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985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985A
KR20190036985A KR1020170126540A KR20170126540A KR20190036985A KR 20190036985 A KR20190036985 A KR 20190036985A KR 1020170126540 A KR1020170126540 A KR 1020170126540A KR 20170126540 A KR20170126540 A KR 20170126540A KR 20190036985 A KR20190036985 A KR 20190036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middle cabinet
engaging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159B1 (ko
Inventor
방진영
김일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6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1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01L51/5293
    • H01L27/32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미들 캐비넷, 백 커버를 포함하며, 미들 캐비넷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를 감싸는 제1지지부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서 단부끼리 서로 맞닿아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제2지지부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서로 맞물림 결합되며 인접된 제2지지부와 연결됨으로써, 미들 캐비넷의 단차를 없애 외관 불량을 줄이고, 결합부위의 면돌출 면함몰 등의 단차불량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미들 캐비넷의 들뜸현상 및 이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부 테두리인 베젤의 폭을 축소시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는 미들 캐비넷의 단차를 없애 외관 불량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미들 캐비넷의 연결 결합시 결합부위의 면돌출 면함몰 등의 단차불량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미들 캐비넷의 들뜸현상 및 이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 1 기판(101), 제 1 기판(101)과 마주하는 제 2 기판(102)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2 기판(101, 102)은 서로 이격되어 이의 가장자리부를 씰링부재를 통해 봉지되어 합착되어 OLED패널(110)을 이룬다.
이때, OLED패널(110)의 상부면에는 편광판(140)이 부착되며, OLED패널(110)의 후면이 접착부재(125)로 수평면(121)과 측면(123)으로 이루어지는 백 커버(120)와 결합되며, 백 커버(120)의 측면(123)은 완충부재(130)가 결합되고 이의 외측에 케이스(160)가 OLED패널(110)의 전면 일부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부 테두리인 베젤의 폭(W1)이 넓어서, 베젤리스 타입을 구매하고자 하는 최근의 소비자 요구에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젤리스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고자 케이스(160)를 없애는 경우에도 보더 갭(W2)이 넓어서 보더리스 타입을 원하는 소비자 요구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가 낮아져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부 테두리인 베젤의 폭을 축소시키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부재의 단차불량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 만족을 높여 상품성을 배가시키고 화면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부 테두리인 베젤의 폭을 축소시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는 미들 캐비넷의 단차를 없애 외관 불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 만족을 높여 상품성을 배가시키고 화면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미들 캐비넷의 연결 결합시 결합부위의 면돌출 면함몰 등의 단차불량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미들 캐비넷의 들뜸현상 및 이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미들 캐비넷, 백 커버를 포함하며, 미들 캐비넷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를 감싸는 제1지지부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서 단부끼리 서로 맞닿아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제2지지부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서로 맞물림 결합되며 인접된 제2지지부와 연결됨으로써, 미들 캐비넷의 단차를 없애 외관 불량을 줄이고, 결합부위의 면돌출 면함몰 등의 단차불량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미들 캐비넷의 들뜸현상 및 이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부 테두리인 베젤의 폭을 축소시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는 미들 캐비넷의 단차를 없애 외관 불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 만족을 높여 상품성을 배가시키고 화면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미들 캐비넷의 연결 결합시 결합부위의 면돌출 면함몰 등의 단차불량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미들 캐비넷의 들뜸현상 및 이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후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후면도,
도 8은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후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를 나타내는 후면도, 도 8은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1),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테두리를 따라서 단부끼리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제1지지부(211)와,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안착되도록 제1지지부(211) 각각의 내측면에서 연장되어 단부끼리 서로 결합되는 제2지지부(213)가 구비되되, 서로 결합되는 한쌍의 제2지지부(213a, 213b) 중 어느 한쪽에는 제1결합부(217)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이에 대응되는 제2결합부(215)가 구비되어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미들 캐비넷(210), 미들 캐비넷(210)의 제2지지부(213) 후면에 안착되는 백 커버(203)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외곽부 테두리인 베젤의 폭을 축소시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는 미들 캐비넷(210)의 단차를 없애 외관 불량을 줄이고, 미들 캐비넷(210)의 결합시 결합부위의 면돌출 면함몰 등의 단차불량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미들 캐비넷(210)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지지부(211)와 제2지지부(213)가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를 감싸는 제1지지부(211)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테두리를 따라서 단부끼리 서로 맞닿아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안착되는 제2지지부(213)는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가 서로 맞물림 결합되며 인접된 제2지지부(213)와 연결된다.
즉, 미들 캐비넷(210)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도록 장방형의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며 적어도 한곳에서 결합되어 연결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하측 모서리 부위에서 하측 미들 캐비넷(210a)과 측면 미들 캐비넷(210b)이 서로 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미들 캐비넷(210)은 성형성과 재료비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소정의 강도와 더불어 방열성도 고려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도금강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VDD)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발광 소자(예로서, O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기판은 수분 또는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흡습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기판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유기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부 기판의 발광 소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미들 캐비넷(210)의 제2지지부(213)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안착되는데,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의 경우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상 패널로 빛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구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백라이트 유닛, 구동회로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 등을 하나의 모듈로 조립하기 위한 케이스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회로 유닛은, 데이터 구동회로(소스 구동회로), 게이트 구동회로(스캔 구동회로), 타이밍 컨트롤러, 인쇄회로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는 액정층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부 기판은 시청 화면부에 해당하는 컬러필터 기판이고, 하부 기판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다.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픽셀 어레이에 있는 유기 화합물은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픽셀 열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부재(encapsulation member, 201c)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접합되어 픽셀 어레이를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에 접합되는 봉지부재(201c)는 금속 기판이나 유리 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는 편광판(201a)이 접착된다.
그리고, 픽셀 어레이로부터의 빛이 측면을 통해 방출되어 빛샘을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에는 사이드 씰부재(side seal member, 201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씰부재(201b)는 흑색 안료가 첨가된 경화성 레진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이드 씰부재(201b)가 픽셀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흡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을 통해 방출되는 빛샘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어느 한쪽 단부의 후면에는 IC(미도시)가 실장된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미도시)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패드부와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는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가요성 회로필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미들 캐비넷(210)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테두리를 따라서 배치되는 제1지지부(211)와 제1지지부(211)의 내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2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지지부(211)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테두리를 따라서 배치되는 제1지지부(211)의 단부끼리 서로 맞닿으며 연결되고, 제2지지부(213)는 어느 한쪽의 제1결합부(217)와 다른 한쪽의 제2결합부(215)가 서로 맞물림 결합되며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217)는 어느 한쪽 제2지지부(213a)의 후면에서 함몰된 홈으로 구비되고 제2결합부(215)는 이와 결합되는 다른 한쪽 제2지지부(213b)의 단부 후면에서 제1결합부(217)의 홈 깊이와 대응되는 두께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결합부(217)의 홈에 맞물림 결합된다.
따라서, 제2지지부(213a, 213b)끼리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가 서로 맞물림 결합되면서 제1지지부(211)의 단부끼리는 서로 맞닿아 연결되므로, 제2지지부(213)의 결합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제2지지부(213)의 결합부위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1지지부(211)의 결합부위는 단차없이 연결되어, 제1지지부(211)의 외관 불량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 만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211)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지지부(213)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안착되고 후면에 백 커버(203)가 결합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과 제2지지부(213)의 전면 사이에 결합부재(204)가 구비되고, 제2지지부(213)의 후면과 백 커버(203)의 전면 사이에도 결합부재(206)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제2지지부(213) 및 백 커버(203)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결합된다.
여기서, 결합부재(204, 206)는 접착 패드 또는 양면 테이프 또는 레진 또는 접착제 또는 씰링부재 등 그 어떠한 접착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씰링부재는 점도가 높은 경화성 레진일 수 있고, 여기서 경화성 레진은 아크릴 레진이나, 에폭시 레진, 무발포 우레탄 레진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자연 경화 또는 자외선 경화, 열 경화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217)는 어느 한쪽 제2지지부(213b)의 전면과 후면을 절개한 절개부로 구비되고 제2결합부(215)는 다른 한쪽 제2지지부(213a)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결합부(217)의 절개부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결합되는 제2지지부(213a, 213b)가 동일한 두께로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가 형성되므로 제작이 용이해지고 제2지지부(213) 전체의 강성 변화가 없게 되어 조립이나 운반시 변형이나 파손이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 중 어느 하나에는 제2지지부(213)의 후면을 따라서 연장 돌출된 돌출부(215a, 217a)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돌출부(215a, 217a)가 삽입되는 삽입부(215b, 217b)가 구비되어,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의 결합시 어느 일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215a, 217a)와 삽입부(215b, 217b)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제1결합부(217)에 돌출부(217a)와 삽입부(217b)가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제2결합부(215)에도 이와 대응되는 삽입부(215b)와 돌출부(215a)가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돌출부(215a, 217a)와 삽입부(215b, 217b)는 만곡된 곡면으로 서로 맞물림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서, 조립이나 운반시 부딪침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면서 조립 후 외부의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더라도 결합된 부위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의 맞물림 부위는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렇게 용접으로 고정되면 미들 캐비넷(210) 전체의 결합강성이 증대되어 뒤틀리지 않게 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테두리를 따라서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결합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 만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결합부(215)의 단부 중심부에는 전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된 관통홀(219)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렇게 제2결합부(215)의 단부 중심부에 관통홀(219)이 구비됨으로써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의 맞물림 부위 용접시 열팽창으로 인한 결합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즉,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의 맞물림 부위에 레이저용접을 하게 되면 국부적인 온도 증가로 인해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가 열팽창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2지지부(213) 전체의 전면과 후면이 울퉁불퉁하게 돌출되고 함몰되는 단차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지지부(213)의 단차 불량은 제2지지부(213)의 전면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조립 불량으로 이어지게 되어, 미들 캐비넷(2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들뜸 현상이 발생되고 돌출된 부위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파손도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결합부(215)의 단부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219)이 이러한 열팽창을 흡수함으로써,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의 열팽창으로 인한 단차 불량과, 미들 캐비넷(2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들뜸 현상,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파손 등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2지지부(213)에는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의 맞물림 부위와 연결되도록 절개된 슬릿(216a, 216b)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슬릿(216a, 216b)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213)의 전면과 후면을 절개한 슬릿(216a)으로 형성되거나, 함몰된 홈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217)에 슬릿(216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216a, 216b)은 전술한 관통홀(219)처럼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의 맞물림 부위에서의 용접시 열팽창으로 인한 단차 불량을 방지함과 더불어, 미들 캐비넷(210)의 도장시 도료의 배수 기능을 담당하여 도료의 뭉침을 방지하게 된다.
즉, 미들 캐비넷(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도금강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장 공정없이 미들 캐비넷(210) 재질 고유의 색으로 최종 조립될 수도 있지만 소비자의 외관 만족을 위해 별도의 도장 공정을 통해 다양한 색으로 도장될 수 있다.
이렇게 별도의 도장 공정을 거치는 경우, 도료가 충진된 수조에 미들 캐비넷(210)을 담구었다가 인출하거나 미들 캐비넷(210)에 도료를 직접 분사하여 도장을 하게 되는데, 도료의 건조 과정에서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의 맞물림 부위에 도료가 뭉친 상태로 굳는 것을 슬릿(216a, 216b)이 방지하게 된다.
즉, 도료의 건조 과정에서 도료가 굳기 시작하면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거칠고 빈 공간이 있는 부위인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의 맞물림 부위에 도료가 뭉치면서 굳게 되고, 이로 인해 전술한 것처럼 제2지지부(213)의 단차 불량과 함께 미들 캐비넷(210)과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들뜸 현상, 돌출된 부위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파손도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도료의 건조 과정에서, 제1결합부(217)와 제2결합부(215)의 맞물림 부위와 연결되도록 절개된 슬릿(216a, 216b)을 통해 여분의 도료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도료가 뭉친 상태로 굳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슬릿(216a, 216b)의 끝단은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하중 전달시 미들 캐비넷(210)이 비틀리면서 슬릿(216a, 216b) 끝단에서의 크랙 전파를 방지하거나, 슬릿(216a, 216b)의 끝단에 슬릿(216a, 216b)의 폭보다 확장된 확장부가 구비되어 더 이상의 크랙 전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면에서는 일례로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며 이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모듈이, 광원모듈, 광원모듈에서 방사된 광을 가공하여 액정패널에 적절한 광을 제공하는 도광판, 광조절부재 및 광반사체 등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광원모듈은 전기 에너지를 광 에너지로 전환하는 부품이며,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어셈블리, 냉음극 형광관(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열음극 형광관(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등이 이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주지의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부 테두리인 베젤의 폭을 축소시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는 미들 캐비넷의 단차를 없애 외관 불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 만족을 높여 상품성을 배가시키고 화면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미들 캐비넷의 연결 결합시 결합부위의 면돌출 면함몰 등의 단차불량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미들 캐비넷의 들뜸현상 및 이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디스플레이 패널 203: 백 커버
210: 미들 캐비넷 211: 제1지지부
213: 제2지지부 215: 제2결합부
217: 제1결합부 215a, 217a:돌출부
215b, 217b: 삽입부 216a, 216b: 슬릿
219: 관통홀

Claims (1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서 단부끼리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제1지지부와,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 각각의 내측면에서 연장되어 단부끼리 서로 결합되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되, 서로 결합되는 한쌍의 제2지지부 중 어느 한쪽에는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이에 대응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되어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미들 캐비넷;
    상기 미들 캐비넷의 제2지지부 후면에 안착되는 백 커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후면에서 함몰된 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단부 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홈에 맞물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전면과 후면을 절개한 절개부로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절개부에 맞물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지지부의 후면을 따라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삽입부는 만곡된 곡면으로 구비되어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맞물림 부위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의 단부 중심부에는 전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된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에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맞물림 부위와 연결되도록 절개된 슬릿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끝단은 만곡된 곡면으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끝단에는 상기 슬릿의 폭보다 확장된 확장부가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26540A 2017-09-28 2017-09-28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8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540A KR102388159B1 (ko) 2017-09-28 2017-09-28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540A KR102388159B1 (ko) 2017-09-28 2017-09-2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985A true KR20190036985A (ko) 2019-04-05
KR102388159B1 KR102388159B1 (ko) 2022-04-19

Family

ID=6610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540A KR102388159B1 (ko) 2017-09-28 2017-09-2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1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252U (ja) * 1996-08-30 1997-03-11 産協株式会社 カバーパネルの結合構造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ケース
KR101615301B1 (ko) * 2014-12-22 2016-05-11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디스플레이패널 박막 증착용 지그마스크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7375A (ko) * 2015-08-06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9001A (ko) * 2015-12-29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252B2 (ja) * 1997-07-22 2000-04-24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引き出し回転型クレモン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252U (ja) * 1996-08-30 1997-03-11 産協株式会社 カバーパネルの結合構造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ケース
KR101615301B1 (ko) * 2014-12-22 2016-05-11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디스플레이패널 박막 증착용 지그마스크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7375A (ko) * 2015-08-06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9001A (ko) * 2015-12-29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159B1 (ko)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40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90023919A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77005B1 (ko) 탑 샤시,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20190066682A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US9606287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5793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169260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その形成方法
US9736950B2 (en) Display device
JP2016194670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601410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73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19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72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42313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1045192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84534A (ko) 액정표시장치
JP2008129474A (ja) 表示装置
KR10202393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900369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79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497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12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755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84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243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