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770A -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 - Google Patents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770A
KR20190040770A KR1020170131162A KR20170131162A KR20190040770A KR 20190040770 A KR20190040770 A KR 20190040770A KR 1020170131162 A KR1020170131162 A KR 1020170131162A KR 20170131162 A KR20170131162 A KR 20170131162A KR 20190040770 A KR20190040770 A KR 20190040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information
free
user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준기
Original Assignee
㈜배리어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리어윙스 filed Critical ㈜배리어윙스
Priority to KR102017013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0770A/ko
Publication of KR20190040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찾고자 하는 배리어프리(barrier free) 시설물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입력받아 입력된 시설물과 연관된 장소들을 교통 약자가 접근이 가능한 정도를 반영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시설물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설물에 대한 상세한 배리어프리(barrier free) 정보를 모바일 단말에서 표시하는 단계와, 시설물에 대한 상세한 배리어프리 정보들 표시한 화면에서, 미리 등록된 배리어프리 정보와 실제 시설물의 배리어프리 정보가 다를 경우,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배리어프리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된 배리어프리 정보를 수정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배리어프리 정보가 업로드되면, 업로드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본인이 직접 배리어프리 장소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포인트 또는 봉사활동 시간을 인정을 받을 수 있어 다수의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배리어 프리 장소 정보를 업로드하고 업데이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METHOD FOR UPLOADING BARRIER FREE INFORMATION BASED ON CROWD SOURCING}
본 발명은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정보통신의 발전 및 모바일 기술 발전의 획기적인 변화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바일을 통해 공간정보 기반의 정보를 받고 활용하고 있지만, 지체장애인이나 이동이 불편한 노약자에게 필요한 정보는 등한시되고 있다. 특히 지리정보 기반의 편의시설들 및 접근성 정보를 확보하고 있지 못하는 등, 정보의 격차 및 정보환경의 질적 차이는 갈수록 심화 되는 추세다.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에 접속하여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시설들이 포함된 정보가 지체장애인 및 노약자에게 필요한 상황이나, 관련 정보를 빠르고 쉽게 얻을 방법은 부족한 실정이다.
장애인들 또는 노약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련 특허로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4-0113755 의 '장애인의 접근성 지표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과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4-0113768 의 ' 장애인의 이동 경로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등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선행 기술의 경우 장애인을 위한 시설물 정보를 업데이트 해야 할 경우 현장관리자가 현장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실제 건물이나 도로 등에 대한 현장 정보를 수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해당 시스템에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경우 그러한 시설들의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업로드를 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장애 시설물 정보를 업로드하는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장애 시설물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4-0113755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4-0113768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에게 접근 가능한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장소 정보(문턱높이, 층 , 엘리베이터 유무, 테이블과 의자의 이동가능 여부, 화장실 접근 가능 유무 , 장애인 화장실 유무, 주차장 유무, 및 장애인주차장 유무)를 사용자의 참여에 의한 크라우드 소싱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찾고자 하는 배리어프리 시설물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시설물과 연관된 장소들을 교통 약자가 접근이 가능한 정도를 반영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시설물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설물에 대한 상세한 배리어프리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표시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세한 배리어프리 정보들 표시한 화면에서, 미리 등록된 배리어프리 정보와 실제 시설물의 배리어프리 정보가 다를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배리어프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등록된 배리어프리 정보를 수정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리어프리 정보가 업로드되면, 상기 업로드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리어프리 기준은 문턱높이, 층(floor), 엘리베이터 유무, 테이블과 의자의 이동가능 여부, 화장실 접근가능 유무, 장애인화장실 유무, 주차장 유무 및 장애인주차장 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프리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는 배리어프리 정보를 해당 시설물의 사진 및 해당 시설물에 대한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 포인트를 통해 상기 업로드한 사용자에게 상품을 지급하거나 또는 소정의 봉사활동 시간을 인정해줄 수 있다.
상기 배리어프리 정보를 업로드 하는 단계는 사용자와 점포의 자발적인 장소정보 업로드 방식, 서포터즈를 통한 장소 정보 업로드 방식, 전문인력을 통한 장소정보 구축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에 따르면, 장애인들이 이용하고자 하는 시설들에 이동을 할 경우, 어느 시설들에 장애인을 위한 시설들이 있는지, 즉 상점 유형에 따른 건물 전체 단차, 개별 가게 단차, 의자 및 테이블 이동 가능 여부, 층수, 엘리베이터 유무 여부, 장애인화장실 유무 여부, 장애인주차장 유무 여부, 화장실 유무 여부, 주차장 유무 여부 등의 구체적이고 자세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쉽고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물리적인 장벽에 의한 장애인들의 이동권 침해 문제가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폰 앱 사용자들이 직접 배리어프리 장소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구축하여 본 발명에 따라 등록된 장소정보를 제공 받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 본인이 직접 본 발명에 따라 배리어프리 장소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포인트 또는 봉사활동 시간을 인정을 받을 수 있어 다수의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배리어 프리 장소 정보를 업로드하고 업데이트가 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리어프리 장소 정보 제공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정을 생성 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정 생성 이후 사용자 위치를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4 의 리스트 뷰를 클릭했을 때의 위치정보, 배리어프리 정보, 즐겨찾는 장소 정보, 배리어프리 업로드 랭킹, 사용설명서 및 앱정보 메뉴를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6은 도 5의 내정보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배리어프리 정보 업로드 양에 따른 장소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7은 도 5의 즐겨찾기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사용자가 즐겨찾기 했던 장소들을 보여주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8은 도 5의 랭킹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배리어프리 장소 업로드 양에 따른 레벨 순위를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9는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 시설들을 포함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캔고장소 버튼을 클릭했을 때 배리어 프리 장소에 대한 8 가지 기준의 상세정보를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수정하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 나타나는 배리어프리 장소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리어프리 장소 정보 제공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리어프리 장소 정보 제공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110), 지도데이터서버(120), 지도 정보 DB(121), 애플리케이션 서버(122)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찾고자 하는 배리어프리 시설물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시설물과 연관된 장소들을 교통 약자가 접근이 가능한 정도를 반영하여 지도에 표시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22)는 상기 배리어프리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에 배리어프리 시설과 관련한 문턱높이, 층(floor), 엘리베이터 유무, 테이블과 의자의 이동가능 여부, 화장실 접근가능 유무, 장애인화장실 유무, 주차장 유무 및 장애인주차장 유무 정보를 제공한다. 지도 정보 DB(121)는 배리어프리 시설물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지도데이터서버(120)로부터 제공 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로부터 찾고자 하는 배리어프리(barrier free) 시설물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입력받고(S210) 상기 입력된 시설물과 연관된 장소들을 교통 약자가 접근이 가능한 정도를 반영하여 지도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시설물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설물에 대한 상세한 배리어프리(barrier free)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표시한다(S220). 그 다음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세한 배리어프리 정보들 표시한 화면에서, 미리 등록된 배리어프리 정보와 실제 시설물의 배리어프리 정보가 다를 경우(S230),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배리어프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등록된 배리어프리 정보를 수정하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리어프리 정보가 업로드되면(S240) 상기 업로드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25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정을 생성 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계정 생성 이후 사용자 위치를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리스트 뷰를 클릭했을 때의 위치정보, 배리어프리 정보, 즐겨찾는 장소 정보, 배리어프리 업로드 랭킹, 사용설명서 및 앱정보 메뉴를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며 도 6은 도 5의 내정보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배리어프리 정보 업로드 양에 따른 장소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7은 도 5의 즐겨찾기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사용자가 즐겨찾기 했던 장소들을 보여주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8은 도 5의 랭킹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배리어프리 장소 업로드 양에 따른 레벨 순위를 보여주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 상에서 아이콘을 클릭하면, 상기 아이콘을 보여주는 스플래쉬 화면을 거쳐 로그인이 가능한 화면이 처음에 생성된다. 도 3에서 회원가입 버튼을 누르면 회원가입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3에서 회원가입 시 닉네임과 이메일주소, 그리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입력해 로그인을 하면 도 4로 전환된다.
도 4에서 왼쪽 상단의 리스트 뷰 버튼을 누르면, 도 5와 같이 메뉴들이 생성된다.
도 5에서 왼쪽 상단의 내 정보 버튼을 누르면, 도 6과 같이 배리어프리 정보(문턱높이, 층, 엘리베이터 유무, 테이블과 의자의 이동가능 여부, 화장실 접근 가능 유무, 장애인 화장실 유무, 주차장 유무, 장애인주차장 유무) 업로드 양에 따른 장소 정보, 레벨 및 포인트가 나타난다.
도 5에서 왼쪽 중앙의 즐겨찾기 버튼을 누르면 도 7에서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즐겨찾기 했던 장소들을 목록들이 나타난다.
도 5에서 왼쪽 중앙에 있는 랭킹 버튼을 누르면, 도 8과 같이, 장애인 및 노약자들을 위한 시설들을 구비한 장소들 업로드 양에 따른 레벨 순위가 생성된다.
도 9는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 시설들을 포함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캔고장소 버튼을 클릭했을 때 장소에 대한 주소가 나타나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수정하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 나타나는 배리어프리 장소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9 에서 검색창에 '카페글렌' 이라고 입력 후, 도 9 의 상단에 검색창 왼쪽 내부에 있는 돋보기 버튼을 누르면, 검색어 '카페글렌' 과 연관된 장소들이 3가지 기준에 따라 지도에 표시된다. 도 9 에서 도시된 것처럼 장애인 및 노약자들을 위한 시설들을 구비한 장소들의 경우 'C' 문자와 함께 초록색 핀으로 표시되고, 장애인 및 노약자들을 위한 시설들을 구비하지 않은 장소들의 경우'X'문자와 함께 빨간색 핀으로 표시하며. 장애인 및 노약자들을 위한 시설들의 구비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 문자와 함께 회색핀으로 표시한다.
도 9 에서 장애인 및 노약자들을 위한 시설들이 있는 장소를 나타내는 초록색 핀을 클릭하면 도 9 의 오른쪽 도면 하단과 같이 상기 장소에 대한 주소가 나타나고, 도 9 의 'BF 상세' 버튼을 클릭하면 도 10과 같이, 상기 장소에 대한 구체적인 배리어프리 정보들을 표시한다.
만약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에서 다룬 배리어프리 정보와 실제 장소의 배리어프리 정보가 다를 경우,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정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정보를 수정할 수 있고 도 11과 같이 해당항목의 배리어프리 정보를 사진과 같이 추가 가능하다. 도 1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문 턱 높이 단차를 수정하기 위해 문 턱이 없거나 경사로 없음 버튼(1101), 일반카드 세로 길이 이하(5.35 cm 이하)(1102)버튼, 일반카드 세로 길이 이상(5.35 cm 초과)(1103)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수정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모바일 단말기
120: 지도 데이터 서버
121: 지도 정보 DB
122: 애플리케이션 서버
1101: 문 턱이 없거나 경사로 없음 버튼
1102: 일반카드 세로 길이 이하(5.35 cm 이하)버튼
1103: 일반카드 세로 길이 이상(5.35 cm 초과)버튼

Claims (5)

  1. 사용자로부터 찾고자 하는 배리어프리(barrier free) 시설물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시설물과 연관된 장소들을 교통 약자가 접근이 가능한 정도를 반영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시설물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설물에 대한 상세한 배리어프리(barrier free)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세한 배리어프리 정보들 표시한 화면에서, 미리 등록된 배리어프리 정보와 실제 시설물의 배리어프리 정보가 다를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배리어프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등록된 배리어프리 정보를 수정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배리어프리 정보가 업로드되면, 상기 업로드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크라시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프리 기준은 문턱높이, 층(floor), 엘리베이터 유무, 테이블과 의자의 이동가능 여부, 화장실 접근가능 유무, 장애인화장실 유무, 주차장 유무 및 장애인주차장 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프리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는 배리어프리 정보를 해당 시설물의 사진 및 해당 시설물에 대한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 포인트를 통해 상기 업로드한 사용자에게 상품을 지급하거나 또는 소정의 봉사활동 시간을 인정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프리 정보를 업로드 하는 단계는 사용자와 점포의 자발적인 장소정보 업로드 방식, 서포터즈를 통한 장소 정보 업로드 방식, 전문인력을 통한 장소정보 구축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



KR1020170131162A 2017-10-11 2017-10-11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 KR20190040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1162A KR20190040770A (ko) 2017-10-11 2017-10-11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1162A KR20190040770A (ko) 2017-10-11 2017-10-11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770A true KR20190040770A (ko) 2019-04-19

Family

ID=6628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1162A KR20190040770A (ko) 2017-10-11 2017-10-11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07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06A1 (ko) * 2019-11-14 2021-05-20 이시완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133076A1 (ko) * 2019-12-27 2021-07-01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단가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40061086A (ko) 2022-10-31 2024-05-08 한국전기연구원 Cvr 제어 응용형 선박 계통 전력제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755A (ko) 2013-03-12 2014-09-25 주식회사 아이티굿 장애인의 접근성 지표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
KR20140113768A (ko) 2013-03-13 2014-09-25 주식회사 아이티굿 장애인의 이동 경로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755A (ko) 2013-03-12 2014-09-25 주식회사 아이티굿 장애인의 접근성 지표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
KR20140113768A (ko) 2013-03-13 2014-09-25 주식회사 아이티굿 장애인의 이동 경로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06A1 (ko) * 2019-11-14 2021-05-20 이시완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133076A1 (ko) * 2019-12-27 2021-07-01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단가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40061086A (ko) 2022-10-31 2024-05-08 한국전기연구원 Cvr 제어 응용형 선박 계통 전력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2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using location information
US10297096B2 (en) Electronic identification, location tracking, communication and notification system with beacon clustering
US84340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pertaining to physical infrastructure of a building or property
US11043050B2 (en) Electronic identification, location tracking, communication and notification system with beacon clustering
US20050190053A1 (en) Managing an occupant of a structure during an emergency event
CN109564672B (zh) 楼宇用信标系统
TW201730783A (zh) 資訊處理裝置、資訊處理方法、程式產品、記憶媒體
KR20190040770A (ko) 크라우드 소싱 기반 장애 시설물 정보 업로드 방법
KR101705870B1 (ko) 주거지 추천 장치 및 방법
US20210118271A1 (en) Equipment usage status publication system, equipment usage status publication method, and program
Agarwal et al. Accessibility information in New Delhi for “Ease n Access” Android-based app for persons with disability: an observational study
US11704711B1 (en) Beacon-based management of queues
US11657073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rating accessibility for users with accessibility needs
AU2018101270A4 (en) Incid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Martinho et al. Find_Me: IoT indoor guidance system
Candy A mobile indoor location-based gis application
KR101946202B1 (ko) 사용자 참여형 건축물정보 서비스 플랫폼 서버
Krüger et al. Inclusiveness of Citizen Science. How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Participate in Citizen Science Approaches
Jeamwatthanachai et al. Spatial representation framework for better indoor navigation by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JP6651726B2 (ja) メッセージ通知制御プログラム、メッセージ通知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21081767A (ja) 店舗検索装置及び店舗検索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102309275B1 (ko) 실내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98505B1 (ko) 장애인 차량의 길안내 시스템
Miller Accessible Design in Rural Health Care: Usability Profile of Outpatient Health Care Facilities in Rural West Virginia
KR20220134919A (ko) 교통약자 위치기반 이동성 사용자 참여형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