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046A - 휴대기기용 거치기구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거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046A
KR20190036046A KR1020170124799A KR20170124799A KR20190036046A KR 20190036046 A KR20190036046 A KR 20190036046A KR 1020170124799 A KR1020170124799 A KR 1020170124799A KR 20170124799 A KR20170124799 A KR 20170124799A KR 20190036046 A KR20190036046 A KR 20190036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permanent magnet
ball
fixed
auxili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Priority to KR1020170124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6046A/ko
Publication of KR20190036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4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with resilient means to eliminate extraneous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거치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구와; 상기 거치대에 끼워져 회전구를 감싸 고정하는 결속구와; 결속구에 체결되어 결속구에 의해 회전구가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노브와; 노브에 고정되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을 매개로 노브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자화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노브에 고정되는 영구자석과 보조배터리에 고정되는 자화편을 매개로 휴대기기(예: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에 보조전원을 공급해주는 보조배터리를 탈부착할 수 있게 해 줌으로서 사용자가 보조배터리를 휴대하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적으로 큰 변형 없이 제조 가능하다는 점에서 낮은 제조비용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거치기구{Placing appatatus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기기는 물론 보조배터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휴대기기용 거치기구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휴대폰, 무선마이크, 무선스피커 등의 휴대기기는 이를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삼각대와 같은 거치기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삼각대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7828호(카메라 삼각대)가 있으며, 여기에는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들은 카메라의 배터리가 소진될 것을 대비하여 보조배터리를 휴대하고 다니다가 카메라의 배터리가 소진되면 별도의 케이블을 매개로 카메라와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보조배터리는 부피와 무게가 있어 휴대가 번거롭고 불편하며, 특히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카메라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를 분리한 상태에서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카메라를 분리하지 않고 사용자가 보조배터리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등의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7828호(카메라 삼각대/2013.01.23)
본 발명은 휴대기기는 물론 보조배터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휴대기기용 거치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기기를 원하는 위치에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휴대기기용 거치기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부 둘레면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와, 상면에 형성되는 호형상의 볼안착부를 갖춘 거치대;
상기 볼안착부에 회전가능하게 맞대어지는 볼과, 볼로부터 돌출되어 휴대기기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부로 구성된 회전구;
상기 거치대에 상단부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볼을 감싸 구속하는 결속구;
상기 결속구에 체결되어 테이퍼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결속구를 승강시키는 나사볼트와, 나사볼트에 고정되며 내부가 나사볼트의 축방향으로 개구된 설치홈으로 구성된 노브;
상기 설치홈에 수용되는 영구자석;
보조배터리에 고정되어 상기 영구자석을 매개로 노브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자화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노브에는 설치홈으로부터 나사볼트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와, 돌기로부터 나사볼트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영구자석는 돌기에 끼워져 설치홈에 수용되는 환형이며;
상기 자화편에는 가이드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수용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노브에 고정되는 영구자석과 보조배터리에 고정되는 자화편을 매개로 휴대기기(예: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에 보조전원을 공급해주는 보조배터리를 탈부착할 수 있게 해 줌으로서 사용자가 보조배터리를 휴대하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적으로 큰 변형 없이 제조 가능하다는 점에서 낮은 제조비용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노브와 자화편에 가이드와 가이드수용부를 각각 보강해 줌으로서 노브에 자화편을 부착할 때 부착위치를 일정한 위치로 자연스럽게 안내하여 노브에 대한 보조배터리의 부착위치가 항상 일정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노브의 나사볼트를 조이거나 풀게 되면 나사볼트의 선단이 테이퍼부의 경사면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테이퍼부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결속구가 승강하게 되면서 회전구를 가압고정하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하며, 이에 따라 회전구를 원하는 위치로 변경 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기구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기구에서 결속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기구의 적용 예시도면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기구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기구에서 결속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기구의 적용 예시도면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기구는 거치대(10)와 회전구(20), 결속구(30), 노브(40), 영구자석(50) 및 자화편(60)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받침부(70)가 더 보강되는 것으로, 이에 의하면 휴대기기(예: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 및 보조배터리가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면서 보조배터리를 매개로 휴대기기에 부족한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기 때문에 공간활용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10)는 원기둥형상의 지주로서, 상단부 둘레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테이퍼부(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회전구(20)의 볼(21)이 안착되어 회전가능하게 맞대어질 수 있게 호형상의 볼안착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10)는 카메라 삼각대와 같은 공지의 다양한 거치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0')의 상면에 결합시켜 입설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테이퍼부(11)와 노브(40)의 나사볼트(41) 선단은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볼트(41)를 조이거나 풀게 되면 나사볼트(41)의 선단이 테이퍼부(11)의 경사면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테이퍼부(11)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결속구(30)가 승강하게 되면서 회전구(20)를 가압고정하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하며, 이에 따라 회전구(20)를 원하는 위치로 변경 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구(20)는 거치대(10)의 볼안착부(12)에 회전가능하게 맞대어지는 구형상의 볼(21)과, 볼(21)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어 휴대기기(예:카메라, 무선스피커, 무선마이크 등)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부(22)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회전구(20)는 휴대기기(예:카메라, 무선스피커, 무선마이크 등)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여 거치대(10)에 거치되도록 하는 매개체이면서 착탈가능하게 체결된 휴대기기(예: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의 설치상태(설치각도)를 자유롭게 변경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결속구(30)는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고 통형상의 부재로서, 둘레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며 나사볼트(41)가 체결되는 나사체결부(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거치대(10)의 상부를 통해 끼워져 회전구(20)의 볼(21)을 감싸며, 노브(40)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볼(21)을 가압해 고정하거나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 4는 상기 결속구(30)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단부에 십자형태의 절개홈(32)을 더 보강하여 회전구(20)가 90°까지 숙여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면 상기 회전구(20)가 90°까지 숙여짐에 따라 회전구(20)에 고정된 휴대기기(예: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의 설치상태(설치각도)를 더욱더 자유롭게 변경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노브(40)는 결속구(30)의 나사체결부(31)에 체결되는 나사볼트(41)와, 나사볼트(41)에 고정되며 내부가 나사볼트(41)의 축방향으로 개구된 설치홈(42)을 구비한다.
상기 노브(40)의 나사볼트(41)는 결속구(30)의 나사체결부(31)에 체결되어 선단부가 거치대(10)의 테이퍼부(11)에 이동가능하게 맞대어진다.
특히, 상기 결속구(30)에 체결된 노브(40)의 나사볼트(41)를 조이거나 풀게 되면 테이퍼부(11)의 경사면을 따라 나사볼트(41)가 이동되고, 이에 의해 결속구(30)가 자연스럽게 상하로 승강되면서 볼(21)을 가압해 고정하거나 가압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 설치홈(42)에는 영구자석(50)이 수용되어 고정수단(예:접착제)을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영구자석(50)은 설치홈(42)에 수용되어 고정수단(예:접착제)을 매개로 고정되어서 자화편(60)을 자력을 매개로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자화편(60)은 영구자석(5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자화재질의 철편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접착수단(61:접착제, 양면테이프 등)을 매개로 보조배터리(2:도 5 참조)에 고정되어 노브(40)에 고정된 영구자석(50)의 자력을 매개로 노브(4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자화편(60)은 보조배터리(2:도 5 참조)를 노브(40)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일종의 매개체이다.
상기 받침부(70)의 합성고무재질의 부재로서, 결속구(30)의 상부를 관통해 노출되는 체결부(22)에 체결되어 체결부(22)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휴대기기(예:카메라, 무선스피커, 무선마이크 등)를 탄성가능하게 떠받치는 기능을 하며, 이에 의해 외부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노브(40)에는 설치홈(42)으로부터 나사볼트(41)의 축방향(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43)와, 돌기(43)로부터 나사볼트(41)의 축방향(횡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43a)가 더 보강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50)은 돌기(43)에 끼워져 설치홈(42)에 수용될 수 있게 환형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자화편(60)에는 가이드(43a)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수용부(62)가 더 보강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노브(40)의 가이드(43a)는 노브(40)에 자화편(60)을 부착할 때 부착위치를 일정한 위치로 자연스럽게 안내하여 노브(40)에 대한 보조배터리(2)의 부착위치가 항상 일정하도록 하면서 영구자석(50)에 의해 자화된 돌기(43)의 가이드(43a)가 가이드수용부(62) 안에서 자화편(60)에 자력을 가하여 노브(40)와 자화편(60) 간에 부착력 및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예: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는 받침부(70) 상에 얹혀지도록 회전구(20)의 체결부(22)에 체결 및 고정하고, 보조배터리(2)는 고정된 자화편(60)을 영구자석(50)의 자력을 매개로 노브(40)에 부착해 주면 그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회전구(20)를 움직여 사용자가 원하는 설치각도로 변경시켜 준다.
그 다음 결속구(30)에 결합된 노브(40)를 회전시켜 조이게 되면, 결속구(30)에 체결된 나사볼트(41)의 단부가 거치대(10)의 테이퍼부(11)에 경사면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에 의해 결속구(30)가 아래로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거치대(10)의 볼안착부(12)에 얹혀진 볼(21)은 하강하는 결속구(30)에 의해 강하게 가압되면서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설치각도를 재설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여준 노브(40)를 풀어 결속구(30)로부터 볼(21)의 구속상태를 해제한 다음 재설정 후 앞선 순서대로 다시 조작해 주면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노브(40)에 고정되는 영구자석(50)과 보조배터리(2)에 고정되는 자화편(60)을 매개로 휴대기기(예: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에 보조전원을 공급해주는 보조배터리(2)를 탈부착할 수 있게 해 줌으로서 사용자가 보조배터리(2)를 휴대하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적으로 큰 변형 없이 제조 가능하다는 점에서 낮은 제조비용을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노브(40)와 자화편(60)에 가이드(43a)와 가이드수용부(62)를 각각 보강해 줌으로서 노브(40)에 자화편(60)을 부착할 때 부착위치를 일정한 위치로 자연스럽게 안내하여 노브(40)에 대한 보조배터리(2)의 부착위치가 항상 일정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노브(40)의 나사볼트(41)를 조이거나 풀게 되면 나사볼트(41)의 선단이 테이퍼부(11)의 경사면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테이퍼부(11)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결속구(30)가 승강하게 되면서 회전구(20)를 가압고정하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하며, 이에 따라 회전구(20)를 원하는 위치로 변경 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거치대 11: 테이퍼부 12: 볼안착부
20: 회전구 21: 볼 22: 체결부
30: 결속구 31: 나사체결부 40: 노브
41: 나사볼트 42: 설치홈 43: 돌기
43a: 가이드 50: 영구자석 60: 자화편
61: 접착수단 62: 가이드수용부 70: 받침부

Claims (2)

  1. 상단부 둘레면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와, 상면에 형성되는 호형상의 볼안착부를 갖춘 거치대;
    상기 볼안착부에 회전가능하게 맞대어지는 볼과, 볼로부터 돌출되어 휴대기기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부로 구성된 회전구;
    상기 거치대에 상단부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볼을 감싸 구속하는 결속구;
    상기 결속구에 체결되어 테이퍼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결속구를 승강시키는 나사볼트와, 나사볼트에 고정되며 내부가 나사볼트의 축방향으로 개구된 설치홈으로 구성된 노브;
    상기 설치홈에 수용되는 영구자석;
    보조배터리에 고정되어 상기 영구자석을 매개로 노브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자화재질의 자화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에는 설치홈으로부터 나사볼트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와, 돌기로부터 나사볼트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영구자석는 돌기에 끼워져 설치홈에 수용되는 환형이며;
    상기 자화편에는 가이드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수용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기구.
KR1020170124799A 2017-09-27 2017-09-27 휴대기기용 거치기구 KR20190036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799A KR20190036046A (ko) 2017-09-27 2017-09-27 휴대기기용 거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799A KR20190036046A (ko) 2017-09-27 2017-09-27 휴대기기용 거치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816U Division KR200492674Y1 (ko) 2019-09-18 2019-09-18 휴대기기용 거치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046A true KR20190036046A (ko) 2019-04-04

Family

ID=6610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799A KR20190036046A (ko) 2017-09-27 2017-09-27 휴대기기용 거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60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119A (ko) 2020-12-17 2022-06-2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특허, 논문, 국가연구보고서 통합 정보 산출 및 표시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828B1 (ko) 2010-12-17 2013-01-29 정관성 카메라 삼각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828B1 (ko) 2010-12-17 2013-01-29 정관성 카메라 삼각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119A (ko) 2020-12-17 2022-06-2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특허, 논문, 국가연구보고서 통합 정보 산출 및 표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4151B1 (ko) 셀프 촬영 장치
KR100625699B1 (ko) 핸드폰케이스 회전 거치대
JP6425105B2 (ja) 携帯用電子・電気機器のアクセサリー
CN108700251B (zh) 云台
US20150144755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US8254870B2 (en) Bluetooth periphera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2015514365A (ja) 携帯器機用多機能アクセサリー
KR20190036046A (ko) 휴대기기용 거치기구
US20100225036A1 (en) Adjustable fixture
EP1619746B1 (en) Antenna mount for mobile terminal
KR102408735B1 (ko) 휴대 단말기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홀더 장치
KR200492674Y1 (ko) 휴대기기용 거치기구
KR20040040651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겸용 충전기
CN218482886U (zh) 电子设备支架保护壳
US20220333736A1 (en) Clamping and supporting apparatus for smart mobile terminal
KR20160125056A (ko) 모바일기기 파지용 액세서리
US20110064982A1 (en) Fixing mechanism
JP2010064552A (ja) スタンド装置
KR102064280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0487229Y1 (ko) 마운팅 부재
CN107871634B (zh) 电子装置及其音量调节机构
CN215714816U (zh) 用于设备人孔的便携式警示带
CN219437039U (zh) 支架保护壳
CN220749772U (zh) 肩托架和摄影设备
CN218510524U (zh) 一种磁吸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