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848A -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848A
KR20190040848A KR1020170131709A KR20170131709A KR20190040848A KR 20190040848 A KR20190040848 A KR 20190040848A KR 1020170131709 A KR1020170131709 A KR 1020170131709A KR 20170131709 A KR20170131709 A KR 20170131709A KR 20190040848 A KR20190040848 A KR 20190040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work
job
process table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907B1 (ko
Inventor
양경옥
Original Assignee
양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옥 filed Critical 양경옥
Priority to KR1020170131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9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848A/ko
Priority to KR1020210177199A priority patent/KR102492260B1/ko
Priority to KR1020210177201A priority patent/KR102492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907B1/ko
Priority to KR1020220011189A priority patent/KR20230015261A/ko
Priority to KR1020230008204A priority patent/KR20230015494A/ko
Priority to KR1020230008167A priority patent/KR20230016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entil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및 산업현장에서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네트워크 공정표상의 작업(Activity)간 안전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내용을 제어부가 분석하여 평가하므로써 위험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평가하여 예방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표를 이용한 위험성 평가 방법은,
공사관계자들이 각각의 작업에 대하여 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내적 및 외적 사항들을 규정하고 병행 선행 후행 작업과의 관계를 판단하여 안전기준을 설정하는 제1단계 ;
각 협력사가 공사를 진행하면서 공정표를 작성하는 제2단계 ;
제어부가 공정표의 내용을 분석하는 제3단계 ;
제어부가 상기 제2 또는 3단계의 공정표의 내용이 상기 제1단계의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여 작업별 위험성을 평가하는 제4단계 ; 및
상기단계 비교결과, 안전기준을 초과하면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는 제5단계 ;
로 이루어져 공정표를 작성하면 작업별 위험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므로서 재해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afety Information Generation by Reading Schedule Bar Charts in Construction and Industrial Project}
본 발명은 건설 및 산업건설 현장에서 공사중 발생하는 안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설 토목 건축 전기 설비 공종의 다수 협력사가 작성하는 공정표의 공사진행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가 선행작업이 완료되지 않거나 후행작업이 뒤따라 오지 못하는 경우, 동일한 공간에서 위험작업이 병행하는 경우에서의 위험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OECD 산업재해는 10만 명당 사망자수가 3.0명, 한국은 7.0명으로서 OECD의 2배 수준이다(중앙일보 2017.08.28).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6년도 산업재해 발생현황을 보면, 전체 산업재해자 수는 9만 656명으로 시간당 10명 이상의 재해자가 발생하는 셈이다. 그중 건설재해자 수는 전 산업 대비 29.3%나 되었고, 총 사망재해자 수는 1,777명으로 5시간마다 1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건설사망자 수는 전 산업 대비 31.2%나 된다.
2016년 사고재해 사망자 수는 전 산업 969명이었고 그중 건설업 사고재해 사망자 수는 499명으로, 전 산업 대비 51.5%나 되었다(건설경제 2017.05.25).
건설공사 현장에서의 공사중 발생하는 재해 예방을 위하여 근로자 안전교육, 작업 착수전에 위험을 평가하는 제도시행, 관련 제도 개선, 시설 및 인적투자의 확대, 벌점 및 처벌강화 등의 노력이 계속 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재해가 감소하지 않은 원인은 다음과 같은 원인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건설기술의 발달로 하늘위로 높이 올라가는 고층 빌딩과 고층 아파트 공사가 많아 졌고, 수평적으로 넓게 퍼지는 대형 쇼핑몰과 대규모 공장 컴플렉스와 함께 지하 깊이 파고 들어가는 공사가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작업자수가 하루에 수천 명까지 출역하여 수직 수평으로 많은 공간에 분산되어 작업하고, 수십 또는 백개 이상의 가설 건축 전기 설비의 작업이 상호간에 복잡하게 진행되어 시공사의 작업관리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안전관리자의 인원을 확충하는데 한계가 있다.
안전을 관리해야 할 대상이 방대해지고 복잡해지는 반면 인력에 의한 전통적인 관리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력 위주의 안전 관리는 관리자가 공사 경험이 부족한 경우, 특정 공간에 안전상의 문제가 있지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착각, 안전 시설물을 무단 해체 또는 이동하는 것, 선후행 공종간에 소통이 안이루지는 것, 금지 구역을 작업자가 모르게 들어가는 것, 안전시설물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것 등이 있다.
다음은 안전전문가의 기고이다.
안전 관련 전문가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이 재해의 4원칙 중 원인연계의 원칙이 있다. 모든 재해는 그 발생 원인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건설재해 중 가장 억울한 것은 재해자는 아무리 안전작업 절차를 준수하여 작업을 하였더라도 선행 공정에서 잘못된 작업조건을 만들어 둔 상태이면 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예들은 건설재해 대부분의 경우에서 발생하고 있다(건설경제 2017.05.25).
위와 같은 종래의 안전관리 방식은 한정된 인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방대하고 복잡한 작업이나 안전시설이나 장비 및 작업자를 관리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다.
안전관리 관련 문서로서 위험성평가서,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야간작업허가서, 작업일보 등이 있다.
먼저 위험성평가서의 경우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공사초기에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또는 안전관리계획서, 시공계획서를 작성할 때에 초기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해당 작업전 현장 상황을 고려하여 위험성평가서를 작성하며 자재반입부터 시공 자재반출까지 작업을 세부단위로 구분하여 공정표를 작성한다.
단위작업이 구분되면 작업에 대해 위험요소(인적요인, 기계적요인, 전기적요인, 재료적요인, 작업특성 요인, 작업환경요인 등)를 파악한다. 파악된 위험요인에 대한 현장에서 조치 가능한 안전대책 수립하여 작성자와 공사담당자, 안전관리자 등 검토 등 위험성을 결정한다.
해당공종 시작 전주에 집계를 하여 위험성평가회의(작성협력업체, 시공사 공사 및 안전 직원, 현장소장 참석)를 실시한다. 선정된 위험요인에 대한 안전대책을 언제 누가 조치하고 확인하는지 결정하고 작업실시 전일까지 전달교육을 실시한다.
한편 위험성 평가서는 중요하며 위험등급이 높은 작업을 위주로 하여 전체 작업중 일부를 평가하며 협력사의 개인적인 능력에 따라 평가 내용이 작성되고 있다.
따라서 위험성 평가서는 전체 작업을 대상으로 하지 않아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작업이 있다. 특히 인테리어 등 마감공사 기간중에는 수많은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위험성 평가서 작성과 평가 회의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주요한 작업만 선별하여 관리할 수 밖에 없다.
또한 평가의 내용이 협력사의 작성자 능력에 따라 달라지는 주관적인 면이 크다.
평가 대상작업의 현황을 날짜별로 시계열상에서 종합적으로 알기 어렵고 특정작업에 대하여 선후관계를 갖는 병행작업 선행작업 후행작업으로 종합적으로 기술하기 곤란하다. 수십 개의 협력사 중 소수인원이 출역하는 사무실이나 컴퓨터가 없는 공종의 경우 평가서 작성이 어려운 면도 있다.
한편 공정표는 X축에 시간 날짜를 나타내고 작업내용을 막대 모양의 바챠트(Bar Chart) 또는 칸트챠트(Gantt Chart)로 표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어떤 작업이 언제 시작해서 언제 끝나는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공정표는 작업에 대한 막대표시로서 언제 진행되는지를 나타내지만 안전에 관한 어떠한 정보도 포함하지 않는다.
안전관리와 공정표는 각기 다른 목적으로 분리되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주요한 작업을 위주로 위험성을 평가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현장내의 모든 작업을 대상으로 위험성을 평가하는 전수조사 개념을 도입한다. 안전재해는 주요한 작업 뿐만 아니라 경미한 작업에서도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특정 공간에서의 시각적으로 보이는 문제위주로 재해 원인을 파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분석 방법이외에도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작업과 후행작업의 인과관계를 시계열상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종래의 개인의 경험 및 능력 위주의 안전관리로부터 미리 다수 전문가들이 검증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안전 기준으로부터 정량적이고 즉시적으로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협력사가 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장비 가설재 등의 위험성을 평가한다.
같은 작업공간에서 위험한 다른 작업이 무엇인지 규정한다.
선행작업이 미치는 영향, 후행작업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선후행 작업이 어떤 상태이어야 지금 작업이 안전한지를 시계열상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특정 작업이 위험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객관적인 데이터 기준 법령 규정 사례 전문가 의견 등을 통해 위험성 평가 기준을 설정한다. 안전 시설물에 관한 기준(높이, 강도, 크기, 설치시점, 존치기간, 해체시점), 작업조건에 관한 기준(온도, 습도, 바람, 유독가스, 조명, 감전, 압력 등 건축 가설 전기 설비 작업조건), 선행작업의 일정차이(선행작업이 완료되지 않으면 안되는 조건), 후행작업과의 일정차이(후행작업이 뒤따라 오지 않으면 않되는 조건)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료는 공종별 작업별로 분류하여 DB화한다.
작업정보의 수집방법은 별도의 추가적인 노력이나 제도 인력을 투입하지 않고 종래부터 해오는 마스터(전체) 공정표, 월간공정표, 주간공정표를 활용한다.
위험성 평가는 제어부가 공정표로부터 분석된 내용과 안전기준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작업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에는 위험도가 높거나 주요한 작업에 한하여 위험성을 평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진행되는 거의 모든 작업을 대상으로 위험을 평가할 수 있다. 모든 작업에 대한 전수조사를 할 수 있다.
기존의 안전관리 활동이외에 추가적으로 인력, 노력, 시간, 제도, 시스템을 투입하지 않고도 종래에 해오던 공정표를 작성하는 것만으로도 위험을 체계적이고 즉시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위험성평가가 평가자 개인의 역량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는 주관적인 면이 강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전문가 집단의 의견, 법령, 법규, 안전기준, 사례 등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안전 기준을 사전에 작성하므로 위험성 평가가 정밀화된다.
종래에는 특정작업을 위험하게 하는 선행작업 또는 후행작업을 분석하기 어려웠고 분석하는 경우에도 분석자가 수작업으로 분석함으로서 시간과 노력이 크게 소요되었고 내용도 주관적인 면이 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작업과 관련된 선행 또는 후행작업이 상태에 현재 작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작업 자체의 문제뿐만 아니라 특정작업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환경(다른 공종, 선후행작업, 상하좌우 작업)과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종래에는 각 협력사가 작성한 공정표를 통해 작업이 어느 정도 진행되는지 또는 계획대비 늦은지 빠른지 공사의 속도를 파악하는데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작업의 정보를 기록한 공정표가 공정표 상의 작업들의 상태를 분석하여 어떤 작업이 위험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공정표에는 어떤 작업의 착수일과 완료일, 진도율 등이 포함되므로 현장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 수 있고 나아가 안전분야에서 활용하므로써 안전을 보다 정밀하고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정표를 이용하여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안전정보 서버(20), 단말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공정표 양식.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시공사와 협력사간의 안전정보 업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작업에 대한 안전기준을 설정한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작업을 하는 협력의 공정표를 나타낸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피복 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공정표를 나타낸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배관 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공정표를 나타낸 예.
도 9는 도 6, 7, 8에서 작성한 공정표가 통합되어 표시된 예.
도 10은 도 9의 통합공정표를 분석하여 위험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정표를 이용하여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안전정보 서버(20), 단말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서버(20)는 안전정보를 입력받고 판단하고 단말기(10)로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단말기(10)는 공정표나 안전정보를 입력하고 조회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정보 서버(20) 기능 구성은 제어부(21), 공정표 데이터베이스(22),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3) 및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4)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1)는 공정표를 공정표 데이터베이스(22)를 저장하고 안전과 관련된 기준을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한다. 그리고 공정표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작업내용을 읽고 위험성 평가를 실시한 후 결과자료를 안전정보 데이터 베이스(24)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공정표 데이터베이스(22)는 가설 토목 건축 전기 설비 기타 등 공종별 협력사들이 작성한 공정표를 저장한다. 공정표는 공정표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하며, 프라마베라, MS-Project 등이 있다.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3)은 특정작업에 대한 안전기준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작업명은 정화조 청소이며 안전기준 및 수칙은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측정과 환기를 실시하고 공기호흡기 또는 산소마스크 착용 등이다.
황화수소는 그 농도가 20~30ppm이 되면 후각신경세포가 피로하게 되며, 그 이상의 농도로 증가되더라도 느끼지 못하게 된다. 100~200ppm의 농도로 되면 후각신경이 마비, 황화수소에 대한 거부감이 감소되며 보다 높은 농도의 황화수소에 대한 경계도 저하됨으로써 위험으로부터 탈출할 기회를 잃게 된다. 황화수소의 농도가 700ppm을 초과할 경우 혈액 중 산화능력을 초과, 신경세포를 공격하여 신경독성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3)은 또한 특정작업에 대한 선행작업의 조건 또는 후행작업의 조건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특정설비 공종의 작업에 있어서 선행작업에서 밸브를 잠갔는지 여부가 중요한 경우이다. 밸브를 일시적으로 열고 닫지 않은 경우 후속공종에서 작업을 진행시 폭발이나 배관이 터지는 경우이다.
후행작업의 조건으로는 특정작업이 화재위험성이 높은 재료를 단열재를 뿜칠하는 경우 도장재료를 감싸는 내화재료 도포 작업이 뒤따라야 한다. 후행작업이 착수되지 않거나 늦게 뒤따라오는 경우 단열재 도장이 크게 노출되어 화재 위험이 높아진다. 현재 작업인 단열재 뿜칠과 후행작업인 내화재료 도포 작업간의 일정차이 또는 공정율 차이 등을 설정한다. 이러한 차이는 층수, 면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현장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4)는 제어부(21)가 분석한 위험성 평가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는 작업정보 데이터베이스(24)로부터 작업 A가 현재 평가시점에 지하 4층 천정에 단열뿜칠을 하고 있으며 전체 면적의 75%를 뿌렸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선행작업 조건, 후행작업 조건이 있는지를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로부터 읽는다. 후행작업조건으로서 내화재료 도포 작업(작업 B)은 작업 A가 착수한 날로부터 2일이내에 착수하여야 한다.
또는 작업 A와 작업 B의 공정율 차이가 30%를 넘으면 화재 위험도 중간, 60%를 넘으면 화재 위험도 매우 높음으로 판단한다. 또한 같은 층이나 실에 전기용접이나 가스용접 작업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있다면 화재위험이 높다고 평가한다. 위와 같이 분석된 결과를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한다.
도 3은 종래의 공정표의 예이다. 공정표 작성 프로그램중 대표적인 프리마베라 를 작성된 공정표이다.
공정표는 작업의 명칭(위치), 작업일수, 시작일자, 완료일자, 진도율, 작업선후관계를 포함하여 작성된다. 공정표는 사람처럼 출생 사망 연령 아버지 자손 친척관계를 표시하는 것과 같이 그 사람의 정보뿐만아니라 주변환경까지도 알 수 있는 많은 정보를 함축하여 표시한 도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시공사와 협력사간의 안전정보 업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를 참조하면, 시공사와 협력사는 특정작업에 관한 안전기준을 작성한다(S10).
예를 들면 정화조 청소작업에 대한 안전기준 및 수칙은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측정과 환기를 실시하고 공기호흡기 또는 산소마스크 착용 등이다.
전기 설비의 경우에는 작업의 순서를 정립하고 선행작업의 완료되지 않거나 현재 상태가 어떠한 경우에는 후속작업이 착수하여서는 아니된다 라는 조건을 설정한다. 전기실 공사의 경우에는 전기가 들어온 상태에서는 어떠한 작업은 실시할 수 없다라고 하는 기준이다. 건축의 경우에는 안전시설이 구분되지 않으면 작업을 착수할 수 없다와 같은 조건이다.
안전기준이 작성되면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3)에 체계적으로 저장한다(S20). 여기서 체계는 현장공사 특성에 맞는 작업분류체계(Work Breakdown System)를 작성하거나 종래의 토목 건축 전기 설비 공종 코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제 공사가 시작되면 협력사는 공정표를 작성한다(S30). 예를 들면 설비공사에서 지하 4층 기계실의 설비 수직 배관이 시작되면 작업내용을 공정표상에 표시한다. 인원이나 장비 안전관련 사항도 포함할 수 있다. 공정표는 공사전체기간을 작성하는 마스터 공정표, 그리고 주간단위로 작성하는 주간공정표가 있다. 이중 주간공정표는 내용이 세부적이고 상세한 수준이므로 작업의 위험성 평가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공정표가 작성되면 다음 단계로 위험성 평가를 실시한다(S40). 제어부(21)는 공정표로부터 작업정보를 읽는다. 또한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3)로부터 특정작업과 관련된 안전기준을 읽는다. 그리고 작업정보와 안전기준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안전기준을 초과하면 위험이 있다고 정량적으로 판단한다. 판단결과를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4)에 체계적으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단열뿜칠을 하는 공간에 용접작업이 있는 경우 단열뿜칠은 화재가 날 수 있는 재료이므로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또한 단열뿜칠의 시작일이나 진도율과 후속작업 조건인 내화재료 도포작업의 착수 진도율을 비교하여 기준을 벗어나면 위험이 있다고 평가한다. 설비의 경우 금일 특정라인의 배관 기압테스트가 있는 경우, 전일에 수증기가 배출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배관내 수증기가 배출되지 않으면 기압 테스트 중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전기의 경우 전기실에 전기가 들어오는 경우, 물과 관련된 작업이 들어가면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전기를 차단해야 한다. 또한 전기실 위층에 물과 관련된 작업이 있는지 판단하여 누수시 아래층의 전기실로 물이 들어갈 수 있는지 판단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1)는 특정작업에 대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자체의 준비 시설물 장비 측정한다. 또한 특정 작업을 둘러싸고 있는 선행작업, 후행작업조건, 작업프로세스, 상하좌우 공간에서 벌어지는 작업이 미치는 위험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이외에도 제어부(21)는 안전기준(23)에 설정된 기준을 참조하여 현장내의 모든 작업에 대하여 작업간의 상호 영향과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제어부(21)의 판단결과, 공정표의 내용중 작업내용이 누락되거나 판독이 어려운 경우 필요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질의를 작성한다. 질의에 대하여 협력사나 시공사의 관리자는 내용을 확인하여 공정표(22)를 수정하거나 답변을 작성하면 제어부(21)는 답변을 참조하여 상기 위험성 평가(S40)를 다시 실시한다(S50).
다음으로 제어부(21)는 위험성 평가(S40~S50)가 완료되면, 평가결과를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고 평가가 완료되었음을 단말기(10)로 출력한다(S60).
예를 들어 모든 협력사를 총괄하는 원청 시공사는 모든 안전정보(24)를 열람할 수 있다. 방수공사 협력사는 방수공사에 관한 위험성 평가 내용을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조회한다.
추가적으로 제어부(21)는 위험에 관한 조치방법이나 절차서 법규 규정 등의 대책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대책정보는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3)에 미리 작성되어 활용될 수 있다.
시공사나 협력사 작업자는 상기 위험성 확인(S60)단계에서 내용을 확인한 후 필요한 안전조치를 취한 후 조치결과를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4)에 입력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현장의 특정작업에 대한 실시예를 도 5부터 도 10까지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작업에 대한 안전기준을 설정한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하층 단열을 위해 폴리우레탄폼을 천정에 시공하는 공정이며 지하 4층부터 지하1층까지이며 협력사는 ○○ 회사이다.
먼저 첫 번째 칼럼에는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시하는 안전기준 항목을 나타내고 있다. 두 째 칼럼에는 안전기준이 설정된다.
먼저 첫 번째 칼럼의 첫 번째 항목인 작업자체 점검사항은 단열재인 폴리우레탄폼을 시공중 ○○회사가 지켜야할 안전기준이다. 폴리우레탄폼을 시공하기 위한 장비와 가설비계를 점검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동일한 작업공간내 위험작업으로서 폴리우레탄폼을 시공하는 층과 공간내에서 다른 공종과 같이 작업함으로써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설정한다. 예를들어 설비배관공사, 용접, 가설전등, 고속절단기, 신나, 페인트라는 단어나 의미가 다른 협력사에 의해 동일한 공간에서 같이 진행되면 화재가 날수 있다. 천정에 뿌려진 폴리우레탄폼은 불에 약하여 연소할 수 있으며 유독가스를 뿜어 중대재해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세 번째 항목은 선행작업 조건으로서 현재의 작업을 시공하는데 먼저 시공되어야 하는 작업이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현재 하려는 작업이 외벽 석공사이면 외부비계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네 번째 항목은 후행작업 조건으로서 현재의 작업을 시공하는데 나중에 뒤따라 오는 작업이 어떠한 상태이어야 또는 현재의 작업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설정한다.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폼은 화재에 약하므로 폴리우레탄폼을 천정에 시공한 후 후속공정으로서 내화피복이 그 위에 뿌려져 화재가 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폴리우레탄폼을 천정에 다 시공했는데도 불구하고 보호재료인 내화피복이 뿌려지지 않거나 뒤따라오는 속도가 느리다면 불꽃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일정차이란 폴리우레탄폼과 내화피복이 며칠 차이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다.
1일 내지 2일은 폴리우레탄폼이 뿌려지는 범위가 크지 않으므로 화재시에도 피해가 제한적이지만 3일 이상 차이가 나거나 두 공정율이 40%이상 차이가 나면 내화피복이 폴리우레탄폼이 노출되면 면적이 많아져 화재위험과 피해가 커진다.
상기 일정차이와 진도율 차이는 본 발명에 따라 새롭게 제시되는 것이므로 기준은 공사관계자들이 공사공간과 뿜칠 면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번째 항목은 상하좌우 공간내 위험작업으로서 현재 작업에 대하여 위층 아래층 옆에서 시공될 때 위험한 상황이 되는 작업의 종류를 선정하여 기술한다. 예를들어 상하동시 작업으로 인한 낙하 재해, 위층에서 물이 쏟아질 수 있는 작업을 시행하므로 아래층의 전기실로 물이 들어갈 경우, 고압전기에 의한 전기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같은 공간내에서의 불안전한 작업에 중점을 두었다면, 본 발명에서는 선행작업과 후행작업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점이 큰 특징이다. 특정공간이 완성되고 마감공사와 전기 설비공사가 진행되는 과정은 단독적인 작업보다는 직렬적인 관계로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안전기준은 종래의 관련 법규나 지침을 활용하지만, 추가적으로 안전재해 예방을 위하여 공정관리 개념을 도입하여 시계열상에서 작업간에 영향을 주고 받는 것을 분석하고 그 영향의 범위를 제한하여 안전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은 효과가 매우 크다고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현장에서 진행되는 모든 작업의 상태를 공정표를 통해 가능한한 최하위레벨에서 매일 파악하고 상기 안전관리 기준을 벗어나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본다. 문제를 아는 것이 제일 중요하며 해결방안은 현재 기술로 충분히 수립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다음단계로서 도 6 내지 도 8은 주간 공정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작업을 하는 협력사의 공정표를 나타낸 예이다. 종래의 공정표와 유사하며, 엑셀이나 PMIS의 웹상에서 작성할 수 있으며, 공정표 작성 전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첫 칼럼에는 협력사가 전주 금주에 시공하는 작업목록, 두 번째 카럼은 작업일수, 세 번째는 작업의 시작일자, 네 번째는 작업의 완료일자가 표시된다. 오른쪽 바차트 막대 표시영역에는 작업의 시작 및 완료일자에 맞춰 막대가 표시되어 시각적으로 공정진행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공정표를 보면 지하 4층 기계실과 지하 1층 A존에서 천정에 폴리우레아폼을 뿌리는 작업들이 진행되고 금일에 지하 1층 B존에 작업이 착수한 것을 나타낸다.
협력사는 자기 회사의 작업자들이 어디에서 어떤 작업을 하는지 잘 알고 작업지시를 내리므로 그러한 내용으로 공정표를 작성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피복 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공정표를 나타낸 예이다. 도 6의 폴리우레아폼 뿜칠작업이 진행되면 그 위에 도 7의 내화피복을 뿌리는 작업이 뒤따라 간다. 도 6은 현재 작업이고 도 7은 후행작업이다. 도 6과 도7의 거리가 멀어지면 화재 위험이 높아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배관 작업을 하는 협력사가 작성한 공정표를 나타낸 예이다. 지하 4층 기계실에 작업이 진행됨을 기술하고 있다.
이상으로 다수의 협력사들이 작성하는 공정표 중 지하4층 기계실과 관련된 공정표를 도 6, 도 7, 도 8과 예시를 타나내었다. 협력사들은 도 6내지 도 8와 같이 자기 회사가 하고 있는 공정표를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각각의 협력사가 공정표를 작성하면 페이지 수가 많으므로 원청시공사 입장에서는 한 곳에 모을 필요가 있다. 도 9에는 도 6, 7, 8에서 작성한 공정표가 통합되어 표시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의 통합공정표를 분석하여 위험성을 평가 한 결과를 나타낸 예이다. 폴리우레아폼 뿜칠은 9월 27일 착수하여 작업이 끝나가고 있으나 화재예방을 위한 내화피복 공사는 10월 1일 늦게 착수하여 폴리우레아폼이 화재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제어부(21)는 일정차이와 공정율 차이가 후행작업 조건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고 그 위험성 평가 결과를 표시하고 있다. 그 평가 내용을 보면 지하 4층 기계실에서 10월 1일 현재 폴리우레아폼 뿜칠은 천정에 80%로 거의 다 뿌려지고 있으며 같은 실내 바닥에서는 설비 스프링클러 소화배관 설치작업을 위하여 파이프 배관을 고속절단기로 자르고 배관 연결부품을 신나에 세척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그리고 내화피복 공사는 이제 시작하려고 한다.
파이프를 절단기로 자르면 불꽃이 날아다니고 신나에 붙으면 불이나고 천정으로 옮겨붙는 경우 폴리우레아폼의 대부분이 불이 붙게 된다. 후속공정인 내화피복 뿜칠이 늦게 따라오기 때문이다.
현재 기계실은 여러 공종이 작업하면서 화재의 위험이 매우 높음을 평가하고 있다.
과거 지하층에서 폴리우레아폼에 불이 붙어 연기로 인한 중대재해 사고는 여러 차례 뉴스에 보도된 바 있다.
사고원인을 일반적으로 원인을 절단기와 신나의 불꽃의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가정의 예시를 통해 보면 사고원인을 해당공간에서의 다른 작업 뿐만 아니라 추가로 상하작업과 선행공정과 후행공정의 조건을 시계열상에서 입체적으로 분석해 보면, 후속공정인 내화피복이 늦게 착수하여 뒤늦게 따라 오면서 폴레우레아폼을 불꽃으로부터 내화피복을 통해 보호하지 못한 것도 원인이다. 본 발명의 적용을 통해 내화피복의 착수가 늦을 점을 사전에 지적했다면 조치를 통해 화재가 발생하지 않거나 피해가 크지 않았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한가지의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및 산업현장에서 진행되는 모든 공간에서의 작업에 대하여 미리 체계적으로 설정된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중대재해부터 경미한 재해까지 각종 위험을 신속 정확하게 평가하므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공정표와 안전기준 안전성평가 데이터베이스는 상용 전문적인 공정관리 프로그램인 프리마베라, MS-Project내에 기능을 추가하여 공정표 작성 프로그램 자체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공정표 작성 프로그램이 공정표 작성에만 사용되었다면, 프로그램내에 안전관리 기능이 추가되는 형식이다.
공정표는 모든 공사정보를 가지고 있는 상태이므로 위험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PMIS내에 안전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추가하고 공정표는 전문 프로그램인 프리마베라, MS-Project 또는 엑셀 파일로 작성하고 그 파일을 읽어서 활용할 수 있다.
공정표는 작업의 이름과 시작날짜 완료날짜를 가지고 바챠트 칸드챠트로 표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공정표는 어떤 작업들이 있으며 언제 시작해서 언제 끝나는 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공정 또는 공사일정에 관한 정보를 갖는 문서를 포함한다.
단말기(10)
안전정보 서버(20)
제어부(21)
공정표 데이터베이스(22)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22)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24)

Claims (15)

  1. 산업현장에서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정표를 이용한 위험성 평가에 있어서,
    공정표의 내용을 저장하는 공정표 데이터베이스;
    작업의 안전기준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
    상기 공정표의 공사정보와 상기 안전기준과의 비교를 통해 작업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작업의 위험성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표는 작업에 대하여 명칭, 작업위치, 시작시간 또는 완료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표는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용 상용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공정표;
    스프레드 쉬트 엑셀을 이용하여 작성된 공정표;
    PMIS상에서 작성된 공정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준은 작업이 갖추어야 할 안전시설물의 설치 상태, 가스 온도 습도 물의 환경 상태, 작업순서나 절차상의 상태, 선행작업이 갖추어야 할 조건 (착수, 완료, 일정차이, 공정율), 후행 작업이 갖추어야 할 조건(착수, 일정차이, 공정율), 상하좌우 공간에서 진행되는 작업에 대한 제한 조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준은 특정작업에 대하여 병행작업, 선행작업, 후속작업과의 관계를 설정하되;
    상기 관계는 착수, 완료, 일정 차이, 진도율 차이 중 하나에 관한 기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준은 작업분류체계, 작업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작업을 층별 실별 계통별로 분할한 작업목록, 안전대책 및 조치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공정표상의 작업에 관한 정보를 읽고 안전기준에서 설정한 조건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되;
    해당작업 자체의 수행에 필요한 안전조건과의 비교,
    동일한 시간에 진행되는 다른 공종이 미치는 영향을 규정한 조건과의 비교,
    선행작업이 어떠한 상태이어야 하는지 규정한 조건과의 비교,
    후행작업이 어떤한 상태이어야 하는지 규정한 조건과의 비교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여 위험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작업에 대하여 병행작업, 선행작업, 후행작업과의 착수 또는 완료, 일정차이, 진도율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위험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9. 산업현장에서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정표를 이용한 위험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공정표를 작성하여 공정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작업의 안전기준을 설정하여 안전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제어부가 공정표의 내용을 읽고 작업내용이 상기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여 위험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표는 작업명칭과 위치를 기본으로 하고 시작시간 또는 완료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준은 작업이 갖추어야 할 안전시설물 설치 상태;
    가스 온도 습도 물의 환경 상태, 작업순서나 절차상의 상태;
    선행작업이 갖추어야 할 조건 (착수, 완료, 일정차이, 공정율);
    후행 작업이 갖추어야 할 조건(착수, 일정차이, 공정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준은 작업분류체계, 작업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작업을 층별 실별 계통 라인으로 분할한 작업목록, 안전대책 및 조치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기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협력사의 일자별 공정표를 읽고 해당작업에 대하여 안전기준에서 설정한 작업 자체의 조건과의 비교하거나 선행작업 조건과 비교하거나 후행작업 조건과 비교하거나 작업공간에서 동시에 하여서는 아니되는 작업의 종류와 비교하거나 상하좌우 공간에서 진행되는 작업과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위험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위험성 평가 대상 작업을 기준으로 병행작업, 선행작업, 후행작업과의 착수 또는 완료, 일정차이, 진도율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위험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15. 제9항에 따른 공정표를 이용하여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131709A 2017-10-11 2017-10-11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339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1709A KR102339907B1 (ko) 2017-10-11 2017-10-11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210177199A KR102492260B1 (ko) 2017-10-11 2021-12-13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KR1020210177201A KR102492261B1 (ko) 2017-10-11 2021-12-13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KR1020220011189A KR20230015261A (ko) 2017-10-11 2022-01-26 환기 장치
KR1020230008204A KR20230015494A (ko) 2017-10-11 2023-01-19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KR1020230008167A KR20230016243A (ko) 2017-10-11 2023-01-19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1709A KR102339907B1 (ko) 2017-10-11 2017-10-11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199A Division KR102492260B1 (ko) 2017-10-11 2021-12-13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KR1020210177201A Division KR102492261B1 (ko) 2017-10-11 2021-12-13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848A true KR20190040848A (ko) 2019-04-19
KR102339907B1 KR102339907B1 (ko) 2021-12-16

Family

ID=66283540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1709A KR102339907B1 (ko) 2017-10-11 2017-10-11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210177201A KR102492261B1 (ko) 2017-10-11 2021-12-13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KR1020210177199A KR102492260B1 (ko) 2017-10-11 2021-12-13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KR1020220011189A KR20230015261A (ko) 2017-10-11 2022-01-26 환기 장치
KR1020230008167A KR20230016243A (ko) 2017-10-11 2023-01-19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KR1020230008204A KR20230015494A (ko) 2017-10-11 2023-01-19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201A KR102492261B1 (ko) 2017-10-11 2021-12-13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KR1020210177199A KR102492260B1 (ko) 2017-10-11 2021-12-13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KR1020220011189A KR20230015261A (ko) 2017-10-11 2022-01-26 환기 장치
KR1020230008167A KR20230016243A (ko) 2017-10-11 2023-01-19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KR1020230008204A KR20230015494A (ko) 2017-10-11 2023-01-19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23399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941B1 (ko) * 2020-06-09 2021-05-04 (주)클라우드랩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KR20210054389A (ko) * 2019-11-05 2021-05-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위험도 평가방법
CN112926778A (zh) * 2021-02-25 2021-06-08 武汉科技大学 一种智慧安保系统火灾风险评估方法
KR102481223B1 (ko) * 2022-05-12 2022-12-26 주식회사 위솔루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557A (ko) * 2003-06-25 2005-01-07 안영국 일정기능을 갖는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06285639A (ja) * 2005-03-31 2006-10-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立会業務支援システム及び立会業務支援車両
KR20070004162A (ko) * 2005-07-04 2007-01-09 심영호 일정관리프로그램을 이용한 건설공사현황정보의통합관리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KR20120129550A (ko) * 2011-05-20 2012-11-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안전대책수립을 지원하는 안전요구사항 관리시스템
KR20130109496A (ko) * 2012-03-27 2013-10-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1940A (ko) * 2014-06-30 2016-01-07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산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20160049232A (ko) * 2014-10-27 2016-05-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 건설 안전보건환경관리 프로세스 모델링 구축 방법
KR20170006843A (ko) *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세이프티아 작업 속성 기반의 작업 위험도 산출 방법 및 장치
KR20170081880A (ko) * 2016-01-05 2017-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건조 현장의 안전 관리 정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759916B1 (ko) * 2016-05-20 2017-07-20 주식회사 세이프티아 공정 및 작업 위험도에 의한 위험지도 기반의 안전관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716B1 (ko) * 2004-03-24 2006-06-28 고호은 4차원 건설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관리정보제공방법
KR20090114242A (ko) * 2008-04-29 2009-11-03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업 여건 분석 시스템
JP6014356B2 (ja) 2012-04-26 2016-10-25 吉備システム株式会社 安全管理システム及び安全管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557A (ko) * 2003-06-25 2005-01-07 안영국 일정기능을 갖는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06285639A (ja) * 2005-03-31 2006-10-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立会業務支援システム及び立会業務支援車両
KR20070004162A (ko) * 2005-07-04 2007-01-09 심영호 일정관리프로그램을 이용한 건설공사현황정보의통합관리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KR20120129550A (ko) * 2011-05-20 2012-11-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안전대책수립을 지원하는 안전요구사항 관리시스템
KR20130109496A (ko) * 2012-03-27 2013-10-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1940A (ko) * 2014-06-30 2016-01-07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산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20160049232A (ko) * 2014-10-27 2016-05-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 건설 안전보건환경관리 프로세스 모델링 구축 방법
KR20170006843A (ko) *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세이프티아 작업 속성 기반의 작업 위험도 산출 방법 및 장치
KR20170081880A (ko) * 2016-01-05 2017-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건조 현장의 안전 관리 정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759916B1 (ko) * 2016-05-20 2017-07-20 주식회사 세이프티아 공정 및 작업 위험도에 의한 위험지도 기반의 안전관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안전보건경영 매뉴얼(Rev.1)", 서울시설공단 공사감독처, 2016년 2월 2일*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389A (ko) * 2019-11-05 2021-05-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위험도 평가방법
KR102247941B1 (ko) * 2020-06-09 2021-05-04 (주)클라우드랩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CN112926778A (zh) * 2021-02-25 2021-06-08 武汉科技大学 一种智慧安保系统火灾风险评估方法
KR102481223B1 (ko) * 2022-05-12 2022-12-26 주식회사 위솔루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점검 및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494A (ko) 2023-01-31
KR102492261B1 (ko) 2023-01-27
KR20210154794A (ko) 2021-12-21
KR20210154793A (ko) 2021-12-21
KR102339907B1 (ko) 2021-12-16
KR102492260B1 (ko) 2023-01-27
KR20230016243A (ko) 2023-02-01
KR20230015261A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996B1 (ko) 작업일보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492260B1 (ko)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Aneziris et al. Quantification of occupational risk owing to contact with moving parts of machines
US202203510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afety information by using daily operation report
KR20200121699A (ko) 건설현장 작업자 위치정보를 이용한 작업일보 생성을 통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Masood et al. Investigation for safety performance indicators on construction projects
Mohammadfam et al. Investigation of causes of plasco building accident in Iran using timed MTO and ACCIMAP methods: investigation of Plasco 4 building accident in Iran
Zhong et al. Safety evaluation of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projects in China
Amin et al. Bowtie analysis for risk assessment of confined space at sewerage construction project
Chellappa et al. Aiming at the improvement of safety at Indian construction workplace
Mei Dina et al.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isk Analysis in Construction Projec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KR20200120855A (ko) Pmis 내부의 온라인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Falahati et al. Multi-dimensional model for determining the leading performance indicators of safety management systems
US202202153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afety information using progress schedule
Kusuma et al. The Management of Medium Hazard Potential at Trimitra Sejati Jaya Ltd (Glue Production)
Brzezinska et al. Fire Risk Index Assessment as an Evaluation Method for Fire Strategies in the Process Industry
Kamardeen Strategic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or building projects in Singapore
Yu Analytical Approach to Improve Safety Incident Management: A Case Study
Ismail et al. BIM Capabilities towards Better Safety Climate in the Malaysian Construction Industry
Zehro Identification, determine and control of health, safety, and environmental hazards associated with the construction projects: State-Of-The-Art
Mučenski et al. Identification of injury risk in building construction–education, experience and type of work
Amin et al. Recent review on standards related to risk assessment for confined spaces
Purba Similarity Check: Turniti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isk Analysis in Construction Projec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urellina et al. Identification of Building Architectural Work Construction Safety Risks
Sivaprakash et al. An Investigation of Safety Management Elements in Small and Non-Small-Scale Engineering Indus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