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932A - 조립식 l2 스위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l2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932A
KR20190036932A KR1020170126424A KR20170126424A KR20190036932A KR 20190036932 A KR20190036932 A KR 20190036932A KR 1020170126424 A KR1020170126424 A KR 1020170126424A KR 20170126424 A KR20170126424 A KR 20170126424A KR 20190036932 A KR20190036932 A KR 20190036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ub
subscriber
mac address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356B1 (ko
Inventor
조동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12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3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40Constructional details, e.g. power supply, mechanical construction or back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04L49/3009Header conversion, routing tables or routing ta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6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storage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가입자 포트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스위치; 상기 복수의 가입자 포트들과 관련된 MAC 주소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MAC 주소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서브 스위치의 가입자 포트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메인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스위치와 상기 서브 스위치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L2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의 수요에 따라 유동적으로 스위치를 탈/부착하여 필요한 포트 개수에 따라 효율적으로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L2 스위치{ASSEMBLY L2 SWITCH}
본 발명은 조립식 L2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스위치와 하나 이상의 서브 스위치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현한 L2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OSI 7 Layer(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는 표준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 기본 모델로써 통신망을 통한 상호접속에 필요한 제반 통신절차를 정의하고 이 가운데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을 동일계층으로 분할하여 모두 7계층으로 분할한 것이다.
본 발명은 OSI 7 Layer 중에서 2 Layer(이하, "L2"라고 한다)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L2 스위치들은 8포트, 16포트 또는 24포트 단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24포트 이하의 장비가 설치된 상태에서 고객 수요 또는 필요에 의해 요구되는 포트 수가 늘어나면, 장비를 구매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통신사업자의 경우 고객의 수요에 따라 스위치를 적절하게 배치 및 활용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 포트 개수에 맞추어 스위치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잦다. 고객 수요에 따라 적재적소의 스위치 배치가 필요할 때 스위치 교체 대신 조립식 스위치를 활용하여 기본 스위치에 추가 스위치를 탈, 부착함으로써, 탄력적으로 장비를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포트 개수를 탄력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L2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가입자 포트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스위치; 상기 복수의 가입자 포트들과 관련된 MAC 주소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MAC 주소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서브 스위치의 가입자 포트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메인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스위치와 상기 서브 스위치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L2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의 수요에 따라 유동적으로 스위치를 조립하여 적재 적소에 효율적으로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의 수요에 따라 유동적으로 스위치를 조립하여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L2 스위치의 일반적인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L2 스위치 중 main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조립식 L2 스위치 중 sub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ain 스위치와 sub 스위치가 결합된 형태인 16포트 조립식 L2 스위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ain 스위치와 2개의 sub 스위치가 결합된 형태인 24포트 조립식 L2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8포트 조립식 L2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16포트 조립식 L2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24포트 조립식 L2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OSI 7 Layer(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는 표준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 기본 모델로써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을 동일계층으로 분할하여 모두 7계층으로 분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OSI 7 Layer 중에서 2 Layer(이하, "L2"라고 한다)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L2 스위치는 패킷의 MAC 주소를 읽어 스위칭을 하고, MAC이 OSI 7 Layer 중 2 Layer에 해당하기 때문에 L2스위치라 한다.
도 1은 종래 L2 스위치의 일반적인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다.
L2 스위치는 8포트(110), 16포트(120), 24포트(130) 등 다양한 포트 개수를 가지는 스위치로 제작되어 보급되고 있다.
각각의 스위치는 고정된 포트 개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비 설치 후 요구되는 포트 개수가 늘어나면, 장비를 추가 구매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요구되는 포트 개수가 줄어들면, 사용하지 않는 포트에 의한 전력 소비 및 비용의 낭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의 L2 스위치는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로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main 스위치(200)는 독립적인 하나의 L2 스위치로 동작할 수 있으나, sub 스위치(300)는 독립하여 L2 스위치로 동작할 수는 없고, main 스위치(200)와 결합된 형태로서 하나의 스위치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L2 스위치 중 main 스위치(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main 스위치(200) 전면부에는 업링크 포트(220) 및 8개의 가입자 포트(210)가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업링크 포트(220)는 상위 장비와의 연결을 위해 쓰이는 포트로서, 업링크 포트의 연결로 스위치에 연결된 각 가입자끼리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의 가입자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상위 장비는 Layer 3 계층의 라우터 또는 스위치일 수 있다. 그리고, 업링크 포트는 스위치에 구성된 포트 중 특정 포트에 배정되어 있을 수 있고, 별도의 포트일 수도 있다.
가입자 포트(210)는 가입자 간 데이터 링크를 위한 포트로서, 각 포트에 연결된 가입자를 동일한 네트워크 내의 가입자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상의 가입자와도 데이터 패킷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신을 연결해주는 포트이다. main 스위치(200)에는 8개의 가입자 포트(21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입자 포트(210) 및 상기 업링크 포트(220)는 main 스위치(200) 내에 존재하는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포트(210)에 연결된 각 가입자의 MAC주소는 제어부에 의하여 메모리에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고, 각 포트의 MAC 주소는 제어부에 의해 수시로 업데이트되어 수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어부(600)에 의하여 가입자 간의 1:1 데이터 패킷 송수신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main 스위치(200) 후면부에는 전원 공급부(230) 및 연결 포트(250)가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원 공급부(230)는 main 스위치(200) 및 sub 스위치(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main 스위치(200)에만 존재하고 sub 스위치(300)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main 스위치(200)에 sub 스위치(3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하면, 전원은 main 스위치(200)에만 공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main 스위치(200)에 sub 스위치(300)가 결합된 경우에는, main 스위치(200)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sub 스위치(300)에 전원이 간접적으로 공급되어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가 하나의 스위치처럼 동작할 수 있다.
연결 포트(250)는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를 연결해주는 포트로서, 양 스위치를 하드웨어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2개의 스위치가 하나의 스위치처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main 스위치(200)에는 연결 포트(25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조립식 L2 스위치 중 sub 스위치(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sub 스위치(300) 전면부에는 가입자 포트(310)가 존재할 수 있다. sub 스위치(300)에 존재하는 가입자 포트(310)는 상기 main 스위치(200)에 존재하는 가입자 포트(21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main 스위치(200)와 달리 sub 스위치(300)에는 업링크 포트(220)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sub 스위치(300)는 main 스위치(200)와 결합한 경우에만 스위치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종속적인 스위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main 스위치(200)에 업링크 포트(220)가 있는 경우에는 sub 스위치(300)에 별도의 업링크 포트(220)가 불필요할 수 있다.
sub 스위치(300) 후면부에는 연결 포트(350)가 존재할 수 있다. sub 스위치(300) 후면부의 연결 포트(350)는 상기 main 스위치(200) 후면의 연결 포트(250)와 함께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를 하드웨어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포트로써, sub 스위치(300)는 main 스위치(200)에 연결된 상태로만 스위치로 동작하기 때문에, sub 스위치(300)에는 main 스위치(200)와 하드웨어적으로 연결 가능한 1개의 연결 포트(350)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main 스위치(200)와 달리 sub 스위치(300) 후면부에는 전원 공급부(230)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sub 스위치(300)는 main 스위치(200)와 결합한 경우에만 스위치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종속적인 스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sub 스위치(300)에 독립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sub 스위치(300)가 main 스위치(200)와 결합한 경우에는 하나의 스위치와 같이 동작하기 때문에, main 스위치(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sub 스위치(300)도 함께 구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가 결합된 형태인 조립식 L2 스위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a)에서, main 스위치(200)는 sub 스위치(300)와 결합한 상태에서 sub 스위치(300)를 제어하며,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는 결합에 의하여 독립된 2개의 스위치가 아닌 도 1의 16포트 L2 스위치(120)와 같이 기능적으로 하나의 스위치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 (b)를 참고하면,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는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양 스위치는 양 스위치가 결합하는 측면의 윗면과 아랫면에 별도의 고정판(410)을 덧대어 고정판(410) 및 스위치(200, 300)가 함께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측면에 자체적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인 함몰부 및 돌출부를 가지도록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에서 나사가 삽입되는 부분이나 함몰부를 형성하는 부분의 경우 외부 공기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고무재질 등의 마개로 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 (c)에서,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는 하드웨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데, main 스위치(200)의 연결 포트(250)와 sub 스위치(300)의 연결 포트(350)를 연결 케이블(400)로 연결하게 되면 두 스위치는 하드웨어적으로 하나의 스위치처럼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도 7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ain 스위치(200)와 2개의 sub 스위치(300)가 결합된 형태인 조립식 L2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main 스위치(200)는 2개 이상의 sub 스위치(300)와 결합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main 스위치(200)와 2개의 sub 스위치(300)가 결합하여 상기 도1의 24포트 L2 스위치(130)와 같이, 24개의 포트를 가진 하나의 스위치처럼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는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 스위치는 양 스위치가 결합하는 측면의 윗면과 아랫면에 별도의 고정판(410)을 덧대어 고정판(410) 및 스위치(200, 300)가 함께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도 4 (b)를 참고), 또는, 측면에 자체적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인 함몰부 및 돌출부를 가지도록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에서 나사가 삽입되는 부분이나 함몰부를 형성하는 부분의 경우 외부 공기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고무재질 등의 마개로 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들은 하드웨어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 있는데, main 스위치(200)의 연결 포트(250a, 250b)와 제1 sub 스위치(300)의 제1 연결 포트(350a) 및 제2 sub 스위치(300)의 제2 연결 포트(350b)가 각각 연결 케이블(400a, 400b)로 연결되어 하드웨어적으로 하나의 스위치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3개의 스위치는 상기와 같은 결합에 의하여 기능적으로 24포트를 가지는 하나의 스위치처럼 동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L2 스위치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고, 이하, 조립식 L2 스위치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8포트 조립식 L2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main 스위치(200)는 제어부(600), 메모리(610), 1개의 업링크 입출력부(620) 및 8개의 사용자 포트를 가지고 있는 제1 가입자 입출력부(6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1개의 업링크 입출력부(620), 복수의 사용자 포트를 가지고 있는 가입자 입출력부(630) 및 각 가입자 포트의 MAC 주소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제1 가입자 입출력부(630)에 연결된 가입자 장비로부터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가입자의 MAC 주소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고, 기 설정된 Aging Time이 있어 이 시간 동안 가입자의 데이터 패킷 송수신이 없으면 메모리에 저장된 가입자의 MAC 주소를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패킷 송수신이 일어날 때 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메모리(310)에 저장된 가입자의 MAC 주소를 갱신할 수 있다. 또, main 스위치(200)는 업링크 입출력부(620)를 통하여 상위 계층 라우터 또는 스위치와 연결될 수 있는데, 제어부(600)는 외부 네트워크의 가입자와의 main 스위치(200)의 가입자 입출력부(630)에 연결된 가입자와 MAC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업링크 입출력부(620)를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MAC 주소가 메모리에 저장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모든 가입자 포트로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복사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610)는 MAC 주소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어, main 스위치(200)의 가입자 포트에 연결된 가입자의 MAC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각 가입자는 고유의 MAC 주소를 가지고 있기에, 상기 메모리(610)에 저장된 MAC 주소를 이용하여 가입자 간 데이터 패킷 송수신이 가능하다.
업링크 입출력부(620)는 main 스위치(200)를 상위 L3 라우터 또는 L3 스위치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일단 상기 main 스위치(200)의 가입자 포트(210)로부터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제어부(600)는 업링크 입출력부(620)를 통해 상위 L3 라우터 또는 L3 스위치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업링크 입출력부(620)를 통하여 L2 스위치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은 상기 제어부(600)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MAC 주소와 동일한 MAC 주소를 가진 가입자 포트로 송신될 수 있다.
제1 가입자 입출력부(630)는 복수의 가입자 포트(210)를 제공할 수 있고,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입자 입출력부(630)에 연결된 가입자 포트(210)로부터 가입자가 송신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패킷은 제어부(600)로 송신되어, 업링크 포트(220)를 통하여 상위 계층 장비로 송신될 수 있다. 상위 계층 장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은 제어부(600)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MAC 주소와 동일한 MAC 주소를 가진 가입자 포트로 송신되어 해당 가입자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main 스위치(200)는 독립적으로 8포트 L2 스위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16포트 조립식 L2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4의 조립식 L2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가 결합된 구조이다.
main 스위치(200)에 포함된 제어부(600), 메모리(610), 업링크 입출력부(620), 제1 가입자 입출력부(630) 및 sub 스위치(300)에 포함된 제2 가입자 입출력부(700)가 하나의 스위치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메모리(610), 업링크 입출력부(620), 제1 가입자 입출력부(630) 및 제2 가입자 입출력부(700)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입자 입출력부(630) 및 제2 가입자 입출력부(700)에 연결된 가입자 포트는 16개의 독립된 가입자 포트(210, 310)로써 각각의 MAC 주소가 제어부(600)에 의해 메모리(610)의 MAC 주소 테이블에 저장, 갱신 될 수 있다.
두 스위치(200, 300)가 상기와 같이 동작할 수 있는 것은, 도 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케이블(400) 및 연결 포트들(250a, 350)에 의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스위치(200, 300)는 기능적으로 하나의 스위치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 스위치(200, 300)의 하드웨어적 결합은 도 7 에서도 연결 케이블(400)로 도시되어 있다.
sub 스위치(300)가 연결 케이블(400)에 의하여 main 스위치(200)에 결합되면 sub 스위치(300)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방식으로 main 스위치(200)의 가입자 포트 중 하나로 인식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main 스위치(200)에 sub 스위치(300)가 결합되어 sub 스위치(300)의 가입자 포트(310)에 연결된 가입자 장치에서 가입자 MAC 주소를 포함한 신호가 수신되면, main 스위치(200)의 제어부(600)가 sub 스위치(300)의 제2 입출력부(700)에 연결된 가입자의 MAC 주소를 해당 가입자 포트에 대응시켜 메모리(610)의 MAC 주소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그 후의 스위치의 동작은 제어부(600)에 의해 16개의 가입자 포트가 갱신, 제어되면서 16개의 가입자 포트를 가진 하나의 스위치(120)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7의 스위치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main 스위치(200)에 sub 스위치(300)가 결합되면, sub 스위치(300)의 가입자 포트(310)에 연결된 가입자 장치로부터 MAC 주소를 포함한 신호가 수신되고, main 스위치(200)의 제어부(600)가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가입자의 MAC 주소를 메모리(610)의 MAC 주소 테이블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1 또는 제2 가입자 입출력부(630, 700)에 연결된 어느 하나의 가입자 포트에서 데이터 패킷이 송신되면, 제어부(600)는 상기 데이터 패킷 내에 포함된 소스 MAC 주소를 메모리(610)의 MAC 주소 테이블에 가입자 포트에 대응하여 입력 또는 갱신한 후,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위 계층 장비인 L3 라우터 또는 L3 스위치로 송신하여 목적지 MAC 주소를 가진 가입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업링크 포트(220)를 통하여 외부 가입자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제어부(600)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MAC 주소를 확인하여 메모리(610)의 MAC 주소 테이블에 저장되어있는지 판단한 후, 상기 MAC 주소가 메모리(610)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대응되는 가입자 포트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고, 상기 MAC 주소가 메모리(61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가입자 포트(210, 310)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24포트 조립식 L2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main 스위치(200)에는 2이상의 sub 스위치(300)가 결합할 수 있는데, 도 8에는 1개의 main 스위치(200)에 2개의 sub 스위치(300)가 결합한 형태의 스위치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ub 스위치(300) 및 제2 sub 스위치(300)는 제1 연결 케이블(400a) 및 제2 연결 케이블(400b)에 의해서 main 스위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3개의 스위치는 하나의 24포트 L2 스위치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도 8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main 스위치(200)와 두 개의 sub 스위치(300a, 300b)는 2개의 연결 케이블(400a, 400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sub 스위치(300)는 main 스위치(200)에 연결되면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sub 스위치(300a) 및 제2 sub 스위치(300b)가 main 스위치(200)에 연결되면, main 스위치(200)의 제어부(600)가 제1 sub 스위치(300a)의 제2 입출력부(700) 및 제2 sub 스위치(300b)의 제3 입출력부(800)를 인지하고 두 sub 스위치(300a, 300b)의 가입자 포트(310a, 310b)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소스 MAC 주소를 확인하여 메모리(6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 이후 3개의 스위치(200, 300a, 300b)는 1개의 24포트 L2 스위치(130)과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동작할 수 있기에, 기능적으로 하나의 24포트 L2 스위치로 동작할 수 있다. 자세한 동작은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를 별개로 운영하게 되면, 가입자 포트의 개수 증감에 따라서 L2 스위치를 교체하지 않고, main 스위치(200)에 sub 스위치(300)를 필요에 따라 결합, 분리하는 방법으로 스위치를 탄력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종래에는 L2 스위치 가입자 증감에 따라 스위치 전체를 교체할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main 스위치(200)에 main 스위치(200)에 비하여 상당히 저렴한 sub 스위치(300)를 단순히 결합, 분리하는 방법으로 저렴하게 스위치의 가입자 포트 수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교체 공사의 난이도가 현저하게 줄어들고, 교체 시간도 아낄 수 있어 노력, 시간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위치를 구성하면, main 스위치(200)만 사용할 경우 8포트 최대 출력은 약 10~13 W이고, main 스위치(200)에 sub 스위치(300)를 결합하여 16포트로 사용할 경우 최대 출력은 약 20~26 W이며, main 스위치(200)에 2개의 sub 스위치(300)를 결합하여 24포트로 사용할 경우 최대 출력은 약 40 W이므로, 전력소모 측면에서 유동적으로 스위치를 결합,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 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main 스위치(200)와 sub 스위치(300)는 각각 8포트의 가입자 포트(210, 310)를 가지는데, 이는 일 예시일 뿐, 당업자의 기술적 수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개수의 가입자 포트(210, 310)를 가지도록 설계 변경 할 수 있다. 그리고, main 스위치(200)에 결합하는 sub 스위치(300)의 개수 역시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의 기술적 수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2개를 초과하도록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00: main 스위치 210: 가입자 포트
220: 업링크 포트 230: 전원 공급부
250: 연결 포트 300: sub 스위치
310: 가입자 포트 350: 연결 포트
400: 연결 케이블 600: 제어부

Claims (5)

  1. 복수의 가입자 포트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스위치;
    상기 복수의 가입자 포트들과 관련된 MAC 주소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MAC 주소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서브 스위치의 가입자 포트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메인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스위치와 상기 서브 스위치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L2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스위치의 가입자 포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신호를 상위 계층 장비와 연결된 업링크 포트로 송신하고,
    상기 업링크 포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MAC 주소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MAC 주소 테이블과 비교하여 동일한 MAC 주소가 있는 경우, 동일한 MAC 주소를 가진 가입자 포트로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MAC 주소 테이블에 상기 수신된 MAC 주소와 동일한 MAC 주소가 없는 경우, 상기 메인 스위치 및 상기 서브 스위치에 포함된 모든 가입자 포트로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L2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위치만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L2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위치와 상기 서브 스위치를 탈/부착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L2 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위치는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서브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스위치는 상기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 포트를 포함하는 조립식 L2 스위치.
KR1020170126424A 2017-09-28 2017-09-28 조립식 l2 스위치 KR102431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24A KR102431356B1 (ko) 2017-09-28 2017-09-28 조립식 l2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24A KR102431356B1 (ko) 2017-09-28 2017-09-28 조립식 l2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932A true KR20190036932A (ko) 2019-04-05
KR102431356B1 KR102431356B1 (ko) 2022-08-11

Family

ID=6610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424A KR102431356B1 (ko) 2017-09-28 2017-09-28 조립식 l2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3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172A (ko) * 2010-11-26 2012-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접속장치, l2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핸드오버 지원방법
JP2013143613A (ja) * 2012-01-10 2013-07-22 Azbil Corp モジュール型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172A (ko) * 2010-11-26 2012-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접속장치, l2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핸드오버 지원방법
JP2013143613A (ja) * 2012-01-10 2013-07-22 Azbil Corp モジュール型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356B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6924B2 (en) Reconfigurable data communications system with a removable optical backplane connector
CN102088411B (zh) 集成交换机
US7567564B2 (en) Optical access network apparatus and data signal sending method therefor
EP1708379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backup function for several series devices and method for carrying out the function of switching
US20140156906A1 (en) Virtual Trunking Over Physical Links
US88375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bonding engines in network communications
CN110214435B (zh) 通信网络
KR20060042394A (ko) 가입자 유닛 용장 시스템 및 가입자 유닛 용장 방법
CN101163038B (zh) 一种以太网设备链路保护的方法
AU2001266970A1 (en) Resilient chassis-based network switching
US20060056315A1 (en) Remote configuration interface
KR20190036932A (ko) 조립식 l2 스위치
US20030067870A1 (en) Selector in switching matrix, line redundant method, and line redundant system
KR102585840B1 (ko) 능동형 패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
US989401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6628648B1 (en) Multi-interface point-to-point switching system (MIPPSS) with hot swappable boards
KR101051713B1 (ko) 랜포트 이중화 장치 및 이중화 방법
US20100042854A1 (en) Inline power control
KR20190124501A (ko) 교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20020040387A (ko) 이더넷 스위칭 장치를 이용한 아이피씨 메시지 교환장치및 방법
JP7375671B2 (ja) 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プラガブルonu、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の保守方法およびループバック試験方法
US8427937B1 (en) Bridging for SONET/SDH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US20100272113A1 (en) Switching unit and method for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699873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igh density connections for a network device
CN108572351A (zh) 一种用于雷达系统的通信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