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971A - 벽돌 인양기 - Google Patents

벽돌 인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971A
KR20190037971A KR1020170127857A KR20170127857A KR20190037971A KR 20190037971 A KR20190037971 A KR 20190037971A KR 1020170127857 A KR1020170127857 A KR 1020170127857A KR 20170127857 A KR20170127857 A KR 20170127857A KR 20190037971 A KR20190037971 A KR 20190037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lifting
frame
wor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
Original Assignee
이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 filed Critical 이승
Priority to KR1020170127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7971A/ko
Publication of KR20190037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3Jack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bui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 다수의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에는 본체의 일단이 고정되고 로드의 끝단이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실린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벽돌을 인양하기 위한 벽돌 인양공간과 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이 각각 구획된 인양부와 작업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벽돌 인양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블록화된 상태의 벽돌을 인양기를 통해 작업자와 함께 상부로 이동시켜 일정높이에서 수직적 작업이 아닌 수평적 작업을 통해 조적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안전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할 뿐더러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능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벽돌 인양기{Device for brick hoist}
본 발명은 벽돌 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화된 상태의 벽돌을 인양기를 통해 작업자와 함께 상부로 이동시켜 일정높이에서 수직적 작업이 아닌 수평적 작업을 통해 조적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안전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할 뿐더러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능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벽돌 인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조적공사는 필수적인데, 공동주택의 경우 골조공사가 끝난 다음 내부 화장실벽과 설비피트, 전기피트의 공간에 벽돌을 쌓아 마감공사를 해야 한다.
즉 [도 1]과 같이, 각 층마다 벽돌을 운반하여 쌓아 놓은 후 조적공사를 해야 하는데, 이때 작업자는 한장 한장 손으로 직접 들어서 쌓아야 하는 작업요건으로 인해 고질적인 직업병(허리디스크, 손목관절염)과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공정이다.
그 이유로는 불안전한 우마와 높은 곳에 사다리 등을 사용하여 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작업의 효율은 떨어지고 힘든 작업환경 때문에 기술인력은 고령화되어 현장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불편사항을 없애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수많은 연구와 노력 끝에 본 발명 벽돌 인양기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화된 상태의 벽돌을 인양기를 통해 작업자와 함께 상부로 이동시켜 일정높이에서 수직적 작업이 아닌 수평적 작업을 통해 조적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안전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할 뿐더러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능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벽돌 인양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인양기는,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 다수의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에는 본체의 일단이 고정되고 로드의 끝단이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실린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벽돌을 인양하기 위한 벽돌 인양공간과 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이 각각 구획된 인양부와 작업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블록화된 상태의 벽돌을 인양기를 통해 작업자와 함께 상부로 이동시켜 일정높이에서 수직적 작업이 아닌 수평적 작업을 통해 조적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안전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할 뿐더러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능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의 조적작업을 위해 벽돌이 쌓인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2 - 본 발명의 벽돌 인양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도 2의 측면도.
도 4 - 도 2의 배면도.
도 5 - 본 발명 벽돌 인양기를 위한 곰방 거치대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인양기(100)는, 하부에 바퀴(111)가 구비된 다수의 바닥프레임(110);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프레임(120);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130);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상면에는 본체(141)의 일단이 고정되고 로드(142)의 끝단이 이동프레임(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실린더(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프레임(130)에는 벽돌(A)을 인양하기 위한 벽돌 인양공간과 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이 각각 구획된 인양부(131)와 작업부(13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프레임(110)은 층간 이동과 벽돌 인양시 바닥에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필요한 구성으로, 그 하부에는 층간 이동을 위한 바퀴(1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퀴(111)에는 벽돌 인양시 흔들리지 않고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구조물의 안정적인 지지와 함께 이동프레임(130)을 상부로 이동, 즉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에 위치한 바닥프레임(110)의 전면과 후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승강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레일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그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지지프레임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 이동프레임(130)은 다수의 수평과 수직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120)과 실린더(140)를 통해 상부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벽돌(A)을 인양하기 위한 벽돌 인양공간과 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이 각각 구획된 인양부(131)와 작업부(1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양부(131)와 작업부(132)는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인양부(131)의 바닥 부위가 작업부(132)의 바닥 부위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양부(131)에는 블록화된 벽돌이 인양되고, 상기 작업부(132)에는 작업자가 올라탄 상태에서 일정높이로 이동프레임(130)이 이동되면, 작업자는 준비된 모르타르와 벽돌로 조적작업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작업부(132)에는 작업자를 위한 발판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 실린더(140)는 이동프레임(130)을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바닥프레임(110)의 상면에는 본체(141)의 일단이 고정되고 로드(142)의 끝단이 이동프레임(130)의 상부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실린더(140)는 작업부(132)의 일측에 구비된 유압모터(132a)를 통해 구동됨은 당연하고, 상기 실린더(140)와 유압모터(132a) 간의 배선구조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벽돌 인양기(100)를 이용한 조적작업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공동주택 하부에서 빠레트에 적재된 벽돌을 운반수레 하단에 곰방철판을 깔고 적재하여 호이스트가를 이용하여 매층마다 운반한다.
다음 각층에 미리 곰방거치대(10)를 두고 리어카에 올려진 철판 위의 벽돌을 곰방거치대(10) 위에 올린다.
다음 고정된 곰방거치대(10)에 벽돌 인양기(100)를 끌고가서 블록화된 철판부의 벽돌만 벽돌 인양기(100)의 인양부(131)에 올린다.
다음 블록화된 인양부(131)의 공간에 철판이 정위치에 놓이면 이동프레임(130)을 상승시켜 블록화된 벽돌을 상부로 이동시킨다(기존에는 우마에 벽돌을 사람 손으로 한장씩 쌓아서 올리고 그 옆에서 작업자가 서서 작업함).
이때 가이드프레임(120)은 유압모터(132a)의 유압상승력의 오차를 해소하여 이동프레임(130)의 수평적인 상승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일측에 구획되어 형성된 작업부(132)는 모르타르의 반죽과 작업자가 상기 작업부(132)에 올라가서 높은 위치에 시공시 반복적인 수직운동에 의한 비능률적인 소모현상을 없애고 수평적 작업으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조적작업 시 바닥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111)는 고정수단에 의해 그 유동이 방지되도록 함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곰방거치대 100: 벽돌 인양기
110: 바닥프레임 111: 바퀴
120: 가이드프레임 130: 이동프레임
131: 인양부 132: 작업부
132a: 유압모터 140: 실린더
A: 벽돌

Claims (1)

  1. 하부에 바퀴(111)가 구비된 다수의 바닥프레임(110);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프레임(120);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130);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상면에는 본체(141)의 일단이 고정되고 로드(142)의 끝단이 이동프레임(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실린더(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프레임(130)에는 벽돌(A)을 인양하기 위한 벽돌 인양공간과 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이 각각 구획된 인양부(131)와 작업부(132)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인양기.
KR1020170127857A 2017-09-29 2017-09-29 벽돌 인양기 KR20190037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857A KR20190037971A (ko) 2017-09-29 2017-09-29 벽돌 인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857A KR20190037971A (ko) 2017-09-29 2017-09-29 벽돌 인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971A true KR20190037971A (ko) 2019-04-08

Family

ID=6616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857A KR20190037971A (ko) 2017-09-29 2017-09-29 벽돌 인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79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34148A (zh) * 2020-06-03 2020-10-02 中国核工业华兴建设有限公司 一种位于半空的u形狭长空间内接替吊装方法
CN112012506A (zh) * 2020-09-11 2020-12-01 李风梅 一种新型建筑施工隔热砖自动传送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34148A (zh) * 2020-06-03 2020-10-02 中国核工业华兴建设有限公司 一种位于半空的u形狭长空间内接替吊装方法
CN112012506A (zh) * 2020-09-11 2020-12-01 李风梅 一种新型建筑施工隔热砖自动传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04587U (zh) 一种建筑施工金属板表面打磨除锈装置
KR20070116222A (ko) 건설장치용 클램프
CN105220626A (zh) 一种自行式内钢模板装置及其与外钢模板组合的施工方法
JP6348888B2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CN109719698A (zh) 一种建筑用机器人搭载系统及控制方法
KR20190037971A (ko) 벽돌 인양기
KR100795209B1 (ko) 거푸집 리프트
JP6167025B2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JP6566624B2 (ja) 昇降装置のガイドレールへの脱着方法
CN105460853A (zh) 一种建筑用升降机
KR101814548B1 (ko) 이동식 작업대
CN210866983U (zh) 一种用于电力工程的辅助安装设备
CN207177246U (zh) 一种可提升式桁架移动操作平台
CN211198400U (zh) 一种建筑工程用起吊设备
CN211711873U (zh) 一种轨道式用于吊装运输的牵引系统
CN209353740U (zh) 一种楼宇建造装置
CN206768613U (zh) 用于辅助架设城轨u型梁及张拉盖梁的移动吊篮
CN206841394U (zh) 一种汽车专业维修辅助工具
KR20090103021A (ko)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건축물 시공방법
CN111660045A (zh) 水冷壁组装调整台架及方法
JP6368726B2 (ja) ベルトコンベア昇降装置
CN104695694A (zh) 一种蜗轮蜗杆丝杠升降的附着式脚手架
CN219298710U (zh) 一种建筑工程墙体砌砖装置
CN218708843U (zh) 一种便于搭建且具有防护措施的升降梯
CN219363072U (zh) 移动型吊装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