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503A -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 Google Patents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503A
KR20190037503A KR1020170126932A KR20170126932A KR20190037503A KR 20190037503 A KR20190037503 A KR 20190037503A KR 1020170126932 A KR1020170126932 A KR 1020170126932A KR 20170126932 A KR20170126932 A KR 20170126932A KR 20190037503 A KR20190037503 A KR 20190037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tank
horizontal
composting
ferment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9453B1 (ko
Inventor
고일환
Original Assignee
천호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호산업(주) filed Critical 천호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12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4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5F17/0247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05F17/0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02W30/4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방향으로 눕혀진 수평형 발효조를 다단으로 적재 하여 장치의 구성을 단순히 하여 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 구조물의 제일 상부에 구비되고, 수분이 포함된 유기성 폐기물을 유입받아 최초로 일부 발효시키고 하부로 자연 낙하시켜 배출시키는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와;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의 하부인 수직 구조물의 내부에 한 층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에서 자연 낙하되어 배출되는 일부 발효된 유기성 폐기물을 재차 발효시켜 하부로 자연 낙하시켜 배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와; 상기 수직 구조물의 제일 하층에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에서 배출되는 재차 발효된 유기성 폐기물을 최종 발효시켜 퇴비화 시킨 후 퇴비화 된 유기성 폐기물을 자연 낙하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와;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취합하여 다시 상기 제일 하부에 위치된 수평형 발효조의 내부로 공급하는 수분 회수 공급수단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Fermentation device of ferment tank vertical loadtype}
본 발명은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방향으로 눕혀진 수평형 발효조를 다단으로 적재 하여 장치의 구성을 단순히 하여 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나 축산 분뇨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은, 소각로를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소각 처리방법이나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켜 퇴비화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근래에는 자연 친화적인 면이나 수요성 면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는 방법보다는,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켜 퇴비화 시키는 방법이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켜 퇴비화 시키는 방법으로 하나의 발효조를 통해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키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발효조를 사용할 경우에는 많은 양의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많은 양의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협소한 공간에 발효조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그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54264호의 "유기성 고형물의 자원화를 위한 다단 적재식 입상형 원통퇴비발효조의 설비구성 및 그 운전 방식"(이하, "종래의 다단 적재식 입상형 원통퇴비발효조의 설비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다단 적재식 입상형 원통퇴비발효조의 설비구성은 수직형의 퇴비발효조를 다단으로 구비하고, 각각의 수직형의 퇴비발효조의 하부에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동력원에 의해 개폐되는 슬라이딩 개폐구를 일일이 설치해야 함으로써, 설비구성이 복잡하여 설비구성의 제조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단 적재식 입상형 원통퇴비발효조의 설비구성은 각각의 퇴비발효조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날개가 회전 교반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퇴비 발효조에 채워진 퇴비화 내용물의 하중으로 인하여 회전날개에 부착된 경사판들이 단기간에 부러지는 고장이 발생됨으로써, 퇴비 발효조의 회전날개를 단기간에 수시로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54264호의 "유기성 고형물의 자원화를 위한 다단 적재식 입상형 원통퇴비발효조의 설비구성 및 그 운전 방식"(2006.5.22.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 방향으로 눕혀진 수평형 발효조를 다단으로 적재 하여 장치의 구성을 단순히 하여 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발효조를 수평형으로 구성하여 발효조 내부 둘레에 경사 이송날개들을 구비함으로써, 경사 이송날개들이 유기성 폐기물의 하중으로 인하여 쉽게 부러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는 수직 구조물의 제일 상부에 구비되고, 수분이 포함된 유기성 폐기물을 유입받아 최초로 일부 발효시키고 하부로 자연 낙하시켜 배출시키는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와;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의 하부인 수직 구조물의 내부에 한 층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에서 자연 낙하되어 배출되는 일부 발효된 유기성 폐기물을 재차 발효시켜 하부로 자연 낙하시켜 배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와; 상기 수직 구조물의 제일 하층에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에서 배출되는 재차 발효된 유기성 폐기물을 최종 발효시켜 퇴비화 시킨 후 퇴비화 된 유기성 폐기물을 자연 낙하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와;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취합하여 다시 상기 제일 하부에 위치된 수평형 발효조의 내부로 공급하는 수분 회수 공급수단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의 각각의 상기 수평형 발효조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양측이 개방되고, 외주연에 구비되는 구동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내주면에는 다수의 경사 이송날개가 돌출 구비되는 회전 원통관과; 상기 회전 원통관의 유기성 폐기물의 유입측을 막으며 상기 수직 구조물에 고정 구비되고, 상부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호퍼가 연결되거나, 또는 상부에 위치된 타 수평 발효조의 배출관이 연결되는 유입측 커버와; 상기 회전 원통관의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측을 막으며 상기 수직 구조물에 고정 구비되고, 하부에는 배출관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주 배기관에 연결되어 냄새를 배기하는 분기 배기관이 구비되는 배출측 커버와; 상기 회전 원통관의 내부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의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는 유기성 폐기물의 유입측이 높고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측이 낮게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좌우 방향으로 눕혀진 수평형 발효조를 다단으로 적재 하여 장치의 구성을 단순히 하여 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발효조를 수평형으로 구성하여 발효조 내부 둘레에 경사 이송날개들을 구비하여, 경사 이송날개들이 유기성 폐기물의 하중으로 인하여 쉽게 부러지는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고장이 거의 없는 퇴비화 발효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를 나타낸 확대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확대 정단면도이고,
도 3b는 사시도이며,
도 3c는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를 나타낸 확대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공기 공급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를 나타낸 확대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를 나타낸 확대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공기 공급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이하, "퇴비화 발효장치"라 한다.)는 수직 구조물(1)에 다단으로 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나 축산 분뇨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켜 퇴비화시키는 다수의 수평형 발효조(2)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퇴비화 발효장치는 상기 수직 구조물(1)의 제일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형 발효조(2 : 이하,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라 한다)와, 제일 상부에 위치된 수평형 발효조(2)의 하부인 수직 구조물(1)의 내부에 한 층 이상으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에 위치되는 수평형 발효조(2 : 이하,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라 한다)와, 상기 수직 구조물(1)의 제일 하층에 구비되어 제일 하부에 위치되는 수평형 발효조(2 : 이하,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라 한다)와,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배출되는 침출수인 수분을 취합하여 다시 상기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의 내부로 공급하는 수분 회수 공급수단(3)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는 상기 수직 구조물(1)의 제일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수분이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나 축산 분뇨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유입받아 최초로 일부 발효시키고 하부로 자연 낙하시켜 배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는 회전 원통관(21), 유입측 커버(22), 배출측 커버(23), 및 공기 공급수단(2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원통관(21)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양측이 개방되고, 외주연에 구비되는 구동 회전수단(212)에 의해 회전되며, 내주면에는 다수의 경사 이송날개(211)가 돌출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 이송날개(211)들은 이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회전수단(212)은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 원통관(2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관(21)의 외부 둘레의 좌우 중간에 구비되는 원형 레일과, 상기 수직 구조물(1)에 고정되고 회전축에는 상기 원형 레일에 밀착되어 원형 레일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롤(212b)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구동모터(212a)와, 상기 회전 원통관(21) 외주면의 하부 양측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회전 원통관(21)의 하부 양측의 전,후방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 회전롤(212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측 커버(22)는 회전 원통관(21)의 유기성 폐기물의 유입측을 막으며 상기 수직 구조물(1)에 고정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호퍼(221)가 연결되는 것이다.
즉 상기 유입측 커버(22)는 회전 원통관(21)의 유기성 폐기물의 유입측을 회전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관(21)의 유입측을 막고 상부에는 상기 투입호퍼(221)가 연결 구비되는 커버판(22a)과, 상기 커버판(22a)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원통관(21)의 유입측의 외측 둘레를 회전이 가능하게 감싸는 둘레판(22b)과, 상기 둘레판(22b)을 수직 구조물(1)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22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측 커버(23)는 회전 원통관(21)의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측을 막으며 상기 수직 구조물(1)에 고정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에는 배출관(231)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개폐밸브(V)에 의해 개폐되는 주 배기관(P)에 연결되어 냄새를 배기하는 분기 배기관(232)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V)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 개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측 커버(23)는 회전 원통관(21)의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측을 회전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관(21)의 배출측을 막는 커버판(23a)과, 상기 커버판(23a)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원통관(21)의 배출측의 외측 둘레를 회전이 가능하게 감싸는 둘레판(23b)과, 상기 둘레판(23b)을 수직 구조물(1)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22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수단(24)은 상기 회전 원통관(21)의 내부 하부로 공기를 분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공기 공급수단(24)은 회전되는 회전 원통관(21)의 하부에서만 공기를 유입시켜 하부에 깔리는 유기성 폐기물에 직접적으로 공기를 분사시켜 발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수단(24)은 유입측 커버(22)의 하부에 관통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공기 공급펌프(242)에 연결되며 중간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주 공기 공급관(241)과, 상기 유입측 커버(22)의 내측 하부에 상기 주 공기 공급관(241)과 연결되게 구비되는 반원형 분기관(243)과, 상기 반원형 분기관(243)의 둘레에서 등간격으로 상기 배출측 커버(23)의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고 돌출 끝단부가 상기 배출측 커버(23)의 내측에 고정되며 둘레에는 좌우 등간격으로 다수의 공기 분사노즐이나 다수의 공기 분사홀(244a)이 구비되는 다수의 수평 분기관(24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 분기관(244)은 유입측 커버(22)와 배출측 커버(23)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각각의 수평 분기관(244)은 회전 원통관(2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경사 이송날개(211)와 충돌되지 않도록 경사 이송날개(211)들의 내측 단부에서 이격되게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평 분기관(244)들은 회전 원통관(21)의 하부에 고정 위치되어, 회전 원통관(21) 내부의 하부로만 공기를 공급해 주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는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회전 원통관(21)의 배출측의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유기성 폐기물의 유입측이 높고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측이 낮게 경사지게 구비되는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의 배출측 커버(23)의 하부에는 후술할 수분 회수 공급수단(3)을 구성하는 수분 회수관(32)이 연결되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2)는 도 1,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의 수평 발효조와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의 사이에 적어도 한 층 이상으로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2)는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자연 낙하되어 배출되는 일부 발효된 유기성 폐기물을 재차 발효시켜 하부로 자연 낙하시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2)는 회전 원통관(21), 유입측 커버(22), 배출측 커버(23), 및 공기 공급수단(2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원통관(21)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양측이 개방되고, 외주연에 구비되는 구동 회전수단(212)에 의해 회전되며, 내주면에는 다수의 경사 이송날개(211)가 돌출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 이송날개(211)들은 이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회전수단(212)은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 원통관(2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관(21)의 외부 둘레의 좌우 중간에 구비되는 원형 레일과, 상기 수직 구조물(1)에 고정되고 회전축에는 상기 원형 레일에 밀착되어 원형 레일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롤(212b)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구동모터(212a)와, 상기 회전 원통관(21) 외주면의 하부 양측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회전 원통관(21)의 하부 양측의 전,후방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 회전롤(212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2)는 침출수를 회수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수평이 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측 커버(22)는 회전 원통관(21)의 유기성 폐기물의 유입측을 막으며 상기 수직 구조물(1)에 고정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상부에 위치된 타 수평 발효조의 배출관(231)이 연결되는 것이다. 즉 중간에 위치되는 수평형 발효조(2)의 유입측 커버(22)에는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의 배출관(231)이 연결되거나, 또는 바로 위에 위치되는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2)의 배출관(231)이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입측 커버(22)는 회전 원통관(21)의 유기성 폐기물의 유입측을 회전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관(21)의 유입측을 막고 상부에는 상부에 위치된 타 수평 발효조의 배출관(231)이 연결 구비되는 커버판(22a)과, 상기 커버판(22a)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원통관(21)의 유입측의 외측 둘레를 회전이 가능하게 감싸는 둘레판(22b)과, 상기 둘레판(22b)을 수직 구조물(1)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22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측 커버(23)는 회전 원통관(21)의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측을 막으며 상기 수직 구조물(1)에 고정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에는 배출관(231)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개폐밸브(V)에 의해 개폐되는 주 배기관(P)에 연결되어 냄새를 배기하는 분기 배기관(232)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측 커버(23)는 회전 원통관(21)의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측을 회전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관(21)의 배출측을 막는 커버판(23a)과, 상기 커버판(23a)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원통관(21)의 배출측의 외측 둘레를 회전이 가능하게 감싸는 둘레판(23b)과, 상기 둘레판(23b)을 수직 구조물(1)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22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수단(24)은 상기 회전 원통관(21)의 내부 하부로 공기를 분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공기 공급수단(24)은 회전되는 회전 원통관(21)의 하부에서만 공기를 유입시켜 하부에 깔리는 유기성 폐기물에 직접적으로 공기를 분사시켜 발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수단(24)은 유입측 커버(22)의 하부에 관통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공기 공급펌프(242)에 연결되며 중간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주 공기 공급관(241)과, 상기 유입측 커버(22)의 내측 하부에 상기 주 공기 공급관(241)과 연결되게 구비되는 반원형 분기관(243)과, 상기 반원형 분기관(243)의 둘레에서 등간격으로 상기 배출측 커버(23)의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고 돌출 끝단부가 상기 배출측 커버(23)의 내측에 고정되며 둘레에는 좌우 등간격으로 다수의 공기 분사노즐이나 다수의 공기 분사홀(244a)이 구비되는 다수의 수평 분기관(24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 분기관(244)은 유입측 커버(22)와 배출측 커버(23)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각각의 수평 분기관(244)은 회전 원통관(2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경사 이송날개(211)와 충돌되지 않도록 경사 이송날개(211)들의 내측 단부에서 이격되게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평 분기관(244)들은 회전 원통관(21)의 하부에 고정 위치되어, 회전 원통관(21) 내부의 하부로만 공기를 공급해 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는 도 1,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구조물(1)의 제일 하층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배출되는 재차 발효된 유기성 폐기물을 최종 발효시켜 퇴비화 시킨 후 퇴비화 된 유기성 폐기물을 자연 낙하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는 회전 원통관(21), 유입측 커버(22), 배출측 커버(23), 및 공기 공급수단(2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원통관(21)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양측이 개방되고, 외주연에 구비되는 구동 회전수단(212)에 의해 회전되며, 내주면에는 다수의 경사 이송날개(211)가 돌출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 이송날개(211)들은 이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회전수단(212)은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 원통관(2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관(21)의 외부 둘레의 좌우 중간에 구비되는 원형 레일과, 상기 수직 구조물(1)에 고정되고 회전축에는 상기 원형 레일에 밀착되어 원형 레일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롤(212b)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구동모터(212a)와, 상기 회전 원통관(21) 외주면의 하부 양측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회전 원통관(21)의 하부 양측의 전,후방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 회전롤(212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는 침출수를 회수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수평이 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측 커버(22)는 회전 원통관(21)의 유기성 폐기물의 유입측을 막으며 상기 수직 구조물(1)에 고정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상부에 위치된 타 수평 발효조의 배출관(231)이 연결되는 것이다. 즉 제일 하부에 위치되는 수평형 발효조(2)의 유입측 커버(22)에는 바로 위의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2)의 배출관(231)이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입측 커버(22)는 회전 원통관(21)의 유기성 폐기물의 유입측을 회전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관(21)의 유입측을 막고 상부에는 상부에 위치된 타 수평 발효조의 배출관(231)이 연결 구비되는 커버판(22a)과, 상기 커버판(22a)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원통관(21)의 유입측의 외측 둘레를 회전이 가능하게 감싸는 둘레판(22b)과, 상기 둘레판(22b)을 수직 구조물(1)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22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측 커버(23)는 회전 원통관(21)의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측을 막으며 상기 수직 구조물(1)에 고정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에는 배출관(231)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개폐밸브(V)에 의해 개폐되는 주 배기관(P)에 연결되어 냄새를 배기하는 분기 배기관(232)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측 커버(23)는 회전 원통관(21)의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측을 회전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관(21)의 배출측을 막는 커버판(23a)과, 상기 커버판(23a)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원통관(21)의 배출측의 외측 둘레를 회전이 가능하게 감싸는 둘레판(23b)과, 상기 둘레판(23b)을 수직 구조물(1)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22c)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수단(24)은 상기 회전 원통관(21)의 내부 하부로 공기를 분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공기 공급수단(24)은 회전되는 회전 원통관(21)의 하부에서만 공기를 유입시켜 하부에 깔리는 유기성 폐기물에 직접적으로 공기를 분사시켜 발효 효과을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수단(24)은 유입측 커버(22)의 하부에 관통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공기 공급펌프(242)에 연결되며 중간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주 공기 공급관(241)과, 상기 유입측 커버(22)의 내측 하부에 상기 주 공기 공급관(241)과 연결되게 구비되는 반원형 분기관(243)과, 상기 반원형 분기관(243)의 둘레에서 등간격으로 상기 배출측 커버(23)의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고 돌출 끝단부가 상기 배출측 커버(23)의 내측에 고정되며 둘레에는 좌우 등간격으로 다수의 공기 분사노즐이나 다수의 공기 분사홀(244a)이 구비되는 다수의 수평 분기관(24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 분기관(244)은 유입측 커버(22)와 배출측 커버(23)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각각의 수평 분기관(244)은 회전 원통관(2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경사 이송날개(211)와 충돌되지 않도록 경사 이송날개(211)들의 내측 단부에서 이격되게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평 분기관(244)들은 회전 원통관(21)의 하부에 고정 위치되어, 회전 원통관(21) 내부의 하부로만 공기를 공급해 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분 회수 공급수단(3)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취합하여 다시 상기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의 내부로 투입하여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퇴비화되는 유기성 폐기물에 수분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수분 회수 공급수단(3)은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 구비된 배출측 커버(23)나 유입측 커버(22)의 상부에 관통 구비되어 회전 원통관(21)의 내부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둘레에는 좌우 등간격으로 다수의 수분 공급노즐(311)이나 다수의 수분 공급홀이 구비되는 수분 투입관(31)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수분 투입관(31)은 배출측 커버(23)나 유입측 커버(22)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수분 투입관(31)은 회전 원통관(2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경사 이송날개(211)와 충돌되지 않도록 경사 이송날개(211)들의 내측 단부에서 이격되게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분 회수 공급수단(3)은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의 배출측 커버(23)의 하부에 관통 연결되고 취합 수조(321)와 연결되는 수분 회수관(32)과, 상기 취합 수조(321)와 수분 투입관(33)에 연결되고 중간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수분 공급펌프(331)가 구비된 수분 공급관(33)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구동모터(212a), 각각의 상기 공기 공급펌프(242), 수분 공급펌프(331), 및 주 배기관(P)의 개폐밸브(V)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퇴비화 발효장치를 통한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퇴비화 발효장치를 통해 음식물 폐기물과 축산 분뇨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퇴비화시킬 경우에는, 수분이 포함된 유기성 폐기물을 버켓 컨베이어 등의 컨베이어(미도시됨)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높은 위치에 위치된 투입호퍼(221)에 투입한다.
그러면 투입호퍼(221)로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은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의 내부로 유입되어 회전 원통관(21)의 회전에 의해 회전 이동되면서 발효되어 최초로 일부 발효되고, 일부 발효된 유기성 폐기물은 배출관(231)을 통해 바로 하부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2)로 자연 낙하되어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최초로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 연결된 공기 공급수단(24)의 공기 공급펌프(242)가 작동됨에 따라,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의 수평 분기관(244)에서 하부에 취합되어 회전 이동되는 유기성 폐기물에 공기를 직접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발효 효율을 향상시키고 유기성 폐기물읠 부패를 막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최초로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침출수인 수분이 회전 원통관(21)의 하부로 취합되어 수분 회수관(32)으로 유입되어 취합 수조(321)로 취합된다. 따라서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는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키면서 유기성 폐기물에 포함된 일부의 수분도 제거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일부 발효되어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은 하나 이상의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2)에 유입되어 회전 이동에 의해 혼합 발효되면서 재차 발효된 다음, 배출관(231)을 통해 바로 하부의 위치되는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로 자연 낙하되어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나 이상의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재차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2)에 연결된 공기 공급수단(24)의 공기 공급펌프(242)가 작동됨에 따라,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2)의 내부 하부에 구비된 다수의 수평 분기관(244)에서 하부에 취합되어 회전 이동되는 유기성 폐기물에 공기를 직접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발효 효율을 향상시키고 유기성 폐기물의 부패를 막는 것이다.
다음, 하나 이상의 상기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재차 발효되어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은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로 유입되어 회전 이동에 의해 최종적으로 혼합 발효되어 퇴비화 된 다음, 퇴비화 된 유기성 폐기물은 배출관(231)을 통해 외부로 자연 낙하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최종적으로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 연결된 공기 공급수단(24)의 공기 공급펌프(242)가 작동됨에 따라,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의 수평 분기관(244)에서 하부에 취합되어 회전 이동되는 유기성 폐기물에 공기를 직접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발효 효율을 향상시키고 유기성 폐기물읠 부패를 막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최종적으로 퇴비화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최종적으로 발효가 진행되는 유기성 폐기물에 수분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평형 발효조(2)에서 최종적으로 퇴비화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수분 회수 공급수단(3)의 수분 공급펌프(331)를 작동시켜 취합 수조(321)에 취합된 수분을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의 수분 투입관(31)에 공급하여,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발효가 진행되는 유기성 폐기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 배출되는 퇴비화 된 유기성 폐기물에는 적정한 수분이 포함됨으로써 양질의 퇴비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2)에서는 배출되는 퇴비화 된 유기성 폐기물은 별도의 컨베이어를 통해 취합 장소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우 방향으로 눕혀진 수평형 퇴비 발효조를 다단으로 적재 하여 장치의 구성을 단순히 함으로써 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발효조를 수평형으로 구성하여 발효조 내부 둘레에 구비되는 경사 이송날개(211)들이 유기성 폐기물의 하중으로 인하여 부러지는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고장이 거의 없는 퇴비화 발효장치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수직 구조물
2 : 수평형 발효조
21 : 회전 원통관
22 : 유입측 커버
23 : 배출측 커버
24 : 공기 공급수단
3 : 수분 회수 공급수단
31 : 수분 투입관
32 : 수분 회수관
33 : 수분 공급관
P : 주 배기관
V : 개폐밸브

Claims (7)

  1. 수직 구조물의 제일 상부에 구비되고, 수분이 포함된 유기성 폐기물을 유입받아 최초로 일부 발효시키고 하부로 자연 낙하시켜 배출시키는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와;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의 하부인 수직 구조물의 내부에 한 층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에서 자연 낙하되어 배출되는 일부 발효된 유기성 폐기물을 재차 발효시켜 하부로 자연 낙하시켜 배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와;
    상기 수직 구조물의 제일 하층에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중간의 수평형 발효조에서 배출되는 재차 발효된 유기성 폐기물을 최종 발효시켜 퇴비화 시킨 후 퇴비화 된 유기성 폐기물을 자연 낙하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와;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취합하여 다시 상기 제일 하부에 위치된 수평형 발효조의 내부로 공급하는 수분 회수 공급수단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수평형 발효조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양측이 개방되고, 외주연에 구비되는 구동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내주면에는 다수의 경사 이송날개가 돌출 구비되는 회전 원통관과;
    상기 회전 원통관의 유기성 폐기물의 유입측을 막으며 상기 수직 구조물에 고정 구비되고, 상부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호퍼가 연결되거나, 또는 상부에 위치된 타 수평 발효조의 배출관이 연결되는 유입측 커버와;
    상기 회전 원통관의 유기성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측을 막으며 상기 수직 구조물에 고정 구비되고, 하부에는 배출관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주 배기관에 연결되어 냄새를 배기하는 분기 배기관이 구비되는 배출측 커버와;
    상기 회전 원통관의 내부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 원통관의 외부 둘레의 좌우 중간에 구비되는 원형 레일과,
    상기 수직 구조물에 고정되고 회전축에는 상기 원형 레일에 밀착되어 원형 레일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롤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 원통관 외주면의 하부 양측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회전 원통관의 하부 양측의 전,후방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 회전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 커버는 회전 원통관의 유입측을 막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원통관의 유입측의 외측 둘레를 회전이 가능하게 감싸는 둘레판과, 상기 둘레판을 수직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측 커버는 회전 원통관의 배출측을 막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원통관의 배출측의 외측 둘레를 회전이 가능하게 감싸는 둘레판과, 상기 둘레판을 수직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유입측 커버의 하부에 관통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공기 공급펌프에 연결되며 중간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주 공기 공급관과,
    상기 유입측 커버의 내측 하부에 상기 주 공급관과 연결되게 구비되는 반원형 분기관과,
    상기 반원형 분기관의 둘레에서 등간격으로 상기 배출측 커버의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고 돌출 끝단부가 상기 배출측 커버의 내측에 고정되며 둘레에는 좌우 등간격으로 다수의 공기 분사노즐이나 다수의 공기 분사홀이 구비되는 다수의 수평 분기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회수 공급수단은
    하부의 수평형 발효조에 구비된 배출측 커버나 유입측 커버의 상부에 관통 구비되어 회전 원통관의 내부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둘레에는 좌우 등간격으로 다수의 수분 공급노즐이나 다수의 수분 공급홀이 구비되는 수분 투입관과,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의 배출측 커버의 하부에 관통 연결되고 취합 수조와 연결되는 수분 회수관과,
    상기 취합 수조와 수분 투입관에 연결되고 중간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수분 공급펌프가 구비된 수분 공급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수평형 발효조는
    유기성 폐기물의 유입측이 높고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측이 낮게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KR1020170126932A 2017-09-29 2017-09-29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KR102019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32A KR102019453B1 (ko) 2017-09-29 2017-09-29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32A KR102019453B1 (ko) 2017-09-29 2017-09-29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03A true KR20190037503A (ko) 2019-04-08
KR102019453B1 KR102019453B1 (ko) 2019-11-05

Family

ID=6616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932A KR102019453B1 (ko) 2017-09-29 2017-09-29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48B1 (ko) * 2020-04-09 2020-11-16 (유)신진테크 광물을 이용한 항균 및 탈취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099U (ko) * 1996-12-12 1998-09-15 노장영 농축산용 혼합발효기
KR20060054264A (ko) 2006-04-28 2006-05-22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유기성 고형물의 자원화를 위한 다단 적재식 입상형 원통퇴비발효조의 설비구성 및 그 운전 방식.
KR20100008961A (ko) * 2008-07-17 2010-01-27 이지엠테크 주식회사 다단식 음식물 쓰레기 수직 고속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60021624A (ko) * 2014-08-18 2016-02-26 (주)포레코 유기성 폐기물 호기 발효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099U (ko) * 1996-12-12 1998-09-15 노장영 농축산용 혼합발효기
KR20060054264A (ko) 2006-04-28 2006-05-22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유기성 고형물의 자원화를 위한 다단 적재식 입상형 원통퇴비발효조의 설비구성 및 그 운전 방식.
KR20100008961A (ko) * 2008-07-17 2010-01-27 이지엠테크 주식회사 다단식 음식물 쓰레기 수직 고속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60021624A (ko) * 2014-08-18 2016-02-26 (주)포레코 유기성 폐기물 호기 발효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48B1 (ko) * 2020-04-09 2020-11-16 (유)신진테크 광물을 이용한 항균 및 탈취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453B1 (ko)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9127B1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と有機廃棄物の発酵処理方法
CN105060962A (zh) 一种密闭式筒仓堆肥反应器
CN210394374U (zh) 利用卧式推流干式厌氧处理厨余垃圾的装置
CN111620733A (zh) 一种有机肥塔式发酵设备
KR100495377B1 (ko) 수직다단식 퇴비발효장치
CN104072213A (zh) 立式好氧发酵仓
CN112679252A (zh) 一种全自动多层组装的翻板式好氧堆肥装置
CN207806154U (zh)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KR20110016368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90037503A (ko) 발효조의 다단 적층식 퇴비화 발효장치
KR20070047893A (ko) 타워형 무교반 퇴비화 장치 및 그 방법
CN212425907U (zh) 一种有机肥塔式发酵设备
CN208604034U (zh) 一种自动混料弧形加热管厨余垃圾生物降解窑
KR200325164Y1 (ko) 밀폐형 호기성 발효조
CN110499241A (zh) 一种隧道龙骨水车式的厌氧干发酵装置
KR102543944B1 (ko) 혐기성 이중 발효조
US5776768A (en) Cold weather composting apparatus
KR100676867B1 (ko) 탈수 케익 처리 장치
CN214881175U (zh) 一种联动搅拌式有机物分区立式好氧发酵装置
KR200346843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7298594B (zh) 一种厨余垃圾的有氧发酵装置
CN115011440A (zh) 一种可模块化动态好氧发酵装置及方法
CN104446729A (zh) 一种滚筒式好氧堆肥反应器
CN212821700U (zh) 一种低耗能中小型餐厨垃圾发酵设备
CN212681998U (zh) 湿垃圾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