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272A - 장치용 특히 자동차 요소용 조작유닛 - Google Patents

장치용 특히 자동차 요소용 조작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272A
KR20190037272A KR1020197005420A KR20197005420A KR20190037272A KR 20190037272 A KR20190037272 A KR 20190037272A KR 1020197005420 A KR1020197005420 A KR 1020197005420A KR 20197005420 A KR20197005420 A KR 20197005420A KR 20190037272 A KR20190037272 A KR 20190037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actuator
unit
housing
back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518B1 (ko
Inventor
토비아스 슈밥
하리 판크라츠
Original Assignee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37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H01L41/09
    • H01L41/11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60K35/53Movable instruments, e.g. sli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장치용 특히 자동차 요소용 조작유닛은 조작패널(12)을 갖고, 장치에서, 특히 자동차 대시보드나 자동차 중앙콘솔에서 부착되도록 제공되는 하우징(10)을 구비하고, 조작패널(12)은 하우징(10)에 탄성적으로 장착된다. 또한, 조작패널(12)의 사용이 감지되었을 때 조작패널(12)을 기계적으로 여기시키는 엑추에이터(16)가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조작유닛은 또한, 조작패널(12)의 사용이 감지되었을 때 엑추에이터(16)에 의해 기계적으로 여기될 수 있고, 하우징(10) 내 및/또는 하우징 안에 탄성적으로 장착되고, 조작패널(12)을 기계적으로 여기시키는 엑추에이터(16)가 활성화되었을 때 하우징(10)의 동작을 본질적으로 상쇄하도록 움직일 수 있는, 진동 상쇄 매스(20)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유닛(32) 및 이와 분리된 백라이트 유닛(34)을 갖는 백라이트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다. 백라이트 유닛(34)은 진동 상쇄 질량체로서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장치용 특히 자동차 요소용 조작유닛
본 발명은 자동차용 특히 자동차 요소용 조작유닛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힘을 상쇄하여 액티브 피드백에 의해 발생하는 조작유닛의 진동이 상쇄되거나 적어도 감쇠되는 액티브 햅틱 피드백을 갖는 조작유닛에 관한 것이다.
모터 차량의 디스플레이 조립체에는 종종 액티브 햅틱 피드백이 장착된다. 여기서, 무시할 수 없는 질량을 갖는 조작패널에서 피드백을 촉발시킨다고 해서, 차량에 원치않는 힘이 동적으로 전달되어서는 안 되는데, 그 이유는 설치상황에 따라 차량에 기생 노이즈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햅틱 피드백은 차량의 장착부의 탄성과는 대개 무관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액티브 햅틱 피드백이 설치된 장치는 실질적으로 스프링 시스템에 의해 장치 하우징에 탄성적으로 장착된 조작패널(예를 들어 디스플레이)과 조작패널을 편향시키는 엑추에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이러한 장치의 구조에서 작용하는 힘들을 설명하고 있다.
햅틱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는 정지위치로부터 소정의 궤적 x1(t)을 따라 편향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의 가속 a1(t)은 30 m/s 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이동되는 디스플레이의 질량 m1이 0.5 kg보다 크고 하우징의 질량 m2가 좀 덜 나간다고 하는 경우, 무시할 수 없는 동적인 힘이 발생되는 데, 이 힘은 차량의 장치 장착부에 작용한다.
강성의 장치 홀더 또는 장착부(강성의 스프링 시스템 c2, d2)에 의해, 시간적으로 매우 급속히 변하는 힘 때문에, 원치않는 노이즈나 진동이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부드러운 장착부(소프트 스프링 시스템 c2, d2)를 갖는 경우, 자동차의 장치에 대해 설치 공차를 준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나아가, 자유도가 추가되기 때문에, 즉, 하우징의 움직임 x2(t)와 이에 따라 부가적으로 생기는 시스템 내의 공진주파수 때문에, 결국 필요한 엑추에이터 힘의 전개 FAkt(t)를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조작유닛에 대한 내용은 독일특허공보 DE 11 2011 101 553 B4 및 미국특허공보 US 2013/0127767 A1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생 노이즈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과 관련하여 개선된, 액티브 햅틱 피드백을 갖는 조작유닛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치용 조작유닛, 예를 들어 자동차 요소용 조작유닛을 제공하며, 특히, 인간-기계 인터페이스(MMI 또는 HMI)를 제공하며, 조작유닛은 아래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 조작패널을 포함하고, 장치 특히 자동차 대시보드 또는 자동차 중앙콘솔에 부착되도록 제공되는, 하우징,
- 하우징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조작패널,
- 조작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조작패널을 기계적으로 여기시키는 엑추에이터,
- 평형추,
- 평형추는 조작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엑추에이터에 의해 기계적으로 여기될 수 있고, 하우징 내에 및/또는 하우징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및/또는 조작패널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 조작패널이 기계적으로 여기되는 경우, 하우징에 작용하는 힘을 상쇄하도록(즉, 조작패널을 기계적으로 여기시키는 엑추에이터가 작동할 때 하우징의 움직임을 실질적으로 상쇄하도록) 평형추는 이동할 수 있고,
- 조작패널은 하우징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정면부로 구성되고,
- 평형추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성됨.
본 발명의 특징은 백라이트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이며, 특히 광원을 포함하고 반드시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백라이트를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디퓨저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실제 디스플레이 유닛과 분리되어, 둘 다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의 벡터적으로 반대로 향하는 여기 움직임에 의해 진동을 상쇄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이 디퓨저 특성을 갖고 있지 않다면, 디퓨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측에, 백라이트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에, 적절히 특히 고정식으로 놓여진다.
특히, 평형추가 조작패널의 여기 움직임에 대하여 대략 180°만큼 위상변이로 이동할 수 있다면, 평형추의 이동 스트로크는 적어도 조작패널의 질량과 평형추의 질량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선택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벡터적으로 반대로 여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의 움직임 스트로크는, 엑추에어터에 의해 여기될 때, 디스플레이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의 각각의 질량 사이의 관계,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의 질량 중심들의 위치 사이의 관계, 및/또는 하우징에서 디스플레이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의 각각의 탄성 지지부의 스프링 댐퍼 요소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2)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34)의 벡터적으로 반대방향으로의 이동 스트로크 성분 또는 이동 스트로크의 크기에 따라 구성되면 더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둘 다를 움직이도록 공통 엑추에이터가 제공되고, 엑추에이터는 서로 반대쪽에 위치한 두 개의 단부를 갖는 길이가변형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두 개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반대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가변적이며, 디스플레이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의 기계적인 여기를 위해 한 단부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연결되어 작동하고 나머지 단부는 백라이트 유닛과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엑추에이터는 전기기계적으로(electromechanically) 또는 압전성으로(piezo-electrically) 작동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액티브 햅틱 피드백을 갖는 조작유닛에서 발생하는 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카운터 웨이트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쇄 질량으로 사용될 때 발생하는 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조작유닛에서 카운터 힘이 없는 햅틱 피드백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임펄스를 조작자의 표면에 전달하는 기계적인 구조로서, 기계적인 장착부에 결과적으로 생기는 총 임펄스 또는 총 힘이 없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기계적인 구조이지만, 압전 조작 엑추에이터를 갖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조작하는 힘을 검출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도 4의 구조에 대한 개념을 확장시킨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힘 피드백을 갖는 조작유닛에서 질량 상쇄에 대한 개념을 일반적으로 설명하도록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10)에 작용하는 힘을 상쇄하기 위해, 엑추에이터(16)와 하우징(10) 사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스프링-매스 시스템(22) 참고) 이동가능한 카운터 매스(20)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도 1 및 도 2).
부가적으로 스프링-매스 시스템(22, c3, d3, m3)에 대응하는 구조가 제공되는 경우, 이로 인해 발생하여 차량에 작용하는 힘 F2(t)을 제거할 수 있다(노이즈나 진동의 발생과 관련하여 중력이 일으키는 정적인 힘은 중요하지 않다).
임의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의 편향적인 움직임 x1(t)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편향적인 움직임 x2(t)/장치 하우징의 움직임을 제거하고 아울러 장치 장착부에서의 힘 F2(t)도 제거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이로써 카운터 매스(20)의 편향적인 움직임이 발생한다:
Figure pct00002
이러한 조건에서, 장치 장착부(18)의 탄성은 햅틱 피드백에 어떤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카운터 매스(20, m3)는 보통 설치공간에 대한 세부사양에 의해 제한을 받고, 디스플레이 매스(m1) 보다 작다. 이상적으로, 엑추에이터(16)의 한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 주변환경에 힘을 동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질량을 갖는 표면에서 햅틱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고,
- 장치 장착부의 탄성과 상관없이, 조작장치에서 햅틱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에, 카운터힘(counterforce)이 없는 햅틱 피드백을 갖는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설명하고 있는 실시예에서, 엑추에이터(16)는 끌어당기는 자석으로 구성되며, 엑추에이터 코일(코일(26))을 갖는 적층된 고정자 코어와, 디스플레이(10)에 고정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적층된 전기자 코어(전기자(28))를 포함한다. 고정자는 이동가능한 평형추(balancing weight)(20)를 형성한다. 끌어당기는 자석 내의 에어갭을 조정할 때, 평형추(20)와 디스플레이(10)의 서로에 대한 최대 편향 움직임을 고려해야만 한다. 고정자(26)는 하우징(10)에 탄성적으로 지지(스프링-매스 시스템(22))되지만, 또한 조작패널(12)에도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디스플레이와 백라이트 조작요소를 갖는 조작유닛에 있어서 있을 수 있는 기계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 도면에서 사용하는 도면부호가 도 1 내지 도 3에서 사용하는 도면부호와 동일한 한, 구조나 기능이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4에서, 엑추에이터(16)는 작동된 후에 힘을 일으켜서, 엑추에이터에 고정된 두 개의 개별 요소를, 즉,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 유닛(32)과 디스플레이 유닛(32)용 백라이트 유닛(34)을 가속시키고 움직이게 한다. 디스플레이 유닛(32)과 백라이트 유닛(34)의 움직임은 x1 및 x2로 표시하였다. 엑추에이터(16)의 실질적인 특징은, 백라이트 유닛(34)과 디스플레이 유닛(32)을 편향시켜 서로에 대하여 180°만큼 위상-편이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엑추에이터(16)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압전소자, 등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하는 엑추에이터(16)의 배열구조는 실현할 수 있는 한 형태이다. 보통, 엑추에이터(16)의 통합된 구조는, 디스플레이 유닛(32)과 백라이트 유닛(34)의 움직임(x1 및 x2)을 결과적으로 촉발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이는 예를 들어 엑추에이터(16)를 백라이트(34) 밑에 배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압전(piezo) 엑추에이터(16)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엑추에이터(16)는 전압이 인가되면 기계적으로 변형되는 압전 소자(3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32)과 백라이트 유닛(34)은 엑추에이터(16)의 압전소자(35)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유닛(32)은 사용자가 터치하도록 구성된 표면(조작 패널(12))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34)은 사용자가 터치할 수 없고, 디스플레이 유닛(32)의 터치가능한 표면 및 디스플레이 유닛(32) 자체와 분리되어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손가락과 같은 입력수단에서, 예를 들어 순간적인 임펄스(impulse)와 같은 힘을 전달하여 엑추에이터(16)를 여기(excite)시킨 후, 디스플레이 유닛(32)의 피드백 움직임을 느낄 수 있는 것이어서, 햅틱 피드백은 조작유닛과 확실하게 상호작용이 이루어진 후에 얻을 수 있다.
하우징(10) 내에서 총 임펄스와 총 힘이 없는 상태로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것은, 아래의 조건에서 달성된다:
- 디스플레이 유닛(32)이 백라이트 유닛(34)에 대하여 벡터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유닛(32)은 양의 X 방향으로 움직이고 동시에 백라이트 유닛(34)은 음의 X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그리고
- 디스플레이 유닛(32)과 백라이트 유닛(34)이 국부적으로 받는 순간적인 힘(임펄스)들의 총합이 서로 상쇄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32)과 백라이트 유닛(34)을 각각 하우징(10)에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스프링-댐퍼 요소(36, 38)가 구성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러한 접근방법은 아래의 사항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배제하는 것도 아니다:
- 디스플레이 유닛(32)과 백라이트 유닛(34)의 질량의 일치,
- 디스플레이 유닛(32)과 백라이트 유닛(34)의 경로(절대값으로, x1, x3)의 일치,
- 스프링-댐퍼 요소(36, 38)의 일치
구체적으로, 조작요소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 두 개의 선형 편광기, TFT 및 컬러 필터 유리, LC 및 기능적으로 관련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어 결합된 터치 센서와 LCD 디스플레이 유닛(32)의 LCD의 LC 셀을 갖는 커버유리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 광학 디퓨저 레이어, LED 및 관련된 모든 요소를 갖는 LCD의 백라이트 유닛(34)(백라이트).
디스플레이 유닛(32)과 백라이트 유닛(34)이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없는 종래의 LCD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두 요소 사이에서 자유로운 움직임이 제공된다. 두 요소는 백라이트 디스플레이의 기능으로 알고 있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32)과 백라이트 유닛(34)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작아야 하는데, 예를 들어 빛샘(escape of light) 또는 빛의 차단(sealing-off of light)에 의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광학 효과를 발견할 수 없을 정도로 작아야 한다(각각 1mm 보다 작은 움직임). 디스플레이에 먼지 및/또는 물이 들어가는 것은, 탄성을 갖는 베젤(예를 들어 부드러운 고무 라이닝)을 통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적인 베젤에 의하면 백라이트 유닛(34)의 빛샘 문제를 막을 수 있다.
백라이트를 포함해서 디스플레이 요소 전체가 움직이는 디스플레이 요소(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를 위한, 종래의 햅틱 피드백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표면에 결합된 움직이는 매스를 백라이트 유닛(34) 및 이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요소의 무게로 감소시킨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34)은 디스플레이 유닛(32)의 평형추(20)의 역할을 하여, 임펄스의 총합이 없는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기능을 한다. 특히, 전체 임펄스를 제거할 목적으로 추가적으로 카운터 추가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요소들의 질량이 작기 때문에, 동일한 엑추에이터(16)를 사용할 때 사용자에 대한 햅틱 피드백이 더 강해질 수 있고, 또는 동일한 감각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때 엑추에이터(16)를 더 작게 설계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조작패널 디스플레이 유닛(32)으로부터 장치의 주변부에 힘이나 임펄스를 전달하지 않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LCD를 분할함으로써 달성되고, 또한 사용자 조작표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유닛(32)에 대하여 백라이트 유닛(34)(백라이트)이 부가적으로 평형추(20)의 역할을 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유닛(32)과 상호작용할 때 조작하는 힘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한다.
조작하는 힘을 감지하기 위해, 거리센서 시스템(40)은 예를 들어 다수의 쌍으로 된 광학 전송기(42)과 수신기(44)로 이루어져 있고, 센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정전용량방식으로, 저항방식으로(resistively), 유도식으로(inductively) 또는 광학식으로 작동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유닛(32)의 조작패널(12)을 수동으로 조작할 때 디스플레이 유닛(32)과 백라이트 유닛(34)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z)의 변화가 발생하며, 따라서 이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송신기(42)와 수신기(44)를 관측할 수 있는 하나의 시스템 또는 다수의 시스템이 사용된다.
상술한 특정 LCD에 대하여 거리센서 시스템(40)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32)과 백라이트 유닛(34)의 각각의 베젤(플임)에 결합시킬 수 있다.
10 하우징
12 조작 패널
14 하우징에 조작패널(12)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부분
16 엑추에이터
18 차량에 하우징을 결합하는 부분
20 평형추
22 하우징 및/또는 조작패널(12)에 평형추를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부분
24 차량 또는 차량의 대시보드
26 엑추에이터로 구성된 끌어당기는 자석의 고정자
28 끌어당기는 자석을 전기자
30 햅틱 피드백시 움직임에 대한 조작패널 가이드
32 디스플레이 유닛
34 백라이트 유닛
35 압전소자
36 스프링-댐퍼 요소
38 스프링-댐퍼 요소
40 거리센서 시스템
42 거리센서 시스템의 송신기
44 거리센서 시스템의 수신기
m1 조작 패널의 질량
x1(t) 조작패널의 편향
FAk(t) 엑추에이터 힘 진행
F1(t) 여기시 하우징에 작용하는 조작패널의 힘 (F1(t) = FAkt - m1 x a1)
c1 조작패널의 하우징에 대한 탄성적인 결합의 스프링 상수
d1 조작패널의 하우징에 대한 탄성적인 결합의 댐핑
m2 하우징의 질량
x2(t) 기계적으로 여기된 조작패널에 의해 가해지는 힘 때문에 발생하는 하우징의 편향
F2(t) 하우징 장착부에 작용하는 힘
m3 평형추의 질량
x3(t) 평형추의 편향
F3 평형추에 의해 하우징에 작용하는 힘
c3 평형추의 하우징에 대한 탄성적인 결합의 스프링 상수
d3 평형추의 하우징에 대한 탄성적인 결합의 댐핑
z 디스플레이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 사이의 거리

Claims (4)

  1. 장치용, 예를 들어 자동차 부품용 조작유닛, 특히 인간-기계 인터페이스(MMI, HMI)인 조작유닛으로서,
    - 조작패널(12)을 포함하고, 장치 특히 자동차 대시보드 또는 중앙콘솔에 부착되도록 제공되는, 하우징(10),
    - 상기 하우징(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조작패널(12),
    - 상기 조작패널(12)이 조작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조작패널(12)을 기계적으로 여기시키는 엑추에이터(16), 및
    - 평형추(20)를 포함하고,
    - 상기 평형추(20)는 조작패널(12)이 조작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엑추에이터(16)에 의해 기계적으로 여기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 내에 및/또는 상기 하우징(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및/또는 상기 조작패널(1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 상기 조작패널(12)이 기계적으로 여기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0)에 작용하는 힘을 상쇄하도록 상기 평형추(20)는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 상기 조작패널(12)은 하우징(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유닛(32)의 정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평형추(20)는 디스플레이 유닛(32)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16)에 의해 여기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2)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34)의 움직임 스트로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2)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34)의 각각의 질량 사이의 관계,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2)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34)의 질량 중심들의 위치 사이의 관계, 및/또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2)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34)의 각각의 탄성 지지부의 스프링 댐퍼 요소(36, 38),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2)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34)의 벡터적으로 반대방향으로의 이동 스트로크 성분 또는 이동 스트로크의 크기에 따라 구성되거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2)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34) 둘 다를 움직이도록 공통 엑추에이터(16)가 제공되고, 상기 엑추에이터(16)는 서로 반대로 향하는 두 개의 단부를 갖는 길이가변형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반대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변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2)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34)의 기계적인 여기를 위해 한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2)과 연결되어 작동하고 나머지 단부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34)과 연결되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16)는 전기기계적으로(electromechanically) 또는 압전성으로(piezo-electrically)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유닛.
KR1020197005420A 2016-08-09 2017-07-10 장치용 특히 자동차 요소용 조작유닛 KR102366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4697.8A DE102016114697B4 (de) 2016-08-09 2016-08-09 Bedieneinheit für ein Gerät, insbesondere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DE102016114697.8 2016-08-09
PCT/EP2017/067229 WO2018028906A1 (de) 2016-08-09 2017-07-10 Bedieneinheit für ein gerät, insbesondere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272A true KR20190037272A (ko) 2019-04-05
KR102366518B1 KR102366518B1 (ko) 2022-02-23

Family

ID=5932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420A KR102366518B1 (ko) 2016-08-09 2017-07-10 장치용 특히 자동차 요소용 조작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32716B2 (ko)
EP (1) EP3497541B1 (ko)
JP (1) JP7045364B2 (ko)
KR (1) KR102366518B1 (ko)
CN (1) CN109643156B (ko)
DE (1) DE102016114697B4 (ko)
ES (1) ES2863660T3 (ko)
WO (1) WO20180289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675B1 (ko) * 2020-04-20 2021-08-2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용 햅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6974B1 (de) 2017-02-01 2021-03-17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Bedieneinheit für ein gerät, insbesondere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DE102017208238B4 (de) * 2017-05-16 2018-12-13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Bedieneinheit für ein Gerät, insbesondere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DE102018102221B4 (de) * 2018-02-01 2023-07-27 Preh Gmbh Berührempfindliche Eingabevorrichtung
DE102018213603A1 (de) * 2018-08-13 2020-02-13 Audi Ag Bedienvorrichtun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r Bedienvorrichtung
DE102019112461A1 (de) 2019-05-13 2020-11-19 Preh Gmbh Eingabeanordnung mit aktivem haptischem feedback und störschwingungsunterdrückung
US11429155B2 (en) * 2019-10-01 2022-08-30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ncluding dynamic configuration of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multi-functionality
DE102019220095A1 (de) * 2019-12-18 2021-06-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Haptische Bedien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21103823A1 (de) 2021-02-18 2022-08-1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Bedieneingabevorrichtung und Lenkeingabe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6878A1 (en) * 2010-05-04 2011-11-10 Nokia Corporation Vibration mechanism
CN104566121A (zh) * 2015-02-02 2015-04-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8910A (ja) * 1991-06-18 1992-12-21 Koichi Kikuno 液晶ディスプレイ組立体
WO2004040430A1 (ja) * 2002-10-30 2004-05-13 Sony Corporation 入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入力装置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US9110536B2 (en) * 2010-07-05 2015-08-1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DE102013016078A1 (de) * 2013-09-27 2015-04-02 Man Truck & Bus Ag Feder-Dämpfer-System zur Verwendung in Lagern oder als Dämpfer
SE540036C2 (sv) * 2013-10-10 2018-03-06 Bae Systems Bofors Ab Fenutfällningsmekanism och förfarande för fenutfällning
US9396702B2 (en) * 2014-12-23 2016-07-1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Latency tester
CN204877263U (zh) * 2015-06-29 2015-12-16 吴少波 一种安装于旋挖钻机操作仓内的液晶显示器背光源
CN105116961B (zh) * 2015-07-21 2017-03-22 东南大学 一种智能化力反馈手柄及其控制方法
KR102657755B1 (ko) * 2015-09-15 2024-04-16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차량용 조작 유닛
CN105322752B (zh) * 2015-09-24 2018-07-27 歌尔股份有限公司 自适应控制微型马达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6878A1 (en) * 2010-05-04 2011-11-10 Nokia Corporation Vibration mechanism
CN104566121A (zh) * 2015-02-02 2015-04-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675B1 (ko) * 2020-04-20 2021-08-2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용 햅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3156A (zh) 2019-04-16
US20190163280A1 (en) 2019-05-30
JP7045364B2 (ja) 2022-03-31
US10732716B2 (en) 2020-08-04
EP3497541A1 (de) 2019-06-19
DE102016114697A1 (de) 2018-02-15
CN109643156B (zh) 2022-03-18
ES2863660T3 (es) 2021-10-11
JP2019533217A (ja) 2019-11-14
WO2018028906A1 (de) 2018-02-15
KR102366518B1 (ko) 2022-02-23
DE102016114697B4 (de) 2018-03-01
EP3497541B1 (de)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7272A (ko) 장치용 특히 자동차 요소용 조작유닛
KR102371361B1 (ko) 장치용, 특히 차량 요소용 작동 유닛
CN108883703B (zh) 用于设备、特别是用于车辆组件的操作单元
US9690412B2 (en) Touch interface module
CN112119364B (zh) 具有主动触觉反馈和干扰振动抑制的输入装置
US11016571B2 (en) Operator control unit for a device
JP2017536627A (ja) 自動車両用ハプティックフィードバック装置
US9389689B2 (en) Touch screen device
EP3570143B1 (en) Responsive force generator and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including responsive force generator
US20220153137A1 (en) Input assembly with active haptic feedback and backlit display region
US10712825B2 (en) Touch-sensitive input device with improved generation of haptics
KR20190110123A (ko) 장치용, 특히 차량 요소용 조작 유닛
JP2019109673A (ja) 入力装置
WO2020241513A1 (ja) 車両用表示装置
CN110806799A (zh) 用于车辆的操作装置以及车辆
EP4364862A1 (en) Operation element with exciter spring
EP3783457A1 (en) Op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