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670A -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 - Google Patents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670A
KR20190037670A KR1020170127245A KR20170127245A KR20190037670A KR 20190037670 A KR20190037670 A KR 20190037670A KR 1020170127245 A KR1020170127245 A KR 1020170127245A KR 20170127245 A KR20170127245 A KR 20170127245A KR 20190037670 A KR20190037670 A KR 20190037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bus bar
motor
control uni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12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7670A/ko
Publication of KR2019003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6Embedding prefabricated windings in machines
    • H02K15/062Windings in slots; salient pole windings
    • H02K15/063Windings for large electric machine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boards, i.e. printed circuit boards or similar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버스바와, 제어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노출되는 별도의 버스바를 접합해 제어신호의 전달을 위한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에 관한 것이다.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의 일실시예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의 하면에 상면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모터와 일단부가 회로기판의 배선과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부는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버스바 및 일단부가 회로기판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연장 형성되고 타단부는 모터의 코일과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버스바로 구성되되,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어느 한 일면이 상호 접합됨에 따라 모터와 회로기판이 통전되며, 제1버스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MOTOR INTEGRATED CONTROL UNIT INCLUDING A BUSBAR}
본 발명은 버스바를 포함하여 제어부와 모터가 결선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버스바와, 제어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노출되는 별도의 버스바를 접합해 제어신호의 전달을 위한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산업분야에서 모터의 활용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모터의 소형화, 경량화를 위한 연구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모터의 정교한 동작을 위해 모터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는 적절히 제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모터는 그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제어부로부터 적절한 전류를 공급받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어부와 모터는 별도의 공간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 모터에 제어부가 결합된 형태의 일체형 모터가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모터와 제어부는 커넥터와 케이블로 연결되기도 하나, 이 경우 모터 측 커넥터 및 제어부 측 커넥터와 이에 대응되는 케이블이 복수개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개별적인 연결작업과 복잡한 결선 상태를 초래하여 용이한 제작을 어렵게 한다. 이때 버스바(Busbar)를 이용해 모터와 제어부를 연결하면 결선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결선은 주로 일체형 모터에서 이용되곤 한다.
적은 용량의 일체형 모터에 있어 부피효율 등을 달성하기 위해, 제어부는 커패시터, 릴레이, 인덕터 등의 회로소자가 PCB와 같은 회로기판에 모두 실장된 상태로 모터와 결합하곤 한다. 이때 모터와 제어부의 전기적인 연결은 주로 납땜을 이용해 행해지고 있다.
종래에는 모터의 설계구조 상 모터 측 버스바 단자를 모터의 외경 부근으로 형성하여야 하였으며 단자를 제어부 방향으로 인출한 후 단자와 제어부의 회로기판 배선을 납땜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 하였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모터 또는 회로기판의 배치설계를 제한하여 일체형 모터의 소형화, 경량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버스바 단자가 회로기판의 배선과 직접 연결되어야 하므로 납땜 외의 접합 방식을 사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모터와 제어부가 연결의 신뢰성이 낮은 납땜 방식으로 연결되므로 모터의 오동작이나 이상출력 등의 문제를 초래할 여지가 있어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버스바의 결선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견고한 버스바의 결선이 가능하며, 회로기판의 배치설계를 변경하기 용이한 개선된 구조의 버스바를 포함하여 설계효율 및 공간효율이 증대되며 자동화 공정으로 제작될 수 있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의 일실시예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의 하면에 상면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모터와 일단부가 회로기판의 배선과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부는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버스바 및 일단부가 회로기판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연장 형성되고 타단부는 모터의 코일과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버스바로 구성되되,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어느 한 일면이 상호 접합됨에 따라 모터와 회로기판이 통전되며, 제1버스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추가로, 제1버스바는 회로기판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2버스바와 접합되는 제1지지부재 및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제1지지부재의 일면 또는 타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제1지지부재는 회로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회로기판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갖고, 제2지지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는 퓨징 공정으로 접합되는 것일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제어부 일체형 모터에 따르면, 버스바의 결선구조를 달리하여 일체형 모터의 배치설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의 전기적인 연결이 퓨징 공정으로 행해져 납땜에 비해 신호전달의 신뢰성이 증대되고 자동화 공정으로 인한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효율 및 생산량 증대의 효과가 있으며, 개선된 구조의 버스바로 인해 버스바의 열수축 또는 열팽창에 대한 충격의 완충이 가능하다.
또한 모터와 제어부의 기계 및 전기적인 연결의 신뢰성이 증대되므로 모터 출력의 정확성이 제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요소인 제1버스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어부 일체형 모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 일체형 모터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상"에 또는 "아래"에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또는 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요소인 제1버스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어부 일체형 모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어부 일체형 모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일체형 모터는 회로기판(100), 모터(200), 제1버스바(110), 제2버스바(210)를 포함한다.
버스바는 주로 동(銅) 재질의 막대형 도전성 도체로, 전자제품 간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인 제어부 일체형 모터의 전기적인 결선은 이러한 버스바의 접합을 통해 형성된다.
먼저, 회로기판(100)은 전자제품의 부품 간 회로를 연결할 때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보드에 회로를 그려 전기를 통할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여러 개의 구성요소를 장착해 연속하여 동작할 수 있게 회로를 동선으로 만들고 개별 구성요소끼리 연결시켜 구성요소의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아울러 구성요소의 기계적인 고정역할도 수행한다.
회로기판(100)은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로도 표기할 수도 있으며, PP재(Paper Phenolic), PE재(Paper Epoxy)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회로기판(100)은 장변과 단변을 갖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될 것이나, 회로소자 및 배치구조에 따라서는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인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회로기판(100)이 그 표면 또는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소자와 함께 전기적인 신호를 입출력하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이를 제어부로 정의할 수도 있다.
관통홀(120)은 회로기판(10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회로기판(100)의 상면 및 하면은 회로기판(100)의 회로소자가 표면에 구비될 때 회로소자가 구비되는 일면을 상면, 그와 반대되는 일면을 하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만 회로기판(100)의 양 표면에 회로소자가 구비되는 경우 지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놓인 면을 하면, 반대되는 일면을 상면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도 2의 관통홀(120)은 회로기판(10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후술할 제2버스바(210)의 위치에 따라 회로소자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회로기판(100)의 중앙부가 아닌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관통홀(120)의 형상은 직사각,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20)이 회로기판(100)을 관통하여 형성됨에 따라 회로기판(100)의 회로소자는 관통홀(120)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의 표면 또는 내부에 배치된다.
모터(200)는 고정자(미도시), 회전자(미도시) 및 고정자에 결합되는 코일(미도시)과 이를 내부에 포함하는 모터 하우징 등 공지된 일반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모터(200)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스타터 모터, 라디에이터 팬 모터, 윈도브러쉬 모터, 공조용 팬 모터, 연료펌프용 모터, 윈도우 쉴드 모터, 도어룩용 모터, 안테나 승강용 모터, 백미러용 모터, 듀얼클러치 변속기 모터, ABS 컨트롤용 모터, TCS 컨트롤용 모터, 시트조절용 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회로기판(100)은 모터(200)에 체결되어 결합되며, 모터(200)에 회로기판(100)이 체결되어 결합된 일체를 일체형 모터로 정의할 수 있다. 회로기판(100)과 모터(200)의 결합은 모터(200)의 하우징 상면 모서리에 형성되는 마운팅부에 회로기판(100)의 모서리를 안착한 후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일 수 있으나 그 밖에도 용접 등 견고한 결합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버스바(110)는 일단부가 회로기판(100)의 배선과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부는 회로기판(10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막대형의 도전성 도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제1버스바(110)는 주로 회로기판(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배선과 일단부가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제1버스바(110)는 회로기판(100)의 회로소자로 입출력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버스바(110)와 회로기판(100)의 배선 간의 접합은 납땜(Soldering)이 이용될 수 있으나 용접, 압접 등 전기적 결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수단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제1버스바(110)의 타단부는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회로기판(10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회로기판(100)의 상면에 배선이 구비된 경우 제1버스바(110)의 일단부는 이러한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을 형성하고 타단부는 회로기판(100)의 상면으로부터 회로기판(100)의 상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2버스바(210)는 일단부가 회로기판(10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관통홀(120)을 관통하면서 연장 형성되고 타단부는 모터(200)의 코일과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2버스바(210)는 회로기판(100)의 하부에 구비된 모터(200)로부터 관통홀(120)을 관통하면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막대형의 도전성 도체로, 모터(200)의 코일과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모터(200)의 코일로 입출력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버스바(210)는 관통홀(120)의 너비보다 작은 직경 또는 폭으로 형성되어 관통홀(120)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관통홀(120)을 통과한다. 이 경우 제2버스바(210)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신호가 의도치 않게 회로기판(100)의 배선으로 누설되는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버스바(110)와 제2버스바(210)는 각각의 어느 한 일면이 상호 접합됨에 따라 회로기판(100)과 모터(200)를 통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1버스바(110)와 제2버스바(210)의 접합 구조를 통해 회로기판(100)과 모터(200)는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버스바(110)와 제2버스바(210)의 접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제1버스바(110)의 타단부는 회로기판(10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버스바(210)의 일단부는 관통홀(120)을 관통하면서 회로기판(100)의 상부로 연장되어 제1버스바(110)와 제2버스바(210)의 어느 한 일면은 다른 일면과 맞닿게 된다. 이때 제1버스바(110)와 제2버스바(210)가 접하게 된 접점을 접합하면 제1버스바(110)와 제2버스바(2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버스바(110)와 제2버스바(210)의 연결을 통해 각각의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100) 및 모터(200)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버스바(110)와 제2버스바(210)의 접합은 퓨징 공정을 통해 접합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전기적인 연결의 신뢰성이 제고되고 자동화공정을 이용해 버스바 구조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제1버스바(110)와 제2버스바(210)의 기계적인 결합의 강도가 납땜 등에 비해 높아진다.
한편 제1버스바(11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버스바(210)는 모터(200)와 연결되어 있어 모터(200)의 진동으로 발생된 외력이나 모터(200)의 동작에 따른 열이 제2버스바(210)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도전성 도체인 제2버스바(210)에 열이 가해지면 열수축이나 열팽창으로 인한 수직 방향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력에 의한 충격은 제2버스바(210)와 접합된 제1버스바(1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1버스바(110)가 절곡부를 구비하면 절곡된 형상에 의한 탄성력이 제공되어 제2버스바(21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을 다양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제1버스바(110)는 제1지지부재(111)와 제2지지부재(113)가 마련되는 것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부재(111)는 회로기판(100)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로기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2버스바(210)와 접합되고, 제2지지부재(113)는 회로기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제1지지부재(111)의 일면 또는 타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지지부재(111)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제1버스바(110)가 제1지지부재(111)와 제2지지부재(113)를 갖는 구조로 형성되면, 제1지지부재(111)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2지지부재(113)에 분산되어 수용되므로 제2버스바(21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버스바 연결의 안정성이 개선되어 회로기판(100)과 모터(200)의 전기적인 연결의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제1지지부재(111)는 제1절곡부(111a)와 제2절곡부(111b)가 마련되는 것일 수도 있다.
제1절곡부(111a)는 회로기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지지부재(111)가 회로기판(1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이며, 제2절곡부(111b)는 제1절곡부(111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지지부재(111)가 다시 회로기판(100)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이다.
제1절곡부(111a)와 제2절곡부(111b)가 구비됨에 따라, 제1지지부재(111)는 제2버스바(210)를 통해 전달되는 수직 방향의 외력이 제1절곡부(111a) 및 제2절곡부(111b)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완충할 수 있으므로 버스바 연결의 안정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13)는 회로기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제1지지부재(111)의 일면 또는 타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나의 지지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일면 및 타면 으로 동시에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로 마련되어 제1지지부재(111)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제2지지부재(11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지지부재(111)에 전달된 외력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보다 완충되어 수용되므로 제1지지부재(111)에 제공하는 지지력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버스바(111)와 제2버스바(210)를 이용하여 회로기판(100)과 모터(200)를 결선하는 경우 버스바의 결선구조를 달리하여 일체형 모터의 배치설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의 전기적인 연결이 퓨징 공정으로 행해져 납땜에 비해 신호전달의 신뢰성이 증대되고 자동화 공정으로 인한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효율 및 생산량 증대의 효과가 있으며, 개선된 구조의 버스바로 인해 버스바의 열수축 또는 열팽창에 대한 충격의 완충이 가능하다.
또한 회로기판(100)과 모터(200)의 기계 및 전기적인 연결의 신뢰성이 증대되므로 모터 출력의 정확성이 제고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회로기판 110 : 제1버스바
111 : 제1지지부재 111a : 제1절곡부
111b : 제2절곡부 113 : 제2지지부재
120 : 관통홀 200 : 모터
210 : 제2버스바

Claims (6)

  1.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에 상면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모터;
    일단부가 상기 회로기판의 배선과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버스바; 및
    일단부가 상기 회로기판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연장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모터의 코일과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버스바로 구성되되,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의 어느 한 일면이 상호 접합됨에 따라 상기 모터와 상기 회로기판이 통전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바는
    상기 회로기판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2버스바와 접합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면 또는 타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갖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갖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는 퓨징 공정으로 접합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
KR1020170127245A 2017-09-29 2017-09-29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 KR20190037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245A KR20190037670A (ko) 2017-09-29 2017-09-29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245A KR20190037670A (ko) 2017-09-29 2017-09-29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670A true KR20190037670A (ko) 2019-04-08

Family

ID=6616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245A KR20190037670A (ko) 2017-09-29 2017-09-29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76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9350B2 (ja) 回路基板と導電レールとを有するフィルタ
CN108539894B (zh) 无刷直流电动机以及搭载了该无刷直流电动机的鼓风装置
WO2015170383A1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1344823B (zh) 直流链路电容器模块、电力电子模块和电力电子设备
JP2008174097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466679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の電子回路装置
EP2955790B1 (en) Multipole connector
JP6719021B2 (ja) 電力変換装置
KR20180035880A (ko) 접속 단자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전동 구동 장치
JP2015178806A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CN107112654B (zh) 模块-端子台连接结构及连接方法
US10389214B2 (en) Motor and producing method for motor
CN111971880B (zh) 电动助力转向装置
JP5683290B2 (ja) 基板間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バータ、電動圧縮機
KR20190037670A (ko) 버스바를 포함하는 제어부 일체형 모터
JP2020150749A (ja) インバータの組付構造
CN115276296A (zh) 电机外壳盖装置、电机和电机的制造方法
CN109302001B (zh) 驱动装置、致动器及车辆摇窗机构
WO2017154189A1 (ja) 半導体装置
JP2010172059A (ja) 回路構成体、及び電気接続箱
JP5205313B2 (ja) モータ駆動制御ユニット
US20230307995A1 (en) Motor drive device
EP3211978B1 (en) Power supply
KR102334500B1 (ko) 모듈형 인버터 시스템
CN107404799B (zh) 印制电路板和用于制造印制电路板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