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710A -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crop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cro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710A
KR20190040710A KR1020170130203A KR20170130203A KR20190040710A KR 20190040710 A KR20190040710 A KR 20190040710A KR 1020170130203 A KR1020170130203 A KR 1020170130203A KR 20170130203 A KR20170130203 A KR 20170130203A KR 20190040710 A KR20190040710 A KR 20190040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rop
disposed
uni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4100B1 (en
Inventor
김수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3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100B1/en
Publication of KR2019004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7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1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22D11/1265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having auxiliary devices for debu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4Plants for continuous casting
    • B22D11/148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crop to transfer a crop cut in a slab, which comprises: a first guide unit and a second guide unit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guiding falling of the cut crop; a roller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rollers on which the falling crop is mounted; a lifting device lifting the roller unit; and a roller table receiving the crop by rotation of the first rollers descending by the lifting device. Therefore, damage caused by cutting is prevented, and interference with respect to transferring a slab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크롭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CROP} [0001]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CROP [0002]

본 발명은 크롭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주편에서 절단된 크롭을 이송하는 크롭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transfer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op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a cropped cut in a slab.

일반적으로 연속주조장치는 로에서 래들로 이송된 용강을 턴디쉬에 받았다가 주형에 공급하여 일정한 크기의 주편을 연속 생산하는 설비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형 내부에서 상기 용강이 응고됨에 따라 더미바 헤드와 연결된 후 세그먼트로 이송된다. In general, the continuous casting machine is composed of a facility for receiving molten steel transferred from a furnace to a ladle to a tundish, and supplying the molten steel to a mold to continuously produce a cast steel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s the molten steel solidifies within the mold, it is connected to the dummy bar head and then transported to the segment.

도 1을 참조하면, 주편(S, Slab)은 세그먼트(10)를 거쳐 어프로치 롤러테이블(20)과 롤러(31)를 구비한 시프팅 롤러테이블(30)로 인발되어 절단장치(40)로 이송된다. 이때, 주편(S)에 형성된 크롭(C)은 절단장치(40)에 의해 절단된다. 여기서, 크롭(C)은 상기 더미바 헤드와 연결된 주편의 전단부일 수 있다. 이때, 절단장치(40)로는 버너가 이용될 수 있다. 1, the slab S is pulled out through a segment 10 to a shifting roller table 30 provided with an approach roller table 20 and a roller 31 and fed to a cutting device 40 do. At this time, the crop (C) formed on the slab (S) is cut by the cutting device (40). Here, the crop C may be the front end of the casting connected to the dummy bar head. At this time, a burner may be used as the cutting device 40.

그리고, 절단된 크롭(C)은 크롭 카(50)로 낙하되어 이송된다. 이때, 크롭 카(50)는 주편(S)의 이송방향에 평면상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크롭(C)이 절단된 주편(S)은 롤러(61)를 구비하는 이송 롤러테이블(60)을 따라 이송되고, 절단된 크롭(C)은 크롭 카(50)로 낙하된 후 크롭 카(50)를 통해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Then, the cut crop C is dropped by the crop car 50 and transported. At this time, the crop car (50) can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feed (S). The slab S on which the crop C has been cut is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roller table 60 provided with the rollers 61. The cut crop C is dropped on the crop car 50, And can be transpor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r 50.

도 2를 참조하면, 크롭 카(50)는 드럼(70)에 감긴 와이어(71)의 궤도운동에 의해 레일(72)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마그네트 포트(80)에 의해 크롭 카(50) 내부에 수용된 크롭(C)은 크롭박스(미도시)로 이동된다. 2, the crop car 50 moves along the rail 72 by orbital movement of the wire 71 wound on the drum 70. As shown in FIG. The magnet C is accommodated in the cog car 50 by the magnet port 80 and is moved to a cog box (not shown).

절단장치(40)에 의한 크롭(C)의 절단시, 절단설이 발생한다. 상기 절단설은 크롭 카(50)의 주행 레일(72)에 떨어진 후 융착 및 성장하기 때문에, 크롭 카(50)가 크롭(C)을 받아낼 수 있는 정위치에 위치하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When cutting the crop (C) by the cutting device (40), a cutting phenomenon occurs. The cut tongue is separated from the running rail 72 of the crop car 50 and fused and grows. This causes a problem that the crop car 50 can not be positioned at a proper position to receive the crop C.

또한, 레일(72)에 융착된 절단설은 크롭 카(50)의 주행시 크롭 카(50)를 이탈시키는 문제를 추가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tting of the rail 72 may additionally cause a problem of releasing the crop car 50 when the crop car 50 is traveling.

한편, 절단 된 크롭(C)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롭 카(50)에 불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주편(S)의 이송을 간섭하여 주편(S)의 품질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나아가, 불완전 안착되는 크롭(C)은 연속적인 주조작업을 중지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ut crop C can be safely secured to the crop car 50,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feed of the billets S is interfered with, and quality defects of the billets S can be generated. Further, the incompletely seated Crop (C) may cause the continuous casting operation to stop,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vit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편에서 절단된 크롭을 이송하는 크롭이송장치를 제공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op transport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cropped crop from a slab.

또한, 절단된 크롭이 안착되는 롤러 및 롤러의 회동을 이용하여 절단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절단설 또는 외력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는 크롭이송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rop conveying device for preventing damages due to cutting force or an external force generated by a cutting device by using rotation of a roller and a roller on which a cut crop is placed.

또한, 상기 롤러에 리프팅 기능을 구현하여 주편의 이송에 대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크롭이송장치를 제공한다. Also, a lifting function is implemented on the roller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feeding of the cast strip.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주편에서 절단된 크롭을 이송하는 크롭이송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절단된 상기 크롭의 낙하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 낙하된 상기 크롭이 안착되는 복수 개의 제1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및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하강한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크롭을 이송받는 롤러테이블을 포함하는 크롭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op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a crop cut in a slab, comprising: a first guide portion and a second guide portion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guide dropping of the cut crop; A rolle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irst rollers on which the dropped crops are seated;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the roller portion; And a roller table which is convey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descended by the elevating device.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상단은 상기 주편의 이송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단은 상기 주편의 이송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Here,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part may b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main piec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art may be bent in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main part.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1 홀을 포함하며,The first guide portion includes a first hole formed in a vertically long shape,

상기 롤러부의 제1 롤러는 상기 제1 홀을 통해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roller of the roller por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through the first hole.

또한, 상기 롤러테이블은 하강한 상기 제1 롤러가 사이에 배치되게 제1 롤러테이블과 제2 롤러테이블을 포함하며, In addition, the roller table includes a first roller table and a second roller table so that the lowered first roller is disposed therebetween,

상기 제1 롤러테이블과 상기 제2 롤러테이블 각각은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복수 개의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roller table and the second roller tab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rollers rotating based on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여기서, 상기 제2 롤러테이블에는 제2 감지부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제2 롤러테이블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크롭을 감지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roller tabl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may sense the crop conveyed along the second roller table.

한편, 상기 승강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승강되게 배치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프레임에 승강되게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롤러부의 일측이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tform includes a frame; A lift unit disposed on the frame to move up and down; And a lifting unit for lifting the lifting unit. The lifting unit includes a main body disposed to be raised and lowered on the frame, and a support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one side of the roller unit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롤러는 수평상으로 전개된 홈 위치, 상기 홈 위치에서 상승하여 낙하되는 상기 크롭이 안착되는 안착 위치, 및 상기 홈 위치에서 하강하여 상기 제1 롤러가 상기 롤러테이블의 제2 롤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이송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roller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first roller is lowered from the groove position develop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ating position in which the drop descending from the groove position is seated, And a transfer position in which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of the table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승강부에는 배치되는 감지부재, 및 상기 위치 각각에 대응되게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감지부재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롤러가 위치함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further includes a sensing member disposed in the eleva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in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sitions. As one of the sensors senses the sensing member, any one of the positions The first roller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roller.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지지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the lif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portion that rotates the support portion.

그리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롤러를 상기 홈 위치 또는 상기 제1 롤러의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대기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pivoting portion may rotate the first roller to the home position or a standby position in which the axis of the first roller is arrang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그리고, 상기 주편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두 개의 절단장치가 접근하여 소정의 폭 간격을 남길 때,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롤러를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홈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When the two cutting devices approach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ting and leave a predetermined width interval, the pivoting portion can rotate the first roller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home position.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홈 위치에서 상기 안착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절단장치는 남겨진 상기 폭 간격을 절단할 수 있다.Then, after the first roller is moved from the home position to the seating position by the lifting device, the cutting device can cut the remaining width interval.

그리고, 상기 안착 위치에 안착된 상기 크롭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crop placed on the seating position,

그리고, 상기 제1 감지부가 상기 크롭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안착 위치에서 상기 이송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And, as the first sensing unit senses the crop, the first roller can be moved from the seating position to the feeding position by the lifting device.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 위치에서 상기 노즐은 상기 크롭을 향해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nozzle disposed i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the nozzle can inject cooling water toward the crop in the feeding posi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는 절단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면서도 주편의 이송에 대한 절단된 크롭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cr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prevent the interference of the cut crop with respect to the feeding of the main feed while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by the cutting.

상세하게, 상단이 절곡된 제1 가이드부의 하부에 승강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승강장치에 제1 롤러를 회동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절단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a lift device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guide portion whose upper end is folded, and the first roller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elevating device, thereby preventing damage due to cutting.

또한, 제2 롤러가 마련된 롤러테이블을 이용하여 크롭을 이송하여 절단설에 의한 융착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by using the roller table provided with the second roller, the crimp can be transferred to prevent fusion by cutting.

또한, 상기 제1 롤러를 상승시켜 절단된 크롭을 안정되게 안착한 후 상기 제1 롤러를 하강시킴으로써, 주편의 이송에 대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aising the first roller, the cropped cut is stably placed, and then the first roller is lowered,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feeding of the cast steel can be prevented.

나아가, 상기 제1 롤러의 비구동시, 상기 제1 롤러를 회동시켜 대기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 롤러를 외력 또는 절단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Further, by rotating the first roller at the standby position, the first roller can be protected from an external force or a cutting edge by the non-driving of the first roller.

도 1은 연속주조장치에 의해 제작된 주편의 이송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크롭 카를 이용한 크롭의 이송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크롭 카에 비정상적으로 안착된 크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회동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제1 롤러의 대기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제1 롤러의 홈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제1 롤러의 안착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제1 롤러의 이송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asting of a cast steel produced by a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Fig. 2 is a view showing the transportation of a crop using a crop car,
3 is a view showing a crop which is abnormally seated on a crop car,
Figs. 4 and 5 are a sid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relationship of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p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9 is a view showing the driving of the turning unit of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0 is a view showing the standby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of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1 is a view showing a groove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of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2 is a view showing a seating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of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3 is a view showing a feeding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of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1)는 주편(S)에서 절단된 크롭을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편(S)의 전단은 연속주조장치의 몰드에서 더미바 헤드와 결합되며, 크롭(C)은 상기 더미바 헤드와 연결된 주편의 전단부로 헤드 크롭이라 불리울 수 있다. 한편, 헤드 크롭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단되는 크롭(C)은 주편(S)의 후단인 테일 크롭일 수도 있다. The crop transpor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transport the cut crops in the slab S. 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cast steel S is coupled to the dummy bar head in the mold of the continuous casting machine, and the crop C is called a head crop with the front end of the cast steel connected to the dummy bar head.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head crop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rop C to be cut may be a tail cut which is the rear end of the cast S.

도 4 및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x방향은 주편의 이송방향, y방향은 크롭의 이송방향, 및 z 방향은 상하방향일 수 있다. 4 and 5 are a sid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ere, the x direction shown in Fig. 4 may be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cast steel, the y direction may be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crop, and the z direction may be the vertical direction.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제어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relationship of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1)는 시프팅 롤러테이블(30)과 이송 롤러테이블(60)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disposed in a spacing space between the shifting roller table 30 and the conveying roller table 60.

이때, 절단장치(40)는 시프팅 롤러테이블(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주편(S)에서 크롭(C)을 절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장치(40)의 버너(41)는 2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버너(41)는 주편(S)의 폭 방향(y 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주편(S)에서 크롭(C)을 절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utting device 4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hifting roller table 30, and can cut the crop C at the slab S to be transported. 5, two burners 41 of the cutting device 40 can be disposed, and the burners 41 approach or separate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slab S And the crop (C) can be cut in the slab (S).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롭이송장치(1)는 크롭 카(50) 및 크롭 카(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72)이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절단설에 의해 크롭 카(50)가 정위치에 위치하지 못하는 문제 및 레일(72)에 절단설이 융착되어 크롭 카(50)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4 and 5, since the rail 7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rop car 50 and the crop car 50 is not disposed in the crop transport device 1,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crop car 50 is not located at the correct position and that the cut cargo is welded to the rail 72 and the crop car 50 is released.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크롭이송장치(1)는 제1 가이드부(100), 제2 가이드부(200), 복수 개의 제1 롤러(310)를 구비하는 롤러부(300), 승강장치(400), 회동부(500), 제1 롤러(310)의 승강된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600), 크롭(C)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700), 롤러테이블(800), 크롭(C)을 감지하는 감지부(900) 및 제어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5 to 8,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1 includes a roller unit 300 having a first guide unit 100, a second guide unit 200, a plurality of first rollers 310, A plurality of sensors 600 for detecting the elevated position of the elevating device 400, the rotary part 500 and the first roller 310, a nozzle 700 for ejecting cooling water to the crop C, a roller table 800 A sensing unit 900 for sensing a crop C, and a control unit 1000.

여기서, 제어부(1000)는 센서(600) 또는 감지부(900)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롤러부(300), 승강장치(400), 회동부(500), 노즐(700) 및 롤러테이블(8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1000)의 구체적인 제어관계에 대해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살펴볼 때 살펴보기로 한다. The control unit 100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from the sensor 600 or the sensing unit 900 and controls the roller unit 300, the elevation unit 400, the rotation unit 500, The nozzle 700 and the roller table 800 can be controlled. Hereinafter, the specific control relationship of the control unit 10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제1 가이드부(100)와 제2 가이드부(20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가이드부(100)와 제2 가이드부(200)의 사이에는 이격공간(S1, 도 4 참조)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부(100)와 제2 가이드부(200)는 주편(S)의 이동라인 상에 배치되어 절단된 크롭(C)을 제1 롤러(310)로 안내할 수 있다. The first guide part 100 and the second guide part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a spacing space S1 (see FIG. 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10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200. As shown in FIG. The first guide part 100 and the second guide part 200 are disposed on the movement line of the slab S and can guide the cut crop C to the first roller 310. [

제1 가이드부(100)는 절단된 크롭(C)의 낙하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100)는 시프팅 롤러테이블(30)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portion 100 can guide the fall of the cut crop C.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unit 100 may be disposed on the shifting roller table 30 sid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100)의 상단은 주편(S)의 이송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낙하되는 크롭(S)은 소정의 곡률로 절곡된 제1 가이드부(100)의 상단에 의해 이격공간(S1)으로 안내될 수 있다. 5,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part 100 may b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bill S,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falling droplet S can be guided to the spacing space S1 by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portion 100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그리고, 절곡된 제1 가이드부(100)의 상단의 하부에는 승강장치(400), 회동부(500) 및 복수 개의 센서(6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절곡된 제1 가이드부(100)의 상단은 절단장치(40)에 의해 발생하는 절단설로부터 승강장치(400), 회동부(500) 및 복수 개의 센서(600) 등을 보호할 수 있다. The elevating device 400, the turning part 500, and the plurality of sensors 600 may be dispos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bent first guide part 100. The upper end of the bent first guide part 100 can protect the elevating device 400, the turning part 500 and the plurality of sensors 600 from the cuts generated by the cutting device 40 hav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100)에는 제1 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회동부(500)에 의해 회동하는 제1 롤러(310)는 제1 홀(110)을 지나 상기 이격공간(S1)에 수평상으로 전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홀(110)은 제1 롤러(3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 first hole 110 may be formed in the first guide part 100. Accordingly, the first roller 310 pivoted by the pivoting part 500 can be deployed horizontally in the spacing space S 1 through the first hole 110. Here, the first hole 110 may be vertically lo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first roller 310.

제2 가이드부(200)는 절단된 크롭(C)의 낙하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부(200)는 이송 롤러테이블(60)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portion 200 can guide the drop of the cut crop C. At this time, the second guide unit 200 may be disposed on the conveying roller table 60 sid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200)의 상단은 주편(S)의 이송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낙하되어 제1 롤러(310)에 불완전 안착되는 크롭(S)은 소정의 곡률로 절곡된 제2 가이드부(200)의 상단에 의해 이격공간(S1)으로 안내될 수 있다. 5,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art 200 may be bent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lab S,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crop S that has fallen and is incompletely seated on the first roller 310 can be guided to the spacing space S1 by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ortion 200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롤러부(300)는 승강장치(400)에 의해 승강되게 승강장치(400)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oller unit 300 may be disposed on the lifting device 400 so as to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device 400.

롤러부(300)는 제1 롤러(310), 제1 구동부(320) 및 제1 동력전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부(320)는 제어부(10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roller unit 300 may include a first roller 310, a first driving unit 320, and a first power transmitting unit 330. The first driver 32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00.

승강장치(400)에 의해 롤러부(300)가 승강됨에 따라, 제1 롤러(310)는 승강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롤러(310)가 제1 홀(110)을 통해 상기 이격공간(S1)에 수평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제1 롤러(310)는 상승하여 낙하되는 크롭(C)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제1 롤러(310)에 안착된 크롭(C)을 하강시킨 후 회전하여 롤러테이블(800)로 상기 크롭(C)을 이송되게 한다. As the roller unit 300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device 400, the first roller 310 can be lifted and lowered.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first roller 310 is spread horizontally in the spacing space S1 through the first hole 110, the first roller 310 moves up and down the impact of the dropped crop C So that the crop C placed on the first roller 310 is lowered and then rotated to feed the crop C to the roller table 800.

이때, 제1 롤러(310)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1 롤러(310)가 수평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도 절단설은 제1 롤러(310)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롤러(310)에 절단설이 융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roller 31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the cutting roller flow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310 even when the first roller 310 is spre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tting roller from being welded to the first roller 310.

제1 롤러(310)는 제1 구동부(32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동력전달부(330)에 의해 제1 롤러(310)의 회전속도는 가속 또는 감속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동부(320)로는 모터가 이용되고, 제1 동력전달부(330)로는 기어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The first roller 310 may be rotated by the first driving unit 320. At this tim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roller 310 can be accelerated or decelerated by the first power transmitting portion 330. Here, a motor may be used as the first driving unit 320, and a gear unit may be used as the first power transmitting unit 330.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31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는바, 제1 동력전달부(330)는 제1 롤러(310)의 개별 구동 또는 전체 구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7 and 8, a plurality of first rollers 310 may be disposed,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portion 330 may be configured to enable separate driving or full driving of the first roller 310 can do.

승강장치(400)는 프레임(410), 승강부(420) 및 승강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vating device 400 may include a frame 410, an elevating part 420, and an elevating member 430.

프레임(410)은 승강부재(430)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부(4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그에 따라, 승강부(420)에 설치되는 롤러부(300) 또한 승강부(42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한다.The frame 410 guides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lifting unit 420, which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member 430. Accordingly, the roller unit 300 installed in the elevating unit 420 also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elevating unit 420.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1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411)과 상기 가이드판(411)의 상부를 덮는 커버(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판(411)은 승강부(4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판(411)에는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의 제1 돌기(41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기(411a)는 승강부(420)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승강부(420)가 수평 방향(x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데, 제1 돌기(411a)의 수평단면은 삼각형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7 and 8, the frame 410 may include a pair of guide plates 4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over 412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late 411. At this time, the guide plate 411 guides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lifting unit 420. For example, the guide plate 411 may have a pair of first protrusions 411a facing each other. Here, the first projection 411a guides the movement of the elevating part 420, and prevents the elevating part 420 from being displ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direction). For example,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411a may be triangul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커버(4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4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커버(412)는 승강부(420)가 상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cover 412 can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plate 411,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cover 412 prevents the lift portion 420 from being deviated to the upper side.

승강부(420)에는 롤러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420)는 승강부재(43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부재(430)로는 유압 실린더, 에어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랙 및 피니언 등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승강부재(430)는 프레임(410)에 배치될 수 있다. The roller uni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lift unit 420. Further, the elevating portion 420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elevating member 430. Here, as the elevating member 430, a hydraulic cylinder and an air cylinder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motor, a rack, and a pinion may be used.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elevating member 430 may be disposed on the frame 410.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승강부(420)는 승강부재(430)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본체(421), 본체(421)에 배치되는 지지부(422) 및 감지부재(423)를 포함할 수 있다. 7 and 8, the elevating unit 420 includes a main body 421 which is moved up and down by an elevating member 430, a supporting unit 422 disposed on the main body 421, and a sensing member 423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21)는 폭 방향(y 방향)으로 상호 마주보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421a), 수직 플레이트(421a)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 플레이트(421b), 수직 플레이트(421a)에서 폭 방향(y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421c), 제2 돌기(421c)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V형 롤러(421d) 및 V형 롤러(421d)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421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421e)로서 오링이 이용될 수 있다. 7, the main body 421 includes a pair of vertical plates 421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a horizontal plate 421b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plates 421a, A second projection 421c project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in the vertical plate 421a, a V-shaped roller 421d and a V-shaped roller 421d rotatably arranged on the second projection 421c, And a fixing member 421e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fixing member 421e. Here, an O-ring can be used as the fixing member 421e.

수직 플레이트(421a)는 승강부재(430)에 의해 승강한다. 이때, V형 롤러(421d)는 가이드판(411)의 제1 돌기(411a)에 결합되기 때문에, 수직 플레이트(421a)는 이탈됨 없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vertical plate 421a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elevating member 430. At this time, since the V-shaped roller 421d is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411a of the guide plate 411, the vertical plate 421a can move up and down without detaching.

한편, 본체(421)는 지지부(422)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2 홀(421f)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ain body 421 may include a second hole 421f formed such that the support portion 422 is rotatably disposed.

지지부(422)는 본체(421)의 제2 홀(421f)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부(422)는 회동부(500)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422 may be rotatably disposed in the second hole 421f of the main body 421. [ Accordingly, the support portion 422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rotation portion 500. [

지지부(422)는 힌지부(422a), 힌지부(422a)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샤프트(422b), 힌지부(422a)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판(422c) 및 돌출편(422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422 may include a hinge portion 422a, a shaft 422b provided through the hinge portion 422a, a support plate 422c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inge portion 422a, and a protrusion piece 422d .

힌지부(422a)는 샤프트(422b)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422b)는 제2 홀(421f)에 배치될 수 있다.The hinge portion 422a can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shaft 422b. The shaft 422b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hole 421f.

지지판(422c)에는 롤러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지지판(422c)에는 롤러부(300)의 제1 구동부(320) 및 제1 동력전달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roller unit 300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422c. In detail, the first driving unit 320 and the first power transmitting unit 330 of the roller unit 300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422c.

한편, 돌출편(422d)의 일측에는 회동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회동부(500)의 일측은 본체(421)의 수평 플레이트(421b)에 배치되고, 타측은 돌출편(422d)에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ry part 5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otruding piece 422d. That is, one side of the rotary part 500 is disposed on the horizontal plate 421b of the main body 421, and the other side is disposed on the projecting piece 422d.

따라서, 회동부(500)에 의해 돌출편(422d)이 샤프트(422b)를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지지판(422c)이 회동하고, 지지판(422c)에 연동하여 롤러부(300)의 제1 롤러(31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한다. 여기서, 회동부(500)로는 에어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projecting piece 422d is rotated by the rotation unit 500 on the basis of the shaft 422b. Accordingly, the support plate 422c rotates, and the first roller 310 of the roller unit 300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ssociation with the support plate 422c. Here, as the rotary part 500, an air cylinder or a hydraulic cylinder may be used.

복수 개의 센서(600)는 제1 롤러(310)의 승강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센서(600)는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이격되게 가이드판(411)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nsors 600 can sense the elevated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310. For example, the sensor 600 may be disposed on the guide plate 411 in a vertical direction (z direction).

센서(600)는 본체(421)의 일측에 배치되는 감지부재(423)을 감지하고, 승강부(420)의 승강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어부(1000)로 송신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000)는 승강부(420)에 배치되는 롤러부(300)의 제1 롤러(31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600)로는 적외선 센서가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감지부재(423)와 터치하는 터치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다.The sensor 600 senses the sensing member 423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421 and transmits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i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unit 420 to the controller 100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00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310 of the roller unit 300 disposed in the elevation unit 420. The sensor 600 may be an infrared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touch sensor touching the sensing member 423 may be us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600)는 가이드판(411)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센서(600a), 제2 센서(600b) 및 제3 센서(600c)를 포함할 수 있다. 8, the sensor 600 may include a first sensor 600a, a second sensor 600b, and a third sensor 600c that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late 411 .

제1 센서(600a)는 상승시 상한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데, 제1 센서(600a)에 의해 감지부재(423)가 감지되면, 제어부(1000)는 승강부재(430)를 제어하여 승강부(420)가 상승하는 것을 제한한다. The first sensor 600a serves as an upper limit at the time of the rise. For example, when the sensing member 423 is sensed by the first sensor 600a, the control unit 1000 controls the elevating member 430 to restrict the elevating unit 420 from rising.

그에 따라, 제1 롤러(310)가 제1 센서(600a)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크롭(C)은 제1 롤러(310)에 최소한의 충격으로 안착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first roller 310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or 600a, the crop C can be seated with the minimum impact on the first roller 310. [

제2 센서(600b)는 제1 센서(600a)와 제3 센서(600c)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센서(600b)에 대응되는 제1 롤러(310)의 위치는 기준 위치로서, 상기 기준 위치에서 제1 롤러(310)는 회동부(500)에 의해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위치에서 회동부(500)에 의해 제1 롤러(310)는 수평상으로 전개되는 홈 위치와 제1 롤러(310)가 수직상으로 배치되는 대기 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or 600b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ensor 600a and the third sensor 600c. The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3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nsor 600b is a reference position, and the first roller 310 at the reference position can be rotated by the rotation unit 500. [ Here, at the reference position, the first roller 310 can be rotated by the rotation unit 500 to a home position in which the first roller 310 is vertically spread and a standby position in which the first roller 310 is vertically disposed.

제3 센서(600c)는 하강시 하한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데, 제3 센서(600c)에 의해 감지부재(423)가 감지되면, 제어부(1000)는 승강부재(430)를 제어하여 승강부(420)가 하강하는 것을 제한한다.  The third sensor 600c serves as a lower limit at the time of descent. For example, when the sensing member 423 is sensed by the third sensor 600c, the control unit 1000 controls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30 to limit the descent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unit 420.

그에 따라, 제1 롤러(310)가 제3 센서(600c)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제1 롤러(310)의 회전에 의해 크롭(C)은 이송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first roller 310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ensor 600c, the crop C can be transpor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310. [

노즐(700)은 냉각수를 분사하여 절단된 크롭(C)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즐(700)의 일측에는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는 호스(미도시), 펌프(미도시) 및 냉각수 탱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The nozzle 700 can cool the cut crop C by spraying cooling water. To this end, a hose (not shown), a pump (not shown) and a cooling water tank (not shown) arranged to supply cooling water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nozzle 700.

노즐(700)은 제1 가이드부(100) 또는 제2 가이드부(20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크롭(C)이 안착된 제1 롤러(310)가 제3 센서(600c)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1000)는 노즐(700)을 통해 냉각수를 크롭(C)에 분사할 수 있다. The nozzle 70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guide part 100 or the second guide part 200. Accordingly, when the first roller 310 on which the crop C is seated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ensor 600c, the controller 1000 controls the cooling water to the crop C through the nozzle 700 It can be sprayed.

롤러테이블(800)은 승강장치(400)에 의해 하강한 제1 롤러(310)의 회전에 의해 크롭(C)을 이송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롤러 테이블(800)은 절단된 크롭(C)의 이송라인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roller table 800 can be transpor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310 descended by the lifting device 400. [ Accordingly, the roller table 800 can be disposed on the transfer line of the cut crop C.

도 5를 참조하면, 롤러테이블(800)은 제1 가이드부(100)와 제2 가이드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roller table 8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10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2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주편 이송라인에서 상기 크롭(C)이 절단될 수 있는바, 롤러테이블(800)은 제1 롤러테이블(800a)과 제2 롤러테이블(800b)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테이블(800a)과 제2 롤러테이블(800b)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롤러테이블(800a)과 제2 롤러테이블(800b)의 사이에는 하강한 제1 롤러(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롤러테이블(800a)은 제1 가이드부(100)와 제2 가이드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롤러테이블(800b)은 제1 가이드부(100)와 제2 가이드부(200)의 일측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5, the crop C can be cut in two feed lines, and the roller table 800 is provided with a first roller table 800a and a second roller table 800b . The first roller table 800a and the second roller table 800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etween the first roller table 800a and the second roller table 800b, 310 may be disposed. For example, the first roller table 800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part 100 and the second guide part 200. [ However, the second roller table 800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guide part 100 and the second guide part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롤러테이블(800)은 제1 롤러(310)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크롭(C)을 크롭박스(미도시)로 이송한다.The roller table 800 conveys the crop C f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310 to a crop box (not shown).

롤러테이블(800)은 테이블(810)과 테이블(810) 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롤러(8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롤러(820)의 회전은 제어부(10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데, 롤러테이블(800)은 모터와 같은 제2 구동부(미도시)와 제2 동력전달부(330) 등을 이용하여 제2 롤러(8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동력전달부는 제2 롤러(820)의 회전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제어부(10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roller table 8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rollers 820 disposed on the table 810 and the table 810. [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ller 82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00. [ For example, the roller table 800 can rotate the second roller 820 using a second driving unit (not shown) such as a motor, a second power transmitting unit 330, and the like. Here,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may accelerate or decelerate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roller 82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00.

따라서, 승강장치(400)에 의해 하강한 롤러부(300)의 제1 롤러(3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크롭(C)은 롤러테이블(800)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테이블(800)에 의해 크롭(C)은 상기 크롭박스로 이송된다. Accordingly, as the first roller 310 of the roller unit 300 descended by the lifting device 400 rotates, the crop C can be conveyed to the roller table 800. [ Then, the roller table 800 transports the crop C to the crop box.

감지부(900)는 크롭(C)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크롭(C)을 감지함에 따라, 감지부(900)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1000)로 송출한다.The sensing unit 900 may sense the crop C. Then, the sensing unit 900 transmit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00 as the sensing unit 900 senses the crop C.

감지부(900)는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제1 감지부(900a)와 제2 감지부(900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감지부(900a)와 제2 감지부(900b)로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sensing unit 9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ensing unit 900a and a second sensing unit 900b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which the sensing unit 900 is disposed. As the first sensing unit 900a and the second sensing unit 900b, an infrared sensor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감지부(900a)는 제1 롤러(310)에 안착된 크롭(C)을 감지한다. The first sensing unit 900a senses a crop C that is seated on the first roller 310.

제1 감지부(900a)는 제1 가이드부(100) 또는 제2 가이드부(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unit 900a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guide unit 100 or the second guide unit 200. FIG.

따라서, 제1 감지부(900a)가 크롭(C)을 감지하면 제어부(1000)에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1000)는 상기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승강부재(430)를 제어하여 제1 롤러(310)를 하강시킨다. 그에 따라, 크롭(C)이 제거된 주편(S)은 제1 가이드부(100)와 제2 가이드부(200)의 절곡된 상단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first sensing unit 900a senses the crop C, the control unit 1000 send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ler 1000. The controller 1000 controls the elevating member 430 based on the sensing signal, (310). Accordingly, the cast strip S from which the crop C has been removed can be supported and supported by the bent upper ends of the first guide portion 10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200.

제2 감지부(900b)는 제2 롤러테이블(800b)에 의해 이송되는 크롭(C)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ing unit 900b can sense the crop C conveyed by the second roller table 800b.

도 5를 참조하면, 제2 감지부(900b)는 제2 롤러테이블(800b)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감지부(900b)는 제2 롤러테이블(800b)의 제2 롤러(820)를 따라 이송되는 크롭(C)을 감지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sensing unit 900b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roller table 800b. Accordingly, the second sensing unit 900b senses the crop C conveyed along the second roller 820 of the second roller table 800b.

따라서, 제2 감지부(900b)가 크롭(C)을 감지하면 제어부(1000)에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1000)는 상기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승강부재(430) 및 회동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데, 제1 롤러(310)가 회전시 제2 감지부(900b)가 크롭(C)을 감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000)는 승강부재(430)를 제어하여 제1 롤러(310)가 제2 센서(800b)의 대응되는 위치로 제1 롤러(310)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00)는 회동부(500)를 제어하여 제1 롤러(310)를 상기 홈 위치에서 상기 대기 위치로 회동시킨다. 이때, 제2 롤러(820)는 제어부(1000)에 의해 회전이 중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900b senses the crop C, the controller 1000 transmit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ler 1000. The controller 1000 controls the elevating member 430 and the swing unit 500 based on the sensing signal,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roller 310 rotates and the second sensing unit 900b does not sense the crop C, the controller 1000 controls the elevating member 430 so that the first roller 310 rotates to the second And raises the first roller 310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ensor 800b. Then, the control unit 1000 controls the rotation unit 500 to rotate the first roller 310 from the home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t this time,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ller 820 can be stopped by the control unit 1000.

이하,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1 롤러(310)의 회동 및 이동에 의해 제1 롤러(310)의 배치 위치 및 그에 따른 구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driv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3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3.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회동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9의 (a)는 회동부에 의한 제1 롤러의 대기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의 (b)는 회동부에 의한 제1 롤러의 홈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제1 롤러의 대기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제1 롤러의 홈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a) is a view showing the standby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by the pivoting portion, and Fig. 9 (b)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groove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by the eccentric por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standby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of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groove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of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9의 (a)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310)는 회동부(500)에 의해 제1 롤러(310)가 하방으로 배치되는 대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회동부(500)는 제1 롤러(310)의 축(C1)이 상하 방향(z 방향)으로 배치되는 대기 위치로 지지판(422c)을 회전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s. 9A and 10, the first roller 310 may be disposed at a standby position in which the first roller 310 is disposed downwardly by the pivoting portion 500. In detail, the rotary part 500 can rotate the support plate 422c to a standby position in which the axis C1 of the first roller 310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direction).

그에 따라, 상기 대기 위치의 제1 롤러(310)는 제1 가이드부(100)의 절곡된상단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절단설에 의한 피해를 받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S1)으로 이물질이 떨어지더라도 상기 이물질에 의한 외력에 제1 롤러(3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first roller 310 at the standby position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ent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portion 100, the first roller 310 is not damaged by the cutting. In addition, even if the foreign matter falls into the spacing space S1, the first roller 3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due to the foreign matter.

이때, 절단장치(40)의 버너(41)에서 열을 방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편(S)에서 크롭(C)은 분리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At this time, heat is not emitted from the burner 41 of the cutting device 40. Therefore, in the cast slab S, the crop C may not be separated.

도 9의 (b)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310)는 회동부(500)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S1)에 수평상으로 전개된 홈 위치(P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310)의 축(C1)은 주편(S)의 이송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상세하게, 회동부(500)는 제1 롤러(310)의 축(C1)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홈 위치(P1)로 지지판(422c)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 위치(P1)는 제2 센서(600b)에 대응되는 제1 롤러(310)의 위치로서 제2 센서(600b)가 감지부재(423)를 감지하여 제1 롤러(3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9B and 11, the first roller 310 may be disposed at the home position P1 which is horizontally deployed in the spacing space S1 by the pivoting portion 500 have. At this time, the axis C1 of the first roller 310 may be develop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lab S. In detail, the rotary part 500 can rotate the support plate 422c to the home position Pl where the axis C1 of the first roller 310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ere, the home position P1 is a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3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nsor 600b, and the second sensor 600b senses the sensing member 423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310 .

여기서, 제1 롤러(310)의 회동은 절단장치(40)에 의해 주편(S)이 소정의 폭 간격을 남겨놓고 절단을 일시 중지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롤러(310)는 절단설에 의한 피해를 받지 않는다. Here,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310 can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slice S is paused while the slice S is left with a predetermined width interval. Accordingly, the first roller 310 is not damaged by the cutting surface.

그리고, 상기 홈 위치(P1)의 제1 롤러(310)는 상승 가능하게 대기할 수 있다. Then, the first roller 310 of the home position P1 can stand up elevably.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제1 롤러의 안착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크롭이송장치의 제1 롤러의 이송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2 is a view showing a seating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of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conveying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of the cro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위치(P1)의 제1 롤러(310)는 승강장치(400)에 의해 상승하여 제1 롤러(310)의 안착 위치(P2)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 위치(P2)는 제1 센서(600a)에 대응되는 제1 롤러(310)의 위치로서 제1 센서(600a)가 감지부재(423)를 감지하여 제1 롤러(3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안착 위치(P2)는 절단된 크롭(C)이 제1 롤러(310)에 안착되는 위치일 수 있다. The first roller 310 of the home position P1 may be moved up by the lifting device 400 to the seating position P2 of the first roller 310 as shown in FIG. Here, the seating position P2 is a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3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or 600a. When the first sensor 600a senses the sensing member 423 and detects the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310 . At this time, the seating position P2 may be a position where the cut crop C is seated on the first roller 310. [

제1 롤러(310)가 상기 안착 위치(P2)에 위치하면, 절단장치(40)는 구동하여 주편(S)에 남겨진 폭 간격에 대한 절단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상기 안착 위치(P2)의 제1 롤러(310)에는 크롭(C)이 낙하된다. When the first roller 310 is located at the seating position P2, the cutting device 40 is driven to perform cutting for the width interval left in the slab S. As a result, the crop C falls on the first roller 310 of the seating position P2.

이 경우, 제1 롤러(310)는 상기 안착 위치(P2)에 위치하기 때문에, 낙하되는 크롭(C)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부(200)의 상단은 주편(S)의 이송방향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낙하되어 제1 롤러(310)에 불완전 안착되는 크롭(S)은 이격공간(S1)으로 안내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roller 310 is located at the seating position P2, the impact of the falling crop C can be minimized.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ortion 200 is bent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lab S, the drop S is incompletely seated on the first roller 310 can be guided to the spacing S1 have.

나아가, 제1 감지부(900a)는 제1 롤러(310)에 안착된 크롭(C)을 감지하고, 신호를 제어부(1000)로 송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000)는 승강장치(400)를 제어하여 제1 롤러(3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rst sensing unit 900a senses the crop C that is seated on the first roller 310, and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00. [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00 can lower the first roller 310 by controlling the elevating apparatus 40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400)에 의해 상기 안착 위치(P2)에서 이송 위치(P3)로 하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 위치(P3)는 제3 센서(600c)에 대응되는 제1 롤러(310)의 위치로서 제3 센서(600c)가 감지부재(423)를 감지하여 제1 롤러(3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송 위치(P3)는 제1 롤러(310)가 롤러테이블(800)의 제2 롤러(82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위치일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이송 위치(P3)는 제1 롤러(310)의 축(C1)과 제2 롤러(820)의 축(C2)이 평면상 평행하게 배치되는 위치일 수 있다.It can be lowered from the seating position P2 to the feeding position P3 by the lifting device 400, as shown in Fig. The conveyance position P3 is a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310 corresponding to the third sensor 600c and the third sensor 600c senses the sensing member 423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first roller 310 . At this time, the feeding position P3 may be a position where the first roller 31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roller 820 of the roller table 800. [ The feeding position P3 may be a position in which the axis C1 of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axis C2 of the second roller 820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plane.

상기 이송 위치(P3)에 제1 롤러(310)가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1000)는 노즐(700)을 통해 냉각수를 분사하여 절단된 크롭(C)을 냉각시킬 수 있다.When the first roller 310 is positioned at the feeding position P3, the controller 1000 can cool the cut crop C by spraying the cooling water through the nozzle 700. FIG.

그리고 나서, 제어부(1000)는 제1 구동부(320)를 제어하여 제1 롤러(310)를 회전시켜 냉각된 크롭(C)을 롤러테이블(800)로 이송되게 한다. 그리고, 롤러테이블(800)의 제2 롤러(820)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크롭(C)을 상기 크롭박스로 이송시킨다. The control unit 1000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320 to rotate the first roller 310 to feed the cooled crop C to the roller table 800. The second roller 820 of the roller table 800 is rotated by the second driving unit to feed the crop C to the crop box.

그리고, 제2 감지부(900b)가 제2 롤러테이브(800b)을 따라 이송되는 크롭(C)을 미감지하면, 제어부(1000)는 제1 롤러(310)와 제2 롤러(820)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다.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900b senses the crop C conveyed along the second roller tab 800b, the controller 1000 controls the first roller 310 and the second roller 820 The rotation can be stopped.

그리고, 제어부(1000)는 승강장치(400)를 제어하여 제1 롤러(310)를 상기 이송 위치(P3)에서 상기 홈 위치(P1)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000)는 회동부(500)를 제어하여 제1 롤러(310)를 상기 대기 위치로 회동시킨다.The control unit 1000 controls the elevating device 400 to move the first roller 310 from the feeding position P3 to the home position P1. Then, the control unit 1000 controls the rotation unit 500 to rotate the first roller 310 to the standby posi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 크롭이송장치
40: 절단장치
100: 제1 가이드부 110: 제1 홀
200: 제2 가이드부
300: 롤러부 310: 제1 롤러
320: 제1 구동부 330: 제1 동력전달부
400: 승강장치 410: 프레임
420: 승강부 422: 지지부
422a: 힌지부 422b: 샤프트
422c: 지지판 422d: 돌출편
423: 감지부재
430: 승강부재
500: 회동부
600: 센서 600a: 제1 센서
600b: 제2 센서 600c: 제3 센서
700: 노즐
800: 롤러테이블 820: 제2 롤러
900a: 제1 감지부 900b: 제2 감지부
1000: 제어부
C: 크롭
S: 주편
1: Crop transport device
40: Cutting device
100: first guide part 110: first hole
200: second guide portion
300: roller portion 310: first roller
320: first driving part 330: first driving part
400: lifting device 410: frame
420: elevating part 422: supporting part
422a: hinge portion 422b: shaft
422c: Support plate 422d:
423:
430:
500:
600: sensor 600a: first sensor
600b: second sensor 600c: third sensor
700: Nozzle
800: roller table 820: second roller
900a: first sensing unit 900b: second sensing unit
1000:
C: Crop
S: Casting

Claims (14)

주편에서 절단된 크롭을 이송하는 크롭이송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절단된 상기 크롭의 낙하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
낙하된 상기 크롭이 안착되는 복수 개의 제1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및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하강한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크롭을 이송받는 롤러테이블을 포함하는 크롭이송장치.
A crop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a cropped cut in a slab,
A first guide part and a second guide part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guiding the falling of the cut pieces;
A rolle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irst rollers on which the dropped crops are seated;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the roller portion; And
And a roller table which is transpor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descended by the elev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상단은 상기 주편의 이송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단은 상기 주편의 이송방향으로 절곡되는 크롭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main piec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ortion is bent in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main pie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1 홀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의 제1 롤러는 상기 제1 홀을 통해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크롭이송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guide portion includes a first hole formed in a vertically long length,
And the first roller of the roller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through the firs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테이블은 하강한 상기 제1 롤러가 사이에 배치되게 제1 롤러테이블과 제2 롤러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테이블과 상기 제2 롤러테이블 각각은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복수 개의 제2 롤러를 포함하는 크롭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ller table includes a first roller table and a second roller table such that the first roller is lowered,
Wherein each of the first roller table and the second roller table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rollers that rotate based on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테이블에는 제2 감지부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제2 롤러테이블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크롭을 감지하는 크롭이송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roller table further includes a second sensing portion,
And the second sensing unit senses the crop conveyed along the second roller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승강되게 배치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프레임에 승강되게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롤러부의 일측이 배치되는 크롭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 device,
frame;
A lift unit disposed on the frame to move up and down; And
And a lifting member for lifting the lifting unit,
Wherein the elevating portion includes a main body which is arranged to be raised and lowered on the frame and a support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one side of the roller portion is disposed in the support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롤러는
수평상으로 전개된 홈 위치,
상기 홈 위치에서 상승하여 낙하되는 상기 크롭이 안착되는 안착 위치, 및
상기 홈 위치에서 하강하여 상기 제1 롤러가 상기 롤러테이블의 제2 롤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이송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이동하는 크롭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first roller is moved by the elevating member
A groove position develop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seating position at which the above-mentioned crop which ascends and falls at the groove position is seated, and
And wherein the first roller is moved down to the home position and the first roller is moved to any one of a transport position in which the first roller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roller of the roller tab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는 배치되는 감지부재, 및 상기 위치 각각에 대응되게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감지부재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롤러가 위치함을 감지하는 크롭이송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on the frame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s, respectively,
Wherein one of the sensors detects that the first roller is positioned in any one of the positions as the sensing member is sens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지지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크롭이송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main body,
Wherein the lift device further comprises a turning portion that rotates the support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롤러를 상기 홈 위치 또는 상기 제1 롤러의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대기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크롭이송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ivoting portion rotates the first roller to the home position or a standby position in which the axis of the first roller is arrang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편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두 개의 절단장치가 접근하여 소정의 폭 간격을 남길 때,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롤러를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홈 위치로 회전시키는 크롭이송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wo cutting devices approach and leave a predetermined width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t steel,
And the pivoting portion rotates the first roller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home posi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홈 위치에서 상기 안착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절단장치는 남겨진 상기 폭 간격을 절단하는 크롭이송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fter the first roller is moved from the home position to the seating position by the lifting device, the cutting device cuts the remaining width interv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위치에 안착된 상기 크롭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부가 상기 크롭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안착 위치에서 상기 이송 위치로 이동하는 크롭이송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crop placed on the seating position,
And the first roller is moved from the seating position to the transporting position by the lifting device as the first sensing portion senses the crop.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 위치에서 상기 노즐은 상기 크롭을 향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크롭이송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nozzle disposed i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Wherein the nozzles at the transfer position inject cooling water toward the crops.
KR1020170130203A 2017-10-11 2017-10-11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crop KR1019741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203A KR101974100B1 (en) 2017-10-11 2017-10-11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cr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203A KR101974100B1 (en) 2017-10-11 2017-10-11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cro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710A true KR20190040710A (en) 2019-04-19
KR101974100B1 KR101974100B1 (en) 2019-04-30

Family

ID=6628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203A KR101974100B1 (en) 2017-10-11 2017-10-11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cro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10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722B1 (en) * 2021-08-23 2021-11-08 (주)현대보테코 Bimetal cylind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Injection Machines and Extruders
KR20230030300A (en) * 2021-08-25 2023-03-06 (주)현대보테코 Bimetal cylind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Injection Machines and Extrud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644A (en) * 2011-07-04 2013-01-14 박병완 Rubber cutters
KR20140005035A (en) * 2012-07-04 2014-01-14 주식회사 포스코 Steel plate cutting auxiliary unit and steel plate cu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5223608A (en) * 2014-05-28 2015-12-14 村田機械株式会社 Plate material processing system and plate material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644A (en) * 2011-07-04 2013-01-14 박병완 Rubber cutters
KR20140005035A (en) * 2012-07-04 2014-01-14 주식회사 포스코 Steel plate cutting auxiliary unit and steel plate cut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5223608A (en) * 2014-05-28 2015-12-14 村田機械株式会社 Plate material processing system and plate material processing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722B1 (en) * 2021-08-23 2021-11-08 (주)현대보테코 Bimetal cylind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Injection Machines and Extruders
KR20230030300A (en) * 2021-08-25 2023-03-06 (주)현대보테코 Bimetal cylind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Injection Machines and Extru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100B1 (en)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9679B2 (en) Pouring machine control system, pouring equipment and pouring method
KR101974100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crop
KR101320126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pward movement of strip
KR100783080B1 (en) Slab alignment apparatus
KR101510264B1 (en) Apparatus for moving object
KR101159776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pward movement of material
KR101225796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pward movement of material
KR100408674B1 (en) Device for loading slab crop
KR101399861B1 (en) Size sensor for rolling mil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047657B2 (en) Continuous casting machi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22579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pward movement of front part of strip
JP2012016708A (en) Method for automatic pouring of molten metal and facility for the same
KR20130131991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and the method thereof
KR20130059878A (en) Transferring apparatus for fuel and raw material
CN114849852B (en) Rod adding device and rod adding method for steel slag rod mill
KR10119386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pward movement of front part of strip
KR20170068640A (en) Guide apparatus for dummy bar of continuous casting facilities
KR101905763B1 (en) Apparatus for changing the loading position of dummy bar
KR101204836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material
KR20120001251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trip
KR101291533B1 (en) Transferring apparatus for fuel and raw material in continuous ship unloader
KR100805277B1 (en) Slab of pick table and method for alignment
JP2008214004A (en) Roll body conveying device
KR100797821B1 (en) Scrap cooler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KR100863855B1 (en) Spraying apparatus of cooling water for section shape st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