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496A -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496A
KR20130109496A KR1020120031251A KR20120031251A KR20130109496A KR 20130109496 A KR20130109496 A KR 20130109496A KR 1020120031251 A KR1020120031251 A KR 1020120031251A KR 20120031251 A KR20120031251 A KR 20120031251A KR 20130109496 A KR20130109496 A KR 20130109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report
unit
date
com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9496A/ko
Publication of KR2013010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거 선박 건조 과정 및 시운전 기간 동안에 실제로 발생한 문제점, 지적 사항 등에 대한 정보에 의거하여 위험 요소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선박 건조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불일치 보고서 및 보증 요구 보고서와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선주 코멘트를 관리하는 보고서 관리부; 상기 불일치 보고서별, 보증 요구 보고서별, 선주 코멘트별로 위험 요소의 발생 영향도 및 발생 가능성에 의거하여 위험 순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험 순위에 의거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부; 및 상기 보고서 관리부 및 위험도 산출부와 연동하여 기간별 및 항목별로 위험 요소를 검색하고, 착수계획일, 완료계획일, 위험도 순으로 위험 요소를 정렬하여 제공하는 위험 요소 검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선박 건조 과정 및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선박 건조 과정 및 시운전 과정 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RISK}
본 발명은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과거 선박 건조 과정 및 시운전 기간 동안에 실제로 발생한 문제점, 지적 사항 등에 대한 정보에 의거하여 위험 요소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의 해양 구조물을 건조하는 과정 중에는 자재 및 장비의 성능 불량, 잘못된 도면 등의 이유로 인하여 선박 건조 현장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선박 건조 과정 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선박 건조 현장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기안하여 설계부서에 제출하고, 설계부서는 불일치 보고서(Non Confirmity Report:NCR), 보증 요구 보고서(Warranty Claim Report:WCR) 등의 리포트를 작성하여 선주 관련 부서로 제출한다.
한편, 건조가 완료된 선박에 대해 공장도 검사(Factory Acceptance Test:FAT), 예비 검사(VP), 해상 시운전(Harbor Acceptance Test:HAT), 항해 시운전(Sea Acceptance Test:SAT)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운전을 수행하는 중에도 장비 설치 결함, 불량, 미설치, 미부착, 장비 결함, 선주 요구 사항 등의 이유로 인하여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시운전 과정 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한 지적 사항에 대해 품질 경영부에서 선주 코멘트 등의 리포트를 작성하고, 해당 문제점에 대해 생산 부서 및 설계 부서에서 추적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박 건조 과정 중에 또는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하는 문제점들 중에는 반복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과거 선박 건조 과정 및 시운전 기간 동안에 실제로 발생한 문제점, 지적 사항, 대응 방안 등을 관리하고 있다가 차기 선박 건조 및 시운전 중에 이를 활용하여 선박 건조 과정 및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예측하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7552호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과거 선박 건조 과정 및 시운전 과정 중에 실제로 발생한 문제점, 지적 사항, 대응 방안 등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가 이를 활용하여 선박 건조 과정 및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예측 시스템은, 선박 건조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불일치 보고서 및 보증 요구 보고서와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선주 코멘트를 관리하는 보고서 관리부; 상기 불일치 보고서별, 보증 요구 보고서별, 선주 코멘트별로 위험 요소의 발생 영향도 및 발생 가능성에 의거하여 위험 순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험 순위에 의거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부; 및 상기 보고서 관리부 및 위험도 산출부와 연동하여 기간별 및 항목별로 위험 요소를 검색하고, 착수계획일, 완료계획일, 위험도 순으로 위험 요소를 정렬하여 제공하는 위험 요소 검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예측 방법은, 선박 건조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불일치 보고서 및 보증 요구 보고서와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선주 코멘트에 각각 자재번호, 장비번호, 도면ID, 도면번호, 작업번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병행 등재하여 관리하는 과정; 상기 불일치 보고서별, 보증 요구 보고서별, 선주 코멘트별로 위험 요소의 발생 영향도 및 발생 가능성에 의거하여 위험 순위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위험 순위에 의거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과정;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간별 및 항목별로 위험 요소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과정; 및 착수계획일, 완료계획일, 위험도 순으로 위험 요소를 정렬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선박 건조 과정 및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선박 건조 과정 및 시운전 과정 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예측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관리되는 보고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예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예측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예측 시스템은 작업번호 관리부(10), 보고서 관리부(20), 위험도 산출부(30), 위험 요소 검색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작업번호 관리부(10)는 각 호선 공정표 상에 있는 작업번호(Job No)를 관리한다.
작업번호는 작업내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작업활동, 착수계획일, 완료계획일, 공기(work duration) 정보를 담고 있다.
이러한, 작업번호는 N자리의 숫자로 구성되며, 호선이 다르더라도 작업번호가 동일하다면 동일한 작업내용 즉, 작업활동, 공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과거 호선(P103)과 현재 건조중인 호선(P129)이 동일한 작업번호(309100000)를 가지고 있다면, 두 호선 P103과 P129는 동일한 작업을 수행한 것이다.
한편, 보고서 관리부(20)는 선박 건조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불일치 보고서(NCR) 및 보증 요구 보고서(WCR)와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선주 코멘트(CMT)를 관리한다.
전술한, 보고서 관리부(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불일치 보고서(NCR), 보증 요구 보고서(WCR), 선주 코멘트(CMT)마다 관련 자재번호, 장비번호, 도면ID, 도면번호, 작업번호를 병행 등재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고서 관리부(20)는 선박 건조 중에 발생하는 제반 위험을 등록받아 관리하고, 불일치 보고서(NCR) 및 보증 요구 보고서(WCR) 발행 등의 관리 조치를 수행하며,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하는 제반 위험을 등록받아 관리하고, 선주 코멘트(CMT) 발행 등의 관리 조치를 수행한다.
한편, 위험도 산출부(30)는 위험의 정량화를 위해 불일치 보고서(NCR)별, 보증 요구 보고서(WCR)별, 선주 코멘트(CMT)별로 성능, 일정, 비용, 공정간(타 공정 간섭) 측면에서의 위험 요소 발생 영향도에 대해 표 1과 같이 척도를 평가한다.
위험영향 성능 일정 비용 타 공정 간섭(공정간)
심각 -심각한 기술적 성능 감소
-요구사항 충족 불가
-6개월 이상 일정지연
-주요일정 일탈
-일정 복구 기회 없음
-목표비용 10% 이상 증가 -관련 공정에 영향을 받는다.
-관련공정이 변경되거나 취소되면 대책이 없다.
높음 -높은 기술적 성능 감소
-요구사항 대부분 미충족
-3~6개월 이상 일정지연
-주요일정 지연
-일정 복구 불가능
-목표비용 7~10% 이상 증가 -일부가 관련 공정에 영향을 받는다.
-관련공정이 변경되거나 취소되면 대책이 없다.
중간 -보통의 기술적 성능 감소
-요구사항 부분적 미충족
-1~2개월 이상 일정지연
-복구노력필요
-일정주요일정지연
-정해진 일정 복구 불가능
-목표비용 5~7% 이상 증가 -일부가 관련공정에 영향을 받는다.
-관련공정이 변경되거나 취소되더라도 대책이 존재한다.
약간 -미미한 기술적 성능 감소
-요구사항 미미하게 충족불가
-1개월 미만 일정 지연
-주요일정 일탈
-미미한 일정 지연
-목표비용 5% 이상 증가 -최소한의 부분이 관련 공정에 영향을 받는다.
-관련공정이 변경되거나 취소되더라도 대책이 존재한다.
낮음 -기술적 성능 감소 없음
-요구사항 충족
-기술적 변경요구 없음
-일정 지연없음
-정해진 일정 복구 가능
-예산에 미치는 영향 미미함 -관련 공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위험 요소의 발생 빈도에 의해 위험 요소 발생 가능성을 표 2와 같이 척도를 평가한다.
발생빈도 정의 발생빈도
심각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 ≥50%
높음 여러번 발생 가능한 상태 20~50%
중간 한두번 발생 가능한 상태 5~20%
약간 발생은 가능하나 거의 일어나지 않은 상태 1~5%
낮음 거의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태 <1%
이후에는, 위험 요소의 발생 영향도에 대한 평가 점수에 의거하여 도 3과 같이 위험 순위를 산출하고, 발생 가능성에 대한 평가 점수에 의거하여 위험 순위를 산출한다.
발생 영향도 각 요소의
평가점수×2한
후 더함
-------->


발생 영향도 평가
성능 일정 비용 공정
낮음(1) 낮음(1) 낮음(1) 낮음(1) 2~13 낮음
약간(2) 약간(2) 약간(2) 약간(2) 14~20 약간
중간(3) 중간(3) 중간(3) 중간(3) 21~28 중간
높음(4) 높음(4) 높음(4) 높음(4) 29~34 높음
심각(5) 심각(5) 심각(5) 심각(5) 35~40 심각
그리고, 표 4와 같이 위험 요소 발생 영향도에 대한 위험 순위와 위험 요소 발생 가능성에 대한 위험 순위를 조합하여 표 5와 같이 위험도를 산출한다.
구분 발생 영향도
낮음 약간 중간 높음 심각




낮음 25 22 20 11 8
약간 24 21 14 10 7
중간 23 17 13 9 3
높음 19 16 12 5 2
심각 18 15 6 4 1
위험순위 위험도
1~6 H
7~19 M
20~25 L
위험 요소 검색부(40)는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보고서 관리부(20) 및 위험도 산출부(30)와 연동하여 기간별 및 항목별(자재번호, 장비번호, 도면ID, 도면번호, 작업번호)로 위험 요소를 검색하고, 착수계획일, 완료계획일, 위험도 순으로 위험 요소를 정렬하여 제공한다.
또한, 위험 요소 검색부(40)는 사용자의 조회 요청에 따라 각각의 불일치 보고서(NCR), 보증 요구 보고서(WCR), 선주 코멘트(CMT)에 대한 상세 내용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예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보고서 관리부(20)는 선박 건조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불일치 보고서(NCR) 및 보증 요구 보고서(WCR)와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선주 코멘트(CMT)에 각각 자재번호, 장비번호, 도면ID, 도면번호, 작업번호를 병행 등재하여 관리한다(S10).
이후에는, 불일치 보고서(NCR)별, 보증 요구 보고서(WCR)별, 선주 코멘트(CMT)별로 성능, 일정, 비용, 공정간(타 공정 간섭) 측면에서의 위험 요소 발생 영향도에 대한 척도를 평가하고(S12), 위험 요소의 발생 빈도에 따른 위험 요소 발생 가능성에 대한 척도를 평가한 후(S14), 위험 요소의 발생 영향도에 대한 평가 점수에 의거하여 위험 순위를 산출하고(S16), 발생 가능성에 대한 평가 점수에 의거하여 위험 순위를 산출한 후(S18), 상기한 과정 S16과 과정 S18을 통해 산출된 위험 순위를 조합하여 위험도를 산출한다(S20).
이후,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기간별 및 항목별(자재번호, 장비번호, 도면ID, 도면번호, 작업번호)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검색하여 제공하고(S22), 착수계획일, 완료계획일, 위험도 순으로 위험 요소를 정렬하여 제공한다(S24).
본 발명의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작업번호 관리부, 20. 보고서 관리부,
30. 위험도 산출부, 40. 위험 요소 검색부

Claims (5)

  1. 선박 건조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불일치 보고서 및 보증 요구 보고서와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선주 코멘트를 관리하는 보고서 관리부;
    상기 불일치 보고서별, 보증 요구 보고서별, 선주 코멘트별로 위험 요소의 발생 영향도 및 발생 가능성에 의거하여 위험 순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험 순위에 의거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부; 및
    상기 보고서 관리부 및 위험도 산출부와 연동하여 기간별 및 항목별로 위험 요소를 검색하고, 착수계획일, 완료계획일, 위험도 순으로 위험 요소를 정렬하여 제공하는 위험 요소 검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험 예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각 호선 공정표 상에 있는 작업번호를 관리하는 작업번호 관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예측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번호는,
    작업 활동, 착수계획일, 완료계획일, 공기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예측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서 관리부는,
    상기 불일치 보고서, 보증 요구 보고서, 선주 코멘트마다 관련 자재번호, 장비번호, 도면ID, 도면번호, 작업번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병행 등재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예측 시스템.
  5. 선박 건조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불일치 보고서 및 보증 요구 보고서와 시운전 과정 중에 발생한 문제로 인하여 작성된 선주 코멘트에 각각 자재번호, 장비번호, 도면ID, 도면번호, 작업번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병행 등재하여 관리하는 과정;
    상기 불일치 보고서별, 보증 요구 보고서별, 선주 코멘트별로 위험 요소의 발생 영향도 및 발생 가능성에 의거하여 위험 순위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산출된 위험 순위에 의거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과정;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간별 및 항목별로 위험 요소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과정; 및
    착수계획일, 완료계획일, 위험도 순으로 위험 요소를 정렬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험 예측 방법.
KR1020120031251A 2012-03-27 2012-03-27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9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251A KR20130109496A (ko) 2012-03-27 2012-03-27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251A KR20130109496A (ko) 2012-03-27 2012-03-27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496A true KR20130109496A (ko) 2013-10-08

Family

ID=4963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251A KR20130109496A (ko) 2012-03-27 2012-03-27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94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5860A (zh) * 2015-08-24 2015-11-18 臧兰恕 一种治疗阴虚火旺型肺痨的中药组合物
KR20190040848A (ko) * 2017-10-11 2019-04-19 양경옥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5860A (zh) * 2015-08-24 2015-11-18 臧兰恕 一种治疗阴虚火旺型肺痨的中药组合物
KR20190040848A (ko) * 2017-10-11 2019-04-19 양경옥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210154793A (ko) * 2017-10-11 2021-12-21 양경옥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장치
KR20210154794A (ko) * 2017-10-11 2021-12-21 양경옥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정보 생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Sustainable manufacturing performance evaluation: Integrating product and process metrics for systems level assessment
Wang et al. An application of nonlinear 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safety evaluation of coal mine
Ahuja et al. A case study of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implementation at precision tube mills
Zhou et al. Hazard rate models for early detection of reliability problems using information from warranty databases and upstream supply chain
Wang Integrated model of production planning and imperfect preventive maintenance policy for single machine system
Ahuja Exploring the impact of effectiveness of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strategies in manufacturing enterprise
KR20130088452A (ko) Lng 플랜트 설계단계 리스크 평가 방법 및 관리시스템
Al‐Mishari et al. Integrating Six‐Sigma with other reliability improvement methods in equipment reliability and maintenance applications
Kalpande et al. Reliability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of critical success factors of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Kaldas et al. An index-based sustainability assessment framework for manufacturing organizations
Mayo et al. Investigating efficiency utiliz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Case study of shipyards
KR20130109496A (ko) 위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JP2004191359A (ja) リスクマネージメント装置
Rajesh Grey Markov models for predicting the social sustainability performances of firms
Langston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contractor success and project innovation
Wang et al. Integrating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indicators for sustainable supply chains
Krivtsov Field Data Analysis & Statistical Warranty Forecasting
Donold Causes, effects and possible solutions of variation order in project performance
Delcea et al. KRI and firms' performance—A grey theory approach
Bruce et al. Competitiveness
Kharb Proposed CEM (Cost Estimation Metrics): estimation of cost of quality in software testing
Nielsen et al. An Australian railway bridge management framework
Chen et al. Optimal scheduling imperfect maintenance policy for a system with multiple random works
Boateng et al. Integrating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 total quality management: case study in pavement block industry
Prihandono et al. Shipbuilding Risks Analysis (Case Study of New Build Pertamina Tanker 3.500 DWT on PT. Dumas Tanjung Perak Shipy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