 트랙(153, 158)은 길이가 짧아지고 핸들(100)을 나오는 각도를 변화시킨다. 아직, 접철식 바늘 트랙(153, 158)은 봉합사 패서(200)를 캐처(110)를 향하여 지향시키도록 배향된다. 비압축 구성으로부터 압축 구성으로의 슬라이더(115)의 이동에서, 접철식 바늘 트랙(153)은 상한치(520), 하한치(525) 및 바늘 트랙 출구(152)에 의해 경계형성된 샤프트(105) 내의 용적을 소거한다. 이 실시예에서, 핸들(100), 샤프트(105) 및 슬라이더(115)는 접철식 바늘 트랙(153, 158)의 이러한 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를 사용하는 방법에서, 핸들(100)은 초기에 비압축 및 후퇴 구성에 있다. 제 1 단계에서, 핸들(100)은 투관침 상처에 삽입된다. 핸들(100)의 적절한 위치 설정은 도 37과 관련하여 밑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각 표시기의 사용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제어 버튼(130)은 캐처(110)를 개방하기 위해 가압된다. 다음 단계에서, 핸들(100)은 캐처(110)가 복막과 접촉할 때까지 조직을 향해 당겨진다. 다음 단계에서, 슬라이더(115)는 복벽을 캐처(110)에 대해 개재하도록 하향으로 눌려진다. 핸들(100)은 봉합될 조직 내에서 안정화된다. 다음 단계에서, 봉합사(230)의 일 단부가 후크(205) 상에 적재되고 바늘 버튼(225)이 가압된다. 다음 단계에서, 봉합사 패서(200)는 바늘 트랙(150) 내로 삽입되고 트리거(220)가 활성화되어 봉합사(230)를 해제한다. 다음 단계에서, 봉합사 패서(200)가 핸들(100)로부터 회수된다. 다음 단계에서, 봉합사(230)의 제 2 단부(또는 상이한 봉합사의 단부)는 후크(205) 상에 적재되고, 이전의 두 봉합사 패싱 단계는 다른 바늘 트랙(155)에서 반복된다. 핸들(100)은 다음 단계들에 따라 봉합사 단부와 함께 회수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제어 버튼(130)은 캐처(110)[봉합사 단부는 도 28에 도시된 임의의 멤브레인(302, 305) 또는 개구(3004)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로 봉합사 단부를 포획하도록 가압된다. 다음 단계에서, 핸들(100)은 수술 개방부로부터 회수되어 봉합사 단부를 가져온다. 봉합사 단부는 그 다음 핸들(100)로부터 제거되고 매듭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후퇴된, 부분적으로 전개된, 및 완전히 전개된 구성의 봉합사 캐처(1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에서, 봉합사 캐처(110)는 힌지 조인트(705, 710, 715), 스트럿(165, 170) 및 캐처 요소(112, 114)를 갖는다. 조인트(705, 710, 715)는 기계적 또는 리빙 힌지 또는 조합일 수 있다. 도 6b에서, 캐처(110)는 제어 로드(145)를 사용하여 캐처 요소(112, 114)를 향해 스트럿(165, 170)을 가압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전개된 상태로 팽창되어 있다. 캐처 요소(312, 314)는 유사하게 전개되어 있다. 도 6c에서, 캐처(110)는 제어 로드(145)를 사용하여 완전히 전개되어 있다. 도 6c는 또한 캐처 요소(112, 114)에 부착된 선택형 요소(302, 305)를 도시한다. 제어 버튼(130)(도 1 및 도 3)은 제어 로드(145)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 로드(145)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핸들(100)의 일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더(115)는 래칫(805) 및 랙(810)을 사용하여 근위 방향이 아닌 원위 방향을 향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15)는 비압축 구성이 아닌 압축 구성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더 버튼(125)을 누름으로써 래칫(805)이 해제되어 슬라이더(115)가 근위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랙(810)은 슬라이더가 압축 방향으로 너무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한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찰 패드(미도시)가 슬라이더(115)와 샤프트(105) 사이에서 사용된다. 마찰 패드의 형상은 두 방향으로 가압 마찰력을 조절하도록 설계된다.
도 8a 내지 도 8g는 봉합사를 전개하는 다양한 스테이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a는 바늘 트랙(150) 내로 삽입된 적재된 봉합사 패서(200)의 사시도이다. 도 8a에서, 캐처(110)는 전개 구성이다. 봉합사 단부(405)를 파지하는 바늘 튜브(210)는 바늘 트랙(150)을 나왔지만, 아직 멤브레인(302)을 관통하지 않았다. 도 8b에서, 봉합사 패서(200)는 바늘 트랙(150)에 더욱 삽입되어, 바늘 튜브(210)가 멤브레인(302)(미도시)을 관통하여 멤브레인(302)을 통해 봉합사 단부(405)를 또한 취한다. 도 8b에서, 바늘 튜브(210)는 3개의 조직 층(902, 904, 906)을 관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결국 봉합사(230)의 바이트는 이들 층을 포함할 것이다. 도 8c에서, 봉합사 패서(200)는 바늘 트랙(150) 안으로 더욱 삽입되어서, 트리거(220)가 눌려지게 하며, 이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바늘 튜브(210)를 "오프"로 재설정하고 봉합사(230)를 봉합사 패서(200)로부터 해제한다. 도 8d는 도 8c로부터 장치의 폐쇄를 도시한다. 도 8d에서, 바늘 튜브(210) 및 봉합사 단부(405)는 멤브레인(302)을 관통하였다. 봉합사 단부(405)는 후크(205) 및 바늘 튜브(210)가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도 8e에서, 봉합사 패서(200)는 바늘 트랙(150)으로부터 회수되었다. 봉합 단부(405)는 멤브레인(302)의 유지 스퀴즈 특성에 의해 유지되었다. 도 8f는 봉합사 단부(410), 바늘 트랙(155) 및 멤브레인(305)(미도시)으로 반복된 공정을 도시한다. 도 8f는 또한 각각 조직층(902, 904, 906)을 통과하는 봉합사 단부(405, 410)를 갖는 봉합사의 바이트를 도시한다. 도 8g는 봉합사 패서(200)가 봉합사 단부(405, 410)를 멤브레인(302, 305) 안으로 전개하고 후퇴된 이후의 핸들(100)을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봉합사 단부를 포획하는 상이한 스테이지들의 핸들(100)을 도시한다. 봉합사 단부(405, 410)가 (도 8g에서와 같이) 멤브레인(302, 305) 상에 전개된 후에, 제어 버튼(130)이 가압되어, 제어 로드(145)를 원위으로 이동시켜 캐처(110)를 폐쇄한다. 도 9a는 봉합사 단부들을 포획하는 공정을 통한 대략 중간 경로의 핸들(100)을 도시한다. 제어 버튼(130)이 눌러짐에 따라, 멤브레인(302, 305)은 캐처 요소(114, 314)(도 3)와 (112, 312)(도 3) 사이에서 각각 접혀져, 이들과 함께 봉합사 단부(405, 410)를 가져온다. 도 9b는 후퇴 구성의 캐처(110)를 도시한다. 제어 버튼(130)은 완전히 눌려져 있다. 이 구성에서, 캐처(110)는 아직 압축 위치에 있는, 슬라이더(115)의 압축력에 대항하는 힘을 더 이상 제공하지 않는다. 즉, 캐처(110)는 더 이상 조직 층(902, 904, 906)에 평평한 표면을 제공하지 않으며 쉽게 회수될 수 있다. 완전 후퇴 위치에서, 요소들(114, 314 및 112, 312)은 각각의 봉합사 단부들(405, 410)을 체결한다. 캐처 요소(112, 312 및 114, 314) 사이에 있을 수 있는 임의의 치형체(140)(도 6c 및 도 8d 참조)는 봉합사 단부(405, 410) 상에서 유지되는 것을 개선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캐처(110)가 완전히 후퇴된 후에 봉합사를 자동으로 해제하는 핸들(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a에서, 봉합사(230)는 핸들(100) 상의 캐처(110)에 의해 포획된 봉합사 단부(405, 410)를 갖는 예를 들어 복벽의 층(902, 904, 906) 상에 전개되었다. 핸들(100)은 수술 개방부(100)로부터 당겨져서, 핸들과 함께 봉합사 단부(405, 410)를 운반하고 더 많은 봉합사(230)를 수술 개방부(1100) 내로 및 조직 층(902, 904, 906)을 통해 당긴다. 이로 인해 봉합사(230)의 루프가 봉합사 탈출 슬롯(400)에 진입하게 된다(도 4a 내지 도 4c 참조). 도 10b에서, 핸들(110)을 계속 잡아 당기면, 남은 봉합사(230)가 봉합사 탈출 슬롯(400)과 봉합사 출구 슬롯(160)을 통과하게 된다.
상처를 봉합하는 실시예를 사용하는 방법은 비압축 및 후퇴 구성의 봉합사 전달 장치 핸들과 핸들로부터 분리된 봉합사 패서로 시작한다. 단계 1에서 한 손으로 상처에서 투관침을 제거한다. 단계 2에서, 다른 손은 캐처가 복강경 이미지에서 완전히 보일 때까지 투관침 상처에 핸들을 삽입한다. 단계 3에서, 한 손가락으로 복강경 이미지를 사용하여 시각적 안내하에 캐처를 개방하기 위해 제어 버튼을 누른다. 단계 4에서 한 손으로 핸들을 잡고 다른 손은 봉합할 조직이 슬라이더와 캐처 사이에 단단히 개재될 때까지 슬라이더를 환자를 향해 밀어낸다. 복강경 이미지는 캐처가 복막 벽과 접촉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계 5에서, 한 손은 봉합사 패서 몸체를 유지하고, 다른 손은 봉합사 패서의 후크 내로 봉합사의 한 단부를 넣는다. 그런 다음 손가락이 봉합사 패서를 적재하기 위해 바늘 버튼을 누른다. 단계 6에서, 한 손은 핸들을 잡고 다른 손은 트리거가 작동될 때까지 바늘 트랙을 통해 봉합사 패서를 삽입하여 복강경 이미지의 시각적 안내하에 다시 캐처 상에 봉합사를 해제(또는 전개)한다. 단계 7에서 봉합사의 다른 단부와 다른 바늘 트랙으로 단계 5와 단계 6을 반복한다. 단계 8에서, 시각적 안내하에 봉합사를 포획하기 위해 한 손가락으로 제어 버튼을 누른다. 단계 9에서, 한 손으로 상처로부터 핸들을 당기고 상처로부터 2 개의 봉합사 단부를 회수한다.
도 11은 개방 및 폐쇄된 봉합사 캐처 구조의 일부로서 평면도 및 단면도에서 봉합사 캐처 구조로부터의 스트럿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봉합사 캐처(1005)는 다수의 스트럿(1110)을 수용할 수 있다. 각각의 스트럿(1110)은 근위 조인트(1117)(상부 힌지)에 대한 근위 연결부(1115), 상부 스트럿(1120), 중간 힌지(1125), 하부 스트럿(1130), 원위(또는 하부) 힌지(1135), 및 원위 힌지(1135)에 대한 원위 연결부(1140)를 가질 수 있다. 힌지는 리빙 힌지, 기계적 힌지 또는 금속 와이어/판 스프링 힌지일 수 있다. 스트럿은 금속(즉, 스테인레스 스틸), 플라스틱(즉,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나일론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중 스트럿은 근위 조인트와 원위 조인트에서 연결되어 캐처를 형성할 수 있다. 제어 로드(1145)는 캐처의 원위 연결부(1140)에 연결되고 봉합사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로드(1145)의 운동은 원위 연결부(1140)의 상하 운동을 구동하여, 봉합사 캐처의 개방(원위 조인트의 위로 또는 "전개") 또는 폐쇄(원위 조인트의 아래 또는 "후퇴")를 유도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캐처 전개 기구는 근위 연결부(1115)를 제어함으로써 구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개 구성일 때, 캐처(1105)가 조직 압축력에 대한 대항력 부재로서 작용한다.
하부 및 상부 스트럿의 길이는 캐처(1105)의 목표 영역의 원하는 크기에 기초하여 또는 상부 및 하부 스트럿 사이에 형성된 원하는 각도 또는 둘 모두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스트럿의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일 수 있다. 사다리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보다 유리하다는 것은 사다리꼴 형상이 추가의 멤브레인 팩킹 공간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스트럿의 외면(후퇴 구성에서 볼 수 있는 표면)은 평평하고 곡선형 에지를 갖는 평면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다. 곡선형 표면을 가진 디자인은 예리한 에지가 더 적기 때문에 보다 외상이 없는 외부 프로파일을 가진 봉합사 전달 장치를 만들 수 있다. 즉, 다양한 실시예에서, (돌출된 및 정합 형상부를 포함하는) 스트럿 구성요소는 평탄할 수 있거나 또는 보다 둥근 외부 프로파일을 생성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도 13c 참조).
도 12a 및 도 12b는 스트럿(1205)에 멤브레인(1200)을 부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멤브레인(1200)은 폴리우레탄, PVC, 폴리프로필렌 또는 천공되거나 너무 크게 접히는 것에 저항하지 않는 기타 유연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장치를 회수하는 동안 스트럿들 사이에 봉합사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캐처는 인접한 스트럿들(또는 치형체와 같은 봉합사를 고정하기 위한 형상부)이 설계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폐쇄되어야 한다. 캐처의 적절한 폐쇄는 멤브레인이 캐처 프레임 폐쇄를 방해하지 않는 프로파일로 접고 팩킹되는 경우 훨씬 더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캐처 멤브레인은 자연스럽게 특정 방향이나 구성으로 접히지 않거나 또는 팩킹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이 팩킹될 수 있는 공간은 스트럿들이 후퇴될 때 스트럿들로 둘러싸인 공간이며 상기 공간은 제한된다. 더욱이, 다양한 두께 및 강성을 갖는 멤브레인은 상이한 접힘 거동을 갖는다. 스트럿에 대한 멤브레인 부착 위치는 접힘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캐처의 스트럿 또는 프레임은 원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제어 로드(1245)를 향해 방사상 내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멤브레인을 안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도 12b).
멤브레인은 다양한 방법(예: 접착제, 기계적 부착 등)에 의해 프레임 스트럿에 결합될 수 있다. 멤브레인 부착 위치는 스트럿의 에지까지 완전히 연장되거나 스트럿의 측면 에지로부터 오목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캐처가 폐쇄될 때 스트럿에 의한 멤브레인의 완전한 봉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멤브레인(1200)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에지로부터 오목한 위치(1210)에 부착될 수 있다. 멤브레인(1200)은 전형적으로 최소 곡률 및 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스트럿(1205)의 에지로부터 오목한 멤브레인(1200)의 부착은 폴드(1215)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1200)이 스트럿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서 접힐 수 있게 한다. 이는 멤브레인(1200)이 스트럿들(1205) 사이에 클러스터되는 것을 방지하고 봉합사를 함께 체결하고 고정하는 능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보조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멤브레인을 스트럿에 부착하기 위한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a에서, 스트럿(1300)은 외부(또는 상부) 스트럿 구성요소(1305) 및 멤브레인(1315)을 개재하도록 결합하는 내부(또는 하부) 스트럿 구성요소(1310)를 포함하는 2 부재 구조를 갖는다. 외부 스트럿 구성요소는 내부 스트럿 구성요소보다 넓을 수 있고 멤브레인 부착 에지(1320)는 외부 구성요소(1305)의 에지로부터 오목할 수 있다. 외부 및 내부 스트럿 구성요소 폭들 사이의 차이는 멤브레인을 개재함으로써 멤브레인 부착 지지를 제공하고 멤브레인 부착 에지(1320)가 스트럿(1305)의 에지로부터 오목하게 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멤브레인 접힘을 용이하게 한다. 도 13b에서, 멤브레인 안내 형상부(1325)는 멤브레인을 내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스트럿(1305)과 멤브레인(1315)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안내 형상부(1325)는 스트럿(1305) 또는 멤브레인(1315)의 일부이거나 또는 별도의 추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안내 형상부(1325)는 예를 들어 금속 로드일 수 있다. 안내 형상부(1325)는 스트럿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멤브레인(1315)의 접힘을 증가시키거나 개시한다. 따라서, 스트럿(1305)과 더 평행한 경로를 취하는 대신에, 멤브레인(1315)은 의도된 멤브레인 접힘을 달성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즉시 내향으로 구부러진다. 의도한대로 상이한 멤브레인 벤딩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돌출 형상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3c에서, 외부 스트럿 구성요소(1330)는 캐처가 폐쇄될 때 외부 스트럿 에지로부터 내향으로 멀어지게 멤브레인(1315)의 접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돕도록 내향으로 약간 만곡되는 에지를 가질 수 있다. 도 13d는 폐쇄 구성에서 2 부재 스트럿 디자인을 갖는 캐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폐쇄 캐처(1340)는 또한 외부 스트럿 구성요소(1345) 사이의 접촉면을 증가시키는 각진 에지(1350)를 갖는 외부 스트럿 구성요소(1345)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멤브레인은 접착제, 기계적 부착, 융합, 사출 성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단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캐처 스트럿 또는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멤브레인을 기계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트럿(1400)은 멤브레인(1415)을 개재하는 외부/상부 스트럿 구성요소(1405) 및 내부/하부 스트럿 구성요소(1410)를 갖는 2 부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멤브레인(1415)은 바람직하게 유연하며 클램핑 또는 죔쇠와 같은 기계적 수단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외부 스트럿 구성요소(1405) 및 내부 스트럿 구성요소(1410)는 멤브레인(1415)을 고정하기 위해 함께 조립되는 인터로킹 형상부(1420)를 갖는다. 인터로킹 형상부(1420)는 돌출 형상부 및 스트럿(1405, 1410) 사이에서 멤브레인(1415)을 고정하도록 협력하는 협력 구멍을 포함한다. 멤브레인(1415)은 세장형이고 돌출 형상부(1420) 주위에 적응한다. 위치(1430)는 형상부(1420)의 가능한 패턴을 지시한다. 대안적으로, 멤브레인(1415)이 형상부(1420)에 적응하도록 세장형이지 않도록, 멤브레인(1415)이 형상부(1420)에 대응하는 펀칭된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멤브레인을 기계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a에서, 멤브레인(1505)은 돌출 형상부(1520)의 통과를 허용하는 구멍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돌출 형상부(1520)는 스트럿 구성요소 인터로킹 공정 동안 멤브레인(1505)을 통해 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스트럿은 원하는 돌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돌출 및 정합 형상부를 수용할 수 있다.
스트럿에 대한 멤브레인의 부착은 인터로킹 구성요소에 의해 생성된 기계적 힘에 의해서만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착제는 추가적인 멤브레인 부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돌출 형상부가 플라스틱이고 멤브레인의 구멍을 관통하는 실시예에서, 돌출 형상부는 용융될 수 있거나 연동력을 제공하도록 다른 스트럿 구성요소에 용접될 수 있다. 추가로, 멤브레인은 또한 스트럿 구성요소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열 융착될 수 있다.
금속은 크리프에 저항할 때 플라스틱보다 유리하며, 장력 유지 요소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한다. 도 15a의 실시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멤브레인(1505)은 돌출 형상부(1520) 위로 신장할 수 있는 한편, "금속 클립"의 형태의 일치 형상부를 갖는 스트럿 구성요소가 멤브레인(1505)을 돌출 형상부(1520)에 개재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금속 클립 부는 압인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5b는 도 15a의 실시예에 추가를 도시한다. 정합 형상부는 얇은 금속 부품의 형태, 즉 슬롯(1530)을 갖는 활주 로킹부(1525)를 갖는다. 슬롯(1530)은 돌출 형상부의 네크 상으로 활주하도록 크기설정된다. 이 변형 예에서, 멤브레인은 돌출 형상부를 수용하기 위해 구멍을 펀칭했다. 활주 로킹부(1525)는 압인되거나 레이저 절단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6은 멤브레인을 스트럿을 관통하여 기계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작은 슬릿(1605)은 봉합사 캐처 스트럿(1610)에서 생성될 수 있고 멤브레인(1615)은 이들 개구를 통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개구의 크기, 길이 및 기하학적 형태는 스트럿(1610)에 대한 멤브레인(1615)의 부착을 제어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멤브레인(1615)은 스트럿(1610)의 내부 측으로부터 제 1 슬릿(1605)을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스트럿(1610)의 외부 측을 가로지르며, 스트럿(1610)의 내부 측상에 다시 나타나도록 제 2 슬릿(1605)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또는 다른 방법이 멤브레인 -스트럿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부속 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슬릿(1605)은 또한 멤브레인(1615)이 스트럿(1610)을 나가는 각도를 안내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작용한다. 슬릿(1605)은 측방향 에지로부터 멀리 위치되기 때문에, 스트럿의 내부 상에 나타나는 멤브레인(1615)이 측방향 에지로부터 임의의 거리에서 오목해진다. 따라서, 멤브레인(1615)은 방사상 내향으로 회전할 여유공간을 가지며 이미 슬릿(1605)에 의해 그 방향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스트럿 폐쇄를 간섭하지 않는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슬릿(1605)은 스트럿(1605)의 일 단부로 연장될 수 있고 멤브레인(1615)이 스트럿(1610)(종이 클립과 유사함)에 의해 활주 및 유지되도록 개구를 생성할 수 있다. 개방 에지는 외부 방사상 에지 또는 장치 샤프트의 근위의 내부 에지에 있을 수 있다.
두 개의 스트럿 사이에서 신장된 멤브레인은 지지되지 않은 에지를 따라 처지는 경향이 있다. 실시예에서, 멤브레인은 특히 2 개의 스트럿 단부들 사이의 직선을 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곳에서 처질 수 있다. 상기 섹션에서, 멤브레인은 스트럿으로부터 충분한 지지력을 갖지 않으며, 바늘이나 봉합사 패서에 의해 접촉될 때 구부러짐에 저항하기에 충분히 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굽힘은 바늘이 관통하지 않고 굽힘 멤브레인을 지나쳐 활주할 수 있기 때문에 봉합사 포획을 위한 효과적인 목표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는 멤브레인 팽팽함을 개선하여 멤브레인이 처지거나 구부러지는 정도를 관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7은 멤브레인이 처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정도를 관리하기 위한 캐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7에서, 멤브레인(1705)은 2 개의 인접한 개방된 스트럿(1715)의 외부 방사상 에지 사이의 라인을 따르는 직선 에지(1710)를 갖는다. 멤브레인(1705)은 멤브레인 재료가 스트럿 단부들 사이의 라인을 넘어 연장되는 형상보다 봉합사를 포획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예: 원호 모양의 외부 에지가 연장된 멤브레인). 직선형 멤브레인(1705)은 스트럿(1715)에 의해 잘 지지되지 않는 멤브레인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바늘 접촉시 멤브레인(1705)이 구부러질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멤브레인(1705)은 효과적인 봉합사 포획 영역을 최대화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멤브레인은 봉합사 포획이 의도되지 않는 즉, 바늘 트랙이 지향되지 않는 스트럿들 사이의 임의의 형상일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멤브레인(1705)의 에지는 멤브레인 팽창을 개선시키는 인장 부재(1720)로 보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1720)는 멤브레인의 에지에 결합된 스트링 또는 다른 섬유일 수 있으며, 그 단부는 카이트(kite)의 주변 둘레의 스트링과 매우 유사하게 캐처 스트럿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인장 요소(1720)는 멤브레인의 에지에서 융합된 케블라(Kevlar) 섬유일 수 있다. 섬유는 스트럿 단부들 사이의 섬유 부분에 장력을 생성하도록 신장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멤브레인의 외부 에지에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섬유를 인장하기 위한 기구는 포획 스트럿의 전개부일 수 있다. 섬유를 인장하기 위한 대체 또는 추가 기구는 캐처 스트럿이 전개된 후에 스트럿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섬유는 상이한 방법에 의해 멤브레인 에지에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은 섬유를 멤브레인 에지에 고착하는 것이다. 또다른 방법은 멤브레인 에지를 접어서 섬유를 수용할 수 있는 포켓을 만드는 것이다. 또다른 방법은 층들 사이에 끼워진 섬유와 함께 멤브레인 층을 융합시키는 것이다.
인장 요소는 인장 요소가 멤브레인 패킹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멤브레인보다 유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장 부재 자체는 멤브레인의 접힘을 돕는 디폴트 굴곡부를 가질 수 있다. 인장 요소의 단면은 임의의 원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봉합사 전달 장치 핸들(18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핸들(1800)이 삽입되어 수술 개방부 안으로 삽입되기 전에 봉합사 단부(1805, 1810)가 핸들(1800) 상에 적재될 수 있다. 도 18a에서, 봉합사 단부(1805, 1810)는 바늘 트랙(150, 155)의 원위 개구(152, 157)에서 핸들(1800) 상으로 적재되었다. 도 18b는 봉합사를 적재하는 마찰 방법을 도시한다. 도 18b에서, 슬롯(1815, 1820)은 예를 들어, 압입 또는 다른 쐐기 작용에 의해 봉합사 단부(1805, 181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대안 실시예에서, 가요성 유지 플랩(1825, 1830)이 추가되어 봉합사 단부(1805, 1810)를 더 유지한다. 플랩(1825, 1830)은 예를 들어 원하는 유지력에 따라 고무 또는 금속일 수 있다. 또한, 핸들(1800)은 공장 조립 공정 중에 적재된 봉합사 단부(1805, 1810)를 가질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봉합 카세트를 사용하여 봉합사를 적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9a에서, 카세트(1905)는 하나의 봉합사(1910)를 저장하고 봉합사 단부(1915, 1920)에 액세스를 제공하는 2 개의 액세스 포트를 갖는다. 도 19b에서, 핸들(1900)은 봉합사 카세트(1905)를 수용하고 봉합사(1910)를 전개하기 위한 준비로 봉합사 패서에 최종적으로 적재하기 위해 핸들(1900) 내부의 바늘 트랙(150, 155) 내에 노출된 봉합사 단부(1915, 1920)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카세트 삽입 포트(1925)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더(115)는 스프링-적재되어 제어 버튼(130)을 가압할 때 봉합될 조직을 압축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제어 버튼(130)을 누르면 2 가지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캐처(110)가 전개될 수 있고, 둘째, 슬라이더(115)는 캐처(110)를 향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강제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슬라이더(115)가 캐처(110)로부터 멀리 근위로 이동함에 따라 적재되는 스프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스프링은 제어 버튼(130)을 눌러서 먼저 캐처(110)를 개방하도록 버튼 스트로크의 최종 스테이지에 의해서 작동되는 트리거를 가질 수 있고, 제어 버튼(130)이 임의의 다른 양만큼 눌려질 때, 트리거가 작동하여 스프링을 해제하고, 그 후 슬라이더(115)를 피부를 향해 눌러서, 슬라이더(115)와 캐처(110) 사이에서 조직을 개재한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날개가 캐처 스트럿의 가요성 섹션이고 봉합사를 포획하는 것을 돕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0a는 스트럿(112, 114, 312, 314)(도 3)과 유사한 치수 및 강성을 갖는 섹션을 갖는 스트럿(912, 914, 916, 918)을 도시한다. 스트럿(912, 914, 916, 918)은 가요성 날개(1905, 1910, 1915, 1920)를 가진다. 도 20b는 후퇴될 때 캐처(110) 내에서 접혀지는 가요성 날개(1905, 1910)를 도시한다. 캐처(110)가 전개될 때, 날개들(1905, 1910, 1915, 1920)은 그 의도된 위치로 개방되고, 날개 쌍들(912, 916 및 914, 918)은 개방되고 중첩되어 도 20a와 같이 봉합사를 위한 목표 영역을 제시한다. 실시예에서, 중첩 날개 쌍에 의해 제시된 목표 영역은 멤브레인(302, 305)(도 3)에 의해 제시되는 것과 유사한 평면이지만, 여전히 도면부호 1905, 1910, 1915, 1920은 지지를 위한 장력에 의존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들은 스트럿(912, 914, 916, 918)에 의해서 한정된 영역을 지나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날개(1905, 1910, 1915, 1920)는 멤브레인(302, 305)과 유사하게 천공됨으로써 봉합사 단부를 포획하는 것을 도울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봉합사 패서(200)가 날개 쌍들 사이의 이음매(1925, 1930)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봉합사를 포획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일단 봉합사 패서(200)가 이음매(1925, 1930)를 통과하여 봉합사를 해제하고 회수되면, 날개 쌍(1905, 1915 또는 1910, 1920)은 전개된 봉합사를 중심으로 폐쇄하고 포획한다. 포획된 봉합사 단부는 캐처(110)가 후퇴되고(도 20c) 스트럿 쌍(912, 916 또는 914, 918)에 의해 더욱 단단히 파지될 때 날개 쌍에 의해 당겨질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e는 캐처 멤브레인이 관통되는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캐처 멤브레인의 다중 사용을 허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멤브레인을 통해 바늘을 삽입할 때마다 멤브레인에 풋 프린트가 생성된다. 다중 바늘 삽입으로, 멤브레인에 생성된 구멍은 후속 봉합사를 포획하고 유지하는 멤브레인의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는 각각의 용도에 따라 봉합사 패서가 관통하는 면적을 변경함으로써 동일한 장치의 다중 용도를 제공한다. 봉합사 캐처는 바늘 관통을 위한 의도된 멤브레인 영역이 매회(충분히) 상이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회전은 바늘 관통의 의도된 수 및 허용되는 반복된 바늘 관통에 따라 큰 각도 또는 작은 각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예를 들어, 봉합사 캐처의 무작위 회전을 제공함으로써 반복적으로 동일한 영역에서 바늘이 관통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21a 및 도 21b는 무작위 회전 기구를 갖는 다용도 캐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캐처의 스트럿은 핸들 샤프트에 대해 규정된 거리 내에서 선회될 수 있다. 스트럿에 부착된 멤브레인은 그것들과 함께 선회할 수 있다. 도 21a에서, 단일 스트럿(2010)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다음의 설명은 캐처의 다른 스트럿에 적용된다. 캐처 스트럿(2010)은 샤프트(2005)의 윈도우(2020) 내에서 각도(2015)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다. 윈도우(2020)의 크기는 캐처 스트럿(2010)이 얼마나 많이 회전할 수 있는지를 규정할 수 있다. 윈도우(2020)는 각각의 개별 스트럿이 윈도우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캐처의 각 스트럿에 대한 근위 부분[예: 근위 연결부(1115)(도 11)]에 제공될 수 있다. 원위 조인트와 제어 로드 사이의 연결은 근위 조인트의 회전이 전체 캐처의 회전을 초래할 수 있도록 부유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허용된 캐처의 무작위 회전은 2 개의 바늘이 동일한 위치에서 정확하게 멤브레인을 관통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도 21b는 도 21a에서와 같이 스트럿을 구비한 캐처의 회전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멤브레인 상의 천공 패턴을 도시한다. 도 21b에서, 멤브레인(2025)은 캐처 및 멤브레인이 각도(2015) 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단일 바늘 트랙, 예를 들어, 바늘 트랙(155)(도 3) 내에서 봉합사 패서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천공(2030a, 2030b, 2030c)을 도시한다.
도 21c는 내부 선회점을 갖는 바늘 트랙을 갖는 다용도 캐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바늘 트랙(2105)은 삽입점(2110)과 협소부(2120) 사이 및 출구점(2115)과 협소부(2120) 사이의 바늘 또는 봉합사 패서보다 직경이 더 클 수 있다. 협소부(2120)는 선회점으로서 기능하는 바늘 트랙(2105) 내의 일부 위치에 있는 바늘 트랙(2105)의 협소부 또는 단순히 범프일 수 있다. 바늘 또는 봉합사 패서가 바늘 트랙(2105) 내에서 방사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 협소부(2120)는 예시적인 봉합사 패서 위치(2125, 213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또는 봉합사 패서의 근위 단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봉합사 패서(2135)의 표면에 대해서 바늘 또는 봉합사 패서의 원위 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선회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봉합사 패서 위치(2125, 2130)는 실시예에 따라, 봉합사 패서가 샤프트(2140) 및 봉합사 캐처(2135)에 대한 다양한 각도로 바늘 트랙(2105)을 나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변화하는 각도는 바늘이 동일한 위치에서 정확하게 봉합사(2135) 상의 멤브레인을 관통할 확률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바늘 트랙(2105)은 모래 시계 모양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바늘 트랙(2105)은 협소부(2120)를 갖지 않을 수 있지만, 바늘 또는 봉합사 패서보다 일반적으로 직경이 더 크기 때문에 예시적인 봉합사 패서 위치(2125, 2130)를 여전히 허용한다.
도 21d는 캐처 멤브레인의 다중 용도를 제공하는 핸들(22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1d에서, 다수의 바늘 트랙 쌍(2205a 및 2205b, 2210a 및 2210b 및 2215a 및 2215b) 각각은 멤브레인의 상이한 각각의 영역(미도시)을 목표로 한다. 또한 다이얼 형상부(미도시)는 한 번에 한 세트의 바늘 트랙을 노출시키기 위해 핸들(2200)의 상단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1e는 자동 펜 회전 기구를 사용하는 다중 사용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봉합사 캐처의 회전은 바늘 또는 봉합사 패서가 멤브레인의 사용되지 않은 위치에서 멤브레인을 관통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자동 펜 회전 기구(2300) 또는 변형예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구(2300)는 제어 로드(2305)의 상하 운동을 제어 로드(2305)의 회전 운동으로 전달하는 형상부를 수용한다. 제어 로드(2305)의 회전이 원위 조인트의 회전을 초래하도록 봉합사 캐처의 원위 조인트에 연결된 제어 로드(2305), 봉합사 캐처의 회전 운동을 허용하는 봉합사 캐처의 근위 조인트에 의해, 제어 로드(2305)의 회전은 봉합사 캐처의 회전을 초래할 것이다. 결과적인 회전의 크기는 회전 기구(2300)의 설계에 따라 제어되며 임의로 작거나 클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변형 예에서, 제어 로드(2305)의 상하 운동은 봉합사 캐처의 근위 조인트의 회전 운동을 초래하고, 원위 조인트와 제어 로드 사이의 연결부는 부유하고, 근위 조인트는 전체 봉합사 캐처의 회전을 초래한다.
실시예는 핸들 상에 미리 적재된 봉합사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팁을 가진 봉합사 패서를 사용할 수 있다(예: 도 18a 및 도 18b 및 핸들 상에 적재 봉합사에 관련된 텍스트 참조). 이러한 실시예에서, 봉합사 패서의 팁은 바람직하게는: 복부 조직에 들어가기 전에 봉합사 단부를 파지할 수 있고; 캐처가 그렇게 장착된 경우 봉합될 조직과 캐처 멤브레인을 관통하면서 봉합사 단부를 유지하고; 봉합사 단부를 전개한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봉합사를 파지하고, 유지하고, 전개하도록 설계된 봉합사 패서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2a에서, 봉합사 패서(2400)는 바늘 트랙(2425)의 출구(2420)에 위치한 봉합사(2415)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슬롯(2410)을 갖는 고정된 팁(2405)을 갖는다. 도 22b에서, 봉합사 패서(2430)는 장치(2455), 예를 들어, 봉합사 패서(2430) 내부의 구동 차축의 추진시에 고정된 부재(2450)에 대한 봉합사(2445)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부재(2440)를 갖는 작동 팁(2435)을 가진다. 도 22c에서, 봉합사 패서(2460)는 바늘 튜브(2485)를 향한 봉합사(2480)를 파지하기 위해 내부 로드(2475)에 의해 작동된 바늘 헤드(2470)를 갖는 파지 팁(2465)을 가진다. 도 22d는 비교를 위해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봉합사 패서(200)의 파지 팁을 도시한다. 봉합사 패서의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핸들 상에 미리 적재된 봉합사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22a 내지 도 22c의 봉합사 패서의 실시예는 핸들의 바늘 트랙 내로 삽입되기 전에 봉합사로 적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개시된 임의의 바늘 팁 실시예는 개시된 바늘 트랙 중 임의의 것과 협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핸들 상에 적재된 봉합사를 전개하기 위한 절차의 일 실시예에서, 봉합될 조직이 핸들(예: 도 8b 참조)에 의해 개재된 후에, 팁이 핸들에 적재된 봉합사에 도달할 때까지 봉합사 패서가 바늘 트랙 안으로 그리고 바늘 트랙을 통해서 삽입된다. 그런 다음 봉합사가 봉합사 패서 상에 적재된다. 그런 다음 봉합사 패서는 봉합사 단부를 캐처 상에 전개하기 위해 바늘 트랙을 통해 삽입된다. 캐처 구성에 따라, 봉합사 단부는 캐처 스트럿의 파지 거리 내에서 해제됨으로써 전개될 수 있거나, 또는 캐처 멤브레인에 삽입되어 전개되고 그 다음 해제될 수 있다. 봉합사가 해제된 후, 봉합사 패서는 제 2 봉합사가 핸들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서 제 2 바늘 트랙으로 회수되어 삽입될 수 있다.
도 23a 및 도 23b는 봉합사 패서가 핸들(2500)에 통합되는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3a에서, 봉합사 패서(2505, 2510)는 각각 바늘 트랙(2515, 2520) 내에 위치하고 봉합사를 전개하는데 사용된다. 봉합사 패서(2505, 2510)는 바늘 트랙(2515, 2520) 내에 상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작동 버튼(2540)(또는 제어 레버 또는 제어 슬라이더)은 작동시 봉합사 패서(2505, 2510)가 바늘 트랙(2515, 2520)을 통해 이동하고, 적재된 봉합사를 파지하고 핸들(2500)의 샤프트(105)로부터 연장되고 봉합될 조직, 예를 들어 복부 조직을 관통하게 할 수 있다. 봉합사 패서(2505, 2510)는 그 다음 캐처(110) 상에 봉합사를 전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봉합사를 전개시키기 위해 봉합사 패서(2505, 2510)는 롤러 및 트랙(2545) 및 제어 버튼(2540)을 사용하여 전개되어 2 개의 봉합사 패서를 바늘 트랙(2515, 2520)을 통해 전진시킬 수 있다. 롤러 및 트랙(2545)은 작동 아암(2560)에 연결된 트랙(2555) 내에 롤러(2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버튼(2540)은 눌려졌을 때 롤러 및 트랙(2545)과 작동 아암(2560)이 핸들(2500)의 원위 단부(2525)를 향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작동 아암(2560)은 바늘 트랙(2515, 2520)을 통해 봉합사 패서(2505, 2510)를 강제실행하여 봉합사를 전개시킨다. 롤러 및 트랙(2545)은 아암(2560)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작동 아암(2560)이 핸들(2500) 내향으로 이동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23b에서, 제어 버튼(2540)은 완전히 눌려져, 봉합사 패서(2505, 2510)가 캐처(110)를 지나 연장하고, 봉합사 패서 팁들(예: 도 22b 내지 도 22d 참조)을 개방하고, 봉합사를 침착시킨다(미도시). 제어 버튼(2540)의 움직임은 초기 상술한 바와 같이 캐처(110) 및 아마도 슬라이더(115)를 제어하는 제어 버튼(130)을 나타낸다. 움직임은 또한 롤러(2550)가 바늘 트랙(2515, 2520)의 윤곽에 따라 작동 아암(2560)에 응답하여 트랙(2555) 내에 내향으로 이동하게 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버튼(130 및 2540)의 기능은 단일 제어 버튼에 의해 수행된다.
봉합사 전달 장치의 실시예는 봉합사 패서를 삽입 및 회수하고, 봉합사를 포획, 유지 및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특성은 봉합사의 포획, 유지 및 고정에 영향을 미친다. 기술된 바와 같이, 봉합사를 운반하는 바늘 또는 봉합사 패서가 멤브레인을 통해 삽입될 때, 봉합사가 해제되어 멤브레인에 의해 포획될 수 있다. 캐처가 폐쇄될 때, 멤브레인은 캐처 프레임 폐쇄로 접혀 멤브레인 내에 봉합사를 유지할 수 있다. 멤브레인 자체는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로 제조되거나 또는 멤브레인의 봉합사 유지 특성을 증가시키는 디자인을 더 가질 수 있다. 유지 특성은 재료 두께, 또는 재료 층의 수 또는 재료 표면의 함수일 수 있다. 유지 특성은 유지면의 한쪽 또는 양쪽에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봉합사는 캐처 스트럿 에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봉합사가 장치의 원위 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방법이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봉합사의 기계적 클램핑은 수술 개방부로부터 봉합사 전달 장치를 회수하는 동안 봉합사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인접한 스트럿의 에지는 (기계식 클램프로서) 봉합사를 단단히 고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봉합사 캐처가 멤브레인에 설비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멤브레인 유지력은 봉합사가 멤브레인과 적절히 결합되어도, 봉합사에서 봉합된 조직에 가하는 힘을 견딜만큼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캐처 스트럿은 봉합사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접한 스트럿은 독립적으로 (예: 멤브레인을 포함하지 않는 캐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예: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캐처 실시예에서) 멤브레인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e는 클램핑 표면의 길이, 또는 클램핑 표면의 수 또는 접촉점의 수를 변화시키는 캐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4a에서, 스트럿(2620)의 스트럿 에지(2605, 2610)는 봉합사(2615)와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각을 이룬다. 즉, 캐처 프레임 스트럿의 에지는 경사지고, 봉합사는 스트랩 경사진 에지의 길이에 대해서 스트럿과 접촉한다. 도 24b에서, 스트럿(2625, 2630)은 봉합사(2615)를 향해 단일 접촉점(2635)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24c에서, 봉합사(2640)는 스트럿(2650)과 상이한 크기를 갖는다. 봉합사(2615)는 상이한 크기의 한쌍의 스트럿(2640, 2650)의 표면들 사이에 클램핑된다. 도 24d에서, 스트럿 에지(2655, 2660)는 결합되어 봉합 접촉면(2665)에서 각도를 생성한다. 각도는 예를 들어 90 °일 수 있다. 캐처 스트럿은 또한 봉합사 접촉 에지를 따라 톱니 또는 파형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에지를 가진 디자인의 장점은 봉합사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변경되어 봉합사를 따라 지점들에서 수직력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도 24e에서, 스트럿(2670)이 도 24b의 구성에 추가되어 추가적인 봉합 접촉점(2637)을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방금 논의된 다양한 스트럿 디자인에 부가하여, 스트럿 에지는 마찰을 증가시키고 봉합 고정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거칠게 처리되거나, 처리되거나, 코팅되거나 또는 다르게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패드 또는 스트립 또는 고무 코팅이 스트럿 에지에 적용될 수 있다.
캐쳐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봉합사는 제어 로드에 대해 또는 스트럿이 내향으로 접힐 때 스트럿에 평평한 표면을 제공하는 제어 로드 주위에 배치된 블록에 대해 내향으로 접히는 캐처 스트럿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및 봉합사는 외부 요소(스트럿)와 내부 요소(제어 로드 또는 제어 로드 주위의 블록)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다. 봉합사 클램핑의 효과는 봉합사 캐처의 충분한 (또는 완전한) 봉합, 적용된 폐쇄력의 수준과 연계될 수 있고 멤브레인에 의해 야기된 간섭은 클램핑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봉합사 캐처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트럿 폐쇄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봉합사에 대한 유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캐처는 수술 개방부로부터 봉합사 전달 장치를 보다 강제적으로 추출하는 동안 봉합사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봉합사는 포획면, 예를 들어 멤브레인없이 캐처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캐처의 스트럿은 봉합사를 직접 클램핑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동작은 예를 들어, 수술 개방부로부터 추출되도록 후퇴될 수 있는 상기 캐처의 일부일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7은 봉합사를 전달하고 포획하는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5a, 도 25b 및 도 26은 수술 개방부의 일 측면상의 봉합사를 포획하고 봉합을 완성하기 위해 봉합사를 다른 측면으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5a 및 도 25b는 봉합사 단부(2720)를 포획하기 위해 각각 방향들(2707, 2712)로 선회하는 클램핑 아암(2705, 2710)을 갖는 클램핑 장치(2700)의 상부 및 사시도를 도시한다. 클램핑 아암(2705)은 내부 샤프트(2725)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클램핑 아암(2710)은 외부 샤프트(27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클램핑 장치(2700)는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의 핸들(100) 상의 캐처(110)를 대체할 수 있다. 클램핑 장치(2700)는 봉합사(2720)를 포획하고 수술 개방부 내의 클램핑 장치(2700)의 반대 측면 상에 배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6은 포획된 봉합사(2820)를 포획 장치(2800)의 반대 측면 상에 침착시키기 위해 샤프트(2815)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스트럿(2810)에 의해 지지되는 대면적 멤브레인(2805)을 갖는 포획 장치(28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봉합사(2820)는 사전 기술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2805)에 의해 지지된다. 포획 장치(2800)는 도 1a 및 도 1b의 핸들(100) 상의 캐처(110)를 대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는 우산형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은 몇 개의 방사상 연장 스트럿에 의해 지지되고 장치 주위로 360도에 걸쳐 있다. 우산과 같이, 멤브레인은 장력 상태에서 바늘이 멤브레인 재료를 쉽게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 재료와 봉합사 사이의 마찰은 봉합사 패서가 회수될 때 봉합사를 분리하고 유지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대안 실시예는 각 층이 상이한 배향을 갖는 다중 층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층 멤브레인에서, 봉합사는 마찰과 격자 구조에서 얽히게 되는 것 모두로 인해서 봉합사 패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5a, 도 25b 및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봉합사를 운반하는 바늘(또는 봉합사 패서)은 바늘 트랙에 삽입된 다음 클램핑 장치(2700) 또는 포획 장치(2800) 중 하나가 장착된 핸들을 사용하여 투관침 상처의 한면에 있는 근육/근막 층에 삽입된다. 봉합사 패서는 봉합사를 해제하고 후퇴한다. 클램핑 장치(2700)에 있어서, 클램핑 아암(2705, 2710)의 움직임에 의해 봉합사가 포획된다. 포획 장치(2800)에 대해, 봉합사는 봉합사를 바늘 패서로부터 분리하여 유지하기 위한 재료 특성 또는 디자인을 갖는 멤브레인(2805)을 관통하였다. 일단 봉합사가 유지되면, 봉합사는 장치(2700 또는 2800)를 회전시켜 봉합사(2720 또는 2820)가 투관침 상처의 반대 측면으로 재위치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외과의사는 봉합사가 핸들의 다른 바늘 트랙을 통해 그리고 봉합될 조직을 통해 삽입된 바늘(또는 봉합사 패서)의 목표 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봉합사를 쉽게 꺼낼 수 있다. 봉합될 조직을 통해 일단 바늘(또는 봉합사 패서)은 복강경 이미지에서 안내하여 재 위치된 봉합사를 포획할 수 있다. 포획된 봉합사는 외과의사가 그것을 퇴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제어된 형상, 배향 및 장력을 가질 수 있다. 이전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이들 실시예들은 외과의사가 봉합사 패서로 봉합사를 파지할 수 있는 위치로 봉합사를 이동시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조력자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도 27은 수술 개방부 내에 봉합사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에서, 클램핑 장치(2900)는 아크를 통해 소거하고 봉합사 단부(2920, 2922)를 포획하도록 각각 방향(2907, 2912)으로 선회하는 클램핑 아암(2905, 2910)을 갖는다. 클램핑 아암(2905)은 내부 샤프트(2925)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클램핑 아암(2910)은 외부 샤프트(29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교대로, 단지 하나의 클램핑 아암이 양쪽 봉합사 단부를 포획하도록 회전된다). 클램핑 장치(2900)는 예컨대, 도 1a 및 도 1b의 핸들(100)상의 캐처(110)를 대체할 수 있다. 클램핑 장치(2900)는 봉합사 단부(2920, 2922)를 포획하고 이들을 링크 요소(2935)에 의해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링크 요소(2935)는 클램핑 아암(2905, 2910) 중 하나에 부착된 크림프 또는 생분해성 부재일 수 있다. 이는 또한 클램프 또는 클립일 수 있다. 또한, 봉합사 단부(2920, 2922)는 접착제 또는 열 등을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인 봉합 연결은 적어도 바늘 또는 봉합사 패서에 의해 생성된 조직 트랙을 통해 봉합 조인트를 당기는 것을 유지할 정도로 강해야 한다. 교대로, 봉합사 연결은 상처를 봉합하도록 제공하기에 충분히 강해야 한다.
클램핑 장치(2900)는 다음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스위퍼 또는 클램프 아암은 초기에 봉합사 전달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두 개의 봉합사 단부가 투관침 상처의 반대 측면에 전달된다. 이어서, 클램프 아암이 회전되어 봉합사 단부가 링크 요소와 접촉하게 된다. 이어서, 봉합사를 연결하기 위해 봉합사 단부와 링크 요소를 클램프 아암에 의해 함께 가압한다. 이어서, 봉합사 전달 장치가 회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봉합사를 마무리하기 위한 하나의 선택사항은 하나의 봉합사의 두 단부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개의 봉합사 단부가 연결되면, 연결된 봉합사가 루프가 된다. 사용자는 투관침 상처의 외부 - 근위 단부에서 봉합사를 절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외부 봉합사 단부를 당겨 상처를 봉합한 다음 단부를 매듭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초기 바늘 삽입에 의해 생성된 조직 트랙을 통해 링크를 나오도록 봉합사 전달 장치에 의해 수술 개방부를 통해 봉합 링크를 잡아 당기거나 또는 봉합사 루프의 일 측면을 당길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봉합 조인트를 자르고 수술 개방부를 폐쇄하여 매듭을 묶을 수 있다. 또다른 선택사항은 두 개의 봉합사 단부를 복부에 전달하고, 각 단부는 개별 봉합사로부터 전달하는 것이다. 2 개의 봉합사 단부가 연결되면, 사용자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장치를 회수하고 봉합을 마무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처 폐쇄 기구는 슬라이더 작동식이다. 봉합사 전달 장치는 복강 내의 복벽 조직을 대항력 부재(예: 캐처)에 대해 개재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 활주 부재를 가질 수 있다. 기술된 많은 실시예가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활주 부재는 캐처 전개 기구에 결합되어 활주 부재의 이동이 캐처의 개폐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활주 부재가 전개 기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활주 부재가 하향으로(장치의 원위 단부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캐처 전개 기구가 작동되어 캐처를 개방할 수 있다. 활주 부재가 (장치의 근위 단부를 향해) 위로 이동할 때, 캐처 전개 기구는 캐처를 폐쇄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활주 부재가 캐처 전개 기구와 상호 작용하는 위치는 원하는대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처는 상기 활주 부재가 하향으로 작은 거리를 이동할 때 개방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캐처는 상기 활주 부재가 위로 작은 거리를 이동할 때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를 하향으로 움직이면, 원위 조인트가 위로 움직여서 봉합사 캐처를 전개할 수 있다. 다양한 기구 선택사항을 사용하여 이 개념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를 사용하는 방법은: 원위 단부가 공동 내에 있을 때까지 조직 트랙을 통해 봉합사 전달 장치를 삽입하는 단계; 캐처를 개방하기 위해 활주 부재를 장치 원위 단부를 향해 이동시킨 다음 캐처와 활주 부재 사이에서 복벽 조직을 개재하는 단계; 봉합사가 해제되어 원위 단부에서 유지될 때까지(또는 봉합사가 해제되어 캐처에 의해 포획될 때까지) 봉합사-운반 바늘을 장치에 삽입함으로써 봉합사를 봉합사 유지 요소(캐처)에 전달하는 단계; 캐처를 폐쇄하고 복벽 조직을 해제하기 위해 장치의 근위 단부를 향해 활주 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장치의 원위 단부에 유지된 봉합사 단부를 갖는 공동으로부터 봉합사 전달 장치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봉합사를 자동으로 전개하기 위한 방법은: 수술 개방부에 봉합사 전달 장치를 삽입하는 단계; 상처 조직을 개재하는 단계; 봉합사 단부를 전개하고, 핸들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처 조직을 개재하는 단계는: 캐처가 개방되게 하고 슬라이더가 캐처에 대해서 조직을 압축하게 하도록 버튼을 누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봉합사 단부를 전개하는 단계는: 독립적인 봉합사 패서를 사용하거나 또는 핸들과 통합된 봉합사 패서를 사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을 회수하는 단계는 봉합사를 포획하기 위해 캐처를 폐쇄하고 봉합사를 자동 해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봉합사를 전개하기 위한 방법은: 봉합사를 핸들에 적재하거나 봉합사 카세트를 핸들에 적재하는 단계; 왼손으로 투관침을 제거하는 단계; 캐처가 복강경 이미지에서 완전히 보일 때까지 오른손으로 핸들을 투관침 상처에 삽입하는 단계; 오른손으로 캐처를 개방하는 제어 버튼을 해제한 다음 시각적 안내 하에서 조직을 개재하기 위해 슬라이더를 하향으로 누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강경 이미지는 캐처가 복막 벽과 접촉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봉합사를 전개하기 위한 이 방법은: 왼손으로 핸들을 잡는 단계; 시각적 안내하에 캐처 상의 봉합사를 전개하기 위해, 오른손으로 봉합사 패서를 바늘 트랙을 통해 삽입하는 단계; 및 시각적인 안내 하에 다른 바늘 트랙으로 이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봉합사를 전개하기 위한 이 방법은: 왼손을 사용하여 핸들을 잡는 단계; 오른손을 사용하여 시각적 안내하에 캐처 상에 봉합사를 전개하기 위해 전개 버튼을 누르는 단계; 왼쪽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제어 버튼을 눌러 시각적 안내 하에 봉합사를 캡처하는 단계; 및 왼손을 사용하여 핸들을 당기고 두 개의 봉합사 단부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8은 핸들(100)이 V형 개구(3004)를 갖는 캐처 요소(3002)를 갖는 스트럿(3000)을 구비한 캐처(11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개구(3004)는 바늘 트랙(150 또는 155)과 같은 대응 바늘 트랙과 정렬되어서, 봉합사 패서(200)가 바늘 트랙 내에서 전진할 때 봉합사(230)를 운반하는 바늘 튜브(210)의 원위 팁(명확성을 위해 이 도면에서는 미도시)이 연장될 수 있다. 스트럿(3000) 상의 출구 개구(3006)는 바늘 튜브(210)의 추가 전진을 허용할 수 있다. 개구(3004)의 V형 프로파일은 봉합사(230)를 포획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3004)는 바늘 튜브(210) 또는 봉합사(230)의 직경보다 클 수 있어서, 양쪽 모두가 개구를 통해 쉽게 전진될 수 있다. 개구(3004)는 증가된 직경 영역으로부터 봉합사(230)의 직경보다 작은 치수를 갖는 상대적으로 협소한 영역으로 테이퍼링된다. 장력이 봉합사(230)에 가해지면, 협소 영역 내로 당겨져 안전하게 유지된다. 일 양태에서, 증가된 치수 영역은 근위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협소 영역은 원위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또한, 개구(3004)의 테이퍼링된 프로파일은 점점 더 좁아지는 영역 내로 재료를 더 끌어 들이기 위해 더 많은 힘이 가해질 때 봉합사(230)의 유지력의 증가를 초래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3004)의 프로파일은 캐처 요소(3002)의 재료 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개별 구조체가 캐처 요소에 고정되어 원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는 V형 프로파일을 나타내도록 구부러진 와이어(3008)를 도시한다. 캐처 요소의 더 큰 직경의 개구 위에 와이어(3008)를 고정함으로써, 상술한 특성을 갖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30은 캐처 요소(3002)에 고정될 수 있는 V형 개방부(3012)를 갖는 플레이트(3010)를 도시한다. 개방부(3012)는 방전 가공, 압인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술에 의해 플레이트(30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캐처 요소(3002)의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감소된 표면 영역 위로 마찰을 집중시킴으로써 봉합사(230)를 보다 효율적으로 결합시키는 V형 개구(3004)를 생성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개구(3004)가 캐처 요소(3002)에 직접 형성될 때, 개구의 주변 부분은 감소된 두께를 나타내어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V형 개구(3004)가 도 28에 도시되어 있지만, 대향하는 캐처 요소 및/또는 하나 이상의 인접한 캐처 요소는 또한 대응하는 V형 개구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처 요소(3002)는 바늘 트랙(150)과 정렬될 수 있고, 캐처 요소(312)는 바늘 트랙(155)과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처 요소(312)는 일부 실시예에서 V형 개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는 슬라이더(115)가 그 개방된 전개 상태에서 캐처(110)에 대해 조직을 압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원위 방향을 향해 편향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은 핸들(100)의 샤프트(105)를 따른 이동 범위를 따라 상대적으로 원위 방향으로 위치된 슬라이더(115)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압축 스프링(3020)은 포스트(3022) 위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삽입 중에, 슬라이더(115)는 샤프트(105), 압축 스프링(3020)을 따라 비교적 더욱 근위로 배치될 수 있다. 대응하게, 스프링(3020)은 슬라이더(115)를 원위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도 32에 도시된 다른 예에서, 종동 기어(3024)(점선으로 도시됨)는 슬라이더(1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트랙(120) 내의 치형체와 결합된다. 종동 기어(3024)는 스프링 적재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트랙(120)을 따라 원위로 슬라이더(115)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더(115)의 원위 바이어스는 핸들(100)의 삽입 및 슬라이더(115)와 캐처(110) 사이의 조직의 결과적인 압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개재 기능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폐쇄 구성에서 캐처(110)를 갖는 핸들(100)은 투관침 상처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더(115)가 환자의 신체의 외면에 접할 때, 핸들(100)의 추가 전진은 슬라이더(115)가 샤프트(105)를 따라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도 31과 관련하여, 이는 스프링(3020)을 압축시키고 도 32와 관련하여, 이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종동 기어(3024)를 감아 올릴 수 있다. 핸들(100)이 완전히 삽입된 후, 제어 버튼(130)을 누르는 것은 캐처(110)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 및 전개되게 한다. 대응하게, 핸들(100)에 대한 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3020) 또는 종동 기어(3024)는 슬라이더(115)가 캐처(110)를 향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슬라이더(115)가 후속 작동에서 수동으로 이동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 조직을 자동으로 개재시키게 한다. 슬라이더(115)를 원위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도 33a 및 도 33b는 캐처가 그 개방 구성에서 완전히 전개되지 않은 경우 바늘 트랙을 통한 액세스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핸들(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버튼(130)은 캐처(110)가 폐쇄되도록 눌려진다. 제어 버튼(130)의 액추에이터(3034)가 차축(3032)의 원위 방향으로 게이트 제어 레버(3030)와 결합할 때, 게이트 제어 레버(3030)의 원위 단부(3036)가 바늘 트랙(150)을 통한 액세스를 차단하는 위치로 방사상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게이트 제어 레버(3030)는 차축(3020) 상에서 선회된다. 대응하게, 도 33b는 캐처(110)가 개방 및 전개된 핸들(100)을 도시한다. 여기서, 제어 버튼(130)은 해제되어, 액추에이터(3034)는 차축(3032)의 근위에 있는 게이트 제어 레버(3030)와 결합으로써 게이트 제어 레버(3030)의 근위 단부(3038)를 방사상 외측으로 편향시킨다. 차례로, 이는 원위 단부(3036)가 방사상 내향으로 후퇴하여 바늘 트랙(150)을 차단 해제시킨다.
캐처(110)를 개방 구성으로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핸들(100)의 일부 실시예는 눌려지지 않을 때 해제된 위치에 제어 버튼(130)을 유지시키는 로킹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4a 및 도 34b는 제어 버튼(130)에 통합된 로킹부(3040)를 갖는 핸들(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로킹부(3040)는 결합 상태와 결합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제어 버튼(130) 내에서 동축으로 활주할 수 있고 제어 로드(145)에 고정된다. 도 34a에 도시된 결합 상태에서, 로킹부(3040)는 제어 버튼(130) 내에서 비교적 근위로 위치하여, 제어 버튼(130) 내의 릿지(3042)는 로킹부(3040)의 레그(3044) 위에 배치된다. 대응하게, 레그(3044)는 플랜지(3046)가 핸들(100)의 레지(3048)와 결합하도록 공칭 구성을 취하도록 허용된다. 이는 제어 로드(145)를 핸들(100)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유지시켜, 캐처(110)가 완전히 개방된 구성에서 유지되게 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로킹 작용은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조직 또는 다른 힘을 개재하여 생성되는 임의의 힘을 지탱하는 것을 보조한다. 로킹부(3040)가 없다면, 이러한 힘은 캐처(110)를 폐쇄하기 시작할 수 있는 제어 로드(145)의 이동을 유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조직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투관침 권선으로부터의 삽입 또는 회수와 같은 폐쇄 형태로 캐처(110)를 위치시키고자 할 때,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가상으로 도시된 제어 버튼(130)의 원래 위치로) 제어 버튼(130)을 누르면, 플랜지(3046)가 레지(3048)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레그(3044)와 결합하여 방사상 내향으로 편향시키게 한다. 일단 로킹부(3040)가 결합 해제되면, 제어 버튼(130)은 원위 이동을 자유롭게 하여, 제어 로드(145)를 전진시켜 캐처(110)를 폐쇄된 구성으로 위치시킨다.
기관 또는 다른 조직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보조하기 위해, 핸들(100)의 일부 실시예는 원하는 양을 초과하는 봉합사 패서(20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캐처(110)와 관련된 추가 요소(들)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a 및 도 35b는 캐처(110)에 고정된 차폐부(305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먼저, 도 35a에서, 봉합사 패서(200)는 바늘 튜브(210)의 팁이 캐처(110)를 관통하게 하도록 충분한 정도로 전진하지 않았다. 따라서, 차폐부(3050)는 일반적으로 캐처(110)의 스트럿(170)과 정렬된다. 봉합사 패서(200)가 더 전진될 때,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튜브(210)의 팁은 캐처(110)를 넘어 연장하지만, 차폐부(3050)는 팁이 전진할 때 외향으로 편향되기에 충분히 탄력적이다. 탄력적임에도 불구하고, 차폐부(3050)의 재료는 바늘 튜브(210)의 팁의 관통에 저항하여 주변 조직에 대한 상해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대안적으로, 캐처(110)는 도 36a 및 도 3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튜브(210)가 캐처(110)를 넘어 연장하는 위치의 근위 및 원위에 고정된 재료의 하나 이상의 스트립(3052)을 가질 수 있다. 대응하게, 스트립(3052)은 도 3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처(110)를 넘어선 조직에 대한 상해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바늘 튜브(210)의 팁의 관통에 저항할 수 있다. 스트립(3052)은 도 3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구성일 때를 포함하여 캐처(110)의 프로파일에 밀접하게 일치하도록 충분히 탄력있고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핸들(100)은 봉합사(230)를 배치할 때 봉합사 패서(200)가 충분한 조직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105)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대조 컬러의 사용을 통해서 적당한 표시기(3060)로 마킹될 수 있다. 표시기(3060)는 복강경과 같은 내부 시야각뿐만 아니라 외부 시야각으로부터 핸들(100)의 정확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충분한 조직이 슬라이더(115)와 캐처(110) 사이에 개재되어 봉합사(230)의 안전한 배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로서, 성공적인 봉합 폐쇄를 달성하기 위해 봉합사 패서(200)가 복막을 완전히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기(3060)는 근위 단부가 바늘 트랙(150, 155)의 출구(3062)에 대략 인접하게 위치하여 봉합사 출구 슬롯(160)에 대략 인접한 위치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기(3060)는 약 1.5 c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표시기(3060)의 위치 및 길이는 의도된 적용에 기초하여 원하는대로 조정될 수 있다. 사용시, 핸들(100)은 투관침 상처에 삽입되어 표시기(3060)가 조직에 의해 가려질 때까지 전진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표시기(3060)는 핸들(100)이 적절하게 위치될 때 외부 시야각 또는 복강 내에서 볼 수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100)이 올바른 위치로 전진되고 캐처(110)를 개방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샤프트(105)는 캐처(110) 바로 위에 추가적인 표시기(3064)로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여기에 설명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속하는 당업자는 본 개시의 원리가 다른 적용에 대한 적절한 수정으로 쉽게 연장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0)

  1.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로서,
    세장형 전개 부재;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를 향하여 배치된 대항력 부재로서, 상기 대항력 부재가 절개부로 진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후퇴 구성과 절개부로부터 상기 대항력 부재를 추출하는 것에 저항하는 전개 구성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대항력 부재;
    상기 대항력 부재에 대하여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의 근위 단부를 향해 배치되는 압축 부재로서, 상기 압축 부재는 절개부로의 진입에 저항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압축 부재 및 상기 대항력 부재는 압축 구성과 비압축 구성 사이에서 전이되는, 상기 압축 부재;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를 향해 배치된 봉합사 캐처로서, 상기 봉합사 캐처가 절개부로 진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후퇴 구성과 봉합사의 포획을 용이하게 하는 전개 구성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봉합사 캐처;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와 연계되고 상기 전개 구성일 때 상기 봉합사 캐처의 제 1 영역을 향하여 배향되는 제 1 바늘 트랙; 및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와 연계되고 상기 전개 구성일 때 상기 봉합사 캐처의 제 2 영역을 향하여 배향되는 제 2 바늘 트랙으로서, 상기 전개 구성일 때의 상기 봉합사 캐처의 제 1 영역과 상기 전개 구성일 때의 상기 봉합사 캐처의 제 2 영역은 절개부의 반대 측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봉합사 캐처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바늘 트랙을 포함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캐처는 V형 개구를 갖는 캐처 요소를 포함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캐처는 바늘 출구 개방부를 갖는 스트럿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트럿은 상기 캐처 요소에 힌지 결합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형 개구는 구부러진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형 개구는 상기 캐처 요소에 고정된 V형 개방부를 갖는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형 개구는 장력하에 있을 때 봉합사 재료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협소 영역을 갖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 및 상기 대항력 부재는 상기 비압축 구성으로부터 상기 압축 구성으로 자동적으로 전이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는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를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비압축 구성으로부터 상기 압축 구성으로 자동적으로 전이되도록 원위 방향을 향해 편향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원위 방향을 향해 편향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는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를 따라 트랙과 결합되는 종동 기어에 의해 상기 원위 방향을 향해 편향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늘 트랙과 상기 제 2 바늘 트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액세스는 상기 대항력 부재가 상기 후퇴 구성에 있을 때 제한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는 게이트 제어 레버에 의해 제한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항력 부재는 제어 버튼에 작동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어 버튼이 상기 전개 구성에 있는 상기 대항력 부재와 연계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어 버튼은 상기 제 1 바늘 트랙 및 상기 제 2 바늘 트랙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게이트 제어 레버와 결합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항력 부재는 제어 버튼에 작동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개 구성에 있는 상기 대항력 부재와 연계된 위치에 상기 제어 버튼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로킹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버튼 내에 배치되는 상기 로킹 기구는 상기 제어 버튼이 상기 전개 구성에 있는 상기 대항력 부재와 연계된 위치에 있을 때 결합되고, 상기 제어 버튼이 눌려졌을 때 결합 해제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캐처는 바늘 팁에 의한 관통에 저항하면서 외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된 차폐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캐처는 상기 봉합사 캐처 상의 근위 위치 및 원위 위치에 고정되고 바늘 팁에 의한 관통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재료의 스트립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는 상기 봉합사 전달 장치가 충분한 두께의 조직을 통해 삽입되었을 때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 시각 표시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상기 제 1 바늘 트랙 및 상기 제 2 바늘 트랙 중 적어도 하나의 출구에 인접한 근위 단부를 갖는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의 컬러 영역을 포함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바늘 트랙은 봉합사 루프가 상기 장치를 빠져 나갈 수 있게 구성된 봉합사 출구 슬롯에 의해 결합되는,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KR1020197006933A 2016-08-11 2017-08-10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KR102504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34,807 US10327761B2 (en) 2014-02-07 2016-08-11 Suture delivery device for suturing tissue
US15/234,807 2016-08-11
PCT/US2017/046347 WO2018031804A1 (en) 2016-08-11 2017-08-10 Suture delivery device for suturing tiss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976A true KR20190040976A (ko) 2019-04-19
KR102504401B1 KR102504401B1 (ko) 2023-03-02

Family

ID=6116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933A KR102504401B1 (ko) 2016-08-11 2017-08-10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3496627A4 (ko)
JP (1) JP7007363B2 (ko)
KR (1) KR102504401B1 (ko)
CN (1) CN110213996B (ko)
AU (1) AU2017311506B2 (ko)
CA (1) CA3033703A1 (ko)
IL (1) IL264759B2 (ko)
MX (1) MX2019001716A (ko)
WO (1) WO2018031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4083B (zh) * 2022-11-04 2023-03-10 中南大学 一种困难部位手术缝合固定辅助装置
CN116636890B (zh) * 2023-06-21 2024-02-20 江苏博朗森思医疗器械有限公司 软组织伤口缝合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4948A (en) * 1997-04-14 1999-11-16 Hasson; Harrith M. Device for closing an opening in tissue and method of closing a tissue opening using the device
US20060030868A1 (en) * 2004-08-05 2006-02-09 Bennett Richard M Iii Laparoscopic port site closure tool
US20070203507A1 (en) * 2005-08-26 2007-08-30 G-Surge Medical Solutions, Inc. Suturing apparatu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7218C1 (ko) * 1991-11-13 1993-02-11 Heidmueller, Harald, 5000 Koeln, De
WO2005112789A2 (en) * 2004-05-21 2005-12-01 Neatstitch Ltd. Suture device
RU2010135341A (ru) * 2008-01-24 2012-02-27 Сьючерэйд Холдингз Б.В. (Nl) Сшивающие инструменты и системы для наложения швов
DE102008053809A1 (de) * 2008-10-29 2010-05-12 Medi-Globe Gmbh Chirurgisches Fadenpositioniersystem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innerhalb einer Gewebewand
EP2385798B1 (en) 2009-01-12 2019-07-03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Apparatus for tissue closure
US20110082475A1 (en) * 2009-10-01 2011-04-07 Tyco Healthcare Group Lp Wound closure device including ferrule ejector system
US9033872B2 (en) 2011-02-16 2015-05-19 Reza Mohajer-Shojaee Laparoscopic cannula with suturing capability
WO2013101730A2 (en) 2011-12-27 2013-07-04 Coopersurgical, Inc. Suture passer guides and related kits and methods
WO2013103682A2 (en) * 2012-01-04 2013-07-11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tissue closure
EP2825101A4 (en) * 2012-03-13 2015-12-16 Suture Ease Llc NEEDLE AND GUIDING APPARATUS FOR ANSE-SHAPED LOOP FOR SUTURE WIRE PASSAGE
WO2013172916A1 (en) * 2012-05-18 2013-11-21 Coopersurgical, Inc. Suture passer guides and related kits and methods
US9364209B2 (en) * 2012-12-21 2016-06-14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Articulating suturing device
WO2015047654A1 (en) 2013-09-25 2015-04-02 Medtronic Vascular Inc. Suturing device for sealing an opening in a blood vessel or other biological structure
CA2933197C (en) 2013-12-09 2020-04-28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Laparoscopic fascial closure system
AU2015213812B2 (en) * 2014-02-07 2019-07-25 Medeon Biodesign, Inc. Suture delivery device for suturing tissue
US10327761B2 (en) * 2014-02-07 2019-06-25 Medeon Biodesign, Inc. Suture delivery device for suturing tissu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4948A (en) * 1997-04-14 1999-11-16 Hasson; Harrith M. Device for closing an opening in tissue and method of closing a tissue opening using the device
US20060030868A1 (en) * 2004-08-05 2006-02-09 Bennett Richard M Iii Laparoscopic port site closure tool
US20070203507A1 (en) * 2005-08-26 2007-08-30 G-Surge Medical Solutions, Inc. Suturing apparatu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1804A1 (en) 2018-02-15
EP3496627A1 (en) 2019-06-19
IL264759A (ko) 2019-03-31
AU2017311506B2 (en) 2022-09-08
IL264759B2 (en) 2023-09-01
EP3496627A4 (en) 2020-02-26
CN110213996B (zh) 2022-08-30
CN110213996A (zh) 2019-09-06
JP2019524329A (ja) 2019-09-05
MX2019001716A (es) 2019-09-13
JP7007363B2 (ja) 2022-01-24
KR102504401B1 (ko) 2023-03-02
CA3033703A1 (en) 2018-02-15
AU2017311506A1 (en) 2019-03-07
IL264759B1 (en) 202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39783A1 (en) Laparoscopic port site closure tool
CA2562862C (en) Suture device
US20110190793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uturing of cardiac openings
EP3102120B1 (en) Suture delivery device for suturing tissue
US10327761B2 (en) Suture delivery device for suturing tissue
EP280680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rt valve repair
KR102504401B1 (ko)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장치
IL178986A (en) Sutu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