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560A - 무한 구동 배열체 및 그러한 배열체를 위한 개선된 2-아암형 장력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한 구동 배열체 및 그러한 배열체를 위한 개선된 2-아암형 장력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560A
KR20190036560A KR1020197006655A KR20197006655A KR20190036560A KR 20190036560 A KR20190036560 A KR 20190036560A KR 1020197006655 A KR1020197006655 A KR 1020197006655A KR 20197006655 A KR20197006655 A KR 20197006655A KR 20190036560 A KR20190036560 A KR 20190036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er
arm
tensioner arm
pulley
infin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534B1 (ko
Inventor
조프리 더블유. 라이랜드
론 패어웰
앤드류 엠. 보이즈
텔마 뉘돌프
제이슨 알. 데수자-코엘료
제이슨 알. 데수자-코엘료
존 앤트책
Original Assignee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360,695 external-priority patent/US9759293B2/en
Application filed by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filed Critical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Publication of KR20190036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5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81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where the axis of the pulley moves along a substantially 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7/20Mountings for rollers or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60K25/02Auxiliary drives directly from an engine shaft
    • B60K2025/022Auxiliary drives directly from an engine shaft by a mechanical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6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comprising a mechanical stop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65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7External to intern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일 양태에서,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인장기가 제공되고, 인장기는 제1 및 제2 풀리를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풀리는 제1 및 제2 벨트 스팬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제1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으로 각각 편향된다. 제2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2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가 배치된다. 사용 시에, 제1의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2 인장기 아암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와 결합되는 동안, 제2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와 결합되도록,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가 배치된다.

Description

무한 구동 배열체 및 그러한 배열체를 위한 개선된 2-아암형 장력조정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6년 11월 23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15/360,695의 이익향유를 주장하고, 2016년 8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2/373,804의 이익향유를 주장하며, 이들 모두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무한 구동 배열체의 분야, 그리고 보다 특히 엔진에 부가하여 모터/발전기 유닛 또는 다른 이차적인 원동력 유닛 및 2-아암형 인장기를 이용하는 차량용 전방 엔진 부속물 구동 배열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은 전형적으로 동력을, 교류발전기(alternator), 공조 압축기, 물 펌프, 및 다양한 다른 부속물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부속물에 전달하기 위해서 전방 엔진 부속물 구동부를 이용한다. 일부 차량은 하이브리드형이고, 전기 구동부와 함께 내연기관 모두를 이용한다. 그러한 차량의 많은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부 구성에서,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차량 구동에서 엔진을 보조한다(즉, 차량의 피동 바퀴(driven wheel)로 전달되는 동력의 양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전기 모터가 이용된다). 일부 구성에서, 전기 모터는 차량의 피동 바퀴를 홀로 구동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그리고 배터리가 충분한 레벨까지 방전된 후에만 엔진이 턴 온되어 차량의 구동 기능을 담당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이 연료 경제성 개선의 관점에서 유리하지만, 그 동작은, 전방 엔진 부속물 구동부로부터의 벨트와 같은 특정 구성요소에서 더 큰 응력 및 상이한 응력을 초래할 수 있고, 이는 그러한 구성요소의 동작 수명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방 엔진 부속물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위한 개선된 동작 수명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일 양태에서, 엔진 상의 무한 구동 부재를 장력조정하기 위한 인장기가 제공된다. 인장기는, 제1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고 제1 아암 피봇 축과 이격된 제1 인장기 풀리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인장기 풀리를 가지는, 제1 인장기 아암을 포함한다. 제1 인장기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span)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인장기는, 제2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고 제2 아암 피봇 축과 이격된 제2 인장기 풀리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인장기 풀리를 가지는, 제2 인장기 아암을 더 포함한다. 제2 인장기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인장기는,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을 제1 자유 아암 방향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으로 각각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인장기 편향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인장기는, 제2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2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을 더 포함한다. 사용 시에, 제1의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2 인장기 아암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는 동안, 제2 인장기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와 결합되도록,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이 배치된다. 정적 평형 하에서, 제2 인장기 아암은 적어도 무한 구동 부재 및 인장기 편향 부재로부터의 예비-부하 토크(preload torque)를 가지며, 예비-부하 토크는, 약 1 Nm 내지 약 15 Nm의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게 제2 인장기 아암을 압박한다.
다른 양태에서,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공되고, 무한 구동 배열체는 크랭크샤프트, 이차 구동 장치, 크랭크샤프트와 이차 구동 장치를 연결하는 무한 구동 부재, 및 인장기를 포함한다. 인장기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1 인장기 아암을 포함한다. 제1 인장기 풀리는 이차 구동 장치의 제1 측부 상의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과 결합된다.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인장기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2 인장기 아암을 더 포함한다. 제2 인장기 풀리는 이차 구동 장치의 제2 측부 상의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과 결합된다. 제2 인장기 아암은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인장기는,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을 각각의 제1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인장기 편향 힘을 인가하도록 배치된 인장기 편향 부재,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2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된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를 더 포함한다. 사용 시에,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2 인장기 아암이 제2 정지부와 결합되는 동안, 제2 인장기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와 결합되도록,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가 배치된다. 이한 인장기에서:
Figure pct00001
이고
여기에서:
TR = TR2 - TR3이고,
TL = TR4 - TR5이며,
TR2 =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의 제1 부분에 의해서 제2 인장기 풀리에 인가되는 힘(T2)의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고,
TR3 =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의 제2 부분에 의해서 제2 인장기 풀리에 인가되는 힘(T3)의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고,
TR4 =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의 제1 부분에 의해서 제1 인장기 풀리에 인가되는 힘(T4)의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고,
TR5 =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의 제2 부분에 의해서 제1 인장기 풀리에 인가되는 힘(T5)의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고,
hF1 = 인장기 편향 부재에 의해서 제1 인장기 아암에 인가되는 힘(FL)의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며, 그리고
hF2 = 인장기 편향 부재에 의해서 제2 인장기 아암에 인가되는 힘(FL)의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무한 구동 배열체가 엔진을 위해서 제공된다. 무한 구동 배열체는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된 크랭크샤프트 풀리, 이차 구동 장치의 샤프트에 연결된 이차 구동 장치 풀리, 및 크랭크샤프트 풀리 및 이차 구동 장치 풀리와 결합된 무한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무한 구동 배열체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고, 제1 모드에서 크랭크샤프트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고 이차 구동 장치는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 내의 인장력은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 내의 인장력보다 작고, 제2 모드에서 이차 구동 장치는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한다. 무한 구동 배열체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1 인장기 아암을 포함하는 인장기를 더 포함한다. 제1 인장기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인장기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2 인장기 아암을 더 포함한다. 제2 인장기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2 인장기 아암은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인장기는,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을 각각의 제1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인장기 편향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인장기는, 제1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을 더 포함한다. 인장기는, 제2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2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을 더 포함한다. 사용 시에,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되는 시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 인장기 아암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도록 그리고 제1 인장기 아암이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그리고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2 모드에서 동작되는 시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 인장기 아암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그리고 제1 인장기 아암이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이 배치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엔진을 위한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공되고, 그러한 무한 구동 배열체는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된 크랭크샤프트 풀리, 이차 구동 장치의 샤프트에 연결된 이차 구동 장치 풀리, 및 크랭크샤프트 풀리와 그리고 이차 구동 장치 풀리 및 인장기와 결합된 무한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무한 구동 배열체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고, 제1 모드에서 크랭크샤프트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고 이차 구동 장치는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 내의 인장력은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 내의 인장력보다 작고, 제2 모드에서 이차 구동 장치는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한다. 인장기는 제1 인장기 아암, 제2 인장기 아암 및 인장기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인장기 아암은, 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인장기 풀리를 갖는다. 제1 인장기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제2 인장기 아암은, 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인장기 풀리를 갖는다. 제2 인장기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2 인장기 아암은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인장기 편향 부재는,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을 각각의 제1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치된다. 인장기는, 제1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을 더 포함한다.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은, 제2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2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된다. 제2 인장기 아암은, 적어도 무한 구동 부재 및 인장기 편향 부재에 의해서 인가되는 토크의 조합으로부터, 0이 아닌 예비-부하 토크를 가지며, 예비-부하 토크는 제2 인장기 아암을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게 압박하고, 그에 따라,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될 때, 제2 인장기 아암 상의 일시적 토크가 예비-부하 토크에 대항하여 작용하나 예비-부하 토크보다는 작은 엔진의 동작 전체를 통해서, 제2 인장기 아암은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어 유지되고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되며,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될 때, 제2 인장기 아암 상의 일시적 토크가 예비-부하 토크에 대항하여 작용하고 예비-부하 토크보다 충분히 큰 엔진의 동작 전체를 통해서,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어 유지되고 제2 인장기 아암은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 및 다른 양태가 첨부 도면을 참조할 때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기를 포함하는 무한 구동 배열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한 구동 배열체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한 구동 배열체의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모드에서 동작되는, 도 1에 도시된 무한 구동 배열체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인장기의 일부인 인장기 아암 상에 인가된 힘을 예시하는, 제1 모드에서 동작되는, 도 1에 도시된 무한 구동 배열체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인장기 아암과 관련된 힘 및 모멘트 아암을 더 예시하는, 제1 모드에서 동작되는, 도 1에 도시된 무한 구동 배열체의 개략도이다.
도 5c는, 인장기 아암 상에 인가된 힘을 예시하는, 제2 모드에서 동작되는, 도 1에 도시된 무한 구동 배열체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쇄선의 직사각형에 의해서 개략적으로 표시되고 12에 도시된, 엔진을 위한 무한 구동 배열체(10)를 도시한다. 엔진(12)이 차량 내에 장착되는 실시예에서, 무한 구동 배열체(10)는 전방 엔진 부속물 구동부일 수 있다. 엔진(12)은, 크랭크샤프트 풀리(16)가 위에 장착된 크랭크샤프트(14)를 포함한다. 크랭크샤프트 풀리(16)는 엔진(12)의 크랭크샤프트(14)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고, 그 자체는, 벨트와 같은, 무한 구동 부재(20)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차량 부속물(18)을 구동한다. 편의상, 무한 구동 부재(20)가 벨트(20)로 지칭될 것이나, 무한 구동 부재가 임의의 다른 유형의 무한 구동 부재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부속물(18)은 모터-발전기 유닛(MGU)(18a), 공조 압축기(18b), 물 펌프(미도시), 동력 조향 펌프(미도시)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속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2개의 부속물(18)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보다 많거나 적은 부속물이 있을 수 있다. 피동 부속물의 각각이 구동 샤프트(22) 및 풀리(24)를 갖는다. MGU(18a)는 MGU 구동 샤프트(22a) 및 MGU 풀리(24a)를 갖는다.
도 1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벨트(20)는 크랭크샤프트 풀리(16) 및 24a에 도시된 MGU 풀리(그리고 다른 부속물 풀리(24))와 결합된다. 정상 동작 조건 하에서, 무한 구동 배열체(10)는, 무한 구동 배열체(10)가 엔진(12)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고 무한 구동 배열체가 다시 부속물(18)의 풀리(24)를 구동시키는, 제1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1 벨트 스팬(20a) 내의 인장력은 제2 벨트 스팬(20b) 내의 인장력보다 작다. MGU(18a)는, 차량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기 위해서, 제1 모드에서 교류발전기로서 동작될 수 있다.
MGU(18a)는 또한 모터로서 동작될 수 있고, 모터는 MGU 풀리(24a)를 구동시키고, MGU 풀리는 다시 벨트(20)를 구동시킨다. MGU(18a)가 모터로서 동작되는 이벤트 중에, 무한 구동 배열체(10)는, 제2 벨트 스팬(20b) 내의 인장력이 제1 벨트 스팬(20a) 내의 인장력보다 작은 제2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는, 엔진이 차량의 바퀴를 구동하는 '부스트(boost)' 경우 동안일 수 있으나, 동력을 벨트(20)를 통해서 엔진의 크랭크샤프트(14)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추가적인 동력을 바퀴에 공급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동력이 요구된다. MGU(18a)가 모터로서 동작되는 다른 상황은, 크랭크샤프트(14)의 회전을 유발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에 의해서 엔진(12)을 시동하기 위해서 MGU(18a)가 벨트(20)를 구동하는, BAS(벨트-교류발전기 시동) 경우를 포함한다. MGU(18a)가 모터로서 동작되는 또 다른 상황은, 엔진이 오프 중일 때(예를 들어, 차량이 정지등(stoplight)에 위치되거나 달리 짧게 정지될 때 엔진이 자동적으로 오프되는 일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하나 이상의 부속물을 구동하기 위해서 벨트(20)를 구동하기 위해서 MGU(18a)가 이용되는, ISAF(아이들/정지 부속물 기능) 경우이다.
본 개시 내용에서, 벨트(20)의 스팬(20a)은 벨트 스팬(20a)으로 지칭될 수 있고, 벨트(20)의 스팬(20b)은 벨트 스팬(20b)으로 지칭될 수 있다.
MGU(18a)은, MGU(18a)에 대해서 전술한 임의의 목적을 위해서 벨트(2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로서 이용될 수 있는 이차 구동 장치의 단지 하나의 예라는 것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대안적인 예에서, 부속물(18a)은 전형적인 교류발전기일 수 있고, BAS 동작 및/또는 ISAF 동작에서 차량의 부스트 가속이 요구될 때 벨트(20)를 구동하기 위해서 별도의 전기 모터가 교류발전기에 인접하여 (벨트(20) 상에서 교류발전기의 상류 또는 하류에) 제공될 수 있다.
무한 구동 배열체(10)를 위한 인장기(25)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인장기 풀리(26)는 제1 아암 풀리 축(APA1)(도 4)을 중심으로 하는 풀리의 회전 운동을 위해서 제1 인장기 아암(3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인장기 풀리(28)는 제1 아암 풀리 축(APA2)을 중심으로 하는 풀리의 회전 운동을 위해서 제2 인장기 아암(3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각의 인장기 아암(30, 32)에 대한 회전 장착은, 각각의 인장기 아암(30 및 32) 내의 개구를 통과하고 기부(48) 내의 나사산형 개구 내로 진행되는 쇼울더 볼트(52)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30 및 32)은, 각각,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AP1 및 AP2)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 운동을 위해서 기부(48)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기부(48)에 대한 피봇 장착은, 각각의 인장기 아암(30 및 32) 내의 개구를 통과하고 기부(48) 내의 나사산형 개구 내로 진행되는 쇼울더 볼트(57)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기부(48)는 MGU(18a)의 하우징에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정지 부재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제1 및 제2 인장기 풀리(26 및 28)는 (도 1에서 각각 DFA1 및 DFA2에서 도시된) 제1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으로 편향된다. 더 구체적으로, 인장기 편향 부재(41)는 제1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DFA1 및 DFA2) 각각으로 인장기 편향 힘(F)을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30 및 32) 상에 인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장기 편향 부재(41)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30 및 32) 사이에서 연장되는 선형의 나선형 압축 스프링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대안적 실시예에서, 인장기 편향 부재(41)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아암(30 및 32) 상의 제1 및 제2 구동 표면(43 및 45)에 접경되고 아암(30 및 32)을, (도 2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제1 인장기 풀리(26) 및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제2 인장기 풀리(28)를 구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벨트(20) 내로 압박하는,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장기 풀리(26)가, 사용 시에, 피봇 축(AP1)을 중심으로 하는 제1 회전 방향의 모멘트를 제1 인장기 아암(30)에 인가하도록 배치된다는 점에서, 제1 인장기 풀리(26)가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AP1)의 제1 측부 상에 위치된다. 인장기 편향 부재(41)가, 사용 시에, 피봇 축(AP1)을 중심으로 하는 (제1 회전 방향의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의 모멘트를 제1 인장기 아암(30)에 인가하도록 배치된다는 점에서, 인장기 편향 부재(41)는 인장기 편향 힘(F)을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AP1)의 제2 측부에 인가하도록 배치된다.
유사하게, 인장기 풀리(28)가, 사용 시에, 피봇 축(AP2)을 중심으로 하는 제1 회전 방향의 모멘트를 제2 인장기 아암(32)에 인가하도록 배치된다는 점에서, 제2 인장기 풀리(28)가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AP2)의 제1 측부 상에 위치되고, 인장기 편향 부재(41)가, 사용 시에, 피봇 축(AP2)을 중심으로 하는 (바로 앞에서 언급한 제1 회전 방향의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의 모멘트를 제2 인장기 아암(32)에 인가하도록 배치된다는 점에서, 인장기 편향 부재(41)는 인장기 편향 힘(F)을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AP2)의 제2 측부에 인가하도록 배치된다.
인장기(25)의 몇몇 특징이 유리할 수 있고 이하에서 더 설명된다.
실시예에서, 인장기(25)를 위한 기부(4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C-형상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부(48)는 기부 본체(47), 그리고 기부 본체(47)의 원주방향 단부들에 근접한 제1 및 제2 장착 개구(49 및 51)를 가지며, 제1 및 제2 개구(49 및 51)는 기부(28)를 MGU(18a)의 하우징 또는 다른 적절한 부재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장착 개구(49 및 51)는 또한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30 및 32)의 피봇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도 1 및 도 2에서 53에 도시된) 핀을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및 제2 피봇 축(AP1 및 AP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부(48)의 C-형상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구부는 축방향으로 어떠한 장애물도 가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인장기(25)는 MGU(18a)로부터의 열의 소산을 돕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장기(25)는, 제1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인장기 아암(3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60)를 포함한다. 제1 자유 아암 방향에 반대인 방향이 제1 부하 정지 방향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인장기(25)는, 제2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즉, 제2 부하 정지 방향)으로 제2 인장기 아암(3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62)를 포함한다. 인장기 아암 정지부(60 및 62)는,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30 및 32) 상의 제1 및 제2 아암-장착 정지부 표면(68 및 70)과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기부-장착 정지부 표면(64 및 66)을 각각 갖는다.
사용 시에, 제2 인장기 아암(32)이 제1의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62)와 결합되도록, 인장기(25)가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사용 시에, 제1 인장기 아암(30)이, 제1의 동작 조건 범위와 상이한 제2의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60)와 결합되도록, 인장기(25)가 구성된다.
추가적인 선택사항으로서, 사용 시에, 제1 및 제2의 동작 조건 범위와 상이한 제3의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30 및 32)이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60 및 62)로부터 분리되도록, 인장기(25)가 구성된다.
인장기(25)에 작용하는 힘 및 모멘트를 도시하기 위한 인장기(25)의 개략도인,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해당 도면에서의 시각적인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서, 인장기 아암(30 및 32), 벨트(20) 및 편향 부재(41)가 하나의 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풀리(24a, 26 및 28)는 윤곽선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인장기(25)에 작용하는 힘은, 인장기 아암(30 및 32)을 일 방향 스윙(swing)으로 압박하는 모멘트를 생성할 것이고, 또는 다른 것은 벨트(20)에 의해서 인장기 아암(30 및 32)에 인가되는 힘 및 편향 부재(41)에 의해서 인장기 아암(30 및 32)에 인가되는 이러한 힘을 포함한다. 이러한 힘이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벨트 스팬(20-2) 내의 벨트 인장력이 T2로서 도시되어 있고; 벨트 스팬(20-3) 내의 벨트 인장력이 T3으로서 도시되어 있고; 벨트 스팬(20-4) 내의 벨트 인장력이 T4로서 도시되어 있고; 그리고 벨트 스팬(20-5) 내의 벨트 인장력이 T5로서 도시되어 있다. 편향 부재(41)의 힘이 FL로서 도시되어 있다.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편향 부재(41)는 일 단부에서 제1 인장기 아암(30)에 그리고 타 단부에서 제2 인장기 아암(32)에 힘(FL)을 인가한다. 정적 평형 하에서, 벨트 인장력은 모든 곳에서 (즉, 모든 스팬(20-2, 20-3, 20-4 및 20-5) 전체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학적 유도의 목적에서, T2=T3=T4=T5이다. 이러한 인장력은, 각각의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30 및 32) 상에서 HL23 및 HL45에 도시된 허브 부하를 초래한다. 허브 부하(HL23 및 HL45)는 각각의 풀리(28 및 26)의 회전 중심(즉, 축(APA2 및 APA1))에서 인장기 아암(30 및 32)에 작용한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허브 부하의 방향은 풀리(26 및 28) 상의 벨트(20)의 각각의 랩핑 각도(wrap angle)에 따라 달라진다.
허브 부하(HL23)는 벨트 스팬(20-2)에 평행한 벡터 성분(HLVC2) 및 벨트 스팬(20-3)에 평행한 벡터 성분(HLVC3)으로 분할될 수 있다. HLVC2 및 HLVC3의 크기는 인장력(T2 및 T3)과 동일하나, 아암(32) 상에 작용하는 반면, 인장력(T2 및 T3)은 풀리(28) 상에 작용한다. 유사하게, 허브 부하(HL45)는 벨트 스팬(20-4)에 평행한 벡터 성분(HLVC4) 및 벨트 스팬(20-5)에 평행한 벡터 성분(HLVC5)으로 분할될 수 있다. HLVC4 및 HLVC5의 크기는 인장력(T4 및 T5)과 동일하나, 아암(30) 상에 작용하는 반면, 인장력(T4 및 T5)은 풀리(26) 상에 작용한다.
다시 말해서, 축(APA2)을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풀리(28)의 표면에 작용하는 벨트 인장력(T2 및 T3)이 풀리(28)의 회전 중심에서 (즉 축(APA2)을 따라) 인장기 아암(32)에 전달되어, 힘(HLVC2 및 HLVC3)을 초래한다.
도 5b는, 허브 부하 성분 힘(HLVC2, HLVC3, HLVC4 및 HLVC5)의 각각과 연관되는 모멘트 아암(즉, 힘 및 피봇 축(AP1 및 AP2)의 각각의 작용선의 수직 거리)을 도시한다. 피봇 축(AP2)에 대한 힘(T2 및 T3)과 연관된 모멘트 아암이 TR2 및 TR3에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도 5b에서 힘(T4 및 T5)이 풀리(26)의 축(APA1)을 통해서 작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피봇 축(AP1)에 대한 힘(T4 및 T5)과 연관된 모멘트 아암이 TR4 및 TR5에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인장기 아암(30 및 32)에 작용하는 힘(HL)의 모멘트 아암이 HF1 및 HF2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인장기(25)가 정적 평형에 있을 때, 정지부(62)가 힘 그리고 그에 따라 모멘트를 인가하여, 벨트(20) 및 편향 부재(41)에 의해서 인가되는 모멘트에 대해서 보상을 하고, 그에 따라 인장기 아암(32) 상의 순 모멘트는 0이 된다. 정지부(62)에 의해서 인가되는 모멘트는 Mstop2으로 표시된다. 유사하게, 정지부(60)가 힘 그리고 그에 따라 모멘트를 인가하여, 벨트(20) 및 편향 부재(41)에 의해서 인가되는 모멘트에 대해서 보상을 하고, 그에 따라 인장기 아암(30) 상의 순 모멘트는 0이 된다. 정지부(60)에 의해서 인가되는 모멘트는 Mstop1로 표시된다. 제1 아암(30)이 제1 정지부(60)와 접촉되지 않는 임의의 평형 위치에서, 모멘트(Mstop1)가 영이 되고, 유사하게, 제2 아암(32)이 제2 정지부(62)와 접촉되지 않는 임의의 평형 위치에서, 모멘트(Mstop2)가 영이 되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정적 평형 조건과 관련된 수학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2
HLVC2=T2, HLVC3=T3, HLVC4=T4, 및 HLVC5=T5이기 때문에, 이러한 2개의 전술한 방정식을 다음과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이러한 2개의 전술한 수학식에서, 반시계방향의 모멘트는 양(positive)으로 간주되었고 시계방향 모멘트는 음으로 간주되었다. 인장력 값 모두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T2, T3, T4 및 T5 모두는 하나의 항(T0)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인장기(25)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적 평형 조건에 있을 때, 제1 정지부(60)에 의해서 인가되는 모멘트는 0이 되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정지부가 제1 인장기 아암(30)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러한 상황에서 Mstop1=0 이다.
따라서, 그러한 상황에서, 전술한 방정식은 이하와 같이 다시 작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FL에 대해서 상기의 첫 번째 방정식을 풀고 이러한 식을 두 번째 방정식에 대입하면,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5
그에 따라, 다음이 된다:
Figure pct00006
T0에 대한 음의 값은 벨트(20)가 0 미만의 인장력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낼 것이기 때문에, T0가 항상 양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정지부(62)가 모멘트를 선택된 방향으로 인장기 아암(32)에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적어도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평형 위치에서, 상기의 방정식의 맥락에서 Mstop2가 양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Mstop2 및 T0 모두가 반드시 양이어야 하기 때문에, 식:
Figure pct00007
이 반드시 양이어야 한다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TR2-TR3을 나타내기 위해서 값(TR)이 사용되고, TL이 TR5-TR4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의 식은 다음과 같이 다시 작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08
TL의 값이 0보다 크다면, 그러한 식은 다음과 같이 다시 작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09
TL의 값이 0보다 큰 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앞서 제시된 방정식을 재검토할 수 있다:
Figure pct00010
이는 다음과 같이 재작성될 수 있고:
Figure pct00011
, 그리고 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pct00012
편향 부재(41)에 의해서 인가되는 모멘트가 양이고, 앞서 주목한 바와 같이, 인장력(T0)은 양이기 때문에,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상황에서, TL의 값은 반드시 양이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앞서 제시된 식이 적용될 수 있고, 즉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13
앞서 주목한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정적 평형에 있을 때, 인장기(25)는 제2 기부-장착 정지부 표면(66)에 대항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엔진이 오프일 때, 정적 평형에 도달된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엔진이 오프일 때 제2 인장기 아암(32)이 제2 아암 정지부(62)에 접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은, 제2 인장기 아암(32)을 제2 기부-장착 정지부 표면(66)에 대항하여 압박하는 약간의 예비-부하 토크를 수반한다. 이러한 예비-부하 토크는, 제2 인장기 아암(32)이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동작 조건의 제1 세트로서 앞서 언급된) 특정 동작 조건 중에 정지부 표면(66)에 대항하여 유지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동작 중에 발생되는 특정 일시적 이벤트가 인장기 아암(32)을 정지부(62)로부터 멀리 이동시키지 않을 정도로, 인장기(25) 내의 예비-부하 토크를 충분히 크게 설정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앞서 주목한 바와 같이, 그러한 이동은, 비제한적으로, NVH(소음, 진동 및 불쾌감), (비틀림 진동과 연관된 인장기 아암의 이동 및 인장기 아암의 이동 방향의 급격한 변경의 유발과 연관된 에너지와 같은) 에너지 낭비, 및 그러한 이동 중에 인장기의 구성요소 상의 가속 및 감속과 연관된 구성요소 마모 및 동적 응력으로 인한 인장기의 동작 수명의 단축에 기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많은 수의 좋지 못한 결과를 갖는다.
제2 아암(32)을 정지부 표면(66)에 대항하여 유지하는 것의 다른 장점은, 제2 아암(32)과 관련하여 인장기(25) 상에 제공된 임의의 댐핑 구조물이 마모량의 감소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또한, 기부 상의 정지부 표면(66) (및 제2 아암(32) 상의 상응 표면(70))은, 정지부 표면과 반복적으로 충돌하는 상황에 비해서, 마모량 감소를 유발한다.
그러나, 인장기 아암(32)이 모든 동작 조건 하에서 항상 정지부(62)와 결합되어 유지될 정도로 예비-부하 토크가 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부하 토크가 인장기 아암(32)과 정지부(62) 사이의 결합을 항상 유지할 정도로 큰 경우에, 벨트(20) 내의 결과적인 인장력이 그에 따라 커져서, 상당한 양의 기생 손실(parasitic loss)이 발생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엔진이 이용할 수 있는 동력의 감소 및 연료 효율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특정 동작 조건 하에서 예비-부하 토크가 인장기 아암(32)과 정지부(62)의 결합을 유지할 정도로 그리고 특정의 다른 동작 조건 하에서 제2 인장기 아암(32)이 정지부(62)를 떠날 수 있게 허용할 정도로, 예비-부하 토크가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 인장기 아암(32) 상의 토크의 약 1 Nm 내지 약 15 Nm의 예비-부하 토크로, 그러한 정지부를 포함하지 않는 인장기의 이동을 유발할 수 있는 이벤트의 대부분 동안, 정지부(62)로부터 멀어지는 인장기 아암(32)의 이동이 방지된다. 그러한 이벤트는, 엔진 및, 공조 압축기, 또는 물 펌프와 같은, 현대적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이용 가능 부속물의 동작의 부차적 결과인 한편, 벨트(20) 내의 인장력에 상대적으로 적은 인장력을 부가하고 그에 따라 큰 벨트 인장력과 연관된 기생 손실에 상대적으로 적은 기생 손실을 부가한다. 이들은 차량의 부분인 요소이나, MGU(18a)와 같은 요소와 대조적으로, 차량을 위한 원동력의 발생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는다. 구성요소의 동작 수명을 개선하는 것, 큰 벨트 인장력과 연관된 기생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 또한 엔진의 동작 중의 인장기 아암의 이동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로부터 초래되는 에너지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제2 인장기 아암(32) 상의 예비-부하의 전술한 범위(약 1 Nm 내지 약 15 Nm)가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결정되었다.
제1 아암 정지부(60)가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인장기(25)가 도 5c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제1 인장기 아암(30)은, 엔진이 제2 모드에서 동작될 때의 특정 조건과 같은, 특정 조건 하에서, 제1 아암 정지부(60)와 접경된다.
인장기 아암(32)을 정지부(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토크를 생성할 수 있는 조건의 세트를 유발하는 이벤트의 일부를 이제 설명할 것이다.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이벤트의 일부는, 제2 인장기 아암(32)이 그 정지부(62)로부터 이격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작은 토크를 유발한다. 그러한 이벤트의 일부는 제2 인장기 아암(32)을 그 정지부(62)로부터 이격시킬 정도로 충분히 큰 토크를 유발할 수 있다.
하나의 이벤트는, 압축기(18b)(도 1)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공조 클러치의 활성화이다. 공조 압축기(18b)의 회전자의 관성, 및 압축기(18b) 내의 임의의 냉각 가스의 압축으로 인한 이동에 대한 저항은, 그러한 시간에, 벨트 스팬(20-2 및 20-3) 내의 벨트 인장력의 순간적인 감소를 순간적으로 초래하는 일시적 이벤트를 유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장기 아암(32)은, 이러한 일시적 이벤트 중에 인장기 아암이 정지부(62)에 대항하여 유지되는 것이 보장되도록 충분히 예비-부하될 것이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아암(32)이 공조 결합 이벤트 중에 정지부(62)로부터 순간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아암(32) 상의 예비-부하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이벤트는 공조 압축기(18b)의 분리이고, 인장기 아암(32)과 결합된 스팬 상의 벨트 인장력이 증가될 것이고, 그에 의해서 토크량이 증가되어 아암(32)을 정지부(62) 내로 압박한다. 따라서, 인장기 아암(32)은 그러한 이벤트 중에 정지부(62)로부터 상승되지 않을 것이다.
키 시동 이벤트 중에(즉, 임의의 현대적인 비-하이브리드 엔진에 제공된 전기 시동기 모터를 통해서 엔진(12)이 시동될 때), 벨트(20)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성요소의 관성은, 엔진(12)의 실린더 내에서 연소가 개시될 때의 토크의 급격한 생성과 조합되어, 키 시동 이벤트 중에 인장기 아암(32)이 그 정지부(62)로부터 상승되는 것 그리고 인장기 아암(30)이 그 정지부 표면(64)과 결합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MGU 시동 이벤트 중에(즉, 엔진(12)이 모터로서의 MGU(18a)의 동작에 의해서 벨트(20)를 통해서 시동될 때), MGU(18a)는 엔진의 유형 및 적용예의 특정 상세 내용에 따라 달라지는 토크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서, MGU(18a)를 위한 상승(ramp up)의 신속성은 적용예에 따라 다르고 MGU 시동 이벤트 중에 변경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MGU 시동 이벤트 중에 MGU(18a)에 의해서 인가되는 토크는 인장기 아암(32) 상의 예비-부하를 극복할 정도로 충분히 벨트 인장력을 변화시키고, 그에 의해서 정지부(62)로부터 아암(32)을 상승시키고(즉, 정지부 표면(66)으로부터 멀리 아암(32)을 상승시키고) 인장기 아암(30)을 그 정지부(60)(즉, 정지부 표면(64))와 결합시킨다.
부스트 이벤트 중에(즉, 엔진(12)이 동작되나 모터로서의 MGU(18a)의 동작에 의해서 벨트(20)를 통해서 보조될 때), MGU(18a)는, 운전자의 가속기 페달 누름에 의해서 얼마나 많은 부스트가 요청되는지 등을 기초로 변경되는 부스트 토크를 생성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에서, MGU 토크가 약 10 Nm 미만인 경우에, 벨트 인장력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는 (즉, 아암(30)이 정지부(60) 상에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도 벨트(20)를 통한 벨트 인장력이 충분한) 반면, MGU 토크가 약 10 Nm 초과인 경우에, 인장기 아암(30)이 정지부(60)에 대항하여 위치되도록 인장기 아암(30 및 32)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이 결정되었다. 약 10 Nm 미만(예를 들어, 약 3 내지 약 5 Nm)이 되도록 인장기 아암(32) 상의 예비-부하 토크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아암(30 및 32)은 약 10 Nm의 MGU 토크 하에서 도 5c에 도시된 위치로 전환되도록 보장된다.
비틀림 진동과 관련하여, 무한 구동 배열체(10) 내의 임의의 비틀림 진동이 약 1500 라디안/s2 초과의 풀리(그리고 그에 따라 벨트(20))의 가속을 초래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비틀림 진동이 이러한 값(또는 일부 다른 선택된 값)을 초과할 수 있는 일부 실시예에서, 임의의 비틀림 진동의 격렬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MGU 풀리(24a) 상에 격리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인장기 아암(30 및 32)의 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공되는 댐핑이, 비틀림 진동을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아암(30)이 정지부(60)에 대항하여 놓이도록 인장기(25)가 이동되는 시점인, 일시적 토크 이벤트가 예비-부하 토크보다 충분히 커질 때까지, 제2 인장기 아암(32)이 정지부(62)에 대항하는 위치에서 인장기(25)가 유지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0이 아닌 예비-부하 토크를 제공하는 것은 일종의 필터링 구조로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인장기 아암(32) 상의 토크가 예비-부하 토크보다 1 Nm 초과로 더 큰 경우에, 인장기(25)는 제1 아암(30)을 정지부(60)에 대항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그리고 제2 아암(32)이 정지부(62)로부터 이격되게 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인장기 아암(30)을 정지부(60)에 대항되게 하기 위해서, 제2 아암(32) 상의 토크는 2 Nm만큼 또는 일부 다른 값만큼 예비-부하 토크보다 클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완전함을 위해서, 일시적 이벤트 중에 토크가 예비-부하 토크보다 크지만, 제1 인장기 아암(30)을 정지부(60)에 대항되게 할 정도로 충분히 크지 않은 경우에, 이러한 것은, 인장기 아암(30 및 32)이 정지부(60 및 62) 중 어느 하나에 대항하지 않는 (제3 동작 조건 범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좁은 창(window)에 상응한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인장기(25)의 이러한 필터링 양태는 이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제2 인장기 아암(32)은, 적어도 무한 구동 부재(20) 및 인장기 편향 부재(41)에 의해서 인가되는 토크의 조합으로부터, 0이 아닌 예비-부하 토크를 가지며, 예비-부하 토크는 제2 인장기 아암(32)을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6)과 결합되게 압박하고, 그에 따라, 무한 구동 배열체(10)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될 때, 제2 인장기 아암(32) 상의 일시적 토크가 예비-부하 토크에 대항하여 작용하나 예비-부하 토크보다는 작은 엔진(12)의 동작 전체를 통해서, 제2 인장기 아암(32)은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6)과 결합되어 유지되고 제1 인장기 아암(30)은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0)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되며, 무한 구동 배열체(10)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될 때, 제2 인장기 아암(32) 상의 일시적 토크가 예비-부하 토크에 대항하여 작용하고 예비-부하 토크보다 충분히 큰 엔진(12)의 동작 전체를 통해서, 제1 인장기 아암(30)은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0)과 결합되어 유지되고 제2 인장기 아암(32)은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6)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된다. 제1 모드는, 일부 실시예에서, 엔진(12)이 공회전에서 일정한 RPM인 때를 포함할 수 있다.
정지부(62) 및 선택적으로 제공된 정지부(60)는, 마모 및 파괴에 대한 적절한 내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는, 예를 들어, E.I. Dupont de Nemours의 HytrelTM 일 수 있다. 재료는 약 25 쇼어 D 내지 약 75 쇼어 D 범위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사용 중에, 제2 인장기 아암(32)이 정지부(62)와 결합되는 동안, 허브 부하(즉, 풀리(28)에 작용하는 T2 및 T3의 조합)가 엔진의 동작 조건의 변화로 인해서 변경될 때 약간의 적은 양의 변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동작 중에, 정지부(62)(및 선택적인 정지부(60))가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지부(62) 내에 존재하는 유연성으로 인해서, 인장기 아암(32)은 경우에 따라 정지부(62 또는 60)에 대항하여 약 3000 N까지의 인가 부하에서, 약 0.15 mm 내지 약 2.25 mm의 변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효과적인 것으로 결정된 예시적인 스프링 정수는 약 4000 N/mm 내지 약 10000 N/mm이 이동이다. 정지부(62)에 대항하는 동안의 제2 인장기 아암(32)의 변위(그리고, 유사하게, 정지부(60)에 대항하는 동안의 아암(30)의 변위)가 작아서, 이는 아암의 이동에 대해 손실되는 에너지와 관련하여 무시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그러한 변위가 작아서, 이러한 이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임의의 소리가 차량 내부의 탑승자에게 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인장기 아암(32)이 실질적으로 정지적일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정지부를 포함하지 않는 일부 종래 기술 인장기의 일부 인장기 아암에서 발생되는 이동은 (약 20도 내지 약 30도의 각 운동에 상응하는) 20 mm 내지 30 mm이거나 일부 경우에 그 보다 크고, 그에 의해서 이러한 인장기 아암의 이동에서 상당한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고 일부 경우에 차량 탑승자에게 들릴 수 있는 소리를 생성한다. 또한, 특정 종래 기술의 인장기의 인장기 아암에서 발생되는 큰 가속은 차량 탑승자가 느낄 수 있는 떨림을 유발하는 반면, 전체적인 이동이 약 2.25 mm 미만으로 유지될 때 나타나는 가속은 차량 탑승자가 감지할 수 없을 정도로 충분히 작은 떨림이다. 감지될 수 없는 인장기의 이동과 연관된 소리 및 떨림이 중요한데, 이는 이러한 것이 차량 탑승자에 의한 차량 품질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장기 아암(32)(또는 30)이 그 정지부(62)(또는 60)에 대항되는 동안 총 이동을 약 2.25 mm 미만으로 유지함으로써, 아암(32)(또는 30) 및 연관된 구성요소에서의 가속 그리고 그에 따라 상응하는 응력이 감소되고, 그에 따라 이들은 인장기의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일부 종래 기술의 인장기에서 나타나는 가속은, 인장기의 요소가 피로를 받고 그에 따라 조기에 고장나는 레벨에 도달하였다.
이동량을 작게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정지부(62 및 60) 내의 어느 정도의 양의 유연성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유연성은, 하나의 조건의 세트로부터 다른 조건의 세트로 전이되는 동안, 제2 인장기 아암(32)과 정지부(62) 사이의 (또는 제1 인장기 아암(30)과 정지부(60) 사이의) 충격의 격렬함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정지부(62 및 60)가 너무 강성인 경우에, 그러한 충격은 차량 탑승자가 들을 수 있는(그리고 가능하게는 느낄 수 있는) 가청적인 클릭을 초래할 수 있고, 이는 차량 품질에 관한 탑승자의 인식을 해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충격은 허브 부하 스파이크를 초래할 수 있고 구성요소의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연성 레벨(즉, 전술한 경도 및/또는 스프링 정수)과 조합된 50 라디안/s의 충격 속도의 경우에, 충격 응력 그리고 충격 소음 및 진동이 충분히 작아서, 구성요소의 수명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차량 탑승자가 감지할 수 없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전술한 유연성 레벨을 가지는 정지부의 경우에, 정지부(62)와의 충격에서의 인장기 아암(32)의 바람직한 최대 속력은 약 25 라디안/s이다.
인장기를 설계하기 위해서, 전방 엔진 부속물 구동 시스템을 구성하는 풀리의 위치, 벨트(20)를 통해서 엔진을 시동하는데 필요한 토크, 및 다양한 다른 설계 매개변수와 같은, 차량 제조자로부터의 특정 데이터가 인장기 제조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인장기 제조자는, MGU로부터 엔진을 시동하기 위해서 크랭크샤프트를 구동하기에 충분할 수 있는 적절한 벨트 인장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벨트 인장력은, 선택된 벨트 인장력을 달성하기 위한 충분한 힘을 갖는, 인장기 풀리(26 및 28)를 벨트(20) 내로 구동하기 위해서 인가될 수 있는 스프링 힘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값을 이용하여, 인장기 아암(30 및 32) 상의 결과적인 토크가 아암(30 및 32)의 상이한 위치들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결과적인 토크가, 약 1 Nm 및 약 15 Nm의 범위 내에 있는 선택된 값과 같은, 선택된 값에 근접할 때, 인장기 아암(32)을 그러한 지점에 접경시키도록 정지부(62)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풀리(26 및 28) 상의 벨트(20)의 랩핑 각도는 벨트 인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비교적 얕은 랩핑 각도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키-시동과 같은 이벤트 중에, 벨트의 삑 소리(squeal)를 방지하면서 구동 토크를 엔진으로부터 부속물로 전달하기에 충분한 벨트(20) 내의 선택된 인장력을 유지하면서, 제2 인장기 아암(32)을 정지부(62) 내로 압박하는 결과적인 편향 토크의 양이 비교적 적게 유지된다. 랩핑 각도는 또한 바람직하게, 엔진의 동작 중에 베어링 후트(hoot)를 발생시킬 위험이 있을 정도로 작지 않다. 후트는, 풀리 상의 벨트의 랩핑 각도가 너무 작아서, 베어링의 롤링 요소(예를 들어, 볼)와 상응하는 베어링 레이스 사이에, 롤링 요소가 롤링되게 하기 위한 충분한 마찰 결합이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유형의 소음이다. 그 대신, 롤링 요소가 레이스 상에서 활주 이동된다. 랩핑 각도가 약 10도 초과로 충분히 크도록 보장함으로써, 후트가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랩핑 각도를, 약 90도와 같은, 선택된 값 미만으로 유지함으로써, 정지부(62)에 대항하는 인장기 아암(32)의 예비-부하가 충분히 작게 유지되어 표준 베어링 및 기타가 풀리(28) 상에서 이용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풀리(28) 상의 (그리고 풀리(26) 상의) 벨트(20)의 랩핑 각도가 약 25도 내지 약 60도이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적 평형 하에서, 제2 인장기 아암(32)은 적어도 무한 구동 부재(20) 및 인장기 편향 부재(41)에 의해서 인가되는 토크의 조합으로부터 초래되는 예비-부하 토크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었고, 예비-부하 토크는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6)과 결합되게 제2 인장기 아암(32)을 압박하고 약 1 Nm 내지 약 15 Nm이다. 또한, 예를 들어, 크랭크샤프트 풀리(16)가 무한 구동 부재(20)를 구동하고, 이차 구동 장치(18a)(예를 들어, MGU)가 무한 구동 부재(20)를 구동하지 않는 조건을 포함하는 제1의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2 인장기 아암(32)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6)과 결합되는 동안, 제2 인장기 풀리(28)는 무한 구동 부재(20)와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비-부하 토크는 약 3 Nm 내지 약 5 Nm이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장기 편향 부재(41)는,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 중에, 무한 구동 부재(20)에 의해서 제2 인장기 아암(32)에 가해지는 (인장력(T2 및 T3) 형태의) 토크에 반대되는 (힘(FL) 형태의) 토크를 제2 인장기 아암(32)에 인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4)이 제공되고, 제1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인장기 아암(3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된다. 사용 시에, 제1의 동작 조건의 범위와 상이한 제2의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1 인장기 아암(30)이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4)과 결합되는 동안, 제1 인장기 풀리(26)는 무한 구동 부재(20)와 결합되도록,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4)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의 선택된 동작 조건의 세트에서: 이차 구동 장치 풀리(24a)가 무한 구동 부재(20)를 구동시키고, 크랭크샤프트 풀리(16)는 선택적으로 무한 구동 부재(20)를 구동시킬 수 있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예비-부하 토크에 대향되는 제1 인장기 아암(32) 상의 임의의 일시적 토크는 예비-부하 토크보다 크다. 또한, 사용 시에, 제1 및 제2의 동작 조건 범위와 상이한 제3의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이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제1 및 제2 인장기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무한 구동 배열체는 제1 모드(도 5a 및 도 5b) 및 제2 모드(도 5c)에서 동작될 수 있고, 제1 모드에서 크랭크샤프트 풀리(16)가 무한 구동 부재(20)를 구동하고 이차 구동 장치(18a)(예를 들어, MGU)는 무한 구동 부재(20)를 구동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무한 구동 부재(20)의 제1 스팬(20-3) 내의 인장력은 무한 구동 부재(20)의 제2 스팬(20-4) 내의 인장력보다 작고, 제2 모드에서 이차 구동 장치(18a)는 무한 구동 부재(20)를 구동한다. 일부 경우에, 제2 모드 중에, (예를 들어, BAS 이벤트 중에) 크랭크샤프트 풀리(16)는 무한 구동 부재(20)를 구동하지 않는다. 제2 모드의 일부 경우에, (예를 들어, 부스트 이벤트 중에) 크랭크샤프트 풀리(16)는 이차 구동 장치(18a)와 함께 무한 구동 부재(20)를 구동한다. 사용 시에,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되는 시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 인장기 아암(32)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6)과 결합되도록 그리고 제1 인장기 아암(30)이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그리고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2 모드에서 동작되는 시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 인장기 아암(32)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6)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그리고 제1 인장기 아암(30)이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4)과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4 및 66)이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 시에,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되는 시간의 실질적으로 전부에서, 제2 인장기 아암(32)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6)과 결합되도록 그리고 제1 인장기 아암(30)이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4 및 66)이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 시에,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2 모드에서 동작되는 시간의 일부에서(예를 들어, 이차 구동 장치(18a)에 의해서 전달되는 토크의 양이, 제2 인장기 아암(32) 내의 예비-부하 토크의 양보다 작은 제2 인장기 아암(32) 상의 토크를 생성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은, 부스트 이벤트 중에), 제2 인장기 아암(32)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6)과 결합되도록 그리고 제1 인장기 아암(30)이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6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이 배치된다.
본원에 포함된 설명이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예를 구성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정당한 의미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이 추가적으로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3)

  1. 엔진 상의 무한 구동 부재를 장력조정하기 위한 인장기이며:
    제1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고 제1 아암 피봇 축과 이격된 제1 인장기 풀리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인장기 풀리를 가지는, 제1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1 인장기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인장기 아암;
    제2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고 제2 아암 피봇 축과 이격된 제2 인장기 풀리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인장기 풀리를 가지는, 제2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2 인장기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인장기 아암;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을 제1 자유 아암 방향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으로 각각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인장기 편향 부재;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2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을 포함하고,
    사용 시에, 제1의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2 인장기 아암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는 동안, 제2 인장기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와 결합되도록,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이 배치되고, 정적 평형 하에서, 제2 인장기 아암은 적어도 무한 구동 부재 및 인장기 편향 부재에 의해서 인가되는 토크의 조합으로부터의 예비-부하 토크를 가지며, 예비-부하 토크는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게 제2 인장기 아암을 압박하고, 약 1 Nm 내지 약 15 Nm인, 인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무한 구동 부재가, 약 10도 내지 약 90도인 랩핑 각도에 걸쳐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풀리의 각각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인장기.
  3. 제1항에 있어서,
    인장기 편향 부재가 압축 스프링인, 인장기.
  4. 제1항에 있어서,
    인장기 편향 부재가, 사용 시에, 무한 구동 부재에 의해서 제2 인장기 아암에 가해지는 토크에 반대되는 토크를 제2 인장기 아암에 인가하도록 배치되는, 인장기.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을 더 포함하고,
    사용 시에, 제1의 동작 조건 범위와 상이한 제2의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1 인장기 아암이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는 동안, 제1 인장기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와 결합되도록,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이 배치되는, 인장기.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 시에, 제1 및 제2 동작 조건 범위와 상이한 제3의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이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제1 및 제2 인장기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와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가 배치되는, 인장기.
  7. 제1항에 있어서,
    무한 구동 부재가 무한 구동 배열체의 일부이고, 무한 구동 배열체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고, 제1 모드에서 크랭크샤프트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고 이차 구동 장치는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 내의 인장력은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 내의 인장력보다 작고, 제2 모드에서 이차 구동 장치는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며,
    제1 인장기 풀리가 제1 스팬과 결합되고, 제2 인장기 풀리가 제2 스팬과 결합되는, 인장기.
  8. 제1항에 있어서,
    예비-부하 토크가 약 3 Nm 내지 약 5 Nm인, 인장기.
  9. 무한 구동 배열체이며:
    크랭크샤프트;
    이차 구동 장치;
    크랭크샤프트와 이차 구동 장치를 연결하는 무한 구동 부재;
    인장기를 포함하고, 인장기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1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1 인장기 풀리는 이차 구동 장치의 제1 측부 상의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과 결합되고,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제1 인장기 아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2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2 인장기 풀리는 이차 구동 장치의 제2 측부 상의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과 결합되고, 제2 인장기 아암은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제2 인장기;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을 각각의 제1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인장기 편향 힘을 인가하도록 배치된 인장기 편향 부재;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2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를 포함하며,
    사용 시에,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2 인장기 아암이 제2 정지부와 결합되는 동안, 제2 인장기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와 결합되도록,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가 배치되고, 그리고
    Figure pct00014
    이며
    여기에서
    TR = TR2 - TR3이고,
    TL = TR4 - TR5이며,
    TR2 =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의 제1 부분에 의해서 제2 인장기 풀리에 인가되는 힘(T2)의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고,
    TR3 =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의 제2 부분에 의해서 제2 인장기 풀리에 인가되는 힘(T3)의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며,
    TR4 =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의 제1 부분에 의해서 제1 인장기 풀리에 인가되는 힘(T4)의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고,
    TR5 =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의 제2 부분에 의해서 제1 인장기 풀리에 인가되는 힘(T5)의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고,
    hF1 = 인장기 편향 부재에 의해서 제1 인장기 아암에 인가되는 힘(FL)의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고, 그리고
    hF2 = 인장기 편향 부재에 의해서 제2 인장기 아암에 인가되는 힘(FL)의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인, 무한 구동 배열체.
  10. 제9항에 있어서,
    이차 구동 장치가 모터-발전기 유닛인, 무한 구동 배열체.
  11. 제9항에 있어서,
    이차 구동 유닛이, 무한 구동 부재에 인가되는 크랭크샤프트 토크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차 구동 유닛 토크를 무한 구동 부재에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무한 구동 배열체.
  12. 제9항에 있어서,
    제1 인장기 풀리가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제1 측부에 위치되고, 인장기 편향 부재는 인장기 편향 힘을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제2 측부 상으로 인가하도록 배치되며, 제2 인장기 풀리는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제1 측부에 위치되고, 인장기 편향 부재는 인장기 편향 힘을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제2 측부 상으로 인가하도록 배치되는, 무한 구동 배열체.
  13. 엔진을 위한 무한 구동 배열체이며:
    크랭크샤프트에 의해서 구동되는 크랭크샤프트 풀리;
    이차 구동 장치에 의한 이차 구동 장치 풀리;
    크랭크샤프트 풀리 및 이차 구동 장치 풀리와 결합된 무한 구동 부재로서, 무한 구동 배열체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고, 제1 모드에서 크랭크샤프트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고 이차 구동 장치는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 내의 인장력은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 내의 인장력보다 작고, 제2 모드에서 이차 구동 장치는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무한 구동 부재; 및
    인장기를 포함하고, 인장기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1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1 인장기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과 결합되고,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제1 인장기 아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2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2 인장기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과 결합되고, 제2 인장기 아암은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제2 인장기 아암;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을 각각의 제1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인장기 편향 부재,
    제1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2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을 포함하고,
    사용 시에,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되는 시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 인장기 아암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도록 그리고 제1 인장기 아암이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그리고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2 모드에서 동작되는 시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 인장기 아암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그리고 제1 인장기 아암이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이 배치되는, 무한 구동 배열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사용 시에,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되는 시간의 실질적으로 전부에서, 제2 인장기 아암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도록 그리고 제1 인장기 아암이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이 배치되는, 무한 구동 배열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사용 시에,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2 모드에서 동작되는 시간의 일부에서, 제2 인장기 아암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도록 그리고 제1 인장기 아암이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이 배치되는, 무한 구동 배열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제2 모드에서, 크랭크샤프트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무한 구동 배열체.
  17. 제13항에 있어서,
    제2 모드에서, 크랭크샤프트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지 않는, 무한 구동 배열체.
  18. 엔진을 위한 무한 구동 배열체이며: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된 크랭크샤프트 풀리;
    이차 구동 장치의 샤프트에 연결된 이차 구동 장치 풀리;
    크랭크샤프트 풀리 및 이차 구동 장치 풀리와 결합된 무한 구동 부재로서, 무한 구동 배열체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고, 제1 모드에서 크랭크샤프트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고 이차 구동 장치는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 내의 인장력은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 내의 인장력보다 작고, 제2 모드에서 이차 구동 장치는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무한 구동 부재; 및
    인장기를 포함하고, 인장기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1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1 인장기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과 결합되고,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제1 인장기 아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2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2 인장기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과 결합되고, 제2 인장기 아암은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제2 인장기 아암;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을 각각의 제1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인장기 편향 부재;
    제1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2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을 포함하고,
    제2 인장기 아암은, 적어도 무한 구동 부재 및 인장기 편향 부재에 의해서 인가되는 토크의 조합으로부터, 0이 아닌 예비-부하 토크를 가지며, 예비-부하 토크는 제2 인장기 아암을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게 압박하고, 그에 따라,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될 때, 제2 인장기 아암 상의 일시적 토크가 예비-부하 토크에 대항하여 작용하나 예비-부하 토크보다는 작은 엔진의 동작 전체를 통해서, 제2 인장기 아암은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어 유지되고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되며,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될 때, 제2 인장기 아암 상의 일시적 토크가 예비-부하 토크에 대항하여 작용하고 예비-부하 토크보다 충분히 큰 엔진의 동작 전체를 통해서,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어 유지되고 제2 인장기 아암은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되는, 무한 구동 배열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예비-부하 토크가 약 1 Nm 내지 약 15 Nm인, 무한 구동 배열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예비-부하 토크가 약 3 Nm 내지 약 5 Nm인, 무한 구동 배열체.
  21. 크랭크샤프트에 의해서 구동되는 크랭크샤프트 풀리, 모터/발전기 유닛(MGU) 풀리, 및 크랭크샤프트 풀리와 MGU 풀리 주위에 제공되는 무한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엔진 상의 무한 구동 배열체를 장력조정하기 위한 인장기로서,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고, 제1 모드에서 크랭크샤프트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고 MGU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 내의 인장력은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에서 보다 작고, 무한 구동 부재는 제2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고, 제2 모드에서 MGU 풀리는, 크랭크샤프트 풀리와 별도로 또는 그와 함께,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시키고, 인장기는:
    제1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고 제1 아암 피봇 축과 이격된 제1 인장기 풀리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인장기 풀리를 가지는, 제1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1 인장기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인장기 아암;
    제1 아암 피봇 축으로부터 이격된 제2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고 제2 아암 피봇 축과 이격된 제2 인장기 풀리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인장기 풀리를 가지는, 제2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2 인장기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인장기 아암;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을 제1 자유 아암 방향으로 그리고 제2 자유 아암 방향으로 각각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인장기 편향 부재로서, 제1 인장기 풀리가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제1 측부에 배치되고, 인장기 편향 부재는 인장기 편향 힘을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제2 측부 상으로 인가하도록 배치되며, 제2 인장기 풀리는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제1 측부에 위치되고, 인장기 편향 부재는 인장기 편향 힘을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제2 측부 상으로 인가하도록 배치되는, 인장기 편향 부재;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2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을 포함하고,
    정적 평형 하에서, 적어도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의 구성,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위치, 제1 및 제2 인장기 풀리 주위의 무한 구동 부재의 랩핑, 및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의 위치로 인해서, 제2 인장기 아암은 적어도 무한 구동 부재 및 인장기 편향 부재에 의해서 인가되는 토크의 조합으로부터의 예비-부하 토크를 가지며, 예비-부하 토크는 제2 인장기 아암을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게 압박하고 약 1 Nm 내지 약 15 Nm이며, 그에 따라, 사용 시에, 예비-부하 토크에 반대로 작용하는 일시적 토크가 상당한 양만큼 예비-부하 토크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한, 제1 동작 모드 및 제2 동작 모드에서 제2 인장기 아암이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는 동안, 제2 인장기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와 결합되는, 인장기.
  22. 무한 구동 배열체이며:
    크랭크샤프트;
    이차 구동 장치;
    크랭크샤프트와 이차 구동 장치를 연결하는 무한 구동 부재;
    인장기를 포함하고, 인장기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1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1 인장기 풀리는 이차 구동 장치의 제1 측부 상의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과 결합되고,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제1 인장기 아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2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2 인장기 풀리는 이차 구동 장치의 제2 측부 상의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과 결합되고, 제2 인장기 아암은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제2 인장기;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을 각각의 제1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인장기 편향 힘을 인가하도록 배치된 인장기 편향 부재;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2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로서, 사용 시에, 선택된 동작 조건 범위 전체를 통해서, 제2 인장기 아암이 제2 정지부와 결합되는 동안 제2 인장기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와 결합되도록,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가 배치되며, 그리고
    Figure pct00015
    이고,
    여기에서
    TR=TR2 - TR3이고,
    TL=TR4 - TR5이며,
    TR2 =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의 제1 부분에 의해서 제2 인장기 풀리에 인가되는 힘(T2)의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고,
    TR3 =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의 제2 부분에 의해서 제2 인장기 풀리에 인가되는 힘(T3)의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며,
    TR4 =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의 제1 부분에 의해서 제1 인장기 풀리에 인가되는 힘(T4)의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고,
    TR5 =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의 제2 부분에 의해서 제1 인장기 풀리에 인가되는 힘(TS)의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고,
    hF1 = 인장기 편향 부재에 의해서 제1 인장기 아암에 인가되는 힘(FL)의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이고, 그리고
    hF2 = 인장기 편향 부재에 의해서 제2 인장기 아암에 인가되는 힘(FL)의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에 대한 모멘트 아암인, 무한 구동 배열체.
  23. 엔진을 위한 무한 구동 배열체이며: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된 크랭크샤프트 풀리;
    이차 구동 장치의 샤프트에 연결된 이차 구동 장치 풀리;
    크랭크샤프트 풀리 및 이차 구동 장치 풀리와 결합된 무한 구동 부재로서, 무한 구동 배열체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고, 제1 모드에서 크랭크샤프트 풀리가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고 이차 구동 장치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 내의 인장력은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 내의 인장력보다 작고, 제2 모드에서 이차 구동 장치 풀리는, 크랭크샤프트 풀리와 별도로 또는 그에 부가하여, 무한 구동 부재를 구동하는, 무한 구동 부재; 및
    인장기를 포함하고, 인장기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1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1 인장기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의 제1 스팬과 결합되고,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제1 인장기 아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인장기 풀리를 갖는 제2 인장기 아암으로서, 제2 인장기 풀리는 무한 구동 부재의 제2 스팬과 결합되고, 제2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으로부터 이격된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제2 인장기 아암;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을 제1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 각각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인장기 편향 부재로서, 제1 인장기 풀리가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제1 측부에 배치되고, 인장기 편향 부재는 인장기 편향 힘을 제1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제2 측부 상으로 인가하도록 배치되며, 제2 인장기 풀리는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제1 측부에 위치되고, 인장기 편향 부재는 인장기 편향 힘을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제2 측부 상으로 인가하도록 배치되는, 인장기 편향 부재;
    제1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 및
    제2 자유 아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2 인장기 아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의 구성, 제1 및 제2 인장기 아암 피봇 축의 위치, 제1 및 제2 인장기 풀리 주위의 무한 구동 부재의 랩핑, 및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의 위치로 인해서, 제2 인장기 아암은, 정적 평형에서, 적어도 무한 구동 부재 및 인장기 편향 부재에 의해서 인가되는 토크의 조합으로부터 발생되는 약 1 Nm 내지 약 15 Nm의 예비-부하 토크를 가지며, 예비-부하 토크는 제2 인장기 아암을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게 압박하고, 그에 따라,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1 또는 제2 동작 모드에서 동작될 때, 제2 인장기 아암은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어 유지되고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되며 여기에서 제2 인장기 아암 상의 일시적 토크가 예비-부하 토크에 대항하여 작용하나 예비-부하 토크보다는 작고, 무한 구동 배열체가 제1 또는 제2 모드에서 동작될 때, 제1 인장기 아암은 제1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과 결합되어 유지되고 제2 인장기 아암은 제2 인장기 아암 정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되며 여기에서 제2 인장기 아암 상의 일시적 토크가 예비-부하 토크에 대항하여 작용하고 예비-부하 토크보다 충분히 큰, 무한 구동 배열체.
KR1020197006655A 2016-08-11 2017-08-11 무한 구동 배열체 및 그러한 배열체를 위한 개선된 2-아암형 장력조정 시스템 KR102383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73804P 2016-08-11 2016-08-11
US62/373,804 2016-08-11
US15/360,695 2016-11-23
US15/360,695 US9759293B2 (en) 2014-10-21 2016-11-23 Endless drive arrangement and improved two-armed tensioning system for same
PCT/CA2017/050954 WO2018027327A1 (en) 2016-08-11 2017-08-11 Endless drive arrangement and improved two-armed tensioning system for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560A true KR20190036560A (ko) 2019-04-04
KR102383534B1 KR102383534B1 (ko) 2022-04-07

Family

ID=6116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655A KR102383534B1 (ko) 2016-08-11 2017-08-11 무한 구동 배열체 및 그러한 배열체를 위한 개선된 2-아암형 장력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497351B1 (ko)
JP (1) JP7174690B2 (ko)
KR (1) KR102383534B1 (ko)
CN (1) CN109690133B (ko)
ES (1) ES2908945T3 (ko)
HU (1) HUE058141T2 (ko)
PL (1) PL3497351T3 (ko)
WO (1) WO2018027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482A1 (ja) * 2020-03-18 2021-09-23 Ntn株式会社 補機ベルト用オートテンショナ、および補機駆動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9342A1 (en) * 2001-12-12 2003-06-12 Oliver Larry R. Adaptive belt tensioner system for control of reversible torque load pulley
WO2016061685A1 (en) * 2014-10-21 2016-04-28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Endless drive arrangement and improved two-armed tensioning system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9659A1 (de) * 1998-10-29 2000-05-04 Schaeffler Waelzlager Ohg Spanneinrichtung für ein Zugmittel
WO2002029281A1 (en) * 2000-10-03 2002-04-11 The Gates Corporation Motor/generator and accessory belt drive system
ITTO20021133A1 (it) * 2002-12-30 2004-06-30 Dayco Europe Srl Tenditore bi-braccio per una trasmissione a cinghia.
US20050181901A1 (en) * 2004-02-13 2005-08-18 Chang-Hyun Shin Double action belt tensioner
DE102005039719A1 (de) * 2005-08-23 2007-03-22 Schaeffler Kg Spannsystem für einen Zugmitteltrieb mit einem in den Zugmittel integrierten Startergenerator
DE202008002279U1 (de) * 2008-02-19 2008-04-30 Schaeffler Kg Pendelspanner mit Hydraulikelement
DE102008025552B4 (de) * 2008-05-28 2020-06-10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für Starter-Generator-Anwendung
WO2013142951A1 (en) * 2012-03-29 2013-10-03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and endless drive arrangement
IL222078A (en) * 2012-09-23 2015-02-26 Yefim Kereth Strap flutter relay
CN104884842B (zh) * 2012-12-26 2017-11-14 利滕斯汽车合伙公司 轨道张紧器组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9342A1 (en) * 2001-12-12 2003-06-12 Oliver Larry R. Adaptive belt tensioner system for control of reversible torque load pulley
WO2016061685A1 (en) * 2014-10-21 2016-04-28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Endless drive arrangement and improved two-armed tensioning system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7351A4 (en) 2020-07-22
KR102383534B1 (ko) 2022-04-07
ES2908945T3 (es) 2022-05-04
WO2018027327A1 (en) 2018-02-15
CN109690133B (zh) 2022-08-12
CN109690133A (zh) 2019-04-26
PL3497351T3 (pl) 2022-04-19
JP2019525098A (ja) 2019-09-05
EP3497351A1 (en) 2019-06-19
EP3497351B1 (en) 2021-12-15
HUE058141T2 (hu) 2022-07-28
JP7174690B2 (ja)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5939B2 (en) Endless drive arrangement and improved two-armed tensioning system for same
US9133762B2 (en) Drive belt tensioner for motor generator unit
US20120318589A1 (en) Belt tensioning assembly for an engine system having a motor-generator unit
US8602930B2 (en) Drive belt tensioner for motor generator unit
US8568259B2 (en) Engine accessory drive with belt tensioner and same plane idler
US7494434B2 (en) Belt alternator starter accessory drive with dual tensioner
EP3253996B1 (en) Endless drive arrangement for hybrid vehicle using two-armed tensioner with non-orbiting arms
EP2938905B1 (en) Orbital tensioner assembly
KR100565914B1 (ko) 벨트 구동 시스템 및 벨트 구동 시스템의 진동 조정 방법
US20170306836A1 (en) Endless drive arrangement with tensioning system and isolation device
EP3209901B1 (en) Endless drive arrangement and improved two-armed tensioning system for same
US20130260932A1 (en) Tensioner and endless drive arrangement
US20050181901A1 (en) Double action belt tensioner
AU2017326349B2 (en) Tensioner
JP2005509117A (ja) 有限行程直動式ベルトテンショナ
US10746264B2 (en) Rotary tensioner
US20170138445A1 (en) Endless drive arrangement with active idler
WO2014085917A1 (en) Tensioner and endless drive arrangement
KR20190036560A (ko) 무한 구동 배열체 및 그러한 배열체를 위한 개선된 2-아암형 장력조정 시스템
WO2019090423A1 (en) Two-armed tensioner with adjustable spring force
US20200132173A1 (en) Tensioner
WO2021232164A1 (en) Endless drive arrangement and improved two-armed tensioning system for same - with directional damping
JP6452191B2 (ja) 車両用内燃機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