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504A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504A
KR20190040504A KR1020197008695A KR20197008695A KR20190040504A KR 20190040504 A KR20190040504 A KR 20190040504A KR 1020197008695 A KR1020197008695 A KR 1020197008695A KR 20197008695 A KR20197008695 A KR 20197008695A KR 20190040504 A KR20190040504 A KR 20190040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node
relative timing
transmitting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1206B1 (ko
Inventor
이아나 시오미나
로버트 발데마이르
무함마드 카즈미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to KR1020227006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525A/ko
Publication of KR2019004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5Adaptation of specific ARQ protocol parameters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ransceiver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가 기술되고, 상기 노드는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을 위해서 배열되며, 상기 노드는, 또한,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더 배열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 및 동작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송이 노드 사이에서 송신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노드 및 이러한 노드를 동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배치된 및/또는 개발중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UMTS(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3G로도 공지됨)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4G로도 공지됨) 아키텍처를 갖는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현재, 5G 또는 차세대(Next Generation)로도 공지된 NR(New Radio)로 언급되는 다른 표준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LTE에서 eNodeB 또는 eNB 및 NR에서 gNB로 표시됨) 및 무선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UE)는 무선 전송을 송신 및 수신하고, 무선 전송 중 일부는 선행하는 전송에 응답해서 송신된다.
LTE 아키텍처에 있어서, 이들 응답의 상대적인 타이밍은 합의된 표준에 의해 고정된다. 예를 들어, ACK/NACK 피드백은 전송을 수신하는 노드에 의해 사용되어, 그 전송이 성공적으로 수신된 또는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것을 송신 노드에 알린다. ACK/NACK는, (UL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UE에 의해 다운링크(DL) 전송에 응답해서 또는 업링크(UL) 전송에 응답해서 (물리적인 하이브리드 인디케이터 채널(PHICH)을 통해서) eNB에 의해 각각 전송될 수 있다.
네트워크의 구성에 의존해서 무선 장치에 의해 전송된 HARQ 피드백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n에서) 전송의 (n+4) 수신 후, 4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된다. 또한, 시분할 듀플렉스(TDD)에 대해서 관계는 미리 규정된다. 하프 듀플렉스 FDD(HD-FDD)에 있어서, UE에서의 데이터의 수신과 업링크에서 HARQ A/N의 전송 사이의 타이밍 관계가, 또한 규정되는데, 예를 들어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에 있어서 ACK/NACK는 서브프레임 n+12에서 송신된다.
현재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에 의해 논의되는 NR 아키텍처는, LTE 네트워크와의 일부 수준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는 것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에 대해서 더 많은 유연성을 갖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형태에 따라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가 제안된다. 노드는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에 대해서 배열된다. 노드는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더 배열된다.
이 개념에 따르면, 기술된 통신 메커니즘의 콘텍스트에 있어서 제1전송의 송신 노드 또는 제2전송의 송신 노드가 될 수 있는 노드는, 종래 기술과 같이 미리 규정된 방식으로 제2전송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을 반드시 설정하는 것이 제한되지 않지만,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표현 "상대적인 타이밍"은, 상대적인 타이밍의 면에서 서로에 대해서 다른 복수의(즉, 2개 이상의) 초이스가 있는 것을 의미하는데, 즉 n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Ci가 있으면, 여기서 i=1,..., n, 초이스 Ci에 대한 제2전송의 송신이 초이스 Ci+1에 대한 제2전송의 송신보다 초기에 될 것이라는 의미에서 가장 빠른으로부터 가장 느린으로의 제2전송의 송신에 대한 시간적인 하이어라키와 관련된다. 자연스럽게, 초이스의 표현은 역으로 될 수 있는데, 즉 초이스 Ci는, 초이스 Ci에 대한 제2전송의 송신이 초이스 Ci+1에 대한 제2전송의 송신보다 나중에 될 것이라는 의미에서 가장 느린으로부터 가장 빠른으로의 시간적인 하이어라키로서 동등하게 표현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개념은, C1="빠른" 및 제2초이스 C2="더 느린"으로서 구현될 수 있어서 초이스 C1이 선택되면, 제2전송의 송신은 초이스 C2가 선택될 때보다 초기가 될 것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이스 Ci는 서로에 대해서 상대적인 타이밍에만 관련되므로, 관련된 실재 시간 값에는 제한이 없다. 더욱이, 제2전송이 각각의 초이스 Ci에 대해서 송신되는 실재 시간은, 다른 초이스 사이의 상대적인 타이밍의 하이어라키가 유지되는 한, 제2전송을 송신하는 한 인스턴스로부터 제2전송을 송신하는 다른 인스턴스로 변화될 수 있다. 그럼에도, 원하면, 개념은, 각각의 초이스 Ci와 관련된 실재 시간 값(예를 들어, 제1전송의 수신과 제2전송의 송신 사이의 시간 차이를 표현하는 차이 시간 ΔTi)의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런데, 이 개념은, 전송 메커니즘 Mi의 세트로서 동등하게 잘 구현될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은 가장 빠른으로부터 가장 느린 또는 역의 타이밍 초이스의 하이어라키와 관련된다.
기술된 개념에 기인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는, 제2전송을 송신함으로써 제1전송에 응답하는 응답 시간이 가변적으로 제어될 수 있음에 따라, 더 유연하게 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를 동작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노드는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에 대해서 적응된다. 방법은,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안되는데, 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 상에서 실행되도록 배열되고, 이는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부분을 포함한다. 더욱이, 실시형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메모리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서 노드를 동작하는 방법이 제안되는데, 방법은 제1전송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대적인 타이밍은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에 따라서, 제2전송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서 노드를 동작하는 방법이 제안되는데, 방법은 다른 노드에 제1전송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대적인 타이밍은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개선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 및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다음의 실시형태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을 참조할 것이다:
도 1은 일례의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현재 기술된 개념에 따른 노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방법 실시형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다른 방법 실시형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다른 방법 실시형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다른 방법 실시형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다른 방법 실시형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은 NR 아키텍처의 개략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NR 배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NR에 대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후보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엔드에서 ACK/NACK 피드백을 갖는 DL-헤비 슬롯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1전송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는 피드백으로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2개의 다른 상대적인 타이밍의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응답으로 자원 할당 및 데이터 전송의 제1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14는 응답으로 자원 할당 및 데이터 전송의 제2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15는 응답으로 자원 할당 및 데이터 전송의 제3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16은 어떻게 DL HARQ 피드백이 "즉각적인" ACK/NACK의 형태로서 DL-헤비 슬롯 존속 기간의 엔드에서 전송되는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6의 예의 "즉각적인" 피드백에 대해서 지연된 피드백 전송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코어 부분(또는 코어 네트워크)(10) 및 하나 이상의 액세스 부분(또는 액세스 네트워크)(11)을 갖는 것으로 나타낸 무선 통신 네트워크(1)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코어 부분(10)은 코어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배열되는 한편, 액세스 부분(11)은 엔드 노드(12)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1)에 액세스하게 배열된다. 코어 및 액세스 부분 또는 네트워크의 개념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추가의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도 1은 코어 네트워크 노드(101) 및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111)를 나타낸다. 현재 기술된 개념은, 소정의 설명된 노드에 대해서 적용가능한데, 즉 코어 부분의 엔드 노드(12), 액세스 노드(111) 및/또는 네트워크 제어 노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개념은, 또한, 예를 들어 3G, 4G 및/또는 5G 및 다른 기술의 소정의 혼합된 아키텍처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특정 통신 기술에 제한되지 않는다.
엔드 노드의 일례는 사용자 장비(UE)이거나 또는 액세스 부분(11)을 통해서 네트워크(1)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소정의 다른 장치이다. 이와 같이, 엔드 노드는 무선 장치, 모바일 폰, 모바일 컴퓨터, 릴레이만 아니라, 예를 들어 IoT 요소(IoT=Internet of Things)인 상호 연결성을 위해서 설계된 적합하게 장비된 센서 액추에이터 또는 다른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엔드 노드가 서로 중에서 또는 네트워크(1)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내의 노드, 예를 들어 인터넷 내에 위치하는 컴퓨터 서버와 모두 네트워크(1)를 통해서 통신하도록 배열되더라도, 엔드 노드는 서로와의 직접 통신을 위해서 배열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엔드 노드는, 액세스 노드 또는 무선 신호를 통해서 다른 엔드 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소정 타입의 무선 장치가 될 수 있다. 엔드 노드는, 또한, 무선 통신 장치, 타겟 장치, 장치 대 장치(D2D) UE, 머신 타입 UE 또는 머신 투 머신 통신(M2M) 가능한 UE, UE가 장비된 센서 태블릿, 모바일 단말, 스마트 폰, 랩탑 매립된 장비(LEE), 랩탑 탑재된 장비(LME), USB 동글, 고객 구내 장비(CPE) 등이 될 수 있다.
액세스 노드는, 기지국(BS), 무선 기지국, 기지국 송수신기(BTS), 기지국 제어기(BSC), 네트워크 제어기, g노드B, gNB, NR BS, 진화된 노드B(eNB), 노드B, 멀티-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티티(MCE), 릴레이 노드, 액세스 포인트, 무선 액세스 포인트, 원격 무선 유닛(RRU), 원격 라디오 헤드(RRH), 멀티-표준 BS(MSR BS)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는 소정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 노드는 소정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ON(Self-Organizing Network) 노드, 조정 노드, 포지셔닝 노드,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s) 노드 등, 또는 심지어 외부 노드(예를 들어, 제3파티 노드, 현재 네트워크(1)에 대해서 외부의 노드) 등이 될 수 있다
본 설명에 있어서 용어 "네트워크 노드"는 액세스 노드와 네트워크 제어 노드 모두에 대해서 사용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테스트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개념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노드(20)는 다른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부분(201)을 포함한다. 노드(20)가 엔드 노드, 예를 들어 도 1의 엔드 노드(12)이면, 인터페이스 부분(201)이 무선 통신을 위해서 배열될 것이다. 노드(20)가 액세스 노드, 예를 들어 도 1의 액세스 노드(111)이면, 인터페이스 부분은 엔드 노드와의 무선 통신 및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제어 노드와의 유선 및 무선 통신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위해서 배열될 것이다. 노드(20)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제어 노드, 예를 들어 도 1의 네트워크의 제어 노드(101)이면, 인터페이스 부분은 액세스 노드와의 유선 및 무선 통신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위해서 배열된다. 더욱이, 인터페이스 부분(201)은 노드의 통신 조건, 예를 들어 신호 강도와 관련된 측정을 수행하도록 더 배열될 수 있다. 그런데, 노드(20)는, 또한, 전용의 측정 장비(도시 생략) 또는 테스트 장비(도시 생략)를 가질 수 있다.
노드(20)는, 노드(20)의 동작, 특히 인터페이스 부분(201)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 및/또는 측정만 아니라 수신된 데이터 및 정보의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분(202)을 더 포함한다. 제어 부분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 및 제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세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적합한 또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 개념에 따르면, 노드(20)는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을 위해서 배열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의 예는, 제1전송이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2전송이 그 데이터의 수신과 관련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곳이다. 다양한 이러한 피드백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메커니즘 또는 HARQ(Hybrid-ARQ) 메커니즘으로 공지된다. 이러한 ARQ 또는 HARQ 메커니즘은 본 발명 개념의 예시적인 경우에 있어서 제2전송이 ACK/NACK 정보를 포함할 수 있도록, 제1전송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수신 상태와 관련되는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메시지의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송에서 송신될 수 있는 피드백 정보의 다른 예는,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피드백 또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s) 피드백이다.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의 다른 예는, 제1전송이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제2전송이 데이터를 포함할 때이고, 상기 데이터는 자원 할당 정보로 할당된 자원을 통해서 전송된다. 본 발명 개념의 예시적인 경우에 있어서 제1전송은, 예를 들어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기술된 개념의 콘텍스트에 있어서, 노드(20)는 기술된 통신 메커니즘에서 다른 방식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20)는 제1전송의 수신기 및 제2전송의 송신기가 될 수 있다. 노드(20)가 엔드 노드이면, 제1전송은 DL(다운링크) 데이터 통신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전송은 DL 데이터 통신의 수신 상태에 관한 UL(업링크) 피드백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동등하게, 제1전송은 DL 상에서 송신된 스케줄링 정보가 될 수 있고, 제2전송은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에 응답하는 UL 전송이 될 수 있다. 노드(20)가 액세스 노드이면, 제1전송은 UL 데이터 통신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전송은 UL 데이터 통신의 수신 상태에 관한 DL 피드백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노드(20)는, 또한, 제1전송의 송신기 및 제2전송의 수신기가 될 수 있다. 또는, 노드(20)는, 또한,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의 송신기 및 수신기로서 행동하는 다른 노드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UL 또는 DL 통신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 외에, 현재 기술된 개념은,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에 또는, 2개 이상의 엔드 노드 사이의(또는 이들 중의), 2개 이상의 액세스 노드 사이의(또는 이들 중의), 또는 2개 이상의 네트워크 제어 노드 사이의(또는 이들 중의) 통신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현재 기술된 개념은, 제1 및 제2전송을 위한 소정의 원하는 타입의 캐리어 또는 채널과 관련해서 채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모두가 제어 채널(예를 들어, 물리적인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데이터 채널(예를 들어,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된 채널(PDSCH) 또는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된 데이터 채널(PUSCH))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노드(20)의 제어 부분은,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배치(2021)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2021)는 소정의 적합한 또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소정의 적합한 조합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치(2021)는 노드(20)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 부분이 될 수 있다.
표현 "상대적인 타이밍"은, 그 상대적인 타이밍의 면에서 다른 복수의(즉, 2개 이상의) 초이스가 있는 것을 의미하는데, 즉 n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Ci가 있으면, 여기서 i=1,..., n, 초이스 Ci에 대한 제2전송의 송신이 초이스 Ci+1에 대한 제2전송의 송신보다 초기에 될 것이라는 의미에서 가장 빠른으로부터 가장 느린으로의 제2전송의 송신에 대한 시간적인 하이어라키와 관련된다. 자연스럽게, 초이스의 표현은 역으로 될 수 있는데, 즉 초이스 Ci는, 초이스 Ci에 대한 제2전송의 송신이 초이스 Ci+1에 대한 제2전송의 송신보다 나중에 될 것이라는 의미에서 가장 느린으로부터 가장 빠른으로의 시간적인 하이어라키로서 동등하게 표현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개념은, C1="빠른" 및 제2초이스 C2="더 느린"으로서 구현될 수 있어서 초이스 C1이 선택되면, 제2전송의 송신은 초이스 C2가 선택될 때보다 초기가 될 것이다. 다른 일례로서, 개념은, 제1초이스 C1="빠른", 제2초이스 C2="중간" 및 제3초이스 C3="더 느린"으로 구현될 수 있어서 초이스 C1이 선택되면, 제2전송의 송신은 초이스 C2가 선택될 때보다 초기가 되고, 초이스 C2가 선택되면, 제2전송의 송신은 초이스 C3이 선택될 때보다 초기가 되도록 될 것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이스 Ci는 서로에 대해서 상대적인 타이밍에만 관련되므로, 관련된 실재 시간 값에 대한 제한이 없다. 더욱이, 제2전송이 각각의 초이스 Ci에 대해서 송신되는 실재 시간은, 다른 초이스 사이의 상대적인 타이밍의 하이어라키가 유지되는 한, 제2전송을 송신하는 한 인스턴스로부터 제2전송을 송신하는 다른 인스턴스로 변화될 수 있다. 그럼에도, 원하면, 개념은, 각각의 초이스 Ci와 관련된 실재 시간 값(예를 들어, 제1전송의 수신과 제2전송의 송신 사이의 시간 차이를 표현하는 차이 시간 ΔTi)의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런데, 이 개념은, 전송 메커니즘 Mi의 세트로서 동등하게 잘 구현될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은 가장 빠른으로부터 가장 느린 또는 역의 타이밍 초이스의 하이어라키와 관련된다.
도 3은 현재 기술된 개념의 기본적인 방법 실시형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 예를 들어, 도 2의 노드(20)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3) 내에서, 노드는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에 대해서 적응되고,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S31)가 제공된다.
추가의 방법 실시형태의 일례가 도 4의 흐름도에 도시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노드, 예를 들어 도 2의 노드(20)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4) 내에서, 노드는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에 대해서 적응되고, 제1전송을 수신(S41)하는 단계,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S42) 및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에 따라서, 제2전송을 송신하는 단계(S43)가 제공된다.
도 3 또는 도 4의 방법은, 다른 노드에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을 표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선택 프로세스(S31 또는 S42)에 후속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는 도 5에 나타내는데, 여기서 단계(S51)는 이러한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단계(S51)가 단계(S43)에 후속하더라도, 단계(S51)이 단계(S43) 이전에 또는 이에 병렬로 될 수 있음에 따라,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다른 노드는 전송 메커니즘 내의 직접적인 통신 파트너, 즉 제1전송을 송신하는 노드가 될 수 있고, 또는, 이는, 네트워크(1) 내의 제어 노드와 같은 일부 다른 노드가 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또한, 복수의 노드에 송신될 수 있다. 제어 메시지에 의해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제2전송의 의도된 수신기는, 제2전송을 송신하는 노드의 타이밍 초이스를 인식하게 되고, 따라서, 그 수신 프로세스를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제2전송을 수신하도록 의도된 노드가 S31 또는 S42와 같은 동일한 선택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즉 방법(3) 또는 방법(4)를 실행하는 노드와 동일한 로직 또는 알고리즘 및 동일한 입력 정보를 적용할 수 있도록 장비될 수 있음에 따라, 제어 메시지가 송신되는 것이 필수적이 아닌 것에 유의하자.
제어 메시지의 송신은 선택 프로세스의 각각의 완료 후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다른 노드의 요청에 따라서,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의존해서 다르게 트리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도 4 또는 도 5의 방법은, 다른 노드로부터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해서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을 표시하는 제어 메시지(예를 들어, DCI 메시지, 여기서 DCI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나타냄)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선택 프로세스(S31 또는 S42) 이전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메시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가 될 수 있다. 예를 도 6에 나타내는데, 여기서 단계(S61)는 이러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단계(S61)가 단계(S41)에 후속하지만, 단계(S61)가 단계(S41) 이전에 또는 이와 병렬로 될 수 있음에 따라,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 다음,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S31 또는 S42)는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고려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가 명령 메시지이고, 그러면 선택 프로세스가 수신된 명령을 따르도록 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런데, 또한, 제어 메시지가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위한 다른 노드의 제안을 노드에 알리는 정보 메시지가 되도록 고려할 수 있고, 여기서 선택 프로세스(S31 또는 S42)는 제안을 따르거나 또는 다르지 않을 수 있는데, 즉 다른 선택을 하기 위한 자유도를 갖는다. 후자의 경우,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 예를 들어 명령 메시지로서 또는 정보 메시지로서, 표시하기 위해서, 방법(3, 4, 5 또는 6)은 도 5의 단계(S51)와 같은 제어 메시지 송신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메시지는 DCI 메시지 및 RRC 메시지 중 하나 또는 모두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RC 및 DCI 제어 메시지 시그널링의 조합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RRC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다른 노드의 능력을 고려해서) 값의 가능한 세트를 구성할 수 있고, DCI 제어 메시지는 구성된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더 상세한 예는 다음에 주어진다. DCI 메시지는 RRC 메시지에 의해 구성된 응답 시간에 대해서 (예를 들어, 1 또는 2 비트를 통해서) 2 또는 4 값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RRC가 구성될 수 있는 값은, 예를 들어 수비학(numerology), 특히 구성하기 위한 가장 작은 값에 의존할 수 있다. 응답 시간은 DL 데이터 전송(의 엔드)와 PUCCH(HARQ 피드백) 전송 사이의 시간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는, UL 그랜트의 엔드와 UL 전송의 시작 사이의 시간이다. 주어진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일례의 수비학이고, 예를 들어 심볼의 수로 표현되는 주어진 최소 응답 시간이 일례의 능력인 것에 더 유의하자.
예:
예 A: 15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해서, UE는 DL 데이터의 엔드와 PUCCH의 시작 사이의 적어도 1 OFDM 심볼을 필요로 한다.
예 B: 30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해서, UE는 DL 데이터의 엔드와 PUCCH의 시작 사이의 적어도 2 OFDM 심볼을 필요로 한다.
예 C: 60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이상에 대해서, UE는 DL 데이터의 엔드와 PUCCH의 시작 사이의 적어도 4 OFDM 심볼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RRC를 통한 구성은 OFDM 심볼의 면에서 가능한 상대적인 타이밍 선택의 세트를 규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데, 즉 제1타이밍 선택은 n1 OFDM 심볼로 표현되고, 제2타이밍 선택은 n2 OFDM 심볼로 표현되는 등으로 되고, 여기서 ni는 수이다. 선택 제어 시그널링(예를 들어, DCI를 통한)이 1 비트이면, 가능한 선택의 세트는 2개의 멤버 {n1, n2}를 갖고, 선택 제어 시그널링(예를 들어, DCI를 통한)이 2 비트이면, 가능한 선택의 세트는 2개 내지 4개의 멤버 {n1, n2, n3, n4}를 갖는 등으로 된다. ni 중 가장 작은 수는 적어도, 예를 들어 예 A에 대해서 1, 예 B에 대해서 2, 예 C에 대해서 4로, 상기된 최소 응답 시간만큼 크게 될 수 있다. 자연스럽게, 가장 작은 수는 최소 스페이싱보다 클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더 느린" 응답 시간 조정이 가능하다. 예로서, 1-비트 선택 시그널링의 경우, 예 A에 대한 구성은, 예 B {2, 3}에 대해서 및 예 C {4, 5}에 대해서, {1, 2}가 될 수 있다. 다른 "더 느린" 구성은, 예 A에 대해서 {3, 6}, 예 B에 대해서 {5, 8}, 예 C에 대해서 {7, 10}이 될 수 있다.
주어진 수비학, 예를 들어 15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해서, 예를 들어 1 OFDM 심볼의 최소 응답 시간을 갖는 하나의 노드 및 3 OFDM 심볼을 갖는 다른 노드의, 다른 능력을 갖는 다른 노드(예를 들어, 단말기)가 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자. 그 다음, 가능한 구성은, 이에 따라서, 이들 다른 능력을 고려하는데, 즉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ni 중의 가장 작은 수는 적어도 최소 응답 시간만큼 크게 되어야 한다.
예 D: 15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해서, UE는 UL 그랜트의 엔드와 UL 전송의 시작 사이의 적어도 2 OFDM 심볼을 필요로 한다.
예 E: 30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해서, UE는 UL 그랜트의 엔드와 UL 전송의 시작 사이의 적어도 3 OFDM 심볼을 필요로 한다.
예 F: 60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이상에 대해서, UE는 UL 그랜트의 엔드와 UL 전송의 시작 사이의 적어도 4 OFDM 심볼을 필요로 한다.
예 A-C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게, 1-비트 선택 시그널링의 경우, 예 D에 대한 구성은, 예 E {3,4}에 대해서 및 예 F {4, 5}에 대해서, {2,3}이 될 수 있다. 다른 "더 느린" 구성은, 예 D에 대해서 {4, 6}, 예 E에 대해서 {6, 8}, 예 F에 대해서 {8, 10}이 될 수 있다.
이들 예가 시간 지연의 표현으로서 OFDM 심볼의 수를 사용하지만, 이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초 또는 초로 표현된 절대 시간을 사용하는, 많은 및 다른 표현 중 단지 하나의 가능성이 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자.
방법 실시형태의 다른 예가 도 7의 흐름도에 도시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 예를 들어 도 2의 노드(20)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7) 내에서, 노드는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에 대해서 적응되고, 제1전송을 송신하는 단계(S71),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S72) 및 제2전송을 수신(S73)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노드 실행 방법(7)은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에 따라서, 제2전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7의 방법은, 추가적으로, 프로세스(S31 또는 S72)의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을 표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 특히 제1전송이 송신되는 노드에 송신하는 프로세스(S31 또는 S71)에 후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동일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선택하기 위해서 다른 노드(들)를 지시하는 명령 메시지의 형태가 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노드(들)에서 만들어진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위한 제안으로서 프로세스(S31 또는 S72)에 의해 만들어진 선택을 포함하는 정보 메시지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3 및 도 7의 방법은, 더 추가적으로,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표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다른 노드로부터, 특히 제1전송이 송신되는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스(S31 또는 S72) 이전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프로세스(S31 또는 S72)에서 동일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선택하기 위해서 방법(7)을 구동하는 노드를 지시하는 명령 메시지의 형태가 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스(S31 또는 S72)에서 만들어진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위한 제안을 포함하는 정보 메시지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의 동작 방법은, 일반적으로 도면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통신 노드의 동작에 속하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단계 및 프로세스를 더 포함할 것이지만, 이들은, 현재 기술된 개념에 속하지 않음에 따라, 더 설명되지 않는다.
더욱이, 현재 기술된 개념에 따른 노드, 예를 들어 도 2의 노드(20)는,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정보는, 노드에 의해 지원된 하나 이상의 수비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7의 방법은, 상기 방법 내의 어디에서나, 바람직하게는 선택 프로세스(S31, S42 또는 S72) 이전의, 더 바람직하게는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에 관여하기 이전의, 즉 단계(S41 또는 S71) 이전의 다른 노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기술된 개념에 따른 노드,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노드(20)는, 부가 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다른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7의 방법은, 상기 방법 내의 어디에서나, 바람직하게는 선택 프로세스(S31, S42 또는 S72) 이전의, 더 바람직하게는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에 관여하기 이전의, 즉 단계(S41 또는 S71) 이전의 하나 이상의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다른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이 능력 정보는 수행 프로세스(S31, S42 또는 S72)의 후속하는 인스턴스에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데, 즉 선택 프로세스는,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할 때,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다른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수신된 정보를 고려한다.
선택 배열(2021) 또는 선택 프로세스(S31, S42 또는 S72)가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선택하기 위해서 채용하는 기준 또는 의존성은, 소정의 적합한 또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초이스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선택 프로세스는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 내에 포함되는 하나 또는 모두의 노드, 즉 제1전송을 수신하는 및 제2전송을 송신하는 노드 및/또는 제1전송을 송신하는 및 제2전송을 수신하는 노드의 하나 이상의 통신 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고려하도록 배열된다. 하나 이상의 통신 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고려하는 것은, 선택 배열을 갖는 또는 선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노드가 선택 절차에서 하나 이상의 통신 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직접 처리하는 의미에서 직접적이 될 수 있거나 또는,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을 표시하는 제어 메시지(예를 들어, 도 6과 관련해서 상기한 제어 메시지(S61)와 같은)가 하나 이상의 통신 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직접 고려해서 프로세스에서 생성되었지만, 선택 배열을 갖는 또는 선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노드만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다음, 제어 메시지 내에 포함된 타이밍 선택을 위한 명령을 간단히 따른다는 의미에서 간접적이 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메커니즘 내에 포함되는 하나 또는 모두의 노드의 하나 이상의 통신 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고려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다른 노드의 능력을 고려해서 상기한 것과 결합될 수 있다.
통신 조건은 제1전송의 전송(예를 들어, 제1전송을 반송하는 신호 또는 캐리어 및/또는 제1전송을 반송하는 채널 및/또는 제1전송을 반송하는 베어러) 및 제2전송의 전송(예를 들어, 제2전송을 반송하는 신호 또는 캐리어 및/또는 제2전송을 반송하는 채널 및/또는 제2전송을 반송하는 베어러) 중 하나 또는 모두와 관련될 수 있다.
통신 조건은 상기 통신 메커니즘에 대해서 제공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계층 설정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트의 예는 수비학이다. 수비학의 예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사이클릭 프리픽스, 채널 스페이싱, 주어진 대역폭 내의 RB의 수(무선 베어러), 심볼 길이, 서브프레임 길이, 슬롯 길이 등이다. 따라서, 선택 프로세스는, 사용된 수비학 또는 수비학들 및, 사용된 수비학 또는 수비학들이 주어지면,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다른 노드의 능력 중 하나 또는 모두를 고려할 수 있다.
통신 조건은 캐리어 주파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조건은 커버리지 수준과 같은 소정의 적합한 통신 품질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품질은 소정의 적합한 또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드 노드와 액세스 노드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인디케이터(예를 들어, 커버리지 수준)는 통신 품질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무선 측정 값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고, 여기서 이들 값은 임계치의 세트와 비교될 수 있으며, 각각이 임계치는 주어진 커버리지 수준에 대응한다. 용어 "무선 측정"은 무선 신호에 대해서 수행되는 소정의 측정을 언급할 수 있다. 무선 측정은 절대적 또는 상대적이 될 수 있다. 무선 측정은, 예를 들어 인트라-주파수, 인터-주파수, CA 등이 될 수 있다. 무선 측정은 단방향(예를 들어, DL 또는 UL) 또는 양방향(예를 들어, RTT, Rx-Tx 등)이 될 수 있다. 일부 예의 무선 측정은: 타이밍 측정(예를 들어, TOA(Time of Arrival), 타이밍 어드밴스, RTT(Round Trip Time), RSTD(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SSTD(Synchronization Signal Time Difference), Rx-Tx 시간 차이, 전파 지연 등), 각도 측정(예를 들어, 도달 각도), 전력 기반 측정(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 전력, RSRP(Reference Symbol Received Power), 수신된 신호 품질, RSRQ(Reference Symbol Received Quality), SINR, SNR, 경로 손실, 간섭 전력, 총 간섭 플러스 노이즈, RSSI, 노이즈 전력 등), 셀 검출 또는 식별, 빔 검출 또는 식별, 시스템 정보 판독(예를 들어, MIB 및/또는 하나 이상의 SIB의 획득 등), 셀 글로벌 ID(CGI)의 획득, RLM, 채널 가용성(예를 들어, 채널이 CSMA-같은 또는 LAA-같은 방안을 기반으로 액세스될 때), 로드 추정 또는 로드 측정, 채널 점유율 측정, CSI 등이다. CSI 측정의 예는 CQI, PMI, RI, CRI 등이다.
통신 조건은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 내에 포함된 2개의 노드 사이의 거리 및 속도 차이 중 하나 또는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가 될 수 있고, 통신 조건은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 내에 포함된 노드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위치되는 셀의 셀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조건은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 내에 포함된 2개의 노드 사이의 통신과 관련된 시간적인 특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통신 조건과 관련된 상기 정보는, 하나 이상의 도달 시간, 타이밍 어드밴스, 왕복 지연 시간, 기준 신호 시간 차이, 동기 신호 시간 차이, Rx-Tx 시간 차이 및 전파 지연을 포함한다.
현재 기술된 개념에 따라, 선택 프로세스는 하나 이상의 측정 결과를 고려할 수 있다. 측정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무선 측정이 될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측정은 통계적인 측정(예를 들어, 에러/실패/성공적인 동작의 확률)의 평가가 될 수 있다. 측정 결과는 하나 이상의 측정 결과를 포함할 수 있는데, 즉 다른 측정 값을 처리된 값으로 처리하는 것이 또한, 측정 결과를 생성한다.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와 관련해서, 제1전송의 수신과 제2전송의 송신 사이의 시간 차이 또는 응답 시간 ΔT와 관련된 타이밍 관계가 있을 수 있다. 타이밍 관계는, 주어진 수의 자원의 면에서 소정의 적합한 또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표현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물리적인 시간(예를 들어, 초로 측정된)으로서, 심볼의 (하나 이상의)의 부분의 수로서, (하나 이상의) 심볼의 수로서,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의 수로서, (하나 이상) 서브프레임의 수로서, (하나 이상) 슬롯의 수로서, (하나 이상의) 무선 프레임의 수로서, (하나 이상의) TTI의 수로서, (하나 이상의) 인터리빙 시간의 수로서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현재 기술된 개념에 따르면,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는,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각각의 통신 메커니즘 하에서 다른 타입의 통신의 그룹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타입의 통신은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는 송신 HARQ 피드백에 관련될 수 있고, 제2타입의 통신은 데이터 또는 기준 신호 전송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는 CSI 피드백을 전송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으며, 제3타입 통신은 자원 할당 수신에 응답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노드에서의 제1신호의 수신과 무선 노드에 의한 제2신호의 전송 사이의 동일한 타이밍 관계는 함께 그룹화된 모든 타입의 응답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HARQ, CSI, UL 데이터 전송 등에 대해서 동일하다.
이러한 그룹의 규정은 소정의 적합한 또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의 규정을 충족시키는 모든 타입의 통신을 커버한다. 그런데, 또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의 공통 적용을 위한 더 작은 그룹을 규정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노드에서의 제1신호의 수신과 노드에 의한 제2신호의 전송 사이의 타이밍 관계는, 이들이 동시에 또는 동일한 채널/무선 자원에서 전송되면, 동시에 전송되는 적어도 응답 신호의 타입에 대해서 동일한, 예를 들어 HARQ 및 CSI에 대해서 동일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기술된 개념에 따르면,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의 선택은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각각의 통신 메커니즘 하에서 다른 타입의 통신에 대해서 다르게 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전송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는 송신 HARQ 피드백과 관련되는 제1타입의 통신, 데이터 또는 기준 신호 전송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는 CSI 피드백을 송신하는 것과 관련되는 제2타입의 통신 및, 자원 할당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관련되는 제3타입 통신의 상기 예의 콘택스트에서, 개별적인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및, 가능하게는, 대응하는 개별 타이밍 관계)가 각각의 개별적인 타입의 통신에 대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제, 현재 기술된 개념을 적용하는 다른 예가 설명될 것이다.
수신 노드 예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에 포함된 및 제1전송의 수신 노드(이하, "수신 노드"로 언급됨)로서 행동하는 노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종류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 단계 0(옵션): 유연한 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의 지원과 관련된 수신 노드의 능력을 다른 노드에 표시,
단계 1: 응답(예를 들어, 피드백)이 전송되는 것이 필요한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채널을 수신 또는 기대하는 시간을 결정,
단계 2: 하나 이상의 통신 조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수비학, 캐리어 주파수, 셀 범위, 측정 및 임계치 또는 조건에 의존하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응답 전송 시간 또는 메커니즘과 관련된 복수의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하나를 선택,
단계 2a(옵션): 다른 노드에 선택된 초이스를 표시,
단계 3: 선택된 초이스에 기반해서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을 다른 무선 노드에 송신.
단계 0-3에 대한 다른 가능성은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단계 0
이 단계에 있어서, 수신 노드는 유연한 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의 지원과 관련된 수신 노드의 능력을 다른 노드(예를 들어, UE, 무선 네트워크 노드,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능력은 수신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응답 전송 시간 또는 메커니즘 옵션을 더 포함 또는 표시할 수 있다.
이 능력은 다른 노드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또는 요청되지 않은 방식으로, 예를 들어 트리거링 조건, 이벤트, 다른 노드로부터 트리거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따라서 제공될 수 있다.
단계 1
이 단계에 있어서, 수신 노드는 응답이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채널을 수신 또는 기대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채널이 시간 자원 #K(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슬롯#N 및/또는 심볼#M)에서 수신된다.
결정은, 예를 들어 실재 수신 시간, 스케줄링 정보, 미리 규정된 규칙 등에 기반할 수 있다.
단계 2
이 단계에 있어서, 수신 노드는, 하나 이상의 수비학, 캐리어 주파수, 커버리지 수준, 셀 범위, 측정 및 임계치 또는 조건에 의존해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복수의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예를 들어 피드백 전송 시간 또는 메커니즘 중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소정의 상기 파라미터 및/또는 선택 방법은, 예를 들어,
● 측정,
● 미리 규정된 규칙,
● 히스토리,
● 통계,
● 다른 노드로부터의 메시지 또는 구성에 기반해서 획득될 수 있다.
복수의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의 하나의 예는:
- 짧은 지연(더 빠른 응답으로 공지됨), 예를 들어 시간 자원 K+1에서 송신된 응답,
- 긴 지연(더 느린 응답으로 공지됨), 예를 들어 시간 자원 K+4에서 송신된 응답을 포함한다.
복수의 응답 전송 시간의 다른 예는:
- 짧은 지연(더 빠른 응답으로 공지됨), 예를 들어 시간 자원 K+1에서 송신된 응답,
- 중간 지연(중간 응답으로 공지됨), 예를 들어 시간 자원 K+3에서 송신된 응답,
- 긴 지연(더 느린 응답으로 공지됨), 예를 들어 시간 자원 K+6에서 송신된 응답을 포함한다.
복수의 피드백 전송 메커니즘 Mi의 일례는, 예를 들어: 소정의 2개 이상의,
- DL-헤비 슬롯(동일한 슬롯 또는 가까운 미래의 슬롯)의 엔드에서 전송되는 빠른 ACK/NACK 피드백 채널,
- 대안적인 피드백이 UL 슬롯에서 더 긴 전송 존속 기간을 통해서 전송되는 다른 피드백 메커니즘,
- 레거시-같은 피드백(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긴 피드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신 노드는, 또한, 다른 노드(예를 들어, 응답을 수신하는 노드 또는, 다른 UE에 대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선택된 초이스, 예를 들어 피드백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는, 예를 들어 요청에 따라서, 또는 트리거 조건 또는 이벤트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소정의 조합은 다음을 적용할 수 있다.
● 제1초이스, 예를 들어 제1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은 제1세트의 수비학에 포함된 수비학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고, 제2초이스, 예를 들어 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은 제2세트의 수비학에 포함된 수비학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 더 빠른 응답(메커니즘)은 제1임계치 아래의 수신 및/또는 피드백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고,
○ 더 느린 응답(메커니즘)은 제2임계치 위의 수신 및/또는 응답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다.
구현에 따라서, 반대가 일어날 수 있는데, 즉 더 빠른 응답(메커니즘)이 제1임계치 위의 수신 및/또는 피드백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고, 더 느린 응답(메커니즘)이 제2임계치 아래의 수신 및/또는 응답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다.
● 제1초이스, 예를 들어 제1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은 제1세트의 캐리어 주파수 내에 포함된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고, 제2초이스, 예를 들어 제2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은 제2세트의 캐리어 주파수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 더 빠른 응답(메커니즘)은 제1임계치 아래의 수신 및/또는 응답의 캐리어 주파수 상에서 전송될 수 있고,
○ 더 느린 응답(메커니즘)은 제2임계치 위의 수신 및/또는 응답의 캐리어 주파수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 제1초이스, 예를 들어 제1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은 제1세트의 셀 범위 내에 포함된 셀 범위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고, 제2초이스, 예를 들어 제2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은 제2세트의 셀 범위 내에 포함된 셀 범위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 여기서 제1세트의 셀 범위는 임계치 아래의 셀 범위를 포함하고, 제2세트의 셀 범위는 임계치 이상의 셀 범위를 포함한다.
● 제1초이스, 예를 들어 제1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은 제1측정 결과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고, 제2초이스, 예를 들어 제2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은 제2측정 결과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 제1측정 결과는 수신된 신호 강도 또는 품질이 임계치 위 및/또는 타이밍 측정 값이 임계치 아래이고, 제2측정 결과는 수신된 신호 강도 또는 품질이 임계치 아래 및/또는 타이밍 측정 값이 임계치 위이고,
○ 제1측정 결과는 채널 가용성이 임계치 위이고, 제2측정 결과는 채널 가용성이 임계치 아래이며,
○ 제1측정 결과는 로드가 임계치 위이고, 제2측정 결과는 로드가 임계치 아래이다.
● 구체적으로, 일례에 있어서, 수신 노드는, 다른 무선 노드에 대한 경로 손실이 경로 손실 임계치 아래이고, 무선 노드와 다른 무선 노드 사이의 전판 지연이 또한 전파 지연 임계치 아래이면, 제1초이스, 예를 들어 제1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을 선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무선 노드는 제2초이스, 예를 들어 제2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을 선택할 수 있다. 경로 손실 임계치 및 전파 지연 임계치는 노드를 제어함으로써 무선 노드에서 미리 규정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제어 노드는, 또한, 응답이 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다른 무선 노드가 될 수 있다.
●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수신 노드가 초이스, 예를 들어, 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측정을 신뢰할 수 있게 수행할 수 없으면, 수신 노드는 기준 초이스, 예를 들어 기준 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 또는 미리 규정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측정은, 정확성이 임계치보다 나쁘면, 예를 들어 경로 손실 측정 정확성이 ± 6 dB보다 나쁘면,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기준 응답 시간은 가능한 응답 시간 중에서 가장 길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기준 응답 시간은 가능한 응답 시간 중에서 중간 값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기준 응답 시간은 다른 노드에 의해 수신 노드에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에 있어서, 제1응답 전송 시간 및 제2응답 전송 시간은 각각 더 짧은 응답 지연 및 더 긴 응답 지연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3
이 단계에 있어서, 수신 노드는 선택된 초이스, 예를 들어 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에 기반해서 다른 무선 노드에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송신은 물리적인 채널(예를 들어, UL 제어 채널)을 통해서 응답을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노드 예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에 포함되는 및 제1전송의 송신 노드(이하, "송신 노드"로 언급됨)로서 행동하는 노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종류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단계 0(옵션): 수신 노드로부터, 유연한 응답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의 지원과 관련된 그 능력의 표시를 수신,
단계 1: 하나 이상의 수비학, 캐리어 주파수, 커버리지 수준, 셀 범위, 측정 및, 임계치 또는 조건에 의존해서 복수의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예를 들어 수신 노드에 대한 피드백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으로부터 하나를 선택,
단계 2(옵션): 선택 결과에 기반해서, 예를 들어 피드백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과 관련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의 수신 노드의 선택을 제어,
단계 3(옵션): 선택 결과에 기반해서, 응답 전송과 관련된, 및/또는 응답이 전송되는 무선 신호/채널에 대해서 자원 스케줄링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적응,
단계 4: 선택 결과에 기반해서, 수신 노드로부터 하나 이상의 응답을 수신.
단계 0-4에 대한 다른 가능성은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단계 0
이 단계에 있어서, 송신 노드는, 수신 노드로부터, 유연한 피드백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의 지원과 관련된 그 능력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노드 실시형태의 이전 설명의 단계 0을 참조.
수신된 능력 정보는, 예를 들어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예를 들어 피드백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이 수신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다음의 단계에서 더 사용될 수 있다.
단계 1
이 단계에 있어서, 송신 노드는, 하나 이상의 수비학, 캐리어 주파수, 커버리지 수준, 셀 범위, 측정 및, 임계치 또는 조건에 의존해서 복수의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예를 들어 수신 노드에 대한 피드백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 방법, 원리 및 규칙은 수신 노드에 대해서 설명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더욱이, 선택은, 수신 노드로부터 수신된 측정 결과 및/또는 송신 노드에서 획득된 측정 결과에 기반할 수 있다(예를 들어, 수신 노드에 의한 무선 전송에 기반).
단계 2
이 단계에 있어서, 송신 노드는, 선택 결과에 기반해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예를 들어 피드백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의 수신 노드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서 소정의 적합한 또는 바람직한 타입의 제어 메시지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동등하게,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반-정적으로 구성된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가 될 수 있다. RRC 및 DCI 시그널링은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RRC 제어 메시지는 가능한 세트의 값을 구성하고(예를 들어, 다른 노드의 능력을 고려해서), DCI 제어 메시지는 구성된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한다.
제어는, 수신 노드가, 송신 노드에서의 선택 결과에 기반해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예를 들어 전송 시간 및/또는 메커니즘을 선택 또는 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선택 결과에 기반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수신 노드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
이 단계에 있어서, 송신 노드는, 선택 결과에 기반해서, 응답 전송과 관련된 및/또는 응답이 전송되는 무선 신호/채널에 대해서 자원 스케줄링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빠른 응답(예를 들어, 피드백 또는 UL 전송)이 선택되면, 더 빠른 스케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는, 슬롯 존속 기간의 엔드에서 피드백 상의 전송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DL 전송이 슬롯 내에서 초기에 스톱할 수 있는 것이다(도 11 참조).
단계 4
이 단계에 있어서, 송신 노드는, 선택 결과에 기반해서, 수신 노드로부터 하나 이상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현재 기술된 개념은,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소정의 통신 메커니즘의 콘택스트에서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이 개념은, NR 또는 5G 아키텍처의 도입의 콘택스트에서 적용되며, 그 측면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NR(5G 또는 다음 세대 또는 새로운 무선으로 공지됨) 아키텍처는 3GPP에서 논의되고, 현재의 개념은 도 8에 도시되는데, 여기서 eNB는 LTE eNodeB를 나타내고, gNB는 NR 기지국(NR BS)을 나타내며(하나의 NR BS는 하나 이상의 전송/수신 포인트에 대응할 수 있다), 노드 사이의 라인은 3GPP에서 논의 중인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또한, 도 9는 3GPP에서 논의되는 NR BS를 갖는 배치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NR 무선 프레임 구조는 NR에 대해서, 논의된다. 그런데, 시간 및/또는 주파수에서 다중화된 다수의 수비학이 NR에서 지원될 것이 이미 합의되었다. 더욱이, 무선 프레임은 다른 수의 더 작은 시간 단위, 예를 들어 심볼로 이루어질 수 있다.
LTE에 대해서 용어 "수비학(numerology)"은, 예를 들어 다음의 요소: 프레임 존속 기간, 서브프레임 또는 TTI 존속 기간, 슬롯 존속 기간,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 RB 당 서브캐리어 수, 대역폭 내의 RB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다른 수비학은 동일한 대역폭 내에서 다른 수의 RB로 귀결될 수 있다).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의 수비학 요소에 대한 정확한 값은, 전형적으로 성능 목표에 의해 도출되고, 예를 들어 성능 요구 사항은 사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크기에 제약을 부과하며, 예를 들어 최대 허용 가능한 위상 노이즈는 최소 서브캐리어 대역폭을 설정하는 한편, 스펙트럼의 느린 소멸(필터링 복잡성 및 보호 대역 크기에 충격을 미치는)은 주어진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서 더 작은 서브캐리어 대역폭을 선호하며, 요구된 사이클릭 프리픽스는 오버헤드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 주어진 캐리어 주파수에 대한 최대 서브캐리어 대역폭을 설정한다.
그런데, 기존의 RAT에서 이제까지 사용된 수비학은 다소 정적이고, 전형적으로 UE에 의해, 예를 들어 RAT, 주파수 대역, 서비스 타입(예를 들어, MBMS) 등에 대한 일대일 매핑에 의해 간단히 도출될 수 있다.
OFDM 기반인 LTE 다운링크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은, 정상 CP에 대해서 15kHz이고, 확장된 CP에 대해서 15kHz 및 7.5kHz이며(즉, 감소된 캐리어 스페이싱), 여기서 후자는 MBMS 전용의 캐리어에 대해서만 허용된다.
다수의 수비학에 대한 지원은 동일한 또는 다른 UE에 대한 주파수 및/또는 시간 도메인에서 다중화될 수 있는 NR에 대해서, 합의되었다.
OFDM에 기반하는 NR에 있어서, 다수의 수비학은 일반적인 동작에 대해서 지원될 것이다. 스케일링 접근(스케일링 팩터 2^n, n∈N 0에 기반)이 NR에 대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후보를 도출하기 위해서 고려된다. 현재 논의된 서브캐리어 대역폭에 대한 값은, 다른 것들 중에 대해서도, 3.75kHz, 15kHz, 30kHz, 60kHz를 포함한다. 그 다음, 수비학 특정 슬롯 존속 기간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기반해서 ms로 결정할 수 있고: (2 m * 15)kHz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은 15kHz 수비학에서 X ms인 슬롯에 대해서 정확히 1/2m 슬롯 X를 제공하며, 여기서 X는, 예를 들어 0.5 또는 1이 될 수 있다.
적어도 480kHz까지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NR에 대해서, 현재 논의되고 있다(최대 논의된 값은 밀리미터파 기반 기술에 대응한다). 또한, 동일한 NR 캐리어 대역폭 내의 다른 수비학을 다중화하는 것이 지원되고, FDM 및/또는 TDM 다중화가 고려될 수 있는 것에 합의했다. 다른 수비학을 사용하는 다수의 주파수/시간 부분이 동기 신호를 공유하고, 여기서 동기 신호는 신호 자체 및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언급하는 것에 합의했다. 또 다른 합의는, 매우 낮은 캐리어 스페이싱이 매우 높은 캐리어 주파수에서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상정되더라도, 사용된 수비학이 주파수 대역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에 있어서, 일부 후보 캐리어 스페이싱이 주파수 및 셀 범위와 관련해서 도시된다. 표 1에 있어서, 일부 후보 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한 대응하는 존속 기간에 대한 상세가 제공된다.
kHz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μs의 OFDM 심볼 존속 기간 μs의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 μs의 총 심볼 존속 기간
15 66.67 4.76 71.43
30 33.33 2.38 35.71
60 16.67 1.19 17.86
120 8.33 0.60 8.93
ACK/NACK 피드백은, 예를 들어 LTE에서 의도된 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 노드에 전송이 성공적으로 수신 또는 수신되지 않은 것을 알리기 위해서 사용된다. ACK/NACK는, DL에 응답한 UE(UL 제어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에 의해서 또는 UL에 응답하는 eNB(PHICH를 통해서)에 의해서 각각 전송될 수 있다. UL에서 UE에 의해 전송된 HARQ 피드백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FDD에서 UE는 서브프레임 n에서의 DL 수신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n+4)에서 피드백을 전송하는 것이 기대된다. TDD에 대해서, 관계는, 또한, 미리 규정되지만 TDD 구성에 의존한다. HD-FDD에 있어서, UE에서의 데이터의 수신과 업링크에서 HARQ A/N의 전송 사이의 타이밍 관계가 또한 미리 규정되는데, 예를 들어 NB-IoT에서 ACK/NACK이 서브프레임 n+12에서 송신된다.
NR에 대해서(또는 적어도 일부 구성/셋업에 대해서), 중요한 기능 요구 사항 중 하나는 감소된 래이턴시인데, 이는, 또한, 예를 들어 빠른 피드백을 의미할 수 있다. 빠른 피드백을 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솔루션이 논의되었다.
예를 들어, 슬롯 동안 DL에서 송신된 전송 블록의 ACK/NACK 피드백이 동일한 슬롯의 엔드에서 미리 송신될 수 있는 것이 예견된다, 도 11 참조. 여기서 Tproc는 UE 처리 시간(ACK/NACK를 디코딩 및 준비하기 위해서 UE에서 요구된 시간)이고, Tp는 전파 시간이다.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포함하는 하나의 OFDM 심볼은 Ts 길다. 빠른 ACK/NACK 피드백의 더 느린 버전이 또한, 도 11에 묘사된 UL 슬롯이 현재 슬롯에서 DL의 ACK/NACK 피드백을 포함하지 않지만 이전의 슬롯의 DL의 ACK/NACK 피드백을 포함하는 3GPP에서 논의되는 것에 유의하자.
도 11은 엔드에서 ACK/NACK 피드백을 갖는 DL-헤비 슬롯을 나타낸다. DL-엔드 UL-시작 사이의 존속 기간은 UE 처리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3개의 OFDM 심볼 존속 기간은 UE에서 요구된 처리 시간을 포함하는 UL 채널 구조를 고정하기 위해서 필요하게 된다.
NR 캐리어가 LTE TDD 캐리어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배치되고, 간섭에 기인하면, UL-DL이 정렬되어야 하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ACK/NACK 피드백은, LTE가 매칭 프레임 구조를 갖지 않으므로, 사용될 수 없다. 이 경우, 대안적인 ACK/NACK 피드백 구조가 사용되어야 한다. 대안적인 ACK/NACK 피드백 구조는, 예를 들어 스케줄된 자원 상의 더 "레귤라" UL 전송과 유사하다, 도 12 참조. 도 12에는, ACK/NACK 피드백 메커니즘 모두가 보인다. 특히, 도 12에 있어서, 제1의 2개의 전송은 전송의 엔드에서 즉각적으로 오는 ACK/NACK 피드백에 의해 애크된다. 마지막 전송은 더 "레귤라" UL 전송으로 전송된 피드백에 의해 애크되고, LTE와의 공존이 요구되면, 더 적합한다.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현재 기술된 개념은, 장점으로, 상기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노드는, 예를 들어, 제1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와 동일한 슬롯의 엔드에서 빠른 피드백과 후속하는 슬롯에서 스케줄링된 자원 상의 "레귤라" UL 전송 사이에서, 이것이 설택될 수 있음에 따라,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배열이 제공됨으로써, 더 유연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3, 도 14 및 도 15는 현재 기술된 개념이 장점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13, 도 14 및 도 15의 시나리오에 있어서, 액세스 노드(예를 들어, eNB)는, 엔드 노드(예를 들어, UE)가 시간의 특정 주기 동안 UL 전송을 전송하도록 자원을 그랜트하게 하는(자원 스케줄링) 제1전송(도면에서 DL 콘드롤)을 송신한다. 응답이 동일한 슬롯에서 송신되면, UE는 전파 지연을 고려해야 하고, UL 전송이 다음의 전송(도면에서 DL) 전에 eNB에 의해 수신되도록 UL 전송을 전송해야 한다. UE에 의해 전송된 마지막 심볼이 DL 전송이 다시 시작되기 직전에 수신된다. 스케줄링된 자원 그랜트 내에서 UL 전송의 모든 심볼을 전송하기 위해서, UE는 가능한 한 빨리 전송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
도 13은 (예를 들어, 작은 셀 내에서 기지국으로부터 UE까지의 거리가 작기 때문에) 액세스 노드와 엔드 노드 사이의 통신의 전파 지연(및 타이밍 어드밴스)이 작게 되는 자원 스케줄링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이 시나리오에 있어서, UE는 DL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자원을 수신한다. UE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고 업링크 전송을 준비한다. UE는, UL 전송이 적합한 시간에서 eNB에 의해 수신되도록 전파 지연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고려해서 UL 전송을 개시한다. 도 13의 시나리오에 있어서, UE는 업링크 전송의 모든 심볼이 스케줄링된 자원 그랜트 동안 eNB에 의해 수신되도록 DL 전송(DL ctrl)을 스케줄링하고 UL 전송을 시작 전송하는 자원을 처리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갖는다. 다시 말해, UE에서 DL ctrl의 수신과 UL 전송의 시작 사이의 시간은 UE가 UL 전송을 처리, 준비 및, 전송을 시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보다 크다.
도 14는 액세스 노드와 엔드 노드 사이의 통신의 전파 지연(및 타이밍 어드밴스)이 큰 자원 스케줄링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이 시나리오에 있어서, UE는 DL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자원을 수신하였지만, UL 전송의 모든 심볼이 스케줄링된 자원 그랜트 동안 eNB에 의해 수신되게 UL 전송이 시작될 필요가 있을 때의 시간 전에 정보를 처리 및 UL 전송을 준비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갖지 않는다.
도 15는 도 14에서 마주치는 문제에 대한 가능한 솔루션을 나타낸다. 도 15에 있어서 UL 전송은, UL 전송이 eNB에 의해 적합하게 수신되게 허용하는 다음의 적합한 시간까지 지연(및 단축)된다. 도 15의 시나리오에서 솔루션의 단점은, 큰 오버헤드가 생성되고, 이에 의해 채널이 더 긴 시간 주기 동안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대안은, 필요하면, 자원 그랜트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슬롯 또는 심볼에 대해서 유효하도록, UL 전송을 위해서 UE에 그랜트된 자원의 주기를 조정하도록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DL 전송은 나중 슬롯 또는 심볼에서 재개된다.
나타낸 시나리오는, 어떻게 타이밍 어드밴스 또는 셀 크기가, 선택 프로세스가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지에 기반해서 통신 조건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TA가 작으면, 선택 프로세스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빠른 업링크 응답을 선택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반면, TA가 미리 결정된 한계를 초과하면, 선택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도 12 또는 도 15에 나타낸 대안적인 메커니즘과 유사한, 더 느린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선택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음에 있어서 추가적인 기술적인 측면이 개시될 것이다.
I. NR에 대한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요구 사항에 관해서, 다음이 공개된다:
논의
다수의 수비학
[1]에 있어서, RAN4가 합의되었다:
○ RAN1/2/3 8월 미팅에서 결정된 것을 평가하고, 미래 RAN4 RRM 요구 사항 및 테스트에 대한 예상되는 충격을 조사한다. 주제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
NR에 대한 측정 갭
■ 다음으로부터의 RRM 요구 사항에 대한 충격 :
● ...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및 다수의 수비학의 유연성
● ...
이 섹션에 있어서, 우리는 [1] 내의 WF로부터 강조된 주제를 더 논의한다.
RAN1#86에 있어서, 수비학과 관련해서 다음의 새로운 합의가 이루어졌다:
● NR 수비학 스케일러빌리티는 적어도 [3.75kHz]로부터 480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까지 허용해야 한다
● 사양은 UE 관점으로부터 (a) 서브프레임 존속 기간(들) 내에서/이를 가로질러 TDM 및/또는 FDM에서 수비학을 다중화하는 것을 지원한다.
● UE는 주어진 NR 캐리어에 대한 서브프레임 존속 기간을 규정하는 주어진 NR 캐리어 내의 하나의 기준 수비학을 갖는다.
상기로부터, NR에서 수비학의 수는 단지 소수의 옵션에만 제한되지 않는 것이 명백하다. 이는, 다른 요인, 예를 들어 대역폭과 관련해서, 각각의 수비학 또는 수비학을 포함하는 각각의 조합에 대한 RRM 요구 사항을 명시적으로 특정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대안은 유사한 수비학의 그룹에 대한 RRM 요구 사항을 특정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시간 관련된 RRM 요구 사항, 예를 들어 핸드오버 지연, 측정 기간 등에 대해서, 요구 사항은, 요구 사항 또는 그 부분이 (예를 들어, RS 밀도가 스케일되지 않고 또는 UE/gNB 처리 시간이 스케일되지 않을 때, 항상 필수적이 아닐 수 있는) 수비학으로 스케일되면, 일반적인 방법으로 특정될 수 있다.
제안 1: 예를 들어, 요구 사항 또는 그 부분이 수비학으로 스케일될 때, RRM 요구 사항에서 수비학을 그룹화하거나 수비학과 관련해서 일반적인 방식으로 요구 사항을 특정하는 것을 고려한다.
수비학은, 한편으로 NR에서 주파수 또는 시간을 변경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UE가 모든 수비학을 지원하지 않게 될 것이고, 적어도 일부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또는 적어도 기본 신호에 대해서 수비학은 더 정적이 될 것이다.
제안 2: 최소 세트의 RRM 요구 사항은, 정적으로 규정된 수비학이 적어도 일부 시작 포인트가 되어야 하는 모든 또는 적어도 일부 시간 자원에서 동일한, 시나리오에 대해서 규정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동적인 또는 혼합된 수비학을 갖는 시나리오에 대한 요구 사항은 보완적인 방법으로 특정되어야 한다.
수비학은 타이밍 관련된 요구 사항에 충격을 준다.
다수의 수비학의 지원 및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다른 수비학의 다중화는, 타이밍 관련된 측면, 예를 들어 어떤 시간에서의 타이밍 조정의 양, 정확성, 타이밍 조정 지연에 충격을 줄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길이의 의존성에 부가해서, 심지어 시간 단위(LTE에 있어서, 36.211에 명시된 Ts에 대응)도 NR에서 더 이상 단일 값이 아닐 수 있다.
관찰 1: 타이밍 관련된 요구 사항은 수비학에 의존할 것이다.
다수의 수비학의 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다른 타이밍 관련된 측면은, 동기 시나리오와 비동기 시나리오 사이의 구별이고, 이는, 차례로, 어떤 요구 사항을 적용하는 것, 예를 들어 UE가 다른 수비학 및 대응 시간 스케일을 사용하는 동기 또는 비동기 셀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는지를 결정한다.
관찰 2: RAN4은, 다수의 수비학이 사용될 때, 어떻게 동기 및 비동기 동작을 구별할지를 규정할 필요가 있다.
다른 수비학을 갖는 CA 시나리오
다른 수비학을 갖는 캐리어의 CA는, 다음이 결론내려졌던 다른 그룹, 예를 들어 RAN2#95에서 논의되었다.
● RAN2 관점으로부터, 다른 수비학을 갖는 캐리어의 애그리게이션이 NR에서 지원되어야 한다. (이것이 단일 또는 다수의 MAC 엔티티인지와 같은 모델링 측면은 FFS이다)
● 위의 시나리오는, 어떻게 타이밍이 이들 캐리어 조합에서 조정되는지 및 어떻게 TAG를 생성하는지에 더 충격을 줄 수 있다. 일어날 수 있는 다른 이슈는, 수비학을 구별하는 것에 기인해서 다른 시간 스케일을 사용하는 캐리어와의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이다.
제안 3: 다른 수비학을 갖는 캐리어를 갖는 CA 시나리오의 RRM 충격을 논의하기 위한 RAN4.
피드백 메커니즘 및 크로스-수비학 스케줄링
LTE에는 일부 DL 및 UL 전송 사이의 엄격한 미리 규정된 시간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UL에서 UE에 의해 전송되는 HARQ 피드백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FDD에서 UE는 서브프레임 n에서 DL 수신 동안 서브프레임 (n+4)에서 피드백을 전송하는 것이 기대된다. TDD에 대해서, 관계는 미리 규정되지만 TDD 구성에 의존한다. HD-FDD에 있어서, UE에서의 데이터의 수신과 업링크에서 HARQ A/N의 전송 사이의 타이밍 관계가 또한 미리 규정되는데, 예를 들어 NB-IoT에서 ACK/NACK이 서브프레임 n+12에서 송신된다. NR에 대해서, 소정 시나리오에서 장점을 갖는 빠른 피드백 메커니즘이 논의되고 있지만 이들 메커니즘은 UL 및, 가능하게는, DL 커버리지 수준 등의 수비학에 더 의존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LTE-같은 메커니즘 및 빠른 피드백 메커니즘 모두는 시나리오에 의존해서 NR에서 지원될 수 있다. 그러므로, NR 피드백 메커니즘에 대한 요구 사항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현재 LTE 요구 사항은 ACK/NACK의 면에서 측정되지만, 다수의 피드백 메커니즘이 NR에서 지원되면, 이것이 LTE에서 사용됨에 따라 NR에서 이 메트릭을 재사용하는 것은 단지 요구 사항에 모호성을 도입할 수 있다.
제안 4: 다수의 피드백 메커니즘의 지원이 NR 요구 사항에서 고려될 필요가 있다.
측정 갭
많은 LTE 요구 사항은 NR에서도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측정 갭을 설명한다. LTE에 있어서 UE 측정 갭에 대한 6ms의 단일 존속 기간이 이제까지 표준화되었다. 더욱이, 측정 갭은 모든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서 공통이다. 다른 수비학이 지원되는 NR에 있어서, 수비학에 독립적인 하나의 미리 규정된 길이의 공통 갭을 사용하는 것이 자원 활용의 관점으로부터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대역폭의 중심에 대해서 오정렬된 전송에 기인해서, 심지어 인트라-주파수 측정 갭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제안 5: NR에 있어서 더 유연한 측정 갭 구성이 필요하다.
빔포밍
[1]에 있어서, RAN4는 다음에 합의했다.
○ RAN1/2/3 8월 미팅에서 결정된 것을 평가하고, 미래 RAN4 RRM 요구 사항 및 테스트에 대한 예상되는 충격을 조사한다. 주제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빔 관리 측정에 대한 필수 측정 기준 및 요구 사항
■ ...
■ 다음으로부터 RRM 요구 사항에 대한 충격:
● ...
● 안테나 구성, 예를 들어 요구 사항이 빔포밍 및 무지향성 안테나에 기반한 측정에 대해서 동일 또는 다른지 및 다른 주파수 범위에 대한 빔포밍 관련된 요구 사항의 적용가능성.
● ...
■ NR 빔포밍 기술의 충격 및, 어떻게, 예를 들어 아날로그, 디지털 또는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커버하는 일반적인 요구 사항을 특정할지
■ ...
상기 강조 표시된 주제는 이 섹션에서 더 논의된다.
일부 관련된 RAN1 합의:
합의: 빔 관리(Beam management)=적어도 다음의 측면을 포함하는, DL 및 UL 전송/수신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는 TRP(들) 및/또는 UE 빔의 세트를 획득 및 유지하기 위한 L1/L2 절차의 세트.
빔 결정=TRP(들) 또는 UE가 자체의 Tx/Rx 빔(들)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빔 측정=TRP(들) 또는 UE가 수신된 빔포밍된 신호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빔 보고=UE가 빔 측정에 기반해서 빔포밍된 신호(들)의 성질/품질인 정보를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빔 스위핑(Beam sweeping)=사전에 결정된 방식으로 시간 인터벌 동안 전송 및/또는 수신된 빔으로 공간 영역을 커버하는 동작이다.
합의: 다음의 DL L1/L2 빔 관리 절차가 하나 이상의 TRP 내에서 지원된다.
● P-1: TRP Tx 빔/UE Rx 빔(들)의 선택을 지원하기 위해서 다른 TRP Tx 빔에 대한 UE 측정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 TRP에서 빔포밍에 대해서, 전형적으로, 이것은, 다른 빔의 세트로부터의 인트라/인터-TRP Tx 빔 스윕을 포함한다.
○ UE에서 빔포밍에 대해서, 전형적으로, 이것은 다른 빔의 세트로부터의 UE Rx 빔 스윕를 포함한다
○ FFS: TRP Tx 빔과 UE Rx 빔은 조인트해서 또는 순차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 P-2: 인트라/인터-TRP Tx 빔(들)을 가능하게 변경하기 위해서 다른 TRP Tx 빔에 대한 UE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 P-1에서보다 빔 리파인먼트(beam refinement)를 위한 가능한 작은 빔 세트로부터,
○ 유의: P-2는 P-1의 특별한 경우가 될 수 있다.
● P-3: UE가 빔포밍을 사용하는 경우 UE Rx 빔을 변경하기 위해서 동일한 TRP Tx 빔에 대한 UE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 인트라-TRP 및 인터-TRP 빔 관리를 위한 동일한 절차 설계를 위해서 노력한다.
○ 유의: UE는 이것이 인트라-TRP 또는 인터-TRP 빔인지를 알지 못할 수 있다.
● 유의: 절차 P-2 & P-3은, 예를 들어 TRP Tx/UE Rx 빔 변경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서 조인트해서 및/또는 다수 회 수행될 수 있다.
● 유의: 절차 P-3는 물리적인 계층 절차 사양 충격을 가질 수 있을 수 또는 가질 없을 수 있다.
● UE에 대한 다수의 Tx/Rx 빔 쌍을 관리하는 것을 지원.
● 유의: 다른 캐리어부터의 지원 정보는 빔 관리 절차에서 연구될 수 있다.
● 상기 절차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자.
● 상기 절차는 TRP 당 단일/다수의 빔에서 사용될 수 있다.
● 유의: 다수의/단일 빔 기반 초기 액세스 및 이동성은 별도의 RAN1 아젠다 항목에서 처리된다.
빔 스위핑(beam sweeping)은, 예를 들어 미리 규정된 방식으로 시간 의존적인 전송 및/또는 수신 상황의 가용성을 만드는 NR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구성 중 하나이다. 가용성의 빈도 또는 주기성은, 이것이 네트워크 및 UE 구현을 크게 제한하게 되므로, 단일 고정된 수가 될 가능성이 없지만, 빔포밍 측정, 예를 들어 측정 시간 주기, 측정 보고 지연 등에 기반하는 절차에 대한 시간 주기인 이들 파라미터에 의존적으로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다. 시간 도메인 또는 무지향성 경우에서 빔 스위핑 없는 빔포밍의 경우는, 모든 다른 팩터가 동일한, 예를 들어 동일한 신호 조건 등이 제공되면, 더 빈번한 또는 심지어 연속적인(예를 들어, 모든 서브프레임) 가용성으로 귀결되는, 특별한 경우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시간 기반 요구 사항은, LTE에서와 같이, 추가적인 조건, 예를 들어 대역폭, 채널 조건, 간섭 등에 의존하고, 일부 이들 조건은, 가능하게는 일부 안테나 구성에 대해서 더 전형적 및 다른 것에 대해서 덜 전형적이 될 수 있지만, 여전히 안테나/빔 구성에 대한 요구 사항의 명시적인 관계에서 필요 없는 것으로 믿어진다.
정확성과 관련해서, 요구 사항은, 예를 들어 측정 목적, 측정된 신호의 타입, 신호 설계 및 밀도, 대역폭 등인 통상적인 팩터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기 보다는 빔 구성에 투명해야 한다.
제안 6: NR에 있어서, 시간 기반 요구 사항은, 다른 안테나 구성에 대해서 일반적인 방식으로 특정되어, 예를 들어 빔 스위핑에 의존해서 관련 tx 및/또는 rx 빔의 시간 내의 가용성에 의존해서 스케일링을 허용한다. 정확성 요구 사항은 빔 구성에 투명해야 한다.
참고 문헌
[1] R4-166735, "NR RRM에 대한 방법 포워드", Ericsson, Nokia, Intel
II. UL에서 DL HARQ 피드백 전송에 관해서 다음이 관찰된다:
소개
이제까지 제시된 대부분의 DL HARQ 피드백 전송 방안은, DL-헤비 슬롯 존속 기간의 엔드에서의 DL ACK/NACK(동일한 슬롯 또는 이전의 슬롯의 DL 전송에 대응하는 ACK/NACK를 갖는)의 전송에 초점을 두었다. 다수의 이유는, 추가적인 피드백 전송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는데, 예를 들어 DL-헤비 슬롯의 엔드에서의 UL 전송 존속 기간은 매우 짧아서, 작은 커버리지로 귀결된다. NR 커버리지가 유사한 조건에서 LTE 커버리지와 매칭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므로, 추가적인 DL HARQ 피드백 전송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NR과 LTE가 동일한 UL/DL 패턴을 공유해야 하는 LTE FS2와의 공존은, 추가적인 피드백 전송 체계가 필요하게 되는 다른 이유이다.
논의
UL에서 DL HARQ 피드백 전송에 관한 대부분의 RAN1 논의에 있어서, 동일한 슬롯 존속 기간의 엔드에서 또는 후속하는 슬롯 존속 기간의 엔드에서 전송되는 신속한 HARQ ACK/NACK 피드백이 기술된다. 도시를 위해서 도 6을 참조. 도 16은, 어떻게 DL-HARQ 피드백이 DL-헤비 슬롯 존속 기간의 엔드에서 전송되는지를 나타낸다("즉각적인" ACK/NACK).
NR 프레임 구조 논의의 가능한 결과는, 7 및/또는 14 심볼의 슬롯 길이이다. 피드백을 슬롯 엔드에서 작은 부분에 고정하기 위해서, UL 전송은 단지 명백하게 짧게 될 수 있는데, 전형적으로 하나의 심볼 또는 매우 소수의 심볼로 될 수 있다. 수비학에 의존해서, 하나의 OFDM 심볼은 길이 67㎍/2n을 갖는다. LTE-같은 배치에 대해서, 적어도 n=0(15kHz) 및 n=1(30kHz)은 관심있는 옵션이다. 하나 또는 소수의 OFDM 심볼을 통한 피드백 전송은, 1ms의 LTE PUCCH 전송 존속 기간보다 훨씬 짧고, 그에 따라 감소된 커버리지를 갖는다. LTE PUCCH 링크 예산을 매칭하기 위해서, 대략 1ms의 존속 기간을 통해서 UL에서 DL HARQ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게 되어야 한다. eNB에서 다수의 RX 안테나의 적용은 더 짧은 전송 존속 기간을 허용하는데, 우리는 NR이 유사한 eNB 안테나 배치에 대해서도 LTE 커버리지와 매칭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
관찰 1: LTE PUCCH 링크 예산을 매칭하기 위해서, 대략 1ms에 걸쳐서 DL HARQ 피드백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야 한다.
NR은, 동일한 대역에서 사용되면, LTE FS2와 공존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간섭 상황에 따라서, LTE와 NR에서 동일한 DL/UL 패턴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DL-헤비 슬롯의 엔드에서 DL HARQ 피드백을 전송할 수 없다. UL 전송은 LTE FS2의 다음의 UL 기회까지 지연되어야 한다, 도 17 참조.
도 17: LTE TDD와의 공존 시나리오에 있어서, DL HARQ 피드백 전송은 다음의 LTE FS2 UL 기회까지 지연되어야 한다.
관찰 2: LTE TDD와의 공존 시나리오에 있어서, DL HARQ 피드백은 다음의 LTE FS2 UL 기회까지 지연되어야 한다.
관찰 1에서 지적된 링크 예산 이슈를 해결하고, LTE FS2와의 공존을 해결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DL HARQ 피드백 전송 방안이 DL-헤비 슬롯 존속기간의 엔드에서의 DL HARQ 피드백 전송에 추가해서 필요하게 된다.
제안 1: NR은 LTE PUCCH 포맷 1a와 유사한 링크 예산을 할 수 있게 하는 UL에서 DL HARQ 피드백 전송 방안을 제공해야 한다.
제안 2: NR은 LTE FS2와 공존할 수 있게 하는 DL HARQ 피드백 전송 방안을 제공해야 한다.
하나의 가능한 메커니즘은 뛰어난 DL HARQ 프로세스에 대한 gNB 폴링 피드백에 의존하도록 될 수 있어서, 레귤라 UL 전송과 유사한 피드백 전송을 스케줄링한다. 전송 시간을 선택함으로써, gNB는 LTE FS2와 정렬된 UL 전송을 명백하게 보장할 수 있다. 적합한 링크 예산을 보장하기 위해서, 피드백 전송은 슬롯 이상으로 확장되게 할 수 있다(특히, 슬롯이 단지 7 OFDM 심볼이거나 또는 n>0에 대해서 이면). 그런데, 또한, 다른 이유로, 우리는, 0에서, UL에서 멀티폴 슬롯(multipole slot)의 애그리게이션을 특정하도록 제안한다; 동일한 원리가 개선된 링크 예산으로 긴 전송 존속 기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여기에 적용될 수 있다.
결론
이 관찰에 있어서, 우리는 LTE PUCCH 링크 예산과 매칭하고 LTE FS2와 공존할 수 있게 하는 UL에서 DL HARQ 피드백 전송 방안을 규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관찰 1: LTE PUCCH 링크 예산을 매칭하기 위해서, 대략 1ms에 걸쳐서 DL HARQ 피드백 전송을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관찰 2: LTE TDD와의 공존 시나리오에 있어서, DL HARQ 피드백은 다음의 LTE FS2 UL 기회까지 지연되어야 한다.
제안 1: NR은 LTE PUCCH 포맷 1a와 유사한 링크 예산을 할 수 있게 하는 UL에서 DL HARQ 피드백 전송 방안을 제공해야 한다.
제안 2: NR은 LTE FS2와 공존할 수 있게 하는 DL HARQ 피드백 전송 방안을 제공해야 한다.
참고 문헌
R1-167502, "업링크 전송을 위한 멀티 서브프레임 스케줄링에 대해서", Ericsson, RAN1#86, 2016 년 8월
1 -무선 통신 네트워크,
12, 20, 101, 111 - 노드.

Claims (47)

  1. 무선 통신 네트워크(1)에 대한 노드(12, 20, 101, 111)로서,
    상기 노드(12, 20, 101, 111)는 제1전송의 수신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에 대해서 배열되고, 상기 노드(12, 10, 101, 111)는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S31, S42, S72)를 수행하도록 더 배열되는, 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프로세스(S31, S42, S72)는 상대적인 타이밍과 관련된 전송 메커니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드.
  3. 상기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프로세스(S31, S42, S72)는 상기 노드(12, 20, 101, 111)의 하나 이상의 통신 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고려하도록 배열되는, 노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건은 상기 통신 메커니즘에 대해서 제공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계층 세팅의 세트를 포함하는, 노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는 적어도 수비학을 포함하는, 노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건은 캐리어 주파수를 포함하는, 노드.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건은 통신 품질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노드.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1)는 셀룰러 네트워크이고, 통신 조건은 상기 노드가 위치되는 셀의 셀 범위를 포함하는, 노드.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통신 조건과 관련된 상기 정보는, 하나 이상의 도달 시간, 타이밍 어드밴스, 왕복 지연 시간, 기준 신호 시간 차이, 동기 신호 시간 차이, Rx-Tx 시간 차이 및 전파 지연을 포함하는, 노드.
  10.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노드에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배열되는, 노드.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상기 정보는, 하나 이상의 수비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
  12.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다른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배열되는, 노드.
  13.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노드에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을 표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더 배열되는, 노드.
  14.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노드로부터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을 표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더 배열되는, 노드.
  15.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송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송은 상기 데이터의 수신과 관련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
  16.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송은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송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노드.
  17.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가 엔드 노드(12), 액세스 노드(111) 및 네트워크 제어 노드(101) 중 하나인, 노드.
  18. 무선 통신 네트워크(1)의 노드(12, 20, 101, 111)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3, 4, 5, 6, 7)으로서,
    상기 노드(12, 20, 101, 111)는 제1전송의 수신(S41) 및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의 후속하는 송신(S43)을 포함하는 통신 메커니즘에 대해서 적응되고,
    방법은,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프로세스(S41, S72)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선택 프로세스(S42, S72)는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와 관련된 전송 메커니즘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선택 프로세스(S42, S72)는 상기 노드(12, 20, 101 111)의 하나 이상의 통신 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고려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건은 상기 통신 메커니즘에 대해서 제공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계층 세팅의 세트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는 적어도 수비학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건은 캐리어 주파수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건은 통신 품질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1)는 셀룰러 네트워크이고, 통신 조건은 상기 노드(12, 20, 101, 111)가 위치되는 셀의 셀 범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통신 조건과 관련된 상기 정보는, 하나 이상의 도달 시간, 타이밍 어드밴스, 왕복 지연 시간, 기준 신호 시간 차이, 동기 신호 시간 차이, Rx-Tx 시간 차이 및 전파 지연을 포함하는, 방법.
  27. 제18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노드에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상기 정보는, 하나 이상의 수비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18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다른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선택 프로세스(S42, S72)는,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해서 상기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할 때,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다른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수신된 정보를 고려하는, 방법.
  31. 제1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노드에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을 표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S51)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2. 제1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노드로부터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을 표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S51)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선택 프로세스(S42, S72)는,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해서 상기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할 때,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을 표시하는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고려하는, 방법.
  34. 제1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송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송은 상기 데이터의 수신과 관련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1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송은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송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18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12, 20, 101, 111)가 엔드 노드(12), 액세스 노드(111) 및 네트워크 제어 노드(101) 중 하나인, 방법.
  3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12, 20, 101, 111) 상에서 실행되도록 배열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청구항 제18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3, 4, 5, 6, 7)을 수행하도록 배열된 컴퓨터 프로그램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38. 제37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메모리.
  39. 무선 통신 네트워크(1)에 대한 노드(12, 20, 101, 111)를 동작하는 방법(3, 4, 5, 6)으로서,
    제1전송을 수신(S41)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S42)하는 단계로서, 상대적인 타이밍은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에 따라서, 제2전송을 송신(S43)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다른 노드로부터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을 표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S61)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하는 단계는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고려하는, 방법.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다른 노드에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을 표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S51)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2.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노드(3, 4, 5, 6)의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3. 무선 통신 네트워크(1)에 대한 노드(12, 20, 101, 111)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7)으로서,
    다른 노드에 제1전송을 송신(S71)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제2전송을 수신(S73)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전송에 응답하는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인 타이밍을 선택(S72)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대적인 타이밍은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노드에 상기 제2전송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을 표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다른 노드로부터 상기 선택된 상대적인 타이밍을 표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6.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다른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S72)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타이밍 초이스를 지원하는 다른 노드의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고려하는, 방법.
KR1020197008695A 2016-09-30 2017-09-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 및 동작 방법 KR102371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06790A KR20220033525A (ko) 2016-09-30 2017-09-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02432P 2016-09-30 2016-09-30
US62/402,432 2016-09-30
PCT/EP2017/074787 WO2018060431A1 (en) 2016-09-30 2017-09-29 Node for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operating meth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790A Division KR20220033525A (ko) 2016-09-30 2017-09-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504A true KR20190040504A (ko) 2019-04-18
KR102371206B1 KR102371206B1 (ko) 2022-03-07

Family

ID=600019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790A KR20220033525A (ko) 2016-09-30 2017-09-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 및 동작 방법
KR1020197008695A KR102371206B1 (ko) 2016-09-30 2017-09-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 및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790A KR20220033525A (ko) 2016-09-30 2017-09-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노드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11595165B2 (ko)
EP (2) EP3491759B1 (ko)
JP (2) JP6846512B2 (ko)
KR (2) KR20220033525A (ko)
CN (2) CN110476379B (ko)
AR (1) AR109781A1 (ko)
AU (1) AU2017336331B2 (ko)
BR (1) BR112019005363A2 (ko)
CA (1) CA3038999A1 (ko)
IL (1) IL265422B (ko)
MX (1) MX2019003328A (ko)
PH (1) PH12019500559A1 (ko)
RU (1) RU2727176C1 (ko)
WO (1) WO2018060431A1 (ko)
ZA (1) ZA2019018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7474B1 (en) * 2016-07-10 2020-04-21 ZaiNar, Inc. Method and system for radiofrequency localization of transmitting devices via a mesh network
US11686805B1 (en) 2016-07-10 2023-06-27 ZaiNar, Inc. Method and system for radiofrequency localization of transmitting devices via a mesh network
US11595165B2 (en) * 2016-09-30 2023-0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de for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operating method
US10091810B2 (en) * 2016-11-04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configured uplink control feedback for 5G new radio (NR)
WO2018126633A1 (en) * 2017-01-05 2018-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discontinuous reception
US11658798B1 (en) 2018-05-07 2023-05-23 ZaiNar, Inc. Methods for time synchronization and localization in a mesh network
US10911211B1 (en) 2018-09-28 2021-02-02 ZaiNar, Inc. Frequency and gain calibration for time synchronization in a network
US10833840B2 (en) 2018-05-07 2020-11-10 ZaiNar, Inc. Methods for nanosecond-scale time synchronization over a network
US10868646B1 (en) * 2019-06-07 2020-12-15 Sprint Spectrum L.P. Selecting subcarrier spacing based on traffic type
US11956846B2 (en) 2020-01-31 2024-04-09 Apple Inc. Radio link monitoring for sidelink
US11963023B2 (en) * 2020-08-12 2024-04-16 Qualcomm Incorporated Early negative acknowledgment indication for a data message
US20230379666A1 (en) 2022-04-20 2023-11-23 ZaiNar, Inc. System and methods for asset tracking, asset grouping, and error recovery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4331B2 (en) 2002-08-09 2007-08-07 Micron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bit optical data transmission in memory systems
JP4195484B2 (ja) 2003-01-07 2008-12-10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複合再伝送方式の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出力バッファ制御装置及び方法
US7290195B2 (en) * 2004-03-05 2007-10-30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acknowledgment delay
JP4592396B2 (ja) 2004-11-17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US7440399B2 (en) * 2004-12-22 2008-10-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acknowledgments
DK2291940T4 (en) 2008-02-06 2018-08-13 Ericsson Telefon Ab L M PROCEDURES AND DEVICES RELATING TO DOWNLINK ALLOCATIONS
JP2009189064A (ja) 2009-05-27 2009-08-20 Kyocera Corp 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フレーム再送方法
EP2537379A1 (en) 2010-02-15 2012-1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WO2011137408A2 (en) * 2010-04-30 2011-11-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termination of carriers and multiplexing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JP5789668B2 (ja) * 2010-09-30 2015-10-0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複数のアップリンク・コンポーネント・キャリアに関するタイミング・アドバンス構成
US8837304B2 (en) * 2011-04-08 2014-09-16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multi-group communications
EP2640138A1 (en) 2012-03-16 2013-09-18 Panasonic Corporation Reconfiguration of timing advance groups
JP6106275B2 (ja) * 2012-09-27 2017-03-2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拡張物理下りリンク制御チャネル(epdcch)に対してtddpucchharq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3997396B (zh) 2013-02-18 2017-05-1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Fdd‑lte网络中混合自动重传的方法、装置和系统
CN105052216B (zh) 2013-04-03 2019-01-04 夏普株式会社 终端装置、基站装置、集成电路以及无线通信方法
CN105164938B (zh) 2013-04-24 2019-01-22 爱立信(中国)通信有限公司 具有tdm限制的drx方法及使用该drx方法的用户设备
GB2519574A (en) 2013-10-25 2015-04-29 Nec Corp Control of small data transmission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KR102221332B1 (ko) * 2013-11-13 2021-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보고 및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3090502A1 (en) * 2014-01-15 2016-11-09 Sony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with nested carrier aggregation
US10320549B2 (en) * 2014-04-11 2019-06-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nding fast negative acknowledgements (NACKs)
US10575325B2 (en) * 2014-10-09 2020-02-25 Acer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service in unlicensed cell
US10455495B2 (en) 2014-12-15 2019-10-2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handling information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JPWO2016117643A1 (ja) 2015-01-23 2017-10-2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299810B1 (ko) * 2016-01-29 2021-09-09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harq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452091B2 (en) * 2016-02-04 2022-09-20 Acer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transmission
US10341061B2 (en) * 2016-03-30 2019-07-02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timing for reduc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JP2019517182A (ja) * 2016-04-20 2019-06-20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ダウンリンク同期
US10616912B2 (en) * 2016-04-22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ayload determination and uplink grant indication for multefire
WO2018012910A1 (ko) * 2016-07-13 2018-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6961591B2 (ja) * 2016-07-15 2021-11-05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8038514A1 (en) * 2016-08-22 2018-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on of code block index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10455570B2 (en) * 2016-09-26 2019-10-22 Ofinno, Llc Selection of DCI based upon TTI
US11595165B2 (en) 2016-09-30 2023-0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de for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operating metho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6692* *
3GPP R1-16737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27176C1 (ru) 2020-07-21
CN115694725A (zh) 2023-02-03
EP4149033A1 (en) 2023-03-15
US11595165B2 (en) 2023-02-28
US20190238292A1 (en) 2019-08-01
IL265422A (en) 2019-05-30
JP2021106385A (ja) 2021-07-26
PH12019500559A1 (en) 2019-11-25
JP7291166B2 (ja) 2023-06-14
BR112019005363A2 (pt) 2019-06-18
MX2019003328A (es) 2019-07-04
KR102371206B1 (ko) 2022-03-07
AU2017336331B2 (en) 2021-03-11
EP3491759A1 (en) 2019-06-05
CN110476379B (zh) 2022-08-30
US20190058556A1 (en) 2019-02-21
US20220045818A1 (en) 2022-02-10
WO2018060431A9 (en) 2018-06-28
US11190315B2 (en) 2021-11-30
ZA201901863B (en) 2022-07-27
AR109781A1 (es) 2019-01-23
CN110476379A (zh) 2019-11-19
IL265422B (en) 2022-05-01
JP6846512B2 (ja) 2021-03-24
NZ752145A (en) 2020-11-27
KR20220033525A (ko) 2022-03-16
JP2019537291A (ja) 2019-12-19
AU2017336331A1 (en) 2019-04-18
EP3491759B1 (en) 2022-09-21
CA3038999A1 (en) 2018-04-05
WO2018060431A1 (en)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0315B2 (en) Node for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operating method
CN114143869B (zh) 在集成接入回程(iab)网络中的时序和帧结构
US11165532B2 (en) Controlling the impact of SRS switching on uplink transmissions
EP3195688B1 (en) Drx cycle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JP661808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US2018004918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device therefor
WO2020144624A1 (en) Cli measurement configuration and reporting
US9629133B2 (en) Uplink control information signaling in inter-site downlink carrier aggregation scenarios
EP3535912A1 (en) Controlling the impact of srs switching on carrier aggregation activation-related delays
JP2017228814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方法
US20220393794A1 (en) Timer handling in multiple active grant configurations
US20220295560A1 (en) Dci signalling including at least one slot format indicator, sfi, field, and a frequency resource indicator field
JP2017228815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方法
NZ752145B2 (en) Node for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opera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