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660A -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660A
KR20190036660A KR1020170125818A KR20170125818A KR20190036660A KR 20190036660 A KR20190036660 A KR 20190036660A KR 1020170125818 A KR1020170125818 A KR 1020170125818A KR 20170125818 A KR20170125818 A KR 20170125818A KR 20190036660 A KR20190036660 A KR 20190036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ndow
building
view
l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훈
김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롬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롬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롬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70125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6660A/ko
Publication of KR2019003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은 대상 건물의 위치정보, 도면정보, 호수정보, 층고정보 및 층수정보를 포함하는 건물정보와 수치표고모델, 수목 및 인접 구조물의 배치 내지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지형공간정보 및 항공뷰정보가 저장된 DB부; 상기 항공뷰정보에 상기 지형공간정보를 중첩시켜 배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건물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3차원 공간 모델을 생성하는 공간모델생성부; 상기 3차원 공간 모델과 상기 배경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생성하는 렌더링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건물정보가 포함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선별하고 선별된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 시스템{SYSTEM FOR FORECASTING AND ANALYZING VIEW WITH USER ORIENTATION BASED ON 3D SPATIAL MODEL}
본 발명은 조망에 대한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위성 데이터 또는 지형공간정보 등과 같은 3차원 공간 모델의 로데이터(raw date)를 활용하여 건물의 층이나 호수에 대응되는 조망정보를 렌더링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거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주거 공간의 내부 구조 등과 같은 인테리어 환경은 물론, 주거 공간 내부에서 바라보는 외부 조망 또한, 쾌적하고 안락한 주거 환경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이미 완공되어 있거나 완공될 예정인 건물 에 대한 조망 환경을 3D 환경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이 종래 기술들은 사용자가 직접 대상 건물에 찾아가지 않더라도 대상 건물의 주변 조망 환경 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일정 수준의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그래픽 전문가 또는 설계 전문가가 직접 3D 그래픽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조망 환경을 생성하는 인적 방법에 의존하므로 조망 환경 생성 과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은 이미 정형화되고 고정된 이미지 형식의 데이터만이 제공될 뿐, 사용자 또는 유저가 선택하는 다양한 환경에 최적화되도록 동적 환경으로 조망 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 내지 데이터가 제공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위성사진정보, 지형공간정보 및 도면정보 등과 같이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물과 해당 건물의 외부 조망에 대한 정보 내지 데이터를 3차원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동적 환경으로 구현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은 대상 건물의 위치정보, 도면정보, 호수정보, 층고정보 및 층수정보를 포함하는 건물정보와 수치표고모델, 수목 및 인접 구조물의 배치 내지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지형공간정보 및 항공뷰정보가 저장된 DB부; 상기 항공뷰정보에 상기 지형공간정보를 중첩시켜 배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건물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3차원 공간 모델을 생성하는 공간모델생성부; 상기 3차원 공간 모델과 상기 배경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생성하는 렌더링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건물정보가 포함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선별하고 선별된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건물정보에 포함된 층고정보 및 층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건물의 조망 정보를 층수별로 분할한 층수별 조망정보 및 상기 층수별 조망정보를 호수별로 분할한 호수별 조망정보를 생성하고, 본 발명의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선택정보에 층수정보 또는 호수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대상 건물의 층수별 조망정보 또는 호수별 조망정보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건물정보에 포함되는 도면정보는 상기 대상 건물의 각 호수별 창문방향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각 호수별 창문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수별 조망정보를 각 창문 방향별로 분할한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하고, 본 발명의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선택정보에 조망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조망 방향에 해당하는 원도우 조망정보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면정보는 상기 대상 건물의 각 호수별 창문위치정보 및 창문크기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각 호수별 창문위치정보 및 창문크기정보를 이용하여 조망 영역과 크기를 가공한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은 상기 건물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실내공간정보를 생성하는 공간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실내공간정보와 상기 윈도우 조망정보를 결합한 모델링 조망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복수 개의 건물정보가 포함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대상 건물의 조망 정보가 동일 화면으로 함께 표출되도록 상기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대상 건물의 조망 정보가 동시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더링부는 상기 대상 건물 내 해당 호수의 평면 도면을 기준으로 한 중심부 위치정보인 센터위치정보와 상기 호수별 창문위치정보 사이의 이격거리정보 및 상기 센터위치정보와 상기 호수별 창문이 이루는 각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격거리정보와 각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윈도우 조망정보가 상기 이격거리와 각도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되도록 렌더링된 데이터 객체로 상기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사용자로부터 조망 거리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렌더링된 데이터 객체로 전송된 윈도우 조망정보를 상기 입력된 선택신호에 대응되도록 프로세싱한 후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은 도면정보, 지형공간정보 및 위성정보 등과 같이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건물의 조망정보를 생성하므로 생성된 조망정보 자체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은 시스템 내부 구성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내부 구성들 각각의 데이터 처리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조망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므로 조망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싱에 대한 시간 및 비용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해당 건물 또는 해당 건물의 특정 호수를 통하여 확보되는 뷰(View)에 대한 조망 정보 내지 데이터를 3차원 공간 모델을 기반으로 다양한 파라미터마다 동적으로 변화되는 객체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needs)에 최적화되는 맞춤형 조망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다양한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조망정보를 더욱 실감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조망정보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조망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 환경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조망정보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이하 “예측분석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대상 건물은 물론, 대상 건물의 주변 경관(조망)에 대한 데이터를 3차원 공간 모델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공간 모델 데이터를 가공하는 프로세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이 구현된 서버에 온라인 등을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다양한 포맷과 뷰 환경(view condition)에 따른 조망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은 온라인 접속 등이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다양한 조망 정보 내지 조망 데이터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측의 단말은 그 단말의 명칭이나 장치 또는 디바이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은 실시형태에 따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서버(1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GIS서버(10)에는 지형의 높낮이를 수치로 표현하는 수치 모형인 수치표고모델(DEM: Digital Elevation Model) 또는 수목 및 인공 구조물 등의 배치 내지 높이를 수치로 표현한 수치 모형인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 등의 지형공간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GIS서버(10)에는 위성맵 데이터를 포함하는 항공뷰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건물의 위치정보, 도면정보, 호수정보, 층고정보 및 층수정보 등의 다양한 건물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은 조망정보 생성을 위한 다양한 로데이터(raw date)를 내부에 저장할 수도 있으나,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건물, 지형 등에 대한 데이터를 더욱 즉각적이고 효과적으로 반영(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서버(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 서버로부터 다양한 로데이터가 공유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은 저장된 데이터 또는 GIS서버(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과 해당 건물 주변의 조망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상 건물의 실내공간정보 또는 대상 건물의 매매가, 학군정보, 인접 상업 시설 정보, 교통 관련 정보 등과 같은 주변 환경 정보를 생성하고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건물의 선택, 해당 건물의 다양한 파라미터에 따른 조망 정보 내지 조망 데이터의 확인 등이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환경으로 구현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구현되는 서버와의 통신 접속, 로그인 처리는 물론, 선택 정보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환경의 화면 표출, 사용자 입력수단(키보드의 화살표 버튼, 마우스의 스크롤 등)의 입력 이벤트에 따라 조망정보의 뷰각도, 표출 비율 등을 유연하게 변화시키고 가공하는 등의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클라이언트(50)에 미리 인스톨(install)되어 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예측분석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예측분석시스템(100)의 조망정보 관리과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은 DB부(110), 공간모델생성부(120), 렌더링부(130), 수신부(140), 메인제어부(150) 및 전송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예측분석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DB부(110)에는 대상 건물의 위치정보, 도면정보, 호수정보, 층고정보 및 층수정보 등을 포함하는 건물정보와 수치표고모델 및 수치표면모델 등과 같은 지형공간정보 및 위성맵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의 항공뷰정보가 미리 저장된다(S300).
본 발명의 공간모델생성부(120)는 저장된 항공뷰정보, 지형공간정보 및 건물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3차원 공간 모델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공간모델생성부(120)는 저장된 2차원의 항공뷰정보(위성맵 데이터 등)에 지형공간정보를 중첩 내지 결합시켜 3차원의 배경정보를 생성한다(S310).
배경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공간모델생성부(120)는 배경정보가 나타내는 영역 중 건물정보에 포함된 대상 건물의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대상 건물의 도면정보, 호수정보, 층고정보 및 층수정보 등을 중첩 내지 결합시켜 대상 건물의 3차원 공간 모델을 생성한다(S310).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모델생성부(120)는 GIS서버(10)로부터 DB부(110)로 전송된 건물정보, 항공뷰정보 및 지형공간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3차원 공간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상 건물의 3차원 공간 모델이 생성되면 본 발명의 렌더링부(130)는 생성된 3차원 공간 모델과 배경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 모델 내부에서 바라본 3차원 공간 모델 외부의 배경정보를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로 생성 및/또는 저장한다(S32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은 시스템 내부 구성들 사이의 데이터 처리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므로 인적 방법에 의하여 조망정보를 생성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조망정보를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은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지형공간정보 및 항공뷰정보 등을 기반으로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생성하므로 생성된 조망정보의 신뢰성 또한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싱이 완료된 후,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부터 선택정보가 수신되면(S350)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수신된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선별한다(S370, S385, S387).
메인제어부(150)의 조망정보 선별 프로세싱에 선행하여, 사용자가 입력 내지 선택한 선택정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50)를 통하여 본 발명의 수신부(140)로 전송되는 프로세싱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클라이언트(50)에 미리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을 원활하고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이 선택정보 입력을 위해 실행(활성화)된다(S330).
선택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50)에 입력되면(S335) 사용자 클라이언트(50)는 입력된 선택정보를 본 발명의 수신부(140)로 전송한다(S340).
선택정보가 수신부(140)에 수신되면(S350),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수신된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선별하고(S370, S385, S387), 선별된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전송되도록(S390) 본 발명의 전송부(160)를 제어한다.
선별된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가 메인제어부(150)의 제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전송부(160)로부터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전송되면(S390), 사용자 클라이언트(50) 즉, 사용자 클라이언트(5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은 전송된 조망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표출한다(S393).
사용자 클라이언트(50)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조건(구동 종료 등)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S395),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한, 사용자의 선택정보 입력 및 이에 따른 조망 정보 제공 등의 프로세싱은 순환적으로 지속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은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선택정보가 입력되는 단순하고 간단한 프로세싱을 통하여 대상 건물에 대한 조망정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제공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층수별 조망정보, 호수별 조망정보 및 방향별 조망정보 등 더욱 세분화된 조망정보와 실내공간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세분화된 조망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DB부(110)에 저장되는 도면정보에는 대상 건물의 각 호수별 창문방향정보, 창문위치정보 및 창문크기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더링부(130)는 건물정보에 포함된 층고정보 및 층수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층수별로 분할한 층수별 조망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더하여 상기 층수별 조망정보를 호수별로 분할한 호수별 조망정보를 생성한다(S320).
또한, 본 발명의 렌더링부(130)는 도면정보에 포함된 각 호수별 창문방향정보를 이용하여 호수별 조망정보를 각 창문 방향별로 분할한 조망정보인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한다(S320).
나아가, 본 발명의 렌더링부(130)는 도면정보에 포함된 각 호수별 창문위치정보 및 창문크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 조망정보 영역에서 조망 영역과 조망 크기를 가공한 윈도우 조망정보를 더 생성한다(S320).
환언하면, 본 발명의 렌더링부(130)는 창문 방향별로 분할된 윈도우 조망정보의 조망 영역과 조망 크기를 도면정보에 포함된 각 호수별 창문위치정보 및 창문크기정보에 맞추어 가공함으로써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세부적인 조망정보가 더 생성된 상태에서, 선택정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부터 본 발명의 수신부(140)로 수신되면(S350)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수신된 선택정보에 층수정보 또는 호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60).
수신된 선택정보에 층수정보 또는 호수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선별한다(S370).
또한,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선별된 조망정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전송되도록 본 발명의 전송부(16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송부(160)가 선별된 조망정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전송한다(S390).
이와 달리, 수신된 선택정보에 층수정보 또는 호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수신된 선택정보에 조망 방향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한다(S380).
판단 결과, 수신된 선택정보에 조망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대상 건물 중 선택정보에 포함된 층수정보 또는 호수정보에 해당하는 층수별 조망정보 또는 호수별 조망정보를 선별한다(S387).
또한,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선별된 층수별 조망정보 또는 호수별 조망정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전송되도록 본 발명의 전송부(160)를 제어함으로써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층수별 조망정보 또는 호수별 조망정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전송된다(S390).
이와 반대로, 전송된 선택정보에 조망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수신된 조망 방향(선택정보)에 해당하는 윈도우 조망정보 또는 가공된 윈도우 조망정보를 선별한다(S385).
또한,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선별된 윈도우 조망정보 또는 가공되고 선별된 윈도우 조망정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전송되도록 본 발명의 전송부(160)를 제어함으로써 수신된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윈도우 조망정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전송된다(S390).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은 창문과의 거리 또는 창문과의 각도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렌더링부(130)는 상기 대상 건물 내 해당 호수의 평면 도면을 기준으로 한 중심부 위치정보인 센터위치정보와 상기 호수별 창문위치정보 사이의 이격거리정보를 생성하여 창문과의 거리에 대한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렌더링부(130)는 상기 센터위치정보 및 호수별 창문이 이루는 각도정보를 생성하여 창문과의 각도에 대한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창문과의 거리에 대한 파라미터(이격거리정보)와 창문과의 각도에 대한 파라미터(각도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렌더링부(130)는 두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하되, 각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되도록 렌더링된 데이터 객체로 윈도우 조망정보(동적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부터 전송된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동적 윈도우 조망정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피드백 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50)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상기 동적 원도우 조망정보를 표출한다.
그 후, 사용자로부터 마우스 스크롤 등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조망 거리, 조망 관점, 조망 각도 등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50)(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탑재된 전용 어플리케이션)는 미리 정해진 프로세싱과 파리미터의 정의에 따라 원도우 조망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크기, 각도, 자세 등으로 가공한 윈도우 조망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표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이 동적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시점을 변화시키는 간단한 동작(클릭, 방향키 선택 및 마우스 휠 조절 등)만으로도 창문과의 거리 또는 방향의 변화에 대응되는 조망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대상 건물의 외부 조망정보를 전송함은 물론, 대상 건물의 실내공간정보를 더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은 건물정보 즉, 건물정보에 포함된 도면정보, 층수정보 및 층고정보 등을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실내공간정보를 생성하는 공간정보생성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간정보생성부(170)가 대상 건물의 실내공간정보를 생성 및/또는 저장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수신부(140)에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윈도우 조망정보 및 실내공간정보를 선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선별된 윈도우 조망정보 및 실내공간정보를 결합한 모델링 정보가 전송되도록 본 발명의 전송부(160)를 제어함으로써 윈도우 조망정보 및 실내공간정보가 함께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전송되게 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예측분석시스템(1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선택정보에 포함된 특정 층수, 특정 방향 및 특정 창문에 대한 조망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에 더하여, 복수 개의 층수, 방향 및 창문에 대한 조망정보를 동시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부터 복수 개의 건물정보가 포함된 선택정보가 본 발명의 수신부(140)에 수신되는 경우,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수신된 복수 개의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각각 선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제어부(150)는 선별된 복수 개의 조망정보가 동시에 전송되도록 본 발명의 전송부(160)를 제어하고, 이러한 메인제어부(150)의 제어를 통하여 전송부(160)는 선별된 복수 개의 조망정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동시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선별된 복수 개의 조망정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50)로 동시에 전송되면, 전송된 복수 개의 조망정보는 사용자 클라이언트(5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동일 화면으로 함께 표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 화면으로 함께 표출된 복수 개의 조망정보 상호 간을 더욱 정확하고 정밀하게 비교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사용자 편의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조망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조망정보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조망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 및 조망정보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A)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실행(활성화)한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B)는 항공뷰정보를 표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 (C)는 항공뷰정보에 지형공간정보를 중첩시킴으로써 생성된 배경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D)는 건물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대상 건물의 3차원 공간 모델과 배경정보를 결합한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인터페이스 환경은 내부 프로세싱에 의하여 조망정보 생성 프로세싱이 표출되는 화면 영역, 항공뷰정보를 표출시키는 배경지도추가메뉴 영역, 지형공간정보를 중첩시키는 DEM추가메뉴 영역 및 건물정보를 중첩시키는 도면추가메뉴 영역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배경지도추가 메뉴영역이 선택되면 화면 영역에 항공뷰정보가 표출되고 다음으로, DEM추가메뉴 영역이 선택되면 항공뷰정보에 지형공간정보가 결합되어 배경정보가 생성된다.
배경정보가 생성된 후, 도면추가메뉴 영역이 선택되면 대상 건물의 3차원 공간 모델이 생성되고 이에 더하여, 생성된 3차원 공간 모델이 건물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배경정보와 결합되게 된다.
도 4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인터페이스는 3차원 공간 모델(대상 건물)의 단지/동수/호수, 매매가 및 학군정보 등 대상 건물에 대한 주변정보가 추가적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상 건물에 대한 선택정보가 입력되어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대상 건물의 외관이 표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B)는 층수별 조망정보, 호수별 조망정보 및 윈도우 조망정보가 표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C)는 가공된 윈도우 조망정보 및 동적 윈도우 조망정보가 표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은 내부 프로세싱에 의하여 조망정보 등이 표출되는 화면 영역, 대상 건물의 선택정보가 입력되는 검색메뉴 영역, 대상 건물의 층수정보가 입력되는 실행메뉴 영역 및 대상 건물의 조망 방향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둘러보기메뉴 영역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5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검색메뉴 영역이 선택되어 선택정보가 입력되면 대상 건물을 포함하는 배경정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50) 내부에 탑재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의 화면 영역으로 표출된다.
다음으로, 실행메뉴 영역이 선택되어 층수정보가 입력되면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층수정보에 해당하는 윈도우 조망정보 중 임의 방향의 윈도우 조망정보가 화면 영역에 표출된다.
둘러보기메뉴 영역 중 좌우 방향 메뉴 영역이 선택되어 조망 방향 및 조망 거리에 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는 (동적) 윈도우 조망정보가 화면 영역에 표출된다.
둘러보기메뉴 영역 중 상하 메뉴 영역이 선택되어 각 호수별 창문위치정보, 창문크기정보 및 조망 거리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도 5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망 영역과 크기가 가공된 (동적) 윈도우 조망정보가 화면 영역에 표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메인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에 의한 예측분석시스템
50 : 사용자 클라이언트 110 : DB부
120 : 공간모델생성부 130 : 렌더링부
140 : 수신부 150 : 메인제어부
160 : 전송부 170 : 공간정보생성부

Claims (7)

  1. 대상 건물의 위치정보, 도면정보, 호수정보, 층고정보 및 층수정보를 포함하는 건물정보와 수치표고모델, 수목 및 인접 구조물의 배치 내지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지형공간정보 및 항공뷰정보가 저장된 DB부;
    상기 항공뷰정보에 상기 지형공간정보를 중첩시켜 배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건물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3차원 공간 모델을 생성하는 공간모델생성부;
    상기 3차원 공간 모델과 상기 배경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생성하는 렌더링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건물정보가 포함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를 선별하고 선별된 대상 건물의 조망정보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건물정보에 포함된 층고정보 및 층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건물의 조망 정보를 층수별로 분할한 층수별 조망정보 및 상기 층수별 조망정보를 호수별로 분할한 호수별 조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선택정보에 층수정보 또는 호수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대상 건물의 층수별 조망정보 또는 호수별 조망정보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정보에 포함되는 도면정보는,
    상기 대상 건물의 각 호수별 창문방향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각 호수별 창문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수별 조망정보를 각 창문 방향별로 분할한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선택정보에 조망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조망 방향에 해당하는 원도우 조망정보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정보는,
    상기 대상 건물의 각 호수별 창문위치정보 및 창문크기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각 호수별 창문위치정보 및 창문크기정보를 이용하여 조망 영역과 크기를 가공한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건물의 실내공간정보를 생성하는 공간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실내공간정보와 상기 윈도우 조망정보를 결합한 모델링 조망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복수 개의 건물정보가 포함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대상 건물의 조망 정보가 동일 화면으로 함께 표출되도록 상기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 대상 건물의 조망 정보가 동시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대상 건물 내 해당 호수의 평면 도면을 기준으로 한 중심부 위치정보인 센터위치정보와 상기 호수별 창문위치정보 사이의 이격거리정보 및 상기 센터위치정보와 상기 호수별 창문이 이루는 각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격거리정보와 각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윈도우 조망정보가 상기 이격거리와 각도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되도록 렌더링된 데이터 객체로 상기 윈도우 조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사용자로부터 조망 거리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렌더링된 데이터 객체로 전송된 윈도우 조망정보를 상기 입력된 선택신호에 대응되도록 프로세싱한 후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 분석 시스템.
KR1020170125818A 2017-09-28 2017-09-28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 시스템 KR20190036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818A KR20190036660A (ko) 2017-09-28 2017-09-28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818A KR20190036660A (ko) 2017-09-28 2017-09-28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660A true KR20190036660A (ko) 2019-04-05

Family

ID=6610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818A KR20190036660A (ko) 2017-09-28 2017-09-28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66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1571A (zh) * 2021-12-06 2022-01-07 深圳市斯维尔科技股份有限公司 加快模型数据渲染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1571A (zh) * 2021-12-06 2022-01-07 深圳市斯维尔科技股份有限公司 加快模型数据渲染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3901571B (zh) * 2021-12-06 2023-03-17 深圳市斯维尔科技股份有限公司 加快模型数据渲染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7716B2 (en)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system
AU2019356907B2 (en) Automated control of image acquisition via use of acquisition device sensors
US11275481B2 (en)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system
KR101934308B1 (ko) 공공데이터를 융합한 3차원 조망 가시화 시스템
US1075442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on with elements in a virtual architectural visualization
US9652115B2 (en) Vertical floor expansion on an interactive digital map
US20190041972A1 (en) Method for providing indoor virtual experience based on a panorama and a 3d building floor plan,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893092B2 (en)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32179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reception method
AU2020295360B9 (en) Spatial processing for map geometry simplification
US8464181B1 (en) Floor selection on an interactive digital map
US9141199B2 (en) Intelligent graphics interface in a handheld wireless device
US20150185825A1 (en) Assigning a virtual user interface to a physical object
EP346779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0765620B (zh) 飞行器视景仿真方法、系统、服务器及存储介质
US9239892B2 (en) X-ray vision for buildings
US20220148279A1 (en) Virtual objec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20170041905A (ko) 원격 전문가 시스템
KR102639605B1 (ko) 인터페이스에서의 공간 객체들의 상대적 표현 및 명확화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21033505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06957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0308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imaging
KR20190036660A (ko) 3차원 공간 모델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조망권 예측분석 시스템
JP5986816B2 (ja)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および地図表示用プログラム
JP2022531788A (ja) エクステンデッド・リアリティにおけるセンサ信号を収集、探索、及び視覚化するための斬新な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14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25

Effective date: 2019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