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093A - 주파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파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093A
KR20190038093A KR1020170128140A KR20170128140A KR20190038093A KR 20190038093 A KR20190038093 A KR 20190038093A KR 1020170128140 A KR1020170128140 A KR 1020170128140A KR 20170128140 A KR20170128140 A KR 20170128140A KR 20190038093 A KR20190038093 A KR 20190038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e
estimated
co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명
우주희
최인규
이일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2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8093A/ko
Publication of KR2019003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8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시스템은 전력을 생산하여, 계통부로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통하여, 상기 계통부의 주파수를 유지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어하는 계통 운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계통 운영 시스템은 미래의 추정 전기비용으로부터 비용함수를 산출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파수 제어 시스템{FREQUENCY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주파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산업계에서는 주파수 조종을 목적으로 송전계통에 대용량의 에너지 저장 장치(ESS: Enegy Storage System)를 도입하고 있고, 송전계통 외에도, 배전계통에 ESS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배전계통에서는 선로의 피크부하 관리, 신재생에너지 확대 수용, 전압제어, 정전시 백업(Back up) 전원의 목적으로 ESS를 도입하고 있다.
종래, ESS를 운영시, 계통의 주파수만을 감시할 뿐, 비용절감을 위하여 ESS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충방전 효율, 및 충방전시의 전기비용을 고려하고 있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및 방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주파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시스템은 전력을 생산하여, 계통부로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통하여, 상기 계통부의 주파수를 유지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어하는 계통 운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계통 운영 시스템은 미래의 추정 전기비용으로부터 비용함수를 산출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및 방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운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상태 제어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상태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 전기비용 산출부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전력 공급부(100)는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그리드부(400)를 통하여 계통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생산된 전력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 ESS)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공급부(100)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은 태양력 또는 풍력 등을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은 주파수 조정 제어 마스터(210, FRCM: Frequency Regulation Controller Master), 주파수 조정 제어기(220, FRC: Frequency Regulation Controller), 배터리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FRCM(210)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의 상위 제어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FRC(220)는 하위 제어 모듈에 해당하고, FRC(220)는 복수 개의 FRC(200, FRC_1-N)를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230)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BM)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배터리 모듈(BM) 각각에는 배터리(Battery), 배터리의 상태를 관리 및 감시하는 배터리 감시 시스템(Battery Monitoring System), 및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력 변환 시스템(PCS: Power conversion system)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FRC(220)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이 그룹화되어 설정되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 그룹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4개의 배터리 모듈(BM_1-BM_4)로 설정되는 하나의 배터리 모듈 그룹은 FRC_1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4개의 배터리 모듈(BM_1-BM_4)로 설정되는 다른 하나의 배터리 모듈 그룹은 FRC_2에 제어될 수 있다. FRCM(210)는 복수의 FRC(220)의 제어 모드 및 참여율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은 배터리 모듈(230)을 통하여, 전력 공급부(10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계통부(300)에서 전력의 소비량 변동에 따라 주파수가 변동되면 일정한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의 배터리 모듈(230)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을 충전 및 방전하여 해당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다.
계통부(300)는 전력 공급부(10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소비하는 장치들이며, 전력이 소비되는 계통 장치로서 산업용, 상업용, 가정용 등의 전력을 소비하는 장치들이 그물망처럼 넓게 분포되어 있다.
그리드부(400)는 전력 공급부(100), 계통부(300)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을 각각 서로 연결하며, 전력 공급부(100)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그리드부(400)를 통해 전력 공급부(100)에서 생산된 전력을 계통부(300)로 제공하여 소비할 수 있으며, 그리드부(400)를 통해 전력 공급부(100)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으로 저장 될 수 있다. 또한, 그리드부(400)를 통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이 계통부(300)로 재전송 될 수도 있다.
계통 운영 시스템(500, EMS)는 주파수 제어 시스템(10)의 운영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계통 운영 시스템(500)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의 자동 발전 제어(Automatic Generation Control) 운전시의 출력 요구량을 산출하고, 상기 출력 요구량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2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운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운영 시스템(500)은 계통 상태 판단 모듈(510), 과도 상태 제어 모듈(520), 및 정상 상태 제어 모듈(530)를 포함할 수 있다.
계통 상태 판단 모듈(510)은 기 설정된 샘플링 주기로 계통부(300)의 주파수를 전달받고, 주파수 편차를 연산할 수 있다. 주파수 편차는 계통부(300)의 계통 주파수와 기준 주파수의 차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기 설정된 샘플링 주기는 20ms일 수 있다. 계통 상태 판단 모듈(510)은 계통부(300)의 주파수 편차를 임계 편차와 비교하여, 계통부(300)의 과도 상태 및 정상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계통 상태 판단 모듈(510)은 계통부(300)의 주파수 편차가 임계 편차 미만인 경우, 과도 상태로 판단하고, 주파수 편차가 임계 편차 이상인 경우,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임계 편차는 -0.028Hz/s일 수 있다. 따라서, 계통 상태 판단 모듈(510)은 -0.028Hz/s 미만으로 계통부(300)의 주파수 편차가 감소하는 경우, 과도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0.028Hz/s 이상으로 계통부(300)의 주파수 편차가 증가하는 경우,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계통 상태 판단 모듈(510)에 의해 과도 상태 제어 모듈(520) 및 정상 상태 제어 모듈(530)은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과도 상태 제어 모듈(520)은 FRC(220)의 목표 출력을 산출할 수 있다. 과도 상태에서, FRC(220) 각각의 목표 출력은 주파수 편차에 따라 결정되는 계통 정수(K)와 FRC(220) 각각의 참여율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FRC(220) 각각의 목표 출력은 주파수 편차(Df), 계통 정수(K), 및 참여율의 곱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FRC(220) 각각의 목표 출력은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력 변환 시스템(PCS)로 전달되어,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이 수행될 수 있다. 과도 상태 제어 모듈(520)은 계통부(300)의 주파수가 안정된 경우, 출구 제어 모드에 진입한 후, 대기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상태 제어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상태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상 상태 제어 모듈(530)은 정상 상태 제어부(531) 및 최적 제어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정상 상태 제어부(531)는 주파수 편차(Df) 및 추정 전기비용을 산출하여, 최적 제어부(532)로 제공할 수 있다. 정상 상태 제어부(531)는 주파수 편차 산출부(531a) 및 추정 전기비용 산출부(531b)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편차 산출부(531a)는 기준 주파수와 계통부(300)의 계통 주파수의 차에 따라 주파수 편차(Df)를 산출할 수 있다. 주파수 편차 산출부(531a)는 산출된 주파수 편차(Df)를 최적 제어부(532)로 제공할 수 있다.
추정 전기비용 산출부(531b)는 실시간 전기비용을 이용하여, 미래의 추정 전기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추정 전기비용 산출부(531b)는 산출된 추정 전기비용을 최적 제어부(532)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 전기비용 산출부의 블록도이다.
추정 전기비용 산출부(531b)는 데이터 수신부(531b_x) 및 데이터 연산부(531b_y)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531b_x)는 실시간 전기비용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전기비용은 현재 시점 이전의 과거의 기준 시구간 동안의 전기비용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연산부(531b_y)는 실시간 전기비용 Px을 제공받고, 미래 시구간 동안의 추정 전기비용을 연산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연산부(531b_y)는 현재 시점(t)으로부터 과거의 기준 시구간(σ) 동안의 전기비용 Px(x=t, t-1, t-2, … , t-σ)이 제공되는 경우, 현재 시점(t)에서 기준 시구간(σ) 동안의 전기비용 Pt, Pt-1, Pt-2, … , Pt-σ을 이용하여, 미래 시점(T)까지의 추정 전기비용 Pt을 연산할 수 있다.
데이터 연산부(531b_y)는 추정 전기비용 Pt를 가우시안 분포를 통해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연산부(531b_y)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미래의 추정 전기비용 Pt를 연산할 수 있고, 여기서, t는 t, t+1, … , t+T에 해당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술한 설명에서, 추정 전기비용 산출부(531b)가 실시간 전기비용을 이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추정 전기비용 산출부(531b)는 과거의 전기비용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과거의 전기비용은 기준 시구간 외의 전기비용으로써, 현재 시섬과 유사한 계절, 시간대, 기상 조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최적 제어부(532)는 배터리 충방전 모델(532a) 및 제어장치(532b)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충방전 모델(532a)은 배터리의 추정 충전량을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충방전 모델(532a)은 배터리의 충전량 변화를 모델링할 수 있다. 배터리 충방전 모델(532a)은 배터리의 충전량 변화를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모델링할 수 있다. 여기서, Qi(t)는 t시점에서 배터리 i의 충전량, ni c는 배터리 i의 충전 효율, ni d는 배터리 i의 방전 효율, ui c(t)는 t시점에서 배터리 i의 충전률, ui d(t)는 t시점에서 배터리 i의 방전률, Diag는 대각행렬의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를 참조하면, 현재시점(t)의 배터리 모듈의 충전량, 충전 효율, 방전 효율, 충전율, 방전률이 획득되는 경우, 다음 시점(t+1)의 충전량을 추정할 수 있고, 또한, 미래 시점(T)까지의 충전량을 추정할 수 있다.
충전 효율 및 방전 효율 각각은 전력 변환 시스템(PCS)의 교류(AC) 선로의 유효 전력,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를 측정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를 계단 형태로 충전 및 방전하고, 교류(AC) 선로의 유효 전력과 배터리의 실제 충전 상태(SOC)를 비교하여, 충전 및 방전 효율을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효율 및 방전 효율 각각은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ni c는 배터리 i의 충전 효율, ni d는 배터리 i의 방전 효율, PAC는 교류(AC) 선로의 충전 및 방전 전력(KW), T는 충전 및 방전시간(hour), Ci는 배터리 i의 용량(kWh), SOCi Fin 충전 및 방전 종료 후 배터리 i의 충전상태(%), SOCi Init 충전 및 방전 종료 전 배터리 i의 충전상태(%)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충전 및 방전 효율은 상기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 따라 산출될 수 있고, 또한,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 따라 산출되는 충전 효율 및 방전 효율 각각을 평균하여, 산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532b)는 충방전 요구량 연산부(532b_x), 비용함수 연산부(532b_y), 제약 조건 설정부(532b_z), 및 제어 연산부(532b_w)를 포함할 수 있다.
충방전 요구량 연산부(532b_x)는 주파수 편차(Df)를 제공받고, 주파수 편차(Df)에 따라 충전 및 방전 요구량을 연산할 수 있다.
비용함수 연산부(532b_y)는 추정 전기비용 산출부(531b)로부터 제공되는 추정 전기비용 및 충방전 요구량 연산부(532b_x)로부터 제공되는 충전 및 방전 요구량에 따라 비용함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비용함수 연산부(532b_y)는 수학식 5에 따라 비용함수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J는 비용함수, p(t)는 t시점에서 추정되는 전기비용, ui c(t)는 t시점에서 배터리 i의 충전률, ui d(t)는 t시점에서 배터리 i의 방전률, ad는 방전 오차 페널티, ac는 충전 오차 페널티, ri d(t)는 t시점에서 배터리 i에 대한 방전요구량, ri c(t)는 t시점에서 배터리 i에 대한 충전 요구량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비용함수 J는 추정구간 [t ~ t+T-1]에서의 lt(Q(t), u(t))의 합을 나타낸다.
lt(Q(t), u(t))에서, 첫 번째 수식(term)은 배터리 충전시 발생하는 비용을 나타내고, 두 번째 수식은 배터리 방전 오차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나타내고, 세 번째 수식은 충전 오차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나타낸다. 각 비용간의 가중치는 방전 오차 페널티 ad, 충전 오차 페널티 ac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제약 조건 설정부(532b_z)는 배터리 충방전 모델(532a)로부터 제공되는 배터리의 추정 충전량에 제약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제약 조건 설정부(532b_z)는 하기의 수학식 6에 따라 제약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Qimax는 배터리 i의 최대 충전가능 용량, ui c -max는 전력 변환 시스템(PCS)의 최대 충전 입력 값, ui d -max는 전력 변환 시스템(PCS)의 최대 방전 입력 값을 나타낸다.
제어 연산부(532b_w)는 비용함수 연산부(532b_y)로부터 제공되는 비용함수 J 및 제약 조건 설정부(532b_z)로부터 제공되는 제약 조건이 설정된 추정 충전량에 따라 비용함수를 최소화하는 제어 입력을 연산할 수 있다. 비용함수 J 및 제약 조건은 컨벡스(Convex) 함수이므로, 제어 연산부(532b_w)는 비용함수 J 및 제약 조건으로부터 유일한 제어 입력을 연산할 수 있다.
제어 연산부(532b_w)는 비용함수 J 및 제약 조건이 설정된 추정 충전량을 기반으로, [t ~ t+T-1] 구간의 제어 입력을 연산하고, 현재 시점 t에서의 제어 입력을 출력한다. 이 후, t+1 시점에서는 업데이트 된 비용함수 J 및 제약 조건을 이용하여, [t+1 ~ t+T] 구간의 제어 입력을 연산하고, 시점 t+1에서의 제어 입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전력 공급부
200: 에너지 저장 시스템
210: 주파수 조정 제어 마스터
220: 주파수 조정 제어기
230: 배터리 모듈
300: 계통부
400: 그리드부
500: 계통 운영 시스템
510: 계통 상태 판단 모듈
520: 과도 상태 제어 모듈
530: 정상 상태 제어 모듈
531: 정상 상태 제어부
531a: 주파수 편차 산출부
531b: 추정 전기비용 산출부
531b_x: 데이터 수신부 및
531b_y: 데이터 연산부
532: 최적 제어부
532a: 충방전 모델
532b: 제어장치
532b_x: 충방전 요구량 연산부
532b_y: 비용함수 연산부,
532b_y: 제약 조건 설정부
532b_w: 제어 연산부

Claims (7)

  1. 전력을 생산하여, 계통부로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통하여, 상기 계통부의 주파수를 유지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어하는 계통 운영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계통 운영 시스템은 미래의 추정 전기비용으로부터 비용함수를 산출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량을 결정하는 주파수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운영 시스템은,
    상기 추정 전기비용을 산출하는 정상 상태 제어부; 및
    상기 추정 전기비용으로부터 비용함수를 연산하는 최적 제어부; 를 포함하는 주파수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상태 제어부는,
    상기 계통부의 주파수 편차를 산출하는 주파수 편차 산출부; 및
    상기 추정 전기비용을 산출하는 추정 전기비용 산출부; 를 포함하는 주파수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전기비용 산출부는,
    현재 시점 이전의 기준 시구간 동안의 전기비용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현재 시점 이전의 기준 시구간 동안의 전기비용에 가우시안 분포를 적용하여, 상기 추정 전기비용을 연산하는 데이터 연산부; 를 포함하는 주파수 제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추정 충전량을 연산하는 배터리 충방전 모델; 및
    상기 추정 충전량에 제약 조건을 설정하여, 상기 비용함수를 최소로 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량을 결정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주파수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방전 모델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충전 효율, 방전 효율, 충전률, 및 방전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추정 충전량을 연산하는 주파수 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계통부의 주파수 편차로부터 충방전 요구량을 연산하는 충방전 요구량 연산부; 및
    상기 추정 전기비용 및 상기 충방전 요구량으로부터 비용함수를 연산하는 비용함수 연산부;
    상기 추정 충전량에 제약 조건을 설정하는 제약 조건 설정부; 및
    상기 비용함수 및 상기 제약 조건이 설정된 추정 충전량을 이용하여, 상기 비용함수를 최소로 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량을 결정하는 제어 연산부; 를 포함하는 주파수 제어 시스템.
KR1020170128140A 2017-09-29 2017-09-29 주파수 제어 시스템 KR20190038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140A KR20190038093A (ko) 2017-09-29 2017-09-29 주파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140A KR20190038093A (ko) 2017-09-29 2017-09-29 주파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093A true KR20190038093A (ko) 2019-04-08

Family

ID=6616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140A KR20190038093A (ko) 2017-09-29 2017-09-29 주파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80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656A (ko) * 2019-07-09 2021-01-19 한국전력공사 주파수 조정용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운전 최적화 장치 및 방법
WO2023063487A1 (ko) * 2021-10-15 2023-04-20 주식회사 시너지 Fast dr을 위한 통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656A (ko) * 2019-07-09 2021-01-19 한국전력공사 주파수 조정용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운전 최적화 장치 및 방법
WO2023063487A1 (ko) * 2021-10-15 2023-04-20 주식회사 시너지 Fast dr을 위한 통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1007B2 (en) DC power supply system
US8456878B2 (en) Power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520365B2 (ja) 系統安定化システム、電力供給システム、集中管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集中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
JP2010041802A (ja) 二次電池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WO2011118766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集中管理装置、系統安定化システム、集中管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集中管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10176788B (zh) 蓄电系统以及蓄电装置
KR101885518B1 (ko) 분산전원 전력 계통 연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4246751A1 (en) Method of controlling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of power system with high dynamic loads
US9935461B2 (en) Consumer apparatus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90027936A1 (en)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system
KR20180047137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주파수 제어 시스템
KR101888410B1 (ko) 마이크로 그리드 운영 시스템
KR10206458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관리 방법
US8841877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chemical cell charging
US20160359342A1 (en) Energy management system
KR20190038093A (ko) 주파수 제어 시스템
KR101464411B1 (ko)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736717B1 (ko) 에너지 저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68723B1 (ko) 충전율 제어가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7199462A1 (ja) 電流電圧制御装置
JP7420272B2 (ja) 電力調整方法および電力調整装置
KR101299269B1 (ko)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936293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2021005985A (ja) 直流電力網
US20230155391A1 (en) Power feeding system and power management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